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위치 이탈 감지용 디지털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garment for position detection.
디지털 의류는 착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액세서리처럼 전자기기를 몸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신체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A digital garment means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wever, i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user at the closest position of the user's body, rather than simply wearing the electronic device as an accessory.
이러한 디지털 의류 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디지털 사와 의류 사이의 결합 구조이다. 디지털 사는 외부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할 수 있어야 하고, 의류와 함께 잘 휘어져야 하며, 또한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among these digital garments i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igital yarn and the garment. The digital company must be able to transmit power or communication signals without loss of appearance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visible to the outside, be warped with the garment, and should not be broken even when the garment is extended.
또한, 이러한 디지털 의류 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노이즈나 손실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며, 의류에 기구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고 미려해야 한다.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among these digital garments is a connector. Such a connector must transmit power or communication signals without noise or loss, and must be mechanically and stably coupled to the garment, as well as being thin and beautiful.
본 발명은 위치 이탈 감지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지털 의류를 통해 착용자의 위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의류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위치 이탈 감지용 디지털 의류를 제공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an abandonment, which is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a wearer is dislocated through a digital garment having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n abandonment, and easily joining or separa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garment.
본 발명에 따른 착용자의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디지털 의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의류는 착용자의 몸에 착용되며, 다수의 디지털 사와 다수의 제 1 스냅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1 영역; 및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와는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제 2 스냅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며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외부 기기 사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위치 판단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이탈 여부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착용자에게 저주파 자극을 가하는 자극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gital garment that senses a wearer ' s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garment being worn on the wearer ' s body, comprising: a first reg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digital yarns and a plurality of first snap connectors; And a plurality of second areas comprising a second snap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snap connecto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 position determiner for measuring a signal strength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external device to determine a position;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eviation; A stimulation unit for applying a low frequency stimulation to the wearer by an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by an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iosensor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wearer.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다수의 디지털 사는 상기 다수의 제 1 스냅 커넥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gital yarns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nap connector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하부 의류, 상기 제 1 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 1 배선, 및 상기 제 1 하부 의류에 상기 제 1 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 1 상부 의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하부 의류, 상기 제 2 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 2 배선, 및 상기 제 2 하부 의류에 상기 제 2 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 2 상부 의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은 각각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 및 제 2 스냅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re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ower garment, a first wiring located in the first lower garment, and a first upper garment positioned to cover the first wiring in the first lower garment, The second reg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wer garment, a second wiring located in the second lower garment, and a second upper garment positioned to cover the second wiring in the second lower garment, 1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nap connector and the second snap connector,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디지털 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ring may include the digital yarn.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배선에 의해 상기 스냅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nap connector by the second wiring.
또한,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도전성 몸체와, 상기 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중앙에 결합된 고무 탄성부와, 상기 고무 탄성부의 외측에서 상기 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는, 상기 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 탄성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협지되는 또 다른 도전성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nap connector may include a conductive body having an inner space, a rubber elastic par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ductive body, and a wire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ductive body outside the rubber elastic part, And the first snap connector may include another conductive body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ductive body and sandwiched between the rubber elastic portion and the wire spring.
또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의 도전성 몸체는, 상기 제 1 하부 의류 및 제 1 상부 의류를 관통하는 원통 형태의 제 1 중앙 영역; 상기 제 1 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1 하부 영역; 상기 제 1 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부 영역과 함께 상기 제 1 하부 의류 또는 제 1 상부 의류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 1 상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내측 돌기와, 상기 제 1 상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측면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는 외측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body of the first snap connector may include: a first central region of a cylindrical shape passing through the first lower garment and the first upper garment; A first lower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entral region; And a first upper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entral region and allowing the first lower garment or the first upper garment to be held together with the first lower region, And an outer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region and sandwiched between a side surface of the rubber elastic part and a side surface of the wire spring.
또한,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갖는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무 탄성부와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 protrusion can be fixed between the rubber elastic portion and the wire spring by an elastic force pushing the rubber elastic portion of the second snap connector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n elastic force pushing the wire spring inward. have.
또한,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Further, the inner protrusion can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o push outward in the rubber elastic portion of the second snap connector.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절단된 원형 링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wire spring may be in the form of a cut circular ring.
또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 1 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와,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 2 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와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는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상호간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Further, a first sub snap connec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nap connector through a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sub snap connec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nap connector through a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sub-snap connector and the second sub-snap connector can b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서브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are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b-wiring, and the first sub-snap conne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wiring.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서브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 2 서브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reg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wiring, and the second sub-snap conne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ub-wiring.
또한,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와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의 사이에는 서브 와이어 스프링이 더 개재될 수 있다.Further, a sub wire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nap connector and the second sub-snap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이탈 감지용 디지털 의류는 위치 이탈 감지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위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의류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positional devi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al deviation, there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wearer is dislocated, and facilitating coupling or separ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garmen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위치 이탈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와이어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디지털 사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block diagrams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partial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nap connector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nap connector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spring of a snap connector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sequential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upling a snap connector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nap connector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nap connector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structures of a digital yarn among digital gar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구성도이다.1A and 1B are block diagrams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100)는 다수의 디지털 사(112)와 제 1 스냅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제 1 영역(110)과,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스냅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 2 영역(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130g, 130h, 이하 130으로 통일하여 표기하도록 한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와 제 2 스냅 커넥터는 서로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2 스냅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다수의 제 2 영역(130)은 상기 제 1 영역(110)에 형성된 다수의 디지털 사(112)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스냅 커넥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1A and 1B, a
상기 제 1 영역(110)은 실질적으로 착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의류이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130)은 상기 제 1 영역(110)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부분으로써, 전자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100)는 치매 환자에게 적용되어 환자가 일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환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제 2 영역(130)은,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30a), 위치 판단부(130b), 제어부(130c), 자극부(130d), 표시부(130e), 스피커(130f), 생체 센서(130g) 및 배터리(130h)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2 영역(110, 13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영역(130)이 분리된 채로 상기 제 1 영역(110)의 세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상기 통신 모듈(130a)은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의류(100)와 외부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30a)은 상기 디지털 의류(100)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30c)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의류(100)를 착용한 착용자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The
상기 위치 판단부(130b)는 상기 통신 모듈(130a) 및 제어부(130c)와 연결된다. 상기 위치 판단부(130b)는 상기 통신 모듈(130a)과 외부 기기와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착용자가 외부 기기와 멀리 떨어진 곳 있다면 신호 세기가 약할 것이고, 착용자가 외부 기기와 가까운 곳에 있다면 신호 세기가 강할 것이므로, 이러한 신호 세기를 통해 착용자가 외부 기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위치 판단부(130b)에는 신호 세기에 대한 기설정된 수치가 저장되어 이러한 수치 이하의 세기가 측정될 경우 착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판단부(130b)는 이탈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c)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130c)가 이에 따른 추가적인 명령을 내리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130c)는 상기 통신 모듈(130a), 위치 판단부(130b), 자극부(130d), 표시부(130e), 스피커(130f), 생체 센서(130g) 및 배터리(130h)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c)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제 2 영역(130)들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받거나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상기 자극부(130d)는 제어부(130c)에 의해 자극 명령을 수신받았을 경우 착용자에게 저주파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판단부(130b)로부터 착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c)에서 자극 명령을 전송하여 착용자에게 자극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극부(130d)의 동작은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모듈(130a) 사이의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감지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stimulation command is received by the
상기 표시부(130e) 및 스피커(130f)는 착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였을 경우, 이를 시청각적으로 주위에 알리는 알림부로써의 역할을 한다. 즉, 착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 상기 통신 모듈(130a)과 외부 기기 사이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신호 세기가 0), 상기 위치 판단부(130b)는 착용자가 위치를 이탈한 것을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130c)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c)는 표시부(130e) 및 스피커(130f)로 알림 명령을 내려 도움 문구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e)는 화면에 도움 요청 문구,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30f)는 도움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e) 및 스피커(130f)가 알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주변의 사람들에게 착용자가 치매 환자임을 알릴 수 있으며, 보호자 또는 119 등의 응급 센터에 이를 신고하여 착용자의 신변을 보호할 수 있다.The
상기 생체 센서(130g)는 착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센서(130g)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c)로 전송한다. 전송된 생체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130a)을 통해 외부 기기에 무선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130g)는 심전도 센서, 호흡 센서, 맥박 센서, 체온 센서, 운동량 센서 또는 산소 포화도 센서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서(130g)는 생체 신호의 효과적인 감지를 위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제 1 영역(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송된 생체 정보는 외부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에 의해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biosensor 130g serves to sense various bio-signals of the wearer. The biometric sensor 130g sens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wearer and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상기 배터리(130h)는 상기 제어부(130c)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130h)는 전원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에도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위치 이탈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osi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시스템은 디지털 의류(100)를 착용한 착용자(10), 와이파이 단말기(20), 유무선망(30) 및 관리 서버(40)를 포함한다.2, the posi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디지털 의류(100)는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자(10)의 신체 정보를 센싱한다. 특히,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의 경계부에 근접하여 와이파이 단말기(20)와의 통신 신호 세기가 미세해질 경우,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자극부(130d)를 통하여 착용자(10)에게 저주파 자극을 가하여 이를 인지하도록 하며, 기설정된 영역(S) 내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을 벗어나 와이파이 단말기(20)와의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알림부(130e, 130f)를 통해 주변에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The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20)는 기설정된 영역(S) 내에서 착용자(10)가 착용하고 있는 디지털 의류(100)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다. 즉, 디지털 의류(100)로부터 착용자(10)의 신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유무선망(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20)는 기설정된 영역(S) 내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디지털 의류(100)는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20)와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착용자(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20)는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을 이탈하여 디지털 의류(100)와 통신이 불가능해질 경우, 이러한 정보를 유무선망(30)으로 전송하여 보호자에게 착용자(10)의 위치 이탈 정보를 알릴 수 있다.The WiFi terminal 20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상기 유무선망(30)은 상기 와이파이 단말기(20)로부터 착용자(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다시 관리 서버(40)로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wired /
상기 관리 서버(40)는 상기 유무선망(3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병원이나 응급 센터와 같은 곳에 연계되어 디지털 의류(100)를 착용한 착용자 또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 또는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 가능하다.Th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100)는 외부의 와이파이 단말기(20)와 통신함으로써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착용자(10)가 기설정된 영역(S)을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일 경우 착용자(10)의 위치 이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저주파 자극을 가하며, 만약 기설정된 영역(S)을 이탈하여 와이파이 단말기(20)와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 알림부(130e, 130f)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단말기(20)는 디지털 의류(100)와의 통신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관리 서버(40)에 이탈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보호자, 병원 또는 응급 센터에 이를 알릴 수 있다.Thus, the
또한, 상기 디지털 의류(100)는 생체 센서(130g)를 구비하여 착용자(10)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40)에서는 착용자(10)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3A and 3B are a partial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nap connector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의류(100)는 제 1 스냅 커넥터(120)를 포함하는 제 1 영역(11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는 서로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b의 제 2 스냅 커넥터(140)를 향하는 방향을 상부로 지칭하고, 제 1 스냅 커넥터(120)를 향하는 방향을 하부로 지칭하도록 한다.3A and 3B, the
상기 제 1 영역(110)은 제 1 하부 의류(111a), 상기 제 1 하부 의류(111a)에 위치된 제 1 배선(112, 113) 및 상기 제 1 하부 의류(111a)에서 제 1 배선(112, 113)을 덮도록 위치된 제 1 상부 의류(11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선(112, 113)은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112, 113)은 디지털 사(112)와 제 1 도전성 패턴(11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사(112)는 제 1 도전성 패턴(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113)은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는 다수의 상기 제 2 영역(130)과 접속되기 위하여 다수개로 구비된다. 다수의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들은 상기 제 1 배선(112, 11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제 2 영역(130)은 제 2 하부 의류(131a), 상기 제 2 하부 의류(131a)에 위치된 제 2 배선(132, 133) 및 상기 제 2 하부 의류(131a)에서 제 2 배선(132, 133)을 덮도록 위치된 제 2 상부 의류(13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배선(132, 133)은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배선(132, 133)은 디지털 사(132)와 제 2 도전성 패턴(13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사(132)는 제 2 도전성 패턴(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133)은 제 2 스냅 커넥터(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다수의 상기 제 1 영역(110)과 접속되기 위하여 다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상기 제 2 배선(132, 133)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133)은 통신 모듈, 위치 판단부, 제어부, 자극부, 표시부, 스피커, 생체 센서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하나의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1 라인 스위치 구조와 유사함으로써, 하나의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에 의해 1 라인의 전력 또는 통신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 1 영역(110)에는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130)에는 제 2 스냅 커넥터(140)가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제 1 영역(110)에 제 2 스냅 커넥터(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130)에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One
한편, 상기 제 1 영역(110) 즉, 제 1 하부 의류(111a), 제 1 상부 의류(111b), 그리고 제 2 영역(130) 즉, 제 2 하부 의류(131a) 및 제 2 상부 의류(131b)는 스판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제 1 영역(110) 및 제 2 영역(130)은 쉽게 휘어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늘어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배선(112, 113) 및 제 2 배선(132, 133)은 대략 S 또는 W 형태로 휘어진 채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선(112, 113) 또는 제 2 배선(132, 133)이 형성된 제 1 영역(110) 및 제 2 영역(130)이 휘어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늘어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배선(112, 113) 및 제 2 배선(132, 133)이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와이어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nap connector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spring of a snap connector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100)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는 제 1 영역(110)에 결합된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제 2 영역(130)에 결합된 제 2 스냅 커넥터(140)를 포함하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상호간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는 제 1 영역(110)에 구비된 제 1 배선(112, 113) 중 제 1 도전성 패턴(113)에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제 2 영역(130)에 구비된 제 2 배선(132, 133)중 제 2 도전성 패턴(133)에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4 and 5, the snap connector used in the
여기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텐레스 스틸 및 그 등가물과 같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배선(112, 113) 중 제 1 도전성 패턴(113)에는 디지털 사(1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배선(132, 133)중 제 2 도전성 패턴(133)에도 디지털 사 또는 또 다른 도전성 패턴(1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배선(112, 113)을 이루는 제 1 도전성 패턴(113) 및 이에 연결된 디지털 사(112)는 제 1 하부 의류(111a) 및 제 1 상부 의류(111b)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배선(132, 133)을 이루는 제 2 도전성 패턴(133) 및 이에 연결된 디지털 사(132)는 제 2 하부 의류(131a) 및 제 2 상부 의류(131b)의 사이에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는 제 1 영역(110)에 형성된 제 1 배선(112, 113) 및 제 2 영역(130)에 형성된 제2배선(132, 133)을 상호간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술한 스냅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의류(100)에서 기구적/전기적 접속 또는 분리가 필요한 영역에 적절하게 응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ap conn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는 제 1 도전성 몸체(121)를 포함하며, 이는 이후 설명될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고무 탄성부(148)와 와이어 스프링(149) 사이에 협지 및 분리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도전성 몸체(121)는 제 1 하부 의류(111a) 및 제 1 상부 의류(111b)를 관통하는 원통 형태의 제 1 중앙 영역(122)과, 제 1 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된 제 1 하부 영역(123)과, 제 1 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1 하부 영역(123)과 함께 제 1 하부 의류(111a)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 1 상부 영역(124)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도전성 몸체(121)는 제 1 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되어 고무 탄성부(148)의 하면에 접촉하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의 내측 돌기(125)와, 내측 돌기(125)의 외측에서 제 1 상부 영역(124)으로부터 연장되어 고무 탄성부(148)의 측면과 와이어 스프링(149)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돌기(126)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 1 중앙 영역(122), 제 1 하부 영역(123), 제 1 상부 영역(124), 내측 돌기(125) 및 외측 돌기(126)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125)에 비해 외측 돌기(126)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측 돌기(126)가 고무 탄성부(148)와 와이어 스프링(149) 사이에 용이하게 협지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중앙 영역(122), 제 1 하부 영역(123) 및 제 1 상부 영역(124)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 1 하부 의류(111a) 및 제 1 상부 의류(111b)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배선 중 제 1 도전성 패턴(1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제 2 도전성 몸체(141), 고무 탄성부(148), 와이어 스프링(149)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도전성 몸체(141)는 제 2 하부 의류(131a) 및 제 2 상부 의류(131b)를 관통하며, 고무 탄성부(148)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제 2 중앙 영역(142)과, 제 2 중앙 영역(142)으로부터 연장되고, 중앙에 고무 탄성부(148)가 돌출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둘레에 와이어 스프링(149)이 결합된 제 2 하부 영역(143)과, 제 2 중앙 영역(14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2 하부 영역(143)과 함께 제 2 상부 의류(131b)가 협지(狹持)되도록 하는 제 2 상부 영역(144)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제 2 중앙 영역(142), 제 2 하부 영역(143) 및 제 2 상부 영역(144)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 2 중앙 영역(142), 제 2 하부 영역(143) 및 제 2 상부 영역(144) 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하부 의류(131a)와 제 2 상부 의류(131b) 사이에 형성된 제 2 배선 중 제 2 도전성 패턴(133)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또한, 상기 제 2 하부 영역(143)은 전반적으로 원형 링 형태를 하며, 내측 중앙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C 또는 형태를 하며, 이러한 제 2 하부 영역(143)의 개방된 영역에 와이어 스프링(149)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 하부 영역(143)의 직경은 와이어 스프링(149)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2 하부 영역(143)의 개방된 영역에서 와이어 스프링(149)이 수평 방향으로 약간씩 유동될 수 있다.The second
또한, 상기 고무 탄성부(148)는 제 2 도전성 몸체(141)의 제 2 중앙 영역(142)에 결합되며, 이는 하부 영역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상부 영역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대략 오뚜기 형태를 한다. 즉, 상기 고무 탄성부(148)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영역이 제 2 중앙 영역(142)에 결합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부 영역이 제 2 중앙 영역(142)으로부터 제 2 하부 영역(143)의 중앙에까지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에 대략 측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무 탄성부(148)는 통상의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프렌고무, 하이파론고무, 아크릴고무, 플루오르고무, 실리콘고무, 일래스토머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고무 탄성부(148)는 일례로 상용 온도가 -90 ~ 200℃인 실리콘고무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래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우레탄계 일래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염화비닐계 일래스토머, PMMA계 일래스토머, 니트릴계 일래스토머, 실리콘계 일래스토머, 부타디엔계 일래스토머, 에틸렌계 일래스토머, 프로필렌계 일래스토머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특히, 고탄성을 가는 우레탄계 일래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가 바람직하다.The rubber
또한, 이러한 고무 탄성부(148)의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는 상기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가 상호간 결합되고, 임계치보다 작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가 상호간 기계적 및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신호 손실없이 파워 또는/및 전기적 신호를 더욱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상기 와이어 스프링(149)도 이러한 기능을 갖지만, 고무 탄성부(148)가 제 1 스냅 커넥터(120)를 제 2 스냅 커넥터(140)를 향하는 측부 방향과,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하부 방향으로 동시에 밀어주게 됨으로써, 임계치보다 작은 외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상호간 움직임이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를 지나는 파워 및 전기적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되거나 신호 손실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unexpected and significant effect of this rubber
더욱이, 이러한 고무 탄성부(148)가 자성 재료(예를 들면, 네오디움 고무 자석)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자성 재료에 달라붙는 재료(예를 들면, 철을 포함하는 금속)일 경우, 상기 제 1, 2 스냅 커넥터(120, 14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는 더욱 증가한다.It is further contemplated that such a rubber
또한, 상술한 고무 탄성부(148)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전류가 흐르는 금속 또는 비금속)를 포함할 경우, 더욱 많은 도전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rubber
한편, 상기 와이어 스프링(149)은 절단된 원형 링 형태를 하며(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전성 몸체(141) 중 제 2 하부 영역(143)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149)은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제 2 스냅 커넥터(140)에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에 대해 대략 중앙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와이어 스프링(149)은 스텐레스 스틸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5). Th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스냅 단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디자인이 미려하며, 결합 후 임계치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손실 없이 파워 및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냅 커넥터를 제공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le and female coupling structure like a snap button, so that the thickness is thin and the design is good. When an external forc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fter coupling is applied, the connector does not move or rotate mechanically, Thereby providing a snap connector capable of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단면도이다.6A to 6C are sequential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upling a snap connector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가 제 1 스냅 커넥터(120)쪽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제 2 스냅 커넥터(140)쪽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되거나, 또한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가 상호간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6A, th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의 외측 돌기(126)가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제 2 하부 영역(143)이 갖는 공간에 결합되며, 특히, 상기 외측 돌기(126)가 상기 고무 탄성부(148)와 와이어 스프링(149) 사이의 공간, 틈 또는 갭(gap)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외측 돌기(126)에 의해 고무 탄성부(148)는 내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또한 와이어 스프링(149)은 외측 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 탄성부(148)는 외측 방향을 향하여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와이어 스프링(149)은 내측 방향을 향하여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의 외측 돌기(126)가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고무 탄성부(148)와 와이어 스프링(149) 사이의 공간, 틈 또는 갭에 협지됨으로써, 상기 외측 돌기(126)는 고무 탄성부(148)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과, 와이어 스프링(149)이 갖는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무 탄성부(148)와 와이어 스프링(149) 사이에 강하게 고정 및 결합된다. 물론, 이에 따라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전기적/기구적으로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The
더불어,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의 내측 돌기(125)는,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고무 탄성부(148)에 의한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결국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기구적/전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에 임계치보다 작은 힘이 작용한다고 해도,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가 상호간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제 2 스냅 커넥터(140)의 사이에 노이즈/손실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가 양호하게 전송된다.Therefore, even if a force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applied to the
그러나,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에 임계치보다 큰 힘이 작용하면,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2 스냅 커넥터(140)는 상호간 기구적으로 분리됨으로써, 결국 상호간 전기적으로도 분리된다.However,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100)는 착용자가 실질적으로 착용하게 되는 제 1 영역(110)과, 착용자의 위치 이탈 감지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영역(130)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의류의 세탁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us, th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는 상술한 스냅 커넥터(120, 140)와 유사한 구조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nap connector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술한 스냅 커넥터(120, 140)는 1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2라인 스위치 구조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는 제 1 스냅 커넥터(120A)의 외측 표면에 제 1 절연층(229)을 개재하여 형성된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와, 제 2 스냅 커넥터(140A)의 외측 표면에 제 2 절연층(248)을 개재하여 형성된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를 더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는 제 1 절연층(229)에 의해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는 제 2 절연층(248)에 의해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Here, the first
물론, 상기 제 1 스냅 커넥터(120)가 상기 제 2 스냅 커넥터(140)에 기구적/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가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에 기구적/전기적으로 결합된다.Of course, the
더욱이,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는 제 1 영역(110)에 형성된 제 1 서브 배선(2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는 제 2 영역(130)에 형성된 제 2 서브 배선(2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Further, the first
한편, 상기 제 1, 2 서브 스냅 커넥터(220, 240)의 사이에 서브 와이어 스프링(249)이 더 개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에도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를 향하는 영역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개방홈에 절단된 대략 원형 링 형태의 서브 와이어 스프링(249)이 위치된다. 이러한 서브 와이어 스프링(249)은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가 상기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에 결합된 후, 상기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를 내부 중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Meanwhile, a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1c는 상기 제 1 서브 도전성 패턴(213)을 덮는 최상부 의류이고, 미설명 부호 131c는 제 2 서브 도전성 패턴(233)을 덮는 최상부 의류이다.Here, the
또한, 여기서 제 1 스냅 커넥터(120) 및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220)를 총칭하여 제 1 스냅 커넥터(120A)로 정의하고, 제 2 스냅 커넥터(140) 및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0)를 총칭하여 제 2 스냅 커넥터(140A)로 정의한다.Th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더욱 많은 전력 경로 또는 통신 경로를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계가 가능해지도록 한다.In this way,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nap connector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in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110)에 형성된 제 1 배선 중 제 1 도전성 패턴(113)과 제 2 영역(130)에 형성된 제 2 배선 중 제 2 도전성 패턴(133)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즉, 제 1, 2 스냅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영역(110)에 형성된 제 1 배선 중 제 1 서브 도전성 패턴(213)과 제 2 영역(130)에 형성된 제 2 배선 중 제 2 서브 도전성 패턴(233)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커넥터(120A, 140A)(즉, 제 1, 2 서브 스냅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8, 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110)의 제 1 도전성 패턴(113) 및 제 1 서브 도전성 패턴(213)에는 각각 디지털 사(112, 212)가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130)의 제 2 도전성 패턴(133) 및 제 2 서브 도전성 패턴(233)에는 각각 또 다른 도전성 패턴이나 디지털 사(132, 232)가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스냅 커넥터는 2라인 스위치 구조와 유사함으로써, 하나의 스냅 커넥터에 의해 2라인의 전력 또는 통신 경로가 확보된다.In this way, one snap connector is similar to a two-line switch structure, so that two lines of power or communication paths are secured by one snap connector.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 중 디지털 사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A to 9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structures of a digital yarn among digital gar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112)는 코어(112a)와, 코어(112a)를 감싸는 피복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112a)와 피복층(112b)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112)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9A, the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312)는 코어(312a)와, 코어(312a)를 감싸는 제 1 피복층(312b)과, 제 1 피복층(312b)을 감싸는 제 2 피복층(312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312a), 제 1 피복층(312b) 및 제 2 피복층(312c)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312)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9B, the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412)는 다수의 코어(412a)와, 이를 감싸는 피복층(4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412a)와 피복층(412b)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412)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9C, the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512)는 다수의 제 1 코어(512a)와, 이를 감싸는 제 1 피복층(512b)과, 제 1 피복층(512b)을 감사는 제 2 코어(512c)와, 제 2 코어(512c)를 감싸는 제 2 피복층(512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코어층(512a), 제 1 피복층(512b), 제 2 코어층(512c) 및 제 2 피복층(512d)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512)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9D, the
이러한 디지털 사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29676, 10-08405930, 10-0834974, 10-0966842 및 10-0982532에 등록 공고된 디지털 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uch a digital signature may be, for example, a digital signature register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29676, 10-08405930, 10-0834974, 10-0966842, and 10-0982532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이탈 감지용 디지털 의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디지털 의류110; 제 1 영역
111a, 111b; 제 1 하부 및 상부 의류111c; 최상부 의류
112; 디지털 사113; 제 1 도전성 패턴
120; 제 1 스냅 커넥터121; 제 1 도전성 몸체
122; 제 1 중앙 영역123; 제 1 하부 영역
124; 제 1 상부 영역125; 내측 돌기
126; 외측 돌기130; 제 2 영역
131a, 131b; 제 2 하부 및 상부 의류131c; 최상부 의류
132; 디지털 사133; 제 2 도전성 패턴
140; 제 2 스냅 커넥터141; 제 2 도전성 몸체
142; 제 2 중앙 영역143; 제 2 하부 영역
144; 제 2 상부 영역148; 고무 탄성부
149; 와이어 스프링120A, 140A; 제 1, 2 스냅 커넥터
213; 제 1 서브 도전성 패턴220; 제 1 서브 스냅 커넥터
229; 제 1 절연층233; 제 2 서브 도전성 패턴
240; 제 2 서브 스냅 커넥터248; 제 2 절연층
249; 서브 와이어 스프링
212, 232, 312, 412, 512; 디지털 사100;
111a, 111b; A first lower and
112;
120; A
122; A first
124; A first
126;
131a, 131b; A second lower and
132;
140; A
142; A second
144; A second
149; Wire springs 120A, 140A; First and second snap connectors
213; A first sub
229; A first insulating
240; A second
249; Sub wire spring
212, 232, 312, 412, 512; Digital History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076AKR20170119203A (en) | 2016-04-18 | 2016-04-18 |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out-of-posi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076AKR20170119203A (en) | 2016-04-18 | 2016-04-18 |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out-of-position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203Atrue KR20170119203A (en) | 2017-10-26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7076ACeasedKR20170119203A (en) | 2016-04-18 | 2016-04-18 |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out-of-position |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19203A (e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83462A (en)* | 2019-01-11 | 2019-06-14 | 中科传感技术(青岛)研究院 | A sensor packaging structure, packaging method and smart clothing that can be implanted in clothing |
KR20230126860A (en)* | 2022-02-24 | 2023-08-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Wearable device with node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83462A (en)* | 2019-01-11 | 2019-06-14 | 中科传感技术(青岛)研究院 | A sensor packaging structure, packaging method and smart clothing that can be implanted in clothing |
KR20230126860A (en)* | 2022-02-24 | 2023-08-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Wearable device with node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51560A1 (en) | Wearing Dependent Operation of Wearable Device | |
CN107786922B (en) | Portable sound equipment | |
US10251430B2 (en) | Garment sensor connection arrangement having an electronics module releasably positioned within a socket | |
KR20180123646A (en) | Smart interaction device | |
US20060122471A1 (en) | Devic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detected by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 |
TW201633627A (en) | Snap button fastene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 |
JP2008073462A (en) |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 |
WO2017159635A1 (en) |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 |
KR20170119203A (en) | digital garment for detecting out-of-position | |
KR20210071607A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 |
EP3429458A1 (en) | Detection device and alarm system having the detection device | |
US11172861B2 (en) | Detection devices and monitoring systems including detection devices | |
JP2015020050A (en) | Electrocardiograph | |
KR20180078385A (en) |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and method for monitoring subject to be observed | |
KR101553610B1 (en) | Wearable device having snap connector | |
KR101659415B1 (en) | Smart diaper | |
KR101908270B1 (en) | Smart diaper | |
US2022002025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user | |
KR20180039392A (en) | Smart clothes having connector | |
US20150302715A1 (en) | Intellectual at-home care system | |
US20110213258A1 (en) | Strap based reliable heart rate or electro cardiogram monitor with wireless data transmission | |
KR102689173B1 (en) | Bed mat type fall detection device | |
KR101566370B1 (en) | Snap connector | |
JP2014146221A (en) | Portable type location notification device | |
WO2018010141A1 (en) | Smart bra and protective system comprising smart bra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3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7092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317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