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topper for manufacturing a tea beve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stopper for manufacturing a tea beverage,
최근 여유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유행에 맞물려 잠깐의 시간에 티타임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녹차, 홍차, 인삼차, 홍삼차, 구기자차 등 차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Recently, there is a tendency to enjoy teatime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line with the fashion that pursues a relaxed life. Especially,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demand for tea such as green tea, black tea, ginseng tea, red ginseng tea, have.
이에, 다양한 종류의 차가 출시되고 있으며, 차 고유의 맛을 음미하기 위해 분말이나 엑기스 또는 찻잎 형태로 물이나 음료에 타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Accordingly, various kinds of tea are being marketed, and in most cases, they are eaten with water or drinks in the form of powder, extract or tea leaves in order to taste the unique taste of tea.
즉, 자신의 기호에 맞는 분말이나 엑기스 등의 차 원료를 컵이나 병에 넣고 물을 부은 후 티스푼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여야 하며, 차가 충분히 우러난 후에 찌꺼기 등을 제거한 후 음용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mix tea materials such as powder or extract that fit their own preference into cups or bottles, pour water, and mix them with teaspoons, etc., and then remove the residue after drinking tea.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를 음용하려면 매번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차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차 원료나 찌꺼기가 옷이나 주변에 뭍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정돈된 상태에서 여유롭게 차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drink tea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roublesome process every time, a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tea, the raw material or the residue is often put on the clothes or the surroundings, have.
또한, 상기와 같이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찻잔과 뜨거운물 및 차 원료를 준비하여야만 하므로 야외 활동을 하는 상황에서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를 즐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rink tea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ea cups, hot water, and tea ingredients in the room, so that it is difficult to enjoy a car that matches its own preference in the outdoor activity.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stopper for manufacturing tea beverages, which can easily manufacture tea beverages suited to their own preferences without regard to the places.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료 용기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상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에 혼입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cap for opening or closing an opening portion by being engaged or disengaged from a bottleneck of a beverag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microfiltr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cap so that the tea material contained in the space is mixed with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Wherein the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저면에는 상기 거름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portion so that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to detachably connect the stopper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부는,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ltering portion includes a rigid fit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fixedly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and having a circular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iltration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상기 끼움부재의 개구부와 동일 중심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때, 상기 마개부는,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음용 돌기와, 상기 음용 돌기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음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rough-hole is formed at a position having the same center as the opening of the fitting member, 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 drin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And a drink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부재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는 용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ltering unit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capacity adjusting unit tightly surrounds one side of the filtering unit to close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spac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량조절부는, 상기 거름부재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apacity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ring member that slides around the filtering member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lter member that is screwed to one side of the ring member and moves inward or outward of the ring member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And a clamping plate formed on an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and curved so as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ring member to tightly press the filter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는 혼입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ixing guide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 por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ltering portion, and pressurizes the car raw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ltering portion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lug portion .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입유도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와,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ixing inducing portion includes a button member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portion and elastically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nd an end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plug portion is fixed to the button memb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filtering portion And a pressing plate which is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ing member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ltering section and which closely presses the raw material.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ea drink suitable for its own preference in a simple manner without regard to a place.
둘째, 빨대의 사용이 용이하고, 거름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고 다시 마개부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straw can be easily used, the raw material can be put in the state where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and the raw material can be reu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g portion again.
셋째, 거름부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차 음료의 맛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amount of tea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nure portion can be controlled by a simple method, the taste of the tea beverag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tea can be easily controlled.
넷째, 거름부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that a tea beverage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quickly by rapidly introducing the drinking water into drinking water by pressurizing the tea material contained in the filtering par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이 음료 용기에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는 제1예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2예시도이고,
도5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3예시도이고,
도6은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4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5예시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cap for manufacturing a tea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3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everage container,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which can be further added in Fig. 3, and Fig.
FIG. 5 is a third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which can be further added in FIG. 3,
FIG. 6 is a fourth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which can be further added in FIG.
7 is a fifth exemplary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마개부와 거름부로 구성되어 음료 용기에 마개부를 결합시켜 거름부에 수용된 차 원료가 음용수에 혼입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tainer stopper for manufacturing a tea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composed of a stopper portion and a manure portion, and the sto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
즉, 도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음료 용기(1) 내의 음용수가 거름부(400)의 내외부를 통과하면서 거름부(400)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와 섞여 차 음료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에,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3, the drinking water i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mixed with the raw materials stored in the
이때, 상기 음료 용기(1)는 통상의 생수페트를 포함한 음용수의 수용이 가능한 모든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200)는 음료 용기(1)의 사이즈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everage container 1 includes all containers capable of receiving drinking water including ordinary bottled water PET, and the
상기 마개부(200)는 음료 용기(1)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용기 마개와 같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마개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1)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2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홀(250)은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빨대(2)를 꽂아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빨대(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관통홀(250)이 고무재질의 패킹부재(210) 등에 의해 폐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4, a
그리고, 상기 마개부(200)의 저면에는 상기 거름부(4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거름부(4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어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1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해 비용 낭비를 줄이고 1회용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a
상기 거름부(400)는 상기 마개부(2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가 음용수에 혼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거름부(400)는,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30)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420)와, 상기 끼움부재(420)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거름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즉, 상기 거름부(400)가 마개부(200)의 관통홀(2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재(42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거름부재(440)는 거름망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ing
이때,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름부재(440)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는 용량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량조절부(600)는 거름부(400)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 음료의 농도를 취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capacity adjusting
여기서, 상기 용량조절부(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부재(440)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620)와, 상기 링부재(62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6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640)와, 상기 조임부재(640)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620)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440)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642)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capacity adjusting
이러한 용량조절부(600)에 따르면, 링부재(620)를 거름부재(440)의 원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조임부재(640)를 조여 조임판(642)이 상기 거름부재(440)를 밀착 가압시켜 내부 공간의 일정 지점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폐쇄된 구간까지만 차 원료가 수용되므로 사용자가 차 원료의 정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한편,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부(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400)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는 혼입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입유도부는 거름부(400)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6, it may further include a mixing inducing unit that pressurizes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space of the
여기서, 상기 혼입유도부는, 상기 마개부(20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220)와, 상기 마개부(200)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2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400)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240)와, 상기 가압부재(240)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400)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24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ixing guide portion includes a
이러한 혼입유도부에 따르면, 단추부재(220)를 눌러 가압부재(240)를 하강시켜 누름판(242)이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음용수와의 혼입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음료 용기를 흔들어 차 원료의 혼입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such a mixing inducing portion, the
또 한편,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50)은 거름부(400) 끼움부재(420)의 개구부와 동일 중심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부(200)에는 상기 관통홀(250)의 외주연을 따라 음용 돌기(2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 돌기(260)에는 음용 캡(270)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상기 관통홀(250)을 개폐시키게 된다. 즉, 마개(200)를 열어 음용할 경우 상기 마개(200)에 결합된 거름부(400)까지 달려나오게 되는데, 이에 의해 마개(200) 개폐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음용 캡(270)만을 열어 음용이 용이해지게 된다.7, the through-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ea drink suitable for its own preference in a simple manner without regard to a place.
둘째, 빨대의 사용이 용이하고, 거름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고 다시 마개부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straw can be easily used, the raw material can be put in the state where the filter portion is separated, and the raw material can be reu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g portion again.
셋째, 거름부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차 음료의 맛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amount of tea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nure portion can be controlled by a simple method, the taste of the tea beverag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tea can be easily controlled.
넷째, 거름부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that a tea beverage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quickly by rapidly introducing the drinking water into drinking water by pressurizing the tea material contained in the filtering part.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음료 용기
2: 빨대
200: 마개부
210: 패킹부재
220: 단추부재
230: 결합홈
240: 가압부재
242: 누름판
250: 관통홀
260: 음용 돌기
270: 음용 캡
400: 거름부
420: 끼움부재
440: 거름부재
600: 용량조절부
620: 링부재
640: 조임부재1: beverage container
2: straw
200:
210: packing member
220: Button member
230: Coupling groove
240: pressing member
242:
250: Through hole
260: drinking water projection
270: drinking cap
400: Filters
420:
440:
600:
620: ring member
640: tightening memb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3874AKR101777456B1 (en) | 2015-06-15 | 2015-06-15 | Container stopple for preparation of a tea beverag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3874AKR101777456B1 (en) | 2015-06-15 | 2015-06-15 | Container stopple for preparation of a tea beverag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48076Atrue KR20160148076A (en) | 2016-12-26 |
| KR101777456B1 KR101777456B1 (en) | 2017-09-1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83874AExpired - Fee RelatedKR101777456B1 (en) | 2015-06-15 | 2015-06-15 | Container stopple for preparation of a tea beverag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7745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124242A (en)* | 2018-10-29 | 2019-01-04 | 武义县双力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cup with filter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4797B1 (en) | 2018-05-17 | 2019-09-24 | 이제관 | Portable tea beverage contai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53860Y1 (en) | 2004-03-09 | 2004-06-26 | 감선희 | Bottle for drinking tea |
| KR200460121Y1 (en) | 2011-08-25 | 2012-05-04 | 정순태 | Beverage containers |
| KR200475129Y1 (en) | 2014-02-28 | 2014-11-07 | 임상만 | Portable tea-bott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64716Y1 (en)* | 2004-07-01 | 2004-10-12 | 김화식 | Mug cup with filter |
| KR101216540B1 (en)* | 2009-07-03 | 2012-12-31 | 정향빈 | portable water bott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53860Y1 (en) | 2004-03-09 | 2004-06-26 | 감선희 | Bottle for drinking tea |
| KR200460121Y1 (en) | 2011-08-25 | 2012-05-04 | 정순태 | Beverage containers |
| KR200475129Y1 (en) | 2014-02-28 | 2014-11-07 | 임상만 | Portable tea-bott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124242A (en)* | 2018-10-29 | 2019-01-04 | 武义县双力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cup with filter device |
| CN109124242B (en)* | 2018-10-29 | 2020-10-02 | 武义县双力杯业有限公司 | Cup with filter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77456B1 (en) | 2017-09-1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801492B1 (en) | Liqui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 |
| US8459468B2 (en) | Vacuum mug separable cap | |
| US20190274457A1 (en) | Multi-Functional Modular Drink Assembly | |
| US9988177B1 (en) | Bottle with filter and infusion base | |
| US9278801B2 (en) | Beverage mixing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 |
| US10405688B2 (en) | Advanced mug cap apparatus | |
| US9320383B2 (en) | French press blender | |
| US10532866B2 (en) | Container cap assembly | |
| JP2013525216A (en) | Water container cap with filter to hold water additives | |
| JP2015120554A (en) | Tea bag storage case for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 |
| US20160058226A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lid and breathable seal | |
| CA2812090A1 (en) | Mixing device | |
| KR20130006572U (en) | A thermos bottle | |
| KR20150063989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 KR101777456B1 (en) | Container stopple for preparation of a tea beverage | |
| JP3185488U (en)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
| KR20150045100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 CN106966039B (en) | Multifunctional bottle cap | |
| CN206482410U (en) | A kind of portable tea separation thermos cup | |
| CN106343854B (en) | A kind of portable tea separation thermal insulation cup | |
| KR101816551B1 (en) | Portable tumbler having metal strainer | |
| KR101733701B1 (en) | Portable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pippette | |
| CN106820973A (en) | Portable manifold type capsule drink reconstitutes cup and portable manifold type drink reconstitutes cup | |
| CN203576255U (en) | Juicer with portable container | |
| WO2016036880A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lid and breathable sea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9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