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과 결합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립된 조명등과 결합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는 결합브라켓(150)과 조명등의 외관을 이루는 반사브라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벽면 등의 모서리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측단면상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절곡된 형상이 연장된 형태로 소정 길이를 가지게 되며,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결합나사 등에 의하여 벽면 모서리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브라켓(150)에 체결되는 반사브라켓(110)을 포함한 조명등(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100)은 반사브라켓(110), 조명모듈(120), 광확산커버(130) 및 측면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브라켓(110)은 상기 조명모듈(120)의 점등 시 하측으로 빛을 반사시킴과 동시에 조명등(100)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브라켓(110)은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브라켓(110)은 측면에서 보아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 중앙부에 상기 조명모듈(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명모듈(120)은 LED방식 또는 형광등 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와 더불어 이하에서는 LED램프부(125)와 회로보드(121)로 이루어진 조명모듈(120)을 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광확산커버(130)는 상기 조명등(100)의 외부로 LED램프부(125)를 통하여 발생하는 빛이 소정 조도각을 이루며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공지된 광확산커버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상부 외측에는 컨버터모듈(170)이 구비되며, 상기 컨버터모듈(170)이 고정되도록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상부에는 고정브라켓(118)이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일측이 상기 결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결합브라켓(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일측 단부에 소정 절곡된 형태로 제1걸림부(152)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고정홈부(1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사브라켓(110)은 측면상 양변이 경사져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상 일측에 상기 제1걸림부(152)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제1후크부(1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1고정홈부(154)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14)가 구비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제1고정홈부(154)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커버(140)는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양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서, 억지끼움이나 나사결합방식으로 반사브라켓(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어셈블리를 실내 모서리에 부착되는 결합브라켓에 설치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를 결합브라켓에 분리 및 결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실내 벽체의 모서리에 결합브라켓(150)을 설치한다. 상기 결합브라켓(150)은 나사 또는 못 등에 의하여 수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실내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난 후,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브라켓(150)의 일측 제1걸림부(152)에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제1후크부(112)를 걸어 조명등(100) 전체가 상기 제1후크부(112)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컨버터모듈(170)이나 전선 등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명등(100)을 상기 제1후크부(112)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타측에 구비된 제1고정부(114)를 상기 결합브라켓(150)의 제1고정홈부(154)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조명등(100)과 결합브라켓(15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를 나타낸 도면은 도 6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등(100)의 수리 또는 교체 시 조명등(100)을 벽체 등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제1고정부(114)를 제1고정홈부(154)로부터 이탈시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작업상의 편리함을 가져옴은 물론 작업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체의 모서리 부위에도 조명등의 설치가 가능하여져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면 심미적으로도 향상된 조명등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반사브라켓(110)과 일체로 상기 제1후크부(112)와 제1고정홈부(114)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결합브라켓(150)의 제1걸림부(152) 및 제1고정홈부(154) 주위에 소정의 자석을 부착한 경우에는 상기 제1후크부(112)와 제1고정부(114)가 상기 제1걸림부(152) 및 제1고정홈부(154)에 자력에 의하여 보다 원활한 회전 동작과 더불어 임시 고정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어 작업상 편리함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를 분리 및 결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어셈블리는 상기 반사브라켓(110)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컨버터모듈(170)이 중앙부에 고정되는 보조브라켓(220)과, 상기 보조브라켓(220)이 고정되는 체결브라켓(25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브라켓(25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형태를 이루게 되며 소정 돌출된 구조물에 면상 접촉되어 못 또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보조브라켓(220)은 일측이 상기 체결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체결브라켓(2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브라켓(250)은 일측 단부에 제2걸림부(252)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고정홈부(2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브라켓(220)은 중앙부에 설치되는 컨버터모듈(170)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 상기 제2걸림부(252)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제2후크부(222)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2고정홈부(254)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22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 7에서와 같이, 돌출된 지지부에 먼저 체결브라켓(250)을 설치한 후,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250)의 일측 제2걸림부(252)에 상기 보조브라켓(220)의 제2후크부(222)를 걸어 조명등(100) 전체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조명등(100)을 회전시켜 상기 보조브라켓(220)의 타측에 구비된 제2고정부(224)를 상기 체결브라켓(250)의 제2고정홈부(254)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조명등(100)과 체결브라켓(25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를 나타낸 도면은 도 10과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브라켓(110)도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은 제1후크부(112)와 제1고정부(114)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즉, 상황에 따라서 결합브라켓(150)을 이용하여 실내 모서리 부위에 조명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체결브라켓(250)을 이용하여 돌출된 지지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어느 경우는 조명등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조명등 자체의 교체는 물론 조명등에 설치된 부품의 교체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