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이 앉은 자리에서 직원없이도 자유롭게 주문할 수 있고, 테이블 점유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table order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llowing a customer to freely order without a staff member sitting on the table and easily grasping a table occupancy state.
최근,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개발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상용화되면서, 앉은 자리에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을 하는 방법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spread of smart terminals becomes popular and various developed applications are commercialized, a method of ordering using a smart terminal at the seat is developed and used.
이때,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메뉴를 주문하는 방법은, 테이블에 설치된 단말과 스마트 단말이 연동됨으로써, 주문을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3955호(2015.08.19 공개)에는, 메뉴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고객 단말에서 메뉴를 주문할 수 있으며, 매장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매장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매장 단말기로도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ordering a menu using a smart terminal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installed in a table and a smart terminal are interlocked to place an order. 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93955 (published on Aug. 18, 2015), a menu terminal can be ordered from a customer terminal by receiving menu information from a server, and a store terminal installed in a table of a store , And a menu can be ordered at a store terminal.
다만, 매장 단말기나 고객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을 했다고 할지라도, 직원이 주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를 테이블로 가져다주어야 한다. 또한,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가 준비 완료되는 경우, 고객이 픽업을 한다고 할지라도 어떠한 테이블에 고객이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어 고객은 전광판에 자신의 번호가 출력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진동벨을 이용하여 알려주는 진동벨이 존재하긴 하나, 역시 테이블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However, even if an order is made using a store terminal or a customer terminal, if the employee is ready to order, the food or drink ordered should be brought to the table. In addition, when self-service is used, when the ordered food or drink is prepared, even if the customer picks up, the customer can not confirm in which table the customer is located, so the customer waits until his / Or there is a vibration bell that uses the vibration bell to notify, but the state of the table occupation can not be confirmed ei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원의 픽업 서비스가 없을지라도 고객의 픽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점의 경우일지라도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가 주문 완료되는 경우, 고객이 픽업을 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하며, 고객이 어떠한 테이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테이블 점유 또는 회전 상태를 알 수 있는,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ustomer to be picked up even if there is no pick-up service of an employee, and when an ordered food or beverage order is completed even in a shop using a self-service, And a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that can recognize a table occupancy or a rotation state by knowing what table the customer is located.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을 신호 전송 범위로 가지는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 및 주문 리스트를 매핑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 주문 이벤트의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완료 이벤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n order event and a payment event from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table identif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user terminal in a signal transmission range; Storing and outputting an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an identifier of the table identification terminal, and an order list, storing and outputting the identifier, receiving a completion ev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when preparation of the order list of the order event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that the order list has been prepared based on the completed ev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와 서비스 요청 단말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단말로부터 테이블에 구비된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주문 이벤트, 결제 이벤트, 서비스 요청 단말의 식별자 및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 주문 이벤트의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완료 이벤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단말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n order event and a payment event, the method comprising: mapping and storing an order event and a payment event with an identifier of a service request terminal; Storing and outputting a stored order event, a payment event, an identifier of a service requesting terminal and an identifier of a table identifying terminal, and storing and outputting an identifier of the table identifying terminal. When the preparation of an order list of an ordering event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completion of the preparation to the service requesting terminal or the table identifying terminal based on the input completion even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직원의 픽업 서비스가 없을지라도 고객의 픽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점의 경우일지라도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가 주문 완료되는 경우, 고객이 픽업을 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하며, 고객이 어떠한 테이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테이블 점유 또는 회전 상태를 알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can be picked up even if there is no pick-up service for the employee, and even when the customer uses the self-service, even if the ordered food or beverage is ordered, An alarm is output so that it can be picked up, and it can be grasped to which table the customer is located, so that the table occupation or rotation state can be kn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able ordering service shown in FIG. 1 is implemente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able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present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does not mean" step for. &Quot;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 device, or a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are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 ≪ / RTI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table order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테이블 식별 단말(100),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FIG. 1 are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테이블에 부착 또는 위치되어 테이블을 식별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기 설정된 반경의 신호 반경을 가지는 비콘(Beacon)일 수 있다.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테이블 간의 경계만큼의 거리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이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테이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400) 또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테이블 식별자 및 테이블 번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 또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진동 또는 소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테이블 번호와 테이블 식별자를 각각 표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비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3G나 4G 이동통신, Wi-Fi,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AM 또는 FM 라디오 통신, NFC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과 연동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식별자를 리딩한 사용자 단말(400) 또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식별자와 사용자 단말(400) 또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식별자와 테이블 번호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번호는 사람이 테이블의 번호를 인지하기 위하여 부여한 번호일 수 있고, 테이블 식별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번호는, 1,2,3...순으로 매겨질 수 있고, 테이블 식별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시리얼 넘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400)에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번호 및 테이블 식별자를 리딩하도록 한 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주문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로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400)을 구비하지 않은 고객이 데스크에서 주문한 경우, 서비스 요청 단말(500)과 사용자의 주문 리스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에서 리딩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번호 및 테이블 식별자를 매핑하여 주문 리스트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된 경우,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order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주문 이벤트 또는 결제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주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주문 완료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을 리딩하여 테이블 번호 및 테이블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3G나 4G 이동통신, Wi-Fi,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AM 또는 FM 라디오 통신, NFC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번호 및 테이블 식별자를 리딩하여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고객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주문을 직접하고, 테이블에 착석하는 경우,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테이블 번호 및 테이블 식별자를 리딩하여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해당 주문을 한 고객이 어떠한 테이블에 착석하였는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3G나 4G 이동통신, Wi-Fi,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AM 또는 FM 라디오 통신, NFC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주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able order service shown in FIG. 1 is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400)에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깔려있지 않거나, 고객이 모바일 단말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400)을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포함한다. 이때, 도 2의 (a)에서는 전자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설명하고, 도 2의 (b)에서는 후자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2의 (a) 및 (b)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모두 실시하거나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table order
도 2의 (a)를 참조하면, 수신부(310), 출력부(320), 입력부(330), 전송부(340), 회전 관리부(350), 배달 알림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저장부(370), 출력부(320), 입력부(330), 전송부(340), 회전 관리부(350), 배달 알림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a) 및 (b)의 도면 부호 및 용어가 동일할지라도 그 기능은 후술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 rece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400)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table order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도 2의 (a)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을 신호 전송 범위로 가지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비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의 반경에 따라 신호가 오버레이되는 경우, 옆 테이블과의 신호 중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실제 테이블이 배치되는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이고, 기 설정된 반경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이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출력 레벨은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receiving
출력부(32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400)의 식별자,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 및 주문 리스트를 매핑하여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을 하는 이유는,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가 어떠한 테이블에 착석하였는지 확인하고, 해당 테이블에서 결제 로그를 이용하여 테이블 회전율을 계산하거나 매상을 산출하기 위한 근거를 만들기 위함이다. 또한, 휴게소등에서 각 음식의 조리와 배식구역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 주문 내용을 요리담당자가 출력부(320)나 모니터(미도시)를 보고 즉시 조리에 들어갈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인 무선 인터페이스(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이 부착된 테이블을 식별하는 테이블 번호 출력 모듈(미도시), 진동 또는 소리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330)는, 주문 이벤트의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완료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커피 등의 주문 리스트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를 데스크 등으로 호출하여 음식 또는 음료를 픽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게소등에서도 각 음식 구역별로 주문한 음식의 준비가 되었을 때에도 사용자를 배식구로 호출하여 주문한 음식이나 요리를 픽업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reparation of the order list of the order event is completed, the
전송부(340)는,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진동, 소리 또는 화면 출력으로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회전 관리부(350)는,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의 식별자와 매핑된 주문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주문 리스트가 매핑되어 저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테이블의 식별자 및 카운트된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점주는 해당 테이블별로 시간당 요구되는 매상이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피 하나만을 시켜놓고 2 시간을 테이블을 점유하고 있는 고객 등은 직원을 보내어 더 주문하게 하거나, 주문을 묻는 질문을 하여 해당 테이블을 비우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당 테이블당 예상 매출액 또는 인원별 최소 매출액 등을 기 설정하고, 해당 시간당 해당 설정액 미만인 테이블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점주가 해당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order list mapped with the identifier of the table exists, the table order
배달 알림부(360)는, 전송부(340)에서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400)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로부터 테이블 배달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테이블 배달 이벤트에 대응하는 태그를 사용자 단말(400)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태깅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물론, 사용자는 주문 시에 배달을 시킬 것인지 아니면 본인이 픽업할 것인지 결정하여 주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주문 이벤트는 주문품 배달 및 본인 픽업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Of course, the user may decide to order delivery at the time of ordering, or to pick up the person himself. In this case, the order event further includes any one of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user among the order delivery and the personal pickup.
한편,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 센서와 연동되고, 생체 감지 센서의 감지 데이터를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매핑된 주문 이벤트 또는 결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고,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감지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의 테이블을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이고, 기 설정된 반경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이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출력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The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위치한 각각의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의 점유 상태 데이터를 주문 이벤트 또는 결제 이벤트에 기반하여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점유된 경우, 점유되지 않은 테이블과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점유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표시할 수 있다.The table order
그리고,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 센서(미도시)와 연동되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주문 리스트 또는 결제 리스트가 존재한 후, 생체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감지값 미만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주문 후에 사람이 없는 경우로 판단하여 테이블 청소 이벤트를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주문 리스트 또는 결제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데, 생체 감시 센서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감지값을 초과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테이블 무단 점유 이벤트를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전자는, 손님이 떠난 후 테이블 청소가 안되고 있는 상태이고, 후자는 주문을 하지 않고 테이블만 점유하고 있는 무단 점유 상태를 점주가 인지하도록 한다.The table order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저장부(370)는, 사용자의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와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어떤 주문을 했는지를 파악하고, 해당 주문을 한 사용자가 어떠한 테이블에 착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식별자를 해당 주문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B, the
출력부(320)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부터 테이블에 구비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주문 이벤트, 결제 이벤트,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식별자 및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20)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을 신호 전송 범위로 가지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비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의 반경에 따라 신호가 오버레이되는 경우, 옆 테이블과의 신호 중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실제 테이블이 배치되는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이고, 기 설정된 반경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이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출력 레벨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인 무선 인터페이스(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이 부착된 테이블을 식별하는 테이블 번호 출력 모듈(미도시), 진동 또는 소리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identifier of the
입력부(330)는, 주문 이벤트의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완료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커피 등의 주문 리스트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를 데스크 등으로 호출하여 음식 또는 음료를 픽업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reparation of the order list of the order event is completed, the
전송부(340)는,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진동, 소리 또는 화면 출력으로 주문된 음식 또는 음료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인 무선 인터페이스(미도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미도시), 테이블 식별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진동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회전 관리부(350)는,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의 식별자와 매핑된 주문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주문 리스트가 매핑되어 저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테이블의 식별자 및 카운트된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점주는 해당 테이블별로 시간당 요구되는 매상이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피 하나만을 시켜놓고 2 시간을 테이블을 점유하고 있는 고객 등은 직원을 보내어 더 주문하게 하거나, 주문을 묻는 질문을 하여 해당 테이블을 비우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당 테이블당 예상 매출액 또는 인원별 최소 매출액 등을 기 설정하고, 해당 시간당 해당 설정액 미만인 테이블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점주가 해당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order list mapped with the identifier of the table exists, the table order
배달 알림부(360)는, 전송부(340)에서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단말(500)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한 후, 서비스 요청 단말(500)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로부터 테이블 배달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테이블 배달 이벤트에 대응하는 태그를 서비스 요청 단말(500) 또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과 태깅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 센서와 연동되고, 생체 감지 센서의 감지 데이터를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매핑된 주문 이벤트 또는 결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고,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감지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의 테이블을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이고, 기 설정된 반경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이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지도록 출력 레벨은 조정될 수 있다.The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에 위치한 각각의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의 점유 상태 데이터를 주문 이벤트 또는 결제 이벤트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점유된 경우 점유되지 않은 테이블과 대비되도록 점유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표시할 수 있다.The table order
그리고, 테이블 식별 단말(100)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 센서(미도시)와 연동되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주문 리스트 또는 결제 리스트가 존재한 후, 생체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감지값 미만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테이블 청소 이벤트를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테이블 식별 단말(100)에 주문 리스트 또는 결제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데, 생체 감시 센서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감지값 초과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테이블 무단 점유 이벤트를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전자는, 손님이 떠난 후 테이블 청소가 안되고 있는 상태이고, 후자는 주문을 하지 않고 테이블만 점유하고 있는 무단 점유 상태를 점주가 인지하도록 한다.The table or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는, 고객이 테이블에서 계산한 후, 매장 내 음식 또는 음료 픽업 장소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직원에게 테이블까지 음식 또는 음료를 가져다주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여, 직원의 고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로 인한 이익을 고객에게 쿠폰 형태로 제공하거나 가격을 낮추는 등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table ordering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for allowing a customer to move from a table to a food or drink pick-up place in a store or to bring food or drinks to a table to an employee. In other words, we want to provide an automated system that uses self-service, minimizes the employment of the employees, and provides the benefits to customers in coupon form or lower the price.
이때, 직원에게 주문한 음식 또는 음료를 테이블까지 가져오도록 하는 서비스는 별도 결제를 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과정은, 데스크에서 고객이 주문을 한 경우,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의 식별자와 해당 주문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서비스 요청 단말(500)에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을 리딩하여 식별자 및 테이블 번호를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해당 리딩 데이터를 모두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을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완료 알람을 울리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서비스 요청 단말(500)이 주문품을 데스크에서 테이블까지 직원에게 가져오도록 시키는 경우, 별도의 결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원은 음식 또는 음료를 자리로 가져다줌과 동시에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회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for bringing the food or drink ordered to the employee to the table may be made separately. In the case where the customer places an order at the desk, the table order
한편, 배달서비스는 사용자가 테이블에서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선결제하거나, 데스크에서 카드나 현금으로 선결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atural that the delivery service may be prepaid from the table to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or prepaid by the card or cash at the desk.
픽업하도록 하는 과정 또한 마찬가지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완료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경우, 고객은 픽업을 위하여 데스크로 이동하면서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데스크에 되돌려 줌으로써 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table order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을 참조하면, (a)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가 테이블 식별 단말(100)을 리딩하고, 리딩 데이터와 주문 데이터를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주문한 음식 또는 음료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로 해당 알람을 전송하도록 하여, 본인이 직접 픽업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400)의 부가 결제가 존재하는 경우, 자리로 직접 가져다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3, when a user of the
이때, (b)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신호 반경은 R이라고 하면, R은 각 테이블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호 중첩에 의한 오인식이 없도록 한다.At this time, (b) if the signal radius of the
그리고, (c)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POS 화면은 (c)와 같을 수 있고, 8번 테이블에서 아메리카노를 2 잔 주문한 경우, 테이블의 색상 등을 다른 미점유 테이블과는 다르게 표시하고, 주문 데이터를 테이블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C) The POS screen of the table order
이와 같은 서비스는, 커피숍의 테이블 오더, 고속도로 휴게소 테이블 오더, 백화점 식당가 테이블 오더, 대학가 구내 식당 테이블 오더, 기내 면세품 선주문 또는 결제 모바일 서비스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Such services can be used for table orders for coffee shops, table order for expressway resting places, department store restaurant table orders, restaurant orders for university restaurants, in-flight duty free goods, payment mobile services, and the like.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3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S. 2 to 3 is not described.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1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explanatory contents as described above. Omit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hown data can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S4100, S4200), 사용자 단말(400)이 리딩한 테이블 식별 단말(100),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S4400, S4500), 사용자 단말(400)에서 테이블 식별 단말(100)의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하고(S4600), 사용자 단말(400)과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4700).4, when the order is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400 (S4100 and S4200), the table order
한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주문이 이루어지지 않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직접 주문이 이루어진 경우(S4200), 서비스 요청 단말(500)을 해당 주문과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4300). 그리고 나서, 테이블 식별 단말(100), 테이블 식별 단말(100)을 리딩한 사용자 단말(400) 및 서비스 요청 단말(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한다(S4400, S4500).Meanwhile, when the table order
상술한 두 가지의 경우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S4710),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림을 알리게 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400)로 알림을 알리고(S4800), 후자의 경우에는 서비스 요청 단말(500)로 알림을 알리게 된다(S4810).If the preparation of the order list is completed (S4710), the table order
한편, 전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400)에서 배달 이벤트를 요청하는 경우(S4820), 후자의 경우 서비스 요청 단말(500)에서 배달 이벤트를 요청하는 경우(S4830), 배달 이벤트를 매핑된 테이블과 함께 출력하고(S4900), 배달이 완료된 경우 배달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한다(S4910).On the other hand, in the former case, when the
상술한 단계들(S4100~S491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1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배달 이벤트 전송 단계(S4820, S4830)는 S481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사용자 단말(400)의 주문 단계(S410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10 is only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10 may be mutually vari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 delivery event transmission steps S4820 and S4830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step S4100 of the
한편, 사용자는 주문 시에 배달을 시킬 것인지 아니면 본인이 픽업할 것인지 결정하여 주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주문 이벤트는 주문품 배달 및 본인 픽업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decide whether to deliver or not to pick up when ordering. In this case, the order event further includes any one of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user among the order delivery and the personal pickup.
이와 같은 도 4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4, which is not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of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Omit 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을 신호 전송 범위로 가지는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한다(S51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able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identifier of a table identif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user terminal in a signal transmission range (S5100).
그리고 나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문 이벤트 및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테이블 식별 단말의 식별자 및 주문 리스트를 매핑하여 저장 및 출력한다(S5200).Then,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order event and the payment event from the user terminal, maps and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the identifier of the table identification terminal, and the order list (S5200).
또한,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문 이벤트의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완료 이벤트를 입력받는다(S5300).In addition, when the preparation order list of the order event is completed,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completion ev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5300).
그리고,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입력된 완료 이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로 주문 리스트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전송한다(S5400).Then,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that preparation of the order list is completed based on the input completion event (S5400).
이와 같은 도 5의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5, which is not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explained contents of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FIGS. 1 to 4, Omit it.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a table order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table orde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master terminal by a user via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In this regard, the table order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or installed directly by a user (i.e., a program) and a computer- Can be recorded on th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24557AKR20170101686A (en) | 2016-02-29 | 2016-02-29 | Method for ordering service from tabl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24557AKR20170101686A (en) | 2016-02-29 | 2016-02-29 | Method for ordering service from tab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01686Atrue KR20170101686A (en) | 2017-09-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24557AAbandonedKR20170101686A (en) | 2016-02-29 | 2016-02-29 | Method for ordering service from tabl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10168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31414A (en)* | 2017-09-16 | 2019-03-26 | 이범주 |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ats information service using beacon |
| KR102248351B1 (en)* | 2019-11-14 | 2021-05-06 | 안희철 | Lightnig for table calling and management functions and order sales system using the same |
| CN114298109A (en)* | 2021-12-29 | 2022-04-08 | 北京汇通天下物联科技有限公司 |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even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220056086A (en)*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대호 | Entrance management and order syster based on beacon |
| KR102588797B1 (en) | 2022-08-09 | 2023-10-13 |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 Unmanned order service apparatus using table remote ordering and payment linkage |
| KR102724859B1 (en)* | 2023-06-08 | 2024-11-08 | 엔스토리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nu and ordering for restaura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31414A (en)* | 2017-09-16 | 2019-03-26 | 이범주 |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ats information service using beacon |
| KR102248351B1 (en)* | 2019-11-14 | 2021-05-06 | 안희철 | Lightnig for table calling and management functions and order sales system using the same |
| KR20220056086A (en)*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대호 | Entrance management and order syster based on beacon |
| CN114298109A (en)* | 2021-12-29 | 2022-04-08 | 北京汇通天下物联科技有限公司 |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even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2588797B1 (en) | 2022-08-09 | 2023-10-13 | 주식회사 유니이앤티 | Unmanned order service apparatus using table remote ordering and payment linkage |
| KR102724859B1 (en)* | 2023-06-08 | 2024-11-08 | 엔스토리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nu and ordering for restauran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101686A (en) | Method for ordering service from table | |
| EP3011283B1 (en) | Weighing scale system | |
| KR10114120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order using qr code | |
| US20140257877A1 (en) | Location sensitive processing of restaurant orders | |
| US2019025385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patially Organized Information | |
| US9117231B2 (en) |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 |
| KR101953851B1 (en) | Method for providing unmanned payment service which includes order, payment and receive using customer's device | |
| KR101854403B1 (en) | Method for sharing and donating food | |
| KR101179781B1 (en) | A electronic menu and commercia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qr codes | |
| KR20160068403A (en) | Method for providing restaurant automation service | |
| CN108961611B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to-be-processed commodity | |
| US9495701B2 (en) | Retail venue ordering system and method | |
| KR101905496B1 (en) |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and payment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 |
| WO2013187790A1 (en) | System for ordering using mobile devices and rfid tags | |
| KR101707979B1 (en) | Integrated platform system using beacon | |
| KR20150093957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service | |
| Sharma et al. | RFID based mobiles: Next generation applications | |
| KR101614760B1 (en) | System for ordering menu | |
| GB2488660A (en) | Ordering system | |
| KR101633468B1 (en) | Method for providing store automation service | |
| KR10136061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 KR20160044798A (en) | System for Supporting Pharmaceutical Sales and Method thereof | |
| US20040129770A1 (en) | Ordering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positional information | |
| US20150095169A1 (en)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retail ordering and fulfillment, employing wireless communications | |
| KR20150052456A (en) | Smart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NFC func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2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2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708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