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판 사이에 자석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드판 전면에 메모지 등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whiteboard using a magnetic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board boa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for facilitating portability.
일반적으로 화이트 보드는 합성수지판을 피복한 후 마카 펜과 같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업장, 강의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white board is used in a workplace, a lecture room, and the like by being able to use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marker pen after covering a synthetic resin plate.
또한, 이러한 화이트 보드는 이동 가능하도록 한 스탠드에 소정의 높이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스탠드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구비되는 한 쌍의 지면받침대와, 상기 지면받침대에 직립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면서 화이트 보드를 장착하는 보드 받침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white board is mounted on a movable st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stand includes a pair of floor supports having a caster for movement, a pair of support posts erected on the floor support, A connecting pillar connecting the pillar and a board pillar mounted on the pillar and mounting a white board.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화이트 보드는 필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 이상의 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야외학습 등을 위한 용도로는 그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handwriting, the conventional whiteboard must have an area larger than a proper size, so that it is not easy to use the whiteboard for outdoor learning and the like.
본 발명은 보드판 사이에 자석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드판 전면에 메모지 등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board or the like to the entire surface of a board board by using a magnetic plate installed between the board boards, an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use a frame that is light and easy to assemble, .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보드판을 부착시켜 양쪽으로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boar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frame so as to be able to be written on both sides and to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out using an adhesive or bolt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는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체결 고정되는 보드판; 상기 보드판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철망; 자성에 의해 상기 철망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착 고정되고, 자석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메모지가 상기 보드판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석판; 및 복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자석판 사이에 위치하고,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드판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보드판은 상기 프레임보다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ortable white 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pair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 square shape; A board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A wire net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ard, the net being formed in a mesh shape; A magnet plate fixedly attached to the wire net by a magnetic for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net so that a note can be attached to the board using a magnet or metal; And a reinforcing plat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gnetic plates and is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so as to reduce the load and which improves the durability by filling the spaces between the board plates, And may protrud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상기 프레임은,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보드판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타측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보드판 내측면이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가 벌어져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바와, 상기 보드판과 다른 하나의 보드판 사이의 테두리 부분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보드판 모서리 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는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ard board provided on one sid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another board board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inishing part for sealing the rim portion between the board board and the other board board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board board at the same time.
상기 보드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드판에 부착 고정되며,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보드판에 필기한 글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패널은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패널의 각 모서리 부분에 흡착고무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패널이 상기 보드판에 탈부착 될 수 있다.And a protection panel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ard board and fixed to the board board to protect characters written on the board board by a user using a writing tool, So that the protective panel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ard.
상기 보드판은, 상기 프레임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탈착 가능하도록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드판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board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ame so as to be detachable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or bolt,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or second support portion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는 보드판 사이에 자석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드판 전면에 메모지 등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ttaching a note or the like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oard by using a magnetic plate between the board boards. 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는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보드판을 부착시켜 양쪽으로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whi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ttaching a boar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frame so as to be able to be handwritten on both sides and to prevent disassembly and assembly without using an adhesive or bolt hav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코너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보호패널이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to which a note pad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whiteboard to which a note pad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panel is attached to a portable whiteboard to which a note pad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rtable whi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의 코너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에 보호패널이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hite 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white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panel is attached to a portable whiteboard to which a note pad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는 프레임(100), 제1보드판(200), 제2보드판(200), 철망(300), 자석판(400), 보강판(500) 및 보호패널(6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6, a portable white board capable of attaching a note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프레임(100)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a) 및 수직프레임(110b)으로 구성되고, 수평프레임(110a)과 수직프레임(110b)이 접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연결부(12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또한, 프레임(100)은 일측에 구비된 보드판(200)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지지부(130a)와, 타측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보드판(200) 내측면이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2지지부(130b)와, 제1지지부(130a)와 제2지지부(130b) 사이가 벌어져 끼움홈(140)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바(150)와, 보드판(200)과 다른 하나의 보드판(200) 사이의 테두리 부분을 밀폐함과 동시에 보드판(200) 모서리 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는 마감부(160)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지지부(130a) 또는 제2지지부(130b)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한편, 프레임(10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연결부(120)의 일측 및 일측과 직교되는 방향의 타측에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끼움홈(140)에 삽입 고정되는 끼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보드판(200)은 사용자가 양쪽으로 필기 가능하도록 프레임(100)의 일측 및 타측에 체결 고정되고, 화이트 보드의 전체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쓰기 또는 지우기를 할 수 있도록 표면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보드판(200)은 프레임(100)에 별도의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탈착 가능하도록 내측면에 체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체결부(210)는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드판(20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제1지지부(130a) 또는 제2지지부(130b)에 형성된 삽입홀(17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보드판(200)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예로 들면, 수평프레임(110a)과 수직프레임(110b) 및 연결부(120)를 이용하여 사각 형태의 프레임(100)을 형성한 후 프레임(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보드판(200)을 밀착시킨 다음 프레임(100)에 형성된 삽입홀(170)에 보드판(200)에 형성된 체결부(21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 고정되게 한다.For example, a
그리고 보드판(200) 교체 시 보드판(200)의 끝단보다 외부로 돌출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00)에 일정 힘을 가해 비틀어주게 되면 보드판(200)이 프레임(100)에서 이격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보드판(200)을 잡아당기게 되면 삽입홀(170)에 삽입된 체결부(210)가 이탈되어 보드판(200)이 프레임(100)에서 분리하게 된다.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one of the
위와 같은 체결부(210)를 보드판(200)에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보드판(200)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또는 파손이 생길 경우 손상된 보드판(200)만 쉽고 편리하게 교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f the
한편, 위와 같은 프레임(100)을 보드판(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보드판(200)에 필기 시 테두리 부분에 의해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로 들면, 종래 화이트 보드는 일정 두께를 갖는 보드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 커버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테두리 커버가 보드판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할 경우 사용자의 새끼손가락 부분이 테두리 커버에 접촉되는 불편함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0)의 일측 및 타측에 보드판(200)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철망(300)은 보드판(200)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얇은 철사를 이용하여 사선 형태 또는 격자 모양의 메쉬 형태로 형성되며, 자석판(400)이 자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즉, 자석판(400)이 보드판(200)에 접착제 등으로 직접 부착하게 되면, 한번 부착된 자석판(400)의 위치 변경이 어렵고 특히, 보드판(200) 교체 시 자석판(400)이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보드판(200)에 철망(300)을 부착시켜 자석판(400)이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자석판(400)은 자성에 의해 철망(3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부착 고정되고, 보드판(200)에 메모지 등이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석판(400)은 보통 영구자석보다 5 내지 10배 강한 자기에너지를 갖는 희토류자석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보강판(50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자석판(400) 사이에 위치하고, 화이트 보드의 전체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이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판(500)은 보드판(200)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하여 화이드 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보호패널(600)은 보드판(2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보드판(200)에 부착 고정되며,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보드판(200)에 필기한 글자 또는 그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즉, 사용자가 보드판(200)에 사용되는 필기구는 마카 펜으로 마카 펜을 보드판(200)에 필기할 경우 외부마찰에 의해 쉽게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마카 펜으로 필기 된 보드판(200)에 보호패널(600)을 부착시켜 필기된 내용이 보호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writes the marker pen on the
예로 들면, 사용자가 일측에 구비된 보드판(200)에 필기를 한 후 필기 된 보드판(200)에 보호패널(600)을 부착한 상태에서 다른 측의 보드판(200)에 다시 필기를 할 경우, 보호패널(600)에 의해 필기 된 보드판(200) 면이 바닥면 또는 사용자의 무릎에 마찰 되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rites the
또한, 보호패널(600)이 보드판(2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보호패널(6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흡착고무(6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흡착고무(610)는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보드판(200)에 진공 압착되며, 보드판(200)으로 가해지는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다.The
즉, 보드판(200)이 프레임(100)보다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바닥면 등에 내려놓을 경우 보드판(200)으로 그 충격이 그대로 받을 수 있고, 특히,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보드판(200)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보드판(200)을 보호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프레임110a; 수평프레임
110b; 수직프레임120; 연결부
121; 끼움부130a; 제1지지부
130b; 제2지지부140; 끼움홈
150; 연결바160; 마감부
170; 삽입홀200; 보드판
210; 체결부300; 철망
400; 자석판500; 보강판
600; 보호패널610; 흡착고무100;
110b;
121; Fitting
130b; A
150;
170; An
210; A
400; A
600; A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56905AKR101889891B1 (en) | 2016-05-10 | 2016-05-10 | Memo pads attached to the portable whiteboar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56905AKR101889891B1 (en) | 2016-05-10 | 2016-05-10 | Memo pads attached to the portable whiteboar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7086Atrue KR20170127086A (en) | 2017-11-21 |
| KR101889891B1 KR101889891B1 (en) | 2018-08-2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56905AActiveKR101889891B1 (en) | 2016-05-10 | 2016-05-10 | Memo pads attached to the portable whiteboar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8989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27905B1 (en)* | 2019-10-22 | 2021-03-15 | 한준규 | Sketch holder with magne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242823A (en)* | 1977-08-30 | 1981-01-06 | John Bruno | Magnetically attractive display device |
| KR20050002406A (en)* | 2003-06-30 | 2005-01-07 | (주)투비디자인 | Panel for a booth |
| KR20060072368A (en)* | 2004-12-23 | 2006-06-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Magnetic board for steel specimen |
| JP2008001079A (en)* | 2006-05-24 | 2008-01-10 | Sunny:Kk | Board |
| JP2009108627A (en)* | 2007-10-31 | 2009-05-21 | Okamura Corp | Pin-up device |
| KR101054265B1 (en) | 2008-09-18 | 2011-08-08 | (주)금강칠판교구산업 | Whiteboard with Feed Post |
| KR101119811B1 (en) | 2010-10-15 | 2012-02-28 | 엘이디라이텍(주) | Whiteboar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242823A (en)* | 1977-08-30 | 1981-01-06 | John Bruno | Magnetically attractive display device |
| KR20050002406A (en)* | 2003-06-30 | 2005-01-07 | (주)투비디자인 | Panel for a booth |
| KR20060072368A (en)* | 2004-12-23 | 2006-06-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Magnetic board for steel specimen |
| JP2008001079A (en)* | 2006-05-24 | 2008-01-10 | Sunny:Kk | Board |
| JP2009108627A (en)* | 2007-10-31 | 2009-05-21 | Okamura Corp | Pin-up device |
| KR101054265B1 (en) | 2008-09-18 | 2011-08-08 | (주)금강칠판교구산업 | Whiteboard with Feed Post |
| KR101119811B1 (en) | 2010-10-15 | 2012-02-28 | 엘이디라이텍(주) | Whiteboar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27905B1 (en)* | 2019-10-22 | 2021-03-15 | 한준규 | Sketch holder with magne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89891B1 (en) | 2018-08-2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206251154U (en) | screen protector | |
| US8608486B1 (en) | Desktop shield system | |
| EP2774137A1 (en) |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 |
| JP2009113449A (en) | Multifunctional refurbishment method for existing blackboards | |
| US20170255229A1 (en) | Virtual reality viewer | |
| KR101889891B1 (en) | Memo pads attached to the portable whiteboard | |
| KR200466240Y1 (en) | A notice board | |
| AU2014100899A4 (en) | Positioning device for an automobile sunshade | |
| CN204010551U (en) | A kind of protective device of electronic display | |
| US8931530B2 (en) | Interactive board cover | |
| KR101102368B1 (en) | Prefabricated Desk Structure | |
| KR101941629B1 (en) | Whiteboard for Partition | |
| KR200468465Y1 (en) | Puzzle assembly | |
| KR200466404Y1 (en) | Pocket notebook for study | |
| KR101194264B1 (en) |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 |
| KR20170052361A (en) | Furniture corner protection tool | |
| TWI521968B (en) | Human-machine interface apparatus | |
| KR20130017804A (en) | Lcd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 |
| CN112885165A (en) |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us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teaching | |
| KR100966351B1 (en) | Partition panel | |
| CN206921374U (en) | A kind of display | |
| KR101872008B1 (en) | phone case | |
| JP2015202573A (en) | Multifunctional board | |
| CN211021426U (en) | Desk convenient for storage | |
| KR20210000506U (en) | Bulletin boar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5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11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8080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081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8081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823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