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특정한 임상 투약량 레지멘에 따라 (즉, 특정한 투약 양으로 그리고 특이적 투약 스케줄에 따라)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환자에서 ER+, HER2- HRG+ 유방암 (예를 들면, 전이성 ER+, HER2- HRG+ 유방암)의 치료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예시적 항-ErbB3 항체는 세리반투맙 (또한 "MM-121" 또는 "Ab #6"으로서 공지됨)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변이체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세리반투맙의 중쇄 및 경쇄 CDRs 또는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0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세리반투맙의 VH 영역의 CDR1, CDR2, 및 CDR3 도메인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2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세리반투맙의 VL 영역의 CDR1, CDR2 및 CDR3 도메인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 2, 및 3, 각각에서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CDR2 및 CDR3 도메인,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 5, 및 6, 각각에서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CDR2 및 CDR3 도메인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0 및 서열 식별 번호: 12, 각각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또는 VL 영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9 및 11, 각각에서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인코딩된 VH 및/또는 VL 영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7 및 서열 식별 번호: 8, 각각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또는 경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언급된 항체로서 인간 ErbB3상의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 및/또는 상기 에피토프에 결합을 위하여 경쟁하는 항체는 사용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에피토프는 인간 ErbB3 (서열 식별 번호: 14)의 잔기 92-104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에피토프는 인간 ErbB3 (서열 식별 번호: 14)의 위치 92-104 이내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인간 ErbB3에 결합을 위하여 세리반투맙과 경쟁하고 상기-언급된 항-ErbB3 항체와 적어도 90% 가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서열 식별 번호: 10 및 서열 식별 번호: 12와 적어도 약 90%, 95% 또는 99% 가변 영역 동일성)을 갖는다.
예시적 CDK4/6 억제제는 팔보시클립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CDK4/6 억제제는 아베마시클립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CDK4/6 억제제는 리보시클립이다.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이다.
따라서, 하나의 측면에서, ER+, HER2- 유방암을 가진 인간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ER+, HER2- 유방암을 가진 인간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세리반투맙) 및 내분비-기반 요법 (예를 들면,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의 투여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세리반투맙) 및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세리반투맙) 및 레트로졸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3 이하 다른 항신생물제 (예를 들면,CDK4/6 억제제 및/또는 내분비 기반 요법)은 치료 사이클 이내 세리반투맙과 조합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2 이하 다른 항신생물제는 치료 사이클 이내 세리반투맙과 조합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1 이하 다른 항신생물제는 치료 사이클 이내 세리반투맙과 조합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 사이클은 21 일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는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 사이클을 포함한다. 치료는 임의의 적합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완전한 반응 (CR)이 달성되는 때까지) 계속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는 적어도 1 개월, 2 개월, 3 개월, 4 개월, 5 개월, 6 개월, 7 개월, 8 개월, 9 개월, 10 개월, 또는 11 개월 동안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는 적어도 1 년 동안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는 적어도 2 년 동안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치료제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팔보시클립, 레트로졸, 및 풀베스트란트)는 환자에 임의의 적당한 수단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세리반투맙은 정맥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팔보시클립은 경구 투여용으로 (예를 들면, 캡슐 또는 정제로서) 제형화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레트로졸은 경구 투여용으로 (예를 들면, 캡슐 또는 정제로서) 제형화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풀베스트란트는 근육내 주사용 멸균된 용액으로서 제형화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 팔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용량은 환자의 중량에 무관하게 고정되는 용량이다. 예를 들어, 세리반투맙은 환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3 g의 고정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팔보시클립은 환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125 mg 캡슐의 고정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레트로졸은 환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2.5 mg의 고정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풀베스트란트는 환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500 mg의 고정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투약량 레지멘은 최적의 원하는 반응 (예를 들면, 효과적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팔보시클립, 레트로졸, 및 세리반투맙은 특정한 투약량 레지멘에 따라 조합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125 mg 팔보시클립 캡슐은 28 일 사이클로 21 연속 일 동안 1일 1회 경구로 투여되고,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2.5 mg의 레트로졸은 28 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제공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세리반투맙은 사이클 내내 IV 주입으로 매 2주 3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팔보시클립, 풀베스트란트, 및 세리반투맙은 특정한 투약량 레지멘에 따라 조합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125 mg 팔보시클립 캡슐은 28 일 사이클을 위하여 21 연속 일 동안 1일 1회 경구로 투여되고,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풀베스트란트는 1, 15, 29일째, 및 그 후에 1개월 1회 또는 매 28 일 1회 5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세리반투맙은 사이클 내내 IV 주입으로 매 2주 3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따라서, 하나의 측면에서, ER+, HER2- 유방암을 가진 인간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환자에 하기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I) 28 일의 완전한 사이클을 포함하기 위해 21 연속 일 동안 경구로 1일 1회 섭취된 하나의 팔보시클립 125 mg 캡슐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
II) 어느 한쪽 a) 또는 b) 여기서 a)는 28-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제공된 레트로졸, 2.5 mg이고, b)는 1, 15, 29 일째에, 그리고 그 후에 1개월 1회 또는 매 28 일 1회 5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된 풀베스트란트임; 및
3g의 용량으로 매 2주 IV 주입에 의한 세리반투맙.
또 다른 측면에서, 팔보시클립 및 호르몬 요법으로 이전에 치료되었던, 그리고 암이 이러한 치료에서 진행하였던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환자에 하기를 동반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I) 28 일의 완전한 사이클을 포함하기 위해 21 연속 일 동안 경구로 1일 1회 섭취된 하나의 팔보시클립 125 mg 캡슐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
II) 어느 한쪽 a) 또는 b) 여기서 a)는 28-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제공된 레트로졸, 2.5 mg이고, b)는 1, 15, 29 일째에, 그리고 그 후에 1개월 1회 또는 매 28 일 1회 5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된 풀베스트란트임 그리고 여기서 환자가 이전에 풀베스트란트로 치료되었다면, 특허는 a) 투여되고 환자가 이전에 레트로졸로 치료되었다면, 특허는 b) 투여됨; 및
3g의 용량으로 매 2주 IV 주입에 의한 세리반투맙.
또 다른 측면에서, RNA 원-위치 하이브리드화 (RNA-ISH)에 의해 측정된 경우 HRG를 발현시키는 ER/PR+, HER2- 유방암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유방암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28-일 사이클을 포함하고, 여기서:
I) 세리반투맙은 사이클의 1 및 15 일째에 정맥내로 (IV) 30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되고,
II) 풀베스트란트가 사이클의 1 및 15 일째에 근육내로 (IM) 5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후속 치료 사이클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풀베스트란트는 각각의 후속 치료 사이클의 1 일째에만 투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NA 원-위치 하이브리드화 (RNA-ISH)에 의해 측정된 경우 HRG를 발현시키는 ER/PR+, HER2- 유방암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방법은 28-일 사이클을 포함하고, 여기서:
I) 세리반투맙은 사이클의 1 및 15 일째에 IV 30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되고,
II) 레트로졸은 사이클 동안 1회/일 경구로 2.5 m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급의 1+의 헤레굴린 RNA원 위치하이브리드화 (RNA-ISH) 스코어는 치료에 앞서 환자로부터 생물학적 샘플에서 측정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법 치료의 효능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는 종양의 크기 감소, 전이 감소, 완전한 차도, 부분적인 차도, 안정적인 질환, 전반적인 반응 속도 증가, 또는 병리적 완전한 반응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효과를 생산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치료는 안정적인 질환, 부분적인 반응, 또는 완전한 반응을 나타내는 환자를 초래한다.
항-ErbB3 항체, 예컨대 세리반투맙, CDK4/6 억제제, 예컨대 팔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컨대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포함하는 키트가 추가로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키트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에서 하기를 포함한다: (a) 세리반투맙의 1회분, (b) 팔보시클립의 1회분, (c)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1회분, 및 (d) 세리반투맙 및 팔보시클립과 조합으로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 사용을 위한 지침.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트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에서 하기를 포함한다: (a) 세리반투맙의 1회분, (b)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1회분, 및 (c) 세리반투맙과 조합으로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 사용을 위한 지침.
상세한 설명
I.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상체" 또는 "환자"는 인간 환자 (예를 들면, ER+, HER2- HRG+ 전이성 유방암을 갖는 환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ER+)는, 종양 세포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ER)에 대하여 (즉, 종래의 조직병리 방법을 이용하는) 양성을 기록하는, 종양 (예를 들면, 암종), 전형적으로 유방 종양을 지칭한다. 미국 병리학회 (CAP) 및 미국 임상 종양 학회 (ASCO)에 의해 제공된 권고에 따르면, (예를 들면,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시험된 종양 세포의 적어도 1%가 ER 양성을 기록하면 종양은 ER+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ErbB2", "HER2", 및 "HER2 수용체"는, 또한 ErbB2 종양유전자 또는 HER2 종양유전자로서 지칭된 인간 neu 종양유전자의 단백질 생성물을 지칭한다. CAP 및 ASCO에 의해 제공된 지침에 따르면, HER2 음성 (HER2-)로 지정된 종양은 면역검정 예컨대 면역조직화학 (IHC) 시험이 무 염색 또는 종양 세포의 <30%에서 막 염색을 보여주는 종양이다. HERCEPTEST®로서 시판되는, 하나의 그와 같은 검정에 대하여, 0 또는 1+의 스코어는 HER2 음성으로 간주되고, 2+의 스코어는 불분명한 것으로 간주되고 -- 최종적인 특성규명을 위하여 형광 원-위치 하이브리드화 (FISH)에 의한 추가 시험을 요구하고, 3+의 스코어는 HER2 양성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HERCEPTEST에 의해 생검 평점 0 또는 1+, 또는 HERCEPTEST에 의해 2+ 및 FISH에 의해 음성을 가진 환자는 HER2 음성으로 간주되고, 반면 HERCEPTEST에 의해 3+ 또는 HERCEPTEST에 의해 2+ 및 FISH 양성을 기록하는 환자는 HER2 양성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HRG"는 헤레굴린 (뉴레굴린-1, "NRG")의 임의의 및 모든 아이소타입, ErbB3의 일련의 자연 발생 리간드를 나타낸다. HRG 발현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명확히 편입되는,예를 들면, USSN 14/965,301의 실시예 1에서 기재된 프로토콜; WO 2015/100459에 따라, RNA 원 위치-하이브리드화 (ISH)-기반 검정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RNA-ISH는 발색 신호를 통해 판독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NA-ISH에 의해 HRG를 검출하는데 사용된 프로브는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NM-013956 (서열 식별 번호:13)에서 제시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뉴클레오타이드 442-2977을 포함하는 핵산에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프로브는 각각의 HRG 동형체 α, β1, β1b, β1c, β1d, β2, β2b, β3, β3b, γ, γ2, γ3, ndf43, ndf34b, 및 GGF2를 인코딩하는 RNAs에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HRG 스코어는 HRG에 특이적인 프로브를 이용하여 RT-PCR에 의해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ErbB3" 및 "HER3"은, 미국 특허 번호 5,480,9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인간 ErbB3 단백질을 지칭한다. 인간 ErbB3 단백질 서열은 미국 특허 번호 5,480,968의 서열 식별 번호:4에서 보여지고, 여기서 제1 19 아미노산 (aas)는 성숙한 단백질로부터 절단되는 리더 서열에 상응한다. ErbB3은 수용체의 ErbB 계열의 구성원이고, 이의 다른 구성원은 ErbB1 (EGFR), ErbB2 (HER2/Neu) 및 ErbB4를 포함한다. ErbB3 자체는 티로신 키나제 활성이 부족하지만, 또 다른 ErbB 계열 수용체, 예를 들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인, ErbB1 (EGFR), ErbB2 및 ErbB4와, ErbB3의 이량체화시 자체 인산화된다. ErbB 계열 수용체용 리간드는 헤레굴린 (HRG), 베타셀룰린 (BTC), 상피 성장 인자 (EGF), 헤파린-결합 상피 성장 인자 (HB-E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알파 (TGF-α), 암피레굴린 (AR), 에피겐 (EPG) 및 에피레굴린 (EPR)을 포함한다. 인간 ErbB3의 아미노산 서열은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NP_001973.2 (수용체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erbB-3 동형체 1 전구체)에서 제공되고 유전자 ID: 2065로 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ErbB3 억제제"는 ErbB3의 활성을 억제, 하향조정, 억압 또는 하향조절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용어는 화학 화합물, 예컨대 작은 분자 억제제, 및 생물 제제, 예컨대 항체, 간섭 RNA (shRNA, siRNA), 가용성 수용체 및 기타 동종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시적 ErbB3 억제제는 항-ErbB3 항체, 예컨대 세리반투맙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제제"는 활성 분자,예를 들면, 치료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효 치료"는 유익한 효과,예를 들면, 질환 또는 장애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의 완화를 생산하는 치료를 지칭한다. 유익한 효과는 기준선 초과 개선,즉, 방법에 따른 요법의 개시에 앞서 실시된 관찰 또는 측정 초과 개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유효 치료는 암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의 경감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효량"은 원하는 생물학적,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결과를 제공하는 제제의 양을 지칭한다. 그 결과는 질환의 징후, 증상, 또는 원인의 하나 이상의 감소, 완화, 일시적 처방, 줄임, 지연, 및/또는 경감,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임의의 다른 원하는 변경일 수 있다. 유효량은 하나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투여한다" 또는 "투여"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또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점막, 진피내, 정맥내, 근육내 전달 및/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의 물리적 전달에 의해 환자 속으로 바디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분자의 제형) 밖으로 실재함에 따라 서브스턴스의 주사 또는 달리 물리적으로 전달의 행위를 지칭한다.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이 치료되는 경우, 서브스턴스의 투여는 전형적으로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의 개시후 발생한다.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이 예방되는 경우, 서브스턴스의 투여는 전형적으로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의 개시전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고정된 용량", "균일 용량" 및 "균일-고정된 용량"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환자의 중량 또는 체표면적 (BSA)에 상관없이 환자에 투여되는 용량을 지칭한다. 고정된 또는 균일 용량은 따라서 mg/kg 용량으로서 제공되지 않지만, 다소 제제의 절대적인 양으로서 제공된다.
용어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치료적 또는 예방적 조치를 지칭한다. "치료"의 방법은 질환 또는 장애 또는 재발성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중증도를 예방, 치유, 지연, 감소, 또는 상기 증상의 하나 이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또는 상기 치료의 부재하에 기대된 것 초과 대상체의 생존을 연장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조합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부속 또는 조합된 투여 (공투여)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투약 형태로 제제의 동시 투여, 또는 제제의 별개의 투여 (예를 들면, 순차적인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제는 별개의 투여를 위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동반하여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동반 또는 순차적인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치료된 환자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제제를 초래한다.
II.항-ErbB3 항체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항-ErB3 항체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VH/VL 도메인)은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술적으로 인식된 항-ErbB3 항체, 예를 들어, (US8481687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AV-203, (US90856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GSK2849330, (US922077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KTN3379, (US859765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둘리고투주맙, (US873555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엘겜투맙, (WO2008/10418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푸툭시맙, (US8859737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룸레투주맙, 및 (US7705130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파트리투맙은 사용될 수 있다. ErbB3에 결합을 위하여 이들 기술적으로 인식된 임의의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는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 항-ErbB3 항체는 (또한 "MM-121" 또는 "Ab #6"으로서 공지된) 세리반투맙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변이체이다. 세리반투맙은 인간 단클론성 항-ErbB3 IgG2이다 (참조,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7,846,440; 8,691,771 및 8,961,966; 8,895,001, 미국 특허 공보 번호, 20110027291, 20140127238, 20140134170, 및 20140248280), 뿐만 아니라 국제공개 번호 WO/2013/023043, WO/2013/138371, WO/2012/103341, 및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 번호 62/090,780, 이의 교시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명확히 편입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세리반투맙의 중쇄 및 경쇄 CDRs 또는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0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세리반투맙의 VH 영역의 CDR1, CDR2, 및 CDR3 도메인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2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세리반투맙의 VL 영역의 CDR1, CDR2 및 CDR3 도메인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 2, 및 3, 각각에서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CDR2 및 CDR3 도메인,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 5, 및 6, 각각에서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CDR2 및 CDR3 도메인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0 및 서열 식별 번호: 12, 각각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VH 및/또는 VL 영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9 및 11, 각각에서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인코딩된 VH 및/또는 VL 영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ErbB3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7 및 서열 식별 번호: 8, 각각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또는 경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언급된 항체로서 인간 ErbB3에서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 및/또는 상기 에피토프에 결합을 위하여 경쟁하는 항체는 사용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에피토프는 인간 ErbB3 (서열 식별 번호: 14)의 잔기 92-104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체는 인간 ErbB3에 결합을 위하여 세리반투맙과 경쟁하고 상기-언급된 항-ErbB3 항체와 적어도 90% 가변 영역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참조,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7,846,440 및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00266584).
III.CDK4/6 억제제
기술적으로 인식된 CDK4/6 억제제는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 CDK4/6 억제제는 팔보시클립이다. 팔보시클립 (코드명 PD-0332991, 상표명 IBRANCE)는 ER-양성 및 HER2-음성 유방암의 치료용 약물이다.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제 CDK4 및 CDK6의 선택적 억제제이다. 경구 투여용 IBRANCE 캡슐은 125 mg, 100 mg, 또는 75 mg의 팔보시클립, 키나제 억제제를 함유한다. 팔보시클립용 분자식은 C24H29N7O2이다. 분자량은 447.54 달톤이다. 화학명은 6-아세틸-8-사이클로펜틸-5-메틸-2-{[5-(피페라진-1-일)피리딘-2-일]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7(8H)-온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팔보시클립은 7.4 (2차 피페라진 질소) 및 3.9 (피리딘 질소)의 pKa를 가진 황색 내지 오렌지색 분말이다. pH 4 이하에서, 팔보시클립은 고-용해도 화합물로서 작용한다. pH 4 초과에서, 약물 서브스턴스의 용해도는 상당히 감소한다. 팔보시클립은 다음과 같은 불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락토스 일수화물, 나트륨 전분 글라이콜레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 젤라틴 캡슐 쉘. 밝은 오렌지색, 밝은 오렌지색/카라멜색 및 카라멜색 불투명한 캡슐 쉘은 젤라틴,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및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고; 인쇄 잉크는 셸락,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암모늄, 프로필렌 글리콜 및 시메티콘을 함유한다.
팔보시클립의 권고된 용량은 28 일의 완전한 사이클을 포함하기 위해 21 연속 일 동안 경구로 1일 1회 섭취된 125 mg 캡슐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이다. IBRANCE는 음식과 함께 섭취되어야 한다.
팔보시클립과 공투여된 경우, 레트로졸의 권고된 용량은 28-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섭취된 2.5 mg이다.
팔보시클립과 공투여된 경우, 풀베스트란트의 권고된 용량은 1, 15, 29 일째에, 그리고 그 후에 1개월 1회 투여된 500 mg이다.
또 다른 예시적 CDK4/6 억제제는 아베마시클립이다. 아베마시클립 (코드명 LY2835219; 상표명 IBRANCE)는 다양한 유형의 암에 대하여 조사적 약물이다.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제 CDK4 및 CDK6의 경구로 선택적 억제제이다. 아베마시클립용 분자식은 C27H32F2N8이다. 분자량은 506.61 달톤이다. 화학명은 2-피리미딘아민, N-(5-((4-에틸-1-피페라지닐)메틸)-2-피리디닐)-5-플루오로-4-(4-플루오로-2-메틸-1-(1-메틸에틸)-1H-벤즈이미다졸-6-일)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또 다른 예시적 CDK4/6 억제제는 리보시클립이다. 리보시클립 (코드명 LEE011; 상표명 KISQUALI)는, 호르몬 수용체-양성 및 HER2-음성 진전된 또는 전이성 유방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의 치료용 약물이다.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제 CDK4 및 CDK6의 경구로 이용가능한, 고도로 선택적 억제제이다. 리보시클립용 분자식은 C23H30N8O이다. 분자량은 434.55 달톤이다. 화학명은 7-사이클로펜틸-N,N-디메틸-2-((5-(피페라진-1-일)피리딘-2-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6-카복사미드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KISQALI 정제는 음식과 함께 또는 음식 없이 매일 섭취되도록 권고된다. 권고된 시작 용량: 21 연속 일 동안 음식과 함께 또는 음식 없이 1일 1회 섭취된 경구로 600 mg (3개의 200 mg 정제)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
IV.내분비 기반 요법
기술적으로 인식된 내분비 기반 요법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비-스테로이드 아로마타제 억제제 (예를 들면, 레트로졸, 아노스트로졸) 및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 (예를 들면, 풀베스트란트, 브릴란스트란트, 엘라세스트란트)를 포함한다.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레트로졸. 레트로졸 (상표명 FEMARA)는 비스테로이드 아로마타제 억제제 (에스트로겐 합성의 억제제)이다. 레트로졸은 효소의 사이토크롬 P450 하위단위의 헴에 경쟁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아로마타제 효소를 억제시켜, 모든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생합성의 감소를 초래한다. 4,4'-(1H-1,2,4-트리아졸-1-일메틸렌)디벤조니트릴로서 화학적으로 기재되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레트로졸은 백색 내지 황색을 띤 결정성 분말이고, 실제로 무악취이고, 디클로로메탄에서 쉽게 용해되고, 에탄올에서 약간 가용성이고, 물에서 실제로 불용성이다. 285.31의 분자량, 실험식 C17H11N5, 및 184℃-185℃의 용융 범위를 갖는다.
FEMARA (레트로졸 정제)는 경구 투여용 2.5 mg 정제로서 이용가능하다. 레트로졸은 다음과 같은 불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산화제이철,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락토스 일수화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옥수수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전분 글라이콜레이트, 탈크, 및 이산화티타늄.
FEMARA (레트로졸 정제)의 권고된 용량은, 식사에 상관없이, 1회/일 투여된 하나의 2.5 mg 정제이다.
또 다른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아나스트로졸 (상표명 ARIMIDEX)이다. ARIMIDEX (아나스트로졸)은 주변 (추가의-생식샘) 조직에서 안드로겐의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을 경쟁적으로 차단시키는 경구로 이용가능한 아로마타제 억제제이다. 화학명은 a,a,a',a'-테트라메틸-5-(1H-1,2,4-트리아졸-1-일메틸)-1,3-벤젠디아세토니트릴이다. 분자식은 C17H19N5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아나스트로졸은 메탄올, 아세톤, 에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 쉽게 용해되고, 아세토니트릴에서 매우 가용성이다. 각각의 정제는 불활성 성분으로서 하기를 함유한다: 락토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포비돈, 나트륨 전분 글라이콜레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ARIMIDEX는 경구 투여용 1 mg 정제로서 이용가능하고 ARIMIDEX의 권고된 용량은 매일 1 정제이다.
또 다른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풀베스트란트 (상표명 FASLODEX)이다. 근육내 투여용 FASLODEX (풀베스트란트) 주사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길항제이다. 화학명은 7-알파-[9-(4,4,5,5,5-펜타 플루오로펜틸설피닐) 노닐]에스트라-1,3,5-(10)-트리엔-3,17베타-디올이다. 분자식은 C32H47F5O3S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풀베스트란트는 606.77의 분자량을 가진 백색 분말이다. 주사용 용액은 맑은, 무색 내지 황색, 점성 액체이다. 각각의 주사는 불활성 성분으로서 하기를 함유한다: 10% w/v 알코올, USP, 10% w/v 벤질 알코올, NF, 및 15% w/v 벤질 벤조에이트, 보조-용매로서, USP, 및 보조-용매 및 방출 속도 개질제로서 Castor Oil, USP와 최대 100% w/v 구성됨.
FASLODEX의 권고된 용량은 500 mg이고 근육내로 엉덩이에 느리게 (1 - 2 분 / 주사) 2개의 5 mL 주사, 각각의 엉덩이에 하나로, 1, 15, 29 일째 및 그 후에 1개월 1회 투여될 수 있다. 250 mg의 용량은 중간 정도 간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엉덩이에 느리게 (1 - 2 분 / 주사) 1개의 5 mL 주사로, 1, 15, 29 일째 및 그 후에 1개월 1회 투여되도록 권고된다.
또 다른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브릴란스트란트 (코드명: GDC-0810, ARN-810, RG-6046, RO-7056118)이다. 브릴란스트란트는 전이성 에스트로겐 수용체-양성 유방암의 치료용 조사적 약물이다. 비-스테로이드 조합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 및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 (SERD)이다. 화학명은 (2E)-3-{4-[(1E)-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1H-인다졸-5-일)부트-1-엔-1-일]페닐}프로프-2-엔산이다. 분자식은 C26H20ClFN2O2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블릴란스트란트는 경구로 이용가능하고 근육내 주사로 투여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예시적 내분비 기반 요법은 엘라세스트란트 (코드명: RAD-1901, ER-306323)이다. 엘라세스트란트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양성 유방암, 자궁내막 암, 및 신장 암의 치료용 조사적 약물이다. 비-스테로이드 조합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 및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 (SERD)이다. 화학명은 (6R)-6-{2-[에틸({4-[2-(에틸아미노)에틸]페닐}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올이다. 분자식은 C30H38N2O2이고 이의 구조식은 하기이다:
엘라세스트란트는 경구로 이용가능하고 근육내 주사로 투여될 필요가 없다.
V.결과
특정한 임상 투약량 레지멘에 따라 (즉, 특정한 투약 양으로 그리고 특이적 투약 스케줄에 따라)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환자에서 ER+, HER2- 유방암 (예를 들면, 전이성 ER+, HER2- 유방암)의 치료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또한 특정한 임상 투약량 레지멘에 따라 (즉, 특정한 투약 양으로 그리고 특이적 투약 스케줄에 따라)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환자에서 ER+, HER2- 유방암 (예를 들면, 전이성 ER+, HER2- 유방암)의 치료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치료 결과는 종양 반응용 표준 측정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요법에 표적 병변 (종양) 반응은 하기로서 분류된다:
완전한 반응 (CR): 모든 표적 병변의 사라짐. (표적 또는 비-표적이든) 임의의 병리적 림프절은 < 10 mm로 단축에서 감소를 가져야 한다;
부분적인 반응 (PR): 기준선 합계 직경을 참조로 하여, 표적 병변의 직경의 합계에서 적어도 30% 감소;
진행성 질환 (PD: 연구에서 최소 합계에서 (이것은 연구에서 최소이면 기준선 합계를 포함함) 합계를 참조로 하여, 표적 병변의 직경의 합계에서 적어도 20% 증가. 20%의 상대 증가에 더하여, 합계는 적어도 5 mm의 절대 증가를 또한 입증해야 한다. (주석: 하나 이상의 신규한 병변의 출현은 또한 진행성으로 간주됨); 및
안정적인 질환 (SD): 연구 동안 최소 합계 직경을 참조로 하여, PR에 대하여 정성화하기 위한 충분한 수축도 PD에 대하여 정량화하기 위한 충분한 증가도 없음. (주석: 5 mm 이상만큼 직경의 합계를 증가시키지 않는 20% 이하 변화는 안정적인 질환으로서 코딩된다). 안정적인 질환의 상태로 배정되기 위해, 측정은 6 주의 최소 간격으로 연구 진입후 적어도 1회 안정적인 질환 기준을 충족시켜야 했다.
요법에 비-표적 병변 반응은 하기로서 분류된다:
완전한 반응 (CR): 종양 마커 수준의 모든 비-표적 병변 및 정규화의 사라짐. 모든 림프절은 크기 (<10 mm 단축)에서 비-병리적이어야 한다. 종양 마커가 초기에 정상 상한 초과이면, 이들은 환자가 완전한 임상 반응에서 간주되도록 정규화해야 한다;
비-CR/비-PD: 하나 이상의 비-표적 병변(들)의 지속 및/또는 정상 상한 초과 종양 마커 수준의 유지; 및
진행성 질환 (PD):하나 이상의 신규한 병변 및 현존하는 비-표적 병변의 명백한 진행의 출현의 한쪽 또는 양쪽. 이 문맥에서, 명백한 진행은, 단일 병변 증가가 아닌, 전반적인 질환 상태 변화를 대표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에 따라 치료된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암의 적어도 하나의 징후에서 개선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치료는 종양의 크기 감소, 전이 감소, 완전한 차도, 부분적인 차도, 안정적인 질환, 전반적인 반응 속도에서 증가, 또는 병리적 완전한 반응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 효과를 생산할 수 있다. 반응은 또한 측정가능한 종양 병변의 양 및/또는 크기에서 감소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측정가능한 병변은 CT 스캔 (5 mm 이하 CT 스캔 슬라이스 두께)에 의해 >10 mm, 임상 검사에 의해 10 mm 캘리퍼스 측정 또는 가슴 X-선에 의해 >20 mm로서 적어도 하나의 척도 (가장 긴 직경이 기록된 것임)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비-표적 병변, 예를 들면, 병리적 림프절의 크기는 또한 개선을 위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병변은, 예를 들면, x-선, CT, 또는 MRI 이미지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현미경검사, 세포학 또는 조직학은 요법에 반응성을 평가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측정가능한 종양이 달리 반응 또는 안정적인 질환용 기준을 충족시킨 경우 치료 동안 나타나거나 악화하는 삼출은, 삼출의 신생물성 기원의 세포학적 확인이 있는 경우만 제외하고, 종양 진행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그렇게 치료된 환자는 종양 수축 및/또는 성장 속도 감소,즉, 종양 성장의 억제를 경험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 증식은 감소 또는 억제된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기는 치료에 유익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암 세포의 수가 감소될 수 있음; 종양 크기가 감소될 수 있음; 주변 기관에 암 세포 침윤이 억제, 지연, 저속화, 또는 중단될 수 있음; 종양 전이가 저속화 또는 억제될 수 있음; 종양 성장이 억제될 수 있음; 종양의 재발이 예방 또는 지연될 수 있음; 암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이 어느 정도까지 완화될 수 있음. 양호한 반응의 다른 징후는 측정가능한 종양 병변 또는 비-표적 병변의 양 및/또는 크기에서 감소를 포함한다.
VI.키트 및 단위 투약 형태
이전의 방법에서 사용에 적합한 치료적 유효량으로,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를 포함하는 키트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트는, 이전의 방법에서 사용에 적합한 치료적 유효량으로, 항-ErbB3 항체 (예를 들면,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 및 내분비 기반 요법 (예를 들면,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을 포함한다. 키트는 임의로 또한 종사자 (예를 들면, 의사, 간호사, 또는 환자)가,예를 들면, 암을 갖는 환자에 그안에 함유된 치료제를 투여하도록 하는, 투여 스케줄을 포함하는 지침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또한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들) 투여에 필요한 기기 또는 디바이스는 또한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에서 하기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a)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의 1회분, (b) 팔보시클립의 1회분, (c)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1회분, 및 (d)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 및 팔보시클립과 조합으로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 사용을 위한 지침.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트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에서 (a)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의 1회분, (b)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1회분, 및 (c) 세리반투맙 또는 이스티라투맙과 조합으로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 사용을 위한 지침을 포함한다.
다음과 같은 예는 단지 설명적이고 많은 변동 및 등가물이 본 개시내용 판독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분명해질 것임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내용의 범위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 내내 인용된 모든 참조문헌, 유전자은행 등록, 특허 및 공개된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명확히 편입된다.
실시예
물질 & 방법
세포주, 세포 배양, 및 시약
MCF-7, T47D, ZR75-1 및 HCC-1428 및 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로부터 수득되었다. 모든 세포는 10% v/v 열 불활성화된 FBS, 5% v/v L-글루타민 및 5% 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으로 보충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모든 배양 시약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Gibco제이었다. 무 호르몬 조건이 요구되었다면, 세포는 10% v/v 목탄 박리된, 열 불활성화된 FBS, 5% v/v L-글루타민 및 5% 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으로 보충된 무 페놀 레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성장 인자 자극 검정용 저성장 인자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세포는 다른 배지 성분의 정상 보충으로 저 혈청 조건 예컨대 3% v/v 열 불활성화된 FBS 또는 1% v/v 열 불활성화된 FBS에서 배양되었다. 모든 세포주는 37℃에 습한 분위기에서 95% 공기, 5% CO2로 배양되었다. 사용된 모든 세포의 동일성은 ATCC에서 미소부수체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재조합 헤레굴린 (HRGβ1)은 R&D Systems (396-HB)제이었다. Cell Titer-Glo 검정 시약은 Promega제이었다. 에스트라디올 (E8875) 및 풀베스트란트 (I4409)는 Sigma-Aldrich제이었다. 타목시펜 (S1972), 팔보시클립 (S1579), 아베마시클립 (S7158) 및 리보시클립 (S7440)은 모두 SelleckChem제이었다.
증식 검정
세포는 어느 한쪽 3% v/v FBS 또는 1% v/v FBS로 감소된 혈청 조건에서 96 웰 플레이트, 깨끗한 바닥을 가진 불투명한-벽이 있는 96-웰 플레이트: 뚜껑을 가진 96-웰, 흑색/깨끗한, 편평한 바닥, FALCON, 353219에서 1500 내지 5000 세포 / 웰로 이중 또는 삼중으로 씨딩되었다. 플레이팅 다음 날 재조합 HRGβ1은 첨가되어 10nM의 최종 농도를 수득하였다. 대조군 웰은 HRGβ1 없이 배지를 받았다. 플레이트는 그 다음 4 내지 6 일의 지시된 기간 동안 37℃에 습한 분위기에서 95% 공기, 5% CO2로 인큐베이션되었다.
HRGβ1 및 ErbB3 표적화 mAb, 세리반투맙 (MM-121) 또는 CDK 억제제 예컨대 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을 포함하는 연구를 위하여, 세포는 어느 한쪽 3% v/v FBS 또는 1% v/v FBS로 감소된 혈청 조건에서 96 웰 플레이트, 깨끗한 바닥을 가진 불투명한-벽이 있는 96-웰 플레이트: 나노-배양판, MS 패턴, 저 결합, SCIVAX Life Science NCP-LS96-10에서 1500 내지 5000 세포 / 웰로 이중 또는 삼중으로 씨딩되었다. 플레이팅 다음 날 재조합 HRGβ1은 첨가되어 10nM의 최종 농도를 수득하였다. 대조군 웰은 HRGβ1 없이 배지를 받았다. 지시된 경우 세리반투맙은 1μM 또는 초과 희석 시리즈의 최종 농도를 달성하도록 첨가되어 10 희석 / 플레이트를 달성하여 2 대조군 웰들 / 열로 용량-반응 곡선을 달성한다. 지시된 경우 CDK 억제제는 10μM으로 첨가되었고 희석은 수행되어 2 대조군 웰들 / 열로 용량-반응 곡선을 생성하였다. 플레이트는 그 다음 4 내지 6 일의 지시된 기간 동안 37℃에 습한 분위기에서 95% 공기, 5% CO2로 인큐베이션되었다. 성장 억제는, 동일한 기간에 걸쳐, 희석제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에 대한 어느 한쪽 성장 인자 또는 길항제로 처리된 세포의 상대 억제 또는 증식의 함수로서 계산되었다.
HRGβ1 및 ErbB3 표적화 mAb, 세리반투맙 (MM-121) 또는 CDK 억제제 예컨대 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을 포함하는 연구를 위하여 세포는 어느 한쪽 3% v/v FBS 또는 1% v/v FBS로 감소된 혈청 조건에서 96 웰 플레이트, 깨끗한 바닥을 가진 불투명한-벽이 있는 96-웰 플레이트: 나노-배양판, MS 패턴, 저 결합, SCIVAX Life Science NCP-LS96-10에서 1500 내지 5000 세포 / 웰로 이중 또는 삼중으로 씨딩되었다. 플레이팅 다음 날 재조합 HRGβ1은 첨가되어 10nM의 최종 농도를 수득하였다. 대조군 웰은 HRGβ1 없이 배지를 받았다. 지시된 경우, 세리반투맙은 1μM 또는 초과 희석 시리즈의 최종 농도를 달성하도록 첨가되어 10 희석 / 플레이트를 달성하여 2 대조군 웰들 / 열로 용량-반응 곡선을 달성한다. 지시된 경우 CDK 억제제는 10μM으로 첨가되었고 희석은 수행되어 2 대조군 웰들 / 열로 용량-반응 곡선을 생성하였다. 지시된 경우 CDK 억제제는 10μM으로 첨가되었고 희석은 수행되어 2 대조군 웰들 / 열로 용량-반응 곡선을 생성하였다. 플레이트는 그 다음 4 내지 6 일의 지시된 기간 동안 37℃에 습한 분위기에서 95% 공기, 5% CO2로 인큐베이션되었다.
증식을 측정하기 위해, Cell Titer-Glo (CTG) 검정은 제조자의 지침 대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시약-1 및 시약-2는 실온에서 평형화되었고 이 시점에서 시약-1은 시약-2에 첨가되었고 와동으로 혼합되었다. 세포를 함유하는 시험 플레이트는 실온으로 30 분 동안 평형화되었고 이 시점에서 CTG 시약의 동등 용적은 시험 플레이트의 각 웰에, 전형적으로 100μl 첨가되어 200μl / 웰의 최종 용적을 제공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그 다음 포일 플레이트 밀봉제로 밀봉되었고 회전식 진탕기에서 10 분 동안 혼합시켜 세포를 용해시켰고 세포 ATP를 방출시켰다. 혼합 이후 플레이트는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되어 발광성 신호를 안정화시켰다. 데이터는 발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ynergy H1 플레이트 리더에서 상대 발광 측정에 의해 수집되었다. 성장은 각각의 개별 플레이트에서 미자극된 대조군 웰에 대한 상대 값으로서 계산 및 표현되었다. 성장 억제는 동일한 기간에 걸쳐 희석제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의 성장에 대한 길항제로 처리된 세포의 상대 억제의 함수로서 계산되었다. 데이터는 그 다음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플롯팅되었다.
실시예 1:표현형으로 구별되는 HRG 양성 암 세포는 전이성 유방암 모델에서 관리 기준 요법에 영향을 준다.
ErbB3은 4 수용체 (ErbB1-4)로 구성되는 인간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 (ErbB 또는 HER) 계열의 구성원이다. ErbB 네트워크의 한정 피쳐는 상기 계열의 2 구성원, ErbB2 및 ErbB3이 비-자율적이라는 점이다. ErbB2는 성장-인자 리간드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용력이 부족하고, 반면에 ErbB3의 키나제 활성은 불량성이다. 헤레굴린 (HRG), ErbB3 리간드는 증식 및 향상된 생존의 강력한 드라이버로서 확인되고 있다. HRG 발현은, 화학요법을 포함하는, 수많은 관리 기준 (SOC) 요법, 항-호르몬 제제 및 다른 표적화된 치료제의 효과에 반응하기 위해 무능을 특징으로 하는 구별되는 종양 세포 표현형을 유발시킨다.
HRG 발현의 조사에서, HRG+ 세포는 대부분의 고체 종양 유형의 사례의 대략 50%에서 존재한다. 이들 HRG+ 세포가 SOC 요법의 효과로부터 보호되고 심지어 SOC의 존재하에 계속해서 증식하여, 제한된 임상 이득을 초래하는 것이 가정된다. 이러한 모델에서, HRG 활성이 차단되면, HRG+ 세포는 SOC에 민감해져서, 향상된 임상 이득을 초래한다. 세리반투맙은 ErbB3에 HRG의 결합을 억제시킴으로써 HRG 활성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완전히 인간 항-ErbB3 단클론성 항체이다. 세리반투맙의 존재하에, HRG+ 종양 세포는 공-투여된 SOC 요법에 반응할 수 있도록 예상된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HR+) 유방암에 대하여, 호르몬 박탈 전략은 아쥬반트 및 전이성 셋팅에서 임상 이득을 증명하였다. 불행하게도, 이들 요법으로부터 임상 이득은 일부 환자에서 짧은 수명일 수 있다. 이들 환자의 최적의 임상 관리는 급속 임상 진행의 드라이버의 포괄적인 분자 이해를 요구한다. 종양이 HRG를 발현시키지 않는 환자에 비교된 경우 SOC로부터 제한된 임상 이득만을 유도하는 환자의 하위그룹을 종양 샘플에서 측정된 HRG mRNA 발현이 한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HR+, HER2 음성 (HER2-) 진전된 유방암에 대하여 치료 선택의 중심을 현재 나타내는 치료 -- 레트로졸 및 풀베스트란트를 포함하는, 항-호르몬 제제의 다중 부류로 전임상적으로 그리고, 엑세메스탄으로 이전에 공개된 2기 임상 연구에서 관측되었다.
데이터는 유방암 모델에서 표현형으로 구별되는 HRG+ 세포가 SOC 및 다양한 신규한 부류의 요법으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또한, 데이터는 이들 다른 요법에 세리반투맙의 첨가가 지속된 치료 반응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HRG+ 세포의 계속된 팽창은 SOC 요법으로 치료된 유방암 환자에서 급속 임상 진행에 핵심일 수 있다. 이들 발견은 HR+, HER2- 진전된 유방암에서 3기 임상시험내 항-호르몬 제제와 조합으로 세리반투맙의 발생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2:헤레굴린 mRNA는 ER+, HER2- 유방암을 가진 환자에서 만연한다.
유방암 세포내 HRG 발현은 HER3 신호전달 활성화에 의해 요법에 대한 저항 그리고 암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TCGA 공공 데이터 베이스에서 그리고 임상적으로 관련된 HRG RNA-ISH 검정을 이용하는 197 ER-양성, HER2-음성 유방암 종양에서 HRG mRNA를 직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HRG mRNA의 유병률은 검사되었다. 양쪽 TCGA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 샘플은 HRG mRNA에 대하여 45%의 유병률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
실시예 3:헤레굴린은 ER+, HER2-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을 유도한다.
6 일 동안 HRG를 가진 ER+, HER2- 유방암 세포주는 자극되었고 증식은 시험관내 측정되었다. 결과 (도 2)는 HRG가 MCF7, T47D 및 HCC1428 세포주의 증식을 유도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들 모두는 ER+, HER2- 세포 모델이다. 이들 데이터는 HRG의 존재가 암 세포 증식을 구동시킨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4:헤레굴린은 ER+, HER2- 유방암 세포주에서 항-호르몬 제제의 활성을 확대시킨다.
풀베스트란트는 "SERD",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로 분류되고 진전된 ER+ 유방암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SERDs는 수용체에 호르몬 결합을 길항시키고 수용체 단백질의 열화를 촉진시켜, 이로써 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 및 암 세포 성장을 억제시키기 위한 이중 작용 기전 (MOA)를 갖는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HRG는, 에스트라디올 (E2)보다 더, MCF7 및 T47D 세포의 증식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게다가, 조합으로 에스트라디올 및 HRG는 양쪽 세포주에서 증가된 증식을 초래하였다. 풀베스트란트 (100nM)은 양쪽 MCF7 및 T47D 세포주에서 에스트라디올 유도된 증식 억제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HRG가 존재하였던 경우, 에스트라디올에 더하여, 풀베스트란트 활성은 상당히 감소되었다 (도 3). 마지막으로, 풀베스트란트, 에스트라디올 및 HRG로 처리된 세포에 세리반투맙의 첨가는 MCF7 세포에서 관측된 가장 큰 정도의 억제를 가진 풀베스트란트의 활성의 회복을 초래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인간 ER+, HER2- 유방암에서 만연한, ErbB3 리간드 HRG가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고 항-호르몬 요법 예컨대 풀베스트란트의 유효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세리반투맙은 HRG-매개된 풀베스트란트-저항성 세포에서 풀베스트란트 감수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실시예 5:HRG는 ER+, HER2- 유방암 세포주에서 CDK 억제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세리반투맙은 감수성을 회복시킨다.
ER+, HER2- 유방암 세포는 세리반투맙의 첨가와 함께 또는 첨가 없이 HRG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CDK4/6 억제제로 치료되었고, 이어서 CTG 검정을 이용하여 증식이 측정되었다 (도 4). 용량 범위에 걸쳐 단일 제제 CDK4/6 억제제로 치료된 MCF7 세포 (좌측 대부분의 플롯, A-C, 도 4)는 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및 리보시클립이 용량 의존 방식으로 그리고 유사한 정도로 증식을 억제시켰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MCF7 세포는 HRG (10nM)의 포화 용량으로 동일한 용량 범위에 걸쳐 각각의 CDK4/6 억제제로 또한 치료되었다. HRG 자극은 CDK4/6 억제제 활성을 상당히 억압시켰고 증식을 증가시켰다 (중간 플롯, A-C, 도 4). 세리반투맙의 첨가는 CDK 억제성 활성을 회복시켰다 (우측 플롯, A-C, 도 4). 유사한 결과는 또 다른 ER+, HER2- 세포주, ZR75-1에서 수득되었고, 여기에서 HRG는 재차 CDK4/6 억제제의 활성을 억제시켰고 세리반투맙은 감수성을 회복시켰다 (도 5A-5C). 요약하면, 이들 데이터는 HRG-ErbB3 신호전달이 CDK4/6 억제제의 성장 억제성 효과에 무감각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헤레굴린은 ER+, HER2- 전이성 유방암 세포주에서 CDK4/6 억제제 및 내분비 요법의 조합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세리반투맙은 감수성을 회복시킨다.
MCF7 세포는 1) 팔보시클립 또는 아베마시클립 또는 리보시클립, 2) HRG, 3) 풀베스트란트 및 4) 세리반투맙의 다양한 조합으로 초기에 치료되었고, 증식은 CTG 검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MCF7 세포가 CDK4/6 억제제 플러스 풀베스트란트 (50 nM)의 조합으로 치료된 경우, 증식의 억제의 정도는 CDK4/6 억제제 단독의 활성보다 더 컸다 (도 6A-6C). 더욱이, 각각의 CDK4/6 억제제-풀베스트란트 조합에 대하여, 이러한 조합의 활성은 HRG의 첨가에 의해 차단되었고 세리반투맙 첨가는 CDK4/6 억제제-풀베스트란트 조합에 감수성을 회복시켰다 (도 6A-6C). 동일한 실험 설계는, 유사한 결과로, 타목시펜이 풀베스트란트로 치환된 매칭된 조합을 시험하는데 사용되었다 (도 7A-7C).
실시예 7:전이성 유방암에 대하여 이전에 치료받지 않았던 환자에 있어서 팔보시클립, 호르몬 요법, 및 세리반투맙으로 ER+, HER2-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ER+, HER2- 전이성 유방암을 가진 환자는 28 일의 완전한 사이클을 포함하기 위해 21 연속 일 동안 경구로 1일 1회 섭취된 하나의 팔보시클립 125 mg 캡슐로 치료되고,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된다. 환자는 동반하여 28-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섭취된 레트로졸, 2.5 mg으로, 또는 1, 15, 29 일째에, 그리고 그 후에 1개월 1회 투여된 500 mg의 용량으로 풀베스트란트로 치료된다. 환자는 또한 동반하여 3g의 용량으로 매 2주 IV 주입에 의해 세리반투맙으로 치료된다. 그와 같은 치료는 유익한 결과,예를 들면, 안정적인 질환, 부분적인 반응, 또는 완전한 반응을 초래한다.
실시예 8:이전에 팔보시클립 및 호르몬 요법으로 치료되었던, 그리고 암이 이러한 치료에서 진행하였던 환자에 있어서 팔보시클립, 호르몬 요법, 및 세리반투맙으로 ER+, HER2-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이전에 팔보시클립 및 어느 한쪽 레트로졸 또는 풀베스트란트로 치료되었고 이러한 치료에 저항성이 되었던 ER+, HER2- 전이성 유방암을 가진 환자는 28 일의 완전한 사이클을 포함하기 위해 21 연속 일 동안 경구로 1일 1회 섭취된 하나의 팔보시클립 125 mg 캡슐로 치료되고 이어서 7 일 치료 중지된다. 환자는 동반하여 (환자가 이전에 풀베스트란트로 치료되었다면) 레트로졸 또는 (환자가 이전에 레트로졸로 치료되었다면) 풀베스트란트 어느 한쪽으로 치료된다. 레트로졸은 28-일 사이클 내내 계속해서 1일 1회 섭취된 2.5 mg의 용량으로 투여되거나, 풀베스트란트는 1, 15, 29 일째에, 그리고 그 후에 1개월 1회 투여된 500 m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환자는 또한 동반하여 3g의 용량으로 매 2주 IV 주입에 의해 세리반투맙으로 치료된다. 그와 같은 치료는 유익한 결과, 예를 들면, 안정적인 질환, 부분적인 반응, 또는 완전한 반응을 초래한다.
실시예 9:헤레굴린 (HRG)에 의한 CDK2 활성화는 HR+ HER2- 유방암 세포에서 풀베스트란트 또는 CDK4/6 억제제 활성을 완화시키고 세리반투맙은 활성을 회복시킨다.
다음과 같은 실험은 HER3 억제제가 약물, 예컨대 팔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 및 리보시클립에 의해 CDK4/6 억제의 존재 하에 HRG에 의해 비-표준적 CDK2 복합체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MCF7 세포는 도 8-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0-24 시간 동안 어느 한쪽 단독 또는 조합으로 10 nM HRG, 100 nM 풀베스트란트, 100 nM 팔보시클립, 100 nM 아베마시클립 또는 1 uM의 세리반투맙으로 치료되었다. 세포 용해물은 빙상에서 30 분 동안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의 첨가와 MPER 세포용해 버퍼내 용해에 의해 제조되었다. 세포 잔해는 10,000 rpm으로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되었다. 단백질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웨스턴 블랏팅에 의해 분석되었다. 단백질 장입은 β-액틴 항체 (β-Actin (13E5) Rabbit mAb #4970 Cell Signaling Technology)로 블랏팅에 의해 추정되었고 CDK2 활성화는 pCDK2 항체 (Phospho-CDK2 (Thr160) Antibody #2561, Cell Signaling Technology)로 CDK2의 트레오닌-160에서 인산화의 검출에 의해 측정되었다.
도 8은 HRG가 HR+, HER2- 유방암 세포에서 CDK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세리반투맙이 CDK2 활성화에서 HRG의 활성화 효과를 차단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추가로, 항-호르몬, 풀베스트란트 및 모두의 CDK4/6 억제제, 팔보시클립 또는 아베마시클립은 CDK2 활성화를 억제시켰고 HRG는 이러한 억제성 활성을 차단시켰다 (도 9 및 10). 또한, 세리반투맙은 풀베스트란트 (도 9) 또는 CDK4/6 억제제 팔보시클립 및 아베마시클립 (도 10)의 존재하에 CDK2의 HRG 매개된 활성화를 차단시켰다.
이들 발견의 결과는 HRG가 내분비 요법 (예컨대 풀베스트란트) 및 CDK4/6 억제제 (예컨대 팔보시클립 또는 아베마시클립)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기전 중 하나가 세포 사이클 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CDK2의 비-표준적 활성화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결과는 세리반투맙이 CDK2의 이러한 활성화를 차단시키고 따라서 관리 기준 요법, 예컨대 풀베스트란트 및 CDK4/6 억제제의 활성을 회복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10:HRG는 ER-양성, HER2-음성 유방암 세포에서 풀베스트란트, 팔보시클립 및 그것의 조합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고도로 강력한 리간드이다.
다중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리간드 (RTKL) 또는 에스트로겐 (E2)로 ER+ HER2- 세포주의 치료는 헤레굴린 (HRG)가 풀베스트란트, 팔보시클립, 또는 풀베스트란트 및 팔보시클립의 조합의 활성 억제에서 가장 효과적인 RTKL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이 실험의 목적은 항-에스트로겐 요법 (예를 들면,풀베스트란트) 및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또는 그것의 조합의 활성에서 HRG의 관측된 효과가 HRG에 특이적인지를 또는 다양한 암에서 발견된 다른 성장 촉진 RTK 리간드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 더 넓은 효과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ER+ HER2- 세포주 MCF7 (도 11) 및 T47D (도 12)는 세포 성장이 CTG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된 어느 시점에 6 일 동안 다음과 같은 리간드 (농도 1 nM)의 존재 하에 단일 제제로서 풀베스트란트 (50 nM), 팔보시클립 (40 nM) 또는 팔보시클립 플러스 풀베스트란트 (40 nM + 50 nM)의 조합으로 치료되었다.
EGF 계열 리간드:
상피 성장 인자 (EGF)
헤레굴린 (HRG)
암피레굴린 (AREG)
베타셀룰린 (BTC)
에피레굴린 (EPR)
헤파린-결합된 상피 성장 인자 (HB-E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알파 (TGFα)
다른 리간드:
에스트라디올 (E2)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1 (IGF-1)
간세포 성장 인자 (HGF)
FGF 염기성 (FGF2)
데이터는 HRG가 풀베스트란트 활성, 팔보시클립 활성, 그리고 팔보시클립 및 풀베스트란트의 조합 억제에서 시험된 모든 리간드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리간드인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양쪽 EGF 계열 리간드 및 다른 리간드 예컨대 E2, IGF1 및 FGF2를 포함한다.
실시예 11:HRG는 ER+ HER2- 세포의 S-상 세포 사이클 진행을 촉진시킨다. HRG는 ER+ 양성, HER2-음성 유방암 세포에서 DNA 합성시 풀베스트란트와 조합으로 팔보시클립의 활성을 억제시킨다. 세리반투맙은 이러한 조합의 억제성 활성을 회복시킨다.
이 실험의 목적은 세포 사이클 진행의 수준에서 팔보시클립 및 풀베스트란트의 활성에서 HRG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이 실험은 세리반투맙이 HRG의 효과 차단에 의해 임상적으로 승인된 의약품 조합의 첨가 활성 또는 개별 구성요소의 세포 사이클 억제성 활성을 회복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MCF7 세포는 24 시간 동안 팔보시클립, 풀베스트란트, HRG 및 세리반투맙의 조합으로 치료되었고, 2 시간 동안 10 μM EdU로 펄스-표지되었고, 고정되었고, Click-iT® EdU Alexa Fluor® 488 및 FxCycle™ Violet 염색에 의해 이중 염색되었고 유세포측정에 의해 분석되었다. 도 13은 세포 사이클 분포의 대표적인 FACS 플롯이다. G0/G1, S 및 G2/M 상에서 세포용 게이트 설정 및 백분율은 지시된다. DNA 합성 (S-상)은 양쪽 EdU 편입 및 DNA 함량에 대하여 양성인 세포 정량화에 의해 결정되었다.
데이터는 HRG가 휴지 세포의 S-상에서 세포의 분율이 15.8%이었고 HRG 치료된 샘플에서 S-상 세포의 분율이 55%이었던 ER+ HER2- 유방암 세포의 S-상 세포 사이클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3A)는 것을 나타내어, HRG가 유사분열을 향해 세포 사이클 진행 및 DNA 합성을 매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HRG의 부재 하에 단일 제제로서 어느 한쪽 풀베스트란트 (도 13B) 또는 팔보시클립 (도 13C)로 MCF7 세포의 치료는 이들 약물의 모두가, 이들 약물에 대하여 제안된 작용 기전 및 공개된 문헌과 일치하는 발견인, S-상 세포 사이클 진행 억제에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하지만, 도 13A-13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약물의 세포 사이클 억제성 활성은 HRG 존재에 의해 상당히 억제되고 세리반투맙은 이러한 활성을 회복시킨다.
마지막으로, 양쪽 팔보시클립 및 풀베스트란트가 ER+, HER2- 유방암 환자에 있어서 조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조합의 활성에서 HRG의 효과 그리고 세리반투맙이 이러한 활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여부는 시험되었다. 우리의 이전의 발견과 일치하여, HRG는 팔보시클립-풀베스트란트 조합의 세포 사이클 억제성 활성을 차단시켰고 세리반투맙은 이러한 활성을 회복시켰다 (도 13D). 이들 발견은 HRG가 ER+ HER2- 진전된 유방암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관련된 및 승인된 의약품 조합의 활성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그리고 세리반투맙이 이러한 활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우리의 다른 발견과 일치한다.
실시예 12:세리반투맙은 ER+, HER2- 유방암의 인간 동소 이종이식 모델에서 풀베스트란트 및 팔보시클립의 조합 또는 풀베스트란트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이 실험의 목적은 어느 한쪽 풀베스트란트 또는 팔보시클립 또는 그것의 조합에 세리반투맙의 첨가가 ER+ HER2- 유방암의 동소이식 제노그래프 모델에서 효능을 증가시키는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8~10 주령된 암컷 SHO 마우스 (Charles River Laboratories)는 17-베타-에스트라디올 펠렛 (0.72 mg/펠렛)으로 이식되었고 2 일후, 50% DPBS/50% 매트리겔에 현탁된 100 μl의 5 Х 106 MCF7 세포로 복부 유선 지방 패드 속에 주사되었다. 종양 성장은 1주 2회 모니터링되었고 종양 용적은 식 (종양 크기 = π/6 Х [길이 Х 폭2])에 따라 외부 캘리퍼스 측정 이후 계산되었다. 평균 측정된 종양 용적이 대략 200 mm3에 도달하였다면, 마우스는 그룹으로 무작위 추출되었고 치료는 투여되었다. 전반적으로, 그룹당 평균 시작 종양 용적은 모든 그룹에 거쳐 동등하였다. 풀베스트란트는 피하 전달을 통해 1회 / 1주 500 μg / 마우스로 투약되었다. 팔보시클립은 25 mg/kg으로, 경구로 매일 5 일 동안,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투약되었다. 세리반투맙은 복강내 주사를 통해 2회 / 1주 600 μg / 마우스 투약되었다.
도 14A-14B는 어느 한쪽 제제가 단수로 사용된 경우 세리반투맙의 첨가가 풀베스트란트 (도 14A) 및 팔보시클립 (도 14B)의 항종양 효능을 증가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도 14C는 세리반투맙이 팔보시클립 및 풀베스트란트의 조합의 성장 억제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데이터는 HRG가 항-내분비 요법 예컨대 타목시펜 또는 풀베스트란트,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 팔보시클립, 리보시클립 또는 아베마시클립), 및 이의 조합의 활성을 차단할 수 있다는 더 넓은 시험관내 발견과 일치한다.
실시예 13:HRG는 RB의 인산화를 향상시켜 세포 사이클 전이를 촉진시키고 RB 인산화시 풀베스트란트,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또는 아베마시클립)의 활성을 억제시킨다. 세리반투맙은 인간 ER+ HER2- 유방암 세포에서 HRG의 봉쇄에 의해 활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CDK4/6 활성을 통해 세포 사이클 진행 매개에 관여되는 핵심 세포 사이클 단백질 RB에서 HRG의 효과를 시험하는 것이었다. CDK4/6 억제제 (예를 들면,팔보시클립, 리보시클립 및 아베마시클립)은 사이클린 D-CDK 4/6 복합체 및 Rb 단백질에 의존적인 작용 기전을 갖는다. CDK4/6 억제제는 Rb 단백질 탈인산화를 야기시켜, E2F 유전자의 전사 및 따라서 세포 사이클 억제를 억압한다.
MCF7 세포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배양되었다. 세포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0-24 시간 동안 어느 한쪽 단독 또는 조합으로 10 nM HRG, 50 nM 풀베스트란트, 40 nM 팔보시클립, 40 nM 아베마시클립 또는 1 uM의 세리반투맙으로 치료되었다. 세포 용해물은 빙상에서 30 분 동안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의 첨가와 MPER 세포용해 버퍼에서 용해에 의해 제조되었다. 세포 잔해는 10,000 rpm으로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되었다. 단백질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웨스턴 블랏팅에 의해 분석되었다. 단백질 장입은 β-액틴 항체 (β-Actin (13E5) Rabbit mAb #4970 Cell Signal)로 블랏팅에 의해 추정되었고 RB 활성화는 pRb (S807/811): Cat # 8516 pRb (S780): Cat # 8180에서 RB (pRB)의 인산화의 검출에 의해 측정되었다. 아래와 같이 대조군 항체 총 AKT: Cat # 9272 pAKT: Cat # 4060.
도 15는 HRG가 어느 한쪽 단독 또는 조합으로 풀베스트란트 및 CDK4/6 억제제, 팔보시클립 및 아베마시클립의 활성을 무효화시켰던 RB의 인산화 및 활성화를 촉진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세리반투맙은 어느 한쪽 단독 또는 조합으로 풀베스트란트 및 CDK4/6 억제제, 팔보시클립 및 아베마시클립의 활성을 회복시켰다.
실시예 14:세리반투맙 및 레트로졸 공동치료는 저항의 개시를 지연시키고 MCF-7Ca 이종이식에서 레트로졸에 감수성을 회복시킨다.
폐경후 ER+ 유방암의 모델은 종양 성장에서 HRG-매개된 ERB3 신호전달 및/또는 에스트로겐-매개된 ER 활성화 차단의 효과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도 16). MCF-7Ca 이종이식 종양은, 단일요법 (15 마우스/그룹)에 대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투약된, 세리반투맙과 조합으로 비히클 ("대조군"; 0.9% NaCl내 0.3%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HPC), 매주 2회 (Q2W), 복강내 주사 (IP); 15 마우스/그룹), 세리반투맙 (750 μg/마우스, Q2W, IP; 15 마우스/그룹), 레트로졸 (10 μg/마우스/일 x 5 일/주 (QD x 5), 피하 주사 (SQ); 60 마우스/그룹), 또는 레트로졸을 받기 위해 무작위 추출된, 암컷, 난소적출된 누드 마우스에서 생성되었다. 평균 종양 용적 (± SEM)에서의 변화는 캘리퍼스 측정에 의해 매주 결정되었다. 레트로졸 (주 14)에 저항의 발생 이후, 레트로졸-단독 그룹에서 마우스는 하기를 받기 위해 15 마우스/그룹으로 재-무작위화되었다: 레트로졸 단독; 세리반투맙 단독; 또는 레트로졸 및 세리반투맙의 조합.
MCF-7Ca-유래된 이종이식 종양은 레트로졸에 초기에 반응하였지만, 치료의 대략 7-8 주후 저항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도 16). 마우스가 레트로졸 및 세리반투맙으로 공동치료된 경우, 하지만, 종양 성장은 억제되었고 레트로졸에 저항은 실질적으로 지연되었다. 이것은 HRG/ERBB3 신호전달이 어느 한쪽으로 연구의 착수에서 활성이었거나 레트로졸 치료에 반응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생성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레트로졸에 저항이 명확히 확립되었다면 (주 14), 레트로졸-치료된 그룹에서 마우스는 2 집단 중 하나로 재-무작위화되었다: (i) 계속된 레트로졸 단일요법 또는 (ii) 레트로졸과 조합으로 세리반투맙. 현저히, 레트로졸-저항성 종양은 레트로졸 단독으로 치료에 비교된 레트로졸 및 세리반투맙으로 공동치료된 경우 상당히 감소된 종양 성장을 표시하였다. 이것은 양쪽 에스트로겐/ER- 및 HRG/ErbB33-유도된 신호전달이 어느 한쪽 경로 단독보다 더 큰 항종양 활성을 제공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실시예 15: 종양이 RNA 원-위치 하이브리드화 (RNA-ISH)에 의해 측정된 경우 HRG를 발현시키는 ER/PR 양성, HER2 음성,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유방암을 가진 환자는 2개의 하기 치료 레지멘 중 하나로 제공된다.
치료 A
· 세리반투맙: 각각의 28-일 사이클의 1 및 15 일째에 3000 mg IV의 고정된 용량
· 풀베스트란트: 사이클 1의 1 및 15 일째, 및 각각의 후속적인 28 일 사이클의 1 일째에 500 mg 근육내로 (IM)
치료 B
· 세리반투맙: 각각의 28-일 사이클의 1 및 15 일째에 3000 mg IV의 고정된 용량
· 레트로졸: 2.5 mg PO 1회 / 1일
상기 치료 레지멘은 유익한 결과,예를 들면, 안정적인 질환, 부분적인 반응, 또는 완전한 반응을 초래한다.
일부 경우에서, 환자는 일부 또는 임의의 하기 포함 기준을 충족시킨다:
a) (> 1% 세포의 염색을 가진) 조직학적으로 또는 세포학적으로 확인된 ER+ 및/또는 PR+ 유방암
b) 성선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 (GnRH) 효능제 예컨대 고세렐린으로 (사이클 1의 1 일째에 적어도 28 일 앞서 개시된) 어느 한쪽 외과적/천연 폐경 또는 난소 억제로 인한 확인된 폐경후 상태
c) ASCO/CAP 지침에 따른 HER2 음성
d) 미염색된 종양 조직의 중심화된 시험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1+의 스코어를 가진 헤레굴린에 대하여 양성 원-위치 하이브리드화 (ISH) 시험
e) 어느 한쪽 코어 바늘 생검 또는 미세 침상 흡인을 잘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병변을 가져야 함
f)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질환 셋팅에서 적어도 하나 그러나 셋 이하 사전 전신 요법을 따라 진행됨
·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질환에 대하여 사전 CDK 억제제 기반 요법을 받음
·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질환에 대하여 화학요법의 하나 이하 사전 라인을 받음
g) RECIST v1.1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질환의 문서로 기록된 진행. 예외: 뼈-단독 전이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이들이 CT 또는 MRI에서 가시적인 적어도 2 용해 병변을 갖는다면 그리고 신규한 병변의 외관에 기반하여 선행 요법에서 질환 진행을 문서화하였다면 적격이다.
· 그들 병변에 방사선을 받았던 뼈-단독 병변을 가진 환자는 방사선 요법 이후 진행을 문서화해야 했다.
h) 고지에 의한 동의를 이해 및 서명할 수 있음 (또는 그렇게 할 수 있는 법적 대표를 가짐)
i) 0 또는 1의 ECOG 성능 스코어 (PS)
j) 하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은 적절한 골수:
· ANC > 1500/μl
· 혈소판 수 > 100,000/μl; 및
· 헤모글로빈 > 9 g/dL
k) 하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은 적절한 간 기능:
· 혈청 총 빌리루빈 ≤ 1.5 x ULN (Morbus Gilbert를 가진 환자 예외)
·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기전달효소 (AST), 알라닌 아미노기전달효소 (ALT) 및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 2.5 x ULN (간 전이가 존재하면 ≤ 5 x ULN은 허용가능하고, 뼈 전이가 존재하면 알칼리성 포스파타제의 ≤ 5 x ULN은 허용가능함)
l) 혈청 크레아티닌 ≤ 1.5 x ULN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은 적절한 신장 기능
m) 임의의 선행 수술, 방사선요법, 또는 다른 항신생물성 요법의 임상적으로 상당한 효과로부터 회수됨.
n) 환자는 미국 임상 종양 학회 (ASCO) 지침에 따라 핵 인자 카파-B (RANK)-리간드 제제 (예를 들면 데노수맙)의 뼈 개질제 예컨대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수용체 활성제로 치료될 수 있고; 가능한 경우, 뼈 개질제를 요구하는 환자는 연구 요법에 > 7 일 앞서 치료를 시작해야 하고 임상적으로 억지로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구 내내 동일한 제제를 계속해야 함.
o) ≥ 18 세
p) 주요 동의 형태 서명의 60 일 이내 정맥 혈전색전성 이벤트를 경험하였던 환자는 이 연구에서 치료 시작에 앞서 적어도 7 일 동안 항-응고제로 치료되어야 함.
일부 경우에서, 환자는 임의의 하기 제외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a) 항-ErbB3 항체로 선행 치료
b) 국소적으로 진전된 또는 전이성 셋팅에서 풀베스트란트로 선행 치료
c) 조절되지 않는 CNS 질환 또는 연수막성 질환의 존재
d) 마지막 2 년에서 전신 요법을 요구하였던 또 다른 활성 악성종양의 이력. 원-위치 암 또는 기저 또는 편평상피 세포 피부 암의 선행 이력을 가진 환자는 적격임
e) 조사자의 의견에서 시험에서 환자의 참여를 절충할 수 있거나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투약의 제1 계획된 날에 또는 선별 방문 동안 활성 감염, 또는 불명열 > 38.5℃. 조사자의 재량으로, 종양 열을 가진 환자는 등록될 수 있다
f) 세리반투맙, 풀베스트란트의 임의의 성분에 공지된 과민증, 또는 완전히 인간 단클론성 항체에 과민증 반응을 가졌던 사람
g) 하기를 포함하는 다른 최근 항종양 요법을 받음:
· 이 연구에서 투약의 제1 계획된 날에 앞서, 어느 것이 더 짧든, 28 일 또는 5 반감기 내에 투여된 조사적 요법
· 게다가 (필요하면), 그와 같은 방사선으로부터 임의의 실제의 또는 기대된 독성의 해상도용 기간을 포함하는, 이 연구에서 제1 계획된 용량에 앞서 14 일 이내 방사선 또는 다른 표준 전신 요법
h) NYHA 부류 III 또는 IV 울혈성 심장기능상실
i) 심장 질환의 상당한 이력 (즉 조절되지 않는 혈압, 불안정한 협심증, 1 년 이내 심근경색증 또는 약물을 요구하는 심실 부정맥)을 가진 환자는 또한 제외됨
j) IV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진균제를 요구하는 조절되지 않는 감염; 또는 활성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감염, 활동 B형 간염 감염 또는 활동 C형 간염 감염
k) 고지에 의한 동의에 서명하기 위한 환자의 능력을 방해, 연구에 참여 및 협력하기 위한 환자의 능력을 방해, 또는 결과의 해석을 방해할 것 같도록 조사자에 의해 간주된 임의의 다른 의료 병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