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80051149A - 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 Google Patents

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149A
KR20180051149AKR1020160148096AKR20160148096AKR20180051149AKR 20180051149 AKR20180051149 AKR 20180051149AKR 1020160148096 AKR1020160148096 AKR 1020160148096AKR 20160148096 AKR20160148096 AKR 20160148096AKR 20180051149 AKR20180051149 AKR 20180051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ignal
wearabl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filedCritical김우태
Priority to KR1020160148096ApriorityCriticalpatent/KR20180051149A/en
Publication of KR2018005114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80051149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며, 압력센서, 음성센서, 움직임센서, 영상센서 및 생체 신호 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위치정보 수신기, 통신부, 상기 압력 센서, 음성 센서, 움직임 센서, 생체 신호 센서 및 영상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위험상황으로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무전 신호로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웨어러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가 전송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구조 요청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which includes a sensing unit including at least two of a pressure sensor, a voice sensor, a motion sensor, Recognizes a dangerous situa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abnormal signals among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receiver,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essure sensor, the voice sensor, the motion sensor, the biological signal sensor and the image sensor are detected, And a wearable controller configured to form a rescue request signal by a local communication signal or an electroless signal and output a rescu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Signal to a predefined structure request system, And a user terminal send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includes the character position informatio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개인 안전 시스템{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안전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을 자동 인식하여 사용자 안전을 위한 제반 조치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user safe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at a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performing various measures for user safety.

현대 사회의 발전에 따라 많은 여성들이 사회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성들만을 노리는 흉악 범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As the modern society develops, many women are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battered crimes targeting these women are recognized as serious social problems.

특히, 여성에 대한 성추행이나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죄의 은닉을 위해 납치나 살인 등과 같은 강력 범죄 또한 동반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sex crimes such as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against women occur frequent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violent crimes such as kidnapping or murder are also accompanied in order to conceal these crimes.

이에 따라 상당수의 여성들은 호신용품으로 전기충격기나 스프레이 등과 같은 휴대용 호신용구 또는 가스총 등을 소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휴대용 호신용구는 대부분 여성의 핸드백 등에 수납되고, 여성들은 비상시 이들을 꺼내 범죄자들로부터 자신을 지키는데 사용한다.Accordingly, a considerable number of women may carry a portable security device such as an electric shocker or a sprayer or a gas gun as a self-defense article. Most of these portable security gateways are housed in women's handbags, and women use them to take them out of an emergency and defend themselves from criminals.

그러나, 실제 범죄가 발생할 경우 여성이 휴대용 호신용구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저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상대적으로 힘이 강한 범죄자들은 여성을 완력으로 제압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여성이 휴대용 호신용구를 꺼내거나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휴대용 호신용구는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not easy for a woman to interfere with a counterpart by using a portable counterpart in case of actual crime. In other words, relatively strong criminals control women with their strength. In such a situatio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a woman to take out or use a portable security device, so that the portable security device is inevitably useless.

특히, 인상이나 분위기가 흉악한 경우 위험상황에 처한 여성이 기가 질려서 행동의 억압이 없어도 호신 용구의 사용이나 구난요청을 못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위험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안전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하다.Especially, when the impression or ambience is ba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woman who is in danger is not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security device or the request for rescue even without the suppression of the behavior because she is sick. Therefore, And the need for a method is very important.

아울러, 여성뿐만이 아니라 노인이나 아동과 같은 노약자, 주취 상태의 심신미약자 등 안전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대상은 광범위하나, 종래 기술로는 현실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a wide range of subjects for which safe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such as not only for women but also for elderly people or elderly people such as children, or for those who are in a state of physical or mental impairment. Howe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센서를 기본으로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자동인식하여 치한 퇴치, 구조요청, 가해자 정보 확보 등 사용자 안전을 위한 제반 조치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wireless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user's risk situation based on a wearable sensor and performing various measures for user safe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r safety syste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은,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며, 압력센서, 음성센서, 움직임센서, 영상센서 및 생체 신호 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위치정보 수신기, 통신부, 상기 압력 센서, 음성 센서, 움직임 센서, 생체 신호 센서 및 영상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위험상황으로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무전 신호로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웨어러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가 전송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구조 요청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a voice sensor, a motion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bio- When at least two or more abnormal signals among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sensing unit including at least tw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essure sensor, the voice sensor, the motion sensor, the bio-signal sensor and the image sensor are detected, And a wearable controller configured to form a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r using a local communication signal or an electroluminescent signal and output a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tructur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With the Structure requesting system preferably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transferr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conta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타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무전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무전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and the wearabl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ting it via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위험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감지부의 영상 센서를 구동시켜, 주변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구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wearabl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wearable control unit drives the image sensor of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surroundings together with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또한,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압력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 정보, 기준 음성 정보, 기준 영상 정보, 기준 생체 정보 및 기준 움직임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위험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earable control unit may store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audio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preset reference pressure information, reference voice information, reference video information,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risk situation by comparison.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는, 메모리,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이 위험상황이면,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영상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미리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로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arable wireless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and a speaker.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stores the video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n the memory or transmits a pre-stored alarm sound to the speaker Or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위험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경고음 발생 등을 통하여,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s perceived to be in a dangerous situation, he or she can request the help of nearby persons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to avoid a recognized dangerous situation.

특히, 가족이나 경찰서 사고 접수 센터 등 미리 지정된 수신처에 위기상황 및 현재 위치를 알려 구조를 요청할 수 있어서, 사용자를 신속히 위험으로부터 구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quest a structure by informing a pre-designated destination such as a family or a police station accident reception center of a crisis situation and a current location,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be quickly rescued from dan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user terminal of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ed.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user securi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of FIG. 1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은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또는 무전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서버(300) 및 타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1,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wireless device 100, auser terminal 200 that performs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Aserver 300, andother user terminals 400. [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성 및 움직임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며,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움직임 신호, 주변 영상 신호를 검출한다. 예컨대,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의 속옷 등에 부착되어 속옷 등이 사용자에게 가하는 압력을 검출한다.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or clothes to detect voice and movement of the user, photographs the user's surroundings, and detects voice signals, motion signals, and peripheral video signals of the detected user. For example,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is attached to a user's undergarment or the like, and detec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by the undergarment or the like.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손목시계 형태, 안경형태, 목걸이형태, 팔찌 형태, 헤어밴드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wristwatch, a glasses, a necklace, a bracelet, a hairband, or the like.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생체 신호, 움직임 신호, 영상 신호 및/또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인식된 사용자의 상황이 위험상황인 경우,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 요청 신호를 형성하여 근거리 통신 또는 무전기 통신으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구조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또는 영상 신호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의 주변에 구조를 요청하는 효과음 등을 출력하고,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a user's voice signal, a biological signal, a motion signal, a video signal, and / or a pressure signal. When the recognized user's situation is a dangerous situation,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forms a rescue request signal to rescue the user from a dangerous situation and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or the radio communication. The rescue request signal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 or the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outputs a sound effect or the like requesting a structure around the user, and stores a video signal.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는 제1통신망(500)(예컨대, 근거리 통신 또는 무전 통신)으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망(600)을 통해 경찰서, 지구대, 119 등과 같이 위험상황에 처한 사용자를 구조해줄 수 있는 구조 센터의 서버(300) 등으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user terminal 200 or theother user terminal 400 receive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for exampl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r radio communication), theuser terminal 200 or theother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second communication network 600 to the police station, And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to aserver 300 of a rescue center capable of rescuing a user in a dangerous situation.

서버(300)는 제2 통신망(600)을 통해 수신된 구조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 정보에 따른 출동 명령 등을 관할 경찰서, 지구대, 119 등의 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한다.Theserver 300 uses the rescu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second communication network 600 to identify a user's location and a dangerous situ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police, T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terminal,

근거리에 위치하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가 무전기 신호로 수신되면, 수신된 구조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상황을 파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구조대가 신속하게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상황을 파악하여 현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상황 정보를 구조 센터의 서버(300) 등으로 전송한다.Theother user terminal 400 located in the vicinity receive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nd grasps the loc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using the received structure request signal. Theother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detected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server 300 of the rescue center so that the rescue team can quickly grasp the user's location and risk situation and arrive at the sit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user safety system using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성, 생체 신호 및/또는 움직임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며,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또는 생체 신호, 움직임 신호, 영상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저장한다.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브로치, 귀걸이, 목걸이 등의 형태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is attached to a body part of a user to detect a user's voice, a biological signal and / or a motion, photographs the user's surroundings, and detects a voice signal and / Signal, and video signal every predetermined time.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for acquiring a video signal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brooch, an earring, a necklace, or the like.

또한,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 또는 인체 피부 등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어 속옷 등이 사용자에게 가하는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압력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저장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detec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by the undergarment or the like attached to a specific area such as underwear or a human skin worn by the user, and stores the detected pressure signal of the use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전술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메모리(140), 위치정보 수신기(150), 웨어러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The wearablewireless device 100 includes asensing unit 110, acommunication unit 120, amemory 140, a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50, and awearable control unit 19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무전기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타사용자 단말기(400)와는 무전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and a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user terminal 200 or anotheruser terminal 400. In this embodiment, thecommunication unit 120 preferably communicates withother user terminals 400 through a radio communication unit.

위치정보 수신기(150)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위치정보를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 수신기(150)는 가로등이나 전봇대 등에 미리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방송하는 위치 발생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50 may output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wearable controller 190, including the GP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50 may receive positional information from a position generator that is installed in advance in a street lamp or a pole and broadcast position information, and may output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wearable controller 190.

감지부(110)는 압력 센서, 음성 센서, 생체 신호 센서, 영상 센서, 움직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맥박이나 심전도 등과 같은 생체 신호,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The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voice sensor, a living body signal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motion sensor. Thesensing unit 110 may be attached to a user and may be a living body such as a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A signal, a user's motion, and the like, and photographs a user's peripheral image.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압박을 가하는 속옷 등에 부착되어 속옷 등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The pressure sensor is attached to an undergarment or the like that applies pressure to the user's body,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body by underwear or the like, and outputs the measured pressure to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음성 센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센서는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 등일 수 있으며, 특히 감도가 예민한 콘덴서 마이크일 수 있다.The voice sensor senses the voice of the user and outputs it to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Here, the voice sensor may be various types of microphones, and in particular, it may be a sensitive microphone.

생체 신호 센서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 또는 맥박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biosignal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such as an ECG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electrocardiogram or a heart rate sensor for measuring a pulse and an iris recognition sensor.

움직임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여기서 움직임 센서는 자이로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The movement sensor senses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outputs it to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Here, the motion sensor may be a gyro sensor,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 각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각도 값 및 움직임 방향이 포함된 각도 신호를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The gyro sensor senses a user's motion angle and direction and outputs an angle signal including a user's motion angle value and a motion direction to thewearable controller 190.

3축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가 움직인 각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3축 가속도 값이 포함된 가속도 신호를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senses the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moving angle of the user and outputs an acceleration signal including the user's three-axis acceleration value to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영상 센서는 웨어러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신호를 통신부(120)로 출력한다. 영상 센서는 영상 관련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으며, 특히 영상 촬영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The image sensor captures a surrounding image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signal to thecommunication unit 120. The image sensor may be a variety of image-related sensors, and in particular, it may be a camera module most commonly used for image photographing.

영상 신호의 저장 및 전송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storage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영상 센서는 주간뿐 아니라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 촬영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sensor is capable of taking infrared images that can be taken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영상 센서는 다른 센서로부터 인지된 위험상황시에 웨어러블 제어부(190)의 명령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한다.The image sensor is configured to shoot a surrounding image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in a dangerous state recognized by another sensor.

감지부(110)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 사용자의 주변 영상 등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웨어러블 제어부(190)에 출력한다.Thesensing unit 110 outputs a sensed signal to thewearable controller 190, which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the voice of the user, the degree of motion of the user, and the user's peripheral image.

통신부(120)는 웨어러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구조요청 신호를 제1 통신망(5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The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 structure request signal output from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to theuser terminal 200 or anotheruser terminal 400 through the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여기서 제1 통신망(500)은 무선통신망으로서,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무전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Here, the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may suppor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제2 통신망(6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경찰서, 119 구급 센터의 구조 요청 서버를 포함한다.Theuser terminal 200 or theother user terminal 400 transmits a structur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to theserver 300 through thesecond communication network 600. Theserver 300 includes a police station and a rescue request server of a 119 emergency center.

여기서 제2 통신망(600)은 원거리 무선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 LTE, 3G 등의 통신 수단을 지원한다.Here, thesecond communication network 600 is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upport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LTE, and 3G.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해 광, 효과음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발광체, 스피커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light, an effect sound, or the like for requesting help around the user or informing a user of a dangerous situation. The output unit may be a light emitting unit, a speaker, or the like.

스피커는 웨어러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구조 요청 음성 메시지, 경고음, 경찰차 사이렌 소리 등을 출력하며 효과적인 알림을 위해 최대 볼륨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wearable controller 190, the speaker outputs a rescue request voice message, a warning sound, a police car siren sound, and the like stored in thememory 140, and outputs the voice message at a maximum volume for effective notification.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일반상황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압력 정보 및 움직임 정보 등과, 위험상황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압력 정보 및 움직임 정보 등을 획득한다.Thecontrol unit 190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sound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in a general situation, audio information in a dangerous situation, Video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예컨대,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음량, 주파수, 비명소리의 여부와 연속성 및/또는 구조신호 여부 등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타인의 접근여부, 접근속도 및/또는 흉기소지여부 등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수신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심전도, 근전도, 맥박 등의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For example, thecontrol unit 190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analyzes the voice signal sensed by thesensing unit 110 to acquire voice information such as the volume, frequency, screaming sound, continuity, and / or structural signal , Analyzes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person is approaching, approaching and / or possessing a weapon, and analyzes the received bio-signal to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electrocardiogram, electromyogram, and pulse.

또한,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압력 신호와 움직임 신호로부터 압력의 세기와 움직임 정도인 압력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각각 획득한다.Thewearable control unit 190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obtains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which are the intensity and movement of the pressure, from the pressure signal and the motion signal sensed by thesensing unit 110, respectively.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일반상황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압력 정보 및 움직임 정보와, 위험상황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압력 정보 및 움직임 정보 각각을 분석하여 일반 상황의 음성 정보 범위, 영상 정보 범위, 생체 정보 범위, 압력 정보 범위 및 움직임 정보 범위와, 위험상황의 음성 정보 범위, 영상 정보 범위, 생체 정보 범위, 압력 정보 범위 및 움직임 정보 범위를 설정한다. Thecontrol unit 190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in the general situation and the voice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ange of the general situation, the image information range, the biometric information range, the pressure information range and the motion information range, the audio information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 image information range, the biometric information range, the pressure information range and the motion information range do.

예컨대,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위험상황과 일반상황에서 각각 획득한 사용자의 음량의 크기, 음성의 주파수, 구조요청 단어, 맥박 횟수, 과격한 움직임의 횟수 및 지속기간, 타인의 접근여부와 속도, 압력의 크기 등을 비교하여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controller 190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user's voice volume, the frequency of the voice, the structure request word, the number of pulses, the number and duration of intense movements, The risk situation can be recognized by comparing the approach, speed, and magnitude of pressure.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압력 신호, 음성 신호, 생체 신호, 움직임 신호 및/또는 영상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구조 요청 신호를 형성하여 통신부(120)(근거리 통신부 또는 무전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user's pressure signal, voice signal, biological signal, motion signal, and / or video signal output from thesens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local communication unit or radio communication unit).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압력 신호, 음성 신호, 생체 신호 및/또는 움직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user's pressure signal, voice signal, biological signal, and / or mo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sensing unit 110. [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압력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음성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한다.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obtains the user's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ignal, and obtains the user's voice information from the voice signal.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움직임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며,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In addi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obtain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ignal, acqui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biometric signal, and acquires the video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움직임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3축 가속도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거리 값과 진행방향을 산출한다. 웨어러블 제어부(150)는 산출된 사용자의 이동 거리 값 및 진행 방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획득한다.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value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ser from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motion signal. Thewearable control unit 150 obtains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value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ser.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된 사용자의 압력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 정보, 기준 음성 정보, 기준 영상 정보, 기준 생체 정보 및 기준 움직임 정보를 각각 비교한다. 웨어러블 제어부(150)는 각 비교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Thewearable control unit 190 compares pressur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acquired user with preset reference pressure information, reference voice information, reference video information,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and reference mo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 Thewearable control unit 15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 경우, GPS 수신부(150)로부터 전달된 위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영상 신호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 및 무전기 통신부(130)에 출력한다.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주변 촬영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Whe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GPS receiving unit 150. [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outpu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acquired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video signal to the short distance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 In addi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peripheral shooting signal and the video signal in thememory 140. [

전술한 바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GPS 수신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한다.2, theuser terminal 200 includes acommunication unit 210, acontrol unit 220, astorage unit 230, aGPS receiving unit 240, and anoutput unit 250.

먼저 통신부(210)는 제1 통신부(211) 및 제2 통신부(212)를 포함한다.First, thecommunication unit 210 includes afirst communication unit 211 and asecond communication unit 212.

제1 통신부(211)는 근거리 통신망인 제1 통신망(500)을 통해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20)에 전달한다.Thefirst communication unit 211 receives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video signal from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through the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which is a local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o thecontroller 220.

이하,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의 위험상황 인식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isk situation recognition process of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동작 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압력 신호, 영상 신호, 생체 신호 및 움직임 신호 등으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압력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 등을 각각 획득한다.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stores current user's voice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voice signal, pressure signal, video signal, .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acquired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nformation.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압력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voice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etc. of the current user is present in a reference range of a previously stored dangerou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set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이 모두 미리 저장된 일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일반상황으로 인식하고,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험상황에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status of the user as a general situ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current user's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is present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general situation in which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 It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한편, 제2 동작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영상 신호, 생체 신호, 압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 등 중 둘 이상의 신호를 종합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by synthesizing two or more signals among a user's voice signal, a video signal, a biological signal, a pressure signal, Recognize the situation.

또한, 제3 동작 모드(하이브리드 동작 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등으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을 획득한다.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Further, in the third operation mode (hybrid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cquires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from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or the lik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acquired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nformation.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위험 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acquired information on the user's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is present in the pre-stored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 모두 미리 저장된 일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일반상황으로 인식한다.In addition, if all of the acquired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exists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general condition stored in advanc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general situation.

반면에,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들이 상기 두 경우를 제외한 경우 즉, 모든 정보들이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하나도 존재하지는 않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혼재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quired information of the user is excluded from the two cases, that is, if all of the information is not present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exists in the mixed range in which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And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through additional information analysis.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추가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분석한 결과, 음성 정보 또는 움직임 정보에 미리 설정된 위험상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정보에 비명소리, 욕설, 구조요청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정보가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속하지 않으나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또는, 움직임 정보에 갑작스러운 움직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그 정보가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속하지 않으나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등에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further analyze the user's voice signal or motion signal detected by thesensing unit 110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voice signal or motion signal, If the information or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reset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s screams, abusive speech, request for rescue, etc., and the information does not belong to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repeat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th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is repe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한편,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하고, 사용자의 구조를 요청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구조 요청 동작을 중지시키는 중지 버튼 등이 조작되면,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중지한다.Meanwhile, whe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requests the structure of the user, when the stop button or the like for stopping the structure request operation by the user is operated,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stops the request for the structure of the user.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주변에 구조를 요청하는 효과음 등의 출력을 중지한다.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stops outputting an effect sound or the like requesting a structure around the user.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100)로부터의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망(600)을 통해 경찰서, 지구대, 119 등과 같은 구조 센터의 서버(300) 등으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타사용자 단말기(400) 등으로 구조요청 신호를 이미 전송한 경우이면, 구조요청 취소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user terminal 200 or theother user terminal 400 receives the rescue request signal from thewearable wireless device 100, theserver 300 of the rescue center such as the police station, Or transmits a rescue request cancellation signal if the rescue request signal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to anotheruser terminal 400 or the like.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중지한 후,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한 때 사용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을 오인식 정보로 학습한다.After stopping the user's request for the structure, theuser terminal 200 learns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misunderstood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erroneous information.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한 때 사용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움직임 정보, 압력 정보 및 생체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각 정보의 혼재 범위, 일반상황의 각 정보의 기준 범위 및 위험상황의 각 정보의 기준 범위를 조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둘 이상의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한 경우에는 어떤 정보들을 종합하였을 때 오인식 하였는지 기록하고 기준 혼재 범위를 조정한다.For example, when theuser terminal 20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theuser terminal 200 may use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range of each information of the risk situation is adjusted. In addition, when theuser terminal 200 synthesizes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and misidentifies the dangerous situation, theuser terminal 200 records what kind of information is misidentified and adjusts the reference inclusion range.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200)는 학습한 오인식 정보까지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인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좀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user terminal 200 can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by using the learned false sense information, thereby more accurately recognizing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상황의 요건을 완화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오인식 하는 경우가 많아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상황 인식 정보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인식 정보의 학습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방법 외에, 처음부터 위험상황의 기준 정보를 보다 엄격히 하는 등의 방법으로 오인식의 문제를 줄일 수도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quirements of the risk situation are relaxed, the user's situation is often mistaken for misunderstanding,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of the user and cause reliability problem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ompensating for this problem through the learning of the erroneous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erroneousness can be reduced by, for example, stricter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beginning.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 혹은 그 이상의 정보들이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 속할 때에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정보들 중 하나가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 속하고 나머지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재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의 예는 보다 효과적인 위험상황 판단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user terminal 200 may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the user belong to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And if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pieces of information belongs to the mixed range, the user's situation can be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The above examples can be adjusted for more effective risk assess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위험상황을 미리 지정된 곳에 알리고 구조를 요청할 수 있어서,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처한 상황이 위험상황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미리 지정된 곳에 알리고 구조를 요청함으로써, 위험상황 오인식에 따른 불필요한 대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s recognized as being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a pre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and request a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be rescued from danger. Particular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necessary response due to a dangerous situation misunderstanding by notifying a predetermined place and requesting a structure only when the situa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이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구조 요청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questing a user structure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제어부(190)가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움직임 신호, 영상 신호, 생체 신호 및 압력 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움직임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압력 정보를 획득한다(S400).3, thewearable controller 190 extracts current user's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user's voice signal, motion signal, image signal, biometric signal, and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sensing unit 110 , Biometric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S400).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가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움직임 신호, 영상 신호, 생체 신호 및 압력 신호로부터 각각 사용자의 음성 정보, 움직임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압력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움직임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압력 정보 등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S410).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extracts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voice signal, the motion signal, the video signal, the biometric signal and the pressure signal of the user output from thesensing unit 110 . In operation S410, the user's state is recognized by using the acquired current user's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like.

먼저 제1 동작 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가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등으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을 획득한다.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First,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cquires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from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sensing unit 110 or the like. And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using the acquired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nformation.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가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하고 구조 요청 신호를 형성하여 통신부(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위험상황으로 인식되면, 감지부(110)의 영상 센서를 구동시켜,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구조 요청 신호와 함께 촬영 데이터를 통신부(120)를 통해 송신한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cquired by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exists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previously stored dangerou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forms a structure request signal, Output.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drives the image sensor of thesensing unit 110 to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sensing unit 110.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s photographed data together with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communication unit 120. [

한편,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이 모두 미리 저장된 일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일반상황으로 인식한다.Meanwhi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general situation when all of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exists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general situation stored in advance.

제2 동작 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영상 신호, 생체 신호, 압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 중 둘 이상의 신호를 종합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eives information synthesized from two or more signals of a user's voice signal, a video signal, a biological signal, a pressure signal, and a motion signal inputted from thesensing unit 110,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사용자의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가 혼재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나머지 정보들의 범위가 일반상황의 범위에 속하더라도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몇 개 이상의 정보가 혼재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위험상황으로 인식할 것인지는 실험을 통해서 또는 오인식 상황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결정하고 또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at least two pieces of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ignals of the current user inputted from thesensing unit 110 exist in the mixed rang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information is within the range of the general situation Even if the user's situation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Whether more than a few pieces of information are in a mixed range and whether they should be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can be determined and changed through experiments or learning about misunderstandings.

또한, 제3 동작 모드(하이브리드 동작 모드)에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등으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을 획득한다.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과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In addition, in the third operation mode (hybrid operation mod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cquires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from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from thesensing unit 110 or the like. And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acquired voice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nd pre-stored reference information.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저장된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현재 사용자의 정보들 모두가 미리 저장된 일반상황의 기준 범위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일반상황으로 인식한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is present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stored dangerou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In addition, if all of the acquired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exists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general condition stored in advanc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general situation.

반면에,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들이 상기 두 경우를 제외한 경우 즉, 음성 정보 등이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하나도 존재하지는 않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혼재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quired information of the user is excluded from the two cases, that is, if there is no voice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exists in the mixed range in which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The user's situation is recognized through additional information analysis.

예컨대,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추가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움직임 신호를 분석한 결과, 음성 정보 또는 움직임 정보에 미리 설정된 위험상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정보에 비명소리, 욕설, 구조요청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정보가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속하지 않으나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또는, 움직임 정보에 갑작스러운 움직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그 정보가 위험상황의 기준 범위에는 속하지 않으나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등에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further analyze the user's voice signal or motion signal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user as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voice information or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reset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voice signal or motion signal. More specifically, when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s screams, abusive speech, request for rescue, etc., and the information does not belong to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repeats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if the information does not belong to the reference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ut repeat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user can judge the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인식된 사용자의 상황이 위험상황인 경우(S420), 위치 수신부(150)로부터 전달된 위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제1 통신망(5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무전기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430). 또한,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감지부(110)의 영상 센서를 구동시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구조 요청 신호와 함께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무전기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wearable control unit 19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position receiving unit 150 when the recognized user's situation is a dangerous state (S420). (430) transmi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other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via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radio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drive the image sensor of thesensing unit 110 to transmit the photographed data photographed together with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radio communication.

한편,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해 광, 효과음(구조 요청 음성 메시지, 경찰차 사이렌 소리 등)을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may output a light, an effect sound (a rescue request voice message, a police car siren sound, etc.) to a speaker (not shown) in order to request assistance for the user or to inform the user of a dangerous situation.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타사용자 단말기(400)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전기 통신을 통해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망(600)을 통해 구조 서버(300)에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Theuser terminal 200 or theother user terminal 400 transmits a structure request signal to thestructure server 300 through thesecond communication network 600 when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r the radio communication.

한편, 웨어러블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하고, 사용자의 구조를 요청한 경우, 사용자의 구조 요청 동작을 중지시키는 중지 버튼 등이 조작되면,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중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주변에 구조를 요청하는 효과음 등의 출력을 중지한다. 또한 경찰서, 지구대, 119 등과 같은 구조 센터의 서버 등으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지인 등이 소지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구조요청 신호를 이미 전송한 경우이면, 구조요청 취소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신호가 저장된 경우, 저장된 사용자의 영상 신호를 삭제한다.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중지한 후, 위험상황 오인식률을 낮추기 위해 사용자의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오인식한 때 사용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 등을 오인식 정보로 학습한다.Meanwhile, when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requests the structure of the user, thewearable control unit 190 can stop the user's request for structure if a stop button or the like for stopping the user's request for structure is operated. For example, the output of effects sound or the like requesting a structure around the user is stopped. In addition, if a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a server of a rescue center such as a police station, an earth rescue station, 119, or the like, or if the rescue request signal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to another user terminal owned by the user's acquaintance or the like, . When the user's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is stored, the stored video signal of the user is deleted. After stopping the user's request for the structure,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s used as misleading information in order to lower the recognition rate of the dangerous situation.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웨어러블 무선 장치 110 : 감지부
120 : 통신부 140 : 메모리
150 : 위치정보 수신기 190 : 웨어러블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서버
400 : 타사용자 단말기 500 : 제1 통신망
600 : 제2 통신망
100: Wearable wireless apparatus 110:
120: communication unit 140: memory
150: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90: wearable control unit
200: user terminal 300: server
400: other user terminal 500: first communication network
600: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6)

Translated fromKorean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며, 압력센서, 음성센서, 움직임센서, 영상센서 및 생체 신호 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위치정보 수신기, 통신부, 상기 압력 센서, 음성 센서, 움직임 센서, 생체 신호 센서 및 영상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위험상황으로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무전 신호로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웨어러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가 전송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구조 요청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A sensing unit including at least two of a pressure sensor, a voice sensor, a motion sensor, an image sensor, and a living body signal sensor, a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a communication unit, the pressure sensor, the voice sensor, Recognizes a dangerous situa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abnormal signals among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signal sensor and the image sensor are detected, forms a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r as a local communication signal or an electroluminescent signal, And a wearabl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reques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타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무전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무전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user terminal,
Wherein the wearable control unit outpu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and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위험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감지부의 영상 센서를 구동시켜, 주변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구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able control unit drives the image sensor of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data photographed in the vicinity together with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wearable control unit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User safety system using wireles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는, 메모리,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무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이 위험상황이면,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영상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미리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로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further comprises a memory and a speaker,
Wherein the wearable wireless device performs at least one of storing a video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n the memory or generating a pre-stored alarm sound to the speaker if the situation of the user is a dangerous situation,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미리 지정된 구조 요청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or the other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o the predetermined structure requesting system when receiving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압력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 정보, 기준 음성 정보, 기준 영상 정보, 기준 생체 정보 및 기준 움직임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위험상황을 인식하는 것인, 웨어러블 무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controller compares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audio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sensing unit with preset reference pressure information, reference voice information, reference video information,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and reference motion information A user safety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device that recognizes a risk situation.
KR1020160148096A2016-11-082016-11-08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WithdrawnKR201800511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48096AKR20180051149A (en)2016-11-082016-11-08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48096AKR20180051149A (en)2016-11-082016-11-08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51149Atrue KR20180051149A (en)2018-05-16

Family

ID=6245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148096AWithdrawnKR20180051149A (en)2016-11-082016-11-08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80051149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0211348A (en)*2019-04-222019-09-06努比亚技术有限公司Emergency help method,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95154B1 (en)*2019-07-012020-03-30한창호112 emergency bell call system for security using emergency bell and ip camera
KR20210071850A (en)*2019-12-062021-06-16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Helper system having the wearabel divice
WO2021211155A1 (en)*2020-04-142021-10-21Unityband, LLCSystem and method to manage safe physical distancing between entities
WO2022050494A1 (en)*2020-09-012022-03-10주식회사 이든Emergency power blocking system including universal transmission unit
KR20230104534A (en)*2021-12-312023-07-10서울대학교병원Smart Glass For Mental Healthcare Holtering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0211348A (en)*2019-04-222019-09-06努比亚技术有限公司Emergency help method,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95154B1 (en)*2019-07-012020-03-30한창호112 emergency bell call system for security using emergency bell and ip camera
KR20210071850A (en)*2019-12-062021-06-16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Helper system having the wearabel divice
WO2021211155A1 (en)*2020-04-142021-10-21Unityband, LLCSystem and method to manage safe physical distancing between entities
WO2022050494A1 (en)*2020-09-012022-03-10주식회사 이든Emergency power blocking system including universal transmission unit
KR20230104534A (en)*2021-12-312023-07-10서울대학교병원Smart Glass For Mental Healthcare Holtering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210287522A1 (en)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KR101654708B1 (en)Individual safety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the method thereof
KR20180051149A (en)Individual safety system using wearable wireless device
US11308744B1 (en)Wrist-wearable t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US20210056981A1 (en)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CN105308658B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in distress situations
US9603769B2 (en)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s
US9615235B2 (en)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80357887A1 (en)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20308971A1 (en)Emotion recognition-based bodyguard system, emotion recognition device, image and sensor control apparatus, personal prot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9715805B1 (en)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CN103325210A (en)Modularized mobile health and security system
CN111161509A (en) Brain wave-triggered non-contact alarm device and alarm detection method thereof
AU2022221401A1 (en)System for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t least one user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KR101569880B1 (en)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signal and controlling system
KR101914685B1 (en)the missing protection method using the biometric recognition type wearable device
WO2017200116A1 (en)Emergency sensing method in response to physical impact, psychological impact, and current physiological state, and emergency sensing device using same
EP3255619B1 (en)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TWI773141B (en) Hazard Prediction and Response Device and System
KR101572807B1 (en)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 by wearable device
KR102327267B1 (en)User care system
Lupinska-Dubicka et al.The concept of in-vehicle system for human presence and their vital signs detection
CA2931888C (en)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1108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