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착용시 코에 안경 받침턱을 사용하는 대신에 얼글의 측면에서 안경테를 얼글에 착용하도록 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얼글의 형에 관계없이 착용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시의 안경의 안착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frame having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earing stability for different types of eyele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frame to be worn on the side of an eyeglass frame To an eyeglass frame having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earing stability for different types of eyelets which can improve not only the wearing feeling but also the stability against the wearing of the glasses at the time of wearing.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은 프론트부와 2개의 템플로 이루어지고, 이들 템플은 프론트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브래킷에 경첩 등의 이음을 통하여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부는 각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림과, 이 림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로 이루어지며, 림의 내측(중앙측)에는 코받침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종래 안경 착용시 코받침 패드를 코의 양편에 안착시키며 템플의 후단부에 설치된 모던부를 귀에 걸치도록 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general spectacle frame is composed of a front part and two temples, and these temples are attached to the bracke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so as to be foldable through joints such as hinges. The front part is composed of a rim for fixing each lens and a bridge for connecting the rims, and a nose pad is attached on the inner side (center side) of the rim. Conventionally, when the spectacles are worn, the nose pad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nose and the modern part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temple is placed on the ear.
이 때, 프론트부의 전체 중량은 코받침 패드를 통하여 코에 가해지며, 그에 따라 장시간에 걸쳐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면, 코받침 패드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빨갛게 변색되어 접촉자국이 생기거나, 화장 지워지는 불편함이 있다.At this time, the entire weight of the front portion is applied to the nose through the nose pad, and if the glasses are wor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portion where the nose pad is in contact is reddishly colored to cause a contact mark, There is an inconvenie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개 2003-121800호 공보와 일본 특개 2006-72275호 공보는 코받침 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특수한 안경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2003-121800 and 2006-72275 disclose a special eyeglass frame that does not use a nose pad.
일본 특개 2003-121800호 공보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은 코받침 패드의 대신 자그맣고 안경을 지지하기 위한 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패드는 모던의 삽입구에 끼워 넣어진 판 스프링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은 안경 프레임의 안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어, 안경이 착용되었을 때는,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121800, as shown in Fig. 1, the eyeglass frame has a small nose instead of the nose pad and a pad for supporting the eyeglass, A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spring. At this time, the leaf spring is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when the spectacles are wor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wearer's temple.
또한, 일본 특개 2006-72275호 공보에 의하면, 템플에 패드를 갖는 고정식 암을 부착하고 암의 굴곡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패드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사이드 패드 안경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72275 discloses a side pad spectacle frame in which a stationary arm having a pad is attached to a temple and the position of the pa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bending angle of the arm.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서는,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얼굴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력이 약해져, 패드의 위치가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제1414726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으로서, 안경 프레임을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3)가 템플(2)에 부착되고, 이 지지 부재(3)가 템플(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 부재(3)의 위치를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을 개시하고 있다.In the eyeglass fram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position of the pad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force is weakened due to slight movement of the face and the position of the pad is deviat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1414726 discloses an eyeglass frame 1 without a nose pad which does not have a nose pad, as shown in Fig. 2, in which a
그러나 특허 제1414726호에 의하면, 두 지지 부재(3)가 템플(2)에 대하여 종축 방향으로만 이동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얼글의 폭이나 형에 맞추어 안착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동시에 얼글로부터 유격이 발생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No. 1414726, since the two
또한, 일본 특개 2003-121800호 공보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모던의 삽입구에 끼워 넣어진 판 스프링은 안경 프레임의 안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가압력이 특정 위치에서만 패드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얼글형에 맞추어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얼글에 가압되는 위치가 정확히 안착되지 못함으로써 착용감이 떨어지며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121800, since the leaf spring sandwiched by the modern insertion port is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pectacle frame, the pressing force of the leaf spring can fix the pa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worn according to the erg type, and the position to be pressed in the ergic is not accurately seated, so that the feeling of wearing is lowered and the stability feeling is lower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development of a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such a problem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받침이 없는 안경테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하여 3차원적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운동과 같은 상황에서도 안경에 대한 착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yeglass frame which improves the three dimensional fit of different types of eyeglasses without a nose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wear of the eyeglasses even in a motion-like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패드를 위한 고정부재에 대하여 다양한 악세서리가 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frame which facilitates the replacement of the pads and improves the functional beauty by allowing various accessories to b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for the pads.
본 발명에 의하면, 템플(30)의 내측에서 적어두 서로 다른 평면 내에서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탄성부재(40)와, 탄성부재(40)의 타단부는 얼글의 광대에 안착되기 위한 패드(50)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n elastic member (40) elastically varying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t least two different planes on the inner side of the temple (30) And a
여기서, 탄성부재(40)의 일단부는 템플(30)의 종축(x 축)에 대하여 결합부재(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템플(30)의 내측에 평행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평면에 수직한 제1 축(z 축)을 기점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1 탄성부(40A),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2 탄성부(40B), 및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3 탄성부(40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end of the
또한, 탄성부재(40)의 제1 탄성부(40A)는 템플(30)의 종축(x 축)에 대하여 결합부재(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템플(30)의 내측에 평행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평면에 수직한 제1 축(z 축)을 기점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결합부재(32)로부터 둔각으로 절곡된 '〈'자 형태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제2 탄성부(40B)의 단부는 템플(30)에 대하여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또한,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제1 탄성부(40A)의 단부와 제2 탄성부(40B)의 단부 사이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2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또한,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추가적으로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또한,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와 '>'형태가 연속되어 연장된 상태에서, 그 단부로부터 'ㄷ'자 형태로 추가적으로 절곡된 절곡부(42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또한, 탄성부재(40)의 제3 탄성부(40C)는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제2 탄성부(40B)의 단부에 대하여 '>'자 형태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3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또한, 제3 탄성부(40C)의 단부는 패드(50)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하여 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삽입부(42C)를 구비하며, 패드(50)는 얼글의 광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52)와 안착부(52)의 반대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제3 탄성부(40C)의 삽입부(42C)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삽입 결합되기 위한 삽입 돌출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of the thir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받침이 없는 안경테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하여 3차원적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운동과 같은 상황에서도 안경에 대한 착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패드를 위한 고정부재에 대하여 다양한 악세서리가 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of wearing for different types of glasses in a spectacle frame without a nose support,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wearing to glasses even in the case of exercise, So that various accessories can b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for the pad,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al beauty.
도 1은 일본 특개 2003-121800호 공보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특허 제1414726호에 따른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eyeglass frame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Laying-Open No. 2003-121800.
 2 is a schematic view of an eyeglass frame without a nose pad according to the < RTI ID = 0.0 > 1414726. < / RTI >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yeglass frame having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earing stability for different eyele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있어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있어서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yeglass frame having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earing stability for different types of eyele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and FIG. And FIG.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에 의하면,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으로부터 접절되어 귀걸이(20)까지 연장되는 템플(30)의 내측에서 적어두 수직한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탄성부재(40)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탄성부재(40)의 타단부는 얼글의 광대에 안착되기 위한 패드(50)가 결합된다.3 to 5,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yeglass frame having improved wearing comfort and wearing stability for different types of eyelets is folded from both ends of a
탄성부재(40)는 템플(30)의 내측에 구비된 결합부재(32)의 일측에 일단부가 결합된다.One end of the
탄성부재(40)의 일단부는 템플(30)의 종축(x 축)에 대하여 결합부재(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템플(30)의 내측에 평행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평면에 수직한 제1 축(z 축)을 기점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1 탄성부(40A),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2 탄성부(40B), 및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위한 제3 탄성부(40C)로 이루어진다.One end of the
탄성부재(40)는 원통형의 단면을 가진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탄성부재(40)의 제1 탄성부(40A)는 템플(30)의 종축(x 축)에 대하여 결합부재(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템플(30)의 내측에 평행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평면에 수직한 제1 축(z 축)을 기점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결합부재(32)로부터 둔각으로 절곡된 '〈'자 형태로 연장된다.The first
이와 같이 탄성부재(40)의 제1 탄성부(40A)는 템플(30)의 종축(x 축)에 대하여 결합부재(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템플(30)의 내측에 평행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평면에 수직한 제1 축(z 축)을 기점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결합부재(32)로부터 둔각으로 절곡된 '〈'자 형태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제2 탄성부(40B)의 단부는 템플(30)에 대하여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제1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된다.The first
한편,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제1 탄성부(40A)의 단부와 제2 탄성부(40B)의 단부 사이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2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이 때, 추가적으로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되어 연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이와 같이, 탄성부재(40)의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와 '>'형태가 연속되어 연장된다.The second
제2 탄성부(40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자 형태와 '>'형태가 연속되어 연장된 상태에서, 그 단부로부터 'ㄷ'자 형태로 추가적으로 절곡된 절곡부(42B)를 구비한다.The second
이와 같이, 제2 탄성부(40B)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절곡된 절곡부(42B)는 제1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z축 평면) 상에서 제1 탄성부(40A)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을 연속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구된 부분으로 안경테의 악세서리(미도시)가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탄성부재(40)의 제3 탄성부(40C)는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2 탄성부(40B)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제2 탄성부(40B)의 단부에 대하여 '>'자 형태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제2 평면(z축 평면)에 수직한 제3 평면(x′y′ 평면) 상에서 제3 예각()을 이룬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변된다.The third
제3 탄성부(40C)의 단부는 패드(50)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하여 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삽입부(42C)를 구비한다.The end of the third
패드(50)는 얼글의 광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52)와 안착부(52)의 반대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제3 탄성부(40C)의 삽입부(42C)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삽입 결합되기 위한 삽입 돌출부(54)로 이루어진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에 의하면, 탄성부재(40)는 템플(30)에 대하여 삼차원의 탄성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얼글형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편리한 착용감과 착용의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yeglass frame in which the wearing feeling and the wearing stability of the different types of the eyelets are improv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0: 렌즈 프레임
20: 귀걸이
30: 템플
32: 결합부재
40: 탄성부재
40A: 제1 탄성부
40B: 제2 탄성부
40C: 제3 탄성부
50: 패드0: Lens frame
 20: Earrings
 30: Temple
 32:
 40: elastic member
 40A: a first elastic part
 40B: second elastic portion
 40C: third elastic part
 50: Pa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5742AKR20190087223A (en) | 2018-01-16 | 2018-01-16 | Glasses frame with stability and wearing sensation improved regardless of different face type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5742AKR20190087223A (en) | 2018-01-16 | 2018-01-16 | Glasses frame with stability and wearing sensation improved regardless of different face typ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7223Atrue KR20190087223A (en) | 2019-07-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5742ACeasedKR20190087223A (en) | 2018-01-16 | 2018-01-16 | Glasses frame with stability and wearing sensation improved regardless of different face types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90087223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8271B1 (en)* | 2022-02-04 | 2022-08-30 | 첨단기공(주) | Glasses frame capable of providing bio-information | 
| KR102528229B1 (en) | 2022-07-08 | 2023-05-02 | 공준식 | Glasses assistant tool to prevent nose rest mark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8271B1 (en)* | 2022-02-04 | 2022-08-30 | 첨단기공(주) | Glasses frame capable of providing bio-information | 
| KR102528229B1 (en) | 2022-07-08 | 2023-05-02 | 공준식 | Glasses assistant tool to prevent nose rest marks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110736B1 (en) | Rimless spectacle frames and rimless spectacles | |
| US4924245A (en) | Resilient nose pad for spectacles | |
| KR20070118010A (en) | Hinged System for Glasses | |
| US5440356A (en) | Spectacle frame including self-aligning temple end piece | |
| JPH0933865A (en) | Spectacle frame with magnet | |
| KR20190087223A (en) | Glasses frame with stability and wearing sensation improved regardless of different face types | |
| JP3026259B1 (en) | Eye mirror | |
| KR102027312B1 (en) | Glasses with user customized nose pad | |
| KR101942089B1 (en) | Wide Use Auxiliary Glasses | |
| JP3172493B2 (en) | Nose pad device for glasses | |
| KR102132368B1 (en) | Glasses with minimized nose irritation | |
| CN216561259U (en) | Combined multifunctional children glasses | |
| KR102732253B1 (en) | Glasses that can be adjusted to fit the shape of your face | |
| KR20230145725A (en) | Glasses frame | |
| CN220872796U (en) | Length-adjustable structure of glasses earpiece and glasses using same | |
| KR20160003557U (en) | Glasses frame | |
| CN221827134U (en) | A pair of glasses that can be hooked onto the ears | |
| JPH10282458A (en) | Eye mirror | |
| CN216210279U (en) | Mirror foot external spring structure | |
| KR200286676Y1 (en) | A frame of a pair of spectacles | |
| JP3022723U (en) | Eyeglass frame with spring bridge | |
| CN217639815U (en) | Wide-angle mirror foot package assembly and glasses | |
| KR200348930Y1 (en) | Fashion glasses without nose pads and earrings | |
| JP4824477B2 (en) | Eyeglass frames | |
| JP4330002B2 (en) | Full face mask glass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1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80117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80116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901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9080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90125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