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외부 자극에 의해 다양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는 고분자를 자극 감응성 고분자(stimuli responsive polymers) 라고 한다. 이러한 자극 감응성 고분자는 온도, 빛, pH, 자기장 및 이온 강도 등 주위 환경의 매개 변수에 작은 변화에 응답할 수 있다. 특히,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온도 감응형 고분자는 자극의 세기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약학 또는 바이오 분야 등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Polymers in which various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are caused by external stimuli are called stimuli responsive polymers. These stimulus sensitive polymers can respond to small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light, pH, magnetic field and ionic strength.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that responds to temperature changes has an advantage of easi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and thus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pharmaceutical or bio fields.
온도 감응형 고분자는 주로 UCST(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고분자와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고분자가 있다. 이 중, LCST 고분자는 합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용매 내에서의 반응(behaviors) 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mainly include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polymers and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polymers. Among these, LCST polymer has been studied a lot, but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behaviors in the solvent.
용액에서 LCST 고분자의 상전이는 온도 감응형 고분자의 개발 및 설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구체적인 LCST 고분자의 상전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용액 내에서 LCST 고분자의 상전이를 위한 중요한 매개 변수인 운점온도(Tcp, cloud-point temperature)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hase transition of LCST polymers in solution is a very important feature in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temperature-sensitive polymers. In order to study the specific phase transition of LCST polymer, it is necessary to study cloud point temperature (Tcp ) which is an important parameter for phase transition of LCST polymer in solution.
한편, 완전 혼합성 중합체(completely miscible) 및 용매의 단상 영역(single-phase region)은 운점온도(Tcp) 이하의 온도에서 존재한다. 그러나, LCST 점 이상의 온도에서, 투명하고 균질한 용액은 중합체 분자가 응집되어 2상 영역(two-phase region)의 흐린 용액으로 대체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ngle-phase region of the completely miscible polymer and the solvent is present at a temperature below the cloud point temperature (Tcp ). However, at temperatures above the LCST point, the clear, homogeneous solution aggregates the polymer molecules and replaces it with a cloudy solution in the two-phase region.
일반적으로, 비탁법(turbidimetry), 동적 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열량 측정(calorimetry) 및 핵자기 공명 분광법(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이 LCST의 상거동(phase behavior)을 연구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 온도에 따른 LCST 고분자의 상전이를 관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탁도계와 DLS 이다. 상기 탁도계는 사용법이 간단하여 LCST 고분자의 상전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민감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DLS는 용액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입자의 평균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중합체가 두 가지 형태(가용성 및 불용성 형태)로 존재할 때, Tcp 근처의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두 가지 형태의 고분자의 평균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DLS 방법은 민감하게 상전이를 측정할 수 없다.In general, turbidimetr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calori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re commonly used to study the phase behavior of LCST. Has been. Among them, turbidimeter and DLS are mainly used to observe phase transition of LCST polymer with temperature. The turbidimeter is easy to use, it is easy to measure the phase transition of the LCST polym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ensitive. And, DLS can measure the average size of various particles present in the solution. When present in the polymer in two forms (soluble and insoluble forms), in the case of using the solution near the Tcp, since the two types of polymer average value is measured DLS method is not sensitive to measure the phase transition.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른 LCST 고분자의 상전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method that can easily observe the phase transition of the LCST polymer with temperature chang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 method and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that can easily observe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와 산화환원종을 포함하는 반응 용액에 전압을 인가하여,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a change in current with time by applying a voltage to a reaction solution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nd a redox species; And
측정된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과 기설정된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을 비교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을 제공한다.Comparing the amplitude of the measured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with a preset amplitude of the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to determine whether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s present; It provides a method of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와 산화환원종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이 수용되는 반응부;A reaction part accommodating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nd a redox species;
반응부 내에 위치하며, 상대전극, 기준전극 및 작업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An electrode unit positioned in the reaction unit and including a counter electrode, a reference electrode, and a working electrode; And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작업전극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시 발생하는 전류의 세기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A measuring unit measuring a change in intensity of current generated when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collides with or adsorbs on the surface of the working electrode; It provides a phase transition measurement device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장치는, 특정온도에서 반응용액 내의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작업전극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됨으로써 발생되는 전류변화를 통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유무 및/또는 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hase change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through a current change generated by the collision or adsorp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n the reaction solution at a specific temperature And / or the concentration can be easily measured.
아울러,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는 수질의 오염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질오염 분석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may be applied to a water pollution analysis method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water quality.
도 1은 초미세전극 표면에서의 산화환원종의 산화 모식도, 및 단일입자화된 온도감응성 고분자 충돌에 의한 산화환원종의 산화 중단 및 그에 대한 전류의 변화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은 UME 상에서 고분자 입자 충돌을 모니터링한 그래프(전류측정 시간-전류(i-t) 곡선) 이며, 도 3(b) 는 도 3(a) 의 소정부분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1-(알릴옥시)-4-((4-플루오르페닐) 설포닐) 벤젠 화합물의 구조분석을 나타내는1H-NMR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6은 알릴-PAES 화합물의 구조분석을 나타내는1H-NMR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7은 LCST 고분자 PAES-OH 화합물의 구조분석을 나타내는1H-NMR 스펙트럼 그래프이다((a) 화합물 구조, (b) PAES-OH 의1H-NMR 스펙트럼).
도 8 (a) 알릴-PAES 및 (b) PAES-OH (클로로포름, PS 표준) 의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C-UME 를 사용하여 고분자의 전기화학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a) PAES-OH 를 포함하지 않음, (b) 4mg 의 PAES-OH 를 포함).
도 10은 C-UME 를 사용하여, 50 mV/s 및 10 mV/s 의 스캔 속도로 4 mg 의 PAES-OH 를 포함하는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IL-PA 가 혼합된 DME 용액의 CVs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실온(RT), (b) 50 ℃).
도 11(a) 는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하고 있는 DME 용액에 4 mg/mL 의 PAES-OH 를 포함할 때, 각각 상이한 온도에서의 시각적인 관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11(b)과 도 11(c) 는 각각 실온과 50 ℃ 에서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하고 있는 DME 용액에 다양한 농도의 PAES-OH 를 포함하였을 때 관찰한 도면이다.
도 12는 UME 상에서 고분자 입자 충돌을 모니터링한 그래프(전류측정 시간-전류(i-t) 곡선)이다 ((a) 20 ℃, (b) 25 ℃, (c) 30 ℃, (d) 35 ℃, (e) 40 ℃, (f) 45 ℃, (g) 50 ℃, (h) 55 ℃).
도 13은 4mg/㎖ 농도의 PAES-OH 용액의 UV/VIS 투과율 스펙트럼 및 광산란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전기 화학적 충돌법의 기술을 도식한 도면이다 ((a) 에멀전 또는 라텍스 비즈의 검출, (b) 고분자의 검출).
도 15는 50 ℃ 에서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한 용액에 포함된 4 mg/㎖ 농도의 PAES-OH 가 C-UME 의 표면에 충돌에 의해 발생된 전류값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50 ℃ 에서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을 함유한 DME 용액에서 C-UME 에 다양한 농도의 PAES-OH 고분자 입자 충돌에 의해서 측정된 i-t 곡선 및 1차 미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UME 는 +1.4V (vs Ag 와이어)로 바이어스 되었다.
도 17(a)는 충돌실험에서 PAES-OH 의 다양한 농도에 따른 충돌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50 ℃), 도 17(b)는 50 ℃ 에서 PAES-OH 의 다양한 농도에 대한 DLS 에 의해 측정된 응집된 고분자 입자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DLS 에 의해 측정한 다양한 농도의 고분자의 직경에 대한 강도(intensity)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oxidation schematic diagram of a redox species on the surface of an ultrafine electrode, and an outline of changes in oxidation stop and current of redox species caused by a single particl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collis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Figure 3 (a) is a graph (polymerization measurement time-current (it) curve) for monitoring polymer particle collision on the UME, Figure 3 (b) is an enlarged graph of a predetermined portion of Figure 3 (a).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1 H-NMR spectral graph showing the structural analysis of a 1- (allyloxy) -4-((4-fluorophenyl) sulfonyl) benzene compound.
6 is a1 H-NMR spectrum graph showing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allyl-PAES compound.
7 is a1 H-NMR spectrum graph showing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LCST polymer PAES-OH compound ((a) compound structure, (b)1 H-NMR spectrum of PAES-OH).
8 is a diagram show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profiles of (a) allyl-PAES and (b) PAES-OH (chloroform, PS standard).
9 is a graph measuring the electrochemistry of the polymer using C-UME ((a) does not contain PAES-OH, (b) 4mg of PAES-OH).
FIG. 10 is a CVs value of a DME solution mixed with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containing 4 mg of PAES-OH at a scan rate of 50 mV / s and 10 mV / s using C-UME. (A) Room temperature (RT), (b) 50 degreeC.
FIG. 11 (a) shows visual observ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when 4 mg / mL of PAES-OH was included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11 (b) and 11 (c) were observed when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were included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room temperature and 50 ° C., respectively. to be.
12 is a graph (current measurement time-current (it) curve) for monitoring polymer particle collision on UME ((a) 20 ° C, (b) 25 ° C, (c) 30 ° C, (d) 35 ° C, ( e) 40 ° C., (f) 45 ° C., (g) 50 ° C., (h) 55 ° C.).
FIG. 13 is a graph showing UV / VIS transmittance spectrum and light scattering data of a PAES-OH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4 mg / m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technique of the electrochemical collision method ((a) detection of emulsion or latex beads, (b) detection of a polymer).
15 is a measurement of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impact of 4 mg / ㎖ PAES-OH on the surface of the C-UME contained in a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50 ℃ It is a graph.
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it curve and the first derivative measured by collision of PAES-OH polymer partic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in C-UME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50 ° C. . Meanwhile, UME was biased to + 1.4V (vs Ag wire).
Figure 17 (a) is a graph showing the collision frequency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in the collision test (50 ℃), Figure 17 (b) is measured by DLS for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at 50 ℃ It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the aggregated polymer particles.
18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intensity) to the diameter of the polymer of various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DL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which can easily observe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장치는 반응용액 내의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특정온도에서 단일입자 형태로 상변이하고, 이는 작업전극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됨으로써 발생되는 전류변화를 통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유무 및/또는 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ase-changes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in a reaction solution into a single particle at a specific temperature, which is due to the collision or adsorption on the surface of the working electrode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presence and / or concentra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through the generated current chang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온도 감응성 고분자(Thermo-responsive polymer)"는 외부 온도에 따라서 그 성질이 바뀌는 고분자로서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sol-gel phase transition) 또는 부피 상전이(volume phase transition)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전이가 나타나는 온도를 임계 용해 온도(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라 하고 상전이에 대한 농도-온도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낮은 상전이 온도를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라 하고, 높은 상전이 온도를 상한임계용액온도(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hermo-responsive polymer" is a polymer whose properties change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is reversible sol-gel phase transition or volume phase transition at a specific temperature. refers to a polymer in which a transition occurs. The temperature at which this phase transition occurs is called the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the lowest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concentration-temperature diagram for the phase transition is called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nd the high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is the upper limit. It is called the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본 명세서에서, 특정온도 미만에서 용매와 잘 섞여 균일상(homogeneous phase) 을 이루다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상분리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LCST 고분자" 라 하고, 특정온도를 초과해서는 균일상을 이루다가 특정 온도 이하에서는 상분리가 일어나는 고분자는 "UCST 고분자" 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감응성 고분자는 LCST 고분자 일 수 있다. 예컨대, "LCST 고분자" 는 하한임계용액온도 (LCST) 이상의 온도에서는 고체화가 되고 LCST 이하의 온도에서는 용해 되는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반응 용액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UCST 폴리머가 될 수도 있고, 그 외의 소정의 온도에 따라 용해도 변화하거나 상변화가 일어나 제거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homogeneous phase is formed by mixing well with a solvent below a specific temperature. A polymer in which phase separation occur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s referred to as an "LCST polymer", and a temperature above a specific temperature forms a uniform phase but below a specific temperature. Polymers in which phase separation occurs are referred to as "UCST polym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may be an LCST polymer. For example, the "LCST polymer" may be a polymer material that becomes solid at a temperature above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nd dissolves at a temperature below the LCST. If it does not affect the properties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a UCST polymer, and other materials that can be removed by changing the solubility or phase change of course depending o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단일입자 충돌법을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검출은 1) 확산 및 2) 전기활성화 영역의 차단이라는 두 순차적 전략에 따라 수행된다. 용액 중의 산화활성종 이온이 작업전극 표면에서 산화되며, LCST 이상의 온도에서 뭉쳐진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확산을 통하여 작업전극 표면과 충돌하게 된다. 전류 수준은 충돌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방사상 확산에 의하여 유지된다.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개체가 작업전극 표면에 충돌하여 부착되면, 산화환원종의 전극 반응이 상기 작업전극 표면에 부착된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정상 상태 전류의 수준은 즉시 감소한다(도 1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using the single particle collision method is performed according to two sequential strategies: 1) diffusion and 2) blocking of the electroactivation region. Oxidized active species ions in the solution are oxidized on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ggregat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LCST is collided with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through diffusion. The current level is maintained by radial diffusion until a collision event occurs. When the individual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collides and attaches to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the level of the steady state current decreases immediately because the electrode reaction of the redox species is blocked by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ttached to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Fig. 1).
한편,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특정 온도에서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작업전극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됨으로써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 변화를 통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유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is present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at a specific temperature, it can be easily measur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through the intensity change of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collision or adsorption on the surface of the working electrod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thod and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와 산화환원종을 포함하는 반응 용액에 전압을 인가하여,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S100); 및Applying a voltage to a reaction solution including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nd a redox species to measure a current change over time (S100); And
측정된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과 기설정된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을 비교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S200);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을 제공한다(도 2 참조).Comparing the measured amplitude of the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with a preset amplitude of the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to determine whether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s performed (S200); It provides a method of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comprising a (see Figure 2).
예컨대,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이 단위시간당 전류변화의 진폭의 초과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a) 은 UME 상에서 반응용액 내에 존재하는 고분자 입자 충돌을 모니터링한 그래프(전류측정 시간-전류(i-t) 곡선) 이며, 도 3(b) 는 도 3(a) 의 소정부분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may be determined that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occurs when the amplitude of the measured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exceeds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change per unit time. Figure 3 (a) is a graph of the polymer particle collision in the reaction solution on the UME (current measurement time-current (it) curve), Figure 3 (b) is an enlarged portion of Figure 3 (a) It is a graph. Referring to Figure 3,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반응용액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측정한 시간에 따른 전류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하고 있는 DME 용액에 4 mg/mL 의 PAES-OH 를 첨가한 후 이를 단일입자 충돌법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각각 30 ℃, 35 ℃, 및 40 ℃로 설정한 후 전류변화값을 측정하였다. 반응 용액의 온도가 30 ℃, 35 ℃, 및 40 ℃ 일 때, 전류변화값을 비교하여 보면, 30 ℃ 일 때 보다 35 ℃와 40 ℃ 일 때, 진폭의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반응 용액의 온도가 30 ℃ 일 때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35 ℃와 40 ℃ 일 때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가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Figure 3 (a) is a graph of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time measured when the voltage was applied to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3 (a) shows a single particle collision method after adding 4 mg / mL of PAES-OH to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o measure the current. And afte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to 30 degreeC, 35 degreeC, and 40 degreeC, respectively, the current change value was measur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is 30 ° C., 35 ° C., and 40 ° C., comparing the current change values,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amplitude is larger at 35 ° C. and 40 ° C. than at 30 ° C. This means that the temperatur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does not occu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is 30 ℃,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occurs at 35 ℃ and 40 ℃.
도 3(b)는 도 3(a) 의 소정 부분을 확대한 그래프로, 반응 용액의 온도가 35 ℃와 40 ℃ 일 때, 측정값(진폭)이 기준값(기설정값; 기울기)을 상당히 많이 벗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기설정된 값은 기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류측정 시간-전류(i-t) 곡선 그래프에서, 120 내지 130 초 구간(Ct130-Ct120)에서의 기울기 값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기준값은 온도감음성 고분자의 상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온도에서 120 내지 130 초 구간(Ct130-Ct120)의 기울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면, 기설정된 값은 LCST 고분자의 상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30 ℃ 에서 120 내지 130 초 구간(Ct130-Ct120)에서의 기울기일 수 있다.3 (b) is an enlarged graph of a predetermined portion of FIG. 3 (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is 35 ° C. and 40 ° C., the measured value (amplitude)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eference value (preset value; slope). You can see the deviation. In more detail, the preset value refers to a reference value, and means a slope value in a 120 to 130 second interval (Ct130 -Ct120 ) in a current measurement time-current (it) curve graph.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mean a slope value of the
아울러, 전류변화의 진폭은 전류측정값을 의미한다. 특히,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이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반응용액의 전류값을 의미하며, 상기 기준값의 측정범위와 동일한 120 내지 130 초 구간(Ct130-Ct120)에서의 전류값(진폭변화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change means a current measurement value. In particular, the current value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phase-transformed from a liquid to a solid, and the current value (amplitude change value) in the 120 to 130 seconds section (Ct130 -Ct120 ) the same as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Can be.
예컨대, 시간구간 및 특정온도에서, 단위시간당 측정값(전류 진폭변화값)이 기준값을 벗어난다면,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변이된 고분자의 전극 충돌로 인한 전류값 변화가 충돌신호가 없을 때의 평균 전류 진폭변화량의 표준편차보다 3배 이상이면 충돌 신호로 파악,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time interval and a specific temperature, if the measured value (current amplitude change value) per unit time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Specifically, if the current value change due to the electrode collision of the phase-shifted polymer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 current amplitude change in the absence of the collision signal, it can be regarded as a collision signal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has occurred. have.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방법에 따르면, 액체에서 고체로 상전이된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반응용액 내에 존재할 때,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개체가 작업전극 표면에 충돌하여 부착되고, 산화환원종의 흐름이 상기 작업전극 표면에 부착된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정상 상태 전류의 수준은 즉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유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when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which is phase-transformed from a liquid to a solid is present in a reaction solution, an object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collides and adheres to the working electrode surface, and a flow of redox species is carried out. Since it is blocked by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ttached to the electrode surface, the level of steady state current is immediately reduced. There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hase change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can be measured easily.
한편, 상기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단계(S100)는, 반응 용액의 온도를 소정범위로 제어하고, 온도별로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범위라 하면, 임계용액온도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LCST 고분자인 경우, 하한임계용액 온도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LCST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 30℃ 일 수 있다. 일 예로, LCST 고분자의 LCST 가 30 ℃ 인 경우, 임계용액온도 범위는 0 내지 60 ℃ 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measuring the current change with time (S10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may include the step of measuring the current change with time for each temperature. Herein, the predetermined range may mean a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s an LCST polymer, it may mean a lower limit solution temperature range, and may be ± 30 ° C based on the LCST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LCST of the LCST polymer is 30 ℃, the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range may be 0 to 60 ℃.
즉, LCST 온도를 기준으로 아래로 30 ℃ 이하에서 시작하여, LCST 온도보다 30 ℃ 높은 온도까지 승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 용액의 온도는 LCST 온도범위에서 (LCST 온도 ± 30 ℃) 제어하고, 온도별로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를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외부 온도에 의해 그 성질이 바뀌는 고분자로,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 또는 부피 상전이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특히, 특정온도 미만에서 용매와 잘 섞여 균일상(homogeneous phase) 을 이루다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상분리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LCST 고분자" 라 하고, 특정온도를 초과해서는 균일상을 이루다가 특정 온도 이하에서는 상분리가 일어나는 고분자는 "UCST 고분자" 라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응성 고분자는 LCST 고분자 일 수 있다.That is, the method may include starting below 30 ° C based on the LCST temperature and raising the temperature to 30 ° C higher than the LCST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LCST temperature range (LCST temperature ± 30 ℃), and measuring the current change with time for each temperature. This is for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s a polymer whose properties are chang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and means a polymer in which reversible sol-gel phase transition or volume phase transition occurs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particular, it forms a homogeneous phase by mixing well with a solvent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 polymer in which phase separation occur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s referred to as an "LCST polymer", and a phase above a specific temperature forms a homogeneous phase. The resulting polymer is referred to as a "UCST polymer",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LCST poly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고분자이며, 상기 LCST 고분자는 온도변화에 따라 졸-겔 상전이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LCST 고분자는, 온도 변화에 따라 액체에서 고체로 상전이되며,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이상에서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는 고분자의 특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상기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는 LCST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CST 고분자는 PAES-OH 일 수 있으며, 상기 LCST 고분자는 33 ℃ 이상에서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polymer, and the LCST polymer may exhibit sol-gel phase transition behavior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More specifically, the LCST polymer is phase-changed from a liquid to a solid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and may exist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at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That is,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LCST polymer. For example, the LCST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ES-OH, and the LCST polymer may exist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at 33 ° C. or highe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상전이 측정장치는 LCST 온도 이상에서 단일입자 형태(겔 형태)로 존재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LCST 고분자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LCST 고분자를 함유하는 반응용액의 온도를 LCST 온도 이상으로 승온시켜 상기 LCST 고분자를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하게 하고, 이때, 단일입자 충돌법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로 고분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LCST 고분자의 상변이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hase transi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CST polymer which is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resent in a single particle form (gel form) at or above the LCST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LCST polymer is raised above the LCST temperature so that the LCST polymer is present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wherein the polymer can be detected by the measuring unit using a single particle collision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ase change of the LCST polymer can be detected.
예컨대,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 [poly(arylene ether sulfone)],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poly(N-isopropylacrylamide)], 폴리(N,N-다 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poly(N,N-diethylacrylamide)], 폴리(N-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poly(Nethylmethacrylamide)], 폴리(메틸비닐에스터) [poly(methyl vinyl ether)], 폴리(2-에톡시에틸비닐에스터) [poly(2-ethoxyethyl vinyl ether), 폴리(N-비닐카프로락탐) [poly(N-vinylcaprolactam)], 폴리(N-비닐아이소 부틸아마이드) [poly(N-vinylisobutyramide)], 및 폴리(N-비닐-n-부틸아마이드) [poly(N-vinyl-n-butyramid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또는 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ermosensitive polymer may be poly (arylene ether sulfone), poly (N-isopropylacrylamide) [poly (N-isopropylacrylamide)], poly (N, N-diethyl) Acrylamide) [poly (N, N-diethylacrylamide)], poly (N-ethylmethacrylamide) [poly (Nethylmethacrylamide)], poly (methyl vinyl ether) [poly (methyl vinyl ether)], poly (2- Methoxyethyl vinyl ester) [poly (2-ethoxyethyl vinyl ether), poly (N-vinylcaprolactam) [poly (N-vinylcaprolactam)], poly (N-vinylisobutylamide) [poly (N-vinylisobutyramide)], And one or more polymers or copolymers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N-vinyl-n-butylamide) [poly (N-vinyl-n-butyramide)].
아울러, 반응 용액은 전극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이온 등 물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산화환원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 용액은 반응부 내에서 작업전극과의 충돌과정을 일으키는 동안 일정 시간 저장됨에 기인하여 추가의 저장부 내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ction solution serves to provide materials such as various ions for performing the electrode reaction,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to be measured, and may include a redox species.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stored in the additional storage unit due to being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collision process with the working electrode in the reac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용액은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산화환원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환원종은 안트라센(anthracene), 또는 벤즈 안트라센(Benzanthracene), 9,10- 디 페닐 안트라센(9,10-diphenylanthracene), 페로시안화(ferrocyanide) 이온, 페리시안화(ferricyanide) 이온, 육아민화 루테늄(Hexaammineruthenium, Ru) 이온, 하이드로퀴논(hydron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도파민(dopamine), 페로센메탄올(ferrocenemethanol), 페로센(ferrocene), 페로센다이메탄올(ferrocenedimethanol), α-메틸페로센메탄올, 페로센카복시산(ferrocene carboxylic acid), 페로센다이카복시산(ferrocene dicarboxylic acid), 페로센알데하이드(ferrocene aldehyde) 및 이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안트라센(anthracene) 일 수 있다.The reaction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nd may include a redox species, wherein the redox species are anthracene, or benzanthracene, 9,10-. Diphenyl anthracene (9,10-diphenylanthracene), ferrocyanide ions, ferricyanide ions, hexaammine ruthenium (Ru) ions, hydronquinone, ascorbic acid, dopamine ( dopamine, ferrocenemethanol, ferrocene, ferrocene, ferrocenedimethanol, α-methylferrochenmethanol, ferrocene carboxylic acid, ferrocene dicarboxylic acid, ferrocene aldehyde aldehyde) and derivatives thereof, and may be, for example, anthracene.
상기 반응 용액 내에 포함되는 산화환원종의 농도는 100 μM 내지 400 mM, 300 μM 내지 300 mM, 500 μM 내지 200 mM, 700 μM 내지 100 mM, 900 μM 내지 80 mM, 1 mM 내지 50 mM, 1 mM 내지 30 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mM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종의 농도는 후술하게 되는 작업전극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대 상 물질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별 분석 물질 신호는 검출하고자 하는 분석 물질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며, 개별 신호가 커질 경우 기기의 잡음 전류로부터 검출 신호를 구분하기 수월해진다. 또한 용액 내부의 산화환원 반응에 따른 용액 전체의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산화환원종의 농도에 100배 이상의 전해질을 녹여 용액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산화환원종의 농도는 산화환원종의 용해도에 의하여 최대 농도에 제한을 받고, 용액 속에 고농도의 산화환원종이 존재할 경우 기본 전류값이 매우 커 개별 분석 물질의 전극 충돌에 의한 전류값 감소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저농도의 산화환원종을 포함한 용액에서는 전압-전류 측정 실험 시간 동안 충분한 전류값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위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분석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산화환원종의 농도를 선택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mM의 값이 적절하다.The concentration of redox species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is 100 μM to 400 mM, 300 μM to 300 mM, 500 μM to 200 mM, 700 μM to 100 mM, 900 μM to 80 mM, 1 mM to 50 mM, 1 mM It may be from 30 mM, preferably having a value of 1 to 20 mM. The concentration of the redox specie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target material to be detected in the working electrode to be described later. In general, the individual analyte signals tend to increase with the size of the analyte to be detected, and when the individual signals become larger, it becomes easier to distinguish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noise current of the instru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solution by dissolving the electrolyte more than 100 times in the concentration of the redox species used to maintain the neutrality of the entire solution according to the redox reaction in the solution.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the redox species is limited by the maximum concentration by the solubility of the redox species, and the presence of a high concentration of the redox species in the solution shows a very high base current value, indicating a decrease in the current value due to the electrode collision of the individual analytes. In solutions containing low levels of redox species, sufficient current values cannot be maintained during the voltage-current measurement experiments.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redox spe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yte, and preferably a value of 1 to 20 mM.
상기 반응용액은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로, 테트라 부틸 암모늄 과염소산(Tetrabutylammonium perchlorate), 테트라 부틸 암모늄 헥사 플루오로 포스페이트(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 또는 테트라 부틸 암모늄 테트라 플루오로 보레이트(Tetrabutylammonium tetrafluoroborate),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염화 소듐(NaCl), 염화 포타슘(KCl), 인산 이온(Phosphate buffer)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Tris buffer)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통상적인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reaction solution may include an electrolyte. As electrolyte, Tetrabutylammonium perchlorate, 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 or Tetrabutylammonium tetrafluoroborate, Ionic liquid, Sodium chloride (NaCl)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chloride (KCl), phosphate ions (Phosphate buffer) and tris (hydroxymethyl) amino methane (Tris buffer), and may include a conventional electroly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below,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와 산화환원종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이 수용되는 반응부(100);A
반응부(100) 내에 위치하며, 상대전극(111), 기준전극(112) 및 작업전극(113)을 포함하는 전극부(110);An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작업전극(113)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시 발생하는 전류의 세기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200);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A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10)는 단일입자 충돌법을 이용한 것으로, 초미세전극 표면에 대한 단일입자 충돌법을 활용하여 특정 온도에서 반응 용액 내에 입자화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변이 유무를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Phas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10)는 반응부(100), 전극부(110), 온도 제어부(120), 측정부(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반응부(100)는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사건인 작업전극(113)과 반응용액 중의 단일입자(온도감응성 고분자)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곳으로, 검출 대상인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일정 기간 동안 반응부(100) 내의 반응 용액 중에 저장되면서 작업전극(113)과 충돌을 일으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부(100)의 형상은 원통, 플레이트, 정육면체, 직육면체, 정다면체, 다각기둥, 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다각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부(100)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으나, 한 면의 길이가 0.5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작업전극(113)은 전극 반응에 직접 참가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전극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작업전극(113)은 반응 용액 중의 산화환원종이 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전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전극(113)은 탄소 섬유, 인듐, 산화주석, 불소도핑 산화주석, 보론도핑 다이아몬드, 금, 은, 백금, 구리, 니켈 등 금속 및 비금속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작업전극(113)은 탄소로 구성될 수 있다.The wor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전극(113) 표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 구형, 반구형 또는 비정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구형, 반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이 전극 중심으로부터 전극 가장자리까지의 최대거리가 일정한 것에 기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wor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전극(113)은 초미세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극 표면의 최대 대각선 길이가 5 내지 500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10μm 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or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부(100)에 장착되는 작업전극(113)은 1개, 또는 작업전극(113)의 표면의 최대대각선 길이가 상이한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작업전극(113)의 최대대각선 길이를 달리 하는 2개 이상의 작업전극(113)을 장착함으로써 상이한 크기를 갖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존재 여부, 그의 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orking
기준전극(112)은 전위 측정 시 단극전위가 일정하여 기준이 될 수 있는 전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전극(112)은 은(Ag)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Ag/Ag+ 일 수 있다.The
상대전극(111)은 작업전극(113) 또는 기준전극(112)과 짝지어 전극반응을 일으키는 전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르면, 상기 상대전극(111)은 백금(Pt), 금(Au) 산화이리듐(IrO2), 탄소(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업전극(113)의 면적보다 5배 이상 큰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전극일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전극(111) 및 기준전극(112)은 작업전극(113)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전극(113), 상대전극(111) 및/또는 기준전극(112)이 반응부(100) 내에 장착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반응부(100) 벽에 부착되는 것보다는 반응부(100) 벽과 이격되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전극(112)과 작업전극(113) 간의 거리에는 제한이 없으나, 1cm 이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반응용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1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hase-transfe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온도 제어부는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상변이하기 적합한 온도로 열을 교환하여 상기 반응용액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제어부는 반응용액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 조절수단 및 상기 반응용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heat or cool the reaction solution by exchanging heat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phase change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reaction solu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온도조절 수단은 반응용액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온도조절장치로, 상기 반응용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여도 무관하다. 온도 조절수단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는 반응용액 내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단속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용액내의 온도는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상변이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emperature control means is a convention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reaction solution, as long as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in any form. The temperature in the reaction solution heated or cool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may be detected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in the reaction solution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phase-sensitive polymer phase change.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반응부(100)에 배치되어 반용용액의 온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반응 용액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 조절수단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한편, 온도 조절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변이를 위한 수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외부 온도에 의해 그 성질이 바뀌는 고분자로,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 또는 부피 상전이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is a means for the phase chang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a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s a polymer whose properties are chang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and means a polymer in which reversible sol-gel phase transition or volume phase transition occurs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refers to a polymer in which reversible sol-gel phase transition occurs at a specific tempera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고분자일 수 있으며, 상기 LCST 고분자는 온도변화에 따라 졸-겔 상전이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LCST 고분자는, 온도 변화에 따라 액체에서 고체로 상전이되며,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를 가진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CST 고분자는 PAES-OH 일 수 있으며, 상기 LCST 고분자는 33 ℃ 이상에서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polymer, and the LCST polymer may exhibit sol-gel phase transition behavior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More specifically, the LCST polymer is phase-changed from liquid to soli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and has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For example, the LCST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ES-OH, and the LCST polymer may exist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at 33 ° C. or highe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상전이 측정장치는 33 ℃ 이상에서 단일입자 형태(겔 형태)로 존재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LCST 고분자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LCST 고분자를 함유하는 반응용액의 온도를 33 ℃ 이상으로 승온시켜 상기 LCST 고분자를 단일입자 형태로 존재하게 하고, 이때, 단일입자 충돌법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200)로 전류 변화값을 측정할 수 있다.That is,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hase transi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CST polymer which is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resent in a single particle form (gel form) at 33 ° C. or higher. In particular,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LCST polymer to 33 ℃ or more so that the LCST polymer in the form of a single particle, at this time, the current change value to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는 하한임계용액온도(LCST) 이상에서, 반응 용액 내에 존재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작업전극(113)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시 발생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는 전기화학적 측정부(200)를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하한임계용액온도(LCST) 이상에서, 반응 용액 내에 존재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작업전극(113)의 표면에 충돌 또는 흡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의 세기 변화값을 측정부(200)로 측정하고, 그 결과 값을 분석함으로써,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존재 유/무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Above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the change in intensity of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present in the reaction solution colliding or adsorb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ing
특정 양태로서, 상기 측정부(200)는 탁도 측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탁도 측정수단은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미분자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혼탁측정기로, 수중을 투과하는 빛이 분산입자에 의하여 반사 또는 산란되는 정도를 표준액과 비교하는 방법의 탁도 측정수단일 수 있으며, 또는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측정법을 이용한 탁도 측정수단일 수 있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measuring
예컨대, 상기 탁도 측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정부(200)에서 도출한 전류의 세기와 상기 탁도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탁도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존재 유/무와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by further including the turbidity measuring means, by us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derived from the measuring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상변이 장치는 측정부(200)에서 측정한 전류변화를 통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유/무와 농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측정부(200)에서 측정한 전류변화와 탁도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반응용액의 탁도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존재 유/무와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hase sh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the presence / absence and concentr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through the current change measured by the measur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상변이 장치는 작업전극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류의 세기 변화를 표시하는 출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0)는 통상적인 출력장치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phase sh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전극부(110) 내의 세 전극은 연속적인 전해질 수용액 속에 담겨있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각 전극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막을 통해 전해질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The three electrodes in the
아울러, 반응 용액은 전극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이온 등 물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산화환원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 용액은 반응부(100) 내에서 작업전극과의 충돌과정을 일으키는 동안 일정 시간 저장됨에 기인하여 추가의 저장부 내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ction solution serves to provide materials such as various ions for performing the electrode reaction,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to be measured, and may include a redox species.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stored in the additional storage due to being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collision process with the working electrode in the
이와 같은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는 수질오염 분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Such a phase-transfer measuring device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may be used for water pollution analysis.
이하, 초미세전극(ultra-microelectrode, UME)에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전기 화학적 충돌을 이용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존재 유무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using an electrochemical collis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in an ultra-microelectrode (UME), not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but also an example and an experimental exampl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제조예Production Example>>
제조예Production Example 1. 작업전극의 제조 1. Preparation of working electrode
작업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UME 를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 모세관을 아세톤, 에탄올 및 증류수로 세척한 후, 직경 10㎛의 탄소 섬유를 모세관에 밀봉하였다. 그 후, 상기 전극을 경면(mirror finish)과 같이 되도록 다이아몬드 막(0.1 μm, Allied High Tech Products, Inc.)과 알루미나 분말(0.05㎛, Allied High Tech Products, Inc.)로 연마하였다.UME was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procedures to prepare working electrodes. More specifically, after the glass capillary was washed with acetone, ethanol and distilled water,
그리고, UME 를 제조한 후, 상기 전극을 페로센 메탄올 용액 중의 표준 산화환원 전기화학으로 테스트 하였다.And, after preparing UME, the electrode was tested by standard redox electrochemistry in ferrocene methanol solution.
각각의 실험 전에, 제조한 작업전극은 아세톤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고, 0.1 ㎛ 다이아몬드 패드의 증류수로 연마한 다음 실험전에 건조하였다.Before each experiment, the working electrode was washed with acetone and ethanol, ground with distilled water of 0.1 μm diamond pad and then dried before the experiment.
<실험준비><Preparation for Experiment>
1. 시료준비1. Sample Preparation
2-메르캅토 에탄올(2-Mercaptoethanol),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안드라센(99%) (anthracene),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 비스(트리플루로메틸술포닐) 아미드(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 amide, IL-PA), 무수 디메틸 설폭사이드(anhydrous dimethyl sulfoxide, DMSO), 무수 N,N 디메틸포름아마이드(anhydrous N,N-dimethylformamide, DMF), 무수 벤젠(anhydrous benzene), LiBr (>99%), 및 1,2-다이메톡시에테인(1,2-dimethoxyethane, DME) 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에서 구입하였으며,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2-mercaptoethanol,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andracene (99%) (anthracene), trihexyltetra 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 amide (IL-PA), anhydrous dimethyl sulfoxide (DMSO), anhydrous N, N dimethylformamide (anhydrous N, N- dimethylformamide, DMF), anhydrous benzene, LiBr (> 99%), and 1,2-dimethoxyethane (DME) are sigma-Aldrich, St. Louis, MO , USA) and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아울러, 4-플루오르-4'-하이드록시디페틸 술폰 및 4-플루오르-4'-하이드록시페닐 술폰 칼륨염은 다음 문헌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Yokozawa, T.; Taniguchi, T.; Suzuki, Y.; Yokoyama, 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2, 40 (20), 3460-3464.).In addition, 4-fluoro-4'-hydroxydifetyl sulfone and 4-fluoro-4'-hydroxyphenyl sulfone potassium salts wer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disclosed in (Yokozawa, T .; Taniguchi, T .; Suzuki). Yokoyama, A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002, 40 (20), 3460-3464.).
2. 측정장치2. Measuring device
전기화학적 실험은 작업전극으로 10㎛ 직경의 탄소 초미세전극(C-UME), 상대전극으로 백금 와이어(Pt wire) 및 기준전극으로 은 와이어(Ag wire)를 포함하는 3전극 셀로 구성된 CHI617B 포텐시오스텟(CH Instrument Inc., Austin, TX)의 전위차계로 수행되었다.The electrochemical experiments consisted of a CHI617B potentiometer consisting of a three-electrode cell comprising a carbon micro fine electrode (C-UME) with a diameter of 10 µm as a working electrode, a platinum wire as a counter electrode, and an Ag wire as a reference electrode. It was performed with potentiometer of Stat (CH Instrument Inc., Austin, TX).
온도와 관련된 모든 실험은 디지털 핫플레이트 교반기 Maxtir 500 (Daihan, Seoul, Korea) 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모든 실험은 5mL 비커형 셀에 설치하였다. 셀을 교반기/핫 플레이트 상의 수조에 넣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였다.All experiments involving temperature were performed using a digital hotplate stirrer Maxtir 500 (Daihan, Seoul, Korea) and all experiments were installed in 5 mL beaker cells. The cell was placed in a water bath on a stirrer / hot plate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아울러, 합성된 화합물의 NMR 스펙트럼은 Bruker Fourier Transform Avance 400 spectrometer 분광기로 기록하였다. NMR 화학적 쉬프트는 잔류 DMSO-d6 의 피크(1H 의 경우, 2.49 ppm) 를 기준으로 백만 분율(ppm) 으로 보고되었다.In addition, the NMR spectrum of the synthesized compound was recorded by Bruker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다이어그램은 35 ℃ 에서 용리액으로 DMF (with 0.05 M LiBr) 를 사용하는 굴절률 검출기 및 패킹 컬럼(PLgel 10 μm MIXED-B) 이 장착된 Agilent 1260 인피니티 시스템(Santa Clara, CA)으로 얻었다.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diagram shows Agilent 1260 Infiniti system (Santa Clara, CA) with refractive index detector and packing column (
중합체의 분자량은 선형 폴리스티렌 표준으로 계산하였으며, DLS 측정은 ELSZ-2000 시스템(Otsuka Electronics Co.) 을 사용하였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was calculated by linear polystyrene standards, and the DLS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the ELSZ-2000 system (Otsuka Electronics Co.).
3. LCST 고분자 합성3. LCST Polymer Synthesis
3-1. 1-(3-1. One-(알릴옥시Allyloxy)-4-((4-) -4-((4-플루오르페닐Fluorophenyl))설포닐Sulfonyl) 벤젠 (1-() Benzene (1- (allyloxyallyloxy)-4-((4-fluorophenyl) sulfonyl) benzene)의 합성Synthesis of) -4-((4-fluorophenyl) sulfonyl) benzene)
4-플루오르-4'-하이드록시디페틸 술폰 9.00g (35.68 mmol), 알릴 브로마이드 21.58 g (178.40 mmol), 탄산칼륨(K2CO3) 24.66 g (178.4 mmol) 및 무수 DMF 200 ㎖ 를 500 ㎖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 70 ℃에서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 하였다.9.00 g (35.68 mmol) of 4-fluoro-4'-hydroxydifetyl sulfone, 21.58 g (178.40 mmol) of allyl bromide, 24.66 g (178.4 mmol) of potassium carbonate (K2 CO3 ) and 200 ml of anhydrous DMF Add to the round bottom flask and mix. The reaction mixture was continuously stirred at 70 ° C. for 16 hour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으며, 유기층은 물과 염수로 세척하였다.The reaction mixture was poured into water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the organic layer was washed with water and brine.
그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 (MgSO4)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정제하였다(테트라하이드로퓨란/헥산 = 1:2). 그리고, 생성물은 클로로포름/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을 수득하였으며(5.09g, 수율 49%), 수득된 화합물은1H-NMR (도 5)으로 확인하였다 (1H NMR (DMSO-d6, 400 MHz, ppm): 7.99 (dd, J = 8.9, 5.1 Hz, 2H), 7.87 (d, J = 8.9 Hz, 2H), 7.43 (t, J = 8.8 Hz, 2H), 7.13 (d, J = 8.9 Hz, 2H), 6.05-5.96 (m, 1H), 5.38 (dd, J = 17.2, 1.7 Hz, 1H), 5.26 (dd, J = 10.6, 1.5 Hz, 1H), 4.65 (d, J = 5.3 Hz, 2H)).After drying over anhydrous magnesium sulfate (MgSO4 ), the solvent was evaporated and the residue was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tetrahydrofuran / hexane = 1: 2). The product was then recrystallized from chloroform / hexanes to give white crystals (5.09 g, yield 49%), and the obtained compound was confirmed by1 H-NMR (FIG. 5) (1 H NMR (DMSO-
3-2. 알릴-PAES (Allyl-PAES) 의 합성3-2. Synthesis of Allyl-PAES
질소 주입구, 딘-스타크 트랩(Dean-Strak trap)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50 ㎖의 3구 환저 플라스크(three-neck round-bottom flask) 에 4-플루오르-4'-하이드록시페닐 술폰 칼륨염(4-fluoro-4´-hydroxydiphenyl sulfone potassium salt) 3.00 g(10.33 mmol), 1-(알릴록시)-4-((4-플루오르페닐)술포닐)벤젠(1-(allyloxy)-4-((4-fluorophenyl)sulfonyl)benzene) 0.30 g(1.03 mmol), 18-크라운-6-에테르(18-crown-6-ether) 2.73 g(10.33 mmol) 및 무수 DMSO 60 ㎖ 첨가하여 혼합하였다.In a 50 ml three-neck round-bottom flask equipped with a nitrogen inlet, Dean-Strak trap and reflux condenser, 4-fluoro-4'-hydroxyphenyl sulfone potassium salt ( 4-fluoro-4´-hydroxydiphenyl sulfone potassium salt) 3.00 g (10.33 mmol), 1- (allyloxy) -4-((4-fluorophenyl) sulfonyl) benzene (1- (allyloxy) -4-(( 0.30 g (1.03 mmol) of 4-fluorophenyl) sulfonyl) benzene), 2.73 g (10.33 mmol) of 18-crown-6-ether, and 60 ml of anhydrous DMSO were added and mixed.
그리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80 ℃ 로 가열하였으며, 물을 2시간동안 벤젠과의 공비증류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그 후, 온도를 100 ℃ 로 올리고, 반응 혼합물을 7일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함유 메탄올에 부었다.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heated to 80 ° C. and water was removed using azeotropic distillation with benzene for 2 hours.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00 ° C. and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for 7 days. After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poured into methanol containing acetic acid.
다음으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Mn: 1.86 Х 104 g/mol, PDI: 1.15). 수득된 화합물은1H-NMR (도 6)으로 확인하였다.Next, the solid was filtered and dried under vacuum to give the product (Mn: 1.86 Х 104 g / mol, PDI: 1.15). The obtained compound was confirmed by1 H-NMR (FIG. 6).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ThiolThiol--eneene 클릭 반응( Click response (ClickClickreactionreaction)을 통한)throughPAESPAES--OHOH 합성 synthesis
사슬 배양 중축합(chain growth polycondensation)을 거치는 4-플루오르-4'-하이드록시페닐 술폰 칼륨염의 1-(알릴옥시) 벤젠과의 중축합은 알릴-PAES 를 PAES 를 형성하여, 결국 티올엔 클릭 반응을 통해 PAES-OH 를 생성하였다.Polycondensation of 4-fluoro-4'-hydroxyphenyl sulfone potassium salt with 1- (allyloxy) benzene through chain growth polycondensation results in allyl-PAES forming PAES, resulting in a thiolene click reaction PAES-OH was produced through.
보다 구체적으로, 쉬링크 플라스크에 3-2에서 합성한 알릴-PAES 1.00 g, DMPA 4.267 g(16.65 mmol), 2-메르캅토 에탄올 2.60 g(33.30 mmol) 및 DMF 10 ㎖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동결 펌프 해동 사이클을 3번 반복 수행하였으며, 365 nm 파장의 자외선 램프(4W) 로 6시간 조사하였다.More specifically, 1.00 g of allyl-PAES synthesized in 3-2, 4.267 g (16.65 mmol) of DMPA, 2.60 g (33.30 mmol) of 2-mercapto ethanol and 10 mL of DMF were added to the shrink flask and mixed. Thereafter, the freeze pump thawing cycle was repeated three times, and irradiated for 6 hours with an ultraviolet lamp (4W) having a wavelength of 365 nm.
그리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에 부었으며,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여 건조시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Mn: 2.01 Х 104 g/mol, PDI: 1.14).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poured into methanol, and the solids were filtered and dried in vacuo to yield the product (Mn: 2.01 Х 104 g / mol, PDI: 1.14).
한편, 수득한 LCST 고분자 PAES-OH 구조는 DME 를 사용하여 온도 반응 특성을 조사하기 전에1H-NMR (도 7)으로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obtained LCST polymer PAES-OH structure was confirmed by1 H-NMR (Fig. 7) before examining the temperature reaction characteristics using DME.
아울러, 도 8 (a) 알릴-PAES 및 (b) PAES-OH (클로로포름, PS 표준) 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n addi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profile of FIG. 8 (a) allyl-PAES and (b) PAES-OH (chloroform, PS standard).
도 8은 참조하면, 아릴-PAES 는 PAES-OH 와 거의 동일한 PDI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aryl-PAES has almost the same PDI value as PAES-OH.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LSCTLSCT 고분자의 전기화학측정 Electrochemical Measurement of Polymers
유기 매질에서 통상적인 산화 환원 물질인 안트라센(anthracene) 을 산화 환원 종으로 선택하였고, IL-PA 는 전해질로 사용하였다.Anthracene, a common redox material in organic media, was chosen as the redox species, and IL-PA was used as the electrolyte.
그리고, UME 를 이용하여, 각각 실온(RT)과 50 ℃ 의 온도에서 사이클릭볼타메트리(cyclic voltammetry)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DME 에서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의 혼합물에 대하여 일련의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yclic voltammetry)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And cyclic voltammetry was analyzed using UME at the temperature of room temperature (RT) and 50 degreeC, respectively. Specifically, a series of cyclic voltammetry was measured for a mixture of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in DME.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도 9(a) 는 DME 용액에 1mM 안트라센, 100 mM 의 IL-PA 를 혼합한 혼합물에 (a) PAES-OH 를 포함하지 않고, (b) 4 mg 의 PAES-OH 를 포함하였을 때, C-UME 를 사용하여 50 mV/s 의 스캔 속도로 측정한 CVs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a) is a mixture of 1 mM anthracene, 100 mM IL-PA in the DME solution (a) does not contain PAES-OH, (b) 4 mg of PAES-OH, when C- The figure which shows CVs measured by the scan speed of 50 mV / s using UME.
한편, iss 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안트라센 산화의 iss는 다음의 수학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iss in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e iss of anthracene oxid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Equation 1]
iss = 4nFDAnCriss = 4 nFDAn Cr
여기서, n은 반응에서 전달된 전자의 수이며, F는 패러데이상수(96485 C/mol), DAn 은 안트라센의 확산계수 (cm2/s) 이다. 아울러, C는 안트라센의 초기 농도(M) 이며, r은 C-UME 의 반경(5㎛) 이다.Where n is the number of electrons transferred in the reaction, F is the Faraday constant (96485 C / mol), and DAn is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anthracene (cm2 / s). In addition, C is the initial concentration (M) of anthracene, r is the radius (5㎛) of C-UME.
도 9를 참조하면,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에, iss 값은 실온에서 7.9 nA 였는데, 50 ℃ 에서는 16.7 nA 로 증가하였다. 이렇게 유사한 현상이 4mg 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CVs 에서 관찰되었다(실온에서 5.5nA → 50 ℃ 에서 6.2 nA).Referring to FIG. 9, since the temperature rose, the value of iss was 7.9 nA at room temperature, but increased to 16.7 nA at 50 ° C. This similar phenomenon was observed in CVs of mixtures containing 4 mg of polymer (5.5 nA at room temperature → 6.2 nA at 50 ° C.).
한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안트라센의 양극 전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iss는 DAn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Stokes-Einstein 방정식(수학식 2)에 의해 용액의 η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clusion of a polymer negatively affects the anode current of anthracene. As can be seen from
[수학식 2][Equation 2]
여기서, kB는 불츠만 상수(1.38 × 10-23 J/K)이며, T는 온도(K), η 는 용액의 절대 점도(Pa·s), rAn 은 확산 종의 반경 (0.2 nm) 이다. 참고로, CV 로부터 계산된 DME 의 확산 계수 및 점도는 아래의 표 1에 개시하였다.Where kB is the Butzmann constant (1.38 × 10-23 J / K), T is the temperature (K), η is the absolute viscosity of the solution (Pa · s), and rAn is the radius of the diffusion species (0.2 nm) to be. For reference,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viscosity of the DME calculated from CV are shown in Table 1 below.
도 9를 참조하면, 두 경우 모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트라센의 확산이 증가하였으며,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을 때는 2.13배 증가하였고 (2.04 × 10-5 cm2/s (RT), 4.33 × 10-5 cm2/s (50 ℃)), 중합체를 포함할 때는 1.13 배 증가하였다(1.43 ×10-5 cm2/s (RT), 1.61 × 10-5 cm2/s (50 ℃)).Referring to FIG. 9, in both cases, the diffusion of anthracen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2.13 times without the polymer (2.04 × 10−5 cm2 / s (RT), 4.33 × 10−5 cm2 / s (50 ° C.), 1.13 fold increase when including polymer (1.43 × 10−5 cm2 / s (RT), 1.61 × 10−5 cm2 / s (50 ° C.)).
반면, 온도 증가에 의해서 용매의 점도는 동일한 값만큼 감소하였다 ((a) PAES-OH 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5.36 × 10-4 Pa·s (RT) 및 2.73 × 10-4 Pa·s (50 ℃), (b) PAES-OH 를 포함하는 경우: 7.66 × 10-4 Pa·s (RT) 및 7.37 × 10-4 Pa·s (50 ℃)).On the other han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viscosity of the solvent decreased by the same value ((a) without PAES-OH: 5.36 × 10−4 Pa · s (RT) and 2.73 × 10−4 Pa · s (50 ° C), (b) with PAES-OH: 7.66 × 10−4 Pa · s (RT) and 7.37 × 10−4 Pa · s (50 ° C.)).
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전극 표면은 중합체 입자에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중합체 입자가 전극 표면에 흡착하여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This means that when the polymer is included, the electrode surface is affected by the polymer particle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polymer particles adsorb to the electrode surfa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더 낮은 스캔 속도(10mV/s)에서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To confirm this, furth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lower scan rates (10 mV / s).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도 10은 C-UME 를 사용하여, 50 mV/s 및 10 mV/s 의 스캔 속도로 4 mg 의 PAES-OH 를 포함하는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IL-Pa 가 혼합된 DME 용액의 CVs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실온(RT), (b) 50 ℃).FIG. 10 is a CVs value of a DME solution mixed with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containing 4 mg of PAES-OH at a scan rate of 50 mV / s and 10 mV / s using C-UME. (A) Room temperature (RT), (b) 50 degreeC.
한편, 스캔속도가 50 mV/s 일 때의 측정시간은 44초 였으며, 10 mV/s 일 때의 측정시간은 220 초였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time when the scan speed is 50 mV / s was 44 seconds, the measurement time when 10 mV / s was 220 seconds.
도 10을 참조하면, 스캔 속도가 10 mV/s 일 때의 측정 시간이 길기 때문에, 중합체 입자의 전극으로의 흡착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중합체 입자가 전극 표면에 흡착하는 것은 저항을 증가시킨다.Referring to FIG. 10, since the measurement time when the scan speed is 10 mV / s is long, the adsorp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to the electrode also appears to increase. And the adsorption of these polymer particles on the electrode surface increases the resistance.
따라서, 역방향 스캔은 순방향 스캔과 유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CV 결과에 따르면 1.4V는 차단 실험 동안 50 ℃에서 응집된 폴리머 입자의 충돌 이벤트를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했다.Thus, the reverse scan does not appear to be similar to the forward scan. On the other hand, the CV results showed that 1.4V was sufficient to observe the collision events of the polymer particles agglomerated at 50 ° C during the blocking experimen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LSCTLSCT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상전이 관찰 Phase transition observation of mixtures containing polymers
2-1.2-1.LSCTLSCT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탁도 변화 관찰 Observation of Turbidity Changes in Mixtures Containing Polymers
PAES-OH 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상전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과정을 도 11에 나타내었다.The phase transition of the mixture containing PAES-OH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process is shown in FIG. 11.
도 11(a) 는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하고 있는 DME 용액에 4 mg/mL 의 PAES-OH 를 포함할 때, 각각 상이한 온도에서의 시각적인 관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11(b)과 도 11(c) 는 각각 실온과 50 ℃ 에서 1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하고 있는 DME 용액에 다양한 농도의 PAES-OH 를 포함하였을 때 관찰한 도면이다.FIG. 11 (a) shows visual observ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when 4 mg / mL of PAES-OH was included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11 (b) and 11 (c) were observed when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were included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room temperature and 50 ° C., respectively. to be.
도 11을 참조하면, 용액 내에 고분자의 LCST 미만의 온도에서는 용액은 투명하고 균질 하였으나, LCST 이상의 온도에서는 약간의 유백색이 관찰되었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진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11, the solution was transparent and homogeneous at a temperature below the LCST of the polymer in the solution, but a slight milky color was observed at the temperature above the LCST,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2-2. 초미세전극 표면에서2-2. On the surface of the ultrafine electrodeLSCTLSCT 고분자의 검출 Detection of polymers
전류측정 시간-전류 (i-t) 곡선을 측정하여 UME 상의 고분자 입자의 충돌을 모니터링 하였다. 구체적으로, PAES-OH 농도가 4 mg/㎖ 일 때, 20 내지 55 ℃ 범위의 온도에서 UME 의 표면에서 고분자 입자 충돌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a) 20℃ (b) 25℃, (c) 30℃, (d) 35℃, (e) 40℃, (f) 45℃, (g) 50℃, (h) 55℃).Current measurement time-current (i-t) curves were measured to monitor the collision of polymer particles on the UME. Specifically, when the PAES-OH concentration was 4 mg / ml, polymer particle collision was monitored on the surface of the UME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0 to 55 ° C.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12 ((a) 20 degreeC (b) 25 degreeC, (c) 30 degreeC, (d) 35 degreeC, (e) 40 degreeC, (f) 45 degreeC, (g) 50 C, (h) 55 C).
도 12를 참조하면, 특정 신호는 35 ℃ 의 온도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이는 고분자의 응집에 의해서 발생되는 특정 충돌 신호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35 ℃ 에서 전류 변동에 의해서 몇 가지 충돌 신호가 측정되었으며, 이 온도에서 고분자의 응집(polymer aggregation)이 시작되어 다양한 크기의 고분자 입자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45 ℃ 에서 고분자 응집체가 거의 완성되어 명확한 충돌 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형상은 50 ℃와 55 ℃ 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열 유도 상분리 거동은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다분산성(polydispersity) 및 고분자 용액의 농도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a specific signal was first observed at a temperature of 35 ° C. This is judged to be a specific collision signal generated by the aggregation of the polymer. Specifically, some collision signals were measured by current fluctuation at 35 ° C., and at this temperature, polymer aggregation start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polymer particles of various sizes were produced. On the other hand, the polymer aggregate was almost completed at 45 ° C., and a clear collision signal could be observed. Such a shape was also observed at 50 degreeC and 55 degreeC. Thi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behavior can be easily changed by degree of polymerization, polydispersity and concentration of polymer solution.
실험예에서 전기 화학적 충돌 실험은 4mg/㎖ 고분자의 운점온도(Tcp, cloud-point temperature)가 35 ℃ 라는 것을 보여준다.In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electrochemical collision test shows that the cloud-point temperature (Tcp ) of the 4 mg / mL polymer is 35 ° C.
2-3.2-3.UVUV/Ofvisvis 투과율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ransmittance results
보다 정확한 운점 온도 (Tcp) 를 얻기 위하여, 실험예 2-2에서 측정한 결과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UV/vis 투과율 결과를 비교하였다. 한편, LCST 는 투과율이 초기값의 절반인 지점(50% 감소)로 설정된다.In order to obtain a more accurate cloud point temperature (Tcp ), the results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2 and UV / vis transmittance results commonly used were compared. On the other hand, LCST is set at the point where the transmittance is half of the initial value (50% decrease).
도 13은 4mg/㎖ 농도의 PAES-OH 용액의 UV/VIS 투과율 스펙트럼 및 광산란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4mg/㎖ 농도의 폴리머 용액은 UV/VIS 데이터로부터 33.2 ℃ 의 운점온도 (Tcp)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FIG. 13 is a graph showing UV / VIS transmittance spectrum and light scattering data of a PAES-OH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4 mg / ml. 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polymer solution of 4 mg / ml concentration has a cloud point temperature (Tcp ) of 33.2 ° C. from the UV / VIS data.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3.LSCTLSCT 고분자의 Polymer상전이에In phase transition 대한 전류변화 관찰 Observation of current change
블로킹 기술을 이용한 단일입자(에멀전, 라텍스 비즈, 박테리아 및 세포) 검출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계단 전류 감소가 관찰될 때마다 안정적인 전류 측정이 예측 되었다(도 14(a)).In previous studies on the detection of single particles (emulsions, latex beads, bacteria and cells) using blocking techniques, stable current measurements were predicted whenever step current reduction was observed (Figure 14 (a)).
그러나, 본 발명에서 측정되는 전류는 계단 전류가 감소한 직후 다시 증가하였다(도 15(b)).However, the current meas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again immediately after the step current decreased (Fig. 15 (b)).
이는 응집된 고분자의 구조에 의해 새롭게 발견한 현상이라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응집 과정 동안 고분자 입자는 여전히 산화, 환원 물질의 플럭스가 UME 전극 표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구조 상에 몇 개의 기공을 갖는다.This is considered to be a newly discovered phenomenon by the structure of the aggregated polymer. Specifically, during the aggregation process, the polymer particles still have some pores 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ux of the oxidizing and reducing material can move toward the surface of the UME electrode.
결과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전류가 측정되었다(도 15).As a result, a gradually increasing current was measured (FIG. 15).
도 15 는 50 ℃ 에서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를 함유한 용액에 포함된 4 mg/㎖ 농도의 PAES-OH 가 C-UME 의 표면에 충돌에 의해 발생된 전류값을 측정한 그래프이다.FIG. 15 shows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impact of PAES-OH at a concentration of 4 mg / ml contained in a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50 ° C. on the surface of C-UME. It is a graph.
도 15에서, 감소하는 전류 값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완화 시간(relaxation time)이라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4 mg/㎖ 의 PAES-OH 농도에서, 충돌 과정은 0.4 ± 0.2 초 동안 이루어졌으며, 완화 과정은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했다(보통 3.0 ± 0.7 이상).In FIG. 15, the time required to recover the decreasing current value is referred to as relaxation time. Referring to FIG. 15, at a PAES-OH concentration of 4 mg / ml, the collision process took place for 0.4 ± 0.2 seconds and the relaxation process required a fairly long time (usually 3.0 ± 0.7 or more).
온도가 LCST 포인트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충돌 실험에서 고분자는 수축되고 함께 응집되어 더 큰 고분자 입자를 형성하였다.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bove the LCST point, the polymer contracted and agglomerated together in collision experiments to form larger polymer particl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4.LSCTLSCT 고분자의 농도에 따른 전류변화 관찰 Observation of Current Change According to Polymer Concentration
실험예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LSCT 고분자의 충돌신호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충돌신호는 측정시에 일시적인 기록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1차 미분을 취함으로써 보다 쉽게 측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6과 도 17에 나타내었다.In the experimental example, collision signals of LSCT polymers of variou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Specifically, the collision signal could be measured more easily by taking the first derivative over time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y recording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the result is shown to FIG. 16 and FIG.
도 16은 50 ℃ 에서 1 mM 의 안트라센과 100 mM 의 IL-PA 을 함유한 DME 용액에서 C-UME 에 다양한 농도의 PAES-OH 고분자 입자 충돌에 의해서 측정된 i-t 곡선 및 1차 미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UME 는 +1.4V (vs Ag 와이어)로 바이어스 되었다.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it curve and the first derivative measured by collision of PAES-OH polymer partic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in C-UME in a DME solution containing 1 mM anthracene and 100 mM IL-PA at 50 ° C. . Meanwhile, UME was biased to + 1.4V (vs Ag wire).
도 17(a)는 충돌실험에서 PAES-OH 의 다양한 농도에 따른 충돌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50 ℃), 도 17(b)는 50 ℃ 에서 PAES-OH 의 다양한 농도에 대한 DLS 에 의해 측정된 응집된 고분자 입자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17 (a) is a graph showing the collision frequency according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in the collision test (50 ℃), Figure 17 (b) is measured by DLS for various concentrations of PAES-OH at 50 ℃ It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the aggregated polymer particles.
도 16 및 도 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충돌 빈도는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16 and 17, it can be seen that the collision frequency in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ncreases.
참고로, 도 17(b)를 참조하면, 고분자의 농도가 1mg/㎖ 일 때, 고분자 입자의 평균 직경은 평균 280nm 였으며, 이는 DLS 에 의해 측정된 직경으로, 고분자가 응집되지 않은 원래의 고분자의 크기이다. 이를 기반으로 도 17(a)와 비교하여 보면, 전기 화학실험에서 충돌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분자 입자가 1 mg/㎖ 농도에서 응집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ure 17 (b),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s 1mg /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lymer particles was an average of 280nm, which is the diameter measured by the DLS, of the original polymer is not agglomerated polymer Size. On the basis of this, as compared with FIG. 17A, it can be seen that a collision event was not detected in the electrochemical experiment. This means that the polymer particles do not aggregate at the concentration of 1 mg / ml.
아울러, 충돌 이벤트는 고분자의 농도가 2 mg/㎖ 로 증가하였을 때, 전기화학적 실험에서 관찰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고분자 입자의 평균 직경은 고분자의 농도가 1 mg/㎖ 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In addition, the collision event could be observed in the electrochemical experim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ncreased to 2 mg / ㎖, in this cas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lymer particles was almost the same as the concentration of the
고분자의 농도(입자의 수가 증가)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고분자들은 응집되어 더 큰 입자를 형성할 수 있었고, 이것은 전기화학적 실험에서 검출가능 하였다.As the concentration of polymer (increased number of particles) increased, the polymers could aggregate to form larger particles, which were detectable in electrochemical experiments.
특히, 고분자의 농도가 3 mg/㎖ 로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크고 많은 충돌 신호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4, 5, 6 mg/㎖ 의 고분자에서 전류의 크기는 약간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한 결과는 DLS 실험에서도 관찰되었다(도 18 참조).In particular, larger and more collision signals were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of polymer increased to 3 mg / ml. And, at 4, 5, 6 mg / ㎖ of polymer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lightly increased.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DLS experiments (see FIG. 18).
DLS 결과는 고분자의 농도가 3 mg/㎖ 에 도달하면,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크기 분포가 급격히 증가하며 입자 수 또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낸다.The DLS results indicate tha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reaches 3 mg / ml, the average size distribution rapidly increases and the number of particles also in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ncreases.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기 화학적 방법의 충돌 빈도수와 DLS 결과의 직경 크기 데이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From thes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ision frequency of the electrochemical method and the diameter size data of the DLS results can be observed.
10: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상전이 측정장치
100: 반응부
110: 전극부 111: 상대전극
112: 기준전극 113: 작업전극
120: 온도제어부
200: 측정부
300: 출력부10: phase transition measuring device of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100: reaction part
110: electrode portion 111: counter electrode
112: reference electrode 113: working electrode
120: temperature control unit
200: measuring unit
300: output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5550AKR102192043B1 (en) | 2018-08-16 | 2018-08-16 | A method for measuring phase transition of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a devic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5550AKR102192043B1 (en) | 2018-08-16 | 2018-08-16 | A method for measuring phase transition of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a devic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0170Atrue KR20200020170A (en) | 2020-02-26 |
| KR102192043B1 KR102192043B1 (en) | 2020-12-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95550AActiveKR102192043B1 (en) | 2018-08-16 | 2018-08-16 | A method for measuring phase transition of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a devic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204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18605A (en)* | 2020-03-23 | 2021-10-0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system comprising capsule |
| KR102382505B1 (en)* | 2021-10-22 | 2022-04-08 | 한국지능형포장산업(주) | Visual indicators of time exceeding a certain temperature using thermo sensitive polymers |
| KR20230135871A (en)* | 2022-03-17 | 2023-09-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vice for estimating a phase transfer rate of a material through a single droplet and a method for estimating a phase transfer rate of a material through a single drople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13003B1 (en)* | 2021-08-03 | 2023-03-21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Emulsion droplets analysis apparatus and emulsion droplets analysis method |
| KR102596331B1 (en) | 2022-05-17 | 2023-10-31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Neurotransmitter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providing measuring result of neurotransmitter concentration based on second derivative in fast-scan cyclic voltammetry and method thereof |
| WO2024091061A1 (en)* | 2022-10-28 | 2024-05-02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thermoamperometry and thermocoulometry, and analysis method using same |
| KR20240135184A (en) | 2023-03-03 | 2024-09-1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Neurotransmitter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long time measuring results of concentration for various neurotransmitter based on fast-scan cyclic voltammetry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07051A1 (en)* | 2002-03-20 | 2004-01-15 | Purdue Research Foundation | Microscale sensor element and related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20160146514A (en)* | 2015-06-12 | 2016-12-2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Glucose control system, method for forming the clucos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ucose using the clucose control system |
| KR101776110B1 (en) | 2015-05-21 | 2017-09-1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nanoparticles with fluorescenc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07051A1 (en)* | 2002-03-20 | 2004-01-15 | Purdue Research Foundation | Microscale sensor element and related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101776110B1 (en) | 2015-05-21 | 2017-09-1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nanoparticles with fluorescenc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same |
| KR20160146514A (en)* | 2015-06-12 | 2016-12-2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Glucose control system, method for forming the clucos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ucose using the clucose control system |
| Title |
|---|
| Thermosensitive hydrogel-carbon nanoparticle composit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18605A (en)* | 2020-03-23 | 2021-10-0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system comprising capsule |
| KR102382505B1 (en)* | 2021-10-22 | 2022-04-08 | 한국지능형포장산업(주) | Visual indicators of time exceeding a certain temperature using thermo sensitive polymers |
| KR20230135871A (en)* | 2022-03-17 | 2023-09-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vice for estimating a phase transfer rate of a material through a single droplet and a method for estimating a phase transfer rate of a material through a single drople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92043B1 (en) | 2020-12-1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92043B1 (en) | A method for measuring phase transition of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a devic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 |
| Kang et al. | pH-induced solubility transition of sulfonamide-based polymers | |
| Uchiyama et al. | Fluorescent molecular thermometers based on polymers showing temperature-induced phase transitions and labeled with polarity-responsive benzofurazans | |
| Skrabania et al. | Design, synthesis, and aqueous aggregation behavior of nonionic single and multiple thermoresponsive polymers | |
| Vázquez et al. | Solution-cast films of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as ion-to-electron transducers in all-solid-state ion-selective electrodes | |
| CA1071304A (en) | Electrochemical gas detectors | |
| US6797152B2 (en) | Sensors and sensing methods for detecting analytes based on changes in pKa of a sensing polymer | |
| Grant et al. | Microviscosity in Multiple Regions of Complex Aqueous Solutions of Poly (ethylene oxide)− Poly (propylene oxide)− Poly (ethylene oxide) | |
| Yu et al. | Charge‐specific interactions in segmented conducting polymers: an approach to selective ionoresistive responses | |
| Zhang et al. | NMR investigation of effect of dissolved salts on the thermoresponsive behavior of oligo (ethylene glycol)‐methacrylate‐based polymers | |
| KR102327269B1 (en) | Polymer molecular weigh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 |
| Huang et al. | Novel acid‐labile, Thermoresponsive poly (methacrylamide) s with pendent Ortho Ester moieties | |
| Tyurin et al. | The electrochemical approach to antioxidant activity assay of metal complexes with dipicolylamine ligand, containing 2, 6-di-tert-butylphenol groups, based on electrochemical DPPH-test | |
| Burç et al. |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curcumin in spices using platinum electrode electrochemically modified with poly (vanillin-co-caffeic acid) | |
| Hoang et al. | Observing phase transition of a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using electrochemical collisions on an ultramicroelectrode | |
| Wagner et al. |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hermo‐induced self‐assembly of thermo‐responsive PDMAEMA‐b‐PDEGMA copolymers | |
| Horiuchi et al. | Fluorescence probe studies of hydrophobic domains in a model hydrophobically modified alkali-swellable emulsion (HASE) polymer with C20H41 groups | |
| Mizuta et al. | A lipophilic ionic liquid-based dye for anion optodes: importance of dye lipophilicity and application to heparin measurement | |
| Wu et al. | Synthesis and Aggregation Behaviors of Well‐Defined Thermoresponsive Pentablock Terpolymers With Tunable LCST | |
| Jadon et al. | PANI/chitosan/ionic liquid/GCE sensor for the selective quantification of domperidone (DMP) and pantoprazole (PTZ) | |
| Fu et al. | Redox-controlled ‘smart’polyacrylamide solubility | |
| Raşa et al. | Progress in the characterization of synthetic (supramolecular) polymers by analytical ultracentrifugation | |
| Chee et al. | Fluorescence investigations of the conformational behaviour of Poly (N-vinylcaprolactam) | |
| Heras et al. | Ascorbate amperometric determination using conducting copolymers from aniline and N-(3-propane sulfonic acid) aniline | |
| Yang et al. |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uminescence Detection of 2, 6-Dipicolinic Acid and Levofloxacin Based on a High-Nuclearity Eu (III) Nanomolecular Senso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8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9121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009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121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0121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91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