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와 화면의 변화 유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and a change in the screen.
데스크톱 컴퓨터와 휴대용 컴퓨터 등의 컴퓨터에는 사용시 연산 등을 수행하는 본체와 연산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한 쌍으로 결합되어 동작한다.In a computer such as a desktop computer and a portable computer, a main body for performing calculations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calculation results are operated in a pair.
이러한 컴퓨터는 대중화되어 현재 업무를 하는 회사는 물론, 식당이나 가정에서도 적게는 한대에서 많게는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computers have become popular, and they are used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unt the number, from one to many, in a restaurant or at home.
컴퓨터는 사용자의 전원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는데, 사용자는 사용시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오프하는 것이 번거로워 사용 여부와는 무관하게 하루종일 컴퓨터의 전원을 켜둔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 전원이 상시적으로 켜진 상태인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The computer is powered on or off by the user's power switch operation, and it is cumbersome for the user to turn on the computer whenever it is in use and to turn off the power when not in use. It also maintai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uter power is constantly turned 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ccurs.
이러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컴퓨터에서는 절전 모드를 구비하고, 키보드 입력 등을 검출하여 일정 시간 동안 키보드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절전 모드를 실행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한다. 여기서, 절전 모드에서는 본체와 모니터가 모두 함께 절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such waste of power, a computer is provided with a power saving mode, and when a keyboard input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by detecting a keyboard input or the like, the power saving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prevent power waste. Here, in the power saving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both perform the power saving function.
또한, 다른 절전 방법으로는 조도 센서나 인체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조도나 인체감지 유무에 따라 절전을 제어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절전을 위한 별도의 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능을 이용해서 절전하는 방법이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power saving method,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n illumination sensor or a human body sensor, controlling power sav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llumination or human body detection, or setting a separate function for power saving in software and using the set function to save power. have.
특히, 모니터의 밝기는 사용자의 시력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니터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할 경우 모니터가 너무 밝게 되면 눈부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니터와 많이 떨어진 경우 모니터가 어두우면 사용자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affects the user's eyesight.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close to the monitor, a glare phenomenon may occur when the monitor becomes too bright, and when the user is far away from the monitor, when the monitor is dark,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한편,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로 많이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데, 이는 구동 전력이 많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력소비가 많아서 그 전력소비를 줄이고자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절감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s frequently used as a display monitor, a backlight unit is used, which requires a lot of driving power. Therefor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larg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 method of automatically entering a power saving mode when a user has no input for a certain time has been used.
그러나 사용자가 키보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므로, 모니터의 밝기가 항상 일정하여 보다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모니터 밝기를 제공해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시력 보호 기능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user uses a keyboard or the like, since the constant power is suppli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device,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is always constant, so that the monitor brightness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more efficiently.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performed.
그리고 인체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고,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전원을 절감하는 방법도 이동되고 있다.Also, a method of saving power by moving a power saving mode by determining whether a human body is present or not is detected by using a human body sensor, or the like, is moving.
이러한 방법은 통상 인체감지센서를 모니터의 중앙에 설치함에 따라,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지 영역을 벗어나서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으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method, since the sensing area of the human sensing sensor is limited as the human sensing sensor is usual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onitor, when the user uses the monitor outside the sensing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and automatically saves power. The error of performing the mode may occur.
또한,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니터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을 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절전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human body sensor,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monitor, it is determined that the monitor is use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and thus it is not an optimal power saving method because the power saving mode is not execu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등 다수에 디스플레이기의 절전제어장치 및 방법 기술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 patent by initiating a power sa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technology for a display device in a number of patent documents 1 and 2 below.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제어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센서 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the sensor in the power saving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 is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ensor.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제어장치에서 절전을 위한 별도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식은 기능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etting a separate function for power saving in the power saving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causes the user to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to set th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면의 변화 유무에 기반해서 디스플레이기를 최적으로 제어하여 절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optimally control the displa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screen to save pow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데이터의 각 색상 성분을 분석하여 광원의 강도를 조절해서 절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power by analyzing the intensity of light sources by analyzing each color component of imag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 변화를 기반으로 1차 절전모드를 실행하고, 일정시간 동안 화면 변화가 없을 경우 단계적으로 절전하는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primary power saving mode based on a screen change and saving power step by step when there is no screen chan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단위로 분석하여 영상 변화 유무를 판단하고,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색상 성분을 분석해서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하는 영상신호 분석부,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입력부, 상기 영상신호 분석부의 화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절전 유무를 결정하고, 설정된 절전 기능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전력을 제어하여 절전을 실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상 성분 테이블에 기초해서 각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각 픽셀 값들의 강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낟.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nput image in frame unit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mage change, analyzes a plurality of color components included in the image, and analyzes the color component table. A generated video signal analysis unit, a function input unit for setting a power saving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save power based on the screen analysis result of the video signal analysis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set power saving function and the And an inverter that controls power of the backlight unit to perform power saving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parately calculates power consumption of each color light source based on the color component table and each pixel for displaying an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value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방법은 (a) 디스플레이기의 전원이 온 되면, 사용자의 기능 입력에 따라 절전 기능을 설정하고,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 임단위로 분석하여 영상 변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화면 분석 결과, 화면 변화가 없으면 절전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c) 입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색상 성분을 분석하고,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전 상태로 진입한 후, 설정된 절전 기능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전력을 단계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색상 성분 테이블에 기초해서 각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각 픽셀 값들의 강도를 조정해서 절전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is turned on,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function input, and the input image is framed. Analyzing in unit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mage change, (b) the screen analysis result of step (a), if there is no screen change, entering a power saving state, and (c) a plurality of color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put image Analyzing, generating a color component table, and (d) entering the power saving state,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unit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set power saving function, wherein the step (d) comprises the color component Based on the table,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color light source is calculated individually, and the intensity of each pixel value for displaying an image is adjusted to perform a power saving mode. It shall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기 자체적으로 화면 변화를 분석하여 절전을 제어함으로써, 본체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최적의 절전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tself analyzes screen changes to control power saving,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optimal power saving can be realiz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dy. .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서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하여 각 픽셀에 마련된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각 색상 광원의 광도를 제어함으로써, 광원의 구동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절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image data to generate a color component table to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color light source provided in each pixel individually, and by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each color light sourc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driving of the light source Thu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ave power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디스플레이의 픽셀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pixels of a display,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by-step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제어장치는 기능 입력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영상신호 분석부, 제어부, 전력공급부, 인버터, 백라이트 유닛 및 절전해제 검출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input unit,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 image signal analysis unit, a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a backlight unit, and a power saving release detection unit.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에서 자체적으로 절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액정표시장치, LED 디스플레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by itself in a display device, and mean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LED display, and a computer monitor.
기능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을 하고, 단계별 절전 기능이나 완전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설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0)는 입력되는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The analog /
여기서, 입력되는 영상은 컴퓨터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송되는 영상이거나 별도의 영상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일 수 있다.Here, the input image may be an image transmitted for display from a computer main body or an image transmitted from a separate image device.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단위로 분석하여 영상 변화 유무를 판단하고, 영상 분석결과를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The image
이러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입력 영상의 현재 프레임(frame)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변화 유무를 분석할 수 있다.The video
여기서, 입력되는 영상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 또는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의미한다.Here, the input image means digital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analog /
이와 함께,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색상 성분을 분석해서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해서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상기 색상 성분 테이블은 각 색상 성분,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색상 성분값을 테이블화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범위를 설정해서 각 색상 성분의 범위를 테이블화한 것일 수 있다. The color component table may be a table of values of each color component, for example, red, green, and blue color components, or a range of each color component by setting a range at regular intervals.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의 화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절전 유무를 결정하고, 설정된 절전 기능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LU)의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The
이러한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에 의해 화면의 영상 변화가 없을 경우 초기 절전으로 진입하고, 상기 영상 변화가 없는 시간을 기초로 단계별로 백라이트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no image change on the screen by the image
그리고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에서 전달되는 색상 성분 테이블에 따라, 각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각 픽셀 값들의 강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가 임의의 색상에 대하여 낮은 픽셀 값들을 포함한 경우, 해당 색상에 대한 픽셀들의 식별이 가능하고, 해당 색상에 대응되는 광원의 광도를 감소시켜 광원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절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data includes low pixel values for an arbitrary color, the
예를 들어, 도 2는 디스플레이의 픽셀을 예시한 도면이다.For exampl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pixels of a display.
픽셀은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다수의 픽셀 중 하나로서, 단일의 광원 또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을 나타낼 수 있다.A pixel is one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a display, and may represent a pixel in a display including a single light source 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픽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라인(210), 행 라인(220), 적색 서브 픽셀(230), 녹색 서브 픽셀(240), 청색 서브 픽셀(250) 및 각 서브 픽셀에 마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260)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픽셀(200)은 공간적 색상 생성 스킴(spatial generation color scheme)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공간적 색상 생성 스킴에서, 적색(230), 녹색(240) 및 청색(250) 컬러 필터 등의 복수의 컬러 필터로 덮인 3개의 서브 픽셀의 나란한 매트릭스가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전송 변조된다.In the spatial color generation scheme, a side-by-side matrix of three sub-pixel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such as red 230, green 240 and blue 250 color filters is transmitted modulated to produce an image.
이러한 메커니즘의 형태의 한가지 가능한 단점은, 광원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광의 70%까지가 손실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모든 서브 픽셀에 대하여 TFT(260)와 행 및 열 라인(220,210)에 의해 점유되는 차단 영역(blocking area)들 및 컬러 필터들에서의 흡수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광의 손실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높은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One possible disadvantage of this type of mechanism is that up to 70%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can be lost,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s occupied by the TFT 260 and row and
전력 공급부(160)는 디스플레이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인버터(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80)의 전력을 차등적으로 제어하여 절전을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The
그리고 절전해제 검출부(19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전상태로 진입한 후, 화면 밝기를 검출하여 화면 밝기에 변화가 발생하면 절전해제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하여, 절전이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n, the power saving
제어부(150)는 절전해제 신호가 전달되면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절전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wer saving release signal is transmitted,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는 기능 입력부(110)를 통해 절전 기능을 설정하고, 단계별 절전에 대한 설정 시간 등을 설정한다.First, the user sets a power saving function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설정 시간은 초기 절전 상태로 진입한 후, 완전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Here, the set time refers to a time for entering the initial power saving state and then entering the full power saving mode. The setting time may be variably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in advance by a program.
절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절전을 제어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se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the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디스플레이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가 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또는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분석한다.The image
여기서, 디스플레이기에 입력되는 영상은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이 있을 수 있다. 아날로그 입력 영상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0)를 통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디지털 영상은 그대로 입력된다.Here, the image input to the display may include an analog image and a digital image. The analog input image is converted into digital image data and input through the analog /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영상 신호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When an image is input, the image
여기서, 이전 영상이 없는 최초 영상 입력 상태이면 다음 영상 프레임이 존재할 때까지 영상 신호 분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deo signal analysis is not performed until the next video frame exists when the first video input state without the previous video exists.
만약, 이전 영상 프레임이 존재하면,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상기와 같이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현재 입력 영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신호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는 픽셀 단위의 화소 데이터를 비교하면 간단하게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If a previous video frame exists, the video
이어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를 분석한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video
여기서,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를 분석한 결과는 영상신호 변화가 있을 경우 전기적인 하이신호(5V), 영상신호 변화가 없을 경우 전기적인 로우 신호(0V) 이거나, 이를 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may be an electrical high signal (5V)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an electrical low signal (0V)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video signal, or vice versa.
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절전을 제어한다.The
예컨대, 상기 영상신호 분석 결과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절전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영상신호 분석 결과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절전 상태로 인지한다. 절전 상태로 인지한 상태에서는 바로 절전 상태로 진입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절전 진입 대기시간 동안 대기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절전 진입 대기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절전 진입 대기시간이 없으면 사용자가 잠시 키보드/마우스 입력을 하지 않고 화면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절전 상태로 진입을 하게 되고, 이어 사용자가 키보드/마우스를 조작하면 다시 절전을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절전 진입 대기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시간이 지날 때까지 화면 변화가 없으면 그때야 절전 상태로 진입을 한다.For example, if the video signal analysis result signal is a high signal,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not performed. If the video signal analysis result signal is a low signal, it is recognized as a power saving state. In the state recognized as the power saving state, the power saving state is not immediately entered, but is waited for a predetermined power saving waiting time. Here, the predetermined sleep waiting time may be set by the user or set by a program. If there is no waiting time for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user enters the power saving st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keyboard / mouse for a while, and then enters the power saving state.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the standby time for entering the power saving is set, and if there is no screen change until the time passes, it enters the power saving state.
한편,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색상 성분을 분석해서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해서 제어부(150)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image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기 색상 성분 테이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80)에 마련된 각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각 픽셀에 마련된 각 색상 광원의 광도를 감소시켜 절전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Then, the
절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초기 절전 상태이므로, 제어부(150)는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조금 낮추는 수준의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한다.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state, since it is the initial power saving state, the
이어서, 화면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화면 변화가 없으면, 제어부(150)는 다시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더 낮추는 수준으로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절전을 진행하다가 상기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더 낮추는 수준으로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백라이트 유닛(180)의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수준으로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절전을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screen analysis result is continuously monitored, and if there is no screen change for a preset tim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절전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ower saving by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unit.
백라이트 유닛(180)의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키보드/마우스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기의 화면이 다시 밝아지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board / mouse while performing power saving through power control of the
절전해제 검출부(190)는 절전 상태로 진입하면, 지속적으로 화면의 밝기를 검출하고, 검출한 화면 밝기가 이전 화면 밝기 대비 더 밝아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절전해제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state, the power saving
여기서, 화면의 밝기는 화면 밝기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Here, screen brightness data may be used as the screen brightness.
제어부(150)는 절전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절전을 해제하고, 절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power saving release signal is inpu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power saving on the display itself.
대부분의 디스플레이기는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와의 연동을 통해 본체의 제어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서 독립적으로 절전을 수행함으로써, 절전 성능을 높일 수 있다.Most display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re often controlled by the main body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ai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sav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power saving independently on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센서 설치나 복잡한 설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화면 분석만을 통해 절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절전을 위한 시스템 설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power saving function through simple screen analysi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or performing complicated settings, thereby reducing system design cost for power saving.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다.Next,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by-step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S11단계에서 디스플레이기의 전원이 온(on) 되면, S12단계에서 사용자는 기능 입력부(110)를 통해 절전 기능 설정에 따라 단계별 절전에 대한 설정시간 등을 설정한다.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is turned on in step S11 of FIG. 3, in step S12, the user sets a set time for power saving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function setting through the
절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절전을 제어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set, the
예컨대, S13단계에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디스플레이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가 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또는 직접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을 분석한다(S14).For example, in step S13, the image
즉,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영상 신호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실제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므로 프레임 단위 영상을 추출할 필요없이 현재 입력된 프레임 영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S15단계에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현재 입력 영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신호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는 픽셀 단위의 화소 데이터를 비교하면 간단하게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5, the image
이어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를 분석한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video
그리고 S16단계에서 영상신호 분석부(14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색상 성분을 분석하고,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해서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n, in step S16, the image
그러면, S1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절전을 제어한다.Then, in step S17, the
예컨대, 상기 영상신호 분석 결과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절전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영상신호 분석 결과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절전 상태로 인지한다. 절전 상태로 인지한 상태에서는 바로 절전 상태로 진입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절전 진입 대기시간 동안 대기한다.For example, if the video signal analysis result signal is a high signal,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not performed. If the video signal analysis result signal is a low signal, it is recognized as a power saving state. In the state recognized as the power saving state, the power saving state is not immediately entered, but is waited for a predetermined power saving waiting time.
이러한 절전 진입 대기시간이 없으면 사용자가 잠시 키보드/마우스 입력을 하지 않고 화면을 바라보는 경우에도 절전 상태로 진입을 하게 되고, 이어 사용자가 키보드/마우스를 조작하면 다시 절전을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절전 진입 대기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시간이 지날 때까지 화면 변화가 없으면 비로소 절전 상태로 진입한다.If there is no waiting time for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user enters the power saving st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keyboard / mouse for a while, and then enters the power saving state.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disadvantages, a standby time for entering power saving is set, and if there is no screen change until the corresponding time passes, the power saving state is entered.
그리고 S18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영상신호 분석부(140)에서 수신된 색상 성분 테이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80)에 마련된 각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각 픽셀에 마련된 각 색상 광원의 광도를 감소시켜 절전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In step S18, the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가 임의의 색상에 대하여 낮은 픽셀 값들을 포함한 경우, 해당 색상에 대한 픽셀들의 식별이 가능하고, 해당 색상에 대응되는 광원의 광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data includes low pixel values for an arbitrary color, the
절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초기 절전 상태이므로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조금 낮추는 수준의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한다.When entering the power saving state, since it is the initial power saving state, the
이어서, S19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화면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화면 변화가 없으면, 다시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더 낮추는 수준으로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한다(S20).Subsequently, in step S19, the
이러한 과정으로 절전을 진행하다가 백라이트 유닛(180)의 밝기를 더 낮추는 수준으로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백라이트 유닛(180)의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수준으로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절전을 수행한다.In this process, when power saving is performed and power saving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power control to a level that lowers the brightness of the
즉,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절전을 수행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ower saving by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unit.
백라이트 유닛(180)의 전력 제어를 통해 절전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키보드/마우스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기의 화면이 다시 밝아지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board / mouse while performing power saving through power control of the
S21단계에서 절전해제 검출부(190)는 절전 상태로 진입하면, 지속적으로 화면의 밝기를 검출하고, 검출한 화면 밝기가 이전 화면 밝기 대비 더 밝아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절전해제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여기서 화면의 밝기는 화면 밝기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In step S21, when the power saving
그러면, S2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절전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170)를 제어하여, 절전을 해제하고, 절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S23).Then, in step S22,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realizing power saving on the display itself.
대부분의 디스플레이기는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와의 연동을 통해 본체의 제어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서 독립적으로 절전을 수행함으로써, 절전 성능을 높일 수 있다.Most display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re often controlled by the main body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ai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sav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power saving independently on the display.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센서 설치나 복잡한 설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화면 분석만을 통해 절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절전을 위한 시스템 설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power saving function through simple screen analysi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or performing complicated settings, thereby reducing system design cost for power saving.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서 색상 성분 테이블을 생성하여 각 픽셀에 마련된 색상 광원들의 전력 소모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각 색상 광원의 광도를 제어해서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image data to generate a color component table to individually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lor light sources provided in each pixel, and control the luminous intensity of each color light source to execute a power saving mod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절전을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in a display device.
110: 기능 입력부
1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40: 영상신호 분석부
150: 제어부
160: 전력 공급부
170: 인버터
180: 백라이트 유닛
190: 절전해제 검출부110: function input
130: analog to digital converter
140: video signal analysis unit
150: control unit
160: power supply
170: inverter
180: backlight unit
190: power saving release detection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5148AKR102110928B1 (en) | 2018-09-04 | 2018-09-04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5148AKR102110928B1 (en) | 2018-09-04 | 2018-09-04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7174Atrue KR20200027174A (en) | 2020-03-12 |
| KR102110928B1 KR102110928B1 (en) | 2020-05-1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05148AActiveKR102110928B1 (en) | 2018-09-04 | 2018-09-04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10928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15277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79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80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78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WO2024063322A1 (en)* | 2022-09-22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18323A (en)* | 2010-04-23 | 2011-10-31 | 주식회사 에이텍 |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
| KR20140107936A (en)* | 2013-02-28 | 2014-09-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uminance adjust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luminance using the same |
| KR20160054896A (en)* | 2014-11-07 | 201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having saver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16249B1 (en)* | 2017-05-31 | 2018-01-08 |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 A method for controling a display having the power saving function by revising the brightness of a monitor |
| KR20180054993A (en) | 2016-11-15 | 2018-05-25 | 주식회사 에이텍 | 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18323A (en)* | 2010-04-23 | 2011-10-31 | 주식회사 에이텍 |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
| KR101371243B1 (en) | 2010-04-23 | 2014-03-26 | 주식회사 에이텍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140107936A (en)* | 2013-02-28 | 2014-09-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uminance adjusting par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luminance using the same |
| KR20160054896A (en)* | 2014-11-07 | 201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having saver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80054993A (en) | 2016-11-15 | 2018-05-25 | 주식회사 에이텍 | 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1816249B1 (en)* | 2017-05-31 | 2018-01-08 |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 A method for controling a display having the power saving function by revising the brightness of a monit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15277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79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80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KR20230015278A (en)* | 2021-07-22 | 2023-01-31 | 주식회사 디노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WO2024063322A1 (en)* | 2022-09-22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10928B1 (en) | 2020-05-15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10928B1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 US11145270B2 (en) | Luminance suppression power conservation | |
| KR101917638B1 (en) | Power-saving method in display device | |
| CN101676982B (en) | Energy-saving display and electronic equipment | |
| US711978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power management of a flat panel display | |
| CN101188098B (en) | display drive circuit | |
| KR10279027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 |
| US20180090077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187120B1 (en) | Control apparatus for power consumption in PC system and method | |
| JP2012058753A5 (en) | ||
| JP2016126234A5 (en) | ||
| JP4819353B2 (en) | Display device | |
| US20180011675A1 (en) | Electronic display illumination | |
| KR1021420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nitor power consumption through computer interworking | |
| KR102076312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516893B1 (en) | 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 monitor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 |
| JP5624080B2 (en) | Light source control device, light source control method, and light source control program | |
| KR101929217B1 (en) |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the monitor | |
| KR2023001527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 |
| KR2023001978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display device of computer | |
| TWI413091B (en) | Method of adjusting luminance of a backlight source | |
| KR20210103684A (en) |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the monitor | |
| KR101144828B1 (en) | intelligent diplay device | |
| JP2014204260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 KR100621102B1 (en) | comput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9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907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002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050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0051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50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