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밀집 지역 내 주택들의 지붕에 각각 스마트 굴뚝을 설치하고, 각 스마트 굴뚝의 색상을 차등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굴뚝의 조명으로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여 긴급 상황 등에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in which smart chimneys are installed on roofs of houses in a densely populated area, Images can be used as a cover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or the like.
도 1은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을 나타낸 사진이다.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high-density housing area.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고지대에 형성된 서민 주택 밀집 지역의 경우, 각 주택들의 형상이 유사하고 골목길이 복잡하게 이어져 있는 데다가, 번지 구획도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해당 지역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 특정 주택을 찾아가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특히, 도둑 침입 등 범죄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화 등 통신 수단을 매개로 신고를 하더라도 경찰이 주소, 구두 상 설명만으로 좁고 복잡하게 이어진 골목길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당 주택을 찾아가는 데 어려움이 있어 도움이 필요한 현장에 빠르게 도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 dense residential area formed in a high place in general, the shapes of the houses are similar, the alley is complicated, and the address area is not clearly defined. It is difficult to find a specific home. In particular, even if a criminal situation such as a thief invasion occurs, even if the police report it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telephone, it is difficult for the police to quickly and accurately find the corresponding house through narrow and complicated alleyways with only address and oral explan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able to reach the scene quickly.
또한, 고령화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독거 노인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독거 노인이 혼자 집안에 있다가 쓰러지는 등 건강 상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력으로 전화를 이용해 신고를 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신고를 하더라도 구급대원 등이 출동하는 시간동안 골든 타임이 경과될 수 있는 위험성도 크다. 따라서 위급상황이 발생한 주택에서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이웃주민, 즉 주택 밀집 지역 내 인근 거주 주민에게 특정 주택 안에서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려 빠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보급이 필요하다.In addition, as the aging phenomenon becomes a social problem,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s gradually increasing. In case of a health emergency such as a singl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n a house, self-reported by phone or ask for help It can be difficult, and even if you report it,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golden time will elapse during the time the paramedics are dispatc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technology that allows the neighbors residing in the neighborhood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is, the residents nearby the residential area, to intuitively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in the specific housing and to get quick help.
이에,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35601호 '노약자를 위한 가정용 긴급경보시스템'에서는 노약자(독거노인, 장애인, 환자 등)의 가정에 전화기와 연결하여 설치하고, 노약자가 부상을 입거나 질병으로 움직일 수 없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을 입력하여 구조센터에 경보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를 위한 가정용 긴급경보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긴급경보시스템은 노약자가 상시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손목시계, 목걸이, 벨트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노약자의 조작에 따라 경보상황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경보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원, 경찰서, 119센터 중 어느 한 곳으로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전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No. 10-1335601 entitled " Household Emergency Alert System for the Elderly " is a system in which an elderly person (the elderly person with a disability, a patient, etc.) is connected to a telephone set at home and the elderly person is injured or moved by disease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for a home emergency alarm system for a senior citizen who can press a button or input a voice to send an alarm to a rescue center. The emergency alert system comprises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ristwatch, a necklace, or a belt so that the elderly person can carry it at all times, and transmits alarm situation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derly person; And a control box for receiving the alarm condi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telephone to make a telephone call to any one of a hospital, a police station, and a 119 center.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경보상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관과의 전화통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그쳐, 통화가 어려운 위급한 상황에서는 활용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elephone conversation with the agency is automatically performed based on the alarm situation data, and thus the usability is very low in an emergency where communication is difficult.
또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51112호 '비상 경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험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타인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치안 및 강도 화재발생 등의 위급한 상황에 사용자가 누르면 위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조작부 및 사용자의 구조요청이나 사고 현장에서 발생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상기 조작부 및 마이크로부터 인가된 위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토록 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송신기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기용 마이컴 및 상기 수신기용 마이컴에 의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용 마이컴에 연결되어 사고 발생 신호 및 사용자의 위치, 마이크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가 경찰서나 관리실, 인근 주택에 설치된 수신장치에 송신되도록 하는 관리자 컴퓨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1112 'Emergency alarm system' is related to an emergency alarm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ask for help by send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dang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microphone for detecting a voice signal generated at a request of a user or an accident site of the user, a danger signal applied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microphone, A portable transmitter composed of a microcomputer for transmitting data; A receiver including a receiver microcomputer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transmitter,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a user by a signal applied by the receiver microcompute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micro- ; And a manager computer connected to the receiver microcomputer for causing an accident occurrence signal, a location of a user, and a voice signal detected by a microphone to be transmitted to a recep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police station, a management room, or a neighboring house.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와,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수신기 및 상기 신호 기반 정보를 기관 및 인근 주택에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는 하나,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특정 주택을 보다 직관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위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포함하지 않고 있어, 저소득층 서민 주택 밀집 지역에서의 효용성은 매우 낮은 수준에 불과하다.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a dangerous situation by using a portable transmitter operated by a user, a receiver operating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transmitter, and a manager computer transmitting the signal based information to an institution and a neighboring house , It does not include a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to more intuitively find a specific hous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n a dense highland housing area or to identify a dangerous situation without a user's operation, and thus the utility in a dense housing area of low- It is only low.
따라서, 특히 고지대 서민 주택 밀집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위급 상황 발생 시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도 보안, 소통, 편의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부가하여 효용을 높인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을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especially in high-rise area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residents of the area with quick and quick assistanc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to add various configurations that can further increase security,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residential area with an increased size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 내 특정 주택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복잡하게 형성된 골목길에서 특정 주택을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구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direction for a specific house to be efficiently searched from a complicated alleyway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pecific house in a high- The main purpose is to enable the rescue activities to take place prompt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택 밀집 지역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 각 스마트 굴뚝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수단이 전체로서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여 광고성, 심미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plurality of lighting means provided in each smart chimney form a specific image as a whole to have an advertisement and aesthetics when viewing the densely populated area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주택에서 발생한 위급 상황을 인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주자로부터 직접 신호를 받는 방법과, 주택 내 구비된 센서를 매개로 자동으로 센싱하는 방법 및 경찰 또는 소방서 등의 기관으로부터 신고 정보를 전송받는 방법 등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상황을 가장 빠른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directly from a resident in a method for recognizing an emergency occurring in a specific hous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nsing via a sensor provided in a house, And the method of receiving report inform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in the fastest way.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스마트 굴뚝의 지붕 상 설치 위치나 스마트 굴뚝 자체 형상을 소정 범위 내에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by all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mart chimney on the roof and the shape of the smart chimney itself to be vari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구조를 위해 특정 주택 인근으로 진입한 외부인의 휴대용 단말에 특정 주택과 관련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구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fi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more efficient and quick rescue oper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house to a portable terminal of an outside person who has entered a specific house for a structure by us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의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은, 주택 밀집 지역 내 각 주택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 측에 조명 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스마트 굴뚝; 복수의 상기 조명 수단이 전체로서 소정의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조명 수단을 차등 제어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mart chimneys installed on each house roof in a densely populated area and having lighting means on one side; And a control server for performing differential control of the illumination means so that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 means form a predetermined image as a whole.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스마트 굴뚝 중 특정 스마트 굴뚝을 기준 굴뚝으로 지정하는 기준 굴뚝 지정부와, 상기 기준 굴뚝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굴뚝 및 타 스마트 굴뚝들의 상기 조명 수단의 색상, 조도, 점멸주기 중 하나 이상을 차등 제어하는 조명 차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chimney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specific smart chimney as a reference chimney among a plurality of smart chimneys in a densely populated area and a reference chimney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the reference chimney and the other smart chimneys And an illumination differential control unit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color, an illuminance and a blinking cycle of the means.
더불어, 상기 기준 굴뚝 지정부는, 특정 주택의 거주자로부터 특정 주택으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특정 주택의 상기 스마트 굴뚝을 상기 기준 굴뚝으로 지정하는 거주자 신호 수집 수단과, 특정 주택에 설치된 위험 감지 센서를 기반으로 위급 상황을 판단하는 컨트롤러로부터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기준 굴뚝을 지정하는 위급 상황 센싱 수단 및, 기관으로 접수된 신고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준 굴뚝을 지정하는 기관 정보 수집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chimney designation unit may include an occupant signal collection means for receiv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requesting dispatch of a residence of a specific residence to a specific residence and designating the smart chimney of the specific residence as the reference chimney, An emergency situation sensing means for receiv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from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basis of an installed danger detection sensor and designating the reference chimney and an emergency information sensing means for collecting agency information for designating the reference chimney based on the repor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gency And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of the at least one
추가적으로, 상기 조명 차등 제어부는 상기 주택 밀집 지역의 입구 지점부터 상기 기준 굴뚝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는 경로 파악 수단과, 상기 경로 주변에 배치된 상기 스마트 굴뚝들을 상기 기준 굴뚝과의 거리 및 상기 입구 지점과의 거리를 기반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제어 대상 굴뚝 선별 수단 및, 상기 복수의 그룹 별로 상기 조명 수단의 색상, 조도, 점멸주기 중 하나 이상을 차등 제어하는 상기 차등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differential control unit may include: route grasping means for grasping a route from an entrance point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 to the reference chimney; and means for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smart chimneys disposed around the route and the reference chimney, And the differential control means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color, an illuminance and a blinking cycle of the illumination mea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do.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굴뚝은, 주택의 지붕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와, 상기 고정 파트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 파트 및, 상기 연장 파트의 상부에 형성된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chimney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xed part fixed to the roof of the house, an extend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fixed part, and a display part including lighting mean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ded part .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굴뚝은 소정 면적을 갖는 패널로서 상기 지붕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고정 파트의 저면과 연동되는 레일이 상기 소정 면적의 전반을 따라 형성된 지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레일 연동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굴뚝의 위치가 상기 지지 패널의 소정 면적 내에서 가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chimney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anel fixed to one side of the roof as a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wherein a rail interlocked with the bottom of the fixed part is formed along the entirety of the predetermined area, Wherein the part further comprises a rail interlocking part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mart stack is variable with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pport panel.
추가적으로, 상기 연장 파트는 주름관으로 구비되어 길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may be formed as a corrugated pipe so that its length and angle can be adjusted.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굴뚝은 특정 주택에 인접한 휴대용 단말에 상기 특정 주택 및 거주자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주거정보 전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chimney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history information on the specific housing and the resident to the portable terminal adjacent to the specific housing.
추가적으로, 상기 주거정보 전송부는, 비콘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identi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information in a beacon manner.
본 발명에 따른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1)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 내 특정 주택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복잡하게 형성된 골목길에서 특정 주택을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구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1)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pecific housing in a high-density housing area, the rescu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promptly by presenting the direction so that a specific housing can be efficiently retrieved from a complicated alleyway,
2) 주택 밀집 지역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 각 스마트 굴뚝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수단이 전체로서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여 광고성, 심미성을 갖도록 하며,2)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 a plurality of lighting means provided on each smart chimney forms a specific image as a whole to have advertisement and aesthetics,
3) 특정 주택에서 발생한 위급 상황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빠르고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3) To be able to quickly and quick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in a specific house in a multifaceted way,
4) 스마트 굴뚝의 지붕 상 설치 위치나 스마트 굴뚝 자체 형상을 소정 범위 내에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4) It is possible not only to further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device by making it possible to vary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mart chimney on the roof and the shape of the smart chimney itself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5) 구조를 위해 특정 주택 인근으로 진입한 외부인의 휴대용 단말에 특정 주택과 관련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구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5) It is effective to make more efficient and quick rescue activities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house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outsider who entered the neighborhood of the specific house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도 1은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해 조명이 차등 제어된 스마트 굴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 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장 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highland housing area.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housing dwelling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chimney in which the lighting is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chimn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or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xtende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은, 크게 주택 밀집 지역 내 각 주택의 지붕에 설치되는 스마트 굴뚝(100)과, 복수의 스마트 굴뚝(100)을 통합 관리하는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2, the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 때, 상기 스마트 굴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주택 각각의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택 당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관제 서버(20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관제 서버(200)는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 내 각 주택 당 하나씩 설치된 상기 스마트 굴뚝(100)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작용은 복수의 스마트 굴뚝(100)의 각 조명 수단을 차등 제어함으로써 주택 밀집 지역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굴뚝(100) 전체로서 소정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이미지는 경찰, 구급대원 등이 해당 지역 내에서 특정 주택을 찾아가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굴뚝(100)의 상기 조명 수단을 차등 이용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거나, 또는 상기 주택 밀집 지역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상기 조명 수단이 전체로서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여 광고성, 심미성을 갖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First, the
특히, 상기 소정의 이미지가 위급한 상황에서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는 기준 굴뚝 지정부(210)와 조명 차등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상기 기준 굴뚝 지정부(210)는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주택 중 길찾기의 목적지가 되는 기준 주택을 파악하여 해당 주택의 지붕에 설치된 특정 스마트 굴뚝(100)을 지정하기 위하여, 거주자 신호 수집 수단(211)과 위급 상황 센싱 수단(212) 및 기관 정보 수집 수단(2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reference
거주자 신호 수집 수단(211)은, 특정 주택 내 거주자로부터 상기 관제 서버(200)와 통신하는 별도의 버튼 등을 매개로 직접 특정 주택으로의 출동이 요구되는 위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기반으로 특정 주택의 스마트 굴뚝(100)을 기준 굴뚝으로 설정토록 한다.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는 방법으로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주택의 각각의 내부 또는 외부 일 측에는 거주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긴급 알림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주자의 모바일 기기 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될 수 있으며, 실현 가능한 기술 범위 내에서 그 외 다른 신호 송신 수단이 활용되는 것도 무방함은 물론이다.The resident signal collecting means 211 receive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that a resident in a specific residence is requested to directly go to a specific residence through a separate button communicating with the
위급 상황 센싱 수단(212)은 주택 내 설치된 별도의 컨트롤러를 매개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특정 주택의 스마트 굴뚝(100)을 기준 굴뚝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가스 센서, 수위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하는 위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들을 통해 가스 누출 상황, 화재 발생 상황, 침수 상황, 외부인 침입 상황 등의 위급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긴급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위급 상황 센싱 수단(212)은 특정 주택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실시간으로 위급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주자가 집에 없는 경우 또는 거주자가 직접 버튼 등을 매개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없을 만큼 위급한 상황인 경우에도 상기 관제 서버(200)에서 상황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이고 즉각적인 처리 및 관리가 가능토록 한다.The emergency situation sensing means 212 receive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via a separate controller installed in the house, and designates the
기관 정보 수집 수단(213)은 경찰, 소방서 등으로 접수된 신고 정보를 해당 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굴뚝을 지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제 서버(200)는 상기 기관 서버와 연동되어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The institution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213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lice, the fire department, and the like, from the relevant institution server, and designates the reference chimney based 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도 3는 본 발명에 의해 조명이 차등 제어된 스마트 굴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chimney in which the lighting is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명 차등 제어부(220)는, 상기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주택 각각에 설치된 스마트 굴뚝(100)들의 조명 수단의 색상, 조도, 점멸주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기준 굴뚝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차등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굴뚝(100)의 조명을 이용하여 복잡하게 형성된 골목길에서 상기 기준 굴뚝이 설치된 특정 주택을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한다. 상기 조명 차등 제어부(220)는 상술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경로 파악 수단(221)과 제어 대상 굴뚝 선별 수단(222) 및 차등 제어 수단(223)을 포함한다.3, the lighting
경로 파악 수단(221)은, 상기 주택 밀집 지역의 입구 지점부터 상기 기준 굴뚝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지대 주택밀집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으로 진입하기 위해 마련된 입구가 다양하지 않으므로, 주로 진입하는 입구 하나 또는 둘 정도의 지점으로부터 해당 기준 굴뚝까지의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로 파악 수단(221)은 별도의 내비게이션 서버 또는 웹 서버와 연동하여 경로를 수집 및 지정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내비게이션 또는 웹 서버는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 내 좁은 골목길 정보가 상세하고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관제 서버(200)에서 직접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는 관리 대상 지역의 실제 골목길의 실질적 정보, 즉 차량 통행 가능 여부, 시간대별 주차 현황, 사고 정보 등을 별도로 파악하여 내비게이션 관련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로를 지정토록 한다.The route grasping means 221 grasps the route from the entrance point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 to the reference chimney. In general, in the case of a high-level densely populated area, the entrance provided for entering the area does not vary, The path from one or two entrances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chimney can be specified. At this time, the route grasping means 221 can collect and designate the route in cooperation with a separate navigation server or a web server. However, a commonly used navigation or web server has a narrow alley route information in a high-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ing is directly performed in the
제어 대상 굴뚝 선별 수단(222)은, 상기 경로 파악 수단(221)을 통해 도출된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경로 주변에 배치된 주택들에 설치된 스마트 굴뚝(100)을 선별하여 그룹화한다. 즉, 경로를 따라 배치된 스마트 굴뚝(100)을 선별하고, 이들을 상기 기준 굴뚝과의 거리 및 상기 입구 지점과의 거리를 기반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바, 예를 들어 입구 지점과 가까운 스마트 굴뚝(100)을 진입 지점 그룹으로, 상기 기준 굴뚝과 가까운 스마트 굴뚝(100)을 목적지 지점 그룹으로, 사이 경로에 배치된 스마트 굴뚝(100)들은 상기 기준 굴뚝과의 근접율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The control target chimney sorting means 222 selects and groups the
차등 제어 수단(223)은, 상기 복수의 그룹별로 상기 스마트 굴뚝(100)들의 조명 수단을 차등 제어하는 것으로, 차등 제어의 대상은 조명 수단의 색상, 조도,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진입 지점 그룹은 파란색, 사이 경로에 배치된 그룹은 노란색, 기준 굴뚝과 가장 인접한 목적지 지점 그룹은 주황색, 실질적 기준 굴뚝은 빨간색으로 색상을 차등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조도나 점멸 주기 역시 그룹에 따라 차등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굴뚝(100)은 스피커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상기 차등 제어 수단(223)은 조명 수단 뿐만 아니라 스피커 수단도 음향의 종류, 음량 등을 차등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ifferential control means 223 performs differential control of the lighting means of the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가 상술한 기준 굴뚝 지정부(210) 및 조명 차등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스마트 굴뚝(100)을 이용한 고지대 주택 밀집 지역의 시각화를 달성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위급 상황이 발생한 특정 주택에 설치된 기준 굴뚝을 기준으로 주변 스마트 굴뚝(100) 및 입구부터의 경로 상에 배치된 스마트 굴뚝(100)의 조명 수단을 차등 제어함으로써 경찰, 구조대원 외 외부인에게 복잡한 골목길 환경에서 보다 쉽게 특정 주택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상기 조명 수단들을 차등 제어함으로써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조명 수단이 전체로서 특정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 광고성 및 심미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chimn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관제 서버(200)에 의해 제어되도록 주택 밀집 지역 내 복수의 주택에 각기 설치되는 스마트 굴뚝(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굴뚝(100)은 기본적으로 조명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구체적으로는 굴뚝 형상과 유사하도록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주택의 지붕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110)(하부)와, 상기 고정 파트(1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 파트(120)(중부),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파트(130)(상부)로 구분할 수 있다.The
상기 고정 파트(110)는, 상기 스마트 굴뚝(100)의 하단 부위로서, 각 주택의 지붕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고정 파트(110)에 의해 상기 스마트 굴뚝(100)이 지붕에 완전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100)은 필요에 따라 스마트 굴뚝(100)의 설치 위치를 일정 수준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택의 지붕부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별도의 지지 패널(140)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 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 패널(14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지붕에 밀착 설치되는데, 설치 방법은 나사 결합이나 접착 등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지 패널(140)에는 상기 스마트 굴뚝(100)의 저면, 즉 고정 파트(110)의 저면과 연동되는 레일을 소정 면적 전반을 따라 형성하여 스마트 굴뚝(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 때 상기 지지 패널(140)은 주택의 지붕에 상기 레일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 이로써 대체될 수 있다.5, the
상기 지지 패널(140)이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 파트(110)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 연동부(미도시)를 포함해야 할 것이며,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 연동부(미도시)의 상세한 구성은 슬릿과 돌출부, 또는 랙과 피니언의 조합을 활용하는 등 종래 기술에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상술한 지지 패널(140)의 레일과 상기 고정 파트(110)의 레일 연동부(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100)은 주택의 지붕의 소정 면적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위치의 지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자동 제어가 가능토록 형성되어 복수의 스마트 굴뚝(100)을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스마트 굴뚝(100)의 위치를 관제 서버(200)로부터 차등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자동 제어를 위한 기계적 구성 및 컨트롤을 위한 관제 서버(200) 구성 등은 공지의 수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상기 연장 파트(120)는, 상기 고정 파트(1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부분으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100)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데, 상기 연장 파트(120)의 내부 공간에는 스피커, GPS 수신기, 통신 중계기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본연의 기능인 알람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관제 서버(200)에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인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부가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The
특히, 상기 연장 파트(120)의 내부에는 주거정보 전송부(100A)를 구비토록 할 수 있는데, 이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 가장 바람직하게는 효율성, 경제성 면에서 탁월한 비콘 방식을 기반으로 특정 주택에 인접한 휴대용 단말에 상기 특정 주택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히스토리 정보는 특정 주택 거주자의 성별, 나이, 건강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변 정보와, 상기 특정 주택에서 발생하였던 사고 내역인 사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거정보 전송부(100A)를 포함함으로써 특정 주택에 대한 긴급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출동한 경찰, 구급대원 등의 외부인이 즉각적으로 긴급 알림 신호가 발생한 특정 주택 및 주택 거주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더욱 빠르고 신속한 구조 활동이 가능하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idential
도 6은 본 발명의 연장 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장 파트(12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활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자바라 형상의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스마트 굴뚝(100)의 형상이 일정 수준 가변되어, 야간에는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표시 파트(130)의 조명 수단이 골목길 측을 더욱 비출 수 있도록 하는 등,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표시 파트(130)는, 상기 연장 파트(120)의 상부에 형성된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조명 수단은 RGB 컬러 LED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 다양한 조명 수단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택 밀집 지역용 스마트 표시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mart display system for a densely populated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마트 굴뚝
100A: 주거정보 전송부
110: 고정 파트
120: 연장 파트
130: 표시 파트
140: 지지 패널
200: 관제 서버
210: 기준 굴뚝 지정부
211: 거주자 신호 수집 수단
212: 위급 상황 센싱 수단
213: 기관 정보 수집 수단
220: 조명 차등 제어부
221: 경로 파악 수단
222: 제어 대상 굴뚝 선별 수단
223: 차등 제어 수단100: Smart chimney
100A: Residentia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0: Fixed part
120: Extended part
130: Display part
140: Support panel
200: control server
210: Reference Chimney Government
211: resident signal collection means
212: Emergency situation sensing means
213: Institution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220: Lighting differential control unit
221: Path finding means
222: control target chimney sorting means
223: differential control mean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85716AKR20180005510A (en) | 2016-07-06 | 2016-07-06 | Smart Display System For housing Area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85716AKR20180005510A (en) | 2016-07-06 | 2016-07-06 | Smart Display System For housing Area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05510Atrue KR20180005510A (en) | 2018-01-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85716AAbandonedKR20180005510A (en) | 2016-07-06 | 2016-07-06 | Smart Display System For housing Area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8000551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2256B1 (en)* | 2018-07-26 | 2019-09-18 | 고명은 | Apparatus for caring solitude eld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15843B1 (en)* | 2006-02-14 | 2007-05-08 | 김강옥 | Emergency exit guide light using LED |
| KR20110066587A (en)* | 2009-12-11 | 2011-06-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ecurity alarm to send out accident occurrence alarm and provide guidance for moving parking lot and to guide the entry of emergency vehicles. |
| KR101596200B1 (en)* | 2015-05-14 | 2016-02-19 | 주식회사 오아이티 | Emergency tower and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20160026437A (en)* | 2014-09-01 | 2016-03-09 | 이승진 | Method for managing service for tracing of missing pers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15843B1 (en)* | 2006-02-14 | 2007-05-08 | 김강옥 | Emergency exit guide light using LED |
| KR20110066587A (en)* | 2009-12-11 | 2011-06-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ecurity alarm to send out accident occurrence alarm and provide guidance for moving parking lot and to guide the entry of emergency vehicles. |
| KR20160026437A (en)* | 2014-09-01 | 2016-03-09 | 이승진 | Method for managing service for tracing of missing pers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
| KR101596200B1 (en)* | 2015-05-14 | 2016-02-19 | 주식회사 오아이티 | Emergency tower and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2256B1 (en)* | 2018-07-26 | 2019-09-18 | 고명은 | Apparatus for caring solitude elde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40304097A1 (en) | Drone first responder assistance | |
| KR102189346B1 (en) |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eciding potential hazard area based on digital survey | |
| KR100976150B1 (en) | Urgent rescue system using active network communication | |
| KR101901335B1 (en) | Disaster control broadcast system using led lamp based on things intelligence communication | |
| JP4859722B2 (en) | Evacuation guidance system | |
| US20220139199A1 (en) |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KR102086564B1 (en) |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 KR102248180B1 (en) |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489863B1 (en) | Beacon terminal and monitoring system with beacon terminal | |
| US11051644B2 (en) | Smart address identification and secure mailbox | |
| US12087149B2 (en) | Home occupancy information system | |
| KR20130094876A (en) |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 life using mobile terminal | |
| KR102662452B1 (en) | Smart Emergency Bell Device and Alert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1722713B1 (en) | System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 |
| KR102234492B1 (en) |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obtaining traffic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survey | |
| CN114038147B (en) | Fire rescue communication methods,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a | |
| JP2006005550A (en) | Emergency reporting system, mobile terminal for emergency reporting, terminal with informing function for emergency reporting, and relay center for emergency reporting | |
| KR20180005510A (en) | Smart Display System For housing Area | |
| US2015009766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ing on-site responders located at a specific facility to engage and neutralize a threat | |
| KR101720762B1 (en) | Home-network system for Disabled | |
| KR101638513B1 (en) | IP camera system with a zigbee signal receiving device | |
| CN209118439U (en) | A kind of escape direction board, escape control unit and system | |
| KR102013558B1 (en) |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Bus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f for Controlling thereof | |
| KR20190096611A (en) | System of crime prevention | |
| JP2022069306A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3-oth-PC1904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2-nap-PC19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