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치료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다양한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쉽고 편리한 과정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gauge for measuring a size of a treatment area for grasping body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uge for measuring the size of a treatment area, To a digital gauge for body size measurement.
통상, 골절은 단순골절, 복합골절, 개방골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골절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골절로 인한 2차적인 손상, 즉 지방 색전증, 구획 증후군, 부정유합, 불유합, 무혈성 골괴사 등의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Usually, there are various kinds of fractures such as simple fracture, compound fracture, and open fracture. Fracture itself may not be a major problem, but secondary complications from fracture, such as fat embolism, compartment syndrome, malunion, nonunion, and osteonecrosis, are problems.
여기서 분쇄 골절(뼈가 조각으로 부서지는 것), 유합이 잘 되지 않는 골절에는 정형외과 수술을 통해 인체 친화적인 본 플레이트(bone plate)와 본 스크류(bone screw)등의 내고정물을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하게 된다.Here, fracture fractures (bone fractures), fractures that are not well united, can be treated with orthopedic surgery using a body-friendly bone plate and a bone screw, .
이러한 정형외과 수술 시 주로 환자의 골절부위를 CT 또는 MRI 스캔을 통하여 얻은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예컨대 뼈 내에 스크류를 체결하기 전 체결될 자세나 위치를 계획한 대로 천공해야 한다. 즉, 뼈를 천공하는 드릴의 자세나 위치는 각 수술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된 가이드를 이용하여 천공한다.During these orthopedic surgeries, a surgical pla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3D image obtained by CT or MRI scan of the fracture site of the patient. For example, the posture or position to be fastened before tightening the screw in the bone should be drilled as planned. In other words, the position and position of the drill that punctures the bone is punctured using a guide made in a shape suitable for each operation.
그런데 실제 수술 시 골절에 따른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여 스크류가 체결되는 각도나 위치가 계획 수립한 것과 달리 변경해야 될 요인이 상당히 높다. 이 경우 의사가 경험을 바탕으로 개복된 뼈를 전용게이지로 직접 측정하며 수술을 실시하고 있다.However, in actual operation,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fracture affect the screw, and the angle and the position of the screw are changed. In this case, the surgeon uses the experience to directly measure the bones of the laparoscope as dedicated gauges.
이러한 전용게이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3321호 (발명의 명칭: 골반정합을 위한 T형 게이지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413호 (발명의 명칭: 의료용 곡선 길이 측정장치)가 있다.Such a dedicated gaug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33321 entitled " T-type gauge device for pelvis matching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9413 entitled " .
전자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시술할 때 골반에 삽입되는 비구컵의 해당 삽입각도 및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골반정합을 위한 게이지이고, 후자는 상완골(humerus)과 같은 뼈의 곡선부분 길이를 측정하는 게이지이다.The former is a gauge for pelvic matching to calculate the insertion angle and direction of the acetabular cup inserted into the pelvis when performing a total hip arthroplasty, and the latter is a gauge that measures the length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bone such as the humerus.
이 밖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960호 (발명의 명칭: 외과수술용 깊이 측정 기구)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387호 (발명의 명칭: 디지털 깊이 측정기)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737호 (발명의 명칭: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과 같이 뼈의 깊이를 측정하는 게이지들도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14960 (entitled: Depth measuring instrument for surgical opera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1387 (name of invention: digital depth measuring instrument) There are gauges for measuring the depth of bones, such as Bulletin 10-1563737 (entitled depth gauge for trauma surgery).
이처럼 수술에 필요한 길이, 각도, 곡선(곡선길이), 깊이를 측정하는 전용게이지들을 개별적으로 구성해야 함으로서 수술 시 다양한 변수에 대응하기가 어렵고, 각 게이지별로 조작법을 익혀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Since the dedicated gauges for measuring the length, angle, curve (curve length), and depth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re separately constructe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various variables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to learn the operation method for each gaug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의 단일 게이지만으로도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및 곡선(곡선길이) 그리고 깊이와 반지름까지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precise measurement of a body part length, an angle and a curved line (curve length) And to provide a digital gauge for body size measurement which is improved to enable the measurement of body siz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체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게이지에 있어서: 일측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로부터 돌출되어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를 구비하는 측정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노브와, 상기 힌지 상에 일측 조절대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검출부; 및 상기 조절대 상에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를 표시하는 출력패널과, 상기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gauge for measuring a size of a body, comprising: a pair of adjustable rods rotatably coupled along a hinge on one side; and a measuring stand protruding from the adjustable rope, A measurement unit provided with the measurement unit; A detection knob having a fixing knob on the hinge and coupled to the one adjustable bar to prevent rotation of the other adjustable bar; and a displacement sensor coupled to the one adjustable bar on the hinge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other adjustable bar; And an output panel for displaying an angle and a length of the measurement site on the control rod, and an operation button for setting displa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sit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측정부는 측정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which is fol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easurement unit along a hin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측정대와 연장대는 외면에 깊이를 안내하는 눈금과 숫자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easurement table and the ext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further displaying a scale and numerals for guiding the depth to the outer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측정부는 일측 조절대의 일단에 힌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easuring wheel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one adjustable band along a hin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각도를 피타고라스의 삼각법으로 연산하여 측정부위간의 거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ed angle is calculated by the trigonometry of Pythagora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sites is outpu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의 조작버튼은 최초 검출한 각도나 거리를 이어서 검출된 각도나 거리에 대해 자동으로 연산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ly detected angle or distance is automatically set to be automatically calculated for the detected angle or distanc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대로 하여금 측정대를 신체부위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도 해당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가 있고, 힌지를 따라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절첩 구조를 채택하여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성이 우수한 경박 단소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및 곡선길이 그리고 깊이와 반지름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수술의 완성도를 향상되게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ize of a corresponding part by simply placing the measurement table on the body part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and by adopting the folding structure that is opened and closed along the hing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ength, the angle, the curve length, the depth and the radius of the body part in spite of the simple and thin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storage in one size,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leteness of the overall surg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의 측정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가 신체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2 is an exploded view of a ga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reference views showing measurement states of a ga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referenc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size of a body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치료부위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의료용 수술 게이지(기구)에 관련되며, 도 1처럼 측정부(10)와 검출부(20) 및 제어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신체사이즈 측정용 디지털 게이지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urgical gaug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ize of a treatment area in order to grasp body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comprises a
본 발명의 게이지 경박 단소한 구조의 단품만으로도 도 6 내지 도 8처럼 신체부위의 길이와 각도 및 곡선길이 그리고 깊이와 반지름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수술의 편의성과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The gau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length, the angle, the curved length, the depth and the radius of the body part as shown in Figs. 6 to 8 only by a single piece of the thin and light simp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completeness of surgery.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10)는 게이지를 구성하는 몸체로서, 도 1처럼 한 쌍의 조절대(11)(12)와 측정대(15)로 이루어진다. 조절대(11)(12)는 측정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측정에 필요한 자세로 조작하는 것으로, 도 2처럼 일측 하단에 형성된 힌지(H)끼리 결합되어 가위나 부채처럼 회전한다. 여기서 조절대(11)(12)는 손가락을 걸어서 힌지(H)로부터 회전을 조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작홀(11a)(12b)이 형성된다.The
이러한 조절대(11)(12)의 타측에는 측정부위를 가리키는 측정대(15)가 소정 길이로 각각 돌출된다. 즉, 조절대(11)(12)를 조작하여 측정대(15)를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시키면, 후술하는 검출부(20)와 제어부(30)를 통하여 제1각도(A1)와 제1거리(L1)를 측정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측정부(10)는 도 1 및 도 2처럼 측정대(15)의 일단에 힌지(H)를 따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대(16)가 구비된다. 연장대(16)는 측정대(1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측정부위가 측정대(15)만으로 부족하거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된다.Here, the
즉, 평상 시 연장대(16)는 측정대(15)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 꺼내 사용한다. 이러한 연장대(16)는 측정대(15)와 마찬가지로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시키면, 도 4와 같이 후술하는 검출부(20)와 제어부(30)를 통하여 제2각도(A2)와 제3각도(A3) 및 제2거리(L2)를 측정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일측 조절대(11)의 일단에는 도 1 및 도 2처럼 힌지(H)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휠(17)이 구비된다. 측정휠(17)은 측정부위를 구름 운동시켜 도 5a처럼 제3거리(L3)를 측정할 수가 있고, 도 5b처럼 커브거리(L4)를 측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측정된 커브거리(L4)를 통하여 반지름을 추출할 수도 있다.1 and 2, a
한편, 측정대(15)와 연장대(16)는 도 2처럼 외면에 깊이를 안내하는 눈금이나 숫자가 더 표시된다. 예컨대, 측정대(15)나 연장대(16)를 뼈 내에 천공한 구멍에 삽입함으로서 천공 깊이를 측정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measurement table 15 and the extension table 16 are further provided with graduations or numerals for guiding the depth to the outer surface.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puncture can be measured by inserting the measuring table 15 or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검출부(20)는 측정부(10)의 조작에 의한 자세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고정노브(21)와 변위센서(25)로 이루어진다. 고정노브(21)는 힌지(H)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을 저지하고, 변위센서(25)는 힌지(H)상에 일측 조절대(11)와 체결되어 타측 조절대(12)의 회전각도를 검출한다.The detecting
즉,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측정대(15)를 측정할 선이나 점과 일치되게 조작한 다음, 고정노브(21)로 조작된 자세가 유지되게 고정한다. 여기서 변위센서(25)가 일측 조절대(11)로부터 타측 조절대(1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0)로 신호를 준다. 이러한 변위센서(25)는 회전에 적합한 싱크로, 리졸버, 로터리 인코더, 펄스 제너레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저렴하면서도 제어가 용이한 가변저항(포텐셔미터)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ing table 15 is operat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line or point to be measured, and t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변위센서(25)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출력패널(31)과 조작버튼(35)으로 이루어진다. 출력패널(31)은 측정부위의 각도와 길이를 읽을 수 있도록 표시하고, 조작버튼(35)은 측정부위에 따라 표시조건을 설정한다.The
여기서 제어부(30)는 검출된 각도를 피타고라스의 삼각법으로 연산하여 측정부위간의 거리를 출력한다. 즉, 조절대(11)로부터 측정대(15)와 연장대(16)의 거리는 미리 입력된 상태이므로 변위센서(25)의 각도만으로도 삼각법을 통해 거리를 알 수가 있다.Here, the
그리고 제어부(30)는 조작버튼(35)을 통해 최초 검출한 각도나 거리를 이어서 검출된 각도나 거리에 대해 자동으로 연산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최초 검출한 각도와 이어 검출된 각도를 곱한 것에 대해 이어 검출한 거리를 나누는 연산을 설정할 수가 있다.Then, the
한편, 제어부(30)는 약품이나 고온 및 저온과 같은 소독이 가능하도록 조절대(11)상에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측정부11, 12: 조절대
11a, 12b: 조작홀15: 측정대
16: 연장대17: 측정휠
20: 검출부21: 고정노브
25: 변위센서30: 제어부
31: 출력패널35: 조작버튼
H: 힌지10: measuring
11a, 12b: Operation hole 15: Measurement stand
16: Extension stand 17: Measuring wheel
20: detection part 21: fixed knob
25: Displacement sensor 30:
31: Output panel 35: Operation button
H: Hing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8150AKR20190045490A (en) | 2017-10-24 | 2017-10-24 | Digital gauge for measuring body siz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8150AKR20190045490A (en) | 2017-10-24 | 2017-10-24 | Digital gauge for measuring body siz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5490Atrue KR20190045490A (en) | 2019-05-0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8150AAbandonedKR20190045490A (en) | 2017-10-24 | 2017-10-24 | Digital gauge for measuring body siz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9004549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6613B1 (en)* | 2020-11-12 | 2022-03-18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Goniometer capable of measuring human body curv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33321B1 (en) | 2003-04-21 | 2005-12-05 | 한국과학기술원 | T-Shaped Gauge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Pelvis |
| KR20080014960A (en) | 2005-03-16 | 2008-02-15 |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 Surgical Depth Measuring Instruments |
| KR101081387B1 (en) | 2006-11-07 | 2011-11-08 |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 Digital depth gauge |
| KR101089413B1 (en) | 2011-08-08 | 2011-12-07 | 박규원 | Medical Curve Length Measuring Device |
| KR101563737B1 (en) | 2014-03-19 | 2015-10-27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Trauma surgery depth gaug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33321B1 (en) | 2003-04-21 | 2005-12-05 | 한국과학기술원 | T-Shaped Gauge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Pelvis |
| KR20080014960A (en) | 2005-03-16 | 2008-02-15 |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 Surgical Depth Measuring Instruments |
| KR101081387B1 (en) | 2006-11-07 | 2011-11-08 |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 Digital depth gauge |
| KR101089413B1 (en) | 2011-08-08 | 2011-12-07 | 박규원 | Medical Curve Length Measuring Device |
| KR101563737B1 (en) | 2014-03-19 | 2015-10-27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Trauma surgery depth gaug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6613B1 (en)* | 2020-11-12 | 2022-03-18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Goniometer capable of measuring human body curves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822689B1 (en) | Instrument alignment feedback system and method | |
| US11033353B2 (en) | Fiducial marker | |
| US11168967B2 (en) | Surgical depth instrument having neuromonitoring capabilities | |
| US8888821B2 (en) | Spinal implan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 |
| BR112013021042B1 (en) | MANUAL TOOL | |
| CN103110454A (en) | Guide device for spinal posterior ray-free screw fixation | |
| CN105212996A (en) | Lumbar intervertebral aperture mirror and Thoracolumbar disk percutaneous cervical arc root screw puncture positioning guider and Needle localization method thereof | |
| KR20220097901A (en) | Instrument Handles Used in Instrument Alignment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 |
| US2021009333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 |
| CN104665919B (en) | Aid in the positioner of hollow nail implant surgery | |
| KR20190045490A (en) | Digital gauge for measuring body size | |
| CN105105827B (en) | Three-dimensional Foldable light assembles foramen intervertebrale lens puncture locator | |
| CN111938744A (en) | Medical drilling equipment and method for setting same | |
| CN111317479A (en) |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for body size measurement | |
| Sun et al. | A remote control robotic surgical system for femur shaft fracture reduction | |
| EP3977949B1 (en) | System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 |
| KR100399004B1 (en) | Frame fixator and operation system thereof | |
| US20240164812A1 (en) | A method and tool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deformities for fractures and osteotomies | |
| CN107496021A (en) | Pedicle screw inserts dynami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 Swarup et al. | Evaluating the use of an electronic inclinometer in correcting rotational disorders of the hip in children | |
| KR20200082403A (en) | Digital gauge for body size measurement with body curvature measurement | |
| CN220967390U (en) | Angle device for accurately controlling femoral neck bone guide needle implantation angle | |
| CN110301971A (en) | A kind of femur auxiliary reset device | |
| CN206924108U (en) | Torsion angle reference system fixed point is wrong before neck of femur aims at hollow nail fixed system away from guide pin | |
| Boiadjiev et al. | Automatic bone drilling in hip fractures osteosynthesi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710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9050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1128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