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개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다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IoT(internet of things 또는 internet of objects)란 사물 인터넷으로도 불리며,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시스템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s로 분류하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데이터 생산 및 이용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객체에 포함될 수 있다.IoT (internet of things or internet of objects) is also referred to as the Internet, and refers to a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y objec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ystem can be classified as Things or Objects, and data or objects or persons can be included in the object by means of local or remote communication capabilities.
IoT 환경에서 각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IP(internet protocol) 게이트웨이(gateway)가 이용될 수 있다. IP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IoT 장치들의 제어를 수행한다.An IP (internet protocol) gateway may be used to control each IoT device in the IoT environment. The IP gateway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wirelessly or wirelessly,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to control the IoT devices.
그러나, 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IP 게이트웨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및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선을 필요로 한다. IP 게이트웨이는 통상적으로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IP 게이트웨이가 다수 설치되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IoT devices using the IP gateway, a power line for driving the IP gateway and a communication line for enabl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re required. Since IP gateways usually use a local communication method to control IoT devices, a plurality of IP gateways must be install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환경을 손쉽고, 경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easily and economically implementing an environment for controlling IoT devices ar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PSTN으로부터 조명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power from a PSTN and driving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using received power; And receiving illumination control signals from the PSTN by th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performing illumination contro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s.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서, 상기 무선통신 방식은, 저전력 무선통신 방식인 ZigBee 방식을 포함한다.Further, in the illumin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ZigBee method which is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서, 상기 조명 제어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된다.Also, in the illumin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using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 frequency shift keying (FSK) method.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에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PSTN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오프훅(off-hook) 상태인 경우 상기 PSTN으로 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in the illumin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of driving th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includes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STN when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STN is in an off-hook state .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조명 제어 장치는,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PSTN으로부터 조명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Also,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used in a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power from a PSTN and uses the received power to drive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 And a processor for receiv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PSTN and performing illumination contro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에서, 상기 무선통신 방식은, 저전력 무선통신 방식인 ZigBee 방식을 포함한다.Further, in the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ZigBee method which is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Further, in the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transmits / receives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using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 frequency shift keying (FSK) method.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PSTN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오프훅(off-hook) 상태인 경우 상기 PSTN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한다.Also, in the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STN when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STN is in an off-hook state.
본 개시에 따르면, 다수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구동을 위한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환경을 손쉽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 environmen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can be implemented easily and economically.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STN을 이용한 제어 환경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environment using a PST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dure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illustrating the disclosure and are not chosen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under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comprising, "" having," "having, " and the like,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expressions of the singular form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set forth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part " as used in this disclosure refers to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softwar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part (s) "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lem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of program code.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 and the "part "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the expression "based on" is used to describe one or more factors affecting an action or an action of a decision, judgment, as describ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contained, I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decision, act of judgment or action.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is omitted, such components are not intended to be included in any embodiment.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STN을 이용한 제어 환경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environment using a PST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STN을 이용한 제어 환경(100)은 사용자 단말(110), 게이트웨이(120) 및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130-1, 130-2, 130-3,..., 130-n)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control environment 100 using the PSTN includes a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형성된 제어신호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게이트웨이(120)로 전달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110)에서 형성된 제어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게이트웨이(120)는,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게이트웨이(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오프훅(off-hook) 상태(즉, 통화중)인 경우에만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이 온훅(on-hook) 상태일(즉, 통화중이 아닐) 경우 PSTN으로부터 저전력만을 공급받을 수 있다. PSTN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 게이트웨이(120)는, PSTN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방식(WC)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무선통신 방식은, 저전력 무선통신 방식인 ZigBee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IoT 장치(130-n)는, 게이트웨이(120)의 제어에 따라서 전원 온/오프, 밝기, 온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IoT 장치(130-n)는 LED(light emitt diode) 등(light)(130-1), LED 패널(panel)(130-2), 램프(lamP), 도어폰(door phone),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전자 레인지(microwave rang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IoT device 130-n can be controlled on / off, brightness, temperature, etc.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0)는 전원공급부(210), 처리부(220), 통신부(230) 및 시스템 버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원공급부(210), 처리부(220) 및 통신부(230)는 통신 가능하도록 시스템 버스(24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2, the
전원공급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온훅(on-hook) 상태일(즉, 통화중이 아닐) 경우 PSTN으로부터 저전력만을 공급받아서 처리부(22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오프훅(off-hook) 상태(즉, 통화중)인 경우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게이트웨이(12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210)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원공급부(210)의 회로 구성을 통하여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인 ZigBee에 필요한 전원을 안정적인 정전압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처리부(220)는, 전원공급부(210)를 통하여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처리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오프훅(off-hook) 상태(즉, 통화중)인 경우에만 전원공급부(210)를 통하여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게이트웨이(120)를 구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이 온훅(on-hook) 상태일(즉, 통화중이 아닐) 경우 전원공급부(210)를 통하여 PSTN으로부터 저전력만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10)를 통하여 PSTN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 처리부(220)는, PSTN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방식(WC)을 이용하고 통신부(23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통신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력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230)는 PSTN으로부터 전력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130-n)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DTMF / FSK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IoT 장치(130-n)의 제어를 위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LED 등을 켜길 원하면 1번, 끄길 원하면 2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DTMF 방식의 안내를 사용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1번 또는 2번의 선택을 수신하여 IoT 장치(130-n) 중 하나인 LED 등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dure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Although process steps, method steps, algorithms,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in this flowchart in a sequential order, such processes, methods, and algorithm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ny suitable order. In other words, the steps of the processes, methods and algorithm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need not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lso, although some of the steps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asynchronously, some of these steps may be performed concurrently in other embodiments. Also, an illustration of a process by way of illustration in the drawings is not intended to imply that the illustrated process excludes other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hereto, and that any of the illustrated processes or steps thereof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imply that it is necessary for more than one, and does not mean that the illustrated process is preferr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410)에서, PSTN으로부터 전력이 수신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10)이 오프훅 상태인 경우 PSTN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n step S410, power is received from the PSTN, and the control apparatus can be driven using the received pow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단계(S420)에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PSTN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 이후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42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 of at least one IoT device may be receiv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단계(S43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PSTN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고,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430, control of at least one IoT device may be perform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 has been described through particular embodiments, the method may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 PSTN을 이용한 제어 환경110: 사용자 단말
120: 게이트웨이130-1, 130-2, 130-3,..., 130-n: IoT 장치
200: 제어 장치210: 전원공급부
220: 처리부230: 통신부
240: 시스템 버스100: Control environment using PSTN 110: User terminal
120: gateways 130-1, 130-2, 130-3, ..., 130-n:
200: Control device 210: Power supply
220: processing section 230: communication section
240: System bu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8777AKR20180092695A (en) | 2017-02-10 | 2017-02-10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y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8777AKR20180092695A (en) | 2017-02-10 | 2017-02-10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y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92695Atrue KR20180092695A (en) | 2018-08-2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18777AWithdrawnKR20180092695A (en) | 2017-02-10 | 2017-02-10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y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80092695A (e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10780B2 (en) | Commissioning and controlling load control devices | |
| US10778330B1 (en) | Identification of orphaned light sources in wireless lighting networks | |
| US11012534B2 (en) | Node for a multi-hop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lighting system, method of updating the software of lighting modules and computer-program product | |
| US9743477B2 (en) | Lighting device, smart terminal, lighting-device network-form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 |
| KR10160819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
| JP2014509154A (en) |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device network registration method | |
| RU2719394C2 (en) | Connection of light devices | |
| KR10145242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lamp managment | |
| CN111417245A (en) | Internet of things illumination management system | |
| KR2018009269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y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
| KR20130003870A (en) | Method and apparautus of controlling light | |
| CN109089362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 |
| KR10183542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 JP2008269110A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appliance | |
| KR20160136641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 |
| CN216313129U (en) | Network bandwidth detection device and computer device | |
| KR101488966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street-lamp using PLC with user orientation | |
| KR101856908B1 (en) | Method for setting of light node based on wireless network using motion sensor | |
| KR101919016B1 (en) |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registering method of the wireless device | |
| KR20250118513A (en) | A lighting system comprising detecting sensor | |
| KR20250118511A (en) | A lighting system comprising detecting senso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7021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