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색상필터를 매개로 변경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갖는 남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셀프)촬영이 가능하면서도, 부수적으로는 백라이트의 부드러운 광을 이용하여 눈부심 없이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lor filter to differentiate (self) photographing from other people having various moods, and also, by using soft light of a backlight,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capable of checking and managing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을 비롯하여 태블릿PC와 같이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which is small in size and portable and has various functions, is widely use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고성능의 통신기술은 물론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각종 악세사리 또는 기타장식물 등을 장착함으로써 각자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다.Such a portable terminal incorporates not only high-perform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ls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individuality by attaching various accessories or other decorative items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이를 통해 (셀프)촬영을 주로 하는데, 특히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찍는 셀프촬영시 화소가 상당히 떨어지는 전면카메라를 사용함에 따라 만족할 만한 사진을 획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조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의 제조사들은 카메라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경쟁이 과열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비용상승에 따른 판매단가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users mainly use (self) photography through it. Especially, when the self-photographing is performed while looking at the user's self, a satisfactory picture can not be obtained due to the use of the front- The manufacturers of the portable terminal (smart phone)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mpetition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is overheated and the selling pr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natural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외출중에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고칠 때를 대비해 휴대용 거울을 가방 또는 핸드백에 넣어 두었다가 필요 시 꺼내서 사용하는데, 크기가 대부분 작아 가방 또는 핸드백 속을 뒤적이며 찾아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omen usually put a portable mirror in a bag or handbag for use when they are going to makeup or makeup while they are out, and when they need it, they take it out and use it. .
이를 해소하고자 휴대용 단말기에 거울을 부착해 사용하고 있으나,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는 거울을 사용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을 이용하려고 해도 빛이 너무 강해 조명용으로 이용하기에는 상당히 부적합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irror is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a mirror can not be used in a dark place without illumination. Even if a light source of a portable terminal is used, the light is too stron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색상필터를 매개로 변경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갖는 남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셀프)촬영이 가능하면서도, 부수적으로는 백라이트의 부드러운 광을 이용하여 눈부심 없이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lor filter to differentiate (self) photographing from other people having various moods, and also, by using soft light of a backligh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capable of identifying and managing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원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호커버;A protective cover detachably fix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light source;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되어 조명을 발산하는 백라이트유닛;A backlight unit formed on the protective cover to emit light;
상기 백라이트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cklight unit;
상기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광원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색상을 변경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필터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adjustment mechanism provided on the protective cover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illumination filters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by selectively covering the light sour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에 백라이트유닛이 형성되어 조명을 상부방향으로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and a backlight unit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divert the illumination upwar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미러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mirro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커버에는,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및 연결하는 스위치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단자를 갖춘 회로기판이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ircuit board having a switch for dis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and a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is reinforced.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Here, the shaf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ective cover;
상기 조절기구는,The adjustment mechanism includes: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부가 보호커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광원의 불빛이 투과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투과공이 형성된 휠과;A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shaft,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rotective cover and at least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상기 휠의 투과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조명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illumination filter installed on one of the transmission holes of the wheel.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색상필터를 투과해 특정 색상으로 변경되고, 특정색상으로 변경된 빛이 사용자에 조사된 상태에서 (셀프)카메라촬영을 하게 되면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된 남들과는 다른 개성 있고 차별화된 사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상당히 유용하며, 부수적으로는 백라이트유닛의 부드러운 광을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어 상당히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ight radiated from a light source of a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into a specific color transmitted through a color filter, and when a user changes a specific color, It is very useful because it is possible to acquire different and different pic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s, and it is quite good because it can check and manage the appearance without glare even in the dark place through the soft light of the backlight unit incidentally.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보호커버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부분의 경사면에 백라이트유닛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을 켜게 되면, 백라이트유닛의 불빛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발산(조사)되므로 백라이트유닛을 수직면에 설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얼굴로부터 미러부를 멀리 이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외모관리가 훨씬 더 수월하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is inclined and the backlight unit is turned on with the backlight unit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the light of the backlight unit diverges (irradia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entire face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from the backlight unit installed on a vertical plane and it is advantageous to make appearance management much easier and convenient in a dark plac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distant the mirror unit from the fa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서 조절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4 taken as an excerpt.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justing mechanism in the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4 is a front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보호커버(10)와 미러부(20), 백라이트유닛(30), 배터리(40) 및 조절기구(60)로 구성되며, 여기에 ON/OFF스위치(51)와 단자(52)를 갖춘 회로기판(50)이 더 보강 구비된다.1 to 5,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1a)와 광원(1b)이 동일면에 배치된 휴대용 단말기(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광원(1b)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색상을 색상필터(63)를 매개로 변경하여 다양한 분위기의 사진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유닛(30)를 구비하고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미러부(20;거울)를 사용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커버(10)는 본체(11)와 커버(12)로 분할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미러부(20), 백라이트유닛(30), 배터리(40), 회로기판(50), 조절기구(60)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1 to 4, the
일 예로서, 상기 보호커버(10)에 내설된 미러부(20)와 백라이트유닛(30)은 커버(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The
그리고, 필요에 따라 미러부(20)의 경우 커버(12)의 면을 광택 내 형성하거나 또는 화학처리를 통해 거울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보호커버(10)의 상단부에는 본체(11)와 커버(12)를 관통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1a)가 수용되는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1b)에 불빛이 통과하는 구멍이다.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일 예로서, 상기 보호커버(10)의 내부에는 본체(11)의 중간부에 미러부(20)가 안착되는 미러부안착홈(11a)이 형성되고, 미러부안착홈(11a)의 아래에는 배터리(40)가 안착되는 배터리안착홈(11b)이 형성되며, 배터리안착홈(11b)의 주변으로 백라이트유닛(30)과 회로기판(50)을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11c)가 일체로 형성되며, 배터리안착홈(11b)의 아래, 즉 본체(11)의 하단에는 회로기판(50)의 ON/OFF스위치(51)와 충전용 단자(52)가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에는 이후에 설명될 조절기구(60)가 안착되는 조절기구안착홈(11d)이 형성되고, 이 조절기구안착홈(11d)에는 둘레면에 복수의 걸림홈(11e-1)이 형성된 축(11e)이 일체로 형성되며, 축(11e)을 기준으로 본체(11)의 우측테두리에는 절개부(11f)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11f)를 통해 조절기구(6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상기 보호커버(10)는 휴대용 단말기(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1)와 보호커버(10)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 각각 자석/ 철편 또는 접착제를 설치하여 자력 또는 접착력을 매개로 상호 결합할 수도 있고, 보호커버(10)의 일면 가장자리를 휴대용 단말기(1)의 두께에 상응하게 돌출시켜 돌출된 테두리를 매개로 휴대용 단말기(1)에 보호커버(1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미러부(20)는 사물이 비치는 거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커버(10)의 미러부안착홈(11a)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2 to 4, th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부(20)는 일반적인 유리거울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커버(12)의 면을 광택 내 형성할 수도 있고, 화학처리를 통해 거울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사물이 비치는 것이면 공지의 그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유닛(30)은 보호커버(10)에 형성되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공지의 장치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일 예로서, 상기 백라이트유닛(30)은 보호커버(1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거치대(11c) 상에 얹혀지며 일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For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10)에는 경사면(12a;도 2 참조)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12a)에 백라이트유닛(30)이 형성되어 조명을 상부방향(경사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산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is formed on the
일 예로서, 상기 보호커버(10)의 수직면에 백라이트유닛(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30)의 불빛을 사용자의 얼굴에 비추게 되면, 불빛이 수평하게 조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추지 못하고 특정 영역(예를 들면, 하관)만 비추게 되므로 백라이트유닛(30)을 얼굴로부터 멀리 이격시켜야만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러부(20)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미러부(20)를 통한 식별이 어려워 외모관리가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For example, if the
이에 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부분의 경사면(12a)에 백라이트유닛(30)을 설치해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30)을 켜게 되면, 백라이트유닛(30)의 불빛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발산(조사)되므로 백라이트유닛(30)을 수직면에 설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얼굴로부터 미러부(20)를 멀리 이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외모관리가 훨씬 더 수월하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2, the lower end of the
참고로, 상기 백라이트유닛(30)의 경우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or reference, since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40)는 보호커버(10)에 설치되어 백라이트유닛(30)으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일 예로서, 상기 배터리(40)는 건전지, 수은전지, 충전지 등을 의미하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For example, the
일 예로서, 상기 배터리(40)는 백라이트유닛(30)을 사용할 때에만 보호커버(10)에 설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커버(10)로부터 분리하여 백라이트유닛(3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하지만, 상기와 같이, 필요시에만 배터리(40)를 삽탈하게 되면 배터리를 분실할 수도 있고, 자칫 보호커버(10)를 손상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40)를 적용하여 보호커버(10)에 내설해 주었고, 배터리(40)를 통제할 수 있는 회로기판(50)을 보호커버(10) 내에 더 보강해 주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상기 회로기판(50)은 일반적인 (F)PCB기판으로서 스위치(51)와 단자(52)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상기 스위치(51)는 전원공급을 차단 및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Here, the
일 예로, 상기 스위치(51)는 보호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한번 누르게 되면 배터리(40)의 전원이 백라이트유닛(30)으로 공급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전원이 차단된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단자(52)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The terminal 52 is used for charging the battery.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10)에 스위치(51)와 단자(52)를 갖춘 회로기판(50)을 보강해 줌으로서 보호커버(10)로부터 배터리(40)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배터리(40)의 분실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스위치(51)로 전원을 ON/OFF제어하므로 전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계속해서, 상기 조절기구(60)는 휠(61)과 한 쌍의 탄성편(62) 및 색상필터(6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커버(10)에 설치되어 광원(1b)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1b)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색상을 변경해주는 기능을 한다.
The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1)는 광원(1b)으로 LED가 사용되며, 통상 플래시, 카메라 등을 찍을 때에 보조광으로 이용하게 되는데, 문제는 광원(1b)의 밝기가 너무 강해 어두운 장소에서는 백라이트유닛(30)과 함께 보조광으로 이용하기 힘든 근본적인 문제가 있으며, 셀카촬영시에서는 광원(1b)의 강한 빛으로 인해 사진상에 빛 번짐이 생기거나 사진이 하얗게 나오는 문제 및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필터(63)가 구비된 조절기구(60)를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For example, an LED is used as the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기구(60)는 휠(61)과 한 쌍의 탄성편(62) 및 색상필터(6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커버(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1b)에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3 and 5, the
또한, 필요에 따라 보호커버(1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1b)에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일 예로서, 상기 휠(61)은 중앙이 관통된 원판으로서, 중앙의 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투과공(6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과공(61a)을 통해 광원(1b)의 불빛이 통과한다.As one example,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휠(61)에 투과공(61a)을 4개 형성해 주었고,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투과공(61a)에는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색상필터(63)를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조명이 연출되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embodiment, four
그리고, 이 투과공(61a)들 중 하나에는 색상필터(63)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1b)이 플래시로 이용되기 때문이며, 색상필터(63)가 있으면 빛이 약해 플래시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no
한편, 상기 휠(61)의 중앙홀에는 띠 형상의 탄성편(62)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편(62)의 일단 내주면에는 삼각형상의 걸림턱(6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band-shaped
일 예로서, 상기 휠(61)은 탄성편(62)을 매개로 조절기구안착홈(11d)에 형성된 축(11e)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As one example, the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61)을 강제로 돌리기 전까지는 축(11e)의 걸림홈(11e-1)에 탄성편(62)의 걸림턱(62a)이 삽입되어 있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휠(61)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s. 3 and 5, until the
그리고, 상기 휠(61)을 축(11e)을 중심으로 돌리게 되면, 휠(61)의 탄성편(62)이 벌어지면서 걸림턱(62a)이 걸림홈(11e-1)으로부터 이탈되어 축(11e)의 다른 걸림홈(11e-1)에 걸림턱(62a)이 걸리게 되면서 휠(61)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휠(61)이 회전함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색상필터(63)가 함께 회전되어 광원(1b) 상에 배치됨으로써 광원(1b)으로부터의 빛을 색상필터(63)를 매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참고로, 상기 보호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휠(61)의 일면에 각 단계별 숫자/기호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상태(현재 색상)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For reference, it is also possible that a number / symbol for each step is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상기 색상필터(63)는 광원(1b)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적용된 색상으로 변경해주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광투과성 착색시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원(1b)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색상필터(63)를 통해 특정색상으로 변경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셀프)카메라 촬영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남들과는 다른 개성 있고 차별화된 사진을 얻을 수 있어 상당히 좋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상기 색상필터(63)에는 확산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투과공(61a)에는 동일한 소재에 확산기능을 갖춘 색상필터(63)를 중첩시켜 두께만 달리하거나 또는 색상필터(63)에 다른 소재를 설치하여 광원(5)의 밝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기구(60)의 경우 회전방식으로 색상필터(63)를 전환하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색상필터(63)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 방법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휴대용 단말기(1)의 일면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결합해 주면 되는데,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의 일면에 카메라(1a)와 광원(1b) 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카메라(1a)와 광원(1b)이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호커버(10)를 결합해 주면 된다.
For example,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의 보호커버(10)를 설치해 준 상태에서 (셀프)카메라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외부로 노출된 휠(61)을 축(11e)을 중심으로 돌리게 되면, 휠(61)의 탄성편(62)이 벌어지면서 걸림턱(62a)이 걸림홈(11e-1)으로부터 이탈되어 축(11e)의 다른 걸림홈(11e-1)에 걸림턱(62a)이 걸리게 되면서 휠(61)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휠(61)이 회전함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색상필터(63)가 함께 회전되어 광원(1b) 상에 배치된다.When the camera (self) photographing is to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이에 따라 광원(1b)으로부터 발사된 빛은 색상필터(63)를 투과해 특정 색상으로 변경되고, 특정색상으로 변경된 빛이 사용자에 조사되며, 이때 사용자가 (셀프)카메라촬영을 하게 되면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된 남들과는 다른 개성 있고 차별화된 사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상당히 유용하다.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한편,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러부(20)를 이용하면 되는데, 특히 어두운 장소에서 외모를 관리 및 확인하는 경우에는, 우선 보호커버(10)의 하부로 노출된 스위치(51)를 ON시켜 주면 배터리(40)의 전원이 백라이트유닛(30)으로 공급되면서 조명을 발산하게 되며, 이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미러부(20)를 통해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order to check and manage the appearance, the
특히, 상기 보호커버(10)의 하단부 경사면(12a)에 백라이트유닛(30)이 설치되어 조명을 아래에서 위로 조사하므로 백라이트유닛(30)을 수직면에 설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얼굴로부터 미러부(20)를 멀리 이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외모관리가 훨씬 더 수월하고 편리하다.
Particularly, since the
한편, 사용을 다 마친 후에는 스위치(51)를 OFF시켜 전원이 더 이상 백라이트유닛(3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만약 배터리(40)의 전기가 전부 소진된 경우에는 단자(52)를 통해 배터리(40)를 충전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use of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광원(1b)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색상필터(63)를 투과해 특정 색상으로 변경되고, 특정색상으로 변경된 빛이 사용자에 조사된 상태에서 (셀프)카메라촬영을 하게 되면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된 남들과는 다른 개성 있고 차별화된 사진을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상당히 유용하며, 부수적으로는 백라이트유닛(30)의 부드러운 광을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외모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어 상당히 좋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보호커버(10)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부분의 경사면(12a)에 백라이트유닛(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30)을 켜게 되면, 백라이트유닛(30)의 불빛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발산(조사)되므로 백라이트유닛(30)을 수직면에 설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얼굴로부터 미러부(20)를 멀리 이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외모관리가 훨씬 더 수월하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ower end of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서 조절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justment mechanism 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선 실시 예의 조절기구(60)는 회전방식으로 광원(1b)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방식인데 반하여, 본 실시 예는 슬라이드방식으로 광원(1b)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방식이다.
The
상기 조절기구(60')는, 보호커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과공(61'a)이 구비된 슬라이드판(61')과, 슬라이드판(61')의 투과공(61a')에 설치되어 광원(1b)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색상필터(63)로 구성된다.The adjusting mechanism 60 'includes a slide plate 61'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61 'a slidably mounted on the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판(61')에는 2개의 투과공(61'a)이 형성되며, 2개의 투과공(61'a) 중 어느 하나에 색상필터(63)가 설치된다.As an example, two slide holes 61 'a are formed in the slide plate 61', and a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61')에 형성된 투과공(61'a)은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도 있다.The through holes 61'a formed in the slide plate 61 'may be added or subtracted as necessary.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을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도 변형실시 가능하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sliding up and dow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method may be modified in a manner that it is sli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if necessary.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10)에 슬라이드 방식의 조절기구(60')를 설치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slide cover type adjustment mechanism 60 'is installed on the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휴대용 단말기 1a: 카메라 1b: 광원
10: 보호커버 11: 본체 11a: 미러부안착홈
11b: 배터리안착홈 11c: 거치대 11d: 조절기구안착홈
11e: 축 11e-1: 걸림홈 11g: 절개부
12: 커버 12a: 경사면 20: 미러부
30: 백라이트유닛 40: 배터리 50: 회로기판
51: 스위치 52: 단자 60,60': 조절기구
61: 횔 61': 슬라이드판 61a,61'a: 투과공
62: 탄성편 62a: 걸림턱 63: 색상필터
1:
10: protective cover 11:
11b:
11e:
12: cover 12a: slope 20: mirror part
30: backlight unit 40: battery 50: circuit board
51: switch 52:
61: 횔 61 ': slide
6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2682AKR20170019029A (en) | 2015-08-10 | 2015-08-10 | Protective case of mobile pho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2682AKR20170019029A (en) | 2015-08-10 | 2015-08-10 | Protective case of mobile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9029Atrue KR20170019029A (en) | 2017-02-2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12682AAbandonedKR20170019029A (en) | 2015-08-10 | 2015-08-10 | Protective case of mobile pho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19029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6355A (en)* | 2018-07-10 | 2020-01-20 | 오석민 | Apparatus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40377A (en) | 2011-10-14 | 2013-04-24 | (주)제이엠씨 | Portable equipments case with mirror stuf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40377A (en) | 2011-10-14 | 2013-04-24 | (주)제이엠씨 | Portable equipments case with mirror stuf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6355A (en)* | 2018-07-10 | 2020-01-20 | 오석민 | Apparatus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95946B2 (en) | Illumination device | |
| US9593842B2 (en) | Illumination device | |
| US9464796B2 (en) | Illumination device | |
| US9086610B2 (en) | Illumination device | |
| US7813060B1 (en) | Combination pocket mirror and magnifier | |
| AU2016203825B2 (en) | Illumination Device | |
| US11403992B2 (en) | Multi positional attachable handle with integrated backlight illumination <<bias>> system | |
| US20170324438A1 (en) | Lighting device with lights on rotatable panel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
| JP2024093112A (en) | Monitor Light | |
| CN206350040U (en) | A kind of mobile phone light filling camera lens | |
| US7163307B1 (en) | Illuminated document caddy | |
| EP2391096A1 (en) | External photoflash assembly for mobile phone | |
| KR20170019029A (en) | Protective case of mobile phone | |
| US20110292277A1 (en) | External photoflash assembly for mobile phone | |
| US20050174756A1 (en) | Illuminating assemblies with mirrors | |
| KR20170019028A (en) | Cellular phone And Protection case of cellular phone | |
| KR20170003766A (en) | Mobile phone | |
| US20200093238A1 (en) | Mobile phone case having mirrored surface and lighting | |
| KR20170003767A (en) | Protective case of mobile phone | |
| KR101561647B1 (en) | Protective case of handy terminal | |
| TWM531697U (en) | Mobile phone protective shell with supplemental lighting | |
| US12126209B2 (en) | Multifunctional charging and lighting device | |
| KR200387303Y1 (en) | lighting picture frame having the hand phone charging terminal | |
| KR200437380Y1 (en) | Decorative lighting frame | |
| CN206596031U (en) | Mobile phone shell and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mobile phone shel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8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6061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70223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