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90109675A - Apparatus for SRC colum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RC colu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675A
KR20190109675AKR1020180030340AKR20180030340AKR20190109675AKR 20190109675 AKR20190109675 AKR 20190109675AKR 1020180030340 AKR1020180030340 AKR 1020180030340AKR 20180030340 AKR20180030340 AKR 20180030340AKR 20190109675 AKR20190109675 AKR 2019010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main body
horizontal
lower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8688B1 (en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폼filedCritical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to KR1020180030340ApriorityCriticalpatent/KR10209868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9675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90109675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88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098688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수직 H빔과 수평 H빔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수평 H빔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메인바디; 메인바디가 하부플랜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메인바디에 장착되는 바디결합구;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메인바디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윙부; 제1 윙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메인바디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윙부; 및 제1 윙부 또는 제2 윙부와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스알씨 기둥 시공시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완성된 에스알씨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an RC pillar. Formwork support device for the SRC pilla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used to support the formwork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and the horizontal H beam, the main body provid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A body coupler mount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 first w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rotrude upwardly of the lower flange; A second w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g portion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flange; And a support b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or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an RC pillar, which can ensure the superiority of the quality of the finished RC structure whil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R pilla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Apparatus for SRC column}Formwork support device for SRC pillar {Apparatus for SRC column}

본 발명은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알씨 기둥 시공시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완성된 에스알씨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support device for the SR pillars,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 the formwork for the SR pillars that can ensure the superiority of the quality of the finished SLC structure whil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구조(RC구조), 철골 구조(S구조) 및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구조(SRC구조, 에스알씨구조)로 축조된다. 이 중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구조(SRC구조)는 철근 콘크리트구조(RC구조)에 비해 공사비는 비싸지지만 공기가 단축되고 고강도 건축물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고층 건물등의 시공에 있어서 널리 사용된다.In general, the building structure is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C structure), steel structure (S structure) and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SRC structure, SRC structure). Among them, steel frame and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SRC structure) is more expensive tha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C structure), but it is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s of shortening the air and high strength buildings.

SRC구조는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수직철골빔과,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해 수직철골빔의 상단부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철골빔으로 골조를 세운 뒤, 골조 주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배근된 철근의 둘레를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축조된다. 여기서 수직철골빔 및 수평철골빔으로는 일반적으로 H빔이 널리 이용된다.The SRC structure is a vertical steel beam for the construction of columns and horizontal steel beams that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teel beam for the construction of slabs, and then reinforce the steel bars around the frame, and reinforce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ement. The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concrete, and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general, H beams are generally used as vertical steel beams and horizontal steel bea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R pill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방법에 따라 SRC구조를 따르는 기둥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수직철골빔(1)의 하측에 갱폼, 유로폼 등의 거푸집(3)을 설치하고 그 상측에 다시 수평철골빔(2)에 인접하도록 거푸집(4)을 설치하며, 다음으로 수평철골빔(2)과 거푸집(4)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합판(5) 등을 결합시킨 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 when constructing a pillar along the SRC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irst,formwork 3, such as gangform, euroform,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vertical steel beam 1 and horizontal steel beams ( 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ormwork (4), and then to combine the plywood (5) to fill the gap between the horizontal steel frame beam (2) and the formwork (4) is poured concrete and curing.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H빔 등으로 마련되는 수직철골빔(1) 및 수평철골빔(2)의 형상의 특성상 수직철골빔(1)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수평철골빔(2)의 주위에 거푸집(4) 및 합판(5) 등을 결합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vertical steel beam (1) and the horizontal steel beam (2) provided by the H beam or the like around the horizontal steel beam (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teel beam (1) Joining the formwork (4) and plywood (5) and the like is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work.

특히 콘크리트의 타설 전 상측 거푸집(4)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았거나 지지력이 충분치 않았을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거푸집(4)이 붕괴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끊이지 않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pper formwork (4) before the concrete is not provided or the supporting force is not sufficient, the formwork (4) is collap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placem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re not stopp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은 2010.01.28.자로 "에스알씨 기둥용 상단판넬"을 출원하여 2012.05.26.자로 특허등록(등록번호 제10-1152588호)을 받은 바 있으나, 본 기술은 기술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기 까다로운 요소가 있어 널리 확산되지 못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patent application filed "Top panel for SRC pillar" as of Jan. 28, 2010 and received a patent registration (Registration No. 10-1152588) as of May 26, 2012, Despite the technical excellence, the technology was difficult to be used in actual construction sites, so it was not widely spread.

이에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은 종래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완성된 SRC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patent application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while ensuring the superiority of the quality of the finished SRC structure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s it is.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2588호 (등록일: 2012.05.26)(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52588 (Registration Date: 2012.05.26)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알씨 기둥 시공시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완성된 에스알씨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an SAL pillar that can ensure the excellent quality of the finished SLC structure whil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R pilla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직 H빔과 수평 H빔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수평 H빔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장착되는 바디결합구;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윙부; 상기 제1 윙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윙부; 및 상기 제1 윙부 또는 상기 제2 윙부와 상기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used to support the formwork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and the horizontal H beam, the main body provid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A body coupler mount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 first w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rotrude upwardly of the lower flange; A second w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g portion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flange; And a support b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g part or the second wing part and the formwork.

상기 제1 윙부는,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바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w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extending along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And 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pport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beam, such that the support bar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or the second support part.

상기 제2 윙부는,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상기 제1 윙부 및 상기 제2 윙부의 상기 메인바디에 대한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ng portion includes: a third support portion extending along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And a fourth support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upport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wherein the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 is the main body of the first wing part and the second w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to reinforce the connection strength to the.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상면에 접촉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결합구는, 상기 제3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하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고정볼트일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a third body that is bent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and spaced apart from on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body coupler is screw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third body. The fixing bolt may be coupled to or spaced from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상기 지지바는, 상기 거푸집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거푸집과 상기 수평 H빔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지지바와, 상기 거푸집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 H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1 지지바의 경사각도보다 좁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지지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가 배치되는 위치가 구획되도록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분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inclined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horizontal H beam to support one side of the formwork, a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H beam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formwork. And a second support bar disposed above the first support bar so as to form an angle narrow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wherein the die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 is disposed with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he second support ba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support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ar.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H빔의 하부플랜지에 평행한 판면을 갖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enter portion, the third support part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separation support part is the A connection bar extending alo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bar and having a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상기 분리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3 지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2 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의 두 지점이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분리지지부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eparation support may include: a first nut coup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second nut coup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part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thread for screwing into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so that the two points of the connecting bar can be coupled to be fixed at the same time by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to be able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separation support.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H빔에 고정되는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에 결합되는 제1 윙부를 포함하여 지지바가 제1 윙부에 의해 간편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스알씨 기둥 시공시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완성된 에스알씨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horizontal H beam and including a first wing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support bar can be easily supported by the first wing portion is completed while maximizing the ease of construction during construc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C pillar to ensure the excellent quality of the RCS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 2의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R pill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 of Figure 2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4 to 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거푸집은 유로폼을 기준으로 설명되나 유로폼 이외의 알루미늄폼 등의 다른 거푸집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이 적용됨은 극히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mwork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euroform, but it will be very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other formwork such as aluminum foam other than the eurofor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 2의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support device for the SR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support device for the SR pillars of Figure 2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ures 4 to 6 State of use of the formwork supporting device for the SR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100, 이하 '거푸집 지지장치(100)'이라 한다)는, 수직 H빔(VH)과 수평 H빔(HH)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P)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감싸는 메인바디(110)와, 메인바디(110)가 하부플랜지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바디결합구(130)와, 지지바(SP)가 지지되도록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윙부(150)와, 제1 윙부(150)에 대하여 대향되도록 메인바디(110)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윙부(170)와, 메인바디(110)에 대한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80)와, 지지바(SP)가 제1 지지바(SP1) 및 제2 지지바(SP2)로 나누어 사용되는 경우 제1 지지바(SP1) 및 제2 지지바(SP2)가 배치되는 위치가 구획되도록 하는 분리지지부(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ormwork support device for an SRC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rmwork support device 100) is a vertical H beam VH and a horizontal H beam HH. Used to support the formwork (P) installed between themain body 110 and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beam (HH) surrounding the bottom flange, the body coupling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Sphere 130, thefirst wing portion 1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main body 110 so that the support bar (SP) is supported, the other of themain body 110 to face thefirst wing portion 150Second wing portion 170 provided on the side, reinforcingportion 180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first wing portion 150 and thesecond wing portion 170 to the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bar (SP) Is used to divide the first support bar (SP1) and the second support bar (SP2)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upport bar (SP1) and the second support bar (SP2) is disposed is partitioned And asupport portion 190. The

메인바디(110)는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금속성 부재로, 하부플랜지의 일측 상면에 접촉되는 제1 바디(111)와, 제1 바디(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바디(113)와, 제2 바디(113)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하부플랜지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바디(115)를 포함한다. 제2 바디(113)는 하부플랜지의 두께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어야 하는바 양측면을 따라서는 일정한 살빼기 홈(미도시)을 두어 거푸집 지지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제3 바디(115)에는 결합공(115a)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바디결합구(1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Themain body 110 is a metallic member provid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HH. Themain body 11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nd one end of thefirst body 111. Thesecond body 113 is extended from the bending and thethird body 115 is ben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second body 113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second body 113 is to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wer flange bar bar along the both side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overall weight of themold support device 100. . In addition, thecoupling body 115a is formed through thethird body 115, and a thread of a constant pitch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body coupling holes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crewed together.

바디결합구(130)는 전술한 결합공(115a)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고정볼트로 마련되어 제3 바디(115)에 대한 상대회전에 따라 결합공(115a)을 통해 전진하거나 후퇴될 수 있는 구성이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바디(115)에 형성된 결합공(115a)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결합구(130)는 클램프 등으로 마련되어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body coupler 130 may be provided as a fixing bolt having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coupling hole 115a described above and may be advanced or retracted through thecoupling hole 115a according to a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third body 115. It is a composition.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coupling hole 115a formed in thethird body 115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body coupling hole 130 may be provided as a clamp or the like to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HH.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전술한 메인바디(110)의 구성 및 바디결합구(130)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바디(111)를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3 바디(115)에 형성된 결합공(115a)을 따라 고정볼트로 마련되는 바디결합구(130)를 조정함으로써 거푸집 지지장치(100) 전체가 간편하게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에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거푸집 지지장치(100)의 사용완료 후 이를 하부플랜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main body 11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body coupling sphere 130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uses the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move thefirst body 11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H beam HH. Positio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djust thebody coupling holes 130 provided with a fixing bolt along the coupling hole (115a) formed in thethird body 115, the entireformwork holding device 100 is simply the horizontal H beam (HH) Secure it to the lower flange. Of course, this is also the case when theform support device 100 is used after leaving it from the lower flange.

제1 윙부(150)는 지지바(SP)가 지지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윙부(150)는 판재 형상의 제1 지지부(151)와, 제1 지지부(15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지지부(153)를 포함한다. 즉 제1 윙부(150)는 금속성 부재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ㄱ'자로 꺾인 형상을 갖는다.Thefirst wing portion 15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main body 110 so that the support bar (SP) can be supported. Thefirst wing part 150 includes a plate-shapedfirst support part 151 and asecond support part 153 ben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first support part 151. That is, thefirst wing 150 is formed of a metallic member and has a shape that is bent as a whole.

제1 지지부(151)는 수평 H빔(HH)의 웨브에 수직하도록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며, 제2 지지부(153)는 수평 H빔(HH)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제1 지지부(15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Thefirst support part 151 extends along one side of themain body 110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HH, and thesecond support part 153 is parallel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HH. It is configur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so as to.

만약 지지바(SP)가 수평 H빔(HH)의 플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일단부가 제1 지지부(151)의 판면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지지바(SP)가 수평 H빔(HH)의 플랜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라면 그 일단부가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3)에 의하여 동시에 지지되게 된다.If the support bar SP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HH, one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plate surface of thefirst support part 151, and the support bar SP is the horizontal H beam. If it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of (HH), one end thereof is simultaneously supported by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and thesecond support portion 153.

즉 지지바(SP)가 어떤 방향으로 배치되더라도 제1 지지부(151) 및/또는 제2 지지부(15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윙부(150)는 지지바(SP)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first wing part 150 stably supports the support bar SP by allowing the support bar SP to be supported by thefirst support part 151 and / or thesecond support part 153 in any direction. You can do it.

제1 지지부(151)는 메인바디(110), 보다 정확하게는 메인바디(110)의 제1 바디(111)의 일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주물로 제1 바디(111)와 함께 제작될 수 있다.Thefirst support part 15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first body 111 of themain body 110, more accurately, themain body 110 by welding or the like, together with thefirst body 111 by casting. Can be made.

제2 윙부(170)는 지지바(SP)가 지지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110)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2 윙부(170)는 판재 형상의 제3 지지부(171)와, 제3 지지부(17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 지지부(173)를 포함한다. 즉 제2 윙부(170)는 금속성 부재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ㄱ'자로 꺾인 형상을 갖는다.Thesecond wing portion 17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main body 110 so that the support bar (SP) can be supported. Thesecond wing portion 170 includes athird support portion 171 having a plate shape and afourth support portion 173 ben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third support portion 171. That is, thesecond wing 170 is formed of a metallic member and has a shape that is bent as a whole.

이와 같이 제2 윙부(170)를 마련하는 것은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가 하부플랜지의 어느 쪽에 결합되더라도 지지바(SP)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second wing 170 is provided so that the support bar SP can be supported even if the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either side of the lower flange.

즉,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가 수직 H빔(VH)의 앞쪽으로 배치되는 수평 H빔(HH)에 사용되는 경우라면 제1 윙부(150)가 지지바(SP)를 지지하게 되겠으나,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가 수직 H빔(VH)의 뒤쪽으로 배치되는 수평 H빔(HH)에 사용되는 경우라면 제1 윙부(150)가 아닌 제2 윙부(170)가 지지바(SP)를 지지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5 and 6, if theformwork suppor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the horizontal H beam (HH) disposed in front of the vertical H beam (VH), thefirst wing portion 150 Although the support bar (SP) will support, otherwise, if theformwork suppor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the horizontal H beam (HH) dispos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H beam (VH) the first wing portion ( Thesecond wing portion 170 rather than 150 supports the support bar SP.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는 동일한 형상을 갖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를 포함함으로써 거푸집 지지장치(100)가 사용되는 위치에 무관하게 지지바(SP)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but includes afirst wing portion 150 and asecond wing portion 170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position at which the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100 is used. Support bar (SP)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supported.

기타 제2 윙부(170)에 관한 다른 사항은 전술한 제1 윙부(150)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ther matters related to thesecond wing part 17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tters relating to thefirst wing part 150 described abov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강부(180)는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의 사이에 마련되어 메인바디(110)에 대한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이다. 즉, 보강부(180)는 제1 윙부(150)의 제1 지지부(151) 상단 및 제2 윙부(170)의 제3 지지부(171) 상단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메인바디(110)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가 지지바(SP)에 가해지는 힘의 전달에 따라 꺾이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reinforcement part 180 is provided between thefirst wing part 150 and thesecond wing part 170 to reinforc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first wing part 150 and thesecond wing part 170 with respect to themain body 110. to be. That is, thereinforcement part 180 is provided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first support part 151 of thefirst wing part 150 and the upper end of thethird support part 171 of thesecond wing part 170 to the upper side of themain body 110. The extendingfirst wing 150 and thesecond wing 170 is not bent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bar (SP).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부(180)는 판재 형상의 금속성 부재를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3)에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마련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3)에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금속성 부재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한층 강화된 보강강도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메인바디(110)에 대한 제1 윙부(150) 및 제2 윙부(17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 등에 나타난 보강부(180)의 내용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inforcement part 180 is provided by a method of connecting the metal member having a plate shape to thefirst support part 151 and thesecond support part 153, but unlike the first support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51 and thesecond support 153 can be secured to further strengthened reinforcement by a method of fixing a metallic member of a cuboid or a cube shape. That is, as long as it can play a role of reinforc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first wing portion 150 and thesecond wing portion 170 to themain body 110 is the scope of thereinforcement portion 180 shown in the drawings, etc. It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한편, 분리지지부(190)는 지지바(SP)가 제1 지지바(SP1) 및 제2 지지바(SP2)로 나누어 사용되는 경우 제1 지지바(SP1) 및 제2 지지바(SP2)가 배치되는 위치를 구획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bar SP is used by dividing the support bar (SP) into the first support bar (SP1) and the second support bar (SP2), the first support bar (SP1) and the second support bar (SP2) It is a structure which partitions the position arrange | position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리지지부(190)는 바(Bar) 형태의 연결바(191)와 연결바(191)의 일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93)와, 연결바(191)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너트(N1, N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separation support portion 19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ar-shapedconnection plate 191 and the plate-shapedsupport plate 193 coupled to one end of theconnection bar 191 And, theconnection bar 191 includes a pair of nuts (N1, N2) for screwing.

연결바(191)는 제1 지지부(15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공(미도시)과 제1 관통공과 상호 연통되도록 제3 지지부(171)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공(미도시)을 따라 삽입되는 구성이다.Theconnection bar 191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third support portion 171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not shown) and the first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It is a configuration inserted along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는 제1 지지부(151)의 일측면(전면 또는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너트(N1)가 마련되며,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는 제3 지지부(171)의 일측면(전면 또는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너트(N2)가 마련되고, 연결바(191)의 외주면에는 이러한 제1 너트(N1) 및 제2 너트(N2)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first nut N1 protruding from one side (front or back) of thefirst support part 151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one side surface of thethird support part 171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The second nut N2 protruding from the front or rear surface is provided, and a thread for screwing the first nut N1 and the second nut N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nection bar 191.

즉 제1 너트(N1) 및 제2 너트(N2)를 따라 연결바(191)를 회전시키면서 끼워 넣으면 연결바(191)의 어느 한 지점은 제1 지지부(151)에 인접하게 나사결합되고, 연결바(191)의 다른 한 지점은 제3 지지부(171)에 인접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nnectingbar 191 is rotated and fitted along the first nut N1 and the second nut N2, one point of the connectingbar 191 is screwed adjacent to thefirst support part 151 and connected. Another point of thebar 191 is to be screwed adjacent to thethird support 171.

즉, 연결바(191)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이 제1 너트(N1) 및 제2 너트(N2)에 의하여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바(191)의 임의 회전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wo different points of theconnection bar 191 are fixed in a manner that is screwed by the first nut (N1) and the second nut (N2) so that any rotation of theconnection bar 191, even if a certai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한편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제1 너트(N1) 및 제2 너트(N2)는 각각 제1 지지부(151)의 전면 및 제3 지지부(17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너트(N1) 및 제2 너트(N2)는 각각 제1 지지부(151)의 배면 및 제3 지지부(171)의 배면, 즉 보강부(180)가 배치된 제1 지지부(151)의 배면 및 제3 지지부(17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2 and 3, the first nut N1 and the second nut N2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third support portion 171, respectively. The first nut N1 and the second nut N2 are respectively the back surface of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and the back surface of thethird support portion 171,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first support portion 151 on which thereinforcement portion 180 is disposed, and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third support portion 171.

지지플레이트(193)는 연결바(191)의 일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금속성 부재이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연결바(191)를 제1 지지부(151) 및 제3 지지부(171)를 관통하게 끼워넣고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플레이트(193)가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시키고 그 이후 지지바(SP)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제1 지지바(SP1)는 지지플레이트(193)의 하측에 끼워지고, 제2 지지바(SP2)는 지지플레이트(193)의 상측에 끼워지게 되며 제2 지지바(SP2)의 하면이 지지플레이트(193)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Thesupport plate 193 is a plate-shaped metallic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connection bar 191.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support plate 193 is parallel to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HH by inserting and rotating the connectingbar 191 through thefirst support part 151 and thethird support part 171. It is used to arrange and then support the support bar (SP). In particular, the first support bar SP1 is 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support plate 193, the second support bar SP2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support plate 19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ar SP2 is supported. It i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93).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ow, a method of using theformwork suppor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에스알씨 기둥을 시공하기 위하여 수직 H빔(VH) 및 수평 H빔(HH)의 배치를 마치고, 그 둘레를 따라 철근을 배근한 후 배근된 철근의 둘레를 따라 하측에 큰 크기의 거푸집을 배치한 후에는, 수직 H빔(VH)과 수평 H빔(HH)의 사이에 작은 크기의 거푸집(P)를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거푸집(P)과 수평 H빔(HH) 사이를 합판으로 막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지지장치(100)는 이러한 거푸집(P)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After constructing vertical H beams (VH) and horizontal H beams (HH), the reinforcing bars are lai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large formwork is placed below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s. Subsequently, a small size formwork P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VH and the horizontal H beam HH, and, if necessary, the plywood is blocked between the form P and the horizontal H beam HH.Formwork sup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such formwork (P).

작업자는 먼저 수평 H빔(HH)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따라 메인바디(110)를 끼워넣고 고정볼트로 마련되는 바디결합구(130)를 조정하여 메인바디(110)가 하부플랜지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operator first inserts themain body 110 along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HH) and adjusts thebody coupler 130 provided with the fixing bolts so that themain body 110 is fixed to the lower flange.

이렇게 메인바디(110)가 고정되면 제1 윙부(150)의 제1 지지부(151)는 하부플랜지의 웨브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지지부(153)는 하부플랜지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배치된다.When themain body 110 is fixed in this way, thefirst support part 151 of thefirst wing part 15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lower flange, and thesecond support part 153 is disposed parallel to the web of the lower flange. .

다음으로 작업자는 거푸집(P)과 제1 윙부(150) 사이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지지바를 배치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P)이 타설 위치의 뒤쪽으로 밀리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operator arranges one or two support bars between the formwork P and thefirst wing part 150 so that the formwork P withstands the force pushed to the rear of the placing position during concrete pouring.

즉, 전체적인 에스알씨 기둥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거푸집(P)을 지지하는데 한 개의 지지바로 충분한 경우라면 전술한 분리지지부(190)를 사용하지 않게 되며, 한 쌍의 지지바(제1 지지바(SP1) 및 제2 지지바(SP2))가 사용되어야 한다면 먼저 분리지지부(190)를 결합한 후 제1 지지바(SP1)는 분리지지부(190)의 하측에 제2 지지바(SP2)는 분리지지부(19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바(SP)가 거푸집(P)이 아닌 합판(D)을 직접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지지바(SP)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제2 지지바(SP2)의 하면이 제1 지지바(SP1)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분리지지부(19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That is, if one support bar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formwork P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overall SRC pillar, the above-describedseparation support unit 190 is not used, and a pair of support bars (first support bar ( If the first support bar (SP1) and the second support bar (SP2)) should be used after the first support bar (SP1) to the lower side of theseparation support 190, the second support bar (SP2) is separated support It is to be disposed above the 190.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upport bar (SP) may be used to directly support the plywood (D) rather than the form (P). In addition, even when two support bars SP are used as necessary, the separatedsupport part 190 may not be used by all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ar SP2 to be directly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ar SP1. have.

이와 같이 지지바(SP)의 배치를 완료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거푸집 지지장치(100)의 분리 및 사용된 거푸집들을 탈형하여 에스알씨 기둥의 축조를 완료한다.After completing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bar (SP) in this way,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and after curing is completed, theformwork supporting device 100 is removed and demolded used formwork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SR pillars.

본 발명의 거푸집 지지장치(100)는 수평 H빔(HH)에 고정되는 메인바디(110)와 메인바디(110)에 결합되는 제1 윙부(150)를 포함하여 지지바(SP)가 제1 윙부(150)에 의해 간편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스알씨 기둥 시공시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완성된 에스알씨 구조물의 품질의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Formwork sup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main body 110 fixed to the horizontal H beam (HH) and thefirst wing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main body 110, the support bar (SP) is the first By simply being supported by thewing unit 150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uperiority of the quality of the finished RC structure whil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R pillar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거푸집 지지장치110 : 메인바디
130 : 제1 윙부150 : 제2 윙부
170 : 제2 윙부180 : 보강부
190 : 분리지지부
100: die support device 110: main body
130: first wing portion 150: second wing portion
170: second wing portion 180: reinforcement portion
190: separation support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수직 H빔과 수평 H빔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수평 H빔의 하부플랜지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가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장착되는 바디결합구;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윙부;
상기 제1 윙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윙부; 및
상기 제1 윙부 또는 상기 제2 윙부와 상기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A device used to support a formwork installed between a vertical H beam and a horizontal H beam,
A main body provided to surround one side of a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A body coupler mount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 first w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rotrude upwardly of the lower flange;
A second w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g portion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flange; And
Formwork support device for an SAL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b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or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form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부는,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바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ing portion,
A first support extending along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And
An SRC pillar including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so that the support bar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Formwork support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윙부는,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수평 H빔의 웨브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윙부 및 상기 제2 윙부의 상기 메인바디에 대한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wing portion,
A third support extending along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And
A fourth support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ppo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eb of the horizontal H beam,
SR pillar further comprises a reinforcement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to reinforce the connection strength to the main body of the first wing and the second wing. Formwork support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상면에 접촉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결합구는,
상기 제3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하부플랜지의 일측 하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 first body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A third body which is bent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ody coupling sphere,
Forming device for the SR pillar pillar sup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lt which is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third body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거푸집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거푸집과 상기 수평 H빔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지지바와, 상기 거푸집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 H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1 지지바의 경사각도보다 좁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지지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가 배치되는 위치가 구획되도록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분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inclined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horizontal H beam to support one side of the formwork, a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H beam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formwork. A second support bar disposed above the first support bar to form an angle narrow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bar,
Forming support for the SR pillar pillar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support portion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a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s partitio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H빔의 하부플랜지에 평행한 판면을 갖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the third support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e separation support portion,
A connection bar extending alo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Forming support device for the SAL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bar and having a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lower flange of the horizontal H bea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3 지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2 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의 두 지점이 상기 제1 너트 및 상기 제2 너트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분리지지부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paration support portion,
A first nut coup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And a second nut coup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part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to be screwed to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such that two points of the connection bar are coupled to be fixed at the same time by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Formwork support device for SR pillars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KR1020180030340A2018-03-152018-03-15Apparatus for SRC columnExpired - Fee RelatedKR102098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30340AKR102098688B1 (en)2018-03-152018-03-15Apparatus for SRC colu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30340AKR102098688B1 (en)2018-03-152018-03-15Apparatus for SRC colum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90109675Atrue KR20190109675A (en)2019-09-26
KR102098688B1 KR102098688B1 (en)2020-04-10

Family

ID=6806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030340AExpired - Fee RelatedKR102098688B1 (en)2018-03-152018-03-15Apparatus for SRC colum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0986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268341B1 (en)*2020-12-312021-06-23(주)하나Mold support stand for the src girder
US20220034078A1 (en)*2019-10-012022-02-03Beam Pocket LLCBeam pocket kit and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570377B1 (en)2021-03-082023-08-23주식회사 한화건설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G beam 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3074184A (en)*2001-09-042003-03-12Yoji MiyaharaDevice for locking reinforcing material to form, and device for temporarily supporting extended reinforcing material on form
KR200402991Y1 (en)*2005-09-102005-12-07박영식Supplementary device for constructing mold around a beam
KR200453780Y1 (en)*2010-11-192011-05-26이병원 Formwork corner connecting unit and formwork corner construction method
KR101152588B1 (en)2010-01-282012-06-05(주)블루폼Upper panel for SRC colum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3074184A (en)*2001-09-042003-03-12Yoji MiyaharaDevice for locking reinforcing material to form, and device for temporarily supporting extended reinforcing material on form
KR200402991Y1 (en)*2005-09-102005-12-07박영식Supplementary device for constructing mold around a beam
KR101152588B1 (en)2010-01-282012-06-05(주)블루폼Upper panel for SRC column
KR200453780Y1 (en)*2010-11-192011-05-26이병원 Formwork corner connecting unit and formwork corner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220034078A1 (en)*2019-10-012022-02-03Beam Pocket LLCBeam pocket kit and assembly
US12012744B2 (en)*2019-10-012024-06-18Beam Pocket LLCBeam pocket kit and assembly
KR102268341B1 (en)*2020-12-312021-06-23(주)하나Mold support stand for the src gi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098688B1 (en)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837173B2 (en)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030419B1 (en) Combined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2098688B1 (en)Apparatus for SRC column
CN209924432U (en)Template adjust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building inclined column
KR101663132B1 (en)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20120021911A (en)Clamp for coupling of panels and concrete form using the same
KR101428539B1 (en)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JP682963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column base, reinforcement method of existing column base
JP2010242390A (en) Joining method and structure of column / beam joint with steel brace
KR101636473B1 (en)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JP6255220B2 (en) Position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JP5869717B1 (en)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636471B1 (en)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JP2018076745A (en) Precast member, precast member erection structure, precast member erec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JP2004011203A (en) Precast SRC column joint structure
KR20110088309A (en) Top panel for SR pillar
KR101210895B1 (en)Support unit for supporting post and support module using the same
JP2019124063A (en)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KR101546212B1 (en)Mold module and module assembly for atypical structure
KR20140020583A (en)Concrete mold assembly
JP6646959B2 (en) Column and beam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08283B1 (en) Panel support unit and formwork support system using the same
JP2008502822A (en) Architectural ele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KR101877857B1 (en)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KR20170039553A (en)Formwork supporting system for beam forming a slab of the building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4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40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