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드론에 센서를 부착한 형태의 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대규모 공장 및 물류 창고의 재난 및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a large scale plant and a warehouse using a movable sensor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a drones.
드론은 일정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사전에 입력된 임무 프로그램으로 비행체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스스로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A drones is a flight program that a pilot does not fly on to carry out certain duties, or a flight program that is remotely piloted or entered in advance and is a flight program in which an aircraft recognizes and judges its surroundings and flies by itself.
드론은 과거에는 주로 적군을 정확히 겨냥해 공격하거나 테러 조직에 은밀히 접근해 타격을 입히기 위한 군사 목적으로 활용 되었다.In the past, the drones were used primarily for military purposes, aimed at attacking the enemy or targeting and attacking the terrorist organization.
그러나 드론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최근에는 상업적인 가능성을 인정받으면서 방송 촬영, 레크레이션, 농업, 통신 중계, 오염 및 자연 재난 지역에 대한 재난 재해 정보 수집, 택배 물류 분야, 센싱 분야 등 점차 민간, 공공 분야로 그 이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들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 되고 있다.However, as the drone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it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public and public sectors, such as broadcast photography, recreation, agriculture, communication relay, disaster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for pollution and natural disaster areas, The range of use is expanding and various forms are being developed to be applicable to these fields.
드론 기술은 민간용 드론 플랫폼 설계 기술, 탑재용 센서 기술, 시스템 통합 기술, 통신 기술 등이 요구되며, 그 응용 분야가 다양하고 활용성도 높은 기술이다.Dron technology is required for civil drones platform design technology, on-board sensor technology, system integr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field is various and highly utilizable technology.
그러나, 종래의 센서들은 한 장소에 부착되어져 있어 사각 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수의 센서 들을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sensors are attached to one place, a large number of sensors must be attached to compensate for a blind spot, which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또한 감시용 드론들은 배터리의 한계 때문에 장시간 감시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므로 비행 시간 및 동작 시간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Also, since the monitoring drones can not perform the monitoring task for a long tim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atter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flight time and operation time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IoT 환경에서처럼 센서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사각 지대 없는 센서 망을 구축하여 넓은 실내의 물류 창고 및 공장을 감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ethod of monitoring a warehouse and a factory in a spacious room by constructing a sensor network without a dead zone efficiently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sensors as in the existing IoT environment I want 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및 물류 창고 재난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은 내부를 센싱하는 이동형 센서, 상기 이동형 센서가 자동으로 착륙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이동형 센서가 얻은 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actory and a warehouse disaster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of an IoT environment using a movable typ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type sensor for sensing the inside, And a server for storing and real-time monitoring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obile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고정형 센서를 이용하는 것 보다 넓은 실내의 대규모 물류 창고 및 공장의 내부를 비용 및 성능 측면에서 보다 효율 적으로 이상 상황 및 침입을 감지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detect abnormal situations and intrusions in a large-scale warehouse and a factory interior of a room than a conventional fixed type sensor in terms of cost and performance.
또한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드론의 배터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24시간 내내 실내를 감시 할 수 있어 산업체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해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내부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effectively solves the battery problem of the drones, so it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room 24 hours a day, so the situation inside the industry can be grasped and the manager can grasp the inside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및 물류 창고 재난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nt and a warehouse disaster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an IoT environment using a mobi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r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및 물류 창고 재난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nt and a warehouse disaster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an IoT environment using a mobi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및 물류 창고 재난 및 침입 감지 시스템은 실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실내의 정보를 센싱하는 이동형 센서(100), 일정 구역마다 설치되어 드론의 배터리가 부족하면 착륙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킹스테이션(200), 이동형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 and warehouse disaster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of the IoT environment using the movable typ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다.2 show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형 센서(100)는 Wi-Fi 모듈, Bluetooth Low Energy(BLE) 비컨, 센서 모듈 및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드론에 부착되는 이동형 센서(1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기존의 IoT 환경의 부착되어 있는 센서들을 대신하여 대규모 물류 창고 및 공장의 넓은 실내를 이동하며 실내의 이상 상황, 재난 및 침입 지를 감지하여 산업체의 자산, 산업 환경 등 산업 보안을 위한 정보들을 다각도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Wi-Fi 모듈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 된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oving
또한, 이동형 센서(100)는 Bluetooth Low Energy(BLE) 비컨을 이용하여 도킹스테이션(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이동형 센서(100)는 충전 모듈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Also,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다.3 shows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킹스테이션(200)은 BLE비컨 및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스테이션(200)은 일정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드론이 비행하며 임무를 수행 중에 배터리가 소모되면 도킹스테이션(20)에 착륙하여 충전을 진행하고 충전이 완료된 드론은 다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배터리가 소모된 드론은 도킹스테이션(200)의 BLE비컨의 RSSI 좌표를 이용하여 도킹스테이션(2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자동으로 착륙하여 충전 모듈을 통해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The drones consumed by the battery can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이처럼 배터리가 소모된 이동형 센서들은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이동형 센서들과 교대로 충전과 임무 수행을 반복한다.
In this way, the battery-depleted mobile sensors alternate with the mobile-type sensors that have been charged with the battery and repeat the charging and commissioning task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r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부(300)는 데이터 저장부, Wi-Fi 모듈 및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서버부(300)는 Wi-Fi 모듈을 통해 이동형 센서로부터 수신한 실내의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유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장 및 물류 창고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동형 센서
200 : 도킹스테이션
300 : 서버부100: mobile sensor
200: Docking station
300: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0326AKR20170072422A (en) | 2015-12-16 | 2015-12-16 | Disaster and trespassing detection system using nomadic sensor for iot environmental factory and warehous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0326AKR20170072422A (en) | 2015-12-16 | 2015-12-16 | Disaster and trespassing detection system using nomadic sensor for iot environmental factory and warehous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2422Atrue KR20170072422A (en) | 2017-06-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0326AWithdrawnKR20170072422A (en) | 2015-12-16 | 2015-12-16 | Disaster and trespassing detection system using nomadic sensor for iot environmental factory and warehous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72422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24644A (en) | 2017-08-31 | 2019-03-08 |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 System and Method for Contolling Warehouse Security based on Io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24644A (en) | 2017-08-31 | 2019-03-08 |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 System and Method for Contolling Warehouse Security based on Io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753162B2 (en) | Fixed drone visualization in security systems | |
| US2022017713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evaluating and determining a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using unmanned airborne vehicles | |
| EP3797342B1 (en) | Precision mapping using autonomous devices | |
| US11157021B2 (en) | Drone tours in security systems | |
| Purohit et al. | SensorFly: Controlled-mobile sensing platform for indoor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 |
| Berrahal et al. | Border surveillance monitoring using quadcopter UAV-aided wireless sensor networks | |
| EP3101873B1 (en) | Wireless network with unmanned vehicle nodes providing network data connectivity | |
| Liu et al. | HAWK: An unmanned mini-helicopter-based aerial wireless kit for localization | |
| Islam et al. | A path planning algorithm for collective monitoring using autonomous drones | |
| US20200064869A1 (en) | Perpetual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illance | |
| WO2015029007A1 (en) |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complex indoor combat | |
| Yu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d drone docking system for cost-effective security system in IoT environment | |
| KR20170114463A (en) |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 monitoring camera and controlling station therefor | |
| Stampa et al. | A scenario for a multi-UAV mapping and surveillance system in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 |
| Kuntze et al. | Situation responsive networking of mobile robots for disaster management | |
| Shih et al. | On the cooperation between mobile robots and wireless sensor networks | |
| Mabrek | IoT Network Dynamic Clustering and Communication for Surveillance UAV's | |
| Vohra et al. | Problems and prospects of flying rotor drones particularly quadcopters | |
| Kumar et al. | Geo-fencing technique in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post disaster management in the Internet of Things | |
| KR20170072422A (en) | Disaster and trespassing detection system using nomadic sensor for iot environmental factory and warehouse | |
| Corbett et al. | Robotic communications and surveillance-the DARPA LANdroids program | |
| Kumar et al. | GIS based fire rescue system for industries using Quad copter—A novel approach | |
| Moiz et al. | QuadSWARM: A real-time autonomous surveillance system using multi-quadcopter UAVs | |
| Behnke et al. | Comparison of distributed ad-hoc network planning algorithms for autonomous flying robots | |
| Hutabarat et al. | Unmanned aerial vehicle design for disaster victim search and rescue operation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localiz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121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