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지혈 클립을 응용하여 전자태그(RFID)를 탑재시킨 표식클립과 병변을 마킹하기 위해 상기 표식클립을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어플라이어로 구성되며, 사용 시에, 어플라이어는 표식클립이 장전된 상태로 내시경 기구 혹은 수술 기구에 장착되어, 장전된 표식클립을 병변 부위에 고정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을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sion marking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n existing hemostatic clip to fix a marker clip on which an electronic tag (RFID) is mounted and to fix the marker clip to a site of a lesion. Consists of an applier, and in use, the applier is mounted on an endoscope instrument or a surgical instrument with the marker clip loaded, thereby driving the loaded marker clip to be fixed to the lesion site. A description of marking systems.
기존의 복부 수술법은 개복을 동반하는 개복수술이 주류였다. 개복수술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수술법으로 현대의학에서도 여전히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복수술은 창상 감염의 위험과 술후 회복이 느리고 흉터로 인한 미용학적 만족도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위암에 대해 1994년 Kitano가 처음 소개한 복강경 위 절제술은 개복대신 복부에 작은 천공 후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수술하는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개복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복강경 수술기구와 수술기술이 발전하고 삶의 질에 대한 환자와 의사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최근 위장 암의 수술경향은 개복수술에서 복강경수술로 바뀌고 있다. 이미 조기 위암에서는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로 인정받고 있고, 진행 위암에 대한 복강경 수술의 우수성을 여러 연구자들이 보고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적은 술후 통증, 빠른 회복, 우수한 미용학적 결과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수술시 병변을 손으로 촉지하기가 어렵고,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조기 병변이나 장의 내강으로 성장하는 양성병변의 경우 장막으로 표시가 나지 않기 때문에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여 적절한 절제연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has been followed by laparotomy with open abdomen. Laparotomy is a traditional surgical technique that is still used frequently in modern medicine. However, laparotomy has disadvantages such as risk of wound infection, slow recovery after surgery, and deterioration of cosmetic satisfaction due to scarring. As an alternative, Laparoscopic gastrectomy, first introduced by Kitano in 1994 for gastric cancer, attempt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of laparotomy by inserting a surgical tool into the abdomen instead of the abdomen. With the development of laparoscopic surgery instruments and surgical techniques and the increasing interest of patients and doctors about the quality of life, the surgical trend of gastrointestinal cancer has recently shifted from laparotomy to laparoscopic surgery. Laparoscopic surgery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a standard operation in early gastric cancer, and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excellent laparosco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Laparoscopic surgery has several advantages over laparotomy, including less postoperative pain, faster recovery, and better cosmetic resul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alpate the lesion by hand during surgery, and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lesion because of the use of instruments. In particular, early lesions or benign lesions growing into the lumen of the intestine may not be marked by the tabernacle, so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ppropriate resection margin.
위 절제술의 경우 수술 중 내시경을 시행하거나 X-ray 촬영을 통한 확인 방법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그 과정의 복잡함과 타 과와의 협업 문제로 임상에서 널리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장 절제술 역시 점막 하에 염료를 주사하여 병변을 표시하는 문신법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수술 전 내시경을 한 번 더 해야하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과 추가시술에 따른 경제적인 문제가 있고, 특히 염료가 신속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문신법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효과는 빠르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의사들에게는 병변 확인을 위한 신 의료기술에 대한 충족되지 못한 수요가 있었다. 위암의 안전 절제연에 있어서는 의견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현재 일본 의료계에서는 약 20mm에서 50mm로 절제연을 두고 위를 절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국내 의료계에서도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준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술 후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최근 최소 침습수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개발 요구도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gastrectomy, endoscopy during surgery or X-ray imaging method has been introduced.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cedure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t is not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lthough the tattoo method was used to mark lesions, there was an economic problem due to the patient's discomfort and additional procedures because the endoscopy had to be done one more time before surgery, and especially since the dye spreads rapidly, The more quickly the effect falls. These problems led to unmet demand for new medical technologies for identifying lesion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opinion about the safety margin of gastric cancer, Japanese medical community recommends cutting the stomach with a margin of about 20mm to 50mm, and the domestic medical community generally follows these standards.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fter surgery, interest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s recently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for realizing this has been continued.
기존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복강경 수술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 사례가 있었다.Previously, there have been cases of using various method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lesion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2005년 Hyung W. J. 외 2인은 내강으로 자라는 위 점막 하 종양에 대해 수술 중 복강경 초음파를 이용하여 병변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는데, 이는 쉽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수술자가 복강경 초음파 술기에 숙달되어야 하고 클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병변 확인에 실패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Kim H. I. 외 2인은 2011년 보고에서 조기 위암 환자 80명에서 수술 중 복부X-ray를 통하여 수술 전 설치한 클립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2014년 Kim B. S. 외 3인은 Radio-Opaque Gauze를 이용해 X-ray 촬영 후 병변을 확인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위 내시경을 통한 여러 방법들도 소개되었다. Jeong O. 외 3인이 2012년 환자의 혈액을 채혈하여 술 전 위 내시경으로 위 점막 하층에 채혈한 혈액을 주사하여 장막에 병변을 표시하는 자가수혈문신법을 보고하였고, Xuan Y. 외 3인도 역시 수술 전 클립 설치 없이 수술 중 내시경을 통하여 염료를 위 점막 하에 주사하여 위 장막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In 2005, Hyung WJ and two others introduced a method to identify lesions using laparoscopic ultrasound during gastric submucosal tumors growing into the lumen, which can be easily and safely performed. It has a limitation that it can fail to identify the lesion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clip. In a 2011 report, Kim HI and two others presented a method to detect preoperatively installed abdominal X-rays in 80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In 2014, Kim BS and three others used Radio-Opaque Gauze. We reported a method to identify lesions after X-ray. Various methods through gastroscopy were also introduced. Jeong O. et al. Reported a self-transfusion tattoo method in which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patient in 2012 and injected into the lower mucosa of the gastric mucosa with a preoperative gastroscope. In addition, the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lesion o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by injecting a dye under the gastric mucosa through an endoscope during surgery without installing a clip before surgery.
상기 비특허문헌 1 내지 5의 연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술 중 부가적인 조작을 해야 하거나, 수술자의 숙련도, 신뢰성, 지속성 등의 문제로 이러한 결과들이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실제 임상현장에 사용 가능한 병변의 위치를 마킹하는 기술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earch results of the non-patent documents 1 to 5, such operations are not actually utilized in the clinical field due to problems such as skill, reliability, and persistence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overcoming these shortcomings and marking the location of lesions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inical settings.
본 발명은 전자태그(RFID)를 부가한 형태의 표식클립과 이를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클립감지기로 구성되어, 복강경 수술 시 수술자가 촉지하지 않고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rker clip of the form of the addition of an electronic tag (RFID) and a clip detector for fixing it to the site of the lesion, the laparoscopic surgical lesion marking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esion without the operator in palpation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표식클립에 고정되는 전자태그를 보호하면서 장전된 표식클립이 병변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aroscopic surgical lesion marking system comprising a sleeve that moves so that the loaded marker clip is fixed to the lesion site while protecting the electronic tag is fixed to the marker clip.
또한, 본 발명은 어플라이어가 슬리브의 이동에 따라 표식클립의 2개의 와이어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어 병변 부위를 집어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aroscopic surgical lesion marking system is formed so that the angle of the two wires of the marker clip is changed by the applier as the sleeve moves to pinch the lesion si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in i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병변의 위치를 비접촉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태그(RFID)가 탑재되는 표식클립; 및 상기 표식클립을 상기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어플라이어;를 포함하고, 사용 시에, 상기 어플라이어는 상기 표식클립이 장전된 상태로 내시경 기구 혹은 수술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장전된 표식클립을 상기 병변 부위에 고정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tag (RFID) is mounted on the marker clip so that the location of the lesion in a non-contact manner; And an applier for fixing the marker clip to the site of the lesion, and in use, the applier is mounted on an endoscope instrument or a surgical instrument with the marker clip loaded, and the loaded marker clip is moun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to be fixed to the lesion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식클립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와이어; 및 상기 2개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2개의 와이어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2개의 와이어가 상기 병변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clip, two wires crossing each other; And a sleeve configured to surround the two wires so as to move forward, wherein the two wires are fixed to a portion of the lesion by varying an angle formed by the two wires as the sleeve move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식클립은 상기 2개의 와이어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지점에 전자태그가 감겨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cli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the electronic tag is wound around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two wi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어는, 상기 슬리브의 후단부가 지지될 수 있는 슬리브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의 후단부가 상기 슬리브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에 걸려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립당김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당김부는, 상기 2개의 와이어의 후단부가 걸리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당김부에 의하여 당겨질 때, 기준 범위 이상의 힘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걸림부가 변형 또는 파단됨으로써 상기 표식클립이 상기 어플라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paroscopic surgical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er, the sleeve support which can support the rear end of the sleeve; And a clip pulling unit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two wire rear ends and pulled backward while the rear end of the sleeve is supported by the sleeve supporting unit, wherein the clip pulling unit includes a rear end of the two wires. And a catching part for catching, and when the force of the reference range is caught by the clip pulling part, the catching clip is deformed or broken so that the marker clip can be separated from the applier.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형의 외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면체의 내부에 상기 슬리브지지부 및 상기 클립당김부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면체에서 상기 표식클립이 장착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지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지지부; 및 상기 클립당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지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당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er further comprises a hollow outer surface forming an appearance, the sleeve support and the clip pulling portion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sequential Inserted into, the opposite end of th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marker clip is mounted, the operation support is connected to the sleeve suppor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e user to grip; And a pulling member connected to the clip pulling unit to allow a user to pull in a state in which the manipulation support unit is gripped.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기존 복강경 수술의 과정인 천공 - 내시경 삽입 - 내시경과 탐지침을 이용하여 병변 확인 - 절제 기구 등을 이용한 병변 절제 과정에서 내시경 삽입 과정에 부가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기존 수술방법에 익숙한 수술자에게도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laparoscopic operation of the perforation-endoscope insertion-lesion confirmation using endoscope and detection needle-endoscope in the process of lesion resection using a resection instrument, etc. Since it is a type added to the insertion process, it can be used without difficulty even for an operator who is familiar with the existing surgica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수술중 환자를 조작하거나 타과의 협조없이 수술자 혼자서 모든 과정을 끝낼 수 있고 수술시간 또한 많이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finish all the procedures alone without manipulating the patient during surgery or cooperating with others and can also save a lot of surgery time.
도 1은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의 표식클립에 대한 투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라이어의 걸림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라이어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라이어에 표식클립이 장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식클립이 장전된 어플라이어가 푸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식클립이 장전된 어플라이어로부터 표식클립이 압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식클립이 장전된 어플라이어로부터 표식클립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esion marking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rker clip of the 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appl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ppl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rker clip is loaded on the appl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pplier loaded with a marker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7 and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beling clip is extruded from the applier loaded with the label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rker clip is separated from the applier loaded with the marker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matter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의 위치를 비접촉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태그(RFID)(13)가 탑재되는 표식클립(10); 및 상기 표식클립(10)을 상기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어플라이어(20);를 포함한다.Laparoscopic lesion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사용 시에, 실제 복강경 수술 현장에서 상기 표식클립이 장전된 상태의 상기 어플라이어(20)가 내시경 기구 혹은 수술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장전된 표식클립을 상기 병변 부위에 고정되도록 구동된다.In the laparoscopic surgery lesion m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는 기존 복강경 수술의 과정인 천공 - 내시경삽입 - 내시경과 탐지침을 이용하여 병변 확인 - 절제기구 등을 이용한 병변절제단계 중, 상기 내시경삽입 단계에 상기 어플라이어(10)를 이용하여 상기 표식클립(10)을 상기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단순히 부가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기존 수술 방법에 익숙한 수술자들에게도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복강경 수술 마킹 방식과 비교해 볼 때 기존 방식은 수술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많이 받거나 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협력이 필요하여 실제로 적용할시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수술자의 숙련도 의존도를 최대한 낮추고, 환자의 몸에 부담이 적으며, 단순화 시키면서도 신뢰도는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This is a process of conventional laparoscopy, such as perforation-endoscope insertion-confirmation of lesions using endoscopes and detection needles-during the resection of lesions using a resection instrument, the marker clip using the
상기 표식클립(10)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와이어(11) 및 상기 2개의 와이어(11)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20)가 이동함에 따라 감싸고 있는 상기 2개의 와이어(11)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2개의 와이어(11)가 상기 병변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2개의 와이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와,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로 나누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two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는, 상기 슬리브(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어(11)가 교차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면서, 구체적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병변의 부위를 집는 형태로 고정한다.The two wire front ends 111 may vary in an angle formed by the two wire front ends 111 based on a point where the
또한,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는 끝단에 후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병변의 부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wire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어(11)가 교차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면서, 상기 슬리브(20)의 폭이 좁은 부분(121) 내부로 삽입된다.The two wire rear ends 112 are formed to be bent and connecte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wires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한편, 표식클립(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와이어(11)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전자태그(13)가 감겨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는 상기 와이어(11)가 교차되는 지점에 비하여 완만한 기울기를 갖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20)가 전방 이동으로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의 폭이 좁혀지더라도 상기 전자태그(13)가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 슬리브(12)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전단수용부(121),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 미만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단수용부(122), 및 상기 전단수용부(121) 및 상기 후단수용부(122)를 연결하며, 상기 전단수용부(121) 및 상기 후단수용부(122)의 내경 차이에 따라 경사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중간수용부(123)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슬리브(1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후단수용부(122)로 위치되면서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가 상기 슬리브(1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즉, 상기 슬리브(12)는 상기 전자태그(13)를 신체 내부에서 보호하는 캡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식클립(10)의 상기 2개의 와이어(11)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시켜 병변 부위를 집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표식클립(10)은 STS304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표식클립(10)을 설계할 때, 위, 대장 내부는 습도가 높고 산도가 높으므로 내습성과 산화에 잘 견디면서도, 인장강도가 높아 탄성력이 우수한 STS를 STS301과 STS304 재질의 후보로 선정하였고, 최종 결정하기 위해 이에 대한 인장강도, 항복강도, 푸아송비를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When designing the
인장강도의 경우, STS304와 STS301 재질의 인장 강도는 약 15% 이내의 차이로 비슷하나, 항복강도의 경우, STS304 재질이 20%만큼 항복강도가 작다. 상기 표식클립(10)과 상기 어플라이어(20)는 모두 외력을 받는 상황이 적기 때문에 제품 상태에서 변형될 일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가공 단계에서는 항복강도가 작은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STS304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tensil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S304 and STS301 material is similar within a difference of about 15%, but in the case of the yield strength, the yield strength of the STS304 material is as small as 20%. Both the
상기 어플라이어(20)는 상기 슬리브(12)의 후단부가 지지될 수 있는 슬리브지지부(21), 및 상기 슬리브(12)의 후단부가 상기 슬리브지지부(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에 걸려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립당김부(22)를 포함한다.The two wires of the
상기 슬리브지지부(21)는, 상기 슬리브(12)가 접촉하는 일부분이 절개된 다수 개의 절개선(211)이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12)가 내부로 필요한 부분까지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12)가 삽입 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클립당김부(22)는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걸리기 위한 걸림부(221)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라이어(20)에 상기 표식클립(10)이 장전될 때,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걸림부(221)에 걸리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당김부(22)에 의하여 상기 표식클립(10)이 당겨질 때, 기준 범위 이상의 힘이 상기 걸림부(221)에 걸리게 되면, 상기 걸림부(221)가 변형 또는 파단됨으로써 상기 표식클립(10)이 상기 어플라이어(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걸림부(2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a), 집게형(b) 혹은 원형 고리형(c)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221)는 고리형(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a)의 구조는 상기 집게형(b)이나 상기 원형 고리형(c)에 비해 형상이 단순하고, 변형 또는 파단이 둘다 가능한 구조이며, 클립의 회전 및 고정 시 고리부분에서 빠질 우려에 대한 문제도 강성 등의 재료의 특성을 조절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다.Preferably, the engaging
또한, 상기 어플라이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형의 외면체(2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면체(23)의 내부에 상기 슬리브지지부(21) 및 상기 클립당김부(2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형태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외면체(23)에서 상기 표식클립(10)이 장착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지지부(2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지지부(24) 및 상기 클립당김부(22)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지지부(24)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당김부재(25)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지지부(24)를 손바닥으로 받친 후, 상기 당김부재(25)를 손가락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표식클립(10)을 분리시키는 구조이다.On the opposite end portion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에서 상기 표식클립(10)을 병변의 부위에 고정시키는 원리를 서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fixing the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라이어(20)를 내시경 기구 혹은 수술 기구에 부착하기 전, 상기 표식클립(10)을 상기 외면체(23) 내부로 가압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12)가 상기 슬리브지지부(21)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걸림부(221)에 걸리는 형태로 상기 표식클립(10)을 상기 어플라이어(20)에 장전시킨다. 이때, 상기 슬리브지지부(21)와 상기 클립당김부(22)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힘으로 인해 상기 외면체(23)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슬리브의 후단수용부(122)가 상기 슬리브지지부(2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5, before attaching the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에 의해 상기 외면체(23) 내부로 삽입된 구조물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슬리브지지부(21)와 상기 클립당김부(22)는 전방 최대로 위치되며, 여전히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걸림부(221)에 걸리는 형태이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structures inserted into th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표식클립(10)이 장전된 상기 어플라이어(20)를 내시경 기구 혹은 수술기구에 장착시켜 병변 부위 근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조작지지부(24)를 파지한 채로 상기 당김부재(25)를 당긴다. 이로 인해, 상기 당김부재(25)와 연결된 상기 클립당김부(2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지지부(21) 또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걸림부(221)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표식클립(10)이 압출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2)가 상기 2개의 와이어(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21)가 상기 외면체(23)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때 까지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user mounts the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21)에 걸리는 힘이 기준 이상이 되면 상기 걸림부(221)는 변형 또는 파단됨으로써, 상기 2개의 와이어 후단부(112)가 상기 걸림부(22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표식클립(10)이 분리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12)가 계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2개의 와이어 전단부(111)가 이루는 각도가 최소로 되며, 이러한 구동으로 상기 병변의 부위를 집어 고정되는 것이다.Next, as illustrated in FIGS. 9 and 10,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locking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an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표식클립
11 : 2개의 와이어
111 : 2개의 와이어 전단부
112 : 2개의 와이어 후단부
12 : 슬리브
121 : 전단수용부
122 : 후단수용부
123 : 중간수용부
13 : 전자태그
20 : 어플라이어
21 : 슬리브지지부
211 : 절개선
22 : 클립당김부
221 : 걸림부
23 : 외면체
24 : 조작지지부
25 : 당김부재10: Marker clip
11: 2 wires
111: two wire front ends
112: 2 wire rear ends
12: sleeve
121: shear accommodating part
122: rear end accommodating part
123: intermediate accommodation
13: electronic tag
20: Applier
21: sleeve support
211: incision
22: clip pulling unit
221: catching part
23: icosahedron
24: operation support
25: pulling memb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1297AKR102115663B1 (en) | 2018-08-28 | 2018-08-28 | System for marking lesion location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PCT/KR2019/010595WO2020045882A1 (en) | 2018-08-28 | 2019-08-20 | Lesion marking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1297AKR102115663B1 (en) | 2018-08-28 | 2018-08-28 | System for marking lesion location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4517Atrue KR20200024517A (en) | 2020-03-09 |
| KR102115663B1 KR102115663B1 (en) | 2020-05-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01297AActiveKR102115663B1 (en) | 2018-08-28 | 2018-08-28 | System for marking lesion location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15663B1 (en) |
| WO (1) | WO2020045882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17075B1 (en)* | 2021-12-23 | 2023-04-04 | 주식회사 카이미 | Medical devices for endoscopy with magnetic clips and method for marking and detecting treatment target site using the same |
| WO2024237666A3 (en)* | 2023-05-18 | 2025-01-0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Lesion marking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074358A (en)* | 2015-10-15 | 2017-04-20 | 地方独立行政法人 大阪府立病院機構 | Rf tag marker, luminescent marker, and detector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00284A (en)* | 2008-06-23 | 2010-01-07 | Toshihiko Sato | Surgical procedure using ic tag |
| JP2017169676A (en)* | 2016-03-22 | 2017-09-28 | 株式会社日進製作所 | Medical clip and position specification tool thereof |
| KR101863440B1 (en)* | 2016-07-25 | 2018-05-31 | (의료)길의료재단 | A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lesion localization |
| KR101826446B1 (en)* | 2016-12-08 | 2018-02-06 | 최원준 | Endoscope clip treatmen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074358A (en)* | 2015-10-15 | 2017-04-20 | 地方独立行政法人 大阪府立病院機構 | Rf tag marker, luminescent marker, and detector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17075B1 (en)* | 2021-12-23 | 2023-04-04 | 주식회사 카이미 | Medical devices for endoscopy with magnetic clips and method for marking and detecting treatment target site using the same |
| WO2024237666A3 (en)* | 2023-05-18 | 2025-01-0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Lesion marking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0045882A1 (en) | 2020-03-05 |
| KR102115663B1 (en) | 2020-05-2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232938U (en) | Tow device and tow ring for tow device | |
| JP4373146B2 (en) | Endoscopic suturing device | |
| US7341554B2 (en) | Endoscopic treatment system | |
| US7721742B2 (en) | Methods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the peritoneal cavity | |
| CN204951048U (en) | Hepatic portal blood flow block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 |
| JP2011517577A (en) | Device for delivering an anchor device into the wall of a body passage | |
| US9271712B2 (en) | Re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y | |
| CN209611212U (en) | A traction device and a traction ring for the traction device | |
| JP2015083069A (en) |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 |
| KR102115663B1 (en) | System for marking lesion location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JP2014171629A (en) | Auxiliary tool for endoscope apparatus and endoscope apparatus using the same | |
| CN211325240U (en) | Auxiliary traction device and auxiliary system | |
| US20170325840A1 (en) | Percutaneous Gastrointestinal Access System and Method | |
| US20230248346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action | |
| US20210100668A1 (en) | Thermopuncture stent implantation device | |
| CN118660672A (en) | Tissue traction device and its delivery system | |
| JP3649459B2 (en) | Internal organ lifting device | |
| CN115530936A (en) | Lung focus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 |
| US8857441B2 (en) | Biological tissue transfer method and biological tissue treatment method | |
| KR20230118983A (en) | Device and system for gripping tissue in the muscle layer | |
| CN108158553B (en) | Biliary tract endoscope system | |
| JP2000023989A (en) | Miniature loop retractor | |
| CN109620316B (en) | Lower casing cable of endoscope | |
| CN109381229B (en) | Suture needle with suture thread for digestive endoscopy operation | |
| CN209611446U (en) | A thermal puncture stent insert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8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30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0051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052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0052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32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50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428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