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미세 전류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를 함과 동시에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디지털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통신하고 이어폰 단자가 구비된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communicate with a Bluetooth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that transmits a digital sound signal so that the user can enjoy music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using the micro-current and earphone terminals. It relates to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equipped with.
신체에 전기자극을 주어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은 오래전부터 의학계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저주파를 이용한 물리치료기는 시중에서도 손쉽게 구입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전기치료기의 하나가 되었다.The method of managing pain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bod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for a long time, and in particular, a physical therapy device using a low frequency has been easily purchased in the market and has become one of the electrical therapy devices that anyone can use.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전기 치료기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전기자극치료(EST),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ENS), 고압맥동치료(HVPC) 등이 있으며, 이들 전기 치료기는 그 사용전류가 밀리암페어(㎃)의 단위로 공급되어 신체의 특정부위를 자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using a medical electric treatment device includ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EST), transdermal nerve electric stimulation treatment (TENS), and high-pressure pulsation treatment (HVPC), and these electric treatment devices have a current of milliampere. It is supplied in units of and is configured to stimulate specific parts of the body.
따라서, 종래의 전기 치료기는 신체에 가해지는 전류가 고전류(㎃)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사용시에 신체에 가해지는 자극을 피부로 충분히 느낄 수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therapy apparatus, since the current applied to the body is supplied with a high current, most of the users can sufficiently feel the stimulus applied to the body when using the skin.
이로 인해, 종래의 전기 치료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경우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을 통해 치료를 받았다는 심리적 상태를 갖는 경우와, 전기 치료기에서 공급되는 고전류(㎃)로 인해 신체의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이 강해 그 사용을 꺼리거나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함께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었다.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users who use the conventional electric treatment device,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they have been treated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the skin, and the stimulation applied to the skin of the body due to the high current supplied from the electric treatment device are strong. It was a situation where reluctance to use it or not being able to use it at all was occurring.
한편, 인체에는 세포간 물질 이동과정에서 약 40~60㎂ 범위의 생체전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uman body, it is known that bioelectricity in the range of about 40 to 60 km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substances between cells.
즉,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이 양이온과 염소 등 음이온 전극을 띤 물질들이 끊임없이 뒤바뀌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생체전기는 세포기능 및 세포간 신호전달기능을 촉진시키고, 상처난 조직의 재생이 가능하게 하며, 각종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인체 내부에 침투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In other words,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process in which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other anion electrodes such as ions and chlorine are constantly being replaced with the cell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m, and this bioelectricity promotes cell function and intercellular signal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wounded tissues, and various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are secreted, an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it is known to kill various bacteria and viruses that have penetrated inside the human body. .
이에 대한 일례로, 1990년 뉴욕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의 스티븐 칼리(Steven Kalli)박사는 혈액과 에이즈 바이러스가 담긴 배양접시에 50~100㎂의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면 에이즈 바이러스가 살아남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표하면서, 미세전류를 이용한 치료기의 연구 및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For example, in 1990, Dr. Steven Kalli of Albert Einstein Medical School, New York, announced that the AIDS virus would not survive if a microcurrent of 50 to 100 mA was applied to a culture dish containing blood and AIDS virus.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reatment device using micro-current has been rapidly performed.
인체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생체전류는 신체의 외상이나 부상 후 이틀이 지나면서 생체에너지가 생성되지 않게 되지만, 미세전류(Micro-Current)는 인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체전류와 아주 비슷한 수십 마이크로 암페어(㎂ )~ 수백 마이크로 암페어(㎂) 정도의 저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미세전류를 외부에서 인체에 통전시켜 줄 경우 인체 내의 생체전류를 보충하는 역할을 통해 상처받은 조직의 전류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손상부위의 상처를 치유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근육에 대한 전기자극효과, 대사작용의 변화 및 혈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micro-current generated in the human body does not generate bio-energy after two days after trauma or injury of the body, but the micro-current is tens of micro amps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natural bio-currents in the human body. )~ Because it uses a low current of several hundred micro amperes, when this microcurrent is supplied to the human body from the outside, the amount of current in the wounded tissue is increased through the role of replenishing the biocurrent in the human body. It is known to heal wounds, relieve pain, and affect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s on muscles, metabolic changes, and changes in blood vessels.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저주파를 이용한 전기 치료기는 고압 및 수 밀리암페어(㎃)의 전류를 사용한 강한 자극으로 인해 오히려 인체의 생리적 활동을 억제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However, the electric therapy apparatus using the low frequency developed in the prior art has a risk of suppressing or stopping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human body due to strong stimulation using high pressure and several milliamperes of current.
또한 이러한 전기 치료기는 휴대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전기를 이용하여 신체 개선 뿐만 아니라 미용 효과를 볼 수 있는 휴대용 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such an electric therapy device is difficult to carry,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easily use electricity to improve the body as well as to see a cosmetic effect.
이러한 휴대용 미세전류 기기의 필요에 의해 제안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826733호(2018.02.01. 등록)에는 "미세전류 발생 구조의 다기능 마사지 기기"가 제안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proposed by the necessity of such a portable micro-current devic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26733 (registered on Feb. 01, 2018) has proposed a "multi-function massage device having a micro-current generation structure".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미세 전류를 이용한 치료 기능만 있어 치료 과정이 지루할 수 있는 문제점과, 미세 전류는 신체에 전해지는 자극이 크지 않아 사용자가 미세 전류를 이용한 치료 중인지 여부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process can be tedious because there is only a treatment function using a micro-current, and the micro-current does not have a great stimulus transmitted to the body, so the user cannot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a micro-current.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전류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를 함과 동시에 음악을 감상할 수 있고, 나아가 미세 전류를 이용한 치료 중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treatments using micro-currents while simultaneously listening to music, and furthermore, whether users are being treated using micro-currents.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that can be recogniz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고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부와;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미세 전류 생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전류 출력부와;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마련되어 이어폰이 연결되는 이어폰 단자와; 디지털 음향 신호를 상기 이어폰 단자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디지털 음향 처리부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음향 신호가 상기 이어폰 단자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디지털 음향 처리부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orm that is portable by a user; A power supply unit built in the body unit and capable of supplying power; A micro-current generating unit generating micro-current; A current output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outputting the micro current generated by the micro current generation unit to a user;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 earphone terminal provided outside the body portion to which an earphone is connected; A digital soun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digital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micro-current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digital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A de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sound proces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출력부는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 또는 상기 저주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저주파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또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상기 미세 전류 또는 상기 저주파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저주파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frequency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w frequency; Further comprising, the current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micro-current generated by the micro-current generating unit or the low-frequency generated by the low-frequency generating unit to the user, the device control unit is selected by the user's mode or the preset pattern And controlling the micro-current generator and the low-frequency generator to output the current or the low-frequency to a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미세 전류 치료 중인 상황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가 작동 상태인 동안 일정 주기로 소리 또는 진동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us alarm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ound or vibration alarm at a predetermined cycle while the micro-current generating unit is in operation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 situation during micro-current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사용자가 미세 전류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를 함과 동시에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njoy music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using the micro-curr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미세 전류와 저주파를 조합하여 출력함으로써 통증 완화, 피로 해소, 피부노화 개선, 피부 미용 등 다양한 신체 개선과 미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various body improvement and cosmetic effects such as pain relief, fatigue relief, skin aging improvement, skin beauty by outputting a combination of microcurrent and low frequ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사용 중 일정 주기로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하는 상태알람부를 통해 미세전류를 이용한 치료 중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the micro-current through the status alarm unit that generates sound or vibration at regular intervals during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사용 상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외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몸체부(10)와, 전원공급부(20)와, 미세 전류 생성부(30)와, 저주파 생성부(40)와, 전류 출력부(50)와, 블루투스 통신부(60)와, 디지털 음향 처리부(70)와, 이어폰 단자(80)와, 상태 알람부(90)와, 기기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외형을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이 내장 또는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상기 몸체부(1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갖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12)을 이용해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를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상기 몸체부(10)는 육면체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목줄(12)이 없이도 목에 직접 걸 수 있는 넥밴드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외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사용자 입력부(1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블루투스 통신부(60)를 통해 외부 기기(S)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S)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되는 것이 기본이나, 상기 몸체부(10)에 구비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를 통해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 through a Bluetooth
상기 전원 공급부(20)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미세 전류 기기를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전원이 필요한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30)는 기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미세 전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저주파 생성부(40)는 기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저주파를 생성하는 구성이다.The low
상기 전류 출력부(50)는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미세 전류 또는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저주파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전류 출력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될 수 있는 전극(51)이 구비된다.The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60)는 외부 기기(S)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구성이다.The Bluetooth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S)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device (S)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t may be configured as a smart phone or tablet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to control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지털 음향 처리부(70)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이어폰 단자(80)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구성이다.The digital
상기 이어폰 단자(80)는 상기 몸체부(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이어폰(81)이 연결되는 구성이다.The
사용자는 전류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를 통해 치료를 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 기기(S)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60), 상기 디지털 음향 처리부(70), 상기 이어폰 단자(80) 및 상기 이어폰(81)를 순차적으로 거쳐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음악을 들음으로써 치료 과정이 지루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is treated through the micro-current or low frequency output from the
상기 상태알람부(90)는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30)가 작동 상태인 동안 일정 주기로 소리 또는 진동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즉, 미세 전류는 신체에 전해지는 자극이 크지 않아 사용자가 미세 전류 치료 중인지 여부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 많기 때문에 상기 상태알람부(90)를 통해 미세 전류 치료 중인 상황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micro-current is often difficult to recognize whether the user is being treated for the micro-current because the stimulus transmitted to the body is not large, the user can recognize the situation during the micro-current treatment through the
상기 상태알람부(90)는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 기기(S)가 상기 상태알람부(90)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기제어부(100)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60)를 통해 알람 발생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S)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기기 제어부(100)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S)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S)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30) 및 상기 저주파 생성부(40)를 제어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S)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음향 신호가 상기 이어폰 단자(80)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디지털 음향 처리부(7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또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상기 미세 전류 또는 상기 저주파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상기 미세 전류 생성부(30) 및 상기 저주파 생성부(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에서는 상기 기기 제어부(100)에서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출력 모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output mode of a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의 출력 모드는 미세 전류 모드 및 저주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cro-current mode and a low-frequency mode.
여기서 미세 전류 모드는 부하저항(500Ω 기준) 최대출력전압이 0.25V가 될 수 있으며, 저주파 모드는 부하저항(500Ω 기준) 최대출력전압이 7.5V가 될 수 있다.Here, in the micro-current mode, the maximum output voltage of the load resistance (based on 500Ω) may be 0.25V, and in the low-frequency mode, the maximum output voltage of the load resistance (based on 500Ω) may be 7.5V.
여기서 미세 전류 모드는 제1 미세 전류 모드, 제2 미세 전류 모드 및 제3 미세 전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icro-current mode may include a first micro-current mode, a second micro-current mode, and a third micro-current mode.
제1 미세 전류 모드는 급성 통증(acute pain) 모드로, 300uA 또는 500uA의 전류 크기를 갖고, 50 ~ 150Hz의 주파수를 10 ~ 80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미세 전류 모드는 자극 주파수 및 자극 시간이 50Hz(40분) / 100Hz(10분) / 150 Hz(10분) / 100Hz(10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전류는 300uA, 500uA 중 선택 가능하다. 자극 파형은 구형파가 될 수 있다.The first micro-current mode is an acute pain mode, has a current size of 300 uA or 500 uA, and can output a frequency of 50 to 150 Hz for 10 to 80 minutes. Preferably, in the first micro-current mode, the stimulation frequency and stimulation time may be 50 Hz (40 minutes) / 100 Hz (10 minutes) / 150 Hz (10 minutes) / 100 Hz (10 minutes). Here, the micro-current can be selected from 300uA and 500uA. The stimulus waveform can be a square wave.
제2 미세 전류 모드는 만성 통증(chronic pain) 모드로, 300uA 또는 500uA의 전류 크기를 갖고, 100 ~ 300Hz의 주파수를 10 ~ 60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미세 전류 모드는 자극 주파수 및 자극 시간이 280Hz(40분) / 90Hz(5분) / 140Hz(5분) / 110Hz(10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전류는 300uA, 500uA 중 선택 가능하다. 자극 파형은 구형파가 될 수 있다.The second micro-current mode is a chronic pain mode, having a current size of 300 uA or 500 uA, and outputting a frequency of 100 to 300 Hz for 10 to 60 minutes. Preferably, in the second micro current mode, the stimulation frequency and stimulation time may be 280 Hz (40 minutes) / 90 Hz (5 minutes) / 140 Hz (5 minutes) / 110 Hz (10 minutes). Here, the micro-current can be selected from 300uA and 500uA. The stimulus waveform can be a square wave.
제3 미세 전류 모드는 조직 회복 모드로, 300uA 또는 500uA의 전류 크기를 갖고, 80 ~ 120Hz의 주파수를 40 ~ 80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미세 전류 모드는 자극 주파수를 100Hz로 고정하고, 1시간 동안 300uA(20분) 또는 500uA(40분)의 미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자극 파형은 구형파가 될 수 있다.The third micro-current mode is a tissue recovery mode, has a current size of 300 uA or 500 uA, and can output a frequency of 80 to 120 Hz for 40 to 80 minutes. Preferably, the third micro-current mode can fix the stimulation frequency to 100 Hz, and output a micro-current of 300 uA (20 minutes) or 500 uA (40 minutes) for 1 hour. The stimulus waveform can be a square wave.
저주파 모드는 출력 전류 1mA ~ 15mA까지 1mA 단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low-frequency mode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from 1mA to 15mA of output current in 1mA step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portable composite microcurrent devic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improved and modifi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said that it belongs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외부 기기
10몸체부
20전원공급부
30미세 전류 생성부
40저주파 생성부
50전류 출력부
60블루투스 통신부
70디지털 음향 처리부
80이어폰 단자
90상태 알람부
100기기 제어부S external device
10 Body
20 Power supply
30 fine current generator
40 Low-frequency generator
50 current output
60 Bluetooth Communication Department
70 digital sound processor
80 earphone jack
90 status alarm
100 Device Contro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7949AKR20200062497A (en) | 2018-11-27 | 2018-11-27 | Portable compound micro-current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7949AKR20200062497A (en) | 2018-11-27 | 2018-11-27 | Portable compound micro-curren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2497Atrue KR20200062497A (en) | 2020-06-0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47949ACeasedKR20200062497A (en) | 2018-11-27 | 2018-11-27 | Portable compound micro-current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62497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47843A (en)* | 2021-04-28 | 2022-11-04 | (주)리솔 | User aware microcurrent therapy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47843A (en)* | 2021-04-28 | 2022-11-04 | (주)리솔 | User aware microcurrent therapy device |
| US12387832B2 (en) | 2021-04-28 | 2025-08-12 | Lee Sol Co., Ltd. | User aware microcurrent therapy devic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54629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 |
| US544344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osmetic compositions | |
| US4014347A (en) |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or device and method | |
| US9186506B2 (en) | Portable unit for treating chronic pain | |
| US20120259390A1 (en) | Wearable Photvoltaic Ultra-Low frequency Acupoint Stimulator | |
| CN103212157B (en) | Bipolar general nerve electric stimulation instrument | |
| CN103908747B (en) | Ear vagus stimulator | |
| JPH08511445A (en) | Nerve stimulator and link support | |
| CN102805898A (en) | Wireless meridian therapeutic apparatus | |
| CN205683401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microelectric current instrument of portable telephone manipulation | |
| KR20200005899A (en) | Portable Micro-Current Devices | |
| KR20170002983U (en) | Necklace for bio-electricity generation | |
| CN216629431U (en) | Implantable stimulation system | |
| KR101695096B1 (en) | Apparatus for hybrid electromagnetic therapy | |
| KR20200062497A (en) | Portable compound micro-current device | |
| CN203183521U (en) | Bipolar universal electrical nerve stimulator | |
| KR20190103624A (en)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 |
| KR20220061150A (en) | electrical stimulation of tissues | |
| KR20140146914A (en) | Connector device being connected to earphone connecting port of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us through electrical pad attached to skin surface | |
| CN205549232U (en) | Head massage instrument | |
| TWM541866U (en) | Soft membrane microelectrode device | |
| CN208756789U (en) | Wear-type wisdom electronics medicine device | |
| CN209662444U (en) | Super portable physiotherapy equipment and beauty instrument, through cranium microcurrent stimulating instrument and massage device | |
| KR20220099781A (en) | Flexible conductor Polymer Microcurrent Patch | |
| CN113679951A (en) | Multifunctional bioelectricity therapeutic instrume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11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41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20081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0041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