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00001393U - Head of wet cleaner - Google Patents

Head of we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93U
KR20200001393UKR2020180005886UKR20180005886UKR20200001393UKR 20200001393 UKR20200001393 UKR 20200001393UKR 2020180005886 UKR2020180005886 UKR 2020180005886UKR 20180005886 UKR20180005886 UKR 20180005886UKR 20200001393 UKR20200001393 UKR 202000013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leaner
mop
extension
head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흥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filedCritical주식회사 길
Priority to KR2020180005886UpriorityCriticalpatent/KR20200001393U/en
Publication of KR20200001393U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00001393U/en
Abandon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고안은 물걸레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는, 일 측에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전원연결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가 내부에 구비된 헤드 본체부;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각각 걸레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 본체부 하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걸레 청소기 헤드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장부가 소정의 각도로 꺾일 수 있어, 사용자가 엎드리는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물걸레 청소기 헤드를 소파나 침대 밑으로 넣을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cleaner head, the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cleaner body on one side, from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 head main body unit provided with one or more rotary motor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and supplied with power; A pair of rotating parts which are disposed under the head body part,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one or more rotating motors, and each mop is coupled; And an extens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the head body part and the cleaner body, and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under the head body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part by driving the cleaner body. And, the extension may be formed such that a hollow is formed inside and the middle por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re transferred to the cleaner body. Since the extension part connecting the mop cleaner head and the cleaner body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op cleaner head can be put under the sofa or bed even if the user does not lean down, so there is an effect of more convenient cleaning.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물걸레 청소기 헤드{HEAD OF WET CLEANER}Mop cleaner head{HEAD OF WET CLEANER}

본 고안은 물걸레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헤드에 물걸레 기능이 추가된 물걸레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p cleaner h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p cleaner head having a mop function added to the head of a vacuum cleaner.

진공청소기는 집안 등의 실내에서 바닥 등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바닥과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에는 용이하지만,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혹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Vacuum cleaners are used to clean floors, etc., in the interior of the house. The vacuum cleaner may remove dust or small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floor by using a vacuum. However, such a vacuum cleaner is easy to remove dirt or foreign matter tha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loo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dirt, grease, or food residues and the like that have adhered to the floor.

그에 따라 최근 이렇게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 기름때 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쉽게 청소하기 위해 스팀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진동이나 회전되어 걸레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도 출시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steam clean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easily clean dust, grease, or food residues stuck to the floor. In addition, a water mop clean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by vibration or rotation has been relea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팀청소기나 물걸레 청소기는 지저분한 바닥을 청소할 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청소를 한 다음, 스팀청소기나 물걸레 청소기를 이용하여 재차 청소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cleaning a dirty floor with a steam cleaner or a mop cleaner, it is not effective to use it alone, and is first cleaned using a vacuum cleaner, and then cleaned again using a steam cleaner or a mop cleaner There is a hassle to do.

그렇지 않고,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팀청소기나 물걸레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바닥의 이물질이 걸레에 그대로 묻어 이동되거나 바닥에 남아 다시 청소를 하여야 한다. 특히 물걸레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젖는 경우, 오히려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therwise, when cleaning with a vacuum cleaner or a mop cleaner without cleaning with a vacuum cleaner, the foreign matter on the floor must be transferred to the mop or left on the floor to be cleaned again. In particular, when dust or a foreign substance gets wet by a mop, a problem may arise that the floor becomes dirt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0891호 (2018.09.1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0891 (2018.09.12)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을 때,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p cleaner head capable of remov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when wiping the floor using a mop.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는, 일 측에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전원연결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가 내부에 구비된 헤드 본체부;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각각 걸레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 본체부 하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cleaner body on one side, and is power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cleaner body through a power connection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 head body part having one or more rotating motors provided therein; A pair of rotating parts which are disposed under the head body part,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one or more rotating motors, and each mop is coupled; And an extens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the head body part and the cleaner body, and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under the head body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part by driving the cleaner body. And, the extension may be formed such that a hollow is formed inside and the middle por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re transferred to the cleaner body.

상기 연장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연장부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장부재; 및 상기 제2 연장부재가 상기 제1 연장부재에서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강부재를 연결하는 꺾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 hollow is formed, a first extension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e hollow being form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end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ild steel members so that the second extending member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extending member.

상기 꺾임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재는 90도 이상 180 이하의 각도로 꺾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members may be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by the bending member.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재는 상기 꺾임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꺾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members may be bent so that the bend member is located under the cleaner body.

상기 한 쌍의 회전부 각각은 상기 헤드 본체부의 전방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rotating parts is rotated from the front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head body part, and may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 본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브러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and further includes a brush disposed to be rotatable in the head body portion, the brush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rotation ax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disposed on the head body portion so as to rotate accordingly.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소정의 길이로 홈의 형상으로 흡입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guid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main body in the shape of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상기 흡입가이드가 형성된 길이는 상기 브러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in which the suction guide is formed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rush.

상기 걸레는 일면 및 타면 중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p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rotating parts amo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본 고안에 의하면, 물걸레로 바닥을 청소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구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므로, 물걸레질과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leaning the floor with a water mop, dust o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is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so there is an effect of simultaneously cleaning with a mop and a vacuum cleaner.

더욱이, 물걸레 청소기 헤드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장부가 소정의 각도로 꺾일 수 있어, 사용자가 엎드리는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물걸레 청소기 헤드를 소파나 침대 밑으로 넣을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ince the extension part connecting the mop cleaner head and the cleaner body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op cleaner head can be put under the sofa or bed eve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 prone motion, so there is an effect of more convenient cleaning.

또한,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전방 측에 회전하는 브러시가 배치되어, 물걸레 청소기 헤드가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주변의 먼지 등이 브러시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rotating brush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p cleaner head, and the mop cleaner head rotates while moving, so that surrounding dust and the like can be more smoothly sucked through the brush.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연장부가 꺾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of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3 is a view showing a side of the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연장부가 꺾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of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t is a drawing show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ide of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a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clean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진공청소기의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mop cleaner hea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being coupled to thecleaner body 200 of a vacuum cleaner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mop cleaner head 100 as shown. have.

먼저, 진공청소기는 본 실시예에서, 무선 진공청소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무선 진공청소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의 청소기 본체(200)는,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함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나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First, the vacuum cleaner is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as a wireless vacuum cleaner, but is not limited to the wireless vacuum cleaner, and may be used in the case of a wired vacuum cleaner. The cleanermain body 200 of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motor therein to form a vacuum by driving the motor to inhale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a storage box for receiv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therein may be provided, and power may be supplied from a battery or a commercial power supply.

그리고 진공청소기는 연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지만, 연장부(210)에는 청소기 본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장라인이 내부에 연장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210)는 일 측은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는 청소기 본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nextension part 210.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an extension line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cleaner body 200 may be embedded in theextension par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extension part 210. To this end, one side of theextension 210 may be coupled to thecleaner body 20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mop cleaner he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mop cleaner head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cleaner body 200.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연장부재(212), 제2 연장부재(214) 및 꺾임부재(216)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재(212)는 일단이 청소기 본체(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꺾임부재(216)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재(214)는 일단이 꺾임부재(216)에 연결되며, 타단이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에 결합될 수 있다. 꺾임부재(216)는 제1 연장부재(212) 및 제2 연장부재(214)를 연결하며, 제1 연장부재(212)와 제2 연장부재(214)가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또는 회전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extension portion 210 may be bent,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for this purpose,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and thebending member 216 are Includes.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has one end coupled to thecleaner body 2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bending member 216. One end of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is connected to thebending member 216, and the other end of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may be coupled to themop cleaner head 100. Thebending member 216 connects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and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r rotated) As much as possible).

제1 연장부재(212) 및 제2 연장부재(214)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꺾임부재(216)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꺾임부재(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212) 및 제2 연장부재(214)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내부에 회전축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연장부재(212) 및 제2 연장부재(214)는 일 측 방향으로만 꺾일 수 있는데, 꺾임부재(216)가 제1 연장부재(212)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는 방향으로만 꺾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재(214)가 수평 방향에 근접하고, 제1 연장부재(212)가 수직 방향에 근접하도록 꺾일 때, 꺾임부재(216)의 위치는 제1 연장부재(212)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재(212)와 제2 연장부재(214)가 꺾임에 따라 제1 연장부재(212) 및 제2 연장부재(214)가 이루는 각도(θ)는 약 90도 이상 180도 이하일 수 있다.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each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connected by abending member 216. In this embodiment, thefolding member 216 includes a rotation shaft therein so that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At this time,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can be bent only in one direction, but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bend member 216 can be positioned below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Can be broken.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is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is bent to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folding member 216 is the first It may be located under theextension member 212. Here, as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are bent, the angle θ formed between thefirst extension member 2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is about 90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Can.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는, 헤드 본체부(110), 회전부(120), 걸레(130) 및 브러시(170)를 포함한다.Themop cleaner head 100 includes ahead body portion 110, a rotatingportion 120, amop 130 and abrush 170.

헤드 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두 개의 회전모터(125)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모터(125)는 청소기 본체(20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200)에서 진공 흡입을 위해 전원을 ON할 때, 같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200)에서 흡입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흡입력 조절과 연동하여 회전모터(125)의 구동 속도도 조절될 수 있다.Thehead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provided with two rotatingmotors 125 therein. The two rotatingmotors 125 may be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cleaner body 200, and may be driven together when the power is turned on for vacuum suction in thecleaner body 200. In addition, when the suction power is adjusted in the cleanermain body 200, the driving speed of therotary motor 125 may also be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power adjustment.

즉, 청소기 본체(200)에서 흡입력이 세지면 그에 따라 회전모터(125)의 구동속도도 빨라지고, 청소기 본체(200)에서 흡입력이 약해지면 그에 따라 회전모터(125)의 구동속도도 느려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suction power is strong in thecleaner body 200, the driving speed of therotary motor 125 is also increased accordingly, and when the suction power in thecleaner body 200 is weak, the driving speed of therotary motor 125 may be slowed accordingly.

헤드 본체부(110)의 중앙부에는 결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재(2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12)는 헤드 본체부(110)에서 약 90도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헤드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재(214)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때, 결합부(112)도 헤드 본체부(110)에서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00)의 연장부(210)와 결합부(112)를 연결하여 청소할 때, 결합부(112)가 회전되어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다.Acoupling portion 112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head body portion 110. 1, thecoupling part 112 may be connected to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coupling portion 112 may be coupled to thehead body portion 110 to be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from thehead body portion 110.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coupling portion 112 may also be rotated in thehead body portion 110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 connects theextension portion 210 and thecoupling portion 112 of the cleanermain body 200 for cleaning, thecoupling portion 112 is rotated to conveniently clean.

결합부(11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에 전원연결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114)는 연결부를 통해 청소기 본체(200)의 전원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연결부(114)를 통해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Thecoupling part 112 may be provided with apower connection part 114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 3. Power of the cleanermain body 200 may be connected to thepower connector 114 through the connector, and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mopcleaner head 100 through thepower connector 114.

흡입구(116)는 헤드 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결합부(112)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입구(116)는 헤드 본체부(110)의 전방에 치우쳐 배치되며, 후술할 브러시(170)보다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구(116)는 브러시(170)와 두 개의 회전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흡입구(116)의 주변에 흡입가이드(116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가이드(116a)는 헤드 본체부(11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흡입구(116)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suction port 116 is formed under thehead body portion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coupling portion 112. Referring to FIG. 5, thesuction port 116 is disposed biased in front of thehead body portion 110 and may be disposed behind thebrush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suction port 116 is disposed between thebrush 170 and the tworotating parts 120. In addition, asuction guide 116a may be formed around thesuction port 116. Thesuction guide 116a may have a shape of a groove formed i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head body portion 110, include all or part of thesuction port 116,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흡입가이드(116a)는 흡입구(116)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흡입가이드(116a)는 두 개의 회전부(120)가 배치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가이드(116a)는 청소가 이루어질 때, 물걸레 청소기 헤드(10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헤드 본체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Thesuction guide 116a serves to guide dust or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suction port 116 to be more easily sucked. Therefore, thesuction guide 116a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worotating parts 120 are disposed. That is, when cleaning is performed, thesuction guide 116a may be formed on thehead body 110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pcleaner head 100.

그에 따라 청소기 본체(200)에서 진공흡입이 이루어지면, 흡입구(116)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 등이 청소기 본체(20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vacuum suction is performed in thecleaner body 200, dust or foreign matter may be moved to thecleaner body 200 through thesuction port 116.

결합버튼(118)은 결합부(112)에 형성되고, 결합부(112)와 제2 연장부재(214)가 결합될 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결합버튼(118)을 눌러 결합부(112)와 제2 연장부재(214)를 분리할 수 있다.Coupling button 118 is formed on thecoupling portion 112, thecoupling portion 1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when coupled. In addition, the user can separate thecoupling portion 112 and thesecond extension member 214 by pressing thecoupling button 118.

회전부(120)는 헤드 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헤드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모터(125)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회전모터(125)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회전부(120) 회전 방향은, 헤드 본체부(110)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헤드 본체부(110)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헤드 본체부(110)의 앞쪽에서 흡입구(116)가 위치한 방향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전부(120)는 평면도상 걸레(130)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rotating part 120 is disposed under thehead body part 110, and in this embodiment, two parts may be provided. Therotating part 12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rotating motor 125 provided inside thehead body part 11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rotating motor 125.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rotating unit 120 may be rotated one clockwise and the o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worotating parts 12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head body part 11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head body part 110. Accordingly, dust or foreign substances may b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suction port 116 is located in front of thehead body 110. That is, the tworotating parts 120 can be rotate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mop 130 in plan view.

걸레(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걸레(130)는 회전부(12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레(130)는 회전부(120)와 벨크로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걸레(130)와 회전부(1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mop 130 can be coupled to therotating portion 1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mop 130 may be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rotating unit 120. In this embodiment, themop 130 may be combined with arotating portion 120 and a velcro, and may be combined in various other ways, such that themop 130 and therotating portion 120 can be separated. have.

본 실시예에서, 걸레(130)는 제1 외피(132), 제2 외피(134) 및 내부재(136)를 포함한다.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는 각각 극세사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 사이에 내부재(136)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재(136)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재(136)는 천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판 형상의 양면에 각각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mop 130 includes afirst sheath 132, asecond sheath 134 and aninterior material 136.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may each be made of a microfiber material. In addition, aninner material 136 may be disposed between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Theinner material 136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herein so that predetermined water can be absorbed. Theinner material 136 may be formed of a cloth or synthetic resin, and the firstouter shell 132 and the secondouter shell 13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k shape.

또한, 내부재(136)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가 내부재(136)의 양면에 배치되면서, 내부재(136)의 형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단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재(136)는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interior material 136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inner material 136, they are formed larger than the shape of theinner material 136 so that the firstouter skin 132 and the secondouter skin 134 are formed. Can be cut along the edge. Therefore, theinner material 136 may be disposed inside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 걸레(130)가 제1 외피(132), 제2 외피(134) 및 내부재(136)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걸레(130)는 회전부(120)와 벨크로 등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회전부(120)에는 벨크로의 거친면(갈고리)이 형성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레(130)는 외측에 벨크로의 부드러운 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벨크로의 거친면이 걸레(130)의 제1 외피(132) 또는 제2 외피(134)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걸레(130)가 회전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회전하는 동안 걸레(130)가 회전부(12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110)의 무게로 인해 회전부(120)가 걸레(130)를 지속적으로 누르기 때문에 헤드 본체부(110)의 무게에 의해서도 걸레(130)는 회전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as themop 130 is formed to include thefirst sheath 132, thesecond sheath 134, and theinterior material 136, themop 130 is coupled to therotating part 120 and velcro. It may not be. The rotatingportion 120 may be formed with a rough surface (hook) of the Velcro,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mop 130 may not be formed with a smooth surface of the Velcro on the outside. Even so, the rough surface of the Velcro serves to hold thefirst sheath 132 or thesecond sheath 134 of themop 130, so that therotating part 120 is in a state where themop 130 is coupled to therotating part 120. During the rotation, themop 130 may not deviate from therotating part 120. In addition, because therotating portion 120 continuously presses themop 130 due to the weight of thehead body portion 110, themop 130 is also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rotatingportion 120 by the weight of thehead body portion 110. Can b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걸레(130)는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 중 어느 쪽으로 청소를 할 수 있고, 제1 외피(132) 및 제2 외피(134) 중 어느 쪽이 회전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mop 130 can be cleaned to either of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which of thefirst sheath 132 and thesecond sheath 134 It can be coupled to therotating portion 120.

브러시(170)는 헤드 본체부(110)의 하면에 배치되고, 흡입가이드(116a)의 전방에 배치된다. 브러시(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브러시(17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솔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70)가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솔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 본체부(110)의 후방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후방 측으로 이동된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가이드(116a)를 통해 흡입구(116)로 흡입될 수 있다.Thebrush 17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head body portion 110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suction guide 116a. As illustrated, thebrush 17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 rotation ax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brush 170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plurality of brushe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fore, as thebrush 170 rotates, dust or debris can be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head body part 110 by a plurality of brush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dust or debris moved to the rear sid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uide 116a. (116).

즉, 브러시(170)의 후방에 흡입가이드(116a)가 배치되고, 흡입가이드(116a)는 브러시(170)의 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어, 브러시(170)를 통해 전달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구(116)를 통해 흡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thesuction guide 116a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brush 170, and thesuction guide 116a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brush 170, so that dust or foreign matter transmitted through thebrush 170 It can be guided to be sucked through thesuction port 116.

본 실시예에서, 브러시(170)는 별도의 동력이 없이 사용자가 헤드 본체부(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러시(170)에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며, 회전부(120)가 회전모터(125)에 의해 회전될 때, 브러시(170)에 장착된 모터도 구동되어 브러시(170)가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모터에는 결합부(122)에 형성된 전원연결부(114)를 통해 공급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125)가 구동될 때, 브러시(170)는 헤드 본체부(110)에 배치된 두 개의 회전모터(125)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기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모터(125)의 구동에 의해 브러시(170)가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brush 170 may be rotated by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user moves thehead body portion 100 forward without additional pow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motor is mounted on thebrush 170, and when therotating part 120 is rotated by therotating motor 125, the motor mounted on thebrush 170 is also driven to drive the brush 170. ) Can be driven to rotate. At this time, the motor may be supplied with power supplied through thepower connection portion 114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122. In addition, when therotating motor 125 is driven, thebrush 17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tworotating motors 125 disposed on thehead body 110 by a gear or the like. Accordingly, thebrush 170 may be rotated by driving therotating motor 125.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y an embodiment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describ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design, and the present desig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onl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100: 물걸레 청소기 헤드
110: 헤드 본체부
112: 결합부
114: 전원연결부
116: 흡입구
116a: 흡입가이드
118: 결합버튼
120: 회전부
125: 회전모터
130: 걸레
132: 제1 외피
134: 제2 외피
136: 내부재
170: 브러시
200: 청소기 본체
210: 연장부
212: 제1 연장부재
214: 제2 연장부재
216: 꺾임부재
100: mop cleaner head
110: head body
112: coupling portion
114: power connection
116: inlet
116a: Suction Guide
118: combine button
120: rotating part
125: rotary motor
130: mop
132: first envelope
134: second envelope
136: interior material
170: brush
200: cleaner body
210: extension
212: first extension member
214: second extension member
216: bending member

Claims (9)

Translated fromKorean
일 측에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전원연결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가 내부에 구비된 헤드 본체부;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각각 걸레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 본체부 하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 헤드.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cleaner body, and the head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t least one rotary motor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leaner body and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
A pair of rotating parts disposed under the head body part, being rotated by driving of the one or more rotating motors, and each mop being coupled; And
It includes an extens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the head body portion and the cleaner body,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under the head body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by driving the cleaner body.
The extension part is a mop cleaner head formed with a hollow formed therein and a middle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ransfer dust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clean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연장부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장부재; 및
상기 제2 연장부재가 상기 제1 연장부재에서 소정의 각도로 꺾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강부재를 연결하는 꺾임부재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A first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he hollow being form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e hollow being form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mop cleaner head including a bend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ild steel members so that the second extending member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extending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재는 90도 이상 180 이하의 각도로 꺾이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members are mop cleaner head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by the bend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재는 상기 꺾임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꺾이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members are water mop cleaner heads that are bent so that the bending memb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부 각각은 상기 헤드 본체부의 전방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parts is a mop cleaner head that is rota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outside of the head body,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 본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브러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본체부에 배치된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and further includes a brush disposed to be rotatable in the head body portion,
The brush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mop cleaner head disposed in the head body portion to be rotated along a rotation ax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소정의 길이로 홈의 형상으로 흡입가이드가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water mop cleaner head having a suction guide in a shape of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가 형성된 길이는 상기 브러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length of the suction guide formed is a mop cleaner head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rus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레는 일면 및 타면 중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p is a mop cleaner hea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rotating portion of the pair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KR2020180005886U2018-12-182018-12-18Head of wet cleanerAbandonedKR2020000139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20180005886UKR20200001393U (en)2018-12-182018-12-18Head of we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20180005886UKR20200001393U (en)2018-12-182018-12-18Head of we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01393Utrue KR20200001393U (en)2020-06-26

Family

ID=7112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2020180005886UAbandonedKR20200001393U (en)2018-12-182018-12-18Head of we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0000139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057655A (en)2021-10-222023-05-02최광순Smart vibration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80100891A (en)2017-03-022018-09-12홍기남wireless electrical cleaner with damp clo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80100891A (en)2017-03-022018-09-12홍기남wireless electrical cleaner with damp clo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057655A (en)2021-10-222023-05-02최광순Smart vibration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3737458B2 (en) Suction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with rotating roller for tapping
KR100493492B1 (en)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020236B2 (en)Floor sweeper with cloth cleaning pad
TWI583338B (en) Dispenser for cleaning machines
US20170354303A1 (en)Side brush and robotic cleaner
KR20100093325A (en)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PT2449937T (en)Bare floor vacuum cleaner
KR200489361Y1 (en)Head of wet cleaner
CN101152066B (en)Duct collector head and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KR20150129426A (en)Robot cleaner
US20170290487A1 (en)Dus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JP2020517340A (en) Cleaning device having combing unit for removing dust from cleaning roller
KR20200001393U (en)Head of wet cleaner
JP2011177214A (en)Floor suction tool of vacuum cleaner
KR200485335Y1 (en)Electrical vacuum cleaner with damp cloth
KR101425928B1 (en)A Vacuum cleaner with mop
CN109561801B (en)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TWI576078B (en) With dust and dust removal function of the dust removal device
JP5147797B2 (en) Vacuum cleaner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JP5622830B2 (en) Vacuum cleaner mouthpiece
JPH0637806Y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KR200160840Y1 (en)Vacuum cleaner
KR20200001988U (en)Head of wet cleaner
JP7496383B2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KR200150055Y1 (en)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UA0108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A01011R08D

Patent event date:20181218

UA0201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81219

Patent event code:UA03012R01D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81218

Patent event code:UA03011R01I

U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UE09021S01D

Patent event date:20190226

U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UE06011S01D

Patent event date:20190813

UX0901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90813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U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90527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U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8121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UX09012R01I

U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91030

Patent event code:UX07013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1014

Patent event code:UX07012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90813

Patent event code:UX07011S01I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0527

Patent event code:UX07012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20181219

Patent event code:UX07012R01I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U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904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