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제성과 사용편리성이 개선된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oxygen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oxygen mask having improved economy and ease of use.
플래시오버(flash over) 현상을 통해 잘 아려진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대부분 화재 발생 초기의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한다.As evidenced by the flashover phenomenon, most of the toxic gases generated during a fire occur in a short period of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따라서 화재 사고시 인명피해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화재 초기의 질식사이다.Therefore,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human injury in a fire accident is suffoca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fire.
최근에는 이와 같은 화재 초기의 질식사 방지를 위해 마스크본체에 산소캔이 일체로 연결된 휴대용 산소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oxygen masks having an oxygen ca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sk body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suffocation of the fir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문헌 제10-0157800호는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Patent No. 10-0157800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oxygen mask.
이러한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리는 마스크본체와,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마스크본체에 직접 연결된 산소캔을 구비한다.Such a portable oxygen mask has a mask body covering the nose and the mouth in a shielded state from the outside, and an oxygen can directly connected to the mask body to supply oxygen into the mask body.
따라서 휴대용 산소마스크 이용자는 화재 발생시, 휴대하고 있던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마스크본체로 코와 입 주위를 가려 유독가스의 흡입이 차단되도록 한 상태에서 산소캔을 통해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를 흡입하면서 안전한 장소로 대피함으로써, 화재발생 초기의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사를 피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case of a fire, users of portable oxygen masks can mask the nose and mouth around the mask of the portable oxygen mask that was carried and block the suction of toxic gas. While oxygen is being supplied to the mask body through the oxygen can, It is possible to avoid asphyxia due to the toxic gas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충전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남은 산소가 산소캔 내부에 남아 있는 상태로 낭비되기 때문에, 산소캔에 저장된 산소를 온전히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oxygen mask is was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oxyg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filling pressure and remains in the oxygen can,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fully use the oxygen stored in the oxygen can.
또한 종래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마스크본체에 결합된 산소캔을 회전시킬 경우, 밀봉 처리된 산소출구가 마스크본체에 형성된 고정침에 의해 단순히 파열되는 형태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캔을 통해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oxygen mask, when the oxygen can attached to the mask body is rotated, the sealed oxygen outlet is provided so as to open in such a manner that it is simply ruptured by the fixed needle formed on the mask bod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emperature.
또 모든 구성이 일체형으로 고정된 종래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제품별로 구성을 차별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급사양과 저급사양 등 등급이 다른 복수의 제품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ortable oxygen masks, in which all the components are integrally fixed, a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each other in compos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a plurality of products having different grades such as high-end specifications and low-end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산소캔에 저장된 산소가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마련된 휴대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oxygen mask provided so as to prevent oxygen stored in an oxygen can from being used and wasted.
또한 산소캔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oxygen mask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the amount of oxygen discharged from the oxygen can.
또한 등급별로 구성의 차별화가 용이한 휴대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oxygen mask which is easy to differentiate in configuration by gra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얼굴의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마련된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장착된 산소캔을 구비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산소캔은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저장공간과, 상기 산소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산소통로와, 상기 산소통로를 통한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산소저장공간으로 주입된 산소의 주입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팽창하여 수축복원력을 통해 내부의 산소를 상기 산소통로 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산소저장공간에 마련된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sk comprising: a mask body provided so as to cover the nose of the 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mouth in a shielded state from the outside; and an oxygen can attached to the mask body to supply oxygen into the mask body The portable oxygen mask as claimed in
상기 팽창부재는 몸통부가 산소저장공간의 중앙을 향하도록 입구부가 상기 산소통로 쪽에 고정된 고무풍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ansion member may include a rubber balloon whose inlet is fixed to the oxygen passage so that the body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oxygen storage space.
상기 산소캔은 상기 산소마스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량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xygen ca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xygen mask so that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to the mask bod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oxygen can.
상기 산소캔은 내부공간이 상기 산소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내부에 상기 산소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캔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캔홀더 내주에는 상기 연결부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안내홈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안내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개폐밸브는 눌림 정도에 따라 산소통로의 개도를 증대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캔홀더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캔홀더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하는 상기 연결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홈과, 상기 누름부에 눌려지는 상기 개폐부재의 누름 정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회전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xygen can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defining the oxygen storage space,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form the oxygen passag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detachable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sideways to fit into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can hold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li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slidably entering the inside of the can holder, A sliding guide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guiding an operation; And a rotation guide groove extending obliqu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liding guide groove for guiding a rota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rotated to adjust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회전 안내홈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걸림을 단계적으로 유발하는 복수의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that cause the guide protrusions to be engaged step by step.
상기 산소통로에는 상기 산소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개폐밸브 쪽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산소조절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oxygen passage may include an oxygen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oxygen supplied from the oxygen storage space to the opening / closing valve.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산소통로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산소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산소조절부재는 상기 개폐밸브의 이동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주변을 통과하는 산소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pen / close valve is screwed to the oxygen passage so as to move along the oxygen passag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xygen control member is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n / close valve to adjust the amount of oxygen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ce. .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공기 중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감지센서가 설치된 추가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ask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additional module provided with illumination for irradiating light and a conta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contamination in the ai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산소캔의 산소저장공간에 마련된 팽창부재의 수축복원력을 통해 산소저장공간에 저장된 산소를 낭비됨이 없이 온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산소캔에 저장된 산소가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use the oxygen stored in the oxygen storage space without wasting it through the shrinking restoring force of the expansion member provided in the oxygen storage space of the oxygen can, And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산소캔의 간단한 회전 조작을 통해 산소캔으로부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산소캔을 통해 배출되는 산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lso, since the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from the oxygen can to the mask body through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the oxygen can, the amount of oxygen discharged through the oxygen can can be easily controlled.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조명과 오염감지센서가 장착된 추가모듈을 마스크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별로 구성을 차별화시키기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use an additional module equipped with an illumination and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to a mask main body, it is easy to differentiate the configuration for each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산소마스크가 착용자의 얼굴 전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있어서, 산소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산소캔의 개폐밸브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산소캔의 개폐밸브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개폐밸브가 저부로 이동하여 산소조절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있어서, 산소캔의 연결부가 마스크본체의 캔홀더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의 안내돌기가 캔홀더의 슬라이딩 안내홈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안내홈의 끝단으로 안내되어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산소캔이 회전하여 안내돌기가 회전안내홈으로 안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산소캔의 연결부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에 비해 개폐밸브가 더 크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assembled state of the portable oxygen mask of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oxygen mask of FIG. 2 is worn on the wearer's fac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xygen can in a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of the oxygen can of Fig. 4,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opene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structure of the oxygen can of Fig. 4,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valve moves to the bottom and the oxygen control member is compressed.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nection portion of an oxygen can is coupled to a can holder of a mask body in a portable oxygen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enters the sliding guide groove of the can holder Respectively.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guided to the end of the sliding guide groove in the state of FIG. 7 to open the on-off valve.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oxygen can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8 and the guide projection is guided to the rotation guide groove.
FIG. 10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oxygen can in the state of FIG. 9,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 / close valve is opened more widely tha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착용자 얼굴(2)의 코(2a)와 입(2b)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마련된 마스크본체(10)와,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마스크본체(10)에 한 몸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산소캔(20)을 구비한다.1 to 3, the
마스크본체(10)는 연질의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의 소재에 의해 착용자의 코(2a)와 입(2b) 주변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마스크본체(10) 양측에는 고정밴드(미도시)의 연결을 위한 한 쌍의 고리(11)가 형성될 수 있다. 코(2a)와 입(2b) 주위가 가려지도록 착용된 마스크본체(10)는 고리(11)에 연결된 고정밴드(미도시)를 착용자의 귀나, 머리 둘레에 거는 방식으로 착용자 얼굴(2)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마스크본체(10)의 외곽이 착용자 얼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본체(10) 내부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both sides of the
마스크본체(10)의 전면 중앙부에는 외부공기가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호흡과정에서 착용자가 뱉는 날숨이 마스크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12)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12)는 통상의 체크밸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마스크본체(10) 양측으로는 호흡과정에서 착용자가 들숨을 들이쉴 때, 마스크본체(10) 내부로 도입되는 외부 공기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13)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3)는 공기 필터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과되는 공기 중에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고체산소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명이 다한 필터(13)를 교체할 수 있게 마스크본체(10) 양측에는 설치홀(14)이 가공될 수 있으며, 필터(13)는 설치홀(14)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착용자의 들숨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마스크본체(10)의 내측 저부에는 산소캔(20)의 설치를 위한 캔홀더(15)가 마련될 수 있다. 캔홀더(15)는 하부로 개방된 원통형태로 마련되어 휴대용 산소마스크(1)가 착용자 얼굴(2)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착용자의 코(2b) 하부에 위치되도록 마스크본체(10) 내부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A can holder 15 for installing the oxygen can 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캔홀더(15)의 상부에는 산소캔(20)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를 캔홀더(15) 외부의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공(15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산소캔(20)이 캔홀더(15)를 통해 마스크본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산소캔(20)으로부터 산소가 배출되면, 캔홀더(15)로 배출된 산소는 통공(15a)을 통해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안내되고, 착용자는 이와 같은 신선한 산소를 흡입하여 안전한 호흡작용을 수행하게 된다.A through
또한 배기구(12) 상부의 마스크본체(10) 전면에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16a)과, 공기중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감지센서(16b)가 설치된 추가모듈(1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
조명(16a)은 어두운 대피환경에서 전방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거나, 이용자에게 특별한 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오염감지센서(16b)는 휴대용 산소마스크(1) 이용자가 스스로 위험을 감지하는 못하는 상황에서도 주변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여부를 알림으로써,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이용자 스스로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조명(16a)이 자동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이외에도 추가모듈(16)에는 소리로써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버저(buzzer)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The
이러한 추가모듈(16)은 그 채용여부에 따라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사양이 달라지도록 하여 모델 별로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구성을 용이하게 차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조명(16a)은 엘이디(LED)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오염감지센서(16b)로는 일산화탄소나, 미세먼지 등 공기의 오염원인이 되는 기체나 이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채용될 수 있다. 추가모듈(16)에는 조명(16a)과 오염감지센서(16b)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써, 배터리(16c)가 더 장착될 수 있다.The
그리고 마스크본체(10)에는 추가모듈(16)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추가모듈(16)은 후방 저부에 마련된 삽입홈(16d)이 결합부(17) 상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마스크본체(10)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In the
결합부(17) 전면에는 추가모듈(16)과의 접속을 위한 접점(17a)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17) 상부 내측에는 결합부(17)에 내장되는 기판(미도시)과 연결된 USB단자(17b)가 설치될 수 있다.A
기판(미도시)과 USB단자(17b)는 추가모듈(16)의 동작정보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추가모듈(16)의 동작이력를 출력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board (not shown) and the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캔(20)은 내부가 산소 저장을 위한 산소저장공간(31)을 형성하는 바디부(30)와, 산소저장공간(31)과 산소캔(20) 외부를 연통시키는 산소통로(41)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바디부(30)로부터 연장된 연결부(40)를 구비한다.4 and 5, the oxygen can 20 includes a
이와 같은 산소캔(20)은 연결부(40)가 마스크본체(10)의 캔홀더(15)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마스크본체(10)와 한 몸을 이루게 된다.The oxygen ca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산소캔(20)은 외부로부터 산소통로(41)를 통해 주입되는 산소를 산소저장공간(31)에 저장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고, 산소저장공간(31)에 저장된 산소는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이용과정에서 산소통로(41)를 통해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된다. 산소통로(41)에는 개폐밸브(50)가 설치되어 산소통로(41)를 통한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The oxygen can 20 stores the oxygen inj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따라서 최초 산소저장공간(31)으로 산소를 충진시킬 때는 개폐밸브(5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산소통로(41)를 통해 외부의 산소탱크(미도시)로부터 산소저장공간(31)으로 산소를 주입하여 충전시키게 되며, 산소저장공간(31)으로 충진된 산소는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사용과정에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되어 사용자의 호흡에 사용된다.Therefore, when the oxygen is filled in the first
이와 같은 산소캔(20)에 있어서, 산소저장공간(31)에는 내부로 충진된 산소를 보다 온전하게 남김없이 사용하기 위한 팽창부재(60)가 설치된다.In the oxygen can 20 as described above, the
팽창부재(60)는 몸통부(62)가 산소저장공간(31)의 중앙을 향하도록 입구부(63)가 산소통로(41) 쪽에 고정된 고무풍선(6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팽창부재(60)는 산소저장공간(31)으로 주입되는 산소의 주입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 상태의 팽창부재(60)는 수축복원력을 통해 내부의 산소를 산소통로(41)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산소저장공간(31)에 충진된 산소는 팽창부재(60)의 수축복원력에 의해 산소저장공간(31)에 남겨지지 않고 온전히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The
팽창부재(60)의 설치를 위해 산소통로(41)의 저부에는 고정링(71)과, 중공의 고정노즐(72)이 설치될 수 있다. 팽창부재(60)는 입구부(63) 외측과 내측이 각각 고정링(71)의 내주와, 고정링(71)으로 삽입되는 고정노즐(72) 하부 외주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산소캔(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산소가 주입되지 않아 팽창 전 상태에 있는 몸통부(62)는 산소통로(41) 저부 내측이나 산소통로(41) 쪽 산소저장공간(31)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A fixing
고정링(71) 저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소통로(41)의 하부에는 제1걸림턱(41a)이 마련될 수 있다. A first stopping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50)는 산소출구(52a)를 구비하여 산소통로(41)에 결합되는 밸브바디(51)와, 산소출구(52a)를 개폐하도록 밸브바디(51)에 결합되는 개폐부재(54)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노즐(72)의 상부 쪽 산소통로(41)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밸브바디(51)는 중공의 상부몸체(52)와 하부몸체(53)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산소출구(52a)는 상부몸체(5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50a, 50b는 밸브바디(51)와 산소통로(41) 사이 및 개폐부재(54)와 밸브바디(51) 사이의 실링을 위한 오링을 가리킨다.The
산소출구(52a)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이 저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개폐부재(54)는 산소출구(52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 직경이 상부에 비해 증가된 쐐기 형태로 마련되어 외면이 테이퍼면(54b)을 형성하는 개폐부(54a)와, 개폐부(54a) 저부에 연장된 지지부(54c)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이러한 개폐부재(54)는 개폐부(54a)가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산소출구(52a)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몸체(52)와 하부몸체(53) 사이에는 개폐부재(54)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5)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55)는 압축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개폐부재(50)는 탄성부재(55)를 통해 상부로 가압되어 테이퍼면(54b)이 산소출구(52a)에 밀착된 상태로 산소출구(52a)를 폐쇄하게 되며, 이 상태에의 개폐부재(54)는 캔홀더(15)에 설치되는 후술하게 될 누름부(15b)에 의해 하부로 가압될 경우, 탄성부재(55)를 압축하면서 테이퍼면(54b)이 산소출구(52a)와 이격되도록 저부로 눌려지면서 산소출구(52a)를 개방시킨다.The opening and closing
도 5에는 산소출구(52a)가 개방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테이퍼면(54b)과 산소출구(52a)의 경사구조에 의해 산소출구(52a)의 개방 크기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개폐부재(54)의 이동거리에 비해 급격하게 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50)는 개폐부재(54)의 눌림 정도에 따라 산소통로(41)의 개도를 증대시키게 된다.Fig.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개폐밸브(50)와 고정노즐(72) 사이의 산소통로(41)에는 산소저장공간(31)으로부터 개폐밸브(50) 쪽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산소조절부재(80)가 마련될 수 있다.An
개폐밸브(50)는 산소통로(4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산소통로(41)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산소조절부재(80)는 개폐밸브(50)의 이동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나 그 주변을 통과하는 산소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산소저장공간(31)으로부터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량을 산소조절부재(80)의 압축 정도와, 개폐부재(54)의 개폐부(54a)의 눌림 정도에 따라 2차에 걸쳐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산소의 배출압력이나, 배출시간을 보다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개폐밸브(50)를 산소통로(41)의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산소통로(41)의 상부 내경에는 암나사(41b)가 가공되고, 밸브바디(51)의 상부몸체(52) 외주에는 암나사(41b)에 나사체결 되도록 수나사(52b)가 가공될 수 있다. 암나사(41b) 저부로 산소통로(41)의 내벽에는 밸브바드(51)의 최대 하강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제2걸림턱(41c)이 마련될 수 있다.A
산소조절부재(80)는 압축스펀지와 같이 압축과 복원이 용이한 재질을 통해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고정노즐(72)의 상부 내측에는 산소조절부재(80)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벳(90)이 설치될 수 있다.The
고정리벳(90)은 하부의 지지부(91)와, 지지부(91) 중앙에 상부로 연장된 축부(92)를 구비하며, 링 형태의 산소조절부재(80)는 축부(9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면이 지지부(91)에 지지되도록 고정리벳(90)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xed
산소조절부재(80)가 끼워진 고정리벳(90)의 축부(92)는 밸브바디(51) 하부몸체(53)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개폐밸브(50)가 저부로 이동하게 될 경우, 산소조절부재(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51)의 하부몸체(53)와 고정리벳(90)의 지지부(91)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눌려져 압축되면서 하부몸체(53)와 지지부(91) 사이의 산소통로(41)를 통과하는 산소량이 줄어들도록 하고, 반대로 개폐밸브(5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산소조절부재(90)는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부몸체(53)와 지지부(91) 사이를 통과하는 산소량을 증대시키게 된다.6, the
밸브바디(51)의 상부몸체(52) 상부에는 조절홈(101)이 형성된 중공의 조절링(1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사용하기 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조절홈(101)에 끼워 개폐밸브(50)를 회전시킴으로써, 산소조절부재(80)의 압축 정도를 조작하여 산소저장공간(31)으로부터 개폐밸브(50) 쪽으로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이와 같이 구성된 산소캔(20)은 마스크본체(10)의 캔홀더(15)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조립되는데, 캔홀더(15)에 장착된 산소캔(20)은 그 회전 위치에 따라 개폐밸브(50)를 통해 마스크본체(10)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oxygen can 20 thus constructed is assembled by being rotatably fitted in the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홀더(15)에 조립되는 산소캔(20) 연결부(40)의 조립동작 안내를 위해 캔홀더(15) 내주에는 연결부(40)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안내홈(15c)이 마련되고, 연결부(40)에는 안내홈(15c)에 끼워지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안내돌기(42)가 마련될 수 있다.7 to 10, in order to guide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oxygen can 20 connecting
안내홈(15c)은 캔홀더(15) 내주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안내돌기(42)는 연결부(40)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그리고 통공(15a)이 형성되는 캔홀더(15)의 상부 중앙 내측에는 산소캔(20)의 개폐부재(54)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15b)가 마련될 수 있다.A pushing
통공(15a)은 누름부(15b)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부(15b)는 캔홀더(15)의 성형시 캔홀더(15)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15b) 둘레의 캔홀더(15)에는 오링(120)이 설치되어 캔홀더(15) 내부로 진입되는 연결부(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통공(15a) 주변의 실링 효율을 높이게 된다.The through
안내홈(15c)은 캔홀더(15)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하는 연결부(4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쪽의 슬라이딩 안내홈(15d)과, 누름부(15b)에 눌려지는 개폐부재(54)의 누름 정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연결부(40)의 회전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슬라이딩 안내홈(15d)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회전 안내홈(15e)을 포함할 수 있다.The
따라서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사용하기 위해 산소캔(20)을 마스크본체(10)에 조립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안내돌기(42)가 슬라이딩 안내홈(15d)으로 진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산소캔(20)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산소캔(20)은 안내돌기(42)가 슬라이딩 안내홈(15d)을 따라 상부로 안내되면서 캔홀더(15)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oxygen can 20 to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50)의 개폐부재(54)는 안내돌기(42)가 슬라이딩 안내홈(15d) 상단으로 이동한 시점부터 누름부(15b)에 의해 눌려져 산소출구(52a)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때부터 산소캔(20)으로부터 배출된 산소는 통공(15a)을 통해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8, the opening / closing
그리고 안내돌기(42)가 슬라이딩 안내홈(15d)의 상부 끝단에 걸린 상태에서는 산소캔(2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42)가 회전 안내홈(15e)에 안내 되도록 할 수 있다.9, when the
따라서 산소캔(20)은 회전안내홈(15e)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42)에 의해 상부로 경사진 회전안내홈(15e)의 기울기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회전안내홈(15e)을 따라 상승하는 산소캔(20)의 상승동작에 의해 누름부(15b)에 의해 눌려지는 개폐부재(54)의 누름 정도는 점점 커지게 된다.The oxygen can 20 is moved upwar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는 개폐부재(54)가 누름부(15b)에 의해 점점 더 깊이 눌려지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54)와 산소출구(52a)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산소출구(52a)로 배출되는 산소량도 증가하게 된다.10,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이때 산소출구(52a)의 개방크기는 누름부(15b)에 의해 눌려지는 개폐부(54a)의 눌림 정도에 따라 커지고, 개폐부(54a)의 눌림 정도는 산소캔(20)을 상승시키는 회전안내홈(15e) 내의 안내돌기(42)의 위치에 따라 의해 결정되는데, 회전안내홈(15e)에는 안내돌기(42)의 걸림을 단계적으로 유발하기 위한 복수의 걸림홈(15f)이 회전안내홈(15e)의 형성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홈(15f)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된 3개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size of the
따라서 휴대용 산소마스크(1) 이용자는 회전안내홈(15e)을 따라 안내돌기(42)가 상승하도록 산소캔(20)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안내돌기(42)가 걸리게 되는 걸림홈(15f)의 위치를 선택하여 산소캔(20)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산소캔(20)을 산소출구(52a)의 개방크기가 서로 달라지는 복수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user of the
1: 휴대용 산소마스크10: 마스크본체
11: 고리12: 배기구
13: 필터15: 캔홀더
15a: 통공15b: 누름부
15c: 안내홈15d: 슬라이딩 안내홈
15e: 회전안내홈16: 추가모듈
16a: 조명16b: 오염감지센서
17: 결합부20: 산소캔
30: 바디부31: 산소저장공간
40: 연결부41: 산소통로
42: 안내돌기50: 개폐밸브
51: 밸브바디52: 상부몸체
52a: 산소출구53: 하부몸체
54: 개폐부재54a: 개폐부
54b: 테이퍼면54c: 지지부
60: 팽창부재71: 고정링
72: 고정노즐80: 산소조절부재
90: 고정리벳1: Portable oxygen mask 10: Mask body
11: collar 12: exhaust port
13: Filter 15: Can holder
15a: through
15c: guide
15e: rotation guide groove 16: additional module
16a:
17: engaging portion 20: oxygen can
30: Body part 31: Oxygen storage space
40: connection 41: oxygen cylinder
42: guide projection 50: opening / closing valve
51: valve body 52: upper body
52a: oxygen outlet 53: lower body
54: opening and closing
54b: tapered
60: Expansion member 71: Fixing ring
72: fixed nozzle 80: oxygen control member
90: Fixed rive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13972AKR101862089B1 (en) | 2016-02-04 | 2016-02-04 | Portable Oxygen Mask |
| PCT/KR2016/001859WO2017135495A1 (en) | 2016-02-04 | 2016-02-25 | Portable oxygen mask |
| CN201680083647.2ACN108883320A (en) | 2016-02-04 | 2016-02-25 | portable oxygen mask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13972AKR101862089B1 (en) | 2016-02-04 | 2016-02-04 | Portable Oxygen Mas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92819Atrue KR20170092819A (en) | 2017-08-14 |
| KR101862089B1 KR101862089B1 (en) | 2018-05-2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13972AActiveKR101862089B1 (en) | 2016-02-04 | 2016-02-04 | Portable Oxygen Mask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62089B1 (en) |
| CN (1) | CN108883320A (en) |
| WO (1) | WO2017135495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87731A (en)* | 2018-01-17 | 2019-07-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A mask having a light generating unit reacting with fine dust concentration |
| KR20190102606A (en)* | 2018-02-26 | 2019-09-04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Canister for gas mask having oxygen supply |
| KR102145691B1 (en)* | 2019-07-05 | 2020-08-18 | 안시은 | Oxygen charging catridge for cosmetic containers |
| KR102269420B1 (en)* | 2020-09-18 | 2021-06-24 | 전용석 | Mask Apparatus For Emergent Escape |
| WO2022108023A1 (en)* | 2020-11-23 | 2022-05-27 | 맥센스 주식회사 | Oxygen mask for fire evacuation |
| WO2022131511A1 (en)* | 2020-12-14 | 2022-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Oxygen storage vessel and oxygen mask, using porous material |
| CN115707494A (en)* | 2021-08-18 | 2023-02-21 | 麦克森斯有限公司 | Oxygen mask for emergency evacu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0405B1 (en)* | 2018-09-07 | 2020-02-21 | 김필립 | A Mask With Aromatic Injectin Function |
| KR101948814B1 (en) | 2018-11-29 | 2019-02-15 | 최상봉 | Fixed-injection type oxygen canister for fire escape and fire escape hood using it |
| KR102231592B1 (en)* | 2020-03-05 | 2021-03-23 | 엄관용 | Disposable Mechanical Ventilator |
| US11918743B1 (en) | 2020-12-14 | 2024-03-05 | Rodney Youman | Oxygen mask |
| CN115382120A (en)* | 2022-08-29 | 2022-11-25 | 江苏海拓科技有限公司 | Real-time drive formula malleation air breath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141649B2 (en)* | 2000-04-17 | 2012-03-27 | Firepass Corporation | Hypoxic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erospace applications |
| KR200271670Y1 (en)* | 2002-01-03 | 2002-04-10 | (주)버추얼메디 | Potable Oxygen Inhaler |
| US7210479B2 (en)* | 2003-11-07 | 2007-05-01 | Van Den Akker Erik | Hyperoxic breathing system |
| KR100661436B1 (en)* | 2005-09-13 | 2006-12-27 | 이종철 | Portable oxygen respirator |
| KR101047082B1 (en)* | 2008-10-13 | 2011-07-06 | 김귀삼 | Portable self-oxygen breathing apparatus and mask having same |
| KR20130000488A (en)* | 2011-06-23 | 2013-01-03 | 이양직 | Breathing mask |
| KR101578800B1 (en)* | 2013-11-01 | 2016-01-06 | (주)스포이너 | Portable Oxygen Mask |
| CN203857262U (en)* | 2014-04-18 | 2014-10-01 | 广东海洋大学 | Portable oxygen bottle |
| CN204582205U (en)* | 2015-04-24 | 2015-08-26 | 方东晖 | Patient in department of cardiology Portable oxygen cylind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87731A (en)* | 2018-01-17 | 2019-07-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A mask having a light generating unit reacting with fine dust concentration |
| KR20190102606A (en)* | 2018-02-26 | 2019-09-04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Canister for gas mask having oxygen supply |
| KR102145691B1 (en)* | 2019-07-05 | 2020-08-18 | 안시은 | Oxygen charging catridge for cosmetic containers |
| KR102269420B1 (en)* | 2020-09-18 | 2021-06-24 | 전용석 | Mask Apparatus For Emergent Escape |
| WO2022108023A1 (en)* | 2020-11-23 | 2022-05-27 | 맥센스 주식회사 | Oxygen mask for fire evacuation |
| KR20220071010A (en)* | 2020-11-23 | 2022-05-31 | 맥센스 주식회사 | Oxygen mask for fire evacuation |
| WO2022131511A1 (en)* | 2020-12-14 | 2022-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Oxygen storage vessel and oxygen mask, using porous material |
| CN115707494A (en)* | 2021-08-18 | 2023-02-21 | 麦克森斯有限公司 | Oxygen mask for emergency evacuation |
| WO2023022281A1 (en)* | 2021-08-18 | 2023-02-23 | 맥센스 주식회사 | Oxygen mask for emergency evacuation |
| CN115707494B (en)* | 2021-08-18 | 2023-12-26 | 麦克森斯有限公司 | Oxygen mask for emergency evacuation |
| US12329993B2 (en) | 2021-08-18 | 2025-06-17 | Maxens Co., Ltd. | Emergency evacuation oxygen mas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8883320A (en) | 2018-11-23 |
| WO2017135495A1 (en) | 2017-08-10 |
| KR101862089B1 (en) | 2018-05-29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62089B1 (en) | Portable Oxygen Mask | |
| CN101815557B (en) |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 CN101815556B (en) | Respirator hose and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 |
| KR101865298B1 (en) | Life mask | |
| KR20200029979A (en) | Facial mask | |
| KR101578800B1 (en) | Portable Oxygen Mask | |
| KR101649715B1 (en) | breathing apparatus | |
| KR101549684B1 (en) | Portable breathing device for multiple user | |
| US10441826B2 (en) | Airflow control valve | |
| KR101743271B1 (en) | Emergency Escape Respirator | |
| KR101741049B1 (en) | Self-contained oxygenator | |
| KR20060004922A (en) | Solid air ducts for respirator hoods and helmets | |
| US20170080263A1 (en) | Mask | |
| TWM506497U (en) | Active ventilation system and equipment containing an active ventilation system | |
| KR20180027483A (en) | Oxygen mask | |
| KR102099708B1 (en) | Gas mask | |
| CN206265273U (en) | Portable multi-purpose EEBD under water | |
| KR20200125198A (en) | Mask having oxygen generator | |
| KR101885875B1 (en) | Re-breathing Apparatus for Disaster | |
| WO1997024259A1 (en) | Mouth piece unit for a breathing device for diving | |
| TWI632935B (en) | Mask | |
| KR101871733B1 (en) | Re-breathing Apparatus for Disaster | |
| US20200008463A1 (en) | Smoking and vaping containment apparatus | |
| KR940002940Y1 (en) | Air supply valve device for dust and gas mask | |
| CN219983785U (en) | Fire extinguisher with adjustable spray distan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05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0524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