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 기구에 센서를 부착하고, 운동시 센서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운동정보를 확인하면서 운동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a fitness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tness management system that attaches a sensor to a fitness device and transmits data acquired by a sensor during exercise to a smar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fitness device that maximizes exercise effects while checking exercise information.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이어트를 하고, 체력을 증진시키며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사람들은 운동을 통해 자신의 몸을 아름답고 기능적으로 가꾸고 있다.In modern society, people's greatest concern is to maintain a healthy life. Men, women and young people, regardless of diet, to maintain their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regular exercise to fit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doing. People are making their bodies beautiful and functional through exercise.
한편, 운동을 하려는 대부분의 사람은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적은 헬스장을 자주 찾아 운동을 하게 된다. 헬스장에는 러닝머신, 자전거와 같은 유산소 운동 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웨이트 트레이닝까지 겸할 수 있어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most people who want to exercise often find themselves in a gym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relatively inexpensive. There are various types of weight training as well as aerobic exercise equipment such as treadmills and bicycles in the gym, and the demand is continuously increasing.
그러나, 헬스장에 방문하는 이용자들은 운동기구의 사용법에 대한 지식이 다소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을 보조해 주는 트레이너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헬스장에서 근무하는 트레이너의 수는 다소 한정적일 뿐 아니라, 어느 정도 운동을 해야 자신의 신체에 맞는 최적화된 운동인지를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visitors to the gym often lack trainers' knowledge of how to use exercise equipment, so there are trainers who assist them. The number of trainers working at these gyms is somewhat limited,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it is an optimal exercise for your body.
특히, 헬스 클럽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해도 회원이 실제 그 프로그램대로 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즉, 몸의 상태나 시간의 제한 등으로 제시된 운동을 하지 못하기도 하고, 회원이 프로그램 자체를 변경해서 하기도 한다. 이 경우 과학적으로 회원의 운동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일 매일의 운동 결과를 저장하고 비교 분석하면서 장기적인 운동 목표에 맞게 다음 운동 프로그램을 조정하거나 추가적인 운동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회원 운동관리는 특별한 경우 종이에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정도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member can not exercise according to the program even if the exercise program is presented at the gym. In other words, you can not exercise because of the condition of the body or the time limit, and the member changes the program itself. In this case, in order to manage the member's exercise scientifically,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store and compare the daily exercise results and to adjust the next exercise program or to present additional exercise to the long-term exercise goal. However, at present, this member movement management has rarely been achieved except in special cases where it is personally recorded on pap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4-0025200호(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에 관한 기본데이터를 측정한 후 이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용 단말기; 입력되는 회원정보, 처방된 운동프로그램, 운동실적, 가이드내용, 종합분석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기본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진단한 후 진단결과에 맞는 운동프로그램과 운동에 필요한 사항을 처방해 주는 가이드진단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간, 성별, 나이, 운동종목, 부위, 체중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가공기; 특정 디스플레이나 기존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가공기의 정보를 조회하고 찾아보며 입력하는 데이터 출력용 단말기;로 구비되어 구성되어 헬스 운동을 할 때 지난 운동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이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다음 번에 운동할 때 제시하고, 이런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용 디스플레이나 무선 단말장치 또는 PC 모니터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25200 (health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measures basic data about itself as shown in FIG. 1, A data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data; A database for storing input member information, a prescribed exercise program, exercise performance, guide contents, comprehensive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like; A guide diagnostic unit for analyzing the inputted basic data to generate an initial exercise program or analyzing and diagnosing information of the exercise performance database, and then prescribing exercise programs and exercises necessary for the diagnosis results; A data processor that analyzes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ime, sex, age, sports item, area, weight, and the like by synthesizing individual and group data; And a data output terminal for inquiring and inputting information of a database and a data processor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a specific display, a conventional computer monitor, a PDA, a mobile phone, etc., Analyzing and presenting an exercise program suitable for the user's condition reflecting the result at the next exercise and continuously accumulating the related data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rough a wireless terminal or a PC monitor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서도 이용자나 트레이너가 직접 운동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트레이너가 없는 경우에는 체계적이지 못한 운동의 반복으로 지루함을 느낄 수 있거나, 부상의 위험과 좋지 못한 운동 습관을 가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is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or the trainer has to input the information that he / she has directly exercised. In the absence of the trainer, the user may feel bored due to the repetition of the systematic exercise, or the risk of injury,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헬스기구에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여 운동을 관리함으로써 자신의 운동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 And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헬스기구에 맞는 운동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체계적이지 못한 운동의 반복을 피할 수 있으며, 부상의 위험도 줄이고 좋지 못한 운동습관도 개선할 수 있는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a health management system which are capable of avoiding repetition of unstructured exercise by receiving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itness apparatus provided from a exercis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smart terminal, And to provide a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fitness mach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개인별 운동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운동수준과 운동상태 및 운동의 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health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monitoring a user's exercise level, a motion state, and the progress of a motion based on individual exercise results stor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
본 발명의 그 외의 목적은 운동시 발생하는 위험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외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fitness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information to a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during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으로서 헬스기구의 일측에 부착되어 운동결과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헬스기구에 대한 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fitness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ch comprises an object internet sensor attached to one side of a fitness instrument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motion, And a movement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the data provi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on the fitness device to the smar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사물인터넷 센서는 헬스기구의 중량추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아두이노 보드에 포함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Internet sensor includ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included in an adonyno board detachably attachable to a weight portion of a fitness instrument.
특히,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단말기는 개인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방법을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운동방법과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비교장치와 상기 비교장치를 통해 개인의 소모열량과 운동강도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smart terminal includ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exercise method suited to an individual's body condition, a motion method input from the input device, A comparison device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and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the result of the calorie consumption and exercise intensity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 comparison device.
또,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운동 관리서버는 표준 신체지수에 맞는 헬스 기구에 대한 운동정보가 저장된 헬스기구 운동정보 저장장치와 개인별 운동기록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는 개인별 운동기록 저장장치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tness exercise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 which exercise information for a fitness mechanism corresponding to a standard body index is stored, And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헬스기구에 센서가 부착되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여 운동을 관리함으로써 자신의 운동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sensor is attached to the fitness apparatus using the object Internet technology and the exercise results can be easily confirmed by managing the exercise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헬스기구에 맞는 운동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체계적이지 못한 운동의 반복을 피할 수 있으며, 부상의 위험도 줄이고 좋지 못한 운동습관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repetition of unstructured exercise by receiving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tness apparatus provided from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mart terminal,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bad exercise habits.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운동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개인별 운동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운동수준과 운동상태 및 운동의 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monitoring the exercise level, the exercise status and the progress of the exercise based on the individual exercise results stor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또,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운동시 발생하는 위험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외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against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during exercise.
도 1은 종래 기술(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4-0025200호)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서 실제 센서가 부착된 헬스 기구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운동 관리서버의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5200)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of a fitness instrument with an actual sensor in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terminal included in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view of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면 기재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hereto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does not mean that the different components have the same function.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서 실제 센서가 부착된 헬스 기구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운동 관리서버의 개념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view of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terminal includ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2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헬스기구(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운동결과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센서(110)와 사물인터넷 센서(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헬스기구에 대한 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운동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data collected from the
여기서 헬스기구는 헬스장에 배치되는 운동기구를 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헬스기구의 명칭은 러닝머신, 벤치프레스 또는 사이클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헬스기구(100)는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는 등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는 장비로서, 손잡이들이 서로 닿을 때까지 이용자가 팔로 2개의 손잡이를 모아 잡아당기는 장치인 펙토럴 덱(pectoral deck), 케이블 상에서 래터럴 바와 상호 교환될 때 이용자가 벤치에 앉아서 바를 목 뒤쪽 아래로 잡아당기는 트리셉스 바(triceps bar)과 같이 중량추 또는 웨이트를 가지고 있는 헬스기구이다.The term " fitness device " refers to a fitness device that is placed in a fitness area, and the name of the fitness device may be a treadmill, a bench press, or a cycle. In particular, the
도 3은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서 실제 센서가 부착된 헬스 기구의 사진이다. 도 3의 (a)는 사물 인터넷 센서(110)가 부착되어 있는 헬스 기구의 사진이며, (b)는 아두이노가 중량추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헬스기구의 전면사진이며, (c)는 아두이노가 중량추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헬스기구의 후면사진이다.FIG. 3 is a photograph of a fitness instrument to which a real sensor is attached in 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photograph of a fitness instrument to which the
사물인터넷 센서(110)는 사물에 부착되어 있으며,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며 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이다. 이러한 센서는 통신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선 통신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선정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기능이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고가의 센서이기 때문에 개인용 헬스기구인 경우에는 유선으로 스마트 단말기(200)와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The
사물인터넷 센서(110)는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는 아두이노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두이노는 회로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손쉽게 회로를 수정할 수 있으며, 통신장치, 사운드 장치 등의 다양한 모듈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감지하며, 관성력, 전기변형, 자이로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상태를 순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헬스 기구의 웨이트(weight) 또는 중량추가 움직이는 동작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속도 센서는 정지계를 기준으로 이른바 관성가속도를 측정하는 관성식 가속도 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나, 중량추의 움직임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종류도 무방하다.The acceleration sensor senses the dynamic force such as acceleration, vibration, impact, etc., and it can instantaneously detect the motion state of the object by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force, electric deformation, gyro, etc.,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moving motion. The acceleration sen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an inertial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so-called inertial acceleration with reference to a stop system, but any type of sensor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weight.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사물인터넷 센서(110)는 하나의 센서로 여러 개의 헬스 기구(100)에 이용될 수 있도록 헬스 기구(100)의 중량추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즉,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센서(110)는 헬스 기구(100)의 중량추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이용자가 헬스 기구(100)의 중량추를 움직이는 경우에 중량추의 움직인 고도를 감지하여 스마트 단말기(200)로 운동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특히, 사물인터넷 센서(110)에 포함되는 아두이노는 간단한 로그장치를 통해 중량추가 움직인 횟수, 움직인 거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rduino included 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mart terminal included in a mo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물인터넷 센서(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결과를 제공한다. 스마트 단말기(200)에는 헬스기구(100)의 운동방법과 개인형 운동결과를 보여주는 어플(APP)(240)을 갖고 있어,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헬스기구(100)의 운동방법을 찾아볼 수도 있도록 한다.The
또 스마트 단말기(200)는 이용자에게 헬스기구(100)의 운동방법을 알려 줌에 있어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용자는 원하는 형태의 방법으로 이해하기 쉽고 더욱 높은 가독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The
또한, 이용자는 스마트 단말기(200)의 입력장치(210)를 통해 개인의 키, 성별, 몸무게, 나이, 허리 둘레 등의 신체조건을 입력하면 운동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으며 개인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횟수와 헬스기구도 추천을 받을 수 있다.The user inputs the physical condition such as the individual's key, sex, weight, age, waist circumference, etc. through the
왜냐하면, 헬스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이용자의 신체적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운동횟수와 헬스기구가 상이해야만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hysical ability of the user is very important factor in exercising by using the fitness apparatus, so the number of exercises and the fitness apparatus must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또한, 스마트 단말기(200)에는 입력장치(210)로부터 입력된 운동방법과 사물인터넷 센서(110)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비교장치(220)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횟수의 적정성, 소모열량, 운동시간의 적정성, 운동강도 및 운동에 의한 피로도 등을 손쉽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특히, 스마트 단말기(200)의 출력장치(230)를 통해 개인의 소모열량과 운동강도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는데, 일반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결과를 제공받으나 운동강도가 너무 현저히 높거나 운동에 의한 피로도가 높을 경우에는 진동 또는 경보음을 통해서도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즉, 운동강도가 자신의 체형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경우에는 이용자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진동장치를 통해 이용자에게 경고한다든지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이용자가 더 이상 헬스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xercise intensity is remarkably high compared to the body type, the user is alerted to the user through the vibration device or the alarm sound to prevent the user from injuring him or herself,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도 운동시 무게, 운동 회수에 따른 피로도, 운동정도를 비교장치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숫자 등의 수치로 알려 주거나, 그래프 또는 색상(피로도에 따라서 다른 색, 예를 들어 피로도가 높을 경우에는 붉은 색, 낮을 경우에는 푸른 색)을 달리하여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Also,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weight during exercise, the fatig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ercises, and the degree of exercise a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 comparator, and the result is indicated by a numerical value or the like, or a graph or color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fatigue, Red for high fatigue, and blue for low fatigue).
도 5는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운동 관리서버의 개념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tion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a mo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운동 관리서버(300)는 개인별 표준 신체지수에 맞는 헬스 기구에 대한 운동정보가 매트릭스 형태로 저장된 헬스기구 운동정보 저장장치(310)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의 키, 몸무게, 나이, 허리둘레 등의 신체 사이즈나 비만도, 혈압, 당뇨 등의 건강지수에 걸 맞는 운동정보가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이용자가 개인용 트레이너(PT, Personal trainer)없이도 체계적으로 헬스 기구를 운동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The
또한, 운동 관리서버(300)에는 개인별 운동기록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는 개인별 운동기록 저장장치(320)를 포함하여 과거 데이터, 현재의 데이터 등을 토대로 이용자의 운동수준과 운동시간, 운동순서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부족한 운동 또는 더 많이 이용되어야 하는 헬스기구의 추천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특히, 헬스 기구의 이용은 운동단계별로 다르게 이용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운동회수, 운동강도에 따라 다른 헬스기구의 이용이 추천되어야 하며, 또한 어떠한 순서대로 운동하는 것이 가장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since it is desirable to use the fitness apparatu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xercise phase, it is recommended to use different fitness apparatus depending on the number of exercise and exercise intensity. Also, in order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ut also to provide information.
또한, 운동 관리서버(300)는 여러 이용자의 운동기록이 있기 때문에 운동시 상호 문의사항이나 운동 팁 등의 유용한 자료를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이를 위하여 운동 관리서버(300)는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330)를 포함하며,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을 통하여 운동 관리서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해 준다.For this, the
또 경쟁심이 있는 이용자 또는 그룹별 이용자를 위하여 다른 이용자의 운동기록이나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면 혼자 하는 운동이 아닌 여럿이 하는 운동의 개념으로 확대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운동의 지루함도 어느 정도 해결가능하다.In addition, by providing other users' exercise records or statistical data for competitive users or group users, it can give a feeling of expanding to the concept of a plurality of exercises rather than a single exercise, Boredom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특히, 본 발명의 헬스 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는 운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잘못된 운동 습관을 스마트 단말기(200)의 어플(240)을 통해 고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a wrong exercise habit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센서(110)가 중량추 부위에 부착되어 순수 y축 운동에서만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러닝 머신의 하부에 부착되는 광센서 또는 자건거의 휠에 부착되는 각센서 등을 통해서도 다양한 축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Although the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시간이 쫓겨 그 전에 운동을 너무 적게 한 경우에는 다음 운동에 적게 한 운동부터 시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운동을 너무 많이 한 경우에는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 주어 부상의 위험도 줄이면서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rt the exercise with less time for the next exercise if the time is shortened and the exercise is made to be less before the exercise, and if the exercise is performed too muc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의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헬스기구에 센서가 부착되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여 운동을 관리함으로서 부상의 위험도 줄이고 좋지 못한 운동습관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운동수준과 운동상태 및 운동의 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fitnes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sensors Internet technology to attach a sensor to the fitness apparatus to manage the exercise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juries and improving the poor exercise habits And can accurately monitor the user's exercise level, the state of the exercise, and the progress of the exerci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통상의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clear that a variety of self-evident transformations are possible without the use of ordinary creative ability.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헬스 기구 110 : 사물 인터넷 센서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입력장치220 : 비교장치
230 : 출력장치240 : 어플
300 : 운동 관리 서버
310 : 헬스기구 운동정보 저장장치
320 : 개인별 운동기록 저장장치
330 : 통신장치100: health appliance 110: things Internet sensor
200: Smart terminal
210: input device 220: comparison device
230: output device 240: application
300: exercise management server
310: Fitness apparatus exercise information storage device
320: Personal exercise record storage device
330: Communication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174AKR20170077361A (en) | 2015-12-28 | 2015-12-28 |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with fitness equipmen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174AKR20170077361A (en) | 2015-12-28 | 2015-12-28 |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with fitness equipm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7361Atrue KR20170077361A (en) | 2017-07-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7174AWithdrawnKR20170077361A (en) | 2015-12-28 | 2015-12-28 |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with fitness equipment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77361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72061A (en) | 2017-12-15 | 2019-06-25 | 김두호 | Health care system available for customized training |
| KR200489190Y1 (en)* | 2018-05-15 | 2019-08-28 | 김지민 | Smart abdominal muscles exercise device linked with user terminal |
| KR102032682B1 (en) | 2019-06-25 | 2019-11-11 | (주) 앤앤컴퍼니 | Training program operation system using small tools |
| KR102032681B1 (en) | 2019-06-25 | 2019-11-11 | (주) 앤앤컴퍼니 | Two-way communication system for exercise instruction using exercise equipment |
| CN110957018A (en)* | 2019-07-17 | 2020-04-03 | 广州智形科技有限公司 | A portable integrated intelligent interactive fitness system and method |
| KR102112266B1 (en)* | 2018-12-26 | 2020-05-19 | 김권수 | System for helping treadmill training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
| KR20200107375A (en)* | 2019-03-07 | 2020-09-16 | 유정용 | System for operating health AP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210037775A (en) | 2019-09-27 | 2021-04-07 | (주) 앤앤컴퍼니 | Two-way communication system for exercise training using mini board |
| KR20210050253A (en) | 2019-10-28 | 2021-05-07 | 이준산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trai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436607B1 (en) | 2021-06-24 | 2022-08-26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Attached internet of thing fitness exercis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230000234A (en) | 2021-06-24 | 2023-01-02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Fitness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72061A (en) | 2017-12-15 | 2019-06-25 | 김두호 | Health care system available for customized training |
| KR200489190Y1 (en)* | 2018-05-15 | 2019-08-28 | 김지민 | Smart abdominal muscles exercise device linked with user terminal |
| KR102112266B1 (en)* | 2018-12-26 | 2020-05-19 | 김권수 | System for helping treadmill training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
| KR20200107375A (en)* | 2019-03-07 | 2020-09-16 | 유정용 | System for operating health AP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032682B1 (en) | 2019-06-25 | 2019-11-11 | (주) 앤앤컴퍼니 | Training program operation system using small tools |
| KR102032681B1 (en) | 2019-06-25 | 2019-11-11 | (주) 앤앤컴퍼니 | Two-way communication system for exercise instruction using exercise equipment |
| CN110957018A (en)* | 2019-07-17 | 2020-04-03 | 广州智形科技有限公司 | A portable integrated intelligent interactive fitness system and method |
| KR20210037775A (en) | 2019-09-27 | 2021-04-07 | (주) 앤앤컴퍼니 | Two-way communication system for exercise training using mini board |
| KR20210050253A (en) | 2019-10-28 | 2021-05-07 | 이준산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trai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436607B1 (en) | 2021-06-24 | 2022-08-26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Attached internet of thing fitness exercis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230000234A (en) | 2021-06-24 | 2023-01-02 |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 Fitness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77361A (en) |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with fitness equipment | |
| US11413501B2 (en) |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 |
| US7931563B2 (en) | Virtual trainer system and method | |
| US20230191197A1 (en) | Smart glove | |
| KR101999748B1 (en) | IoT FITNESS EQUIPMENT, EXERCISE INSTRUCTION SYSTEM, AND EXERCISE I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 US20070135264A1 (en) | Portable exercise scripting and monitoring device | |
| KR102275175B1 (en) | A smart gym integrated solution device interlocked with all fitness equipment using IoT technolog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US11130037B2 (en) | Boxing fitness devi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 |
| KR10120907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xercise guidance | |
| KR101680972B1 (en) | Indoor exercis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 |
| EP1802233A1 (en) |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and for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 |
| JP2008295746A (en) | Portable exercise volume measuring instrument, and exercise volume measuring system | |
| KR20160000124A (en) | Monitoring exercise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for effectual exercise program and method of the same | |
| KR102145692B1 (en) | Customized fitness member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 |
| KR20080028577A (en) | Exercise Consulting Systems and Methods | |
| KR102487154B1 (en) | Fitness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CN114708948A (en) | Intelligent motion management system | |
| CN108261732A (en) |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 US20100210420A1 (en) | Exercise System and Physiological Information Sensing Device Thereof | |
| KR20160090113A (en) | Management and encourage system for practical exercise using wearable device | |
| KR102436607B1 (en) | Attached internet of thing fitness exercis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 KR20050112217A (en) | A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control of fitness center suitable for member's health conditi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 |
| KR101940032B1 (en) | Customized smart health care system for measuring momentum | |
| KR20180026196A (en) | Customizing Fitness Car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KR20200024657A (en) | Athletic performance measuring and strengthening machine and Interactive smart health training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12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