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지능형 개인 비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이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인공 지능(AI) 엔진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일정 관리, 이메일 전송, 식당 예약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s a software agent that handles the tasks required by the user and provides specialized services to the user.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collects and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gine and speech recognition,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scheduling, emailing, and restaurant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s.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convenience.
이러한 지능형 개인 비서는 주로 스마트폰에서 맞춤형 개인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애플의 시리(siri), 구글의 나우(now), 삼성의 빅스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71111호는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Thes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are mainly provided in the form of personalized personal services on smartphones, including Apple's Siri, Google's Now, and Samsung's Bixby.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71111,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a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 assistant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최근에는 사용자가 지능형 개인 비서를 통해 음악, 유투브, VOD 등과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서, AI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음성 출력 전환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AI 단말의 스피커와 외부 장치의 스피커의 사양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음성 출력을 전환하는 경우, 각각의 스피커 사양에 따라 동일한 음량이더라도 소리가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음량을 재차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as users are provided with content services such as music, YouTube, and VOD through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the need for voice output switching between AI terminals and external de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speaker of the AI terminal and the speaker of the external device, if the user arbitrarily switches the voice output, a problem occurs that the sound suddenly increases or decreases even if the volume is the same according to each speaker specification.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djust the volume again through the remote control.
사용자가 공용 단말에서 내장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로의 출력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한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에 출력이 전환되도록 하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To provide a comm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 sound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n output from a public terminal to a built-in display and speaker or an output through an external device to switch the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do.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 전환 시, 공용 단말에 내장된 스피커의 사양과 외부 장치의 스피커의 사양이 달라 소리의 크기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음향을 재차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When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he specifications of the speaker built i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speaker of the external device are different, so that the volume of the sound is differ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사용자의 상황 및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의 스피커 사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되도록 하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that allows switching of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y efficiently using the user's situation and speaker specifications of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 전환 시 사용자가 느끼는 음향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도록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controls sound so as to minimize the heterogeneity of sound felt by a user when switching output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하는 제 1 소음값 측정부, 상기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는 출력 전환부, 상기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하는 제 2 소음값 측정부, 상기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제 2 소음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음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용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voice data including a voice command uttered from a user, when the voice command corresponds to an output switching command, the common terminal A first noise valu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first noise value before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an outpu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utput switching command. The second noise valu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econd noise value after switching, the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measured first noise value and the second noise value, and the soun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to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는 단계, 상기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상기 제 2 소음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음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voice data including a voice command uttered from a user, and when the voice command corresponds to an output switching command, is provided before switching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1 measuring the noise value,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utput switching command, measuring a second noise value after the output is switched, and measuring the first noi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und control method comprising comparing the value and the second noise value and controlling the soun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하고, 상기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하고, 상기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상기 제 2 소음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음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voice data including voice commands uttered from a user, and when the voice commands correspond to output switching commands, the public terminal and Measure the first noise value before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external devices, switch the output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output switching command, measure the second noise value after the output is switched, And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comparing the measured first noise value and the second noise value and controlling the soun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Can provid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용 단말에서 내장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로의 출력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한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에 출력이 전환되도록 하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output from the public terminal to the built-in display and speaker or the out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output is switched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 전환 시, 공용 단말에 내장된 스피커의 사양과 외부 장치의 스피커의 사양이 달라 소리의 크기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음향을 재차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When switching the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he specifications of the speaker built i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speaker of the external device are different, so that the volume of the sound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사용자의 상황 및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의 스피커 사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을 전환되도록 하는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blic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that allows the user to switch output between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y efficiently using the user's situation and speaker specifications of the public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공용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출력 전환 시 사용자가 느끼는 음향의 이질감을 최소화되도록 음향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so as to minimize the heterogeneity of sound felt by a user when switching output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cous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n EQ parameter based on the user's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a comm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제어 시스템(1)은 공용 단말(110), 외부 장치(120) 및 대화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 외부 장치(120) 및 대화 서버(130)는 음향 제어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cous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도 1의 음향 제어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단말(110)은 대화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un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LiFi,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 및 통신 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내장된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공용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받은 음성은 소정 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음 측정 정보를 공용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음성 데이터 및 소음 측정 정보를 공용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텍스트 결과를 대화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대화 서버(130)로부터 텍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분석된 음성 명령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제어 장치(100)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음성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값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공용 단말(11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0)로 소음 측정을 요청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소음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voice command input through the
공용 단말(110)은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 또는 외부 장치(120)에서 출력 중인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단말(110)은 소음 측정 정보 및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단말(110)은 소음 측정 정보 및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제 2 소음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공용 단말(110)은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 및 영상이 출력 중인 경우, 외부 장치(120)로 음향 및 영상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전환되기 전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이 출력 중이고, 출력이 전환된 후 측정된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공용 단말(110)은 외부 장치(12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ound and video are being output from th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120)에서 음향 및 영상이 출력 중이고, 공용 단말(110)로 음향 및 영상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전환되기 전 외부 장치(120)에서 음향이 출력 중이고, 출력이 전환된 후 측정된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udio and video are being output from the
공용 단말(110)은 측정된 신호 세기값 및 음성 주파수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공용 단말(110)은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판단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120) 또는 공용 단말(110)의 EQ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noise value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approximate range from the first noise value, the
이러한 공용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로, 음향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하고,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하고,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제 2 소음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음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외부 장치(120)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구비한 장치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HDMI 포트를 통해 공용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장치(120)는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단말(110)은 수신부(201), 요청부(202), 검출부(203), 제 1 소음값 측정부(204), 출력 전환부(205), 제 2 소음값 측정부(206), 비교부(207), 제어부(208), 신호 세기 측정부(209), 음성 주파수 측정부(210), 판단부(211) 및 도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수신부(201)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수신부(201)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소음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요청부(202)는 수신부(201)가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0)로 소음 측정을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검출부(203)는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 또는 외부 장치(120)에서 출력 중인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제 1 소음값 측정부(204)는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소음값 측정부(204)는 소음 측정 정보 및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noise
출력 전환부(205)는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전환부(205)는 공용 단말(110)에서 출력 중인 음성 및 영상을 외부 장치(120)로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력 전환부(205)는 외부 장치(120)에서 출력 중인 음성 및 영상을 공용 단말(110)로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The
출력 전환부(205)는 도출부(212)에서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120) 또는 공용 단말(110)의 EQ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The
제 2 소음값 측정부(206)는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소음값 측정부(206)는 소음 측정 정보 및 음향의 기준 신호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second noise
비교부(207)는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제 2 소음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비교부(207)는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근사 범위는 공용 단말(110)의 사용 장서에 따라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The
제어부(208)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 및 영상이 출력 중인 경우, 외부 장치(120)로 음향 및 영상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전환되기 전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이 출력 중이고, 출력이 전환된 후 측정된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8)는 외부 장치(12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8)는 외부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는 IR 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장치(12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ound and video are being output from th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120)에서 음향 및 영상이 출력 중이고, 공용 단말(110)로 음향 및 영상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전환되기 전 외부 장치(120)에서 음향이 출력 중이고, 출력이 전환된 후 측정된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8)는 공용 단말(110)의 내장 스피커에 대한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udio and video are being output from the
신호 세기 측정부(209)는 제어 장치(100)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The signal
음성 주파수 측정부(210)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voice
판단부(211)는 측정된 신호 세기값 및 음성 주파수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11)는 측정된 신호 세기값 및 음성 주파수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공용 단말(110)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정보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The
도출부(212)는 제 2 소음값이 제 1 소음값으로부터 소정의 근사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판단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부(212)는 사용자가 공용 단말(11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 저음보다 고음이 강화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하고, 사용자가 공용 단말(11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고음보다 저음이 강화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은 공용 단말(110) 및 외부 장치(120)의 구조 및 스피커 사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3A to 3C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n EQ parameter based on the user's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공용 단말 및 외부 장치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의 EQ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300)가 공용 단말(11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소음값과 제 1 소음값 간의 근사 범위는 넓게 설정될 수 있다.3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n EQ parameter when a user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from a public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the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이 전환된 이후에,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300)에게 음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음보다 저음이 강화되도록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After the output between the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공용 단말 및 외부 장치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의 EQ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의 제어 장치(100)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310)가 공용 단말(11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소음값과 제 1 소음값 간의 근사 범위는 좁게 설정될 수 있다.3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n EQ parameter when a user is remotely located from a public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B, the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이 전환된 이후에,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310)에게 음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저음보다 고음이 강화되도록 하는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After the output between the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외부에 위치한 경우의 음량 및 EQ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320)가 외부에 위치하였으나, 댁내의 반려견을 위해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32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설치된 서비스 앱을 통해 공용 단말(110)로 출력 전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3C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a volume and EQ parameter when a user is located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C, when the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이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0)로 소음 측정을 요청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소음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10)은 EQ 파라미터 변경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EQ 파라미터 변경값에 기초하여 EQ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After the output betwe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110)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a comm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the
단계 S410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410, the
단계 S420에서 공용 단말(110)은 음성 명령이 출력 전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하기 이전의 제 1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In step S420, when the voice command corresponds to an output switching command, the
단계 S430에서 공용 단말(110)은 출력 전환 명령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In step S430, the
단계 S440에서 공용 단말(110)은 출력이 전환된 후의 제 2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In step S440, the
단계 S450에서 공용 단말(110)은 측정된 제 1 소음값 및 제 2 소음값을 비교할 수 있다.In step S450, the
단계 S460에서 공용 단말(110)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10)과 외부 장치(120) 간의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460, the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10 to S4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10 to S4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공용 단말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공용 단말에서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the common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ound in the common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제어 장치
110: 공용 단말
120: 외부 장치
201: 수신부
202: 요청부
203: 검출부
204: 제 1 소음값 측정부
205: 출력 전환부
206: 제 2 소음값 측정부
207: 비교부
208: 제어부
209: 신호 세기 측정부
210: 음성 주파수 측정부
211: 판단부
212: 도출부100: control device
110: public terminal
120: external device
201: receiver
202: request unit
203: detection unit
204: first noise value measuring unit
205: output switching unit
206: second noise value measuring unit
207: comparison
208: control
209: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210: voice frequency measurement unit
211: judgment unit
212: derived par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6515AKR102575697B1 (en) | 2018-09-06 | 2018-09-06 | Comm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6515AKR102575697B1 (en) | 2018-09-06 | 2018-09-06 | Comm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8173Atrue KR20200028173A (en) | 2020-03-16 |
| KR102575697B1 KR102575697B1 (en) | 2023-09-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06515AActiveKR102575697B1 (en) | 2018-09-06 | 2018-09-06 | Comm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7569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66185A (en)* | 1996-08-21 | 1998-03-06 | Sony Corp | Automatic volume-controlling device |
| US7760893B1 (en)* | 2006-07-26 | 2010-07-20 | Starmark, Inc. | Automatic volume control to compensate for speech interference noise |
| JP2012175151A (en)* | 2011-02-17 | 2012-09-10 | Junji Shimada |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
| KR20160026535A (en)* | 2014-09-01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for improving call quality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20160138726A (en)* | 2015-05-26 | 2016-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thereof |
| US20170242653A1 (en)* | 2016-02-22 | 2017-08-24 | Sonos, Inc. |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
| US20170358313A1 (en)* | 2016-06-09 | 2017-12-14 | Sonos, Inc. |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
| US20180091913A1 (en)* | 2016-09-27 | 2018-03-29 | Sonos, Inc. |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
| KR20180068075A (en)* | 2016-12-13 | 2018-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in the electronic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66185A (en)* | 1996-08-21 | 1998-03-06 | Sony Corp | Automatic volume-controlling device |
| US7760893B1 (en)* | 2006-07-26 | 2010-07-20 | Starmark, Inc. | Automatic volume control to compensate for speech interference noise |
| JP2012175151A (en)* | 2011-02-17 | 2012-09-10 | Junji Shimada |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
| KR20160026535A (en)* | 2014-09-01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for improving call quality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20160138726A (en)* | 2015-05-26 | 2016-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thereof |
| US20170242653A1 (en)* | 2016-02-22 | 2017-08-24 | Sonos, Inc. |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
| US20170358313A1 (en)* | 2016-06-09 | 2017-12-14 | Sonos, Inc. |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
| US20180091913A1 (en)* | 2016-09-27 | 2018-03-29 | Sonos, Inc. |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
| KR20180068075A (en)* | 2016-12-13 | 2018-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in the electronic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75697B1 (en) | 2023-09-0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631403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voice input in a controlling device | |
| US11985003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voice input in a controlling device | |
| CN106773742B (en) |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 |
| EP364810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sound quality, and host side and storage medium | |
| KR10188927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ning sercive in response to voice command | |
| US10068571B2 (en) |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 |
| US10115396B2 (en) | Content streaming system | |
| RU2643494C2 (en) |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 |
| US20170133013A1 (en) |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 |
| CN114026886A (en) | User Proximity Sensing for Automatic Cross-Device Content Delivery | |
| US20140122075A1 (en) |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 |
| US20190347918A1 (en) | Automatic Presence Simulator For Security Systems | |
| KR20170093629A (en) | A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A Voice Recognition System | |
| US10630421B1 (en) | Dynamic switching of data rates | |
| CN106782522A (en) |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 |
| US2022012260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US12406665B2 (en) | Processing voice input in integrated environment | |
| CN113518297A (en) | Sound box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ound box | |
| KR20180052876A (en) | A Home Network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 Method thereof | |
| EP3735687A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voice input in a controlling device | |
| KR102575697B1 (en) | Comm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ound | |
| KR101355910B1 (en) | Wireless microphone system using smart phone | |
| US12052661B2 (en) | Interconnectivity of voice interface network devices to control aspects of a network environment | |
| US106796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 |
| KR102493026B1 (en) | Server, user device and media play device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1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