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00031351A - Blower system for vechicle - Google Patents

Blower system for vec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351A
KR20200031351AKR1020180110265AKR20180110265AKR20200031351AKR 20200031351 AKR20200031351 AKR 20200031351AKR 1020180110265 AKR1020180110265 AKR 1020180110265AKR 20180110265 AKR20180110265 AKR 20180110265AKR 20200031351 AKR20200031351 AKR 2020003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discharge
modul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filedCritical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80110265ApriorityCriticalpatent/KR20200031351A/en
Publication of KR2020003135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00031351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사용자 측으로 송풍 가능한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 시키는 송풍 모듈;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송풍 모듈에서 형성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배출하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 portion including a backrest portion supporting a user's back and a seat plate portion supporting the hip and waist of the user; A head rest supporting the user's head; Including; a blowing device that can be blown to the user side, The blowing device includes: a blowing module for blowing air;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an air duct for discharging air formed in the blowing module to the discharge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차량용 송풍 시스템{BLOWER SYSTEM FOR VECHICLE}Vehicle Blowing System {BLOWER SYSTEM FOR VEC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랑용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 배치되는 송풍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공기 정화를 위해 구동시키는 시스템으로, 차량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혹은 자동으로 차량 내부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송풍을 가동하거나,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환경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 시킬 수 있는 송풍 시스템을 장착하는 차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ventilation system disposed in a vehicle is a system that is driven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vehicle, and operates a cooling or heating function in order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er or automatically. System. In recent years, as the vehicle is advanc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side the vehicle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vehicles equipped with a blower system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종래의 송풍 시스템은 시트 내부에 배치됐다. 송풍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는 송풍팬, 배출구 등이 등받이부 또는 좌판부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시트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차량 내부에 송풍 시스템이 고정되어 있고, 등받이부의 정면부 또는 착좌부의 상면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Conventional blowing systems have been placed inside the seat. The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blower system is provided with a blower fan, a discharge port, etc., respectively, on the inside of the backrest or seat plate to discharge air out of the seat. The ventilation system is fixed inside the vehicle,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ackrest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vehicle comfortably.

그러나, 종래의 송풍 시스템은 시트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에 따라 높이 조절 또는 원하는 신체 위치에 송풍이 되도록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정 되어 있는 송풍 장치에서 발생한 공기가 에어 덕트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므로, 에어 덕트의 이동 경로가 길어질 경우에는 난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owing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at, so that the user cannot adjust the height or blow the desired body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air generated by the fixed blower moves along the air duct and is discharged, when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duct becomes long, the heating effect is deteriorat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437호 (2009. 04. 30)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4437 (2009. 04. 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시트에 일체화 된 송풍 장치를 배치하여 송풍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차량용 송풍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system for a vehicle for increasing the blowing efficiency by arranging a blower unit integrated in a vehicle seat.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송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user convenience.

또한, 송풍 장치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wer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to increase blow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송풍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사용자 측으로 송풍 가능한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 시키는 송풍 모듈,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송풍 모듈에서 형성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배출하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ventilation system, a seat portion including a backrest portion supporting a user's back and a seat plate portion supporting the hip and waist of the user, a head rest supporting the user's head, For the vehicle including a blowing device capable of blowing to the user side, the blowing device includes a blowing module for blowing air,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an air duct for discharging air formed in the blowing module to the discharge unit Provide a blower system.

또한, 상기 송풍 장치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헤드 레스트와 연결되고, 상기 헤드 레스트 측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등받이부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송풍 장치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device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by a connection portion, and is formed to extend into the backrest portion from the headrest side,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fixedly mounted to the headrest, and the blower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backrest portion. It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blowing device is formed extending.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기 송풍 장치가 상기 헤드 레스트와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rest, the blowing device is movabl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ead rest.

또한, 상기 송풍 모듈은 송풍팬, 히터, 열 교환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owing fan, a heater, a heat exchange pin, and a temperature sensor.

또한, 상기 토출부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상하 좌우로 토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may include a direction changing portion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up, down,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상기 송풍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backrest portion, and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또한,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장치는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low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backrest is movable up and down by a height adjustment unit.

또한, 상기 좌판부 내부에 상기 송풍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seat plate portion, and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at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에 일체화 된 송풍 장치를 배치하여 송풍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lowing efficiency by disposing the blowing device integrated in the vehicle seat.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송풍 장치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device can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to increase the blow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부 사이에 배치된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 배치된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 배치된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blowing device disposed between a head rest and a back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blowing device disposed on the bac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lowing device disposed on a back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송풍 시스템은 헤드 레스트(1), 시트부(2) 및 송풍 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2)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1)와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를 지지하는 좌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3)는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 될 수 있다. 일체화 되어 있는 송풍 장치(3)가 차량의 시트부(2)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air blowing system may include ahead rest 1, aseat portion 2, and ablower 3. Theseat portion 2 may include abackrest portion 21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aseat plate portion 22 supporting the user's hips and waist. In addition, theblower device 3 can be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An integratedblower 3 can be arranged in theseat portion 2 of the vehic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송풍 장치(3)는 차량의 각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장치(3)는 헤드 레스트(1)와 등받이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장치(3)는 연결부(4)에 의해 헤드 레스트(1)와 연결되고, 헤드 레스트(1) 측에서 등받이부(2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3)는 등받이부(21) 내부에 배치되어 등받이부(21)의 전면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3)는 좌판부(22) 내부에 배치되어 좌판부(22)의 상면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1 to 3, the blowingdevice 3 may be disposed at each diffe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eblower device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head rest 1 and thebackrest 21. Theblower device 3 is connected to thehead rest 1 by aconnection part 4,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head rest 1 side into thebackrest part 21. In addition, theblower device 3 may be disposed inside thebackrest portion 21 to discharge air to the front portion of thebackrest portion 21. In addition, theblower device 3 may be disposed inside theseat plate portion 22 to discharge air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seat plate portion 2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레스트(1)와 등받이부(21) 사이에 배치된 송풍 장치(3)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lowingdevice 3 disposed between thehead rest 1 and thebackres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송풍 장치(3)는 공기를 송풍 시키는 송풍 모듈(33),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31) 및 송풍 모듈(33)에서 형성된 공기를 토출부(31)로 배출하는 에어 덕트(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blower device 3 discharges the air formed by the blowingmodule 33 for blowing air, thedischarge unit 31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nd the blowingmodule 33 to thedischarge unit 31 It may include an air duct (32).

송풍 장치(3)는 연결부(4)에 의해 헤드 레스트(1)와 연결되고, 헤드 레스트(1) 측에서 등받이부(2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blower device 3 is connected to thehead rest 1 by aconnection part 4,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head rest 1 side into thebackrest part 21.

송풍 모듈(33)은 송풍 장치(3)의 말단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 모듈(33)이 배치된 송풍 장치(3)의 말단 부위는 등받이부(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듈(33)은 송풍팬, 히터, 열 교환핀, 열선, 온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송풍 할 수 있으며, 히터를 통해 따뜻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The blowingmodule 33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blowingdevice 3.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lowingdevice 3 in which the blowingmodule 33 is disposed may be disposed inside thebackrest portion 21. The blowingmodule 33 may include a blowing fan, a heater, a heat exchange pin, a heating wire,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Air can be blown through a blower fan, and warm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a heater.

토출부(31)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토출부(31)는 헤드 레스트(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송풍 모듈(33)에서 형성된 공기가 에어 덕트(32)를 통과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토출부(31)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공이 복수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discharge part 31 may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edischarge part 31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head rest 1. The air formed in the blowingmodule 33 may pass through theair duct 32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edischarge part 3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air can be discharged are arranged.

또한, 토출부(31)는 방향 전환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부는 토출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 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 조절부는 레버,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discharge part 31 may include a direction change part (not shown).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up, down,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air can be discharg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 direction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lever, a switch, and the like.

에어 덕트(32)는 토출부(31)와 송풍 모듈(33) 사이에 연결 배치되어, 송풍 모듈(33)에서 형성된 공기를 토출부(3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air duct 32 is arrang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discharge part 31 and the blowingmodule 33 to discharge the air formed in the blowingmodule 33 through thedischarge part 31.

송풍 장치(3)는 토출부(31), 에어 덕트(32) 및 송풍 모듈(33)을 포함하여 일체화 될 수 있다. 일체화 되어 있는 송풍 장치(3)는 헤드 레스트(1)와 연결되고, 말단 부위는 등받이부(2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1)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송풍 장치(3)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Theblower device 3 may be integrated including adischarge part 31, anair duct 32, and ablower module 33. Theintegrated blower 3 is connected to thehead rest 1, and the distal end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backrest 21. Therefore, as the height of thehead rest 1 is adjusted, theblowing device 3 can be moved up and down.

헤드 레스트(1)에 고정되어 있는 토출부(31)는 헤드 레스트(1)의 높이 조절에 따라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1)의 높이를 조절하여 토출부(31)를 사용자의 목에 맞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Thedischarge part 31 fixed to thehead rest 1 may be moved together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head rest 1.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head rest 1 to dispose thedischarge part 31 at a position that fits the user's neck.

사용자의 머리와 목 주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토출부(31)는 각각의 토출 통공이 기 결정된 크기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공기 공급량과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머리와 목 주변으로 공기가 한번에 강하게 많은 양이 가해지면 머리와 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를 분산하여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 통공의 배출 면적이 좁은 형태로 되도록 하되, 전체 분사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출 통공의 개수를 복수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31)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폭이 좁은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통공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원형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upplying air around the user's head and neck, a plurality ofdischarge parts 31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for each discharge hole.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mount and strength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force the user's head and neck. If a strong amount of air is applied to the user's head and neck at once, the head and neck may be strained. Therefore, in order to disperse and discharge the air, 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hole is set to be narrow, bu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can be made in order to secure the total injection amount. For example, a plurality of narrow rectangular shapes may be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discharge part 31. Here, the discharge through hole may include a shape such as a circle as well as a square shape.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3)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blowing devic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송풍 장치(3)는 송풍 모듈(33), 토출부(31) 및 에어 덕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장치(3)에서 발생된 공기는 에어 덕트(32)를 지나 토출부(31)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부(31)는 사용자의 신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blower device 3 may include ablower module 33, adischarge part 31, and anair duct 32. The air generated in theblowing device 3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air duct 32 to thedischarge unit 31. Thedischarge part 31 may supply air to the user's body. Therefore, user comfort can be maintained.

송풍 장치(3)는 송풍 모듈(33)에 의해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송풍 모듈(33) 내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송풍 기능을 작동시켜 여름에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기 위해, 송풍 모듈에 배치되는 히터, 열선 등을 작동시켜 온열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blower device 3 can be temperature-controlled by theblower module 33. By using the blowing fan in theblowing module 33 to operate the blow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weating in the summer. In addition, in order to warm in winter, a heater, a heating wire, and the like, which are arranged in the blower module, may be operated to operate a warming function.

따라서, 송풍 및 온열 기능이 가능한 송풍 장치(3)는 사용자가 장시간 운전하더라도 쾌적한 환경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blowing device 3 capable of blowing and warming can enable the user to operat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even when the user operates for a long tim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21)에 배치된 송풍 장치(3)를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blowing device 3 disposed on thebackres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트부(2)는 등받이부(21)와 좌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3)가 등받이부(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부(31)가 등받이부(21)의 전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1) 내부에 배치된 송풍 장치(3)는 높이 조절부(미도시됨)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토출부(31)는 사용자 신체의 겨드랑이 부위에 맞는 위치에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땀이 많이 나는 겨드랑이 부위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으로 골고루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3 and 4, theseat part 2 may include abackrest part 21 and aseat plate part 22. Theblower 3 may be disposed inside thebackrest 21. At least onedischarge portion 31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back portion 21. In addition, theblower device 3 disposed inside thebackrest portion 21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height adjustment unit (not shown). Specifically, thedischarge parts 31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in a position that fits the armpit part of the user's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ly discharge air to a sweaty armpit, and evenly to the user's back.

사용자의 등과 겨드랑이 주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토출부(31)는 각각의 토출 통공이 기 결정된 크기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는 사용자의 등과 겨드랑이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공기 공급량과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와 목에 비해 등과 겨드랑이 부위는 공기가 보다 강하게 분사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등받이부(21)에 배치되는 토출부(31)의 토출 통공은 머리와 목 주변에 형성되는 토출부(31)의 토출 통공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기온이 올라가면 등과 겨드랑이에 땀이 잘 생기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등받이부(21)에서는 공기가 강하게 토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31)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폭이 좁은 사각형 형태로 복수개가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통공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원형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ir is supplied to the user's back and armpits, a plurality ofdischarge portions 31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for each discharge hole.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mount and strength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force the user's back and armpits. Compared to the user's head and neck, the back and armpit parts are not affected even if the air is injected more strongly. Therefore, the discharge through hole of thedischarge portion 31 disposed in thebackrest portion 2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scharge through hole of thedischarge portion 31 formed around the head and neck.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rises, sweat may easily occur on the back and armpits, and air may need to be strongly discharged from thebackrest portion 21 to solve this. For example, a plurality of narrow rectangular shapes may be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discharge part 31. Here, the discharge through hole may include a shape such as a circle as well as a square shape.

또한, 송풍 장치(3)는 등받이부(21)의 내부뿐만 아니라, 좌판부(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부(31)는 좌판부(22)의 상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시트와 맞닿는 사용자의 엉덩이로 공기를 배출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blower device 3 may be disposed inside theseat plate portion 22 as well as inside thebackrest portion 21. At least onedischarge portion 3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seat plate portion 22. Air can be released through the user's buttocks in contact with the seat.

사용자의 엉덩이 주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토출부(31)는 각각의 토출 통공이 기 결정된 크기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공기 공급량과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좌판부(22)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 이므로 토출부(31)의 토출 통공이 지나치게 크게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좌판부(22)에 안착했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착석시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토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upplying air around the user's hips, a plurality ofdischarge portions 31 may be formed in each discharge hole in a predetermined size.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mount and strength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force the user's body. Since theseat plate portion 22 is a sea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when the discharge hole of thedischarge portion 31 is formed too large,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when seated on theseat plate portion 22. Therefore, the discharge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a size sufficient to maintain comfort when seated without the user feeling uncomfortable.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3)는 헤드 레스트(1)와 등받이부(21) 사이, 등받이부(21) 및 좌판부(22)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blower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head rest 1 and thebackrest portion 21, thebackrest portion 21 and theseat plate portion 22.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 장치(3)는 헤드 레스트(1)와 연결되어 등받이부(21)와 헤드 레스트(1)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등받이부(21)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헤드 레스트(1)와 등받이부(21)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고, 등받이부(21) 또는 좌판부(22)에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blower device 3 is connected to thehead rest 1 and is disposed between thebackrest part 21 and theheadrest 1 and at the same time it can also be arranged in thebackrest part 21. Alternatively, it is not formed between thehead rest 1 and thebackrest portion 21, and may be disposed on thebackrest portion 21 or theseat plate portion 22.

일체화된 송풍 장치(3)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외부 온도에 따라 송풍 또는 온열 기능을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Theintegrated blowing device 3 is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nd enables the blowing or warming function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so that a user using the vehicle can use the vehicle in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재가 등받이 시트에 형성되고, 히팅부재와 토출부재가 헤드레스트 측에 덕트 연결부재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vehicle seat blowing module, a blow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backrest sheet, and a heating member and a discharge member may be formed as a duct connecting member on the headrest side.

또한,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재와 히팅부재가 등받이 시트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에 덕트 연결부재와 토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eat blowing module, a blowing member and a heat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backrest sheet, and a duct connecting member and a discharge member may be formed on the headrest.

또한,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의 또 다른 실시에에 있어서, 별도의 송풍부재 없이 자동차 송풍덕트와 연결되고, 헤드레스트에 덕트 연결부재와 토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히팅부재가 등받이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eat blowing module, 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lowing duct without a separate blowing member, and a duct connecting member and a discharge member may be formed in the headrest. And, a heat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back seat or headrest.

앞선 실시예들에 있어서, 냉온 모듈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송풍방향 조절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a cold / hot module may be further formed, and a blowing direction adjusting guide part may be further formed.

또한, 자동차 시트 송풍 모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seat blowing module may be possible. It may include an anion generato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헤드 레스트
2 : 시트부
21 : 등받이부
22 : 좌판부
3 : 송풍 장치
31 : 토출부
32 : 에어 덕트
33 : 송풍 모듈
4 : 연결부
1: Head rest
2: Sheet portion
21: backrest
22: seat plate
3: Blower
31: discharge unit
32: air duct
33: blowing module
4: Connection

Claims (16)

Translated fromKorean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사용자 측으로 송풍 가능한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 시키는 송풍 모듈;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송풍 모듈에서 형성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배출하는 에어 덕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
A seat portion including a backrest portion supporting a user's back and a seat plate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hips and waist;
A head rest supporting the user's head;
Includes; a blowing device capable of blowing to the user side,
The blowing device,
A blowing module for blowing air;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An air duct for discharging air formed in the blowing module to the discharge part;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헤드 레스트와 연결되고, 상기 헤드 레스트 측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등받이부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송풍 장치의 말단에 배치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by a connecting portion,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headrest side to the inside of the backrest portion,
The discharge portion is fixedly mounted to the head rest,
The blowing module is a vehicle blowing system tha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blowing device is formed extending into the back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기 송풍 장치가 상기 헤드 레스트와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rest, the air blowing system for the vehicle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ead re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송풍팬, 히터, 열 교환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module is a blower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blower fan, a heater, a heat exchange pin, and a temperature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여 상하 좌우로 토출 방향을 조절 가능한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blowing system that can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상기 송풍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backrest,
Blowing system for a vehicle, wherein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on a front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장치는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low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backrest is a vehicle blowing system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height adjustmen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 내부에 상기 송풍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되는 차량용 송풍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seat plate,
At least one discharge un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vehicle blowing system.
송풍부재가 등받이 시트에 형성되고,
히팅부재와 토출부재가 헤드레스트 측에 덕트 연결부재와 같이 형성되는,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
The blowing member is formed on the back seat,
The heating member and the discharge member are formed with a duct connecting member on the headrest side, the vehicle seat blowing module.
송풍부재와 히팅부재가 등받이 시트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에 덕트 연결부재와 토출부재가 형성되는,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
The blowing member and the heating member are formed on the back seat,
A car seat blowing module in which a duct connecting member and a discharge member are formed in the headrest.
자동차 송풍덕트와 연결되고,
헤드레스트에 덕트 연결부재와 토출부재가 형성되는,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
It is connected to the car duct,
A car seat blowing module in which a duct connecting member and a discharge member are formed in the headrest.
청구항 11에 있어서,
히팅부재가 등받이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형성되는, 자동차시트 송풍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Automotive seat blowing module,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on the back seat or headrest.
청구항 9 내지 11중 하나에 있어서,
냉온 모듈이 더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송풍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 car seat blow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ld / hot module.
청구항 9 내지 11중 하나에 있어서,
송풍방향 조절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송풍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Blowing direction adjustment guide portion is further formed, car seat blowing module.
청구항 9 내지 11중 하나에 있어서,
원격제어 가능한, 자동차 시트 송풍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Remote controllable, car seat blowing module.
청구항 9 내지 11중 하나에 있어서,
음이온 발생기가 더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송풍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n anion generator is further formed, a car seat blowing module.

KR1020180110265A2018-09-142018-09-14Blower system for vechicleWithdrawnKR202000313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10265AKR20200031351A (en)2018-09-142018-09-14Blower system for vec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10265AKR20200031351A (en)2018-09-142018-09-14Blower system for vec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31351Atrue KR20200031351A (en)2020-03-24

Family

ID=7000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110265AWithdrawnKR20200031351A (en)2018-09-142018-09-14Blower system for vec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000313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23127260A1 (en)*2021-12-272023-07-06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Seat air-condition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44437Y1 (en)2007-04-302009-05-14차찬열 Air seat with blowing and warm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44437Y1 (en)2007-04-302009-05-14차찬열 Air seat with blowing and warm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23127260A1 (en)*2021-12-272023-07-06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Seat air-conditio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7467823B2 (en)Vehicle seat
US10543761B2 (en)Air supply component for use with a seat
EP2607155B1 (en)Airflow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seat
KR101836664B1 (en)Operation control method of cold and warm headrest for vehicle
JP2004215748A (en)Air-conditioner for vehicle
US10160354B2 (en)Vehicle air-conditioning seat
KR20120121854A (en)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quick thermal comfort with reduced energy by using directed spot conditioning
US20190283636A1 (en)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5089467A (en)Blast seat for vehicle
WO2016104208A1 (en)Ventilated seat
WO2022091661A1 (en)Seat air-conditioning device
GB2511330A (en)Air Guiding Device Of A Vehicle
CN104842839A (en)Self-adaptive temperature adjusting seat structure of automobile
KR20200031351A (en)Blower system for vechicle
JP2010023533A (en)Vehicular heating device
KR20160139839A (en)Seat for car with function of cold wind and warm wind
KR20160139841A (en)Seat for car with function of cold wind and warm wind
KR101636391B1 (en)Seat for vehicle
WO2012042302A1 (en)Air conditioning assembly
KR20160104878A (en)Headrest with function of cold wind and warm wind
KR20160139837A (en)Seat for car with function of cold wind and warm wind
KR101251137B1 (en)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150274046A1 (en)Seat climate control assembly and seat employing the same
JP6640642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698367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914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