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70111837A - 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 Google Patents

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837A
KR20170111837AKR1020160038016AKR20160038016AKR20170111837AKR 20170111837 AKR20170111837 AKR 20170111837AKR 1020160038016 AKR1020160038016 AKR 1020160038016AKR 20160038016 AKR20160038016 AKR 20160038016AKR 20170111837 AKR20170111837 AKR 2017011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canner
vehicle
boar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범
Original Assignee
강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범filedCritical강성범
Priority to KR1020160038016ApriorityCriticalpatent/KR20170111837A/en
Publication of KR2017011183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70111837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Beacon)이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명찰을 착용한 학생이 통학차량에 접근하여 탑승할 경우,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비콘을 스캔하여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한 후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탑승하려는 학생을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단말기에서는 차량 탑승을 위해 도어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스캔신호의 세기 변화를 토대로 학생의 승차여부 또는 하차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각 학생의 탑승정보를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게 표출시킴으로써 학생의 탑승여부를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한 여러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ool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anaging a school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to-be-traveled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 registered in each beacon by scanning the beacons existing in the recognizable range in the beacon, and transmit the beac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f the driver or driver so as to grasp the student to be boarded, , The smart terminal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student is riding or not, based on the change in intensity of the scan signal generated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door for boarding the vehicle. Then, the boarding information of each student is intuitively The student is unable to identify whether the student is on board Relates to the transportation vehicle ride control system using a beacon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any accidents caused by.

Figure P1020160038016
Figure P1020160038016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 RTI ID = 0.0 > [0001] < / RTI &

본 발명은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Beacon)이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명찰을 착용한 학생이 통학차량에 접근하여 탑승할 경우,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비콘을 스캔하여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한 후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탑승하려는 학생을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단말기에서는 차량 탑승을 위해 도어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스캔신호의 세기 변화를 토대로 학생의 승차여부 또는 하차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각 학생의 탑승정보를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게 표출시킴으로써 학생의 탑승여부를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한 여러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ool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anaging a school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to-be-traveled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And then acquires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 registered in each beacon and transmits it to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f a driver or a driver so as to identify a student to be boarded 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information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student is riding or not, based on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can signal generated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door for boarding the vehicle, By displaying intuitive recognition on the smart terminal, Relates to the transportation vehicle ride control system for the occurrence of many accidents due to failed evil with a beacon can be prevented.

대부분의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 등에서는 유아나 어린이들을 태워서 이동하는 통학차량을 운행하곤 하는데, 이러한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은 아직 의사표현과 움직임이 서툴고 충동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통학차량에 탑승한 이후뿐만 아니라 그 탑승 전후에도 인솔자나 운전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Most children's homes and kindergartens use school cars to transport infants and toddlers. However, infants and children who use these vehicles often have difficulty expressing and moving their movements. Not only after boarding, but also before and after the boarding, the driver and the driver must pay much attention.

이처럼 통학차량의 인솔자나 운전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사고발생을 방지하고자 노력함에도, 통학차량과 관련한 유아나 어린이들의 사고 소식이 각종 뉴스 매체를 통하여 심심치 않게 전해지고 있다.Even though the driver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are trying to prevent accidents, the accident news of infants and children related to the school car is being conveyed through various news media.

특히 통학차량의 승하차 직후 유아나 어린이들이 차량 주변에 여전히 머물러 있더라도, 통학차량에 탑승해 있는 인솔자나 운전자가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에 가깝게 있는 아이들을 미처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차량을 움직이게 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또한, 어린 아이가 통학차량 내부에 장시간 방치될 경우에는 차 안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호흡곤란 이나 질식 사고의 위험도 크게 증가하곤 한다.Especially, even if infants or children stay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immediately after boarding or departing of the vehicle, the driver or the driver on the vehicle can not recognize the children who are close to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Is frequently occurred. In addition, when a child is left in a vehicle for a long time, the risk of breathing difficulty or suffocation due to temperature rise in the car is greatly increased.

이처럼 한 두 명의 통학차량 인솔자나 운전자가 많은 수의 아이들을 관리하고 보호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아이들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새로운 수단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하다 할 것이다.Given the fact that one or two attendants or drivers need to manage and protect a large number of children, there is still a need for safe and efficient new ways to improve the safety of children using school cars .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589호에서 지그비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자동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장애물에 의한 통신간섭 없이 정보의 송수신을 안정되게 구현함으로써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유아/어린이나 장애인의 효과적인 보호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Korean Patent No. 10-1341589 provides a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users using a ZigBee tag, and is capable of stab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out communication interference caused by obstacles, so that a child / child or a disabled person A system that can be useful for effective protection has also been proposed.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589호에서는 지그비 태그를 통학차량에 탑승하려는 유아/어린이 등이 소지하고 탑승하게 되면, 차량에 설치된 지그비 태그 수신기와 정보확인장치를 통해 탑승한 유아/어린이 등을 자동으로 인지하게 하고, 하차 후에는 지그비 태그와의 거리가 설정거리(5m) 이상 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하차여부 및 넘어졌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하는 유아/어린이 등이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지그비 태그의 자동인식 정보로 승차 및 하차를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는 장점이 있었다.In Korean Patent No. 10-1341589, when a child or a child who is carrying a ZigBee tag in a school vehicle is present and carrying the ZigBee tag, the ZigBee tag receiver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infant / child boarded through the information checking device are automatically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ZigBee ta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distance (5m),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getting off and falling. Thus, the infant /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riding and getting off with the automatic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ZigBee tag.

그러나, 지그비 태그 수신기에서 지그비 태그를 인지하여 산출되는 거리정보에만 의존하여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유아/어린이 등을 파악할 경우, 통학차량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뿐만 아니라 통학차량 주변에 가까이 있는 유아/어린이도 탑승자로 오인하게 될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However, when the infant / child aboard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recognizing the ZigBee tag in the ZigBee tag receiver, not only the passenger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but also the infant / child There still existed a problem in which there was a risk of misidentification as a passeng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1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5517호 등에서도 운전자 등이 미처 인지하기 어려운 통학차량 주변의 사각지대 등에 사람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들을 제안하였지만, 종래의 NFC 태그 인식과 같은 탑승자의 직접적인 행위 없이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시스템들은 모두 무선통신망 상에서 리더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의해서만 탑승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한계를 여전히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482189 and Korean Patent No. 10-1535517 have proposed various systems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a blind spot around a traffic school vehicle, Systems that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boarding a vehicle, such as conventional NFC tag recognition, still have a limitation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y are on board only by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read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그에 따라, 리더기 등에서의 단순 인식이나 리더기와의 거리정보에만 의존하는 것을 넘어, 통학차량의 도어를 통과하여 탑승 또는 하차 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인솔자나 운전자에게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알려줄 수 있게 한 새로운 탑승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하다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through a door of a schooling vehicle or not, based on a simple recognition by a reader or the like, or a distance to the reader, and notifies the driver or the driver of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need for a new boarding management system that will allow for the future will continue.

본 발명은 비콘(Beacon)이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명찰을 착용한 학생이 통학차량에 접근하여 탑승할 경우,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비콘을 스캔하여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한 후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탑승하려는 학생을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단말기에서는 차량 탑승을 위해 도어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스캔신호의 세기 변화를 토대로 학생의 승차여부 또는 하차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각 학생의 탑승정보를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게 표출시킴으로써 학생의 탑승여부를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한 여러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con scanner that scans a beacon within a range recognizable by a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installed on a schooling vehicle when a student wearing a smart name tag attached with a beacon accesses the school vehicle, The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 registered in the beac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of the driver or the driver so that the smartphone can receive the beacon and the smart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information can pass through the door The system automatically judges whether or not the student boarded or depart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can signal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start of the flight and then displays the boarding information of each student so a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driver or the driver's smart termin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rious accident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beacon And to provide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탑승 전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있을 수 있는 스마트 명찰; 통학차량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 부위, 차량 내부, 차량 외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비콘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하는 비콘 스캐너; 및 통학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학생들의 탑승을 관리하는 인솔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신망상에서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학생들을 특정한 후, 통학차량에의 탑승 또는 하차를 위해 도어를 통과하는 동안 비콘 스캐너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로 이루어진 스캔패턴을 토대로, 각 학생들의 통학차량 탑승 또는 하차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출시키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system for managing a boarding vehicle using a beacon is provided with a beacon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smart badge; A beacon, and a beacon, wherein the beacon is separated from a beacon in at least one place selected from a door portion for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a vehicle interior, a vehicle exterior, and combinations thereof, A beacon scanner for acquiring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nformation; And a driver who manages the boarding of a driver or a student driving the school vehicle.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is receiv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rust to specify the student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each student is boarded or unloaded from a schooling vehicle based on a scan pattern consisting of a change in signal intensity of beacon information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a distance from the beacon scanner while passing through the beacon scanner, Smart terminals.

이때, 상기 비콘 스캐너는 통학차량에의 승차와 하차를 위하여 학생들이 출입하는 도어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스캐너를 포함하며, 차량의 앞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전면부위에 설치되는 전면 스캐너와 차량의 뒤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후면부위에 설치되는 후면 스캐너와 차량에 탑승해 있는 학생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eacon scanner includes a door scanner installed at a door part where students go in and out to get on and off a schooling vehicle, and a front scanner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school car so a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tudent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among a back scanner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the schooling vehicle and an internal scann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o as to confirm the students aboard the vehicle so as to check whether there are students in the back of the vehicle .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를 수신하여 학생을 특정함과 아울러, 학생이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동안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를 나타내는 스캔패턴을 토대로 해당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인 통학차량 안전지원 앱(APP)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receives a unique ID on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to specify a student, and also indicates a change in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le the student is boarding the vehicle (APP),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m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boarded on the basis of the scan pattern and to display it on the display means.

이때,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캐너 통신부;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에 의해 특정된 각 비콘을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할 때 발생되는 신호세기를 각 비콘 스캐너별로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학생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추출해 내는 스캔패턴 분석부; 및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에서 상기 도어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이 피크값을 가지면서 다른 비콘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은 일정 범위 이내의 값으로 수렴할 경우 승차로 판단하고, 승차상태에 있던 비콘의 비콘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하차로 판단하여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탑승여부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scann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A scan pattern for extracting a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 beacon information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student by continuously tracking the signal strength generated when the beacon scanner identifies each beacon specified by the unique ID on the beacon information for each beacon scanner Analysis section; And a scan pattern analysis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scan pattern obtained from the door scanner has a peak value and the scan pattern acquired from another beacon scanner converges to a value within a certain range, If the beacon information is out of a certain rang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boarding-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off-board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tudent is boarding the system, and then displaying the boarding mode on a display unit.

또한,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는 상기 비콘 스캐너마다 인식 가능범위 내에 있는 비콘들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를 고유 ID별로 누적 저장하여, 동일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can pattern analyzing unit accumulat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beacon information obtaine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eacons within the recognizable range for each beacon scanner by the unique ID, and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change of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ame beacon scanner So that the pattern can be easily extracted.

또한,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는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상기 전면 스캐너, 상기 후면 스캐너와 상기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일정기준의 범위 내에 놓이게 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boarding-status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indicates a peak value and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the front scanner, the rear scann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student possessing the smart name tag equipped with the beacon has boarded the school vehicle.

또한,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는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학생의 비콘정보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상기 전면 스캐너, 상기 후면 스캐너와 상기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일정기준의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of the student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indicates a peak value, and whether the beac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the front scanner, the rear scanner, If the signal is out of the range of a certain standard,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student possessing the smart name tag with the beacon is off the school vehicle.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에는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 도출된 탑승여부의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격지의 탑승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탑승정보 전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승관리서버는 통학차량에 탑승할 탑승예정인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활성화시켜 각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탑승예정인원 전송부; 및 상기 탑승예정인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갱신된 각 학생들의 탑승 또는 하차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각 학생의 통학차량 이용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탑승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boarding whether or not it is determined by the boarding status deciding unit to a boarding management server of the whole pla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boarding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to-be-boarded person transfer unit for activating information on a boarding passenger to be boarded in a schooling vehicle in advan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smart passengers or driver's smart terminals; And information on the on-boarding personnel, receives the boarding or getting-off information of each student upd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from the smart terminal, And a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storing the boar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학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명찰에 탑재되어 있는 비콘을 스캔하여 획득한 고유 ID에 의해 학생을 특정하고, 특정된 그 학생의 스캔신호 패턴을 추적하여 통학차량에의 탑승 여부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판단한 후 운전자나 인솔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나 인솔자가 미처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통학차량과 관련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udent is identified by a unique ID obtained by scanning a beacon mounted on a smart name tag worn by students, and the scan signal pattern of the specified student is tracked,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er or the lead person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ereby eliminating the blind spot in which the driver or the leader can not confirm the accident,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ssociated with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탑승관리서버에서 통학차량의 운행시마다 통학차량을 이용할 학생들의 정보를 운전자나 인솔자의 스마트단말기로 미리 전송하여 줌으로써, 스마트단말기에 구비된 탑승여부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각 학생의 통학차량 이용내역뿐만 아니라 출결확인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ho use the schooling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of the driver or the lead person in advance at the boarding management server at the time of driving the schooling vehicle, , It is possible to utilize not only the details of the use of each student's school vehicle but also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of attend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통학차량에 설치된 비콘 스캐너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한 비콘정보를 스마트단말기(예로서 스마트폰)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승차시 도어스캐너와 전면스캐너에서 획득되는 비콘정보의 스캔패턴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하차시 도어스캐너와 전면스캐너에서 획득되는 비콘정보의 스캔패턴 그래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ing vehicle us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ing vehicle us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beacon scanner installed on a school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of beac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beacon scanner to a smart terminal (e.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an pattern graph of beac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oor scanner and a front scanner at the time of ri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an pattern graph of beac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oor scanner and a front scanner at the time of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 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제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a "connection" with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d a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provided between the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ing vehicle us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ing vehicle us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탑승 전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있을 수 있는 스마트 명찰(100)과, 통학차량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 부위, 차량 내부, 차량 외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비콘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하는 비콘 스캐너(200)와, 통학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학생들의 탑승을 관리하는 인솔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신망상에서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학생들을 특정한 후 통학차량에의 탑승 또는 하차를 위해 도어를 통과하는 동안 비콘 스캐너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로 이루어진 스캔패턴을 토대로 각 학생들의 통학차량 탑승 또는 하차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출시키는 스마트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beacon-based 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con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mart name tag 100 that may be worn continuously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a door portion for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a vehicle interior, a vehicle exterior, and combinations thereof, Abeacon scanner 200 for communicating data with the beacon on the beacon and acquiring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 registered in each beacon and a driver who manages the boarding of a driver or a student driving the school vehicle, Receives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on a trust basis,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each student is boarded or unloaded on the basis of a scan pattern consisting of changes in signal intensity of beacon information which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beacon scanner while passing through the door for boarding or getting off And asmart terminal 300 for displaying the display means so that intuitiv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스마트 명찰(100)은 통학차량을 이용하여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 등으로 정해진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학생인 아이들이 통학차량의 탑승 전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있을 수 있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옷 등에 고정될 수 있는 명찰 등으로 구성된다.Thesmart name tag 100 may be a name tag, a necklace, a bracelet, or the like, which may be worn by a child who is a student who repeatedly moves at a predetermined time at a child's home, a kindergarten, a school, Or a name tag that can be fixed to clothes or the like.

이러한 상기 스마트 명찰(100)에는 예로서 약 70m 이내의 거리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콘 스캐너(200)와 데이터 통신하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상기 비콘 스캐너(200)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인 비콘(Beacon) (110)이 각각 구비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각 비콘(110)의 고유 ID를 토대로 스마트 명찰(100)을 착용하고 있는 아이들을 특정할 수 있게 되므로, 마치 명찰처럼 각 아이들을 식별하면서, 통학차량에의 탑승 여부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In thesmart name tag 100, for example, Bluetooth 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luetooth ") for transmitting a unique ID registered in advance to thebeacon scanner 200 while communicating data with thebeacon scanner 200 via a short- (Beacon) 110,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BLE protocol. Si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hildren wearing thesmart name tag 100 based on the unique IDs of thebeacons 110,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hildren as if they are nameplates, do.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 명찰(100)에 구비되는 각 비콘(110)에 고유 ID를 등록하고, 이러한 각 비콘(110)의 고유 ID를 각 학생들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탑승관리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시간별로 통학차량에 탑승이 예정되어 있는 학생들의 고유 ID를 이번 운행의 탑승예정인원으로 미리 활성화시킨 후 스마트단말기(300)에 표출시킴으로써 학생들의 탑승 여부나 하차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면서 출석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this purpose, a unique ID is registered in eachbeacon 110 provided in thesmart name tag 100, and a unique ID of eachbeacon 110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as information for specifying each studen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register in advance. In addition, by activating the unique ID of the students who are scheduled to board the school vehicle by time in advance as the boarding passengers of the present flight, they are displayed on thesmart terminal 300 to carefully check whether the students are boarding or getting off, But may be configured to update the same.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비콘(110)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각 비콘(110)에 등록되어 있는 비콘정보를 스캔하여 고유 ID를 획득한 후, 획득한 비콘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300)으로 전송하여 학생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Thebeacon scanner 200 scans beacon information registered in eachbeacon 110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beacon 110 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obtain a unique ID, and transmits the obtained beacon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300) so that students can know their location.

이때,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통학차량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스캐너(200)에서 획득한 비콘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 수신하도록 각 비콘 스캐너에 연결되어 있는 비콘정보 수집부(250)에서 수집한 후, 미리 등록된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300) 또는 격지의 탑승관리서버(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beacon scann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r more than two beacons in the vehicle, and as shown in FIG. 4, The information is collected by the beacon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connected to the scanner and then transmitted to thesmart terminal 300 or 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of the driver or the driver registered in advance.

이를 위하여,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상기 비콘정보 수집부(250)에서 수집한 여러 비콘들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300)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To this end, thebeacon scan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s of the plurality of beacons collected by the beaconinformation collecting unit 250 to thesmart terminal 300 Of course.

그에 따라,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통학차량의 도어를 출입하는 학생들의 스마트 명찰에 구비된 비콘의 고유 ID를 비콘정보로 획득한 후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통학차량 주변에 있는 학생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고유 ID에 의해 학생들 각각을 특정한 후 그 학생의 통학차량 승차 또는 하차 여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beacon scanner 200 acquires the unique ID of the beacon provided in the smart name tags of the students entering and leaving the door of the school vehicle as beac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beacon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thereby locating the students around the school car In addition, after identifying each student by the unique I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getting on or off the bus.

이러한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통학차량의 여러 곳에 이격 설치되어 통학차량 주변에 있는 학생들의 스마트 명찰을 빠짐 없이 스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beacon scanner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of a schooling vehicle so that the smart name tags of the students around the schooling vehicle can be scanned without fail.

이를 위하여, 상기 비콘 스캐너(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학차량에의 승차와 하차를 위하여 학생들이 출입하는 도어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 (210)와, 차량의 앞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전면부위에 설치되는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 (220)와, 차량의 뒤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후면부위에 설치되는 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3) (230)와, 차량에 탑승해 있는 학생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예로서 차량 내부 중앙부위 등)에 설치되는 내부 스캐너(비콘 스캐너#4) (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학차량의 전면부위는 통학차량 내부의 전면부위이거나 외부의 전면부위일 수 있고, 통학차량의 후면부위 역시 통학차량 내부의 후면부위이거나 외부의 후면부위일 수 있다.3, thebeacon scanner 200 includes a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210 installed at a door part where students enter and exit for a ride and a departure from a schooling vehicle, A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220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chooling vehicle so as to confirm whether there are students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scanner (beacon scanner # (Beacon scanner # 3) 230, and an internal scanner (beacon scanner # 4) 240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vehicle, etc.) so as to confirm the students aboard the vehicle . The front portion of the school vehicle may be a front portion inside the school vehicle or an outer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chool vehicle may also be a rear portion inside the school vehicle or an outer rear portion.

이러한 비콘 스캐너들 각각은 자신이 인식할 수 있는 통신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Beacon)들과 데이터 통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각 비콘으로부터 고유 ID를 비콘정보로 획득하게 된다.Each of these beacon scanners independently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beacons located within a communicable range thereof, and acquires a unique ID from each beacon as beacon information.

그리고, 이처럼 각 비콘으로부터 획득한 고유 ID는 통학차량 주변에 있거나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학생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비콘정보 수집부(250)에서 수집된 후,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300)으로 전송되어 해당 고유 ID를 부여 받은 학생의 통학차량 탑승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 unique ID obtained from each beacon is collected a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tudent who is in the vicinity of the school vehicle or riding or getting off the vehicle and is collected by the beaconinformation collecting unit 250,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udent who has been transferred to thesmart terminal 300 and given the unique ID is boarding the vehicle.

이와 같이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스마트 명찰에 구비된 비콘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획득하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는 비콘과 비콘 스캐너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는 보다 강한 세기의 신호로 검출되고,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는 다시 약한 세기의 신호로 검출된다. 즉,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는 인식 가능한 범위내에 비콘이 존재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약한 세기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지만, 이후 스마트 명찰을 착용한 학생이 통학차량 쪽으로 이동해 올 경우 비콘 스캐너에서 해당 스마트 명찰에 구비된 비콘을 감지하는 신호의 세기는 증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acon scanner, the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 obtained by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beacon provided in the smart name tag is a signal having a stronger intensity in the beacon scann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beacon scanner becomes closer And when the distance is long, it is detected as a weak intensity signal again. That is, if there is a beacon within a recognizable range, the beacon scanner senses the beacon and outputs a signal of a weak intensity. However, if a student wearing the smart name tag moves to the school vehicle, the beacon scanner notifies the beaco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hat senses the signal is increased.

이처럼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비콘이 감지되는 신호의 세기가 변화하는 것을 토대로 각 비콘 스캐너와 비콘 사이의 거리 변화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그러한 신호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학차량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scanner and the beacle is changed or not based on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detected by the beacon scann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rive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board the vehicle.

상기 스마트단말기(300)는 상기 비콘 스캐너(200)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를 수신하여 학생을 특정함과 아울러, 학생이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동안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를 나타내는 스캔패턴을 토대로 해당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인 통학차량 안전지원 앱(APP)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mart terminal 300 receives a unique ID on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beacon scanner 200 to specify a student and also transmits a beacon information signal obtained through a short-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for safety of a school-driving vehicle (APP),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m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student is boarded on the basis of a scan pattern indicating a change in intensity and to display it on the display means.

이와 같이 통학차량 안전지원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단말기(300)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캐너 통신부(310)와,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에 의해 특정된 각 비콘을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할 때 발생되는 신호세기를 각 비콘 스캐너별로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학생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추출해 내는 스캔패턴 분석부(320)와,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에서 상기 도어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이 피크값을 가지면서 다른 비콘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은 일정 범위 이내의 값으로 수렴할 경우 승차로 판단하고 승차상태에 있던 비콘의 비콘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하차로 판단하여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탑승여부 판단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smart terminal 300 installed with the APP support function includes ascanner communication unit 310 for receiving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Ascan pattern analyzer 320 that continuously tracks the signal strength generated when the beacon scanner recognizes the beacon scanner and extracts a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 beacon information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udent, If the scan pattern acquired from the door scanner has a peak value and the scan pattern acquired from another beacon scanner converges to a value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 riding state, and the beacon information of the riding state is within a certain range When the vehicle departs,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getting off, Status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330).

상기 스캐너 통신부(310)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한 비콘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비콘 스캐너(200)와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된다.Thescanner communication unit 310 comprises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beacon scanner 200 so as to receive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beacon scanner us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이때, 상기 스캐너 통신부(310)는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 비콘 스캐너(200), 즉 도어 스캐너(210)와, 전면 스캐너(220)와, 후면 스캐너(230) 및 내부 스캐너(240) 각각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각 비콘 스캐너와 통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정보 수집부(250)에서 각 비콘 스캐너들이 수신한 비콘정보를 수집한 후 이러한 비콘정보 수집부로부터 스마트단말기로 비콘정보가 전송될 수 있게 상기 스캐너 통신부가 상기 비콘정보 수집부와 통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scanner communication unit 310 is connected to each of thebeacon scanners 200 installed in the schooling vehicle, that is, thedoor scanner 210, thefront scanner 220, therear scanner 230, and theinternal scanner 240 4, the beaconinformation collecting unit 250 collects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spective beacon scanners, and then transmits the beacon information to the beacon scanner The scanner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beac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so that beac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from the beac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the smart terminal.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상기 스캐너 통신부에 의해 통학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 스캐너와 통신로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된 비콘정보를 스마트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비콘정보를 이용하여 탑승하려는 학생들을 특정함은 물론, 특정된 학생의 통학차량 탑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스마트단말기에 직관적이 인식이 가능하게 표출할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eacon scanner and the beacon scanner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can be received by the smart terminal, Information can be used to specify the students who will board the vehicle, as well as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specific student is boarding the vehicle, thereby allowing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smart terminal.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320)는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에 의해 특정된 학생이 통학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경우 각 비콘 스캐너(200)에서 그 비콘을 스캔하면서 얻게 되는 신호세기의 변화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학생의 통학차량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scan pattern analyzer 320 extracts a change pattern of the signal intensity obtained by scanning the beacon from eachbeacon scanner 200 when the student specified by the unique ID in the beacon information rides or gets off the bus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udent gets on or off the commuting vehicle.

이를 위하여,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320)는 상기 비콘 스캐너마다 인식 가능범위 내에 있는 비콘들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를 고유 ID별로 누적 저장함으로써, 동일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thescan pattern analyzer 320 accumulat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beacon information obtaine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beacons within the recognizable range for each beacon scanner, for each unique ID,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easily extract a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 information.

즉,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정보는 비콘과 비콘 스캐너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큰 값을 나타내게 되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나타내게 되는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를 고유 ID 별로 누적 저장할 경우 학생의 존재뿐만 아니라, 그 학생의 움직임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beacon scanner exhibits a larger valu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beacon scanner becomes closer, and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becomes longer. Thus, the beac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beacon scanner Accumulating the signal strengths by unique IDs allows not only the presence of the student but also the student's movement to be identified.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는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320)에서 추출된 고유 ID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스마트 명찰을 착용하고 있는 학생들의 통학차량 승차여부 또는 하차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oardingstatus determination unit 330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udent wearing the smart name tag is boarding or getting off the bus using the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extracted from the scanpattern analysis unit 320 , And can be displayed in an interface form intuitively recognizable on the display means.

일반적으로 통학차량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승하차시에 도어를 이용해야 하는바,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에서는 복수개의 비콘 스캐너 중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승차여부 판단을 위한 주된 데이터로 이용하도록 구성된다.Generally, in order to use a school-to-be-traveled vehicle, a door must be used when getting on and off. The boarding-stat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beacon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acquired from the door scanner of a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As the main data for the < / RTI >

즉, 통학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이때 학생의 스마트 명찰에는 비콘 #1이 구비된 것으로 가정하고, 이러한 비콘 #1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도 5의 (a)와 (b)에 나타냄)이 멀리에서 차량 쪽으로 서서히 접근하여 승하차를 위한 도어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의 자리에 앉게 되면,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증가하다가 피크값을 지난 후 감소하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형태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assumed that a student who wishes to use the school vehicle (assuming that the smart card of the student is equipped withbeacon # 1 and the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such beacon # 1 is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slowly from the far side and passes through the door for getting on and off to sit inside the vehicle, the door scanner gradually increases as shown in FIG. 5 (a)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vergent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도어)을 통과하기 전까지는 비콘과 도어 스캐너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면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가 증가하게 되고, 문(도어)을 통과하면서 통학차량에 탑승한 후에는 자리로 이동하기 때문에 비콘과 도어 스캐너 사이의 거리가 다시 멀어지면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가 감소하게 되며, 자리에 앉은 이후에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에 대한 큰 변화 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A,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door scanner gradually approaches and the intensity of the beacon information increases until passing through the door (door). As a resul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door scanner is moved away,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information is reduced. After sitting in the seat, the beacon information is not changed to a certain value .

이처럼, 도어 통과시 일정한 피크값에 도달하였다가 다시 감소하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패턴의 신호를 얻게 되는 도어 스캐너와는 달리, 전면 스캐너나 후면 스캐너의 경우에는 학생이 직접 통과할 수 없으므로 피크값을 나타내지 않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기준이 되는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되는 패턴의 신호를 얻게 된다. 도 5의 (b)에서는 학생(비콘#1)이 멀리서 다가와 승차하는 경우 비콘정보의 신호세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내고, 학생(비콘#2)이 통학차량의 앞에서 놀다가 승차하게 될 경우 비콘정보의 신호세기가 감소하게 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Unlike the door scanner, which obtains a pattern signal that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while reaching a certain peak value when passing through the door, the front scanner or the rear scanner can not directly pass the student, A signal of a pattern that converges within a range of a constant reference as shown in Fig. 5 (b) is obtained. 5B shows a pattern in which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information sequentially increases when the student (beacon # 1) approaches from a distance and rides. When the student (beacon # 2)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information is decreased.

이와 같이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에서는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일정기준(도 5에서는 기준1과 기준2)의 범위 내에 놓이게 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만약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에서 측정되는 학생의 신호가 기준1과 기준2의 범위에 있더라도 상기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에서 측정된 신호에 피크값이 없으면, 학생이 아직 도어를 통과하지 않고 차량 근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indicates a peak value, and the signal of the beac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In FIG. 5, thecriterion 1 and the criterion 2),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student possessing the smart name tag equipped with the beacon has boarded the school vehicle. Therefore, if the signal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does not have a peak value even if the signal of the student measured by the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is within the range of thereference 1 and thereference 2,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ear the vehicl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vehicle.

또한, 이와 반대로 학생(비콘 #1)이 통학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후 도어를 통하여 하차하면, 상기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세기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통과할 때 피크값에 도달하였다가 다시 감소하면서 비콘 스캐너의 인식가능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udent (beacon # 1) moves to a state where thebeacon # 1 is aboard the vehicle, and arrives at the destination and gets off the do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As shown in a), when the light beam passes through the door, a peak value is reached, and then the light beam is again reduced to a pattern that is out of the recognizable area of the beacon scanner.

그리고 이와 동시에 다른 비콘 스캐너(도 6에서는 통학차량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의 경우를 예시함)에서는 일정 기준(도 6에서는 기준1과 기준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측정되던 비콘정보가 점차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기준범위를 초과하게 되는 패턴을 나타낸다.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other beacon scanner (the case of the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chool car in Fig. 6) The measured beacon information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while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이처럼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에서는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에서 측정되는 학생(비콘#1)의 비콘정보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에서 측정되는 학생(비콘#1)의 비콘정보 신호가 기준1과 기준2의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스캐너(비콘 스캐너#1)에서 측정되는 학생(비콘#1)의 비콘정보 신호에 피크값이 있고 전면 스캐너(비콘 스캐너#2)에서 측정되는 학생(비콘#1)의 신호가 기준1과 기준2의 범위에 있으면, 해당 학생(비콘#1)이 하차 후에 차량의 근처에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무리한 차량 움직임에 의해 학생이 사고 위험에 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of the student (beacon # 1)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represents a peak value and the student who is measured by the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If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of thebeacon # 1 is out of the range of thecriterion 1 and thecriterion 2, it can be judged that the student possessing the smart name tag equipped with the beacon has departed from the school vehicle. If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of the student (beacon # 1)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beacon scanner # 1) has a peak value and the signal of the student (beacon # 1) measured by the front scanner (beacon scanner # 2) 1 and thecriterion 2, it can be judged that the student (beacon # 1) is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fter getting off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udent from being in danger of an accident due to excessive vehicle movement .

이와 같이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에서 복수의 비콘 스캐너로부터 추출한 스캔패턴을 토대로 각 학생의 통학차량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theboarding determination unit 330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student has boarded the vehicle based on the scan pattern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 scanners, and then displays the result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terminal .

이때, 스마트단말기에서는 통학차량 주변에서 비콘이 인식되는 위치를 그래픽 기반의 맵 형태로 표출하거나, 탑승예정인원의 목록을 텍스트 기반으로 먼저 수령한 후 각 탑승예정인원들의 이름에 탑승 또는 하차 등의 상태정보를 색깔 있는 문자로 표출함으로써, 인솔자나 운전자가 학생들의 탑승 여부 또는 차량 주변에서 학생들이 놀고 있는지 등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smart terminal, the position where the beacon is recognized in the vicinity of the traffic school vehicl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ical map, or the list of the persons to be boarded is first received on a text basis, By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 colored letters, the instructor or driv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 is on board or whether the students are playing around the vehicle.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300)에는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 도출된 탑승여부의 결과를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격지의 탑승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탑승정보 전송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mart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boarding or not derived from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to 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of a large are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이를 위하여, 상기 탑승관리서버(400)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탑승예정인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른 탑승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웹서버로서, 도 1에서는 스마트단말기로부터 탑승정보를 수신하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지원 시스템 운영서버로 도시하였다.For this, 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communication mean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boarding passengers to the smart terminal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 receiving the boar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determination unit FIG. 1 is a web server for forming a communication path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smart terminal. In FIG. 1, a server for operating a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receives the boarding information from a smart terminal.

이러한 상기 탑승관리서버(400)는 통학차량에 탑승할 탑승예정인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활성화시켜 각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탑승예정인원 전송부(410)와, 상기 탑승예정인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탑승여부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갱신된 각 학생들의 탑승 또는 하차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각 학생의 통학차량 이용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탑승정보 수신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includes aboarding passenger unit 410 for activating information on the boarding passengers to board the vehicle in advance and transmitting the boarding passengers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s of the respective passengers and the driver, A boardinginformation receiving unit 420 for receiving boarding or getting off information of each student upd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status determining unit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smart terminal and storing the boarding vehicle usage information of each student in a database .

이와 같이 상기 탑승관리서버(400)에서 통학차량의 운행시마다 통학차량을 이용할 학생들의 정보를 운전자나 인솔자의 스마트단말기(300)으로 미리 전송하여 줌으로써,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330)에서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각 학생의 통학차량 이용내역뿐만 아니라, 출결확인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boarding management server 4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ho will use the schooling vehicle to thesmart terminal 300 of the driver or the leader in advance at the time of driving the schooling vehicle, It is possible to utilize not only the travel history of each student but also the confirmation of arrival.

이처럼 각 학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명찰에 탑재되어 있는 비콘을 스캔하여 획득한 고유 ID에 의해 학생을 특정하고, 특정된 그 학생의 스캔신호 패턴을 추적하여 통학차량에의 탑승 여부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판단하여 운전자나 인솔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나 인솔자가 미처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통학차량의 운행 후 하차 하지 않고 탑승된 상태로 방치되는 학생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알려줄 수 있게 되어 통학차량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tudents are identified by the unique ID obtained by scanning the beacon mounted on the smart nameplate worn by each student, and the scan signal pattern of the specified student is tracked to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ing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a blind spot in which a driver or a leader can not easily confirm it, and also to automatically check and inform a student who is left aboard without getting off after driving the school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ost accidents involving the vehicle.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100 : 스마트 명찰 110 : 비콘
200 : 비콘 스캐너 210 : 도어 스캐너
220 : 전면 스캐너 230 : 후면 스캐너
240 : 내부 스캐너 250 : 비콘정보 수집부
300 : 스마트단말기310 : 스캐너 통신부
320 : 스캔패턴 분석부330 : 탑승여부 판단부
340 : 탑승정보 전송부
400 : 탑승관리서버410 : 탑승예정인원 전송부
420 : 탑승정보 수신부
100: Smart nameplate 110: Beacon
200: Beacon scanner 210: Door scanner
220: Front Scanner 230: Rear Scanner
240: internal scanner 250: beac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0: smart terminal 310: scanner communication unit
320: scan pattern analysis unit 330:
340: board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00: boarding management server 410:
420: boarding information receiver

Claims (9)

Translated fromKorean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학차량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탑승 전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있을 수 있는 스마트 명찰;
통학차량에의 승하차를 위한 도어 부위, 차량 내부, 차량 외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비콘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각 비콘에 등록되어 있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획득하는 비콘 스캐너; 및
통학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학생들의 탑승을 관리하는 인솔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신망상에서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여 학생들을 특정한 후, 통학차량에의 탑승 또는 하차를 위해 도어를 통과하는 동안 비콘 스캐너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로 이루어진 스캔패턴을 토대로, 각 학생들의 통학차량 탑승 또는 하차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출시키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Beacon,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equipped with a smart name tag which can be continuously worn by students using the vehicle before and after boarding;
A beacon, and a beacon, wherein the beacon is separated from a beacon in at least one place selected from a door portion for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a vehicle interior, a vehicle exterior, and combinations thereof, A beacon scanner for acquiring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nformation; And
The beac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eacon scanner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rust to specify the students and then the door is opened for boarding or departing from the vehicle. A smart display that determines whether each student is boarded or unloaded from a schooling vehicle based on a scan pattern consisting of a change in signal intensity of beacon information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a distance from the beacon scanner during passage,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using a beacon including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는 통학차량에의 승차와 하차를 위하여 학생들이 출입하는 도어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스캐너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con scanner includes a door scanner installed at a door portion where students go in and out to get on and off from a schooling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차량의 앞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전면부위에 설치되는 전면 스캐너와 차량의 뒤쪽에 학생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학차량의 후면부위에 설치되는 후면 스캐너와 차량에 탑승해 있는 학생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eacon scanner includes a front scanner installed on a front portion of a schooling vehicle so as to confirm whether there are students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scanner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the schooling vehicle so as to check whether there are students on the rear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among internal scanner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o as to confirm the studen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를 수신하여 학생을 특정함과 아울러, 학생이 통학차량에 탑승하는 동안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를 나타내는 스캔패턴을 토대로 해당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인 통학차량 안전지원 앱(APP)이 탑재되어 있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terminal receives a unique ID on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to specify a student and displays a scan pattern indicating a change in signal intensity of beac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 short- (APP), which is an application that is programm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student is boarded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the program on the display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전송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스캐너 통신부;
비콘정보 상의 고유 ID에 의해 특정된 각 비콘을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인식할 때 발생되는 신호세기를 각 비콘 스캐너별로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학생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추출해 내는 스캔패턴 분석부; 및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에서 상기 도어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이 피크값을 가지면서 다른 비콘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스캔패턴은 일정 범위 이내의 값으로 수렴할 경우 승차로 판단하고, 승차상태에 있던 비콘의 비콘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하차로 판단하여 학생의 탑승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탑승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terminal
A scann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scanner;
A scan pattern for extracting a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 beacon information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student by continuously tracking the signal strength generated when the beacon scanner identifies each beacon specified by the unique ID on the beacon information for each beacon scanner Analysis section; And
The scan pattern analyzing unit determines that the scan pattern obtained from the door scanner has a peak value and that the scan pattern obtained from another beacon scanner converges within a certain range, And a board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oarding of the student is aboard when the information is out of a certain range, and displaying the boarding means on a display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패턴 분석부는 상기 비콘 스캐너마다 인식 가능범위 내에 있는 비콘들과 데이터 통신하면서 획득한 비콘정보의 신호세기를 고유 ID별로 누적 저장하여, 동일 비콘 스캐너에서 획득하게 되는 비콘정보의 신호세기 변화 패턴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can pattern analyzing unit cumulatively stores signal intensities of beacon information acquired while communicating with beacons within a recognizable range for each beacon scanner by unique IDs, and calculates a signal intensity change pattern of beac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ame beacon scanner A boarding management system for a schooling vehicle using a beacon configured to be easily extrac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는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상기 전면 스캐너, 상기 후면 스캐너와 상기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일정기준의 범위 내에 놓이게 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indicates a peak value and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the front scanner, the rear scanner, and the internal scanner is a constan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tudent having the smart name tag having the beacon i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는 상기 도어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학생의 비콘정보 신호가 피크값을 나타내고, 상기 전면 스캐너, 상기 후면 스캐너와 상기 내부 스캐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콘 스캐너에서 측정되는 비콘정보의 신호가 일정기준의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비콘이 구비된 스마트 명찰을 소지하고 있는 학생이 통학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of the student measured by the door scanner indicates a peak value and the beacon information signal measured by at least one beacon scanner selected from the front scanner, the rear scanner, and the internal scanner is The system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a student possessing a smart name tag having the beacon is out of the school vehicle when the predetermined criteria are exceeded.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에는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 도출된 탑승여부의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격지의 탑승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탑승정보 전송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승관리서버는
통학차량에 탑승할 탑승예정인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활성화시켜 각 인솔자나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탑승예정인원 전송부; 및
상기 탑승예정인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탑승여부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갱신된 각 학생들의 탑승 또는 하차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각 학생의 통학차량 이용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탑승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result of the boarding status derived by the boarding status deciding unit to a boarding management server o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boarding management server
A boarding passenger unit for activating information on boarding passengers to board the vehicle in advan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f each driver or driver; And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cheduled number of passengers, the boarding or getting-off information of each student upd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status determination unit is received from the smart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as the vehicle usage information of each student And a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beacon from the boarding vehicle.
KR1020160038016A2016-03-302016-03-30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CeasedKR201701118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38016AKR20170111837A (en)2016-03-302016-03-30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38016AKR20170111837A (en)2016-03-302016-03-30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70111837Atrue KR20170111837A (en)2017-10-12

Family

ID=601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038016ACeasedKR20170111837A (en)2016-03-302016-03-30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70111837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90573A (en)2018-01-252019-08-02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System for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of children school bus
KR102019733B1 (en)*2019-01-022019-09-09주식회사 루프System for providing secure attending school service
KR20200017895A (en)2018-08-102020-02-19주식회사 오션아이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Occupant
KR20200017954A (en)*2018-08-102020-02-19정기홍Method and system for relief service of school buses
WO2020111615A1 (en)*2018-11-262020-06-04한국생산기술연구원Device for checking whether passenger has alighted from vehicle, and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whether passenger has alighted from vehicle using same
KR102110710B1 (en)*2019-04-302020-06-08최원재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KR20200070837A (en)*2018-12-102020-06-18서호성System for monitoring integrational safety of children using Beacon sig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073198A (en)*2020-06-172020-06-23정기홍Method for relief service of school buses
KR20210155421A (en)2020-06-152021-12-23주식회사 스쿨버스School vehicl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90573A (en)2018-01-252019-08-02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System for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of children school bus
KR20200017895A (en)2018-08-102020-02-19주식회사 오션아이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Occupant
KR20200017954A (en)*2018-08-102020-02-19정기홍Method and system for relief service of school buses
WO2020111615A1 (en)*2018-11-262020-06-04한국생산기술연구원Device for checking whether passenger has alighted from vehicle, and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whether passenger has alighted from vehicle using same
KR20200070837A (en)*2018-12-102020-06-18서호성System for monitoring integrational safety of children using Beacon sig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19733B1 (en)*2019-01-022019-09-09주식회사 루프System for providing secure attending school service
KR102110710B1 (en)*2019-04-302020-06-08최원재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KR20210155421A (en)2020-06-152021-12-23주식회사 스쿨버스School vehicl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3198A (en)*2020-06-172020-06-23정기홍Method for relief service of school b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70111837A (en)Boarding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for children's school vehicle
US20200005044A1 (en)Left object detecting system
KR101869391B1 (en)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EP2397995A1 (en)Anti fare evasion system
KR20180075322A (en)safety system for student school bus
KR20200068090A (en)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IoT
KR100910313B1 (en) Child protection system for children's transportation vehicle using visual information
JP2010231549A (en)Passenger display system, program,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18206187A (en)Stop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stop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stop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958238B1 (en)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ransportation vehicle
KR101999971B1 (en)Entry and exit detection system for school buses for children and entry and exit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200223457A1 (en)Providing an alert to a passenger based on a location of the passenger while in transit on a multi-passenger mode of transport
US20220292850A1 (en)Reserved seat monitoring system, reserved seat monit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00554B1 (en)Management system of school bus and children administration
JP2016091481A (en)Room entry/exit management system
CN105809761B (en)Monitor metho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that user enters and leaves
Gadekar et al.QR scan based intelligent system for school bus tracking
KR100820108B1 (en) Passenger Passenger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017570B1 (en)System for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of children school bus
KR101718064B1 (en)Passenger Checking system and method of mass transit
KR200467855Y1 (en)System for counting passenger on bus
KR101341589B1 (en)Automatic recognition system by zigbee tag
US9277355B1 (en)Cellular telephone tracking techniques
KR102122816B1 (en)Safty system for child transportation vehicle
KR101427413B1 (en)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help service and passenger help service server thereof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33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6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70913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62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