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어 락(door lock)으로 구현된 전자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 락은 가정집, 사무실 또는 호텔과 같은 숙박업소의 각 방 문에 잠금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으로의 제1 안테나, 제2 방향으로의 제2 안테나 및 전방향으로의 제3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방문에 설치된 도어 락인 경우, 제1 방향은 방 바깥 방향이고, 제2 방향을 방 안쪽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1방향의 제1 안테나 또는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 바깥 방향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방향의 제2 안테나 또는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 안쪽 방향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인 도어 락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110-1), 제2 안테나(110-2), 제3 안테나(110-3), 스위치(120) 및 스위치 컨트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위치 컨트롤러(130)에 의해, 제1 안테나(110-1), 제2 안테나(110-2) 및 제3 안테나(110-3) 각각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텔과 같은 숙박업소에서,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여 룸 안의 컨디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룸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텔은 룸 안의 냉난방을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호텔에서 전자 장치(100)인 도어 락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장치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110-1), 제2 안테나(110-2) 및 제3 안테나(110-3) 각각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20) 및 스위치 컨트롤러(130)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력 소모량은 감소시키면서 사용자의 위치는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호텔의 방 문에 설치된 도어 락(200)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어 락(200)은 통신부(210), 스위치부(220), 전원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도어 락(200)은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방향으로의 제1 안테나(210-1), 제2 방향으로의 제2 안테나(210-2) 및 전방향으로의 제3 안테나(2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방 바깥 방향이고, 제2 방향을 방 안쪽 방향일 수 있다.
스위치부(220)는 상기 제1 안테나(210-1), 상기 제2 안테나(210-2) 및 상기 제3 안테나(210-3)의 온오프(on/off)를 스위칭할 수 있다.
전원부(230)는 도어 락(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전원부(230)는 건전지(battery)와 같은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도어 락(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240)는 상기 제1 안테나(210-1), 상기 제2 안테나(210-2) 및 상기 제3 안테나(210-3)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ID와 같은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도어 락(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50)는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여 전 방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1 방향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해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온(on)하도록 상기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상기 제2 안테나가 온(on)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 락(200)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상기 제2 안테나(210-2)가 온(on)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50)는 상기 제2 안테나(210-2)가 온(on)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통해 컨펌 메시지(confirm message)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은 방의 바깥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방의 안쪽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여 전 방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어부(250)는 방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해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온(on)하도록 상기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벤트는, 도어 락(200)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룸 키(room key) 정보를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통해 수신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된 룸 키 정보에 포함된 키 넘버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키 넘버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온(on)하도록 상기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상기 제2 안테나(210-2)가 온(on)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방의 안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안테나(210-2)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여 전 방향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동안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1 안테나(210-1)를 온(on)하도록 상기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벤트는 도어 오픈(door open)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오픈 이벤트 발생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가 온(on)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컨펌 메시지(confirm message)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안테나(210-1)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도록 상기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컨펌 메시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D와 같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식별된 특정 사용자 단말이 문을 열고 안쪽으로 이동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스위치 제어부(251) 및 상태 결정부(252)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51) 및 상태 결정부(252)는 제어부(250) 내에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 할뿐, 제어부(25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치 제어부(251)는 복수의 안테나 각각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태 결정부(252)는 도어 락(20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사용자가 체크아웃을 수행하여 도어 락(200)에 체크아웃 정보가 수신되고, 다음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경우, 상태 결정부(252)는 도어 락(200)을 'USER OUTSIDE'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컨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태 결정부(252)는 도어 락(200)을 'USER INSIDE'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어 락(200)과 같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모바일 단말(300)은 스마트 폰, 휴대폰, PDA,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및 태블릿 PC와 같이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300)은 근거리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근거리(short range)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칩은 저에너지 블루투스 센서(BLE, bluetooth low energy)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310)는 근접(proximity)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300)는 도어 락(200)으로 키 넘버 정보를 포함하는 룸 키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310)의 근접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각종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20)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도어 오픈/락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 락(200) 근처에 접근하면, 디스플레이부(320)는 도어 오픈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도어 오픈 UI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를 오픈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3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저장부(330)는 도어 락(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 오픈/락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모바일 장치(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34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고, 전자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근접 기능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300)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상기 근접 기능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상기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전자 장치와 키 정보 교환이 수행된 뒤,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접 기능을 오프(off)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300)의 상태를 제1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상기 근접 기능이 오프(off)되어 있는 동안,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제2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300)의 상태를 제2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근접 기능을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장치(40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고, 전자 장치는 방문에 설치된 도어 락(200)이며, 제1 방향은 방 바깥 방향이고, 제2 방향을 방 안쪽 방향인 실시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210-3)를 온(on)하여 도어 안팎의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400)가 룸의 바깥 방향에 위치한 경우, 도어 락(200)은 켜져 있는 제3 안테나(210-3)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310)에 포함된 근접(proximity) 기능을 이용하여 도어 락(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호텔과 같은 장소의 각 룸에 설치된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210-3)를 통해 룸 넘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체크인(check in)을 수행하면서 모바일 장치(400)에 룸 넘버 정보를 포함하는 룸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호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장치(400)는 체크인한 룸의 문을 열 수 있는 룸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체크인한 룸에 인접하면, 모바일 장치(400)는 BLE 센서의 근접 기능을 통해 도어 락(200)이 전송하는 룸 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어 락(200)으로부터 수신된 룸 넘버 정보와 체크인 시 저장된 룸 넘버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장치(400)는 룸 키 정보를 상기 도어 락(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가 켜져 있는 상태므로, 룸 바깥 방향에서 전송되는 룸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어 락(200)은 룸 키 정보가 수신되면 문을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상태를 'USER INSIDE'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가 문 안으로 들어오고, 문이 다시 잠긴 뒤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210-3)를 오프(off)하고, 제2 안테나(210-2)를 온(on)할 수 있다. 도어 락(200)은 제2 안테나(210-2)를 통해 문 안쪽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4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SER INSIDE' 상태인 도어 락(200)은 'Room_number_IN' 정보를 제2 안테나(210-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락(200)은 임계 시간(예를 들면, 1-2초) 동안 'Room_number_IN'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문이 오픈되고 사용자가 문 안으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도어 락(200)은 문 안으로 모바일 장치(400)가 이동한 경우에만 'Room_number_IN'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짧은 시간 동안만 'Room_number_IN'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문 안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400)가 'Room_number_IN'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310)의 근접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400)의 상태가 'INSIDE'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400)는 근접 기능을 오프(off)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400)는 근접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40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룸 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방 안에 위치하는 동안 근접 기능이 켜져 있게 되면, 모바일 장치(400)는 상기 룸 넘버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이 울리거나 문이 자동으로 오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 안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도어 락(200)이 전송하는 룸 넘버 정보를 수신하지 않도록 모바일 장치(400)는 근접 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400)는 컨펌 메시지(confirm message)를 도어 락(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컨펌 메시지를 수신한 도어 락(200)은 제2 안테나(210-2)를 오프하고, 제3 안테나(210-3)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210-3)를 통해 다시 룸 넘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도어 락(200)이 모바일 장치(400)로부터 컨펌 메시지(confirm message)를 수신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도어 락(200)은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아도 도어가 오픈되고, 임계 시간 이후에 제2 안테나(210-2)를 오프하고, 제3 안테나(210-3)를 켤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안쪽에 위치하는 모바일 장치(4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도어 오픈 명령을 도어 락(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어 오픈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도어 락(200)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제3 안테나(210-3)가 온 되어 있는 도어 락(200)은 문이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조작이 감지된 경우, 도어 락(200)의 상태를 'USER_OUTSIDE'로 변경하고, 제3 안테나(210-3)를 오프하고 제1 안테나(210-1)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210-1)를 통해 'Room_number_OUT' 정보를 문 바깥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400)가 문 밖으로 이동된 경우, 모바일 장치(400)는 문 바깥으로 전송되는 'Room_number_OU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Room_number_OUT'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400)는 상태를 'OUTSIDE' 상태로 변경하고, 근거리 통신부(310)의 근접 기능을 다시 켤 수 있다. 'OUTSIDE' 상태로 변경된 모바일 장치(400)는 컨펌 메시지를 도어 락(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펌 메시지를 수신한 도어 락(200)은 'Room_number_OUT' 정보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210-1)를 오프하고, 제3 안테나(210-3)를 켤 수 있다. 도어 락(200)은 다시 제3 안테나(210-3)를 통해 룸 넘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문이 열었다 닫혔으나 모바일 장치(400)가 문 밖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210-1)를 통해 컨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락(200)은 상태를 'USER_OUTSIDE'에서 다시 'USER_INSIDE'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간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600에서, 전자 장치는 제3 안테나를 온(on)하여 전방향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호텔의 각 방문에 설치된 도어 락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제3 안테나를 켜서 문 안팎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에 대해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방향은 호텔 방문의 바깥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벤트는 전자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한 룸 넘버 정보와 모바일 단말에 기저장된 룸 넘버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모바일 단말이 전자 장치로 룸 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체크인(check in)을 수행하면서 모바일 장치에 룸 넘버 정보를 포함하는 룸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호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장치에 체크인한 룸의 문을 열 수 있는 룸 키가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체크인한 룸에 인접하면, 모바일 장치는 BLE 센서의 근접 기능을 통해 도어 락이 전송하는 룸 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어 락으로부터 수신된 룸 넘버 정보와 체크인 시 저장된 룸 넘버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장치는 룸 키 정보를 상기 도어 락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20에서, 전자 장치는 제3 안테나를 오프(off)하고, 제2 안테나를 온(on)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어 락으로 구현된 전자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방 안쪽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도어 락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초기 상태의 도어 락은 제3 안테나를 켜서 문 안팎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어 락은 제3 안테나를 이용하여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룸 키(room key) 정보가 수신되고, 단계 S720에서 룸 키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도어 락은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단계 S730).
구체적으로, 도어 락이 제3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한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는 룸 넘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 락 근처에 접근한 모바일 단말은 기 저장된 룸 넘버 정보와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의 룸 넘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기 저장된 룸 넘버 정보와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의 룸 넘버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은 도어 락으로 룸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락은 룸 키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도어 락은 안쪽 방향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락은 제3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2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도어 락은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락은 제2 안테나를 키고 임계 시간 동안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는 방문이 열리고 문 안쪽으로 이동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이므로, 도어 락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60에서 모바일 장치로부터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계 S770에서 'USER_INSID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USER_INSIDE' 상태의 도어 락은, 단계 S780에서, 양방향 안테나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면, 도어 락은 제2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도어 락이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모바일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800에서, 모바일 장치는 룸 넘버 정보를 포함하는 룸 키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호텔에 체크인하는 동안, 룸 키 정보는 호텔 직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계 S820에서, 모바일 장치는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에 포함된 룸 넘버 정보와 기입력된 룸 넘버 정보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에 포함된 룸 넘버 정보와 기입력된 룸 넘버 정보가 동일한 경우, 모바일 장치는 단계 S830에서, 도어 락으로 룸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는 단계 S840에서,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계 S850에서 모바일 장치의 상태를 'INSIDE'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INSIDE' 상태가 된 모바일 장치는 단계 S860에서, 컨펌 메시지를 도어 락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는 단계 S870에서, 근거리 통신부에 포함된 근접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은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 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1500)는 도어 락(200) 및 모바일 장치(1500) 간의 거리, d에 따라 도어 오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500)는 저에너지 블루투스 센서(BLE)를 통해, 도어 락(200)이 전송하는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1500)는 수신된 메시지의 신호 세기(예를 들면, 수신 전계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50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500) 및 도어 락(200)이 임계 거리 이내에 해당하는 신호 세기가 측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 오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1500)는 모바일 장치(1500) 및 도어 락(200) 사이의 거리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계 거리(dth)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체크인을 수행한 호텔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모바일 장치(1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600에서, 모바일 장치는 ‘Room_number advertisement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는 저에너지 블루투스 센서(BLE)를 통해, 도어 락이 전송하는 ‘Room_number advertisement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10에서, 모바일 장치는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에 포함된 룸 넘버 정보와 기입력된 룸 넘버 정보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된 'Room_number advertisement'에 포함된 룸 넘버 정보와 기입력된 룸 넘버 정보가 동일한 경우, 모바일 장치는 단계 S1620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 전계 강도(RSSI)는 신호를 송수신한 장치들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는, 단계 S1630에서, 상기 측정된 RSSI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상기 측정된 RSSI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 S1640에서, 모바일 장치는 도어 락으로 룸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는 단계 1650에서,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계 S1660에서 모바일 장치의 상태를 'INSIDE'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INSIDE' 상태가 된 모바일 장치는 단계 S1670에서, 컨펌 메시지를 도어 락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는 단계 S1680에서, 근거리 통신부에 포함된 근접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의 RSSI를 측정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및 도어 락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도어 오픈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어 락으로 구현된 전자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방 안쪽에 위치한 사용자가 방 바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900에서, 도어 락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락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켜고,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단계 S920에서 도어 락은 바깥 방향의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락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오프하고, 바깥 방향의 제1 안테나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30에서, 도어 락은 제1 안테나를 통해 'Room_number_OUT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문 바깥으로 이동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계 S950에서 도어 락은 상태를 'USER_OUTSID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60에서, 도어 락은 양방향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락은 바깥 방향의 제1 안테나를 오프하고,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제3 안테나를 켠 뒤, 도어 락은 상기 제3 안테나를 통해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도어 락이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모바일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1000에서, 모바일 장치는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10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 락에 직접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모바일 장치는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받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1010에서, 모바일 장치는 'Room_number_OUT advertisement'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계 S1020에서, 모바일 장치는 상태를 'OUTSID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모바일 장치는 'OUTSIDE' 상태가 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컨펌 메시지를 도어 락으로 전송하고, 단계 S1040에서 모바일 장치는 근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는 방문 밖으로 이동되었으므로, 도어 락이 브로드캐스트하는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어 오픈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문을 열 수 있다는 정보를 알려야 한다. 따라서, 도어 락 근처에 접근한 경우,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근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바일 장치(1100)가 방 안에 위치하는 동안,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도어 락(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방 밖에서 안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 락(200)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켜고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장치(1110)로부터 룸 키를 입력받아 도어 락(200)이 열린 경우가 아닌, 제1 모바일 장치(1100) 또는 도어 락(200)을 통해 직접 도어 오픈 명령이 입력된 경우를 예로 든다.
문이 열렸다 닫히게 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1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도어 락(200)은 도어가 오픈된 이유가 사용자가 룸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서 인지 나가기 위해서 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도어 락(200)은 일단 룸 바깥 방향의 제1 안테나를 켜게 된다.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2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도어 락(200)은 제2 안테나를 통해, 문 안에 존재하는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중 적어도 하나로 문이 열렸다 닫혔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문이 열렸다 닫혔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제1 모바일 장치(1100) 또는 제2 모바일 장치(1110)는 디스플레이부에 도어 락(200)으로 수신된 정보를 UI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을 울리거나, 각 모바일 장치의 외부에 부착된 LED를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문이 열린 경우에도, 사용자는 문이 열렸다 닫힌 사실을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문 안쪽에 위치하는 동안,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문 안에서 문 밖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 락(200)을 통해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각각이 문을 열고 문 안으로 들어간 경우 또는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각각이 문 안쪽에서 컨펌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문이 열렸다 닫히면 도어 락(200)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바깥 방향의 제1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바일 장치(1110)만 문 밖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제2 모바일 장치(1110)로부터만 컨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만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므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오프하고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제3 안테나를 통해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바일 장치 (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바깥 방향에 위치하는 동안, 임의의 모바일 장치가 도어 락(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문 바깥에서 안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켜고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제3 안테나를 통해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룸 키 정보가 전송되면, 문이 오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200)은 제3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2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문이 열리는 동안,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는 룸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락(200)은 'Room_number_IN advertisement' 메시지를 문이 다시 닫힌 후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임계 시간이 소요된 후 또는 임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안테나를 통해 컨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도어 락(200)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를 오프하고,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제3 안테나를 통해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바일 장치 (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문 안쪽에서 동시에 문 밖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 락(200)을 통해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각각이 문을 열고 문 안으로 들어간 경우 또는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각각이 문 안쪽에서 컨펌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문이 열렸다 닫히면 도어 락(200)은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바깥 방향의 제1 안테나를 켤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가 문 밖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 각각으로부터 컨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펌 메시지를 수신한 도어 락(200)은 제1 안테나를 오프하고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락(200)은 'Room_numb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제3 안테나를 통해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도어 락(200)은 상술한 방법들에 의해 룸 안쪽으로 이동한 모바일 장치가 컨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또는 모바일 장치가 자신의 식별 아이디를 삽입하여 룸 키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각 모바일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락(200)은 룸 안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모두 상기 컨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안테나를 오프하고 전방향의 제3 안테나를 켤 수 있다.
제1 모바일 장치(1100) 및 제2 모바일 장치(1110)는 문 밖으로 나온 뒤 컨펌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므로, 'OUTSIDE' 상태로 천이되고, 근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