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퀴즈 형식의 게임을 통하여, 학습자가 발음한 음성을 수신 및 식별하고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ceiving and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learner through a quiz-type game using learner's voice recogn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that can induce an interest in learning by progressing a game.
최근 인터넷 등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퀴즈 게임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성행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퀴즈 게임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규모가 거대하고 그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퀴즈게임 서비스 제공방식은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퀴즈는 단답형이며,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제를 제공 받아 일정한 시간 내에 정답을 입력하면, 그 결과에 따라 순위를 부여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0002] Recently, a service for providing a quiz game using a network on the Internet has become popular. However, although a service providing a quiz game using a network is large and various types of services are provided, the conventional quiz game service providing method is made in a very simple form. For example, in general, a quiz is a short answer type, and a learner who accesses through a website or an application generally receives a problem stored in a database and inputs a correct answer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종래의 게임 서비스는 획일적이고 일방적으로 문제를 내고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학습자들이 지겨움을 느끼게 되고 학습 효과를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ame ser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many learners are bored and the learning effect is deteriorated by providing uniform and unilateral problems and providing answers.
학습자가 초·중·고의 청소년인 경우에는 개인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는 시간이 많으며 온라인 학습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온라인 학습에 대한 동기가 부여되지 않아 온라인 학습 자체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learner is a teenager,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student, he / she has a lot of time to use personal comput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and does not feel interested in online learning and does not motivate online learning,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퀴즈 형식의 게임을 통하여, 학습자가 발음한 음성을 수신 및 식별하고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이 제공될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is progressed by receiving and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learner and comparing with a previously stored correct answer through a quiz-type game using a learner's voice recognition,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that can be induce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에 있어서,In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학습자로부터 퀴즈 메뉴를 선택 받는 단계; 학습자 단말이 퀴즈 문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퀴즈 문제 출력 단계; 퀴즈 문제가 출력된 후, 학습자 음성을 수신 받는 음성 인식 단계; 음성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 비교 판단 단계의 수행 결과, 학습자의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정답메시지 출력 후 다음 문제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학습자의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답메시지 출력 후 재시도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재시도 화면에서 학습자는 학습자의 음성을 통해 정답메시지 출력 또는 다음 문제화면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Selecting a quiz menu from a learner; A quiz problem output step in which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quiz problem on the screen; A voice recognition step of receiving a learner voice after a quiz problem is outputted; Comparing the learner voice recognized in the speech recognition step with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s voice matches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Outputting a next question screen after outputting a correct answer message if the answer of the learner and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ma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determination step; Outputting a retry screen after outputting an error message if the learner's answer and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do not match; And a learner selecting one of the output of a correct answer message or the output of a next problem screen through the learner's voice in the retry screen; And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퀴즈 형식의 게임을 통하여, 학습자가 발음한 음성을 수신 및 식별하고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me is progressed by receiving and recognizing a voice uttered by a learner through a quiz-type game using learner's voice recognition and comparing the voice with a stored correct ans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that can induce speech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학습자 단말에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n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learner terminal.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it is mentioned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is operated or executed on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ON,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operated or executed in an operating or running environment or is operated or execut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with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component, apparatus, or system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a program or a component made up of software, it is not explicitly stated that the element, component,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drivers necessary to run an operating system or hardware, etc.)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o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ny form of software and hardware,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학습자 단말(100)에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n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100)은프로세서(101), 저장부(103), 메모리(105), 표시부(107), 스피커(109) 및 마이크(111)를 포함할 수 있다.1,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이하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 ‘이라고 함)은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다가, 프로세서(101)의 제어 하에 메모리(105)에 로딩되어 실행(또는 ‘동작’이라고도함)된다.The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표시부(107)를 통해서 학습자에게 퀴즈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또한, 학습자의 학습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예를 들면, 마이크(111) 또는 표시부(107)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퀴즈 메뉴를 입력 받는다.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학습자로부터 퀴즈 메뉴를 입력 받으면, 표시부(107)에 퀴즈 문제를 출력하고, 학습자의 음성을 수신 받아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프로세서(101)는 저장부(103), 메모리(105), 스피커(109) 및 마이크(111)의 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표시부(107)는 터치를 통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The
저장부(103)는 본 학습자 단말(100)의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이 표시부(107)에 퀴즈 문제를 출력할 때, 퀴즈 문제와 관련된 화면이 표시부(107)의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화면은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background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는 표시부(107)에 출력되는 퀴즈 문제의 텍스트 서체를 선택할 수 있고, 텍스트 서체는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저장되는 텍스트 서체의 종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arner can select a text typeface of the quiz question outputted to the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음성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학습자 음성과 정답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음성 데이터는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의 판단 결과,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정답메시지를 출력하고, 이때 정답화면이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정답화면은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되어 있는 정답화면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한편,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의 판단 결과,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는 음성을 통해 상용어(예를 들면, ‘모르겠어’, ‘다음문제’)를 발음함으로써 재시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시도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상용어는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er's voice does not coincide with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스피커(109)는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고, 마이크(111)는 학습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스피커(109) 및 마이크(111)가 동작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 마이크(111)가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마이크(111)를 활성화 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 방법은 학습자로부터 퀴즈 메뉴를 선택 받는 단계(S203);학습자 단말이 퀴즈 문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퀴즈 문제 출력 단계(S205); 퀴즈 문제가 출력된 후, 학습자 음성을 수신 받는 음성 인식 단계(S207); 음성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S209); 비교 판단 단계의 수행 결과, 학습자의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S211: Y) 정답메시지 출력 후 다음 문제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학습자의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211: N) 오답메시지출력(S219) 후 재시도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221); 및 재시도 화면에서 학습자는 학습자의 음성을 통해 정답메시지 출력 또는 다음 문제화면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단계(S223);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203) of selecting a quiz menu from a learner, a quiz problem output step S205); A voice recognition step (S207) of receiving a learner voice after the quiz problem is outputted; A comparison judgment step (S209) of judging whether the learner's voice and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are matched by comparing the learner's voice recognized in the speech recognition step with previously stored correct answer data; If the answer of the learner matches the previously stored correct answer data (S211: Y) as a result of the comparing and determining step, a step of outputting the next trouble screen after outputting the correct answer message is performed; A step S221 of outputting a retry screen after the learner's answer and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do not match (S211: N), outputting an incorrect answer message (S219); And a step (S223) in which the learner can select either the output of the correct answer message or the output of the next problem screen through the learner's voice in the retry screen; .
퀴즈 메뉴를 선택 받는 단계(S203)는 학습자 단말(100)이 학습자로부터 퀴즈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이다.The step of receiving the quiz menu (S203) is a step in which the
퀴즈 문제 출력 단계(S205)는, 학습자 단말(100)이 S203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퀴즈 메뉴 선택에 따라서, 학습자에게 퀴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The quiz question output step (S205) is a step in which the
표시부(107)에 퀴즈 문제가 출력될 때, 퀴즈 문제와 관련된 화면이 표시부(107)의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S205 단계에서 표시부(107)의 배경화면 및 퀴즈 문제의 텍스트 서체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 quiz problem is output to the
S205 단계에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이 학습자 단말(100)에 퀴즈 문제를 출력하면,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학습자의 음성을 수신 받을 수 있는 상태(예를 들면,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모양의 아이콘이 포함된 화면을 제공)로 대기 한다. 표시부(107)에 마이크 모양의 아이콘이 포함된 화면이 제공된 경우, 학습자의 음성을 수신 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111)가 활성화 된다.If the
마이크(111)가 활성화 된 후,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표시부(107)에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을 학습자의 음성을 통하여 수신 받아 학습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S207)를 수행한다.After the
다음으로 S209 단계에서,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와 S207 단계에서 인식한 학습자의 음성을 상호 비교 판단한다.Next, in step S209, the
S209 단계에서 인식한 학습자의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를 비교하여,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S211: Y)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정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213)를 수행한 후 다음문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215: Y)로 진행한다.If the learner voice and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data match (S211: Y), the interactive learning application performs a step S213 of outputting a correct answer message And then proceeds to a step S215: Y for outputting the next problem screen.
표시부(107)에 정답메시지가 출력될 때, 기 저장된 정답 화면(예를 들면, 사람이 기뻐하는 모습이 표시된 화면 등)-학습자의 음성이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부(107)의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기 저장된 정답 화면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문제마다 다른 정답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When a correct answer message is outputted to the
한편, 학습자 음성과 기 저장된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211: N)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오답메시지(예를 들면, ‘정답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주세요’와 같은 음성을 제공)를 출력하는 단계(S219)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learner's voice and the previously stored correct answer data do not match (S211: N), the
오답메시지가 출력된 경우, 학습자가 재시도 할 것을 선택하면(S221: Y), 재시도 화면 즉, 기 출력된 퀴즈 문제를 표시부(107)에 다시 출력하여 학습자에게 재시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가 재시도 할 것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S221: N), 학습자가 정답을 알고 싶은 경우(S223: Y)에는 학습자가 원하는 상용어(예를 들면 ‘모르겠어’, ‘몰랑’)를 발음한 음성을 통해 정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213)를 선택할 수 있다. 학습자가 정답을 알고 싶지 않은 경우(S223: N)에는 학습자가 원하는 상용어(예를 들면 ‘다음문제’, ‘넘겨’)를 발음한 음성을 통해 다음 문제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215; Y)를 실행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If the learner selects to retry (S221: Y), the retry screen, that is, the quiz problem already outputted, is output again to the
여기서, 상용어들은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 학습자는 원하는 상용어를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common words are stored in advance in the
S215 단계에서 학습자가 퀴즈 문제 풀기를 멈추고 싶은 경우(S215; N), 대화형 학습 어플리케이션(120)은 표시부(107)에 퀴즈 문제를 출력 하는 것을 멈추고, 현재까지 학습자가 진행시킨 퀴즈 문제의 점수 및 통계를 표시하는 화면을 출력시키는 단계(S217)를 실행한다.If the learner wants to stop solving the quiz problem (S215; N) in step S215, the
본 실시예는 학습에 응용되도록 구현되었지만, 학습이 아닌 다른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to be applied to learnin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applied to other fields than learn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01: 프로세서
103: 저장부
105: 메모리
107: 표시부
109: 스피커
111: 마이크
120: 어플리케이션101: Processor
103:
105: Memory
107:
109: Speaker
111: microphone
120: Applica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8724AKR20170014812A (en) | 2015-07-31 | 2015-07-31 | Interactive learning method for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8724AKR20170014812A (en) | 2015-07-31 | 2015-07-31 | Interactive learning method for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4812Atrue KR20170014812A (en) | 2017-02-0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8724AWithdrawnKR20170014812A (en) | 2015-07-31 | 2015-07-31 | Interactive learning method for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14812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410911A (en)* | 2018-09-13 | 2019-03-01 | 何艳玲 |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ethod based on speech recognition |
| CN109493665A (en)* | 2018-12-28 | 2019-03-19 | 南京红松信息技术有限公司 | Quick answer method and its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
| ES2784480A1 (en)* | 2020-04-17 | 2020-09-28 | Martin Jose Javier Prieto | RESOLUTION SYSTEM OF RIDDLES, RIDDLES AND ENIGMAS BASED ON VOICE RECOGNITION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CN114550712A (en)* | 2020-11-24 | 2022-05-27 |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 Voice interaction method, device,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8427372A (en)* | 2024-07-05 | 2024-08-02 | 星河视效科技(北京)有限公司 | Method, equipment and medium for generating multimedia product of music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410911A (en)* | 2018-09-13 | 2019-03-01 | 何艳玲 |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ethod based on speech recognition |
| CN109493665A (en)* | 2018-12-28 | 2019-03-19 | 南京红松信息技术有限公司 | Quick answer method and its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
| ES2784480A1 (en)* | 2020-04-17 | 2020-09-28 | Martin Jose Javier Prieto | RESOLUTION SYSTEM OF RIDDLES, RIDDLES AND ENIGMAS BASED ON VOICE RECOGNITION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WO2021209662A1 (en)* | 2020-04-17 | 2021-10-21 | Jose Javier Prieto Martin | System for the solving of riddles, puzzles and enigmas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CN114550712A (en)* | 2020-11-24 | 2022-05-27 |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 Voice interaction method, device,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8427372A (en)* | 2024-07-05 | 2024-08-02 | 星河视效科技(北京)有限公司 | Method, equipment and medium for generating multimedia product of music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27174B2 (en) | System to evaluate dimensions of pronunciation quality | |
| EP1139318A1 (en) | Pronunciation evaluation system | |
| KR20170014812A (en) | Interactive learning method for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 JP7521869B2 (en) | Teaching and assessing spoken language skills through fine-grained assessment of human speech | |
| CN104602136A (en) | Subtitle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 |
| CN111902831B (en) | Demonstration support system | |
| JP2017219718A (en) | Programming learning apparatus and program | |
| US20080027731A1 (en) |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 |
| US2010010501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decoding or deciphering of foreign accents | |
| JP6462221B2 (en) | Learning support system, learning support method,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 |
| US20240203282A1 (en) | Cognitive function tes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RU2344492C2 (en) | Dynamic support of pronunciation for training in recognition of japanese and chinese speech | |
| KR101380692B1 (en) | Apparatus for on-line study and method for the same | |
| KR101121134B1 (en) | Method for memorizing word on the base of speed listening and memorizing word apparatus thereof | |
| JP2021110773A (en) | Management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 |
| KR100687441B1 (en) | Foreign language speech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 |
| KR20180096317A (en) | System for learning the english | |
| KR20130058840A (en) | Foreign language learnning method | |
| JP7371644B2 (en) | Pronunciation train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 |
| Moxon | A review of the website Pronounce. com | |
| JP2020071312A (en) |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linguistic ability | |
| KR20170084953A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 conditioned speaking | |
| JP6623575B2 (en) | Learn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 |
| KR20170014810A (en) | Method for English study based on voice recognition | |
| Ross et al. | Speaking with your computer: A new way to practice and analyze convers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7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