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철근망 조립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이나 보 등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하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철근망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ssembling a reinforcing net and a device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ssembling a reinforcing 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ssembling a reinforcing bar net so that it can be conveyed.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을 시공할 때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시공하고 나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복수 개의 기둥을 시공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면서 건물을 한 층씩 시공한다. 이때, 상기 건물의 기둥이나 보(이하, '기둥'이라고 함.)는 충분한 내구성과 내진성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을 갖도록 콘크리트에 복수 개의 철근을 매설하여 시공한다.Generally, when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concrete is laid on the floor to construct a floor, then a plurality of pillars are placed on the floor, concrete is laid on the floor, and a slab is constructed to construct the building one by one . At this time, a column or 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umn")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by embed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so as to have sufficient durability, vibration resistance,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여기서, 상기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슬라브의 상면으로 단부가 돌출 위치한 각 철근에 새로운 철근을 서로 연결 결합하여야 하는데, 즉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한 각 철근의 단부에 커플러를 각각 결합한 후 상기 각 커플러의 상방 측에 새로운 철근을 세워 위치 즉, 작업자가 직접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새로운 철근을 세워 커플러의 상방 측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새로운 철근의 단부는 커플러 내로 삽입되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철근과 새로운 철근은 연결 결합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슬라브의 각 철근에 새로운 철근을 각각 연결 결합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column, a new reinforcing bar must be connected to each reinforcing bar having an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That is, the coupler is coupled to the end of each reinforcing ba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 new reinforcing bar is set up on the side of the coupler so that the new reinforcing ba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er by using a crane or by a worker directly. When the coupler is rotated, the end of the new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And a new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each reinforcing bar of the slab in this manner.
그런 다음, 상기 슬라브의 상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 각 철근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복수 개의 후프를 설치한 다음 결속끈으로 각 철근과 각 후프를 결합 및 복수 개의 늑근을 결합함에 따라 상기 건물의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철근망 즉, 복수 개의 철근과 후프 및 늑근이 결합된 철근망의 시공이 완료된다.Thereafter, a plurality of hoops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and then the reinforcing rods and the hoop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the rails are combined. Construction of a reinforcing net for construction, that is, a reinforcing net inclu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 hoop and a stay, is comple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근망 시공은 슬라브의 각 철근과 새로운 철근을 연결 결합하기 위해서 크레인이나 작업자가 직접 상기 슬라브의 각 철근 상부에 새로운 철근을 하나씩 각각 세워 위치시키는 작업, 크레인으로 새로운 철근을 지지한 상태에서 커플러를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철근과 새로운 철근을 일일이 하나씩 연결 결합하는 작업, 상기 세워진 각 철근에 후프와 늑근을 결합하는 작업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철근망을 시공하는 작업 시간이나 인력, 비용 등의 많은 발생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construction, in order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of the slab to the new reinforcing bars, a crane or an operator directly places new reinforcing bars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slab, And the new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one by one to each other by rotating the coupler by rotating the coupler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 The cost and the like, and the work efficiency and the workability are deteriorated.
또한, 상기 세워진 각 철근에 후프와 늑근을 연결 결합작업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 가능한 비계 등과 같은 발판 구조물을 설치 및 작업 후 발판 구조물을 해체하는 작업 공정 추가로 인한 시공비용 증가 및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서의 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잘못 설치된 발판 구조물 등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necting the hoop and the carpet to each of the above-mentioned reinforcing bars increases the cost of construction due to the addition of a scaffolding structure such as a scaffolding which can be moved or workable as the worker mov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worker falls due to a carelessness or mistake of an operator or a erroneously installed footstep structure during work at a high place.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63974호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이 개재되어 있는바, 복수 개의 철근 즉, 복수 개의 상부근과 하부근 및 측부근을 기둥 형태로 배열 설치하고 그 외주면에 복수 개의 후프근과 타이근을 설치한 후 체결선(미도시)으로 각 철근에 후프근과 타이근이 결합된 철근망을 선조립하고 나서 크레인을 이용해 상기 철근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송하여 바닥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착철근의 상측부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장착철근에 결합된 커플러를 철근망 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시켜 상기 장착철근과 철근망을 결합하므로 상기 철근망의 시공이 완료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3974 'Pre-assembling method of reinforcing net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is interpos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hat i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and lower sides, A plurality of hoop rods and tie rods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n a reinforcing net in which the hoop rope and the tie rope are joined to each reinforcing bar is assembled by a fastening line (not shown) The reinforcing bar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net is to be installed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reinforcing ba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concrete. Then, the coupler coupled to the mounting reinforcing bar is rotated so as to move toward the reinforcing bar net, Construction of the network is comple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에서 철근망의 각 철근과 후프는 체결선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체결선에 의해 철근망의 각 철근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과 상기 슬라브의 장착철근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착철근에 결합된 커플러를 회전시켜 철근망의 철근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철근과 장착철근은 서로 결합되어 진다.However, since the reinforcement bars of the reinforcing bar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lines in the pre-assembling method of the reinforcing bar for th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columns,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bar are not rotated by the fastening lines, In order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 and the mounting reinforcing bar of the slab, the coupler coupled to the mounting reinforcing bar is rotated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ing bar to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ing bar.
여기서,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과 바닥콘크리트 측의 장착철근의 연결 결합은 커플러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의 각 철근 간의 결합작업이 끝날 때까지 크레인은 철근망을 들어올린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 시공 작업에 따른 시간 및 인력,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성 및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net and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ottom concrete is made by the rotation of the coupler, the crane continues to hold the reinforcing net lifting state until the bonding opera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and the work efficiency are deteriorated because a large amount of time,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그리고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 중 일부의 철근만 커플러에 체결되고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 중 길이가 짧은 철근은 커플러에 체결되지 않고 허공에 떠 있는 상태로 위치 즉, 커플러의 회전만으로는 상기 철근망에서 길이가 짧은 철근을 장착철근에 결합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상기 철근망의 전체적인 내구성이나 내진성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length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bar is fastened to the coupler. Of the reinforcing bars, the short reinforcing bars are not fastened to the coupler, The reinforcing bar can not be coupled with the reinforcing bar having a short length in the reinforcing net by the rotation of the coupler only in the state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overall durability, the vibration resist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are lowered.
또한, 철근망의 각 철근과 후프 및 늑근이 체결선으로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크레인으로 상기 철근망을 세울 때 각 철근과 후프의 결합부분에서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철근망이 비틀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비틀어진 철근망은 원래 상태로 복원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각 철근과 바닥콘크리트의 장착철근을 연결 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the hoop and the hoist by the fastening lines, when the hoist net is erected with the c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reinforcing bars are twisted , The twisted reinforcing bar network can 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can not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floor concret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를 고정클립으로 결합된 철근망의 각 주근이 회전가능함에 따라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이송되는 철근망의 각 주근을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함으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주근을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ar structure,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bar net conveyed by the crane are moved to the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and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bar are rotated and fastened to the coupler, To easily and easily connect the main rods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 보조커플러는 철근망의 각 주근을 커플러로 용이하게 안내함은 물론 상기 보조커플러에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철근망을 들어올린 크레인을 분리함에 따라 철근망의 시공 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크레인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삽입 체결 가능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은 모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각 주근 간 결합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을 향상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coupler is coupled to the coupler coupled to each main shaft of the slab, the auxiliary coupler can easily guide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to the coupler, and furthermore, The work efficiency and workability of the rebar network can be improved by the separation of the crane lifting the rebar net, and in addition, when the crane is separated, the main rods of the rebar net are rotate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nd the main ropes of the slab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and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joining work between the main ropes can be improved.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그와 지지대 및 고정대를 이용하여 단부에 커플러가 결합된 복수 개의 주근을 배열 설치 및 각 주근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후프와 늑근이 결합된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연결 결합하는 철근망의 선조립과정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ig, a support, and a fixing table, wherein a plurality of main ropes coupled to a coupler at an end thereof are arranged and a plurality of hoops and a ridge In the pre-assembl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steel net connecting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steel net and the main ropes of the slab,
철근망의 선조립하는 조립과정과;A prefabricating assembly process of the reinforcing net;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과정;A process of assembl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a connecting coupler by using a reinforcing bar fastener;
철근망을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이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veying step of conveying the reinforcing net using a conveying device.
이때 철근망의 조립과정은In this case,
상기 철근망에서 각 주근과 각 후프가 만나는 부분을 고정클립으로 상기 주근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 portion of each of the main ropes and the hoops in the reinforcing net so that the main rope is rotatable with a fixing clip;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n auxiliary coupler to a coupler coupled to each main end of the slab;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을 들어올려 지지대를 분리하고 나서 슬라브의 각 주근 측으로 철근망을 이송하는 단계;Lifting the reinforcing net using a crane to separate the supports and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net to each main side of the slab;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각각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ends of each of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into the auxiliary couplers associated with respective main ropes of the slab;
상기 철근망으로부터 지그와 고정대를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jig and the fixture from the reinforcing net;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의 각 주근을 연결 결합하는 단계;Rotating each of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respectively and inserting them into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to connect and connect the main ropes;
상기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커플러로부터 보조커플러를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철근망의 선조립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disassembling the auxiliary coupler from the coupled coupler of each main beam.
그리고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과정은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the connecting coupler by using the reinforcing fastening device
운송된 철근구조물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커플러의 상부에 안치시키는 단계;Placing the conveyed reinforcing structure on the top of the coupler using a cradle;
거치대의 상부에 본원 발명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블록의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Fixing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by using a fastening block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철근삽입홈을 통하여 철근이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단계;Inserting and fixing the reinforcing bars through the reinforcing bar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회전공구를 회동기어의 돌출부에 형성된 4각형상의 홈에 삽입하여 회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rotating gear by inserting the rotary tool into a quadrangular groov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gear;
회전공구의 회전력을 받은 회동기어는 양측에 체결된 아이들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이들기어는 외측에 체결된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idle gear secur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gear, which has receiv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ool, and rotating the driven gear coupled to the idle gear;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고정시키는 단계로 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riving gear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idle gear includes a step of fix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coupler by rotating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and fixed in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groove of the "U " shape.
그리고 철근망을 이송과정은 이송하고자 하는 철근의 개수만큼 다수의 고정지그(6200)를 이송지그(6100)의 베이스(6110)와 상판(6120) 및 하판(61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6140)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시켜 구비하는 단계;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net, a plurality of
결합홈(6140)에 삽입되어 구비된 다수의 고정지그(6200)를 건축현장에 미리 시공되어 있는 철근의 간격에 맞게 조정한 후, 고정지그(6200)가 위치된 베이스(6110)의 각 볼트구멍(6111)에 각각의 고정볼트(6112)를 체결하여 고정지그(6200)의 걸림판(6220)을 베이스(6110) 상판(6120)의 걸림돌부(6121) 측으로 밀착 이동시켜 가압 고정 하는 단계;A plurality of
고정지그(6200)의 고정판(6210)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구(6230)의 삽입공(6231)에 각 고정부재(6300)의 고정바(6310)를 최외측의 고정지그(6200)로부터 관통시켜 결합하는 단계;The
이송지그(6100)의 연결브라켓(6113)에 구비된 연결고리(6114)에 같이 로프를 매개로 크레인을 연결하여 이송지그(6100)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moving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의 결합이 고정클립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이 결합된 철근망의 각 주근은 회전가능함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이송되는 철근망의 각 주근을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삽입 체결하므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상기 슬라브의 주근은 손쉽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철근망 시공 작업에 따른 시간이나 인력, 비용 등의 손실을 줄임은 물론 작업 효율성과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ropes and the hoop of the reinforcing net to be installed in order to construct the column is made by the fixing clip,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So that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are lifted by the crane and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re positioned on the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Not only can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nd the main ropes of the slab be easily and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loss of time, manpower, cost and the like due to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reinforcing net can be reduced and work efficienc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
또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보조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조커플러에 의하여 철근망의 각 주근은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로 용이하면서도 손쉽게 안내됨에 따라 상기의 각 주근 간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커플러에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철근망을 들어올린 크레인을 철근망으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시공 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coupling the auxiliary couplers to the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re easily and easily guided by the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by the auxiliary coupler, And the crane lifting the reinforcing net is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net 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reinforcing net ar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coupler,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이와 함께, 상기 크레인이 분리된 상태에서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삽입 체결 가능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은 모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철근망의 전체적인 내구성이나 내진성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을 온전히 유지하면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 간 결합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bar net are rotated while the crane is separated, the end portions of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re inserted into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nd workability due to the bonding work between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and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bar net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durability, the vibration resist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net have.
그리고,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가 고정클립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으로 크레인으로 철근망을 들어올릴 때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를 결합하는 부분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전체적인 철근망이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철근망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철근망의 각 주근과 후프가 틀어진다고 하여도 각 주근과 후프를 결합하는 고정클립에 의해 각 주근이 회전가능함으로 인해 상기 철근망은 원래 상태로 복원되므로 인해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은 슬라브의 각 주근에 정확하게 위치함에 따라 상기 각 주근 간의 결합작업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Since the main ropes and the hoop of the reinforcing net are coupled by the fixing clip, when the reinforcing net is lifted by the crane, the portion of the reinforcing net that joins the main ropes and the hoop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ing phenomenon. In addition, even if the main ropes and the hoop of the reinforcing bar mesh are twisted in the course of raising the reinforcing bar net, the main ropes can be rotated by the fixing clip, Since the ne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main ropes of the reinforcing net ar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main ropes of the slab, so that the joining operation between the main ropes is very convenient and easy.
도 1은 본 발명 철근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망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철근망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 철근망을 슬라브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삽입하는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 철근망에서 크레인 및 지그와 고정대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 철근망의 각 주근을 회전시켜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는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커플러를 분리하는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에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고정기 및 철근체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view.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assembling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by a cran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bove a slab;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end of each main end of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 auxiliary coupler coupled to each main end of a slab;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and a jig are separated from a fixing table in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ar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couplers coupled to the ends of the main ropes of the slab by rotating each main rope of the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uxiliary ropes are separated in a state in which main ropes of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in ropes of a slab are connected and connecte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device and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are fastened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1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1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0 and 2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rincipa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transfer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망조립과 이송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and transporting a reinforc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vice used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병은 철근망의 조립과정과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과정; 이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process i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connecting coupler us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process and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device; And a transferring step.
우선 철근망의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ne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9.
본 발명은, 건물의 기둥이나 보(이하, '기둥'이라고 함.) 등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복수 개의 철근 즉, 주근(1041)과 후프(1042) 및 늑근(1043)을 결합하여 기둥 형상의 철근망(1040)을 지상에서 조립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철근망(1040)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하여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과 슬라브(1090)의 상면으로 돌출된 각 주근(1091)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used for constructing pillars or be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llars) of a building or the like are combined with the
상기 철근망(1040)에 사용되는 철근 즉, 주근(1041)과 후프(1042) 및 늑근(1043)은 외면에 나선형 형태의 돌부가 형성된 나사형 철근 및 외면에 링 형태의 돌부가 복수개 구비된 링형 철근을 비롯한 건축 및 토목 등에 사용되는 모든 철근이 적용가능하며, 후술할 커플러(C)는 상기 철근의 외경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경부로 형성되어 있다.The reinforcing bars used for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철근망(1040)은 도면에서와 사각기둥 형상은 물론 삼각이나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 기둥 형상은 물론 원형 또는 타원형 기둥 형상 및, 불규칙한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철근망(1040)을 조립하기 위한 후술할 지그(1010)와 지지대(1020) 및 고정대(1030) 등의 형상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net 1040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or elliptical columnar shape, an irregular columnar shape, as well as a polygonal columnar shape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pentagonal shape, a hexagonal shape, etc. The shape of the
상기 철근망(1040)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제작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도 1 ~ 도 3에서와같이 지그(10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그(10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주근(1041)의 일단을 지지 고정하도록 상기 주근(1041)이 삽입 위치되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장착공(1011a)을 갖는 장착부재(101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
상기 각 장착공(1011a) 사이의 장착부재(1011) 면상에는 상기 각 장착공(1011a)에 주근(1041)이 삽입 및 상기 삽입된 주근(1041)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바(1015)가 삽입되어 고정장치부(1014)의 고정축(1014a)에 의해 록킹 및 록킹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바(1015)가 삽입 및 탈거되는 고정공(1012a)이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1012)가 형성되어 있다.A fixing
상기 지그(1010)의 일측부에는 고정바(101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바(1015)의 끼움돌부(1015a)가 삽입 및 탈거되는 회동부(101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1013)의 반대 측인 지그(1010)의 타측부에는 각 장착공(1011a)에 주근(1041)이 각각 삽입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장착공(1011a)에서 주근(1041)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1012)의 고정공(1012a)으로 삽입된 고정바(1015)를 고정 즉, 지그(1010)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바(10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부(1014) 및 상기 고정장치부(1014)에서 삽입 및 탈거되면서 고정바(1015)를 고정 및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고정축(1014)이 결합되어 있다.A
상기 지그(1010)에는 복수 개의 주근(1041) 및 후프(1042)와 늑근(1043)이 결합 즉, 기둥 형태로 배열 설치된 각 주근(1041)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 개의 후프(1042) 및 보강철근인 복수 개의 늑근(1043)이 결합된 기둥 형상을 갖는 철근망(1040)을 크레인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크레인과 지그(1010)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볼트(1016)가 복수 개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주근(1041)의 타단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대(10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020)의 상, 하부 및 양측부에는 각 주근(1041)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1020a)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A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후프(1042)와 각 주근(1041)이 만나는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클립(108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클립(108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1080)의 중앙부에 주근(104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주근(1041)이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10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클립(1080)의 양단부에는 후프(1042) 외주면에 걸어지는 걸이홈(108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상기 고정클립(1080)은 철근망(1040)의 형상 즉, 원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등에 따라 다른 구조의 고정클립을 사용하나 상기 고정클립(1080)은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이 회전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과 상기 슬라브(1090)의 상면으로 돌출된 각 주근(1091)을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 단부에는 커플러(C) 즉, 주근(10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나사산을 갖는 내경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커플러(C)가 결합되어 있다.A coupl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end of each
상기 지그(1010) 측에는 상기 지그(1010)의 장착부재(1011)에 의해 상, 하부 측에 각각 설치된 각 주근(1041)의 단부를 지지 고정함은 물론 지지대(1020)와 더불어 철근망(1040)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각 주근(1041)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10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1030)의 테두리 즉, 상부와 하부 및 양측부에는 지그(1010) 측에 위치하는 각 주근(1041)의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C)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공(1030a)이 형성되어 있다.The ends of the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에는 상기 복수 개의 주근(1041) 및 후프(1042)와 늑근(1043)이 결합된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 단부를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로 안내하도록 하는 보조커플러(106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 plurality of
상기의 보조커플러(1060)는 도 5에서와같이,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 단부의 삽입 위치를 안내함은 물론 상기 삽입된 주근(104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주근(1041)이 탈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본체(106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61)의 양측 외주면에는 결합홈(1061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61)의 개방된 측에는 본체(1061)에 결합된 주근(1041)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커버(106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1063)의 양측부에는 커버(1063)를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각 결합홈(1061a)으로 삽입되는 결합돌부(106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61)의 하부에는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커플러(C)가 탈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연장관(1062)이 형성되어 있다.5, the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사이에는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사이의 간격이 넓어 설치된 각 주근(1041)이 하방 측으로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근(1041)을 받치는 복수 개의 받침봉(1071)을 갖는 받침지지대(10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받침지지대(1070)는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사이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대(1020)의 후방 측에 주근(1041)이 길게 위치할 경우 상기의 주근(1041)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대(11020)의 후방 측에도 설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는 바닥에 위치 설치하거나 또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 설치할 수 있는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그(1010)와 지지대(102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대(1020)의 후방 상부 측에 복수 개의 철근 즉, 철근망(1040)의 주근(1041)을 위치한다.The
상기 주근(1041)을 지지대(102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020a)으로 삽입하고 나서 계속 이동시켜 상기 지그(1010)의 상부에 결합된 장착부재(10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장착공(1011a)에 삽입한다.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사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주근(1041)을 설치하고 나서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의 하부에서도 복수 개의 주근(1041)을 설치한다.A plurality of
상기 지그(1010)에 결합된 회동부(1013)에 고정바(1015)의 끼움돌부(1015a)를 삽입하고 나서 고정바(1015)를 지그(1010)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장착부재(1011)에 결합된 각 고정부(1012)의 고정홈(1012a)에 고정바(1015)를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장치부(1014)의 고정축(1014a)을 외부로 탈거시켜 끼움돌부(1015a)가 형성된 반대쪽 고정바(1015)의 외면을 눌러주어 고정바(1015)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The
그러면, 상기 고정바(1015)에 의해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의 상부에 설치된 각 주근(1041)이 장착부재(1011)의 장착공(1011a)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지그(1010)의 상부에 각 주근(1041)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The fixing bars 1015 prevent the
그리고 상기 지그(1010) 측에 위치하는 각 주근(1041)의 단부에 커플러(C)를 각각 결합한 후 상기 지그(1010)의 전방에 고정대(1030)를 위치시켜 상기 고정대(103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공(1030a) 중 고정대(1030)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각 고정공(1030a)으로 커플러(1050)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The coupler C is coupled to an end of each
그런 다음,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및 고정대(1030)의 상부 측에 복수 개의 주근(1041)이 설치된 상태에서 1에서 볼 때 철근망(1040)의 전, 후면 측에 복수 개의 주근(1041)을 설치하는데, 즉 상기 지지대(102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020a)으로 주근(1041)을 각각 삽입하고 나서 상기 삽입된 주근(1041)의 단부에 커플러(1050)를 결합한 다음 상기 커플러(1050)를 고정대(103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공(1030a)에 각각 삽입 고정한다.When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지지대(1020)와 고정대(1030)의 전면에 복수 개의 주근(1041)을 설치하고 나서 상기 지지대(1020)와 고정대(1030)의 후면에도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주근(1041)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주근(1041)은 기둥 형태로 배열 설치된다.A plurality of
그런 다음,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사이에는 기둥 형태로 배열 설치된 각 주근(1041)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복수 개의 후프(1042) 즉, 어느 한 부분이 절개된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후프(1042)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나서 상기 주근(1041)과 후프(1042)가 만나는 부분을 고정클립(1080)으로 결합한다.Between the
즉, 상기 각 주근(1041)과 후프(1042)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클립(1080)의 체결홈(1081)에 주근(1041)을 외주면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함과 함께 고정클립(108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 걸이홈(1082)에 후프(1042)의 외주면에 걸어 고정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각 주근(1041)과 후프(1042)가 만나는 부분을 고정클립(1080)으로 결합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그러므로 상기 고정클립(1080)의 체결홈(81)에 끼움 결합된 각 주근(1041)은 회전가능함으로써, 추후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을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에 결합시킬 때 상기 철근망(1040)의 주근(1041)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의 각 주근(1041,1091)의 연결 결합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The
한편, 상기 각 철근(1041)과 각 후프(1042)가 결합된 기둥 형상인 철근망(1040)의 내구성과 내진성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경도 등을 한층 더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근인 늑근(1043)을 상기 철근망(1040)의 외측이나 내측에 복수 개 설치하고 나서 상기 고정클립(1080)을 이용하여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에 결합 고정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지그(1010)와 지지대(1020) 및 고정대(1030)에 의해 복수 개의 주근(1041)과 후프(1042) 및 늑근(1043)이 결합된 기둥 형상인 철근망(1040)이 제작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40)을 들어올려 세로방향으로 세운 다음 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한다.When a columnar reinforcing net 1040 having a plurality of
즉, 크레인에 연결된 줄을 상기 지그(1010)에 결합된 고정볼트(1016)에 연결 고정한 후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줄을 올리게 되면 철근망(1040)은 도 4에서와같이 세워지게 되고, 상기 세워진 상태에서 줄을 더 올려 철근망(1040)은 바닥으로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킨 다음, 상기 철근망(1040)에서 지지대(1020)를 분리하고 나서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송한다.That is, when a string connected to the crane is connected and fixed to a
여기서, 상기 철근망(1040)을 들어올리고 이송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레인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를 갖는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의 결합된 줄 및 인양용 바를 이용하여 철근망(1040)을 들어올릴 수 있는데, 상기 철근망(1040)을 인양 및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 및 사용가능하다.As a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the reinforcing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이송되는 지그(1010)의 반대 측 즉, 도면상 하부 측에 위치하는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 단부를 도 5에서와 같이 슬라브(1090)에 돌출 위치한 각 주근(1091)의 상방 측에 위치시킨다.The ends of the
이때, 상기 슬라브(1090) 측의 각 주근(1091) 단부에는 상기 각 주근(1041)과 각 주근(1091)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C)가 각각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각 커플러(C)에는 보조커플러(1060)가 각각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조커플러(1060)에 의해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은 상기 슬라브(1090) 측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로 안내되고, 상기 안내되는 각 주근(1041)은 커플러(C)에 의해 상기 슬라브(1090) 측의 각 주근(1091)과 연결 결합된다.At this time, a coupler C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브(1090) 측의 각 주근(1091)에 커플러(C)를 결합한 다음, 상기 보조커플러(1060)의 연장관(1062) 내로 커플러(C)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연장관(1062)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1061)와 커버(1063)가 결합된 내측으로 상기 철근망(1040)의 주근(1040) 단부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철근망(1040)의 주근(1041) 단부는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 측으로 안내된다.6, the coupler C is coupled to each of the
상기 보조커플러(1060) 내에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이 삽입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철근망(1040)으로부터 지그(1010)와 고정대(1030)는 물론 철근망(1040)을 들어올려 이송시킨 크레인을 분리한다.When the
그런 다음, 도 8에서와같이 상기 철근망(1040)의 주근(1041)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주근(1041)의 단부는 상기 슬라브(1090)의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 내로 삽입되어 체결된다.8, th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을 회전시키면서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 내로 삽입 체결하므로 상기 슬라브(1090)의 상부에 시공하고자 하는 기둥의 철근 구조물인 철근망(1040)이 설치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은 고정클립(10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주근(1041)은 고정클립(1080)의 체결홈(1081) 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각 주근(1041)의 단부가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 내로 삽입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커플러(C)에 의하여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과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은 서로 연결 결합되므로 상기 슬라브(1090)의 상면에 철근망(1040)의 설치된다.In other words, since each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과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이 상기 커플러(C)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철근망(1040)의 설치되면, 도 9에서와같이 상기 철근망(1040)의 각 주근(1041)과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로부터 보조커플러(1060)을 분리한다.When the
즉, 상기 보조커플러(1060)의 본체(1061)로부터 커버(1063)를 상방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나서 상기 본체(1061)의 개방된 면과 연장관(1062)의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철근망(11040)의 각 주근(1041)과 상기 슬라브(1090)의 각 주근(1091)에 결합된 커플러(C)를 이탈시켜 보조커플러(1060)를 분리한다.That is, after the
그러므로 상기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위치인 슬라브(109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주근(1041)과 후프(1042) 및 늑근(1043)이 결합된 기둥 형상의 철근망(1040) 설치가 완료된다.Therefore, a columnar reinforcing net 1040 having a plurality of
즉, 지그와 지지대 및 고정대를 이용하여 단부에 커플러가 결합된 복수 개의 주근을 배열 설치 및 각 주근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후프와 늑근이 결합된 철근망의 각 주근과 슬라브의 각 주근을 연결 결합하는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에 있어서,That i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main ropes coupled to the ends of the main ropes by using the jig, the support rods and the rods, and connecting the main roots of the main roots and the slabs of the rope net, In the pre-assembling method of reinforcing net,
상기 철근망에서 각 주근과 각 후프가 만나는 부분을 고정클립으로 상기 주근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 portion of each of the main ropes and the hoops in the reinforcing net so that the main rope is rotatable with a fixing clip;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 단부에 결합된 커플러에 보조커플러를 결합하는 단계;Coupling an auxiliary coupler to a coupler coupled to each main end of the slab;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근망을 들어올려 지지대를 분리하고 나서 슬라브의 각 주근 측으로 철근망을 이송하는 단계;Lifting the reinforcing net using a crane to separate the supports and transferring the reinforcing net to each main side of the slab;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 단부를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보조커플러 내로 각각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ends of each of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into the auxiliary couplers associated with respective main ropes of the slab;
상기 철근망으로부터 지그와 고정대를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jig and the fixture from the reinforcing net;
상기 철근망의 각 주근을 각각 회전시켜 상기 슬라브의 각 주근에 결합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의 각 주근을 연결 결합하는 단계;Rotating each of the main rods of the reinforcing net respectively and inserting them into couplers coupled to the main ropes of the slab to connect and connect the main ropes;
상기 각 주근이 연결 결합된 커플러로부터 보조커플러를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nd disassembling the auxiliary coupler from the coupled couplers of the respective main rods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0 ~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과정(S1)과; 별도로 고정기를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과정(S2)과;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과정(S3)을 포함한다.10 to 1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S1) of connect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of 25 kg or less, which can be carried and handled by a worker, to a foundation reinforcing bar using only a cradle and a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and; A step (S2) of connect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of 15 kg or more to the foundation reinforcing bar using a separate fixing device; (S3) connecting more than 25 kg or mor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the foundation reinforcing bars by using a reinforcing conveying device and a crane.
상기에서 거치대(200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한 쌍의 철근을 관형상의 커플러(C)를 매개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특정 구조의 거치대(2000)를 매개로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철근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The
즉, 상기 거치대(2000)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철근 연결작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철근 상단에 커플러(C)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커플러(C)에 특정 구조의 거치대(2000)를 장착한 후, 이를 매개로 다른 하나의 철근을 임시로 거치한 후 간편하게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work 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거치대는, 특정 구조를 갖는 커플러장착부(2012)와 철근삽입부(2020) 및 지지부(2040)가 일체형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부(2020) 측에 착탈부(2030)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reinforcement connect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먼저,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는 그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2014)가 형성된 대략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느 하나의 철근 단부에 나사 결합된 커플러(C)의 외주면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커플러(C)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First, the
또한,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의 상면 일측은 상기 착탈부(2030)의 결합 시 안착지점이 되는 안착부(2016)을 형성하게 된다.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철근삽입부(2020)는 그 평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다. The reinforcing
상기 지지부(2040)는 상기 착탈부(2030)가 위치되는 지점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2042)가 형성된 대략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근삽입부(2020)의 외주면상에 볼트(2044) 체결을 통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착탈부(2030)의 결합 시 이를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The
상기 지지부(2040)에 형성된 가이드부(2042)는 상기 착탈부(2030)의 결합 시 손잡이부(2032)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040)는 그 내주면이 상기 철근삽입부(20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볼트(2044)가 상기 지지부(2040)를 관통하여 상기 철근삽입부(2020)에 체결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참조부호 46은 상기 한 쌍의 볼트(2044)의 체결을 위해 지지부(2040)에 천공된 볼트체결홀을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46 denotes a bolt fastening hole drilled in the
상기 착탈부(2030)는 그 평면의 형상이 상기 철근삽입부(2020)와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근삽입부(2020)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철근삽입부(2020)와 함께 대략 관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철근을 관형태의 내부 공간에 임시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e
또한, 상기 착탈부(2030)의 외주면 중앙에는 손잡이부(2032)가 돌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203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착탈부(2030)를 상기 지지부(2040)의 가이드부(204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철근삽입부(2020)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A
이때, 상기 손잡이부(2032)는 착탈부(2030)의 몸체를 관통하는 볼트를 매개로 구성되며, 이에 선택적으로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그 단부가 상기 철근삽입부(2020)에 거치된 철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가고정 시키도록 함에 따라, 해당 철근을 이송한 지그(도시안됨) 등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철근이 임의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철근삽입부(2020) 및 착탈부(2030)가 맞닿으면서 형성되는 관형상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의 내주면 직경 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용이하게 상기 커플러(C) 측으로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shape formed by abutting the reinforcing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이용하여 철근의 연결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가설된 다수의 철근 상단에 각각 커플러(C)의 하측부분이 체결 결합되도록 한 후 각각의 커플러(C)에는 상기 거치대(2000)의 커플러장착부(2012)를 끼워 결합시킨다.In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using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s of the couplers C are fastened to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stalled to form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the
이때, 상기 커플러(C)의 상단은 거치대(2000)의 철근삽입부(2012) 하단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 결합되게 되며, 그 삽입상태는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방부(214)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upler C is inserted until it abuts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커플러(C)에 거치대(2000)를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커플러(C)의 철근삽입부(2020)에 착탈부(2030)가 맞닿도록 결합시켜 상기 철근삽입부(2020) 및 착탈부(2030)가 관형태를 이루면서 연결을 위한 다른 하나의 철근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After the
이때, 상기 착탈부(2030)는 상기 지지부(2040)에 형성된 가이드부(2042)에 손잡이부(2032)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착탈부(2030)의 하단이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 상면의 안착부(2016)에 닿을 때까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평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몸체가 반원형상을 갖는 철근삽입부(2020)의 몸체와 상호 맞닿으면서, 상호 관형태를 이룬 상태로 상기 지지부(2040)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 후, 크레인(도시안됨)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이송하여 해당 철근을 상기 철근삽입부(2020) 및 착탈부(2030)를 매개로 형성된 관형태의 몸체 내부에 걸쳐놓고 상기 크레인을 분리한다.Thereafter, the reinforcing bars to be connected are transferred using a crane (not shown) or the like,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tubular body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철근삽입부(2020) 및 착탈부(2030)를 매개로 형성된 관형태의 내부에 걸쳐진 철근은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에 내장된 커플러(C)의 상단 측으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게 되며, 이에 작업자는 철근을 회전시키면서 해당 철근의 하단을 원활하게 커플러(C)의 상측 부분에 체결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in the shape of a tube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또, 상기 커플러(C)를 매개로 한 쌍의 철근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거치대(2000)의 착탈부(2030)를 손잡이부(2032)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분리하고, 상기 거치대(2000) 몸체 전체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커플러(C)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커플러장착부(2012)의 개방부(2014) 및 상기 지지부(2040)의 가이드부(2042)를 이용하여 연결된 철근으로부터 거치대(20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After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is completed through the coupler C, the
상기의 고정기(40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거치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4100)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안착부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안착부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고정부(4300)와, 고정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연결용 철근이 직립되도록 하는 회전부(4500)로 구성된다.A fixing
고정부(4300)은 일측에 구비된 체결블록(4310)을 이용하여 안착부(4100)에 구비된 체결홈(4110)에 슬라이딩시켜 체결한다The fixing
그리고 회전부(4500)은 일측에 구비된 플랜지(4510)를 이용하여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편(4330)에 힌지(4530)로 체결한다.The
이때 회전부(4500)의 상부에는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이탈방지링(4550)이 체결된다.At this time, a reinforcing bar
이하, 철근연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제1실시 예>≪ Embodiment 1 >
작업자가 운반 및 취급가능한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및 철근체결장치만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1)으로;A method (S1) of connect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of 25 kg or less, which can be carried and handled by an operator, to a foundation reinforcing bar using only a cradle and a reinforcing bar;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1-1);Mounting step (S1-1)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coupler;
25kg 이하의 연결용 철근을 작업자가 거치대 내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1-2);(S1-2) plac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of 25kg or less in the interior of the cradle;
철근체결장치를 거치대 상부에 체결하는 단계(S1-3);(S1-3) of fasten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to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1-4);(S1-4) assembl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the connecting coupler by us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철근체결장치 및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1-5)로 이루어진다.(S1-5) of separat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and the stand.
<제2실시 예>≪
별도로 고정기를 이용하여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2)으로;A method (S2) in which 15 kg or more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the foundation reinforcing bars using a separate fixing device;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2-1);Mounting step (S2-1) on top of the connecting coupler;
거치대 상부에 고정기를 설치하는 단계(S2-2);A step S2-2 of installing a fixing device on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고정기의 회전부에 15kg 이상의 연결용 철근을 삽입한 후 직립시키는 단계(S2-3);A step (S2-3) of inserting 15 kg or more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into the rotating part of the fixing device and then uprighting them;
고정기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2-4);A step (S2-4) of fasten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device;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2-5);(S2-5) assembl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the connecting coupler by us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철근체결장치 및 고정기, 거치대를 분리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다.(S2-6) of separat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the fixing device, and the stand.
<제3실시 예>≪ Third Embodiment >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철근에 연결하는 방법(S3)으로;(S3) connecting more than 25 kg or a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a foundation reinforcing bar using a reinforcing conveying device and a crane;
연결커플러의 상부에 거치대 설치단계(S3-1);A mounting step (S3-1) of mounting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coupler;
25kg 이상 또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을 철근이송장치에 체결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연결커플러에 삽입시키는 단계(S3-2);(S3-2) of inser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into a connecting coupler by using a crane after fasten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a reinforcing bar conveying device of 25 kg or more;
거치대 상부에 철근체결장치를 체결하는 단계(S3-30);A step (S3-30) of fasten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and;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단계(S3-4);(S3-4) assembl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to the connecting coupler by us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철근체결장치, 거치대, 철근이송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3-5)로 이루어진다.(Step S3-5) of separating the reinforcing bar fastening device, the cradle, and the reinforcing bar conveying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체결장치(3000)는 철근에 체결고정되는 거치대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철근이 삽입되도록 철근삽입홈(311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3100)과;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기어군(3300)과; 기어군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프레임에 체결되며, 철근이 삽입되도록 철근삽입홈(3510)이 형성된 상부프레임(3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reinforcing
하부프레임(3100)은 철근에 체결고정되는 거치대(40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철근을 커플러(C)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거치대에 체결가능하도록 하부에 체결블록(3110)이 형성되되, 체결블록(3100)의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111)이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하부프레임(3100)의 상부에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3300)이 체결고정되도록 체결공(3130)이 다수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측으로는 상부프레임(3500)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150)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A plurality of
기어군(3300)은 하부프레임(31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공(3130)에 체결고정되어 철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회전공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310)와, 구동기어의 양측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철근을 회전시키는 회동기어(3350)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아이들기어(3330)와, 한쌍의 아이들기어(3330)에 체결되어 구동기어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철근을 회전시켜 커플러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51)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기어(3350)로 이루어진다.The gear group 3300 is fastened and fixed to a
상기 각각의 기어 상·하부에는 돌출부(3311, 3331, 3353)가 형성되어 상·하프레임(3100, 3500)에 형성된 체결공(3130, 3530)에 삽입고정되어 상·하프레임(3100,35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upper and
그리고 상기 돌출부(3311, 3331,3353)에 베어링(3700)을 체결하여 회전력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The
이때 회동기어(3310)의 돌출부(3311)에는 회전공구에 체결되어 회전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4각형상의 홈(3311-1)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projecting portion 3311 of the
상부프레임(3500)은 하부프레임(3100)에 체결고정되어 기어군(330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3510)이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하부에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군(3300)이 체결고정되도록 체결공(3530)이 다수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측으로는 하부프레임(3500)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550)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철근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용 철근을 연결커플러에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the connecting coupler using the reinforcing fastening device is as follows.
운송된 철근구조물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커플러의 상부에 안치시킨다.The conveyed reinforced structur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er by using a cradle.
이후 거치대의 상부에 본원 발명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블록의 이용하여 고정한다.There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is fixed by using the fastening block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철근삽입홈을 통하여 철근이 삽입고정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bars are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reinforcement groov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이후 회전공구를 회동기어의 돌출부에 형성된 4각형상의 홈에 삽입하여 회동기어를 회전시킨다.Then, the rotary tool is inserted into a quadrangular groov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ry gear to rotate the rotary gear.
회전공구의 회전력을 받은 회동기어는 양측에 체결된 아이들기어를 회전시키고, 아이들기어는 외측에 체결된 구동기어를 회전시킨다.The rotating gear,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ool, rotates the idle gear fastened to both sides, and the idle gear rotates the driving gear fastened to the outside.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는 "U"자 형상의 철근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철근을 회전시켜 철근을 커플러에 고정시킨다. The driving gear,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idle gear, rotates the reinforcing bars inserted and fixed in the "U" shaped reinforcing bar insertion grooves and fixes the reinforcing bars to the coupl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이송장치(6000)는, 도 18 ~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지그(6100)와 고정지그(6200) 및 고정부재(6300)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bar conveying apparatus 6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상기 이송지그(1600)는 수직한 평판의 베이스(6110)와, 상기 베이스(6110)의 일측면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판(6120) 및 하판(6130)을 포함한다.The transfer jig 1600 includes a
상기 베이스(6110)에는 다수의 볼트구멍(6111)이 일정간격마다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6111)에는 고정볼트(6112)가 나사 결합된다.A plurality of
이러한 볼트구멍(6111)은 상판(6120)과 하판(6130) 사이의 베이스(61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6112)는 볼트구멍(6111)에 체결되어 후술되는 고정지그(6200)를 이송지그(6100) 상에서 고정시키게 된다.The
또, 상기 베이스(6110)는 그 상단부 일측에 연결브라켓(61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6113)에는 로프를 통해서 크레인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6114)가 결합되어 구비된다.A
그리고 상기 상판(6120)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걸림돌부(61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6121)에 의해 상판(6120)과 하판(6130) 사이에는 "ㄴ"자 형상의 결합홈(6140)이 형성된다.A locking protrusion 6121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결합홈(6140)에 각각의 고정지그(6200)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6110)의 볼트구멍(6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112)에 의해서 고정지그(6200)가 상판(6120)의 걸림돌부(6121) 측으로 가압 밀착되어 고정된다.Each of the fixing
또한, 상기 하판(6130)의 하면에 일측에는 후술되는 고정지그(6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300)가 체결되는 고정부재 고정지그(6131)이 형성된다.A fixing
그리고 상기 하판(6130)의 하면에 타측에는 고정부재(6300)의 고정바(6310)가 체결되는 고정바 고정지그(6133)가 형성된다.A fixing
고정지그(6200)는 베이스(6110)의 상판(6120)과 하판(61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6140)에 대응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614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fixing
이와 같이 베이스(6110)의 결합홈(6140)에는 다수의 고정지그(620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다수의 고정지그(620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6110)의 볼트구멍(6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112)에 의해 고정된다.A plurality of fixing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지그(6200)는 평판 상의 고정판(6210)과, 상기 고정판(6210)의 상면 일단부에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판(6220)을 포함한다.The fixing
상기 베이스(6110)의 상판(6120)과 하판(6130)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판(6210)에는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장착공(62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6211)은 고정판(621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U"자 형상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The fixing
그리고 상기 걸림판(6220)은 그 후면에 베이스(6110)의 볼트구멍(6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112)가 접하여 가압되고, 그 전면은 고정볼트(6112)에 의해 상판(6120)의 걸림돌부(6121)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 고정된다.A fixing
또, 상기 고정판(6210)의 하면 단부에는 장착공(621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한쌍의 결합구(62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6230)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6300)의 고정바(63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공(6231)이 형성된다.A pair of
상기 고정부재(6300)는 철근이 고정지그(6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바(6310)와; 지지바, 스프링이 삽입되는 몸체(6331)와, 몸체에 삽입되어 철근이 고정지그(6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6333)와, 지지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지지바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6335)과, 지지바와 스프링이 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캡(6337)과, 지지바의 일단에 체결되어 지지바를 후진시키는 와이어(6339)로 이루어진 지지부재(6330)로 구성된다.The fixing
상기 고정바(6310)는 고정지그(6200)의 결합구(6230)를 통해 다수의 고정지그(6200)를 가로질러 결합됨으로써 고정지그(6200)의 고정판(6210)의 장착공(6211)에 삽입되어 걸림된 다수의 철근을 가로질러 지지하므로 철근이 장착공(6211)의 개구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fixing
고정바(6310)는 일단이 고정바 고정지그(6133)에 힌지(6311)로 결합되어 지지바(333)의 후진에 따라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되어 철근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One end of the fixing
이때 고정바(6310)의 일단에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구비하여 회동되었을 때 고정바 고정지그(6133)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n impact buffer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ing
그리고 타단에는 와이어(6315)을 더 구비하여 회동되었을 때 95 ~ 120°를 초가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바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And a
지지부재(6330)는 이송지그의 고정부재 고정지그(6131) 하부에 체결고정되어 고정바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몸체에 내설된 지지바를 와이어로 당기면 지지바가 후진하면서 고정바를 지지하였던 것이 해제된다.The supporting
이후 와이어(6339)를 놓으면 스프링(6335)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바가 전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캡(6337)의 후면에는 도르레(6337-1)를 더 구비하여 와이어를 지면에서 당길 때 보다 간편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였다.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고정지그(6200)에 구성되는 고정판(6210)의 장착공(6211)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철근은 그 단부에 통상의 커플러(C)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 커플러(C)가 고정판(6210)의 장착공(62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장착공(6211)에 철근의 삽입 시 커플러(C)가 장착공(6211)을 관통하지 못하고 걸림됨으로써 철근이 고정판(6210)의 장착공(6211)에 걸림된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된다.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6211 of the fix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철근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bar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이송하고자 하는 철근의 개수만큼 다수의 고정지그(6200)를 이송지그(6100)의 베이스(6110)와 상판(6120) 및 하판(61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6140)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시켜 구비한다.A plurality of fixing
이후, 결합홈(6140)에 삽입되어 구비된 다수의 고정지그(6200)를 건축현장에 미리 시공되어 있는 철근의 간격에 맞게 조정한 후, 고정지그(6200)가 위치된 베이스(6110)의 각 볼트구멍(6111)에 각각의 고정볼트(6112)를 체결하여 고정지그(6200)의 걸림판(6220)을 베이스(6110) 상판(6120)의 걸림돌부(6121) 측으로 밀착 이동시켜 가압 고정한다.Thereafter, a plurality of fixing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송지그(6100)의 결합홈(6140)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지그(6200)의 장착공(6211)에 단부에 커플러(C)가 나사 결합된 철근을 커플러(C)가 장착공(6211)에 걸림될 때까지 삽입하여 구비한다.The coupler C is screwed to the mounting hole 6211 of the plurality of fixing
이후, 고정지그(6200)의 고정판(6210)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구(6230)의 삽입공(6231)에 각 고정부재(6300)의 고정바(6310)를 최외측의 고정지그(6200)로부터 관통시켜 결합한 후, 지지부재(6330)의 지지바(6333)로 고정바(631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고정바(6310)의 회동이 불가하게 되므로 고정부재(6300)가 다수의 고정지그(6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철근의 이송 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이후, 이송지그(6100)의 연결브라켓(6113)에 구비된 연결고리(6114)에 같이 로프를 매개로 크레인을 연결하여 이송지그(6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다량의 철근을 한번에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이동되는 다량의 철근은 건축현장에 시공되어 있는 철근의 간격에 맞게 그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커플러(C)를 통해 이동된 철근을 시공되어 있는 기존의 철근에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나사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reafter, the
2000 : 거치대3000 : 철근체결장치
4000 : 고정기6000 : 철근 이송장치2000: Cradle 3000: Reinforcing fastener
4000: Fixing machine 6000: Reinforcement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9737AKR101759546B1 (en) | 2015-12-01 | 2015-12-01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9737AKR101759546B1 (en) | 2015-12-01 | 2015-12-01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4584Atrue KR20170064584A (en) | 2017-06-12 |
| KR101759546B1 KR101759546B1 (en) | 2017-08-0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9737AExpired - Fee RelatedKR101759546B1 (en) | 2015-12-01 | 2015-12-01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5954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386663A (en)* | 2017-09-13 | 2017-11-24 | 北京军秀咨询有限公司 | A kind of steel construction high level construction method for hanging |
| CN108222523A (en)* | 2018-02-02 | 2018-06-29 | 中建路桥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T beam steel bar colligations move assembled movable moulding bed |
| KR101993235B1 (en)* | 2018-01-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텍 | Guide mould for connecting steel post |
| KR101993234B1 (en)* | 2018-01-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텍 | An assembly steel pos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13582000A (en)* | 2021-08-17 | 2021-11-02 |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 Flexible steel bar mesh hoisting equipment and method |
| CN115365425A (en)* | 2022-07-22 | 2022-11-22 |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 Variable cross-section pier body reinforced prefabricated tire frame |
| KR102490532B1 (en)* | 2021-07-20 | 2023-01-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assembled steel net for remote construction of pier based on robot and remote construction method of pier based on robot using the same |
| KR20230013817A (en)* | 2021-07-20 | 2023-01-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Jig for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 structure usiing the same |
| CN115949236A (en)* | 2022-12-28 | 2023-04-11 |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 Baffle fixed equipment |
| KR20240062382A (en)* | 2022-10-31 | 2024-05-09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el Reinforced Assembly Method |
| WO2024121451A1 (en)* | 2022-12-07 | 2024-06-13 | Del Villar Carrey Jesus | Structural system comprising posts and beam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63777B1 (en)* | 2019-09-23 | 2021-06-09 | 황성섭 | Steel reinforcement assembly device for building column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44651B1 (en)* | 2011-10-13 | 2013-03-20 | 주식회사 삼미정공 | Connecting apparatus of rebar coupler having clamping means |
| KR101457114B1 (en)* | 2014-05-19 | 2014-11-06 |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386663A (en)* | 2017-09-13 | 2017-11-24 | 北京军秀咨询有限公司 | A kind of steel construction high level construction method for hanging |
| KR101993235B1 (en)* | 2018-01-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텍 | Guide mould for connecting steel post |
| KR101993234B1 (en)* | 2018-01-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텍 | An assembly steel pos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08222523A (en)* | 2018-02-02 | 2018-06-29 | 中建路桥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T beam steel bar colligations move assembled movable moulding bed |
| CN108222523B (en)* | 2018-02-02 | 2019-04-30 | 中建路桥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mobile assembled movable moulding bed of T beam steel bar colligation |
| KR20230013817A (en)* | 2021-07-20 | 2023-01-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Jig for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 structure usiing the same |
| KR102490532B1 (en)* | 2021-07-20 | 2023-01-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assembled steel net for remote construction of pier based on robot and remote construction method of pier based on robot using the same |
| CN113582000A (en)* | 2021-08-17 | 2021-11-02 |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 Flexible steel bar mesh hoisting equipment and method |
| CN115365425A (en)* | 2022-07-22 | 2022-11-22 |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 Variable cross-section pier body reinforced prefabricated tire frame |
| KR20240062382A (en)* | 2022-10-31 | 2024-05-09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el Reinforced Assembly Method |
| WO2024121451A1 (en)* | 2022-12-07 | 2024-06-13 | Del Villar Carrey Jesus | Structural system comprising posts and beams |
| CN115949236A (en)* | 2022-12-28 | 2023-04-11 |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 Baffle fixed equipment |
| CN115949236B (en)* | 2022-12-28 | 2024-08-06 |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 Baffle fixed equipm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59546B1 (en) | 2017-08-0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59546B1 (en)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 US9267287B1 (en) | Pre-fabricated threaded bar assemblies | |
| KR101457114B1 (en)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 JP5914095B2 (en) | Reinforcing bar installation method | |
| JP6374474B2 (en) | Rebar network assembly method | |
| JP2010185185A (en) | Temporary handrai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JP3158383U (en) | Body reinforcement assembly jig | |
| KR20190118274A (en) | Assembly of bridge steel wire and method of bridge construction using it | |
| KR101152340B1 (en) | Fast column waler | |
| KR101941917B1 (en) | Reinforced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 |
| JP5011363B2 (en) | Anchor bolt support device | |
| KR20130007502U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forms for monowall construction and bracket for supporting foothold | |
| JP5484288B2 (en) | Column foundations such as carports and terraces, column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s and precast concrete blocks | |
| JP4982534B2 (en) | Auxiliary tool for reinforcement work for deep found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ment using this auxiliary tool | |
| KR101849909B1 (en) | Reinforced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 |
| JP2014009453A (en) | Temporary scaffold assembly jig and assembling method | |
| KR101621503B1 (en) | Supporter for join rebar | |
| CN118309046A (en) | Reusable reinforcement cage guide c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2013735B1 (en) | Coupler for conntecting of reinforcing rod | |
| KR102011988B1 (en) | Deck plate with detachable truss girder | |
| KR101783539B1 (en) | Device for fabricating the reinforcement | |
| KR20210017698A (en) | Rebar connec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column for installing safety railing of construction site | |
| KR20090074679A (en) |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
| KR102370425B1 (en) | The safety rail of the formwork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7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