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을 녹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음성을 녹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rding voice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cording voice more efficiently using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microphones.
IT기술과 이동 단말기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녹음을 하는 기술은 보편적인 기술이 되었다.As technology for IT technology and mobile terminal evolves, the technology of recording becomes a universal technology.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는 다른 IT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다.Almost everyone carries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and most mobile terminals include a voice input portion capable of inputting voice. Also, most mobile terminals can communicate with other IT devices.
이와 같이 음성 음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복수의 음성 입력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음성 녹음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n environment where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loud voice loudspeaker unit is commonly used, research on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voice record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voice input uni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 necessity thereof is increasing.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녹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rding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verting a recorded voice into text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녹음 시스템은 복수의 마이크 및 녹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동일한 음원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녹음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제1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1 음성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 중 제2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2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정보의 음원의 수신각을 분석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record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recording devic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The recording apparatus receives first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st microphone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econd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cond microphone amo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output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ud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To analyze the reception angle of the sound source of the audio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녹음 시스템은 복수의 마이크 및 녹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동일한 음원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녹음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제1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1 음성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제2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2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공통된 소리을 녹음하여 잡음을 제거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record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and the recording device is connected to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s the first aud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icrophone amo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records the common sound of the first aud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to remove nois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소리만을 선택하여 녹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ng and recording a desired sound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verting a recorded voice into text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녹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녹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좌우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셋을 이용한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 및 음성을 텍스트로 변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텍스트로 변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using an earset that can be worn on the left and right ears of a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and a method for changing a voice to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verting a voice into a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a은 본 발명과 관련된 녹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녹음 시스템은 복수의 마이크(11, 12, 13 및 14)와 녹음장치(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cord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마이크(11, 12, 13 및 1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마이크(11, 12, 13 및 14)는 독립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마이크(11 내지 14)는 녹음장치(20)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녹음장치(20)는 마이크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정보를 처리하고, 음성정보를 텍스트로 변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녹음장치(2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녹음장치(2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녹음장치(2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녹음장치(2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녹음 장치(2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녹음 장치(20)와 다른 녹음 장치(20) 사이, 또는 녹음 장치(2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녹음 장치(2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녹음 장치 내 정보, 녹음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녹음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녹음 장치(2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녹음 장치(2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녹음 장치(2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녹음 장치(2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녹음 장치(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녹음 장치(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녹음 장치(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녹음 장치(2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녹음 장치(2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녹음 장치(2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녹음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녹음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녹음 장치(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녹음 장치(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녹음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녹음 장치(2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녹음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녹음 장치(2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list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B before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technology standards or a communication method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an external terminal, or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a long term evolution (e. G., Long Term Evolution-Advanced).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녹음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녹음 장치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녹음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녹음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는 마이크(11, 12, 13 및 14)에 포함될 수 있어 녹음장치(20)는 마이크(11, 12, 13 및 1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Using the Wi-Fi module, the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녹음 장치(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Next, th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녹음 장치(2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녹음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녹음 장치(2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the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녹음 장치(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녹음 장치(2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녹음 장치(2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광출력부(154)는 녹음 장치(2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녹음 장치(2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녹음 장치(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녹음 장치(2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녹음 장치(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또한, 인터페이스부(160)는 녹음 장치(2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녹음 장치(2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녹음 장치(2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녹음 장치(2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녹음 장치(2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녹음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녹음 장치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a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S. 1A and 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녹음 시스템은 복수의 마이크(11 내지 14) 및 녹음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는 음성정보를 수신한다(S110).The record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녹음시스템은 적어도 한 쌍의 마이크(11, 12)를 포함한다. 녹음장치(20)는 도 3에 도시 되지는 않았지만 한 쌍의 마이크(11, 1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마이크(11) 및 제2 마이크(12)는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며 동일한 공간의 음원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3, the recording system includes at least a pair of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는 적어도 한 쌍이 있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 는 3개 이상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녹음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다. 녹음 시스템에서 각각의 마이크는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t least one pair of microphones, and if necessary, a recording system can be constructed using three or more microphones. In the recording system, each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same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르면, 각각의 마이크는 녹음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마이크 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마이크는 녹음장치(20)에 포함된 장치일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 각각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 각각의 마이크이고, 녹음장치(2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하나 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icrophone may be a separate microphone connected to the
또 다른 실시예서는 복수의 마이크 각각은 사람의 좌우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셋 마이크이고, 녹음장치(20)는 이어셋 마이크에 연결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an earpiece microphone that can be worn on the left and right ears of a person, and the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좌우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셋을 이용한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using an earset that can be worn on the left and right ears of a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11 내지 14)는 사람의 우측 귀에 착용되는 제1 마이크(401)와 사람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제2 마이크(4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4, the
다시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녹음장치(20)는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서 음성정보를 수신한다(S120).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2, the
마이크(11 내지 14) 각각은 녹음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마이크 각각과 녹음장치(20) 사이에서 음성정보는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음성정보가 마이크 각각에 수신된 정확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Each of the
다만 마이크 각각과 녹음장치(20) 사이에 음성정보를 전송하는데 시각적 지연(delay)이 발생하는 경우 음성정보는 시간정보와 함께 녹음 장치(20)로 수신되고 녹음장치(20)는 음성정보가 마이크 각각에 수신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마이크 각각과 녹음장치(20) 사이의 동기(synchronization)가 이루어져 마이크 각각과 녹음장치(20)가 동일한 시간으로 맞춰질 수 있다.If a visual delay occurs in transmitting voice information between each microphone and the
도 1a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음원의 수신각 또는 위치를 분석한다(S130).Referring back to FIGS. 1A and 2, the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한 쌍의 마이크(도 3의 11, 12)에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한 쌍의 마이크의 수직이등분선과 음원의 수신각을 분석할 수 있다.The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 사이의 가상의 수직이등분선(303)에서 제1 마이크(11)와의 거리(301)와 제2 마이크(12)와의 거리(302)는 동일하다. 수직이등분선(303) 상에 음원(321)이 존재하는 경우 음원(32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에 동일한 시점에 도착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원(32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와의 거리(322)와 제2 마이크와의 거리(323)가 동일하여 음원(32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에 동일한 시간에 녹음된다. 이러한 경우 수직이등분선(303)의 각은 0도가 된다.3, a
수직이등분선(303)이 아닌 위치에 음원(311)이 존재하는 경우 음원(31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에 서로 다른 시점에 도착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원(31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와의 거리(312)와 제2 마이크와의 거리(322)가 상이하여 음원(32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에 상이한 시간에 녹음된다. 녹음장치(20)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수학식 1]과 같이 공기 중 소리의 속력(Vair)은 상온(Tc)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음원(311)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1 마이크와의 거리(312)와 제2 마이크와의 거리(322)가 상이하여 음원(321)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제1 마이크(11)와 제2 마이크(12)에 도착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식이등분선(303)의 각을 측정하여 수신각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녹음장치(20)는 복수의 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음원의 수신각을 구분할 수 있다.As shown in Equation (1), the speed of sound inair (Vai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Tc ). Therefore, the
도 1a 및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마이크(11 내지 14)는 사람의 우측 귀에 착용되는 제1 마이크(401)와사람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제2 마이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의 방법과 동일하게 음원 각각의 수신각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4, the microphones 11-14 may include 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에 제1 마이크(11) 및 제2 마이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블에는 A(521), B(522), C(523), D(524) 및 E(525) 다섯 명이 앉아 있다. 녹음장치(20)는 5명의 대화를 녹음할 수 있도록 작동을 한다. 녹음장치(20)는 다섯 명 각각의 음성이 1 마이크(11) 및 제2 마이크(12)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A(521), B(522), C(523), D(524) 및 E(525) 다섯 명의 수신각을 A각(511), B각(512), C각(513), D각(514) 및 E각(515)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녹음장치(20)는 수신각을 이용하여 A(521), B(522), C(523), D(524) 및 E(525) 각각을 구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3개 이상의 마이크에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마이크의 좌표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음원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음원과 마이크 사이의 거리는 소리의 속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The
위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음원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s, various algorithms can be used as a method for extracting (or analyz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마이크는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녹음장치(20)는 마이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음원에서 마이크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음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녹음장치(20)는 복수의 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음원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microphone includes a posi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도 1a 및 도2를 다시 참고하면, 녹음장치(20)는 분석된 수신각 또는 위치를 이용하여 녹음 및 STT(Speech-to-text)를 할 수 있다(S140).Referring back to FIGS. 1A and 2, the
녹음장치(20)는 수신각이나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원이 있는 경우 음원 각각을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신각이나 위치를 이용하여 음원을 파악하고 있으나 필요한 경우 음원의 소리의 특징을 구분하여 음원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의 소리의 음색, 소리의 높낮이, 소리의 주파수 특성 등과 같이 음원이 갖는 고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음원을 구별할 수 있다.The
보다 정확하게 음원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술한 수신각, 위치, 음색, 높낮이, 주파수 특성 중 복수를 이용하여 음원을 구별할 수도 있다.In order to more accurately distinguish the sound sources,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sound sources using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reception angle, position, tone color, height,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마이크는 동일한 음원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녹음장치(20)는 복수의 마이크 중 제1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1 음성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 중 제2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2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정보의 음원의 수신각을 분석하여, 음성정보의 수신각이 일정 각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음성정보를 녹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실에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가 강사의 정명에 설치된 경우 강사는 일정 각도 이내에서 강의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정 각도 이내의 소리만 녹음을 하는 경우 보다, 강사의 소리를 제외한 잡음을 제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소리만을 녹음하고 원하지 않는 잡음을 제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and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방법 및 음성을 텍스트로 변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thod and a method for changing a voice to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강의실에는 제1 마이크(11) 및 제2 마이크(12)가 강의 테이블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각도(611) 이내의 소리만을 녹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녹음 시스템에서 제1 잡음(602)의 수신각(612)는 일정각도(611)를 벋어나고 제2 잡음(603)의 수신각(613)은 일정각도(611)를 벋어나 있어, 녹음장치(20)는 제1 잡음(602) 및 제2 잡음(603)을 녹음하지 않는다. 또한 강의 음(601)의 수신각은 일정각도(611)이내에 해당하여 녹음장치(20)는 강의음을 녹음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텍스트로 변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verting a voice into a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녹음장치(20)는 STT(Speech-to-text)장치를 포함하고, 음원의 수신각이 일정 각도 이내인 음성정보 만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실에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가 강사의 정면에 설치된 경우 강사는 일정 각도 이내에서 강의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정 각도 이내의 소리만 텍스트로 변환하게 되어 잡음을 제외하고 변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표(701)과 같은 순서로 소리가 발생하였다고 한다면, 본 발명은 음원(601, 602, 603)의 수신각을 이용하여 음원을 구별할 수 있어 표(702)와 같이 음원별로 소리를 구별하여 녹음을 할 수 있으며, 음원별로 소리를 구별하여 STT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오늘의 강의는 아침의 중요성에 대하여 해보자 합니다”(721)는 강사의 강의 내용으로 일정각도(611)이내에 포함되므로 녹음이나 STT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정각도(611)이 벋어난 경우라 하더라도 “매점가자”(722)와 같이 음원을 분리하여 녹음되거나 STT될수 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하고 녹음되거나 STT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if a sound is generated in the same order as the table 701,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the sound sources using the reception angles of the
따라서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 회의 녹음 및 회의록 작성을 하는 경우에 화자의 위치 또는 수신각을 이용하여 각각의 화자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자를 구별하여 녹음을 할 수 있으며, 화자 및 녹음시간에 따라서 텍스트로 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recording a meeting and creating a conference recor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ach speaker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the position or the reception angle of the speaker. Therefore, the speaker can be distinguished and recorded, and the minutes can be written in text according to the speaker and the recording time.
다시 도 1a 및 도4를 참조하면, 마이크(11 내지 14)는 사람의 우측 귀에 착용되는 제1 마이크(401)와 사람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제2 마이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람이 정지한 경우라면 정면의 소리를 강화시켜 선택적으로 녹음할 수 있다. 다만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을 정지 시키고 주변의 모든 소리를 녹음하게 할 수 있다.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음원의 수신각을 측정하기 어려워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녹음장치(20)의 제어부(180)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모든 소리를 녹음하도록 할 수 있고, 다시 사람이 정지한 경우에는 정면에서 발생하는 소리만 녹음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4,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마이크는 동일한 음원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녹음장치(20)는 복수의 마이크 중 제1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1 음성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 중 제2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2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공통된 소리만을 녹음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는 사용자게 손에 들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마이크 이고 제2 마이크는 고정된 형태의 마이크 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 손에 들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제1 마이크에서 녹음된 소리에는 마찰음이 다수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마이크는 고정된 마이크 이므로 마찰음이 포함되지 않는다. 녹음장치(20)는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에서 동시에 소리를 수신하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에 동시에 녹음된 소리만을 녹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가 사람의 좌우 귀에 착용된 이어셋 각각이라면 한쪽에서만 발생하는 마찰음의 경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에 동시에 녹음되는 소리가 아니므로, 녹음장치(20)는 한쪽 마이크에서만 수신된 소리를 제외하고 녹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가 존재하는 경우 일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잡음을 제외하고 녹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and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마이크는 동일한 음원에서 출력된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녹음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제1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1 음성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 중 제2 마이크에서 수신된 제2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정보의 음원의 수신각을 분석하여 일정각도의 음성정보 중에서, 제1 음성정보 및 제2 음성정보의 공통된 소리만을 녹음하여 원하는 소리만을 증폭하여 수신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icrophones receive audio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and a recording apparatus records first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st microphone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2 microphone, analyzes the reception angle of the sound source of the audio information by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ud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and outputs the first audio information and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mplifying only the desired sound and recording it by recording only the common sound of the second audio informati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녹음 장치(2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11, 12, 13, 14: 마이크
20: 녹음장치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11, 12, 13, 14: microphone
20: Recording device
110: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7043AKR20170022272A (en) | 2015-08-20 | 2015-08-20 | Recording systems AND METHOD FOR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7043AKR20170022272A (en) | 2015-08-20 | 2015-08-20 | Recording systems AND METHOD FOR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22272Atrue KR20170022272A (en) | 2017-03-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17043AWithdrawnKR20170022272A (en) | 2015-08-20 | 2015-08-20 | Recording systems AND METHOD FOR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22272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462745A (en)* | 2020-04-07 | 2020-07-28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Intelligent device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 CN114913882A (en)* | 2022-05-25 | 2022-08-16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
| US12198732B2 (en) | 2020-08-04 | 2025-0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462745A (en)* | 2020-04-07 | 2020-07-28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Intelligent device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 US12198732B2 (en) | 2020-08-04 | 2025-0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CN114913882A (en)* | 2022-05-25 | 2022-08-16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015836B2 (en) |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 |
| US10217475B2 (en) | Heads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KR10213537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HK1243800A1 (en) |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 |
| KR2018005524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00345A (en) |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80028701A (en) | Portable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US10499315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KR20170022272A (en) | Recording systems AND METHOD FOR THE SAME | |
| KR20160070529A (en) | Wearable device | |
| KR20150089283A (en) | Wearabl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wearable terminal | |
| KR20160035908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42717A (en) | Real time monitoring device using smartphone | |
| KR10164386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643356B1 (en) | Portable sound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 |
| KR102682018B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 |
| KR20160089782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4620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7264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8474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5008697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5011101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210115970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 |
| HK40002797B (en) |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 |
| HK40002797A (en) | Master device for using connection attribute of electronic accessories connections to facilitate locating an accessor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8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00820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5082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PC12021R01D Patent event date:202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