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비행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헬리콥터나 드론처럼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 물체의 경우, 프로펠러 회전의 반작용에 의해 본체가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싱글로터 헬리콥터의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일 로터(tail rotor)가 필요하지만, 드론은 앞뒤 프로펠러의 회전을 반대로 하여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을 상쇄시키는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즉, 드론은 각각의 로터 프로페러 회전을 제어하여 상승비행모드(ascend), 하강비행모드(descend), 전진비행모드 (forward), 후진비행모드(backward), 우횡비행모드(roll right), 좌횡비행모드 (roll left), 좌회전비행모드(yaw left), 우회전비행모드(yaw right)가 가능하다. 드론은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양력을 얻고, 각각의 프로펠러로부터 발생하는 양력을 조절하여 전진 및 후진과 방향 전환을 한다.The dron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hat can fly and steer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nd have been used in various civilian and military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the 2010s. In the case of a flying object, such as a helicopter or a drone, which generates lift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 reaction of the propeller rotation causes the body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In the case of a single rotor helicopter, a tail rotor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drone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unteracting the reaction caused by propeller rotation by reversing the propeller rotation. That is, the drones control the rotation of each rotor propeller so that the ascending, descending, forward, backward, right, left, It is available in roll left, yaw left, and yaw right modes. The drones us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opellers to gain lift and adjust the lift from each propeller to advance and backward and redirect.
드론은 기존 비행장치에 비해 무인화 및 자동조종, 정지비행이 용이한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군사 및 측량, 촬영, 방재, 보안 분야에서 공공 목적 달성을 위해 확대되고 있으며, 민간 분야에서는 아마존(DHL, 대한통운 등) 회사를 중심으로 운송 및 배달 업무에 활용될 예정이다. 배달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드론의 안전성 확보 기술, 자동 비행 기술, 자동 이·착륙 기술, 물품 자동 승·하차 기술, 안정적 비행시간 확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드론 비행 제어에 인공지능(AI) 기술도 도입되어, 드론이 자동으로 충돌을 회피하는 자율비행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 드론 관련 법적 규제도 많이 완화되었지만 유인항공기 대비 드론은 비행 고도 제한, 비행 금지 구역 설정, 일몰후 비행 시간 제한 등으로 민간 산업 부문에서 본격적인 도입이 제한되고 있다. 해외 선진 택배 및 물류 회사에서도 드론 배발 시범 운행 단계를 넘어서 본격적 상용화가 지연되는 것도, 안전성, 비용, 이·착륙 인프라, 충전시설, 유사 배달 서비스 등의 문제와 함께 전면 서비스를 도입할 수 없는 드론 비행 규제로 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드론 비행을 제한하는 법적 규제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민간 부문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Dron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y have advantages of unmanned, autopilot, and stop flight compared with existing flight devices. (DHL, Korea Express, etc.) companies in the private sector, and will be used for transportation and delivery services in the fields of military and surveying, shooting, disaster prevention and secur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securing the safety of drones, automatic flight technology, automatic landing technology, automatic landing and landing technology, and stable flight time extension technology to be utilized in delivery work. Recently AI technology has also been introduced into the drone flight control, and the drones are approaching the autonomous flight phase, which automatically avoids collisions. Drones have been relaxed much in legal regulations, but the introduction of drones in the civilian industry sector is limited due to restrictions on flight altitudes, flight-prohibited zones, and flight delays after sunset. Overseas advanced delivery and logistics companies are delaying full commercial commercialization beyond the trial phase of drones flight, as well as problems such as safety, cost, landing infrastructure, charging facility, and similar delivery service, Regul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private sector services that can be used within legal regulations restricting drone flight.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등산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연 훼손 우려 및 산불 예방을 위해 캠핑장 등 허가지역 외에서는 화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추운 날 산행에도 보온 도시락의 도움없이는 차거운 음식을 취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또한 산행 중에 필요한 식품 및 물품(일례로 적설 지역에서 아이젠 등 방한 용품)이 발생하더라도, 등산로에 산장이 없을 경우 등산하는 도중에는 이를 보충 및 구매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드론 기술 발전 및 스마트폰 의 보편화에 따라, 등산 중에 스마트폰으로 필요한 물품 및 식품을 주문하면 주문한 물품 및 식품을 주문자에게 정확하게 배달하는 드론 및 등산객에게 물품을 드론으로 배달하는 방법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As the aging society enters, the mountain climbing population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use of firearms is prohibited outside the permitted areas, such as camping grounds, for fear of harming nature and preventing forest fires. As a result, cold food can no longer be enjoyed without the help of warmed-up lunches.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lenish and buy the necessary food and articles (for example, winter goods such as Eisen in the snow area) necessary for hiking when there is no hut on the mountain trail during climb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rone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smart phone, when ordering the goods and foods necessary for the smartphone during the mountain climb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rones for delivering the ordered goods and food accurately to the purchaser, .
최근 국방 기술이 발달하면서 무인항공기(UAV)는 정찰 위성이나 유인정찰기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점차 무인화 및 정보 통신화 되고 있는 미래 전투 환경에 유연성 있게 부합할 수 있는 성능과 경제성 때문에 정찰용 및 공격용으로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비행체에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무선 통신으로 원격 조종하는 반자동 또는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비행이 가능하며, 주어진 임무에 따라 여러 종류의 탑재장치를 장착하고 일정기간 동안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이야기한다. 드론 제어 기술, 비행설계 기술 및 소재 기술, 무선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초소형 비행 물체인 드론도 만들어지고 있는데, 크기는 10 cm 내외이면서 무게는 50g 정도로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여 15 ~ 30분 정도 비행하고, 프로펠러 아래에 달려있는 카메라 센서로 지면의 영상을 촬영해 무선으로 전송하므로, 무선도달거리 내에서 화면을 보면서 원격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모터를 통해 프로펠러를 움직이므로 소음이 적고 크기까지 작아 정찰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드론 기술 발전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용도의 드론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택배 및 물류용의 경우 풍속 12m/s에서도 정지비행이 가능하고 페이로드가 30kg 이상의 제품도 공급되고 있다. 프로펠러의 수도 4개부터 8개까지 설치한 옥타콥터까지 만들어지고 있으며 군사용으로도 군단급, 사단급, 대대급 정착 및 타격 장비로 발전하고 있다.아마존은 2016년 드론을 이용한 제품 배당 시험 서비스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첫 배송 제품은 무게 2.17kg으로 배달 드론 '프라임 에어'가 주문받은지 13분 만에 고객의 집 마당에 내려놓은 것으로 배달 성공으로 판정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드론배달 서비스는 정해진 장소에 배달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등산객 물품 배달 서비스는 1) 등산객(주문자)이 이동하고 2) 주문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으면 짧은 드론 비행시간 내에 물품 전달이 여렵고 3) 목적지 근처에는 많은 등산객들이 있으므로 드론으로 등산객에게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인증 절차 및 전달 기술이 필요하다. 관련하여, 스마트폰 앱으로 음식을 주문하면 오토바이로 바로 배달하는 서비스도 국내·외에서 확대되고 있다.With the recent advances in defense technology,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reconnaissance satellites and 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and can be flexibly adapted to future unmanned and telecommunication future battle environments. It is widely used for dragon and attack. It is generally possible to fly by semi-automatic or pre-programmed programs that remotely control from remote to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relying on a pilot on a repeatable flight. Depending on the mission, Talk about a plane that can perform a miss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the development of drone control technology, flight design technology, material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small flying object drone is also being made. It is about 10cm in size and weighs about 50g, Since the image of the ground is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attached to the propeller and transmitted wirelessly,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while viewing the screen within the wireless reach distance. The propeller is moved through the motor so that the noise is small and the size is small. There is a possibility. Dr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rapidly, commercial use of various kinds of drones. In case of courier and logistics, stopping flight is possible even at wind speed of 12m / s, and products with payload of 30kg or more are also supplied. There are also propellers ranging from 4 to 8 octacopters, and the military is also developing military, divisional, battalion-level and striking equipment. Announced. The first delivery product weighs 2.17kg, and the delivery drone 'Prime Air' was placed in the customer 's home in 13 minutes after the order was received and the delivery was successful. However, the conventional delivery service of drones is delivered to a fixed place.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livery service for hiker goods 1) when a hiker (a purchaser) moves and 2) a buyer does not arrive at a destination, 3) There are many climbers in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so several stages of certification and delivery skills are required to deliver the goods to the climber with the drones. In relation to this, when you order food with a smartphone app, the service to deliver it directly to motorcycles is expanding both at home and abroad.
드론은 레크리에이션, 항공 촬영, 산업시설 점검, 스모그 제거, 시설물 피해 조사, 인공 강우, 수색 및 구조, 인터넷 무선 중계, 배달 서비스 등에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골든 타임이 시급한 화재 현장에서는 소방차보다 먼저 현장에 도착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 및 소방차 및 소방헬기 화재 현장 도착 이전에 초동 화재 진압 하는 용도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437323호에서는 드론에 소화용 물질을 탑재하여, 원격조종장치로 화재 현장 상공으로 비행시킨 후, 불타오르는 곳을 향해 소화용 물질을 투하하거나 발사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본 발명이 실현되어 산불이 발생한 근처에 소화용 물질을 살포할 수 있는 드론이 있다면, 산불 발생 초기(산불 골든타임 30분 이내)에 소화물질을 바로 투하하여 산불 현장과 거리 문제로 출동 시간이 소요되는 소방 헬기가 투입되기 이전에 산불 확산을 막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drones are being applied to recreation, aerial photography, industrial facility inspection, smog removal, facility damage investigation, artificial rainfall, search and rescue, Internet radio relay, and delivery service. In Golden Times, It can also be used to send video information on arrival and fire fighting fire trucks and fire helicopters before they arriv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437323 proposes a method for loading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on a drone, flying over a fire scene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n releasing or launching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oward a burning plac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and there is a drone capable of spraying fire-fighting material in the vicinity of a forest fire, it is necessary to dispatch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mmediately in the early stage of forest fires (within 30 minutes of the forest fire golden time) Which can be used to prevent the spread of forest fires before the fire helicopter is introduced.
최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물품을 주문하면 집으로 배달해주는 모토바이 배달 공유 서비스(일례로 '배달의 민족')가 확산되고 있어, 주문자는 필요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음식을 주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 기반 주문 및 배달 서비스를 등산객에게 필요한 음식 및 용품을 배달하는데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첫째, 오토바이로는 산에 있는 등산객에게 주문한 물품을 배달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운송 수단이 필요하다. 둘째, 정해진 위치의 집 및 건물에 배달하는 경우와 다르게 많은 등산객이 다니는 등산로에서 주문한 물품을 주문자에게 드론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등산객에게 편리한 운용 방식이 필요하며, 이차적으로 주문자를 확인 및 인증, 정산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아마존 회사 등에서 시범 서비스하는 드론 배달 서비스는 주문자가 요청한 물품을 인수하는 특정한 장소에 물품을 내려 놓기 때문에 상기 인증 및 정산 솔루션이 불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등산객 주문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물품을 배달하도록 발전하겠지만, 전단계로 1) 등산로의 정해진 지점들에 드론 착륙 및 물품 전달 기지를 구축하여 무인으로 운용하는 경우 물품 보관함에서 주문자가 물품을 인수받는 과정에서도 인증 및 정산 솔루션이 필요하다. 혹은, 물품 보관함을 운용하는 대신, 2) 물품을 탑재한 드론이 특정 지점에 착륙하여 대기하기 있다가 주문자에게 물품을 인도하는 과정에서도 특정한 인증 및 정산 솔루션이 필요하다. 3) 물품전달 장소를 유인으로 운용하는 경우에도 주문자에게 물품을 인도하는 과정에서도 특정한 확인, 정산 및 인증 솔루션이 필요하다.In recent years, when a product is ordered through a smartphone, a home delivery service (eg, a "delivery nation") is spreading, and the orderer conveniently orders food at the required place.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smartphone-based order and delivery service to deliver the food and the goods necessary for the hiker, the following problems must be solved. First, motorcycles require new means of transport because they can not deliver goods ordered to mountain climbers. Second, unlike the case of delivering to a house or building of a predetermined location, in order to deliver the goods ordered from a mountain climbing route where many climbers travel to the drones to the purchaser, a convenient operation method for the climbers is firstly required. Solution. A drones delivery service piloted by an Amazon company, etc., does not need the above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solution because it places the item in a specific place where the buyer takes the requested item. Eventually, the climber will track the location of the orderer and develop the delivery of the goods. However, in the previous steps, 1) the drones landing and goods delivery bases are established at the designated points of the trail, Also require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solutions. Alternatively, instead of operating the locker, 2) the dron with the goods landing at a certain point, waiting for a specific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solution is need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goods to the purchaser. 3) Even if the place of delivery is operated as an incentive, a specific confirmation, settlement and authentication solution is need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goods to the purchaser.
등산객에게 물품 및 식품을 드론으로 배달하는 서비스는 해당 산에서 산불 발생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산불 발생시 가까운 지역의 소방차량 및 소방헬기가 도착하는데는 시간(소방헬기 30분 이내 출동율 10% 이하)이 소요된다. 화재 특히 산불은 발화시 주변으로 급속도로 전파되므로, 초기 진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산불 발생 지역은 소방관 진입이 어려운 산악 지형이 많다. 헬리콥터 및 비행기를 이용하여 소화용 물질 혹은 물을 살포하여 진압하고 있지만 도착 시간까지는 1시간 내외의 시산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실현된다면, 산 아래에 위치할 등산객에게 물품 및 식품을 배달하는 드론을 활용하여 물품대신 소화용 물질을 운반하여 산불 현장에 투하하도록 구성해야 한다.The service of delivering goods and food to a mountain climbe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in the mountain. Fire fighting vehicles and fire fighting helicopters in the vicinity of the nearest firefighting helicopter (fire helicopter dispatch rate of less than 10% within 30 minutes) are required. Fires, especially fires, spread rapidly around the fires, so early suppress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re are many mountainous terrain where firefighters can hardly enter forest fire area. It is sprayed with fire extinguishing material or water using a helicopter and an airplan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bout one hour or so until arrival tim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it should b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o the mountain fire site instead of the article by utilizing the drones that deliver the goods and food to the hikers located under the mountains.
드론의 비행시간은 리튬이온전지(에너지 밀도 200Wh/kg)를 탑재하는 경우 20분대에 그쳤지만, 최근에는 연료전지(에너지 밀도 350Wh/kg)를 탑재하여 4시간까지 비행시간을 연장하고 있다. 중국 DJI 회사의 산업용 드론인 MATRICE 600의 경우 5.5kg의 화물을 탑재하고 18분 비행 가능하며, 최대속도는 65km/h로 알려져 있다.최근 드론에 인공지능 기술이 집약되어 정지비행, 내풍비행, 충돌 회피 및 자동 이착륙기술도 도입되고 있으며, 안정성도 향상되고 있다. 농업용 드론의 경우 농약을 30 kg까지 탑재 가능한 제품도 상용화되었다. 본 발명은 등산객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1) 등산로의 주요 지점에 드론에서 물품을 전달할 수 있는 드론 도킹스테이션 수단, 2) 드론 도킹스테이션에서 주문자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드론에서 직접 전달하는 방법, 혹은 무인 물품보관대에 드론에서 물품을 자동 보관함에서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수단, 혹은 물품 보관함을 유인으로 운영하는 수단, 3) 드론,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 주문자의 스마트폰, 드론배달 운용서버는 각각의 위치(스마트폰, 드론 좌표 및 배송 상태)를 상호 공유하는 수단, 4) 주문자를 인증하는 수단으로 물품 박스에 코드(QR코드 포함)를 프린트하고 주문자가 해당 코드를 찍으면 드론배달 운용서버에서 인증 및 정산하고 물품을 전달하는 수단, 혹은 스마트폰과 드론 간 통신(블루투쓰, 무선랜, 이동통신)으로 상호 인증 및 정산하는 수단을 구축하여 해결할 수 있다.Drones' flying time was only 20 minutes with a lithium ion battery (energy density 200Wh / kg), but recently the fuel cell (energy density 350Wh / kg) was installed to extend the flight time to 4 hours. In China, DJI's industrial drone MATRICE 600 is loaded with 5.5kg of cargo and can fly for 18 minutes and is known to have a maximum speed of 65km / h.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been integrated into drones, Avoidance and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technologies are also being introduced, and stability is also improving. In the case of agricultural drones, products capable of loading up to 30 kg of pesticide were also commercializ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delivering goods to a hik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1) delivering goods to a purchaser at a drone docking station, A method of transferring directly from the drones or a means of transferring the goods from the drones to the purchaser in the automatic storage box in an unmanned storage room or a means of operating the storage box as an incentive, 3) a drones, a drones remote control ground station, , The drones delivery server may be used to mutually share each location (smartphone, drone coordinates and delivery status), 4) to print the code (including the QR code) in the article box as a means of authenticating the purchaser,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nd settle the goods at the drones delivery server and deliver the goods,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drones Used, it can be solved by build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 settlement means for the wireless LAN, mobile communication).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특정 등산로 도킹스테이션이 아니라 주문자가 있는 장소 근처로 주문한 물품을 내리도록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 1) 드론은 목표자 스마트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공의 안전한 장소에서 정지비행하는 단계, 2) 해당 지역이 안전지대 임을 확인하는 단계, 3) 주문자는 드론이 전달 위치에 도착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물품 도착을 확인하고 전달을 요청하는 단계, 4)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에서 물품 전달을 지령하는 단계, 5) 드론에서 물품을 전동 하강장치로 스마트폰 위치로 내리는 단계, 6) 사용자가 인수하는 단계 및 인수 장면을 촬영하는 단계, 7) 전동 하강장치를 원래 위치로 한 후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으로 귀환하는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A more preferred method is to arrange for the order to be placed near the place where the purchaser is located, rather than on a specific hiking docking station. To do this, 1) the dron traces the location of the target smartphone and stops at a safe place in the sky, 2) confirms that the area is a safe zone, and 3) 4) requesting delivery of goods from the drone remote control ground station, 5) dropping the goods from the drones to the smartphone location with the electric descending device, 6) Step 7) taking the electric descending device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n returning it to the drone remote control ground st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완구 및 취미 분야 외에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저렴해지고 고성능화되고 있는 드론 기술을 발전시켜,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 및 식품을 탑재하여 필요한 시기 및 원하는 장소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드론 장치 및,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 드론 배달 방법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등산객 물품 드론전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1) 등산객의 위치는 이동한다는 점, 2) 물품 전달 장소가 개방된 지역인 점, 3) 운용 방법 및 물품 전달 시나리오에 맞춰 드론, 드론 조종국, 드론배달 운용서버, 주문자 스마트폰간 정보의 흐름이 필요한 점, 4) 주문자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인증 및 정산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일반 드론과 달리 물품을 안전하게 전달하는 드론 장치 및 인증과 정산을 위한 솔루션을 탑재하여야 한다. 드론 별로 담당하는 산(등산로와 캠프장 포함)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서 비행하므로, 법적 규제 안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산불 발생시에는 물품 및 식품 대신 소화용 물질을 대신 탑재하여, 화재 지역으로 신속히 비행한 후, 하단의 소화용 물질을 살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산불을 진압하는 공공 목적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a drone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cheap and high-performance drones, and is equipped with a dron device configured to mount an article and food ordered by a hiker, And to a method and service for delivering the ordered goods drones.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climbing goods drones delivery service, it is necessary that: (1) the position of the climbers is moved; (2) the area where the article delivery area is opened; (3) the drones, The operation server and the ordering smartphone need information flow, and 4) the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solut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goods to the purchaser. Unlike ordinary drones, it should be equipped with a dron device that safely transports goods and a solution for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Because the drones fly within a certain radius centering on mountains (including mountain trails and campsites), safety can be ensured within legal regulations. At the same time, when a fire occur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can be used instead of goods and food, and the fire can be quickly applied to a fire area, and then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can be spray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through this.
첫째, 자연훼손 방지 및 산불 예방을 위하여 산에서는 화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산행중에는 따스한(혹은 차거운) 식품 섭취가 어렵다. 등산객이 스마트폰으로 주문한 따스한(혹은 차거운) 식품을 원하는 위치 및 시간에 전달하는 방법 및 서비스가 구현된다면, 등산객의 안전 향상과 산행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difficult to consume warm (or cold) food during hiking because it prohibits the use of firearms in mountains to prevent natural damage and to prevent forest fires. If a method and service for delivering warm (or chilled) food ordered by a climber to a desired position and time are implemented,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afety of climbers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hiking.
둘째, 등산중 필요한 등산 물품(일례로 아이젠 및 의약품)도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고 원하는 위치 및 시간에 전달하는 방법 및 서비스를 통하여, 등산객(조난자 포함)의 안전 산행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of contributing to safe walking of mountain climbers (including the victims) through a method and service for ordering a mountain climbing article (for example, Eisen and medicine) necessary for climbing on a smart phone and delivering it to a desired location and time.
셋째, 민간 부문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DJI사 MAVICE 600 모델의 경우 6kg 물품 탑재 가능)를 통하여 등산객이 많은 산 중심으로 드론 기지국 서비스이 구축되어 주변 지역의 측량, 촬영, 방재, 보안 서비스 등으로 활용하는 효과(DSP : Drone Service Provider)가 있다.Third, Dollon base station service is built around mountains with many mountain climbers through services that generate profit by utilizing drones in the private sector (6kg of goods can be loaded in case of DJI MAVICE 600 model). Surveying, shooting, disaster prevention, security (DSP: Drone Service Provider).
넷째, 산불 발생시 초동 진압이 중요하지만, 현재는 산불 발생후 소방 헬기 도착까지는 평균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는(30분 이내는 4% 미만)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산불 현장에 골든타임(30분) 이내에 도착하도록 산불이 발생한 해당 산 근처에 있는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에서 소화용 물질(소화탄)을 탑재하고 투하시킬 경우 산불 초동 진압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fire suppression is important i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more than an hour to reach the fire helicopter after forest fires (less than 4% within 30 minutes). The effect of fire suppression can be achieved by loading fire-extinguishing material (digestive coal) in the drone remote control ground station near the mountain where the forest fire occurs to arrive within the golden time (30 minutes) have.
제 1 도는 물류회사에서 운용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물품 배달용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제 2 도는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아마존 회사의 물품을 드론으로 정확하게 배달하는 서비스도이다.
제 3 도는 물품 배달용 드론에서 물품을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비교하는 이미지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개방 공간(등산로 및 휴식 공간)에서 등산객에게 주문한 물품을 드론으로 배달하는 시스템및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개방 공간에서 등산객에게 주문하는 물품을 배달하는 드론의 블록도 이다.Figure 1 is an image of a general form of a drones for delivering goods operated by a logistics company.
The second diagram is a service to accurately deliver the goods of the Amazon company registered in 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to the drones.
FIG. 3 is an image comparing the method of delivering articles from the drones for delivering goods to the purchaser.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nd a service for delivering goods ordered to a hiker to a drone in an open space (a mountain and a rest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drones delivering goods ordered to a hiker in the open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except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산행을 하는 중에 미리 준비하지 못한 식품 및 등산 용품이 갑자기 필요한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산에서 산불 방지를 위해 화기 사용이 금지되면서, 산행 중에 따스한 음식에 대한 욕구가 있고, 혹서기에는 차가운 음료 및 맥주를 산 정상에서 마시고 싶은 욕구가 있다. 일례로 산행 혹은 산 정상에서 방금 조리한 치맥을 즐기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러나, 등산로에서는 상행위 특히 음식을 조리하여 판매 행위를 금지하고 있어 상기 욕구를 만족시킬 수단과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완구 및 취미 분야 외에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저렴해지고 고성능화되고 있는 드론( 6,000달러 내외에 판매되는 DJI회사 매트리스 600모델은 5.5kg 물품 탑재 18분 비행)에,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에 산행중인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방법 및 서비스와 이를 실현하는 드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산객에게 주문한 물품을 전달하는 것은 배달처가 고정된 일반 가정 집과 사무실에 물품을 드론으로 전달하는 것에 비해 1) 많은 등산객이 다니는 개방된 공간에서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기술, 2) 많은 등산객 중에서 주문자를 확인하는 기술, 3) 드론의 이상 발생시에도 등산로 주변의 등산객을 보호하는 기술, 4) 드론배달 운용서버 및 지상국 원격조종장치, 도킹 스테이션, 드론,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기술, 5) 주문자의 스마트폰과 드론을 연계하여 인증 및 정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산 근처에 물품배달 드론이 있는 만큼,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 소화용 물질을 드론 하단에 탑재하여 산불 현장으로 신속히 비행한 후, 하단의 소화용 물질을 살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산불을 진압하여 골든 타임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이하 첨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od and hiking goods that are not ready in advance are often needed suddenly while hiking. In particular, there is a desire for warm food during hiking, while the use of firearms is prohibited to prevent wildfires in the mountains, and there is a desire to drink cold beverages and beer on the mountain top during hot days. For example, you might want to enjoy a stomach that has just been cooked on a hill or mountain top. However, there is no means or method for satisfying the desire because commercial activities are prohibited by selling commercial activities, especially f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 which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use besides toys and hobbies, and which is inexpensive and high-performance drones (the DJI company mattress 600 model sold for about 6,000 dollars, And a dron device for realizing the service. In order to deliver the goods ordered to the climbers, it is necessary to send the goods to the drones in the fixed home and office where the delivery point is fixed, 1) technology to deliver to the orderer in the open space where many climbers travel, 2) Technology to protect mountain climbers in the vicinity of drones in the event of an outbreak of drones; 4) technology to connect a drones delivery server and a ground station remote control device, docking station, drones, and smartphones; 5) A technology for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in connection with the drone is needed. In addition, as there is a supply delivery drones near the mountain, when a forest fire occurs, the fire material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flying quickly to the forest fire site, and spraying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물류회사에서 운용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물품 배달용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미래의 택배용 드론은 자율비행하면서 물품을 수송하는 만큼 60분 내외의 비행시간, 30kg 내외의 페이로드(payload), 풍속 12m/s 이상에서도 안정적인 비행 성능을 갖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제 2 도는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아마존 회사의 물품을 드론으로 정확하게 배달하는 서비스도이다. 아마존 회사에서는 드론이 지상에 착륙하면 시간과 에너지 소모가 많기 때문에 낙하하산 배달을 제안하였다. 제 3 도는 물품 배달용 드론에서 물품을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비교하는 이미지도이다. 정지비행 상태에서 목적지에 착륙하여 전달하는 일반적인 방법 외에, 목적지 상공에서 물품전달 전동장치를 작동시켜 물품을 지상으로 내리는 방법이 있지만 물품전달 전동장치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벼운 재료로 제작되는 물품프레임 지지대로 물품을 드론 하단부에서 일정 거리(일례로 1 ~ 3m) 떨어진 상태로 운반하면 지상에 착륙하지 않고 물품을 전달할 수 있다. 등산객에게 드론으로 물품을 전달하는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등산객 안전이므로, 지상국에서 이륙 후에는 목적지 근처에서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일례로 3 ~ 5m) 이상으로만 비행하도록 운용해야 한다.Figure 1 is an image of a general form of a drones for delivering goods operated by a logistics company. Future courier drones are expected to evolve into a form that has a flying time of around 60 minutes, payload of around 30kg, and stable flight performance even at wind speeds of 12m / s or more, as it freely transports goods while flying freely. The second diagram is a service to accurately deliver the goods of the Amazon company registered in 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to the drones. The Amazon company suggested drop delivery and delivery because the drones landed on the ground for a lot of time and energy. FIG. 3 is an image comparing the method of delivering articles from the drones for delivering goods to the purchaser. In addition to the general method of landing and delivering to a destination in a stopping flight state, there is a method of lowering the article to the ground by operating the article transferring transmission device over the destin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is increased due to the article transferring transmission dev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rticle can be transported without landing on the ground by transporting the article at a distance (for example, 1 to 3 m) from the lower end of the dron with the article frame support made of light material. The most important service for delivering goods to a mountain climber is a climber's safety. Therefore, after landing at a ground station, it should be operated at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3 ~ 5m) from the ground near the destina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개방 공간(등산로 및 휴식 공간)에서 등산객에게 주문한 물품을 드론으로 전달하는 시스템및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즉, 등산객에게 물품을 배달하는데 있어서, 등산객 드론 물품 배달 서비스를 중개하는 드론배달 운용서버(4)에, 등산객이 스마트폰(5)으로 물품을 주문하는 단계; 해당 산의 등산로 및 휴식 공간 내에서 물품 배달 장소 및 시간을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 드론배달 운용서버(4)와 연계하여 해당 산 근처에 있는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3)에서, 선택적으로, 주문자 스마트폰(5) 위치를 기반으로 계산한 배달 예상 시간에 대응하여, 등산객 물품배달 드론(1)에 주문 물품(2)을 탑재하여 이륙하는 단계; 물품 배달 장소 상공으로 약속된 시간에 도착하여 정지비행하는 단계; 해당 지역이 안전지대임을 확인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주문자 스마트폰(5)에 물품 도착을 알리는 단계; 선택적으로, 주문자가 스마트폰(5)으로 물품 인도를 요청하는 단계; 드론에서 고도를 낮추거나 드론 하부에 설치된 전동장치로 물품을 내려 주문자에게 물품을 인도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주문자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단계; 해당 산 근처 드론 원격 조종 지상국(3)으로 귀환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등산객은 등산 중에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주문한 물품을 드론으로 신속하게 전달받는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등산객 드론 물품 배달 서비스를 중개하는 드론배달 운용 서버(4)는, 주문자의 스마트폰(5); 등산객 물품 배달 드론(1); 선택적으로, 해당 산 근처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3)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주문자 스마트폰(5)과 드론(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등산객 물품 배달 과정 조정 및 인증,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현행 드론은 비행 시간이 20 ~ 30분 내외로 짧은 만큼, 주문한 등산객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주문 물품을 탑재한 드론이 지상국에서 이륙하는 시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즉, 드론의 짧은 비행 가능 시간 내에 물폼 배달을 완료하기 위해, 주문자 스마트폰(5) 위치를 기반으로 주문자가 목표 배달 지점에 도달 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드론 비행 속도를 기준으로 드론 이륙 시기을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혹은, 드론에서 고도를 낮추거나 혹은 드론 하부에 설치된 전동장치로 물품을 내려 주문자에게 물품을 인도하는 단계에서, 해당 산의 등산로 및 휴식 공간 주요 지점에 무인 혹은 유인으로 운용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설치하며, 드론(1)은 도킹 스테이션에 물품을 내리는 단계; 주문자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인증 및 정산 과정을 거쳐 물품을 인도받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해당 산의 등산로에서 물품 배달 장소 및 시간을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에서 해당 산의 등산로 및 휴식 공간에서 드론의 안전이 확보된 지역을 물품 배달 장소들로 지정하여 스마트폰의 앱에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 등산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물품 배달 장소 상공으로 해당 시간에 도착하여 정지비행하는 단계; 해당 지역이 안전 지대 임을 확인하는 단계;선택적으로, 드론(1)의 프로펠러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단계; 주문자의 안전을 위해 드론(1)의 최저 비행 고도를 일정고도(일례로 3 ~ 5m) 이상으로 제한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이와 함께, 등산객 물품 배달 드론에 주문 물품을 탑재하여 이륙하는 단계에서, 해당 산에서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 투하할 수 있는 소화용 물질을 탑재하여 이륙하는 단계; 산불 발생 장소 상공에 도착하여 정지비행하는 단계; 소화용 물질을 투하하여 산불을 조기 진화하도록 구성하여 공공 목적으로도 활용하도록 구성한다.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nd a service for delivering goods ordered to a hiker to a drones in an open space (a mountain climbing path and a rest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order to deliver the goods to the climber, the climber orders the goods to the drones delivery server 4, which intermediates the climber drones delivery service, with the smartphone 5; Inputting and confirming the place and time of delivering the goods in the hiking trail and the resting area of the mountain; In response to the estimated delivery tim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f the ordering smartphone 5, in the drones remote
이를 구현하는 드론배달 운용시스템의 경우, 등산객(주문자) 스마트폰(5)에서 드론배달 운용서버(4)로, 물품 주문 및 등산객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드론배달 운용서버(4)는 등산객(주문자) 스마트폰(5)으로, 배달 지점 및 시간을 확인하고 드론 위치 정보와 같은 배달 진행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드론배달 운용서버(4)에서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3)으로는, 물품 주문 및 배달 지점 및 시간, 등산객(주문자)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3에서 드론배달 운용서버(4)로는, 드론 위치 정보 및 배달 진행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장래에는 주문자(등산객)의 스마트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자 현재 위치로 드론이 자동/자율 비행하여 물품을 전달하는 단계로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단계에서는 등산로 및 휴식 공간 주변의 안전한 장소로 배달 지점을 제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등산로 및 휴식 공간 지점에 드론 도킹 스테이션을 표시하는 기둥들을 설치하는 수단; 기둥에는, 위치를 표시하는 마크(일례로 'H' 마크)를 설치하는 수단; 혹은, 위치를 알리는 LED 및 램프를 설치하는 수단; 혹은, 블루투쓰 모듈(일례로 비콘)을 설치하는 수단 등을 통하여 등산객 물품배달 드론(1)에서 배달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고, 반드시 드론 도킹 스테이션을 표시하는 기둥 상공에서 정지비행하도록 구성한다. 기둥 상단에는 선반을 설치하여 물품을 선반에 올려 놓은 상태로 정지 비행할 경우 드론이 운반하는 물품 무게가 줄어들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rones delivery operating system implementing this, the step of delivering goods order and hik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hiker (ordering) smartphone 5 to the drones delivery operation server 4; The drones delivery operation server 4 comprises a step of confirming the delivery point and the time to the climber smartphone 5 and delivering the delivery progress information such as the dro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rones delivery operation server 4, the drones remote
제 5 도는 본 발명의 등산객에게 주문 물품을 전달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등산로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등산객에게 주문하는 물품을 전달하는 드론의 블록도 이다. 즉,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을 탑재하고 해당지역 상공에서 전달하는 드론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복수 개의 프로펠러 구동모터(17)로 각각의 프로펠러(16) 회전을 제어하여 원하는 위치로 비행 혹은 정지 비행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드론의 비행 경로 및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위성좌표수신기 수단(7), 관성센서 수단(6), 비행제어컴퓨터 수단(18); 물품 전달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드론의 카메라 센서(9) 수단; 카메라 센서(9)와 위성좌표수신기(7)의 정보를 해당 산 근처의 원격조종장치(11)에 전달하고, 해당 산 근처의 원격조종장치(11)에서 드론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10); 주문자에게 전달할 물품을 드론 물품탑재 프레임(21)에 설치하는 수단; 주문자와 약속한 목적지 좌표를 입력하고 목적지로 해당 드론을 비행시키는 수단; 선택적으로, 목적지 상공에서 주문자의 스마트폰(19)과 통신하는 스마트폰통신수단(19); 주문자에게 물품을 전달해야 하는 위치를 위성좌표수신기(7) 및 카메라센서(9)에서 자동 인식하거나, 혹은, 드론의 카메라센서(9)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원격조종장치(11)의 물품 전달 버튼(14)으로 결정하는 수단; 주문자에게 물품 전달을 위해 설정된 해당 목표 지점에서 정지비행 및 도착 알림하는 수단; 주문자가 스마트폰(8)으로 물품 낙하를 요청하는 수단 및 해당 드론에 물품 낙하를 지시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드론의 비행 고도를 낮추거나 혹은 물품을 드론 하단에 고정된 물품전달 전동장치(20)로 내리는 수단; 및 스피커(12)로 주문자에게 물품 인수를 요청하는 수단; 주문자가 물품을 인수하는 단계를 촬영하는 카메라수단(9); 선택적으로, 물품탑재 프레임(21)을 물품전달 전동장치(20)로 올리는 수단; 해당 산 근처의 원격조종장치(11)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목적지 상공에서 주문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스마트폰 통신수단(19)으로 블루투쓰 및 무선랜 통신으로 주문자 스마트폰(8)과 직접 통신하거나, 이동통신망으로 원격지 드론배달 운용서버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주문자가 스마트폰(8)으로 물품 낙하를 요청하는 수단 및 원격조종장치(11)의 물품전달 버튼(14)으로 해당 드론에 물품 낙하를 지시하는 수단에서, 연결된 주문자 스마트폰(8)을 통해 주문자의 인증 및 정산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물품을 드론 하단에 고정된 물품전달 전동장치(20)로 내리는 수단; 및 주문자에게 물품 인수를 요청하는 수단에서, 램프 혹은 스피커(12)로 물품 인수를 주문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한다. 혹은, 주문자가 물품을 인수하는 단계를 촬영하는 카메라수단(9);으로, 주문자가 물품 인수를 완료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구성한다. 혹은, 주문자의 안전을 위해 배달 목적지 근처 상공에서는 비행제어컴퓨터에서 일정 고도(일례로 3~5m) 이상으로만 비행하도록 제한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주문자의 안전을 위해 주문자 근처 상공 일정 고도(일례로 3~5m) 이상에서 정지비행하는 드론에서, 드론 하단부에 물품을 내리는 물품전달 전동장치(20)를 설치하는 대신, 드론 하단부에서 일정 길이(일례로 1~3m)의 케이블로 물품 탑재 프레임(21)을 고정하고 드론 정지비행 고도를 조정하여 주문자에게 물품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주문자의 안전을 위해 드론(1)의 프로펠러 주변의 덕트 부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혹은, 등산로 및 휴식 공간 지점에 드론 도킹 스테이션을 표시하는 기둥 및 마크를 설치하는 수단; 드론의 카메라 센서로 해당 위치를 인식하는 수단; 드론 도킹 스테이션을 표시하는 기둥 및 마크 위의 상공에서 정지비행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드론에 마이크 센서(13) 및 스피커(12)를 설치하는 수단; 물품 배달 지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 센서로 원격조종장치(11)에 전송하는 수단; 혹은, 원격조종장치(11)로 물품 배달 지역에 전달하는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ron for delivering an order to a climber in an open space, such as a trail, to implement a service for delivering an order to a hi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dron system that mounts the goods ordered by the climbers and delivers them over the area is composed as follows. A dron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rotation of each propeller 16 by a plurality of propeller drive motors 17 to fly or stop to a desired position; Satellite coordinate receiver means (7), inertial sensor means (6),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18) for controlling the flight path and attitude of the drones; A camera sensor (9) means of the drones for capturing an article delivery scene; The information of the camera sensor 9 and the satellite coordinate receiver 7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1 in the vicinity of the mountain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1 in the vicinity of the mountain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Means (10); Means for installing the article to be delivered to the purchaser to the drone article mounting frame (21); Means for entering the promised destination coordinates with the purchaser and flying the drones to the destination; Optionally, smartphone communication means (19) for communicating with the customized smartphone (19) over the destination; A product delivery button (not show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position where the article should be delivered to the purchaser by the satellite coordinate receiver 7 and the camera sensor 9 or moni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camera sensor 9 of the drones 14); Means for notifying the orderer of the stop flight and arrival at the target point set for delivering the goods; Means for requesting the orderer to drop the goods to the smartphone (8) and means for instructing the drones to drop the goods; Optionally, means for lowering the flight height of the drones or lowering the articles to the goods transfer transmission 20 fixed at the bottom of the drones; And a speaker (12) for requesting the purchaser to take the goods; Camera means (9) for photographing the step of the purchaser taking over the article; Optionally, means for raising the article carrying frame (21) to the article transfer transmission (20); And return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1 position near the mountai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s smartphone 8 via the Bluetooth and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means 19 communicating with the customer's smartphone over the destination, or to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s smartphone 8 via the remote location delivery operation server . Alternatively, the orderer smartphone 8 may be connected to the ordering device by means of requesting the orderer to drop the goods on the smartphone 8 and means for instructing the goods transfer button 14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완구 및 취미 분야 외에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저렴해지고 고성능화되고 있는 드론 기술을 등산객에게 안전하게 물품을 배달하도록 발전시켜,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 및 식품을 탑재하여 필요한 시기 및 원하는 장소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드론 장치 및, 등산객이 주문한 물품 드론 배달 방법 및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use, cheap and high-performance drone technology is developed to deliver articles safely to hikers, and the goods and foods ordered by hikers are loaded and delivered to desired places and places And to implement a goods drones delivery method and service ordered by a mountain climber.
1 : 등산객 물품 배달 드론 2 : 등산객 주문 물품
3 : 드론 원격조종 지상국 4 : 드론배달 운용서버
5 : 등산객 스마트폰 6 : 관성센서
7 : 위성좌표수신기 8 : 주문자 스마트폰
9 : 카메라센서 10 : 무선통신수단
11 : 원격조종장치 12 : 스피커
13 : 마이크센서 14 : 물품전달 버튼
15 : 적외선 감지센서 16 : 프로펠러
17 : 구동모터 18 : 비행제어컴퓨터 수단
19 : 스마트폰 통신수단 20 : 물품전달 전동장치
21 : 물품 탑재 프레임
1: Mountaineer's goods delivery Drones 2: Mountaineer's order goods
3: Drone remote control ground station 4: Drone delivery operation server
5: Mountain climber Smartphone 6: Inertial sensor
7: Satellite coordinate receiver 8: Customized smart phone
9: camera sensor 10: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11: Remote control device 12: Speaker
13: Microphone sensor 14: Commodity transfer button
15: Infrared detection sensor 16: Propeller
17: drive motor 18: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19: Smartphone communication means 20: Goods transferring device
21: Item mounting fram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59119AKR20190061109A (en) | 2017-11-27 | 2017-11-27 | Drones configured to deliever order items to climbers and drone based climbers goods delivery methods and service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59119AKR20190061109A (en) | 2017-11-27 | 2017-11-27 | Drones configured to deliever order items to climbers and drone based climbers goods delivery methods and servic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61109Atrue KR20190061109A (en) | 2019-06-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59119AWithdrawnKR20190061109A (en) | 2017-11-27 | 2017-11-27 | Drones configured to deliever order items to climbers and drone based climbers goods delivery methods and services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90061109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747036A (en)* | 2019-12-24 | 2020-10-09 |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 Unmanned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ake-out unmanned aerial vehicle |
| CN112215537A (en)* | 2020-09-11 | 2021-01-12 |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 Item delivery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4331280A (en)* | 2021-12-29 | 2022-04-12 | 中南大学 | Unmanned aerial vehicle-assisted express delivery method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nergy optimization |
| KR20220152915A (en)* | 2021-05-10 | 2022-11-17 | 최주영 | Take-off/landing modem of autonomous flying vehicle and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
| KR102604834B1 (en)* | 2023-02-23 | 2023-11-22 | (유)동아하이테크 | A horizontal maintaining apparatus and a drone delivery unit comprising the same |
| KR20250070214A (en) | 2023-11-13 | 2025-05-20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Dron Call System Based On Consumer And The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7323B1 (en) | 2014-04-01 | 2014-09-02 | 안정철 | Unmanned plane for fire reconnaissance and fire-fighters |
| US9567081B1 (en) | 2015-06-26 | 2017-02-14 | Amazon Technologies, Inc. | Maneuvering a package following in-flight release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7323B1 (en) | 2014-04-01 | 2014-09-02 | 안정철 | Unmanned plane for fire reconnaissance and fire-fighters |
| US9567081B1 (en) | 2015-06-26 | 2017-02-14 | Amazon Technologies, Inc. | Maneuvering a package following in-flight release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747036A (en)* | 2019-12-24 | 2020-10-09 |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 Unmanned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ake-out unmanned aerial vehicle |
| CN112215537A (en)* | 2020-09-11 | 2021-01-12 |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 Item delivery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20220152915A (en)* | 2021-05-10 | 2022-11-17 | 최주영 | Take-off/landing modem of autonomous flying vehicle and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
| CN114331280A (en)* | 2021-12-29 | 2022-04-12 | 中南大学 | Unmanned aerial vehicle-assisted express delivery method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nergy optimization |
| CN114331280B (en)* | 2021-12-29 | 2024-05-31 | 中南大学 | Unmanned aerial vehicle auxiliary quick delivery method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nergy optimization |
| KR102604834B1 (en)* | 2023-02-23 | 2023-11-22 | (유)동아하이테크 | A horizontal maintaining apparatus and a drone delivery unit comprising the same |
| KR20250070214A (en) | 2023-11-13 | 2025-05-20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Dron Call System Based On Consumer And The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90061109A (en) | Drones configured to deliever order items to climbers and drone based climbers goods delivery methods and services | |
| US11316581B2 (en) | Network capacity management | |
| US11145212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s | |
| US11312490B2 (en) | Landing and payload loading structures | |
| US10723456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ving multi-rotor type rotary wing | |
| US20200055613A1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 |
| US9868526B2 (en) | Airborne drone delivery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 US9262929B1 (en) | Ground-sensitive trajectory generation for UAVs | |
| US2018026111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off betwee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utonomous ground vehicles | |
| US20180290731A1 (en) | Mobile body,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body | |
| KR101882452B1 (en) | Fire prevention drone system can charge wirelessly | |
| US115515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rone release detection | |
| JP7545361B2 (en) | Fire extinguishing method using flying objects | |
| US11460866B2 (en) | UAV carrier | |
| JP2021528593A (en) | Improvements in wind turbine maintenance | |
| CN107102648A (en) | A kind of unmanned plane autonomous transport system | |
| KR102009637B1 (en) | Drone for relief activity in disaster and emergency situations | |
| IL266248A (en) | A uav carri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711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