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70122490A -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Google Patents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490A
KR20170122490AKR1020160051517AKR20160051517AKR20170122490AKR 20170122490 AKR20170122490 AKR 20170122490AKR 1020160051517 AKR1020160051517 AKR 1020160051517AKR 20160051517 AKR20160051517 AKR 20160051517AKR 20170122490 AKR20170122490 AKR 2017012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toco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주현
Original Assignee
노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현filedCritical노주현
Priority to KR1020160051517ApriorityCriticalpatent/KR20170122490A/en
Publication of KR2017012249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70122490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센싱하는 충격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운행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충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충격량 이상이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분리 신호에 의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다.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s disclosed.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monitoring unit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driving st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of the vehicle, the sensing unit sensing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a sepa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0001]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본 발명은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을 포함한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분리 가능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detachab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for monitoring a running state of a surrounding vehicle including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 / RTI >

기술의 발달로 자율 주행 차량이 등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편한 운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텔레매틱스 기술은 차량간 정보 교환을 가능케 하였으며, 전지 기술의 발달은 전기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utonomous vehicles have appeared, making it easier to operate. Telematics technology enables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and development of battery technology is leading to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cars.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 또는 특이 상황 발생 시 이를 후방 차량에 알리기 위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Nevertheless, the technology for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or the technique for informing the rear vehicle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is relatively slow to develop.

본 발명은 전방의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후방 차량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의 고장 및/또는 사고 발생시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running state of a vehicle in front,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to a rear vehicle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nd transmit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failure of a vehicle and / or an accident to the outside to prevent a second accident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센싱하는 충격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운행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충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충격량 이상이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분리 신호에 의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다.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monitoring unit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driving st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of the vehicle, the sensing unit sensing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a sepa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1 충격량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조건에 해당하는 충격량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제1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운행 정보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impulse amount may correspond to an impulse amount corresponding to a deployment condition of an airbag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first protocol data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So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인접한 차량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2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는 복수의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ame protocol data i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mounted on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on the same road,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an receive the second protocol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n adjacent vehicle,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the master device determines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and the slave device can operate by the control of the master device.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ing sensor, and may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차량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주변의 노변장비(road side equipment)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an transmit data on the state of the vehicle to nearby roadside equipment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행 중 이상 상황 발생시 활성화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activ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안개 상황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 a fog situation.

본 발명은 전방의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후방 차량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의 고장 및/또는 사고 발생시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running state of a vehicle in front,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to a rear vehicle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nd transmit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failure of a vehicle and / or an accident to the outside to prevent a second accident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function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function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한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20)는 차량의 지붕에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트렁크 등 운전자의 시야 및/또는 조작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a),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mounted on a roof of a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ch as a trunk of a vehicle, It is mountable.

정보 제공 장치(120)는 해당 차량에 이상 상황 발생시, 도 1(b)와 같이 해당 차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황은 차량의 고장 및/또는 사고를 의미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정보 제공 장치(120)는 해당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b). Herein, the abnormal situation means a failure and / or an accident of the vehicle, and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n abnormal situation, detect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vehicle, .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장치(12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LED,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use visual information and / or auditory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n LED, a speaker, and the like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suitable for a vehicle running in the rear direction.

한편, 정보 제공 장치(120)는 해당 차량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도로 주변의 인프라(infra)를 이용하여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vehicl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transmi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bnormal situation to a vehicle traveling backward using an infra around the roa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정보 제공 장치(120)를 포함한다. 정보 제공 장치(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며, 제어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20)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2, a driving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ntroller 110 and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control unit 110 controls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

도 2에서 제어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20)와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2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2, thecontroller 110 is shown separately from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but thecontroller 110 may be included in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FIG.

한편, 정보 제공 장치(120)는 모니터링부(130), 충격 센서(1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30)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충격 센서(140)는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센싱하고,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한다.Meanwhil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ncludes amonitoring unit 130, animpact sensor 140, and a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Themonitoring unit 130 monitor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of the vehicle. Theimpact sensor 14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trav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정보 제공 장치(120)는 충격 센서(140)에 의해 센싱되는 충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충격량 이상이거나,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분리 신호에 의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the shock signal detected by theimpact sensor 140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impact amount or by a separation signal output from thecontrol unit 110. [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탑재되므로,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outside the vehicle, so that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can provide the runn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running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정보 제공 장치(120)는 모니터링부(130) 및 충격 센서(140)를 통해 수집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차량의 주변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collected by themonitoring unit 130 and theimpact sensor 140 and the traveling state of the nearby vehicles of the vehicle through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 speaker, and the like in order to e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to other vehicles traveling in the rear periphery of the vehicle.

모니터링부(130)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의 전방과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방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통해 후방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130)는 전방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속도 검출 결과를 고려하여 전방에 사고 및/또는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monitoring unit 130 may monitor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traveling in front of and behind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forward vehicle may be provided to the rear vehicle through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 For example, themonitoring unit 130 may detect the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and / or a failure has occurred in fro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detection result.

또는, 모니터링부(130)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통신 장비를 통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와 상기 차량이 앞으로 진입하게 될 도로의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모니터링부(130)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monitoring unit 1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and the traffic conditions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o be entered, through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can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rear direction using the monitoring result of themonitoring unit 130. [

정보 제공 장치(12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전후방 카메라와는 다른 시점에서 전방 및 후방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전방에 주행하는 2대 이상의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include a camera and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observe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t different points from the front and rear cameras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tate of two or more vehicles traveling forward.

충격 센서(140)는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센싱하며, 센싱되는 충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충격량 이상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다.Theimpact sensor 14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impact sens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impact amount,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 공중에 부유할 수 있으며,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에게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separated from the vehicle can be suspended from the vehicle and floated in the air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o vehicles traveling in the rear of the vehicle through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

상기 제1 충격량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충격의 크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충격 센서(140)를 통해 상기 제1 충격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에 따른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공중에서 다른 차량들에게 경고 신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격량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조건에 해당하는 크기의 충격량일 수 있다.The first impulse amount can be understood as a magnitude of impact that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When an impact of the first impulse amount is detected through theimpact sensor 140, And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 may separate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and display a warning signal or the like to other vehicles in the air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an accident. Also, the first impact amount may be an amount of impact corresponding to a deployment condition of the airbag installed in the vehicle.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120)는 공중에서 비행이 가능하도록 동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120)는 드론(drone)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include a power unit capable of flying in the air. For exampl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configured using a drone.

한편, 정보 제공 장치(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을 정차하고 상기 차량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는 등의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Meanwhil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thecontrol unit 110. [ If a malfunction occurs in the vehicle, the driver can take precautions such as stopping the vehicle and installing a tripod in the rear of the vehicle to prevent a second accident, but it can cause another accident on the other hand.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후방의 주행 차량들에게 주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정보 제공 장치(12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120)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 신호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safely display the warning signal to the driving vehicles behind the driver, the driver can separat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and in order to separate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Not shown).

또한,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차량이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주행할 수 없는 경우, 후방 차량들로 하여금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unable to travel due to a failure or an accident,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 signal for inducing a lane change to the rear vehicles or output an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function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20)가 탑재된 차량(C1), 상기 차량(C1)의 전방 차량(C2) 및 상기 차량(C1)의 후방 차량(C3)이 도시된다.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차량(C1)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C1)의 전방과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들(C2, C3)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3, a vehicle C1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a front vehicle C2 of the vehicle C1, and a rear vehicle C3 of the vehicle C1 are shown.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onitors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s C2 and C3 which are loaded on the vehicle C1 and travel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C1.

정보 제공 장치(120)가 모니터링 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차량들(C2, C3)의 주행 속도, 상기 차량(C1)과의 거리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사고 예방 및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for example,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s C2 and C3, a distance to the vehicle C1,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such information,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gathered to prevent vehicle accidents and prevent secondary accidents.

정보 제공 장치(120)는 비행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C1)을 운전하는 운전자보다 높은 시야를 ?m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방 차량(C2)을 앞서 주행하는 차량과 상기 후방 차량(C3)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C1)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be capable of flying and may have a higher visibility than the driver driving the vehicle C1 so that the vehicle running ahead of the forward vehicle C2 and the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C1 can be measur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모니터링부(13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1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controller 110 may generate the first protocol data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monitoring unit 130. Also, the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data.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는 정보 제공 장치(120)가 탑재된 차량의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며,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주행 차량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otocol data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of the vehicle,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displays, It is 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rear-running vehicl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복수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정상 주행인 경우에는 파란색(Blue),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노란색(Yellow), 그리고 감속 중인 경우에는 빨간색(Red)으로 후방 차량에게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n LED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colors, and may be blu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normally, yellow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If the vehicle is decelerating,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to the rear vehicle with red.

운행 정보 표시부(150)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후방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In a case where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includes a display panel,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the rear vehicle through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ocol data have.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20)는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통해 후방 주행 차량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낙석이 떨어져 있거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can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rear-driving vehicles through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 For example, when a rockfall falls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or an obstacle exists, thecontrol unit 110 may generate first protocol data including this information,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1 < / RTI > protocol data.

또는, 제어부(110)는 도로 보수 작업 등 주행 도로에 특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사고 및 고장을 수습하기 위한 차량이 도로 상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응답하여 화살표 또는 문자 등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들로 하여금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on the road, such as a road maintenance work, the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first protocol including the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lane change when a vehicle for remedying a vehicle accident and a failure exists on the road,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can induce the lane change by the rear vehicles using arrows or characters in response to the first protocol data.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to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function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20)는 인접한 차량의 정보 제공 장치(120a)로부터 제2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토콜 데이터는 정보 제공 장치(120a)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정보 제공 장치(120)는 상기 제2 프로토콜 데이터를 통해 인접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5,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may receive second protocol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a of an adjacent vehicle. The second protocol data may include trav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which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a is mounted and on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 may collect the travel information of the adjacent vehicle through the second protocol data have.

도 6은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하며,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되며, 각각의 정보 제공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6 shows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each of which is mounted on a different vehicle, and each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는 복수의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same protocol data i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mounted on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on the same road,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can determine a master apparatus and a slav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도 6에 도시되는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는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하였거나,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한 정보 제공 장치로 이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슬레이브)는 하나의 마스터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shown in FIG. 6 can be regarded a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that have generated the same protocol data or received the same protocol data,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slaves)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을 도시하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 중 하나는 나머지 정보 제공 장치들에 대한 마스터가 될 수 있다.FIG. 7 shows a plurality of vehicles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can become a master for the remain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도 7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이 접촉 사고를 일으킨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차량에 탑재된 정보 제공 장치에서는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vehicles equipped with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ause a contact accident. At this time, the same protocol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vehicles.

상기 복수의 차량이 주행하는 상기 도로에 교통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생성되는 프로토콜 데이터는 상기 교통 사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로에 고장 차량이 발생하여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의 주행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생성되는 프로토콜 데이터는 도로 정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on the road on which the plurality of vehicles travel, the protocol data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ffic accident. Alternatively,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 decreases due to the occurrence of a faulty vehicle on the road, the protocol data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road congestion.

이때,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들은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들에 사고 또는 고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차량들로부터 분리되어 군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운행 정보 표시부는 모두 동일한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들은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들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may form a cluster separated from each of the vehicle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accident or a failure to vehicles running backward, and may provide the s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protocol data can do. That is, all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can output the same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and the vehicles running backward can receive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have.

이때,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들 중 하나의 정보 제공 장치는 마스터(이하, ‘마스터 정보 제공 장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정보 제공 장치들은 슬레이브(이하, ‘슬레이브 정보 제공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마스터 정보 제공 장치와 슬레이브 정보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번호 또는 일련번호의 순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mong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can be determined as a mas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st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remain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are determined as slav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av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 The mast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slav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the unique number or the seri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도 8은 정보 제공 장치(120)가 탑재된 차량의 후면을 도시하며, 후방 차량에 차선 변경 신호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12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정보 제공 장치(120)가 탑재된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는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Fig. 8 exemplarily shows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that shows the rear surface of a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and provides a lane change signal to the rear vehicle.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induce the rear vehicle to change the lan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s mounted or an accident occurs and normal driving is impossible.

정보 제공 장치(120)는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포함하며,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표시부(150)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며, 도 8은 상기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기 어려운 경우, 후방 차량에게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includes a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formation for inducing a lane change to the rear vehicle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is difficult to travel normally.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ocol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도 8은 이와 같은 정보가 화살표로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운행 정보 표시부(150)를 통해 문자로 정보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예시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상기 차량의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좌측 차선으로 주행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IG. 8 shows a case where such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n arrow,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is provided as a letter through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150. FIG. Fig. 8 shows only an exemplary case.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the rear vehicle of the vehicle to change the driving lane to the left lane.

차선 변경 유도 신호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며,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는 모니터링부(미도시), 충격 센서(미도시) 및/또는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미도시)에서 생성될 수 있다.The lane change induction signal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ocol data, and the first protocol data is generated by a monitoring unit (not shown), an impact sensor (not shown) and / or a camera (not shown) (Not shown)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제어부(210), 정보 제공 장치(220)를 포함하며, 정보 제공 장치(220)는 모니터링부(230), 충격 센서(240), 운행 정보 표시부(250) 및 위치 감지 센서(260)를 포함한다.9, a driving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ntroller 210 and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2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20 includes amonitoring unit 230, Animpact sensor 240, a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250, and aposition sensing sensor 260.

제어부(210), 정보 제공 장치(220), 모니터링부(230), 충격 센서(2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250)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어부(110), 정보 제공 장치(120), 모니터링부(130), 충격 센서(1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control unit 210,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20, themonitoring unit 230, theimpact sensor 240,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250 are similar to thecontrol unit 110,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 Themonitoring unit 130, theimpact sensor 140,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redundant contents.

위치 감지 센서(260)는 정보 제공 장치(220)가 탑재된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220)는 해당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주변에 설치된 노변장비(road side equipment)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position detection sensor 260 can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20 is mounted. In addition,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20 may transmit data regarding a state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roadside equipment installed around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정보 제공 장치(220)로부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노변장비는 해당 정보를 교통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차량 또는 고장 차량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on-the-road equipment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or failure of the vehicle from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2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raffic control center, thereby enabling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accident vehicle or the faulty vehicle to be performed .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220)가 탑재된 차량에 사고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210)에서 생성되는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보 제공 장치(220)를 통해 상기 노변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20 is mounted, the protocol data generated by thecontroller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roadside apparatus throug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20.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노변장비는 위치 감지 센서(26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The protocol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roadside equipment may transmit the protocol data to the traffic control center together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ed by theposition sensing sensor 260. [

전송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상기 차량과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차량들에 제공된 정보는 해당 차량들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transmit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other vehicles running on the same road as the vehicle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other vehicles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s.

이때,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는 상기 사고 또는 고장이 발생한 차량의 주행 차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ocol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accident or a failure occurred,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graphic information for instructing a driver of the vehicle to change the lane to drive . ≪ / RTI >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과 연동되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navigation or a head up display (HUD) installed in the vehicle, or may be a portable terminal device of a driver interlocked with the vehicle.

한편, 사고 차량 또는 고장 차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노변장비 또는 상기 교통 관제 센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교통 관제 센터는 수신된 정보를 복수의 노변장비에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노변장비는 그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들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formation on an accident vehicle or a failure vehicl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roadside equipment or the traffic control center, and the traffic control center may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the roadside equipment, The on-the-road equipment can provid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vehicles traveling around it.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제어부(310), 정보 제공 장치(320)를 포함하며, 정보 제공 장치(320)는 모니터링부(330), 충격 센서(340), 운행 정보 표시부(350) 및 촬영부(360)를 포함한다.10, a drivinginformation providing syste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ntrol unit 310 and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2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20 includes amonitoring unit 330, Animpact sensor 340, a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350, and a photographingunit 360.

제어부(310), 정보 제공 장치(320), 모니터링부(330), 충격 센서(3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350)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어부(110), 정보 제공 장치(120), 모니터링부(130), 충격 센서(1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control unit 310,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20, themonitoring unit 330, theimpact sensor 340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3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control unit 110,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0, Themonitoring unit 130, theimpact sensor 140,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redundant contents.

촬영부(360)는 정보 제공 장치(320)가 탑재된 차량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차량을 비롯한 주변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360)는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현장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정체 발생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높은 고도에서 도로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unit 360 is activ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20 is mounted, and can photograph the surroundings including the vehicle. 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the photographingunit 360 can photograph and store an accident scene. The photographingunit 360 can photograph the road state at a high altitude by separating from the vehicle when a congestion occurs.

또는, 정보 제공 장치(320)는 촬영부(360)를 이용하여 용의 차량을 추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320)는 탑재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비행 가능한 드론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정보 제공 장치(320)가 탑재된 차량과 독립적으로 비행하면서 상기 용의 차량을 추적하고, 추적 중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lternatively,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20 can track the dragged vehicle using the photographingunit 36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20 can be constructed using a dragon fly or the like, which is detached from the mounted vehicle,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20 can fly independently of the vehicle on which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20 is mounte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racking and storing the image during tracking.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400)은 제어부(410), 정보 제공 장치(420)를 포함하며, 정보 제공 장치(420)는 모니터링부(430), 충격 센서(440), 운행 정보 표시부(450) 및 공기 분사부(460)를 포함한다.11, the operationinformation providing system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ntrol unit 410 and a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2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20 includes amonitoring unit 430, Animpact sensor 440, a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450, and anair injection unit 460.

제어부(410), 정보 제공 장치(420), 모니터링부(430), 충격 센서(4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450)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어부(110), 정보 제공 장치(120), 모니터링부(130), 충격 센서(140) 및 운행 정보 표시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control unit 41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20, themonitoring unit 430, theimpact sensor 440 and the travelinformation display unit 4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control unit 110, the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20, Themonitoring unit 130, theimpact sensor 140, and the driving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redundant contents.

공기 분사부(460)는 안개 상황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420)는 안개 상황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으며, 공기 분사부(46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안개를 걷어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air injector 460 can inject air in the event of a mist. Theinformation providing device 420 can move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in a fog situation and can provide the effect of removing fog around the vehicle by using the air injected from theair injecting part 460. [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claims Category.

100, 200, 300, 400: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110, 210, 310, 410: 제어부
120, 220, 320, 420: 정보 제공 장치
130, 230, 330, 430: 모니터링부
140, 240, 340, 440: 충격 센서
150, 250, 350, 450: 운행 정보 표시부
260: 위치 감지 센서
360: 촬영부
460: 공기 분사부
100, 200, 300, 400: Opera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210, 310, 410:
120, 220, 320, 420: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30, 230, 330, and 430:
140, 240, 340, 440: shock sensor
150, 250, 350, 450:
260: Position sensor
360:
460:

Claims (9)

Translated fromKorean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센싱하는 충격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운행 정보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충격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충격량 이상이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분리 신호에 의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Lt; / RTI >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runn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vehicle of the vehicle;
An impact sensor for sensing a magnitude of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nd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 RTI >
Wherein a magnitude of an impact sensed by the impact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impact amount or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a sepa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량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조건에 해당하는 충격량에 대응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mpulse amount corresponds to an impulse amount corresponding to a deployment condition of an airbag installed in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제1 프로토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운행 정보 표시부를 제어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first protocol data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protocol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인접한 차량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2 프로토콜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receives second protocol data from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f an adjacent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는 복수의 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 장치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ame protocol data i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mounted on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on the same road,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determine a master apparatus and a slav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and the slave apparatus Wherein the master device is operated under control of the mast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sition sensing sensor,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차량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주변의 노변장비(road side equipment)로 전송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ransmits data on the state of the vehicle to nearby roadside equipment when an accident or a failure occurs in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행 중 이상 상황 발생시 활성화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hotographing section activ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안개 상황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 a fog situation.
KR1020160051517A2016-04-272016-04-27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CeasedKR201701224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51517AKR20170122490A (en)2016-04-272016-04-27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51517AKR20170122490A (en)2016-04-272016-04-27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70122490Atrue KR20170122490A (en)2017-11-06

Family

ID=6038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051517ACeasedKR20170122490A (en)2016-04-272016-04-27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7012249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1901778A (en)*2020-06-222020-11-06北京千方科技股份有限公司Vehicle abnormity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2X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1901778A (en)*2020-06-222020-11-06北京千方科技股份有限公司Vehicle abnormity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2X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689772B1 (en)The warning on rear approaching and the method of accident warning using that
US10378916B2 (en)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display method of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EP2525335B1 (en)User interface method for terminal for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KR102011618B1 (en)Automatic drive assist system, automatic drive monitoring device, road management device, and automatic driv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KR20190126258A (en)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77113B1 (en)Traffic sign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loud
CN112078581B (en)Vehicle indicating passenger mobil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069774A (en)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KR101363510B1 (en)System and method for disabled car sign
KR101958191B1 (en)an alarm system for accidents and troubles on the road
US20160210855A1 (en)Method and traffic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a wrong-way driving incidnet of a motor vehicle
JP2019026261A (en)Multi-model switching on collision mitigation system
KR101116696B1 (en) Pedestrian crossing stop guidance device
JP2005115484A (en)Driving support device
KR20150119090A (en)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system
CN108062099A (en)A kind of Vehicular automatic driving system
US20210206315A1 (en)Ecu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KR20160063653A (en)System for preventing drowsy drive
JP2008021011A (en) Vehicle travel support device
JP6237339B2 (en) Driving support system,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program
US20160244071A1 (en)Device for a vehicle
KR20170122490A (en)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200077289A (en)Warning drone on rear approaching and method for indicating accident using the same
JP7318807B2 (en) SIGNAL CONTROL DEVICE, SIG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70033985A (en)The highway went to second for accident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427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82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AMNDAmendment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80226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822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AMNDAmendment
PX0901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226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71023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6014S01D

Patent event date:2018042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6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32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6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22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6012R01I

Patent event date:20171023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X06013S01I

Patent event date:20170822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