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럭 등에 부품을 별도의 체결구없이 장착하도록 한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on a vehicle block or the like without a separate fastener.
본 발명은 특정한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켜서 부품을 차량용 블럭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품에 상기 나사가 관통하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specific component on a vehicle block or the like. In order to mount a component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on a vehicle block or the like, a screw is generally used in many cases. The parts are mounted on the vehicle block by turning the screws using a tool. To this end, a mounting bracket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must be formed on the part.
하지만, 상기 장착브라켓이 차량용 블럭에 위치하기 위해서 점유하는 면적이 발생하고, 상기 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조립 작업에서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지루한 작업이다.However, an area occupied by the mounting bracket for positioning in the vehicle block is generated, and turning the screw using a tool is a tedious task requiring a lot of time in the assembling operation.
따라서, 나사를 사용하여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비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Therefore, mounting the parts to the vehicle block or the like by using screws is time-consuming and causes the manufacturing cost to increa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별도의 체결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mponent to be mounted without a separate faste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어댑터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게 부품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안착되며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 내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어댑터몸체의 일부가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장착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ircular mounting space opened to an outer surface of a case, And a part of the adapter body correspon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mounting space so as to be seated and rotated in the circular mounting space, The adap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while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장착공간에는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안착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가이드채널의 일단부에서 상기 바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과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안착안내리브가 구비된다.Wherein the mounting space has a seating channel formed at the entrance to the floor and a moving channel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bottom at one end of the seating guide channel, A seating guide rib that is moved is provided.
상기 장착공간의 입구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상기 걸이편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구비된 탄성걸림편이 구비된다.The adapter body is provided with a catching piece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trance of the mounting space, and the adapter body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atching part having a catching jaw which is fastened to the catching piece.
상기 탄성걸림편과 상기 안착안내리브는 다수개가 상기 어댑터몸체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편끼리 그리고 상기 안착안내리브 끼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elastic catching pieces and the seating guide rib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adapter body, and the elastic catching pieces and the seating guide rib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부품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이다.
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seating spac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부품을 어댑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대상에 회전동작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을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고 부품이 장착대상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can be mounted on the object to be mounted by a rotary motion while the component is mounted on the adap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component is very quick and easy, and the component is firmly mounted on the mounting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차량용 블럭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공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어댑퍼의 구성을 보인 측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이 장착된 어댑터가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이 장착된 어댑터가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vehicle block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manner.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unting spa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dapt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erting an adapter equipped with parts in the mounting spa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apter equipped with parts is inserted into a mounting space and faste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차량용 블럭에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a vehicle block.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블럭의 외관을 구성하는 블럭케이스(10)의 일측에는 장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2)은 평면도로 볼 때, 원형상이다. 상기 장착공간(12)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서 조금 돌출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장착공간(12)이 형성되는 영역이 반드시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서 돌출될 필요는 없다.According to the drawings, a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면에는 다수 곳에 안착가이드채널(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은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과 입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댑터(20)의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안착가이드채널(14)이 형성되어 있다.A seating guide channel (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2). The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을 따라서는 이동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16)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일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각각의 안착가이드채널(14)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서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따라 내려온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된다.A moving
상기 장착공간(12)의 입구 가장자리에 인접하여서는 다수개의 걸이편(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판형상이다. 상기 걸이편(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댑터(20)의 탄성걸림편(24)이 걸어진다.A plurality of hook pieces (18) are formed adjacent to the entrance edge of the mounting space (12). The
어댑터(20)는 상기 장착공간(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져 체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어댑터몸체(21)가 형성한다.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적어도 일부인 하부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어댑터몸체(21)의 하부는 상기 장착공간(12)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상이다.The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상면에는 부품안착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은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이다.A
상기 어댑터몸체(2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탄성걸림편(24)들이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또한 대략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외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된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판상이다. 상기 탄성걸림편(24)의 선단 일측 외면에는 걸림턱(24)이 있다. 상기 걸림턱(24)은 상기 걸이편(18)의 일측 단부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4)에는 경사면과 직교면이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걸이편(18)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고, 상기 직교면은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There are elastic catching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최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안착안내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는 본 실시례에서는 3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의 갯수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갯수와 같다.A plurality of
상기 안착안내리브(26)와 상기 탄성걸림편(24)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와 상기 탄성걸림편(24)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안착안내리브(26)끼리와 탄성걸림편(24)끼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어댑터(20)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어댑터(20)가 블럭케이스(10)에 체결되는 부분이 등간격으로 되도록 하여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의 내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28)는 본 실시례에서는 통공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결합부(28)는 홈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부(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제2결합부(36)가 결합되어 부품(30)이 부품안착공간(22)에 고정되어 안착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부품(30)은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안착공간(22)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부품(30)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자식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품(30)의 외관과 골격을 부품하우징(32)이 형성하고, 상기 부품하우징(32)의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탭단자(34)가 있다. 상기 탭단자(34)는 부품(30)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탭단자(34) 각각에는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The part (30) is seated in the part seating space (22) of the adapter (20). The
상기 부품하우징(32)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36)는 본 실시례에서는 돌기 형태로 된다. 참고로, 상기 제1결합부(28)는 홈형상이고, 상기 제2결합부(36)는 돌기 형상인데, 이들은 서로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28)와 제2결합부(36)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이다.A second engag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부품(30)은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안착공간(22)에 안착된다. 상기 부품(30)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품하우징(32)의 외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36)가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의 제1결합부(28)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안착공간(22)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다.The part (30) is seated in the component seating space (22) of the adapter (20). The second engaging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20)의 어댑터몸체(2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안내리브(26)를 상기 장착공간(12)의 안착가이드채널(14)의 입구에 위치시킨다.And that the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따라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되도록 상기 어댑터(20)를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에 상기 어댑터(20)의 하부가 위치되면, 상기 안착안내리브(26)는 상기 이동채널(16)의 입구와 일단부가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이다. 여기서는 상기 걸이편(18)과 상기 탄성걸림편(24)과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The
위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 가도록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어댑터(20)가 회전되어, 상기 탄성걸림편(24)이 상기 걸이편(18)에 접근하게 된다. 상기 걸이편(18)에 상기 탄성걸림편(24)의 걸림턱(25)이 안내되기 시작하면, 상기 탄성걸림편(24)은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이동된다.The
상기 탄성걸림편(24)의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을 통과하면, 상기 어댑터(2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는 상기 이동채널(16)의 길이를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걸림편(24)이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의 일단부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latching
이와 같이 부품(30)이 장착된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 장착되면 상기 이동채널(16)의 일측 끝에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서 상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져 있음으로 해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20)는 상기 장착공간(12)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탭단자(34)들에는 상대 커넥터 들이 결합된다. 상기 탭단자(34)들은 상기 부품하우징(32)의 내부에 있는 기판에 실장되어 있고, 이들 탭단자(34)들이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ting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상기 부품(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댑터(20)를 상기 장착공간(12)에 조립할 때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먼저,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진 걸림턱(25)이 분리되도록 상기 탄성걸림편(24)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어댑터(20)를 조금 회전시킨다.In order to separate the
상기 걸림턱(25)들이 모두 상기 걸이편(18)에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채널(16)을 지나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들어 올리면 상기 장착공간(12)에서 상기 어댑터가 분리되어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장착공간(22)에서 상기 부품(30)을 분리해 내면 된다.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블럭케이스12: 장착공간
14: 안착가이드채널16: 이동채널
18: 걸이편20: 어댑터
21: 어댑터몸체22: 부품장착공간
24: 탄성걸림편25: 걸림턱
26: 안착안내리브28: 제1결합부
30: 부품32: 부품하우징
34: 탭단자36: 제2결합부10: Block case 12: Mounting space
14: seating guide channel 16: moving channel
18: Hook 20: Adapter
21: Adapter body 22: Component mounting space
24: Elastic locking piece 25:
26: a seating guide rib 28:
30: part 32: part housing
34: tab terminal 36: second engaging por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0306AKR102375239B1 (en) | 2015-05-20 | 2015-05-20 | Parts mounting appa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0306AKR102375239B1 (en) | 2015-05-20 | 2015-05-20 | Parts mounting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6603Atrue KR20160136603A (en) | 2016-11-30 |
| KR102375239B1 KR102375239B1 (en) | 2022-03-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70306AActiveKR102375239B1 (en) | 2015-05-20 | 2015-05-20 | Parts mounting apparatu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7523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67621A (en)* | 1996-01-31 | 1997-10-14 | Denso Corp | Structure for part mounting |
| JP2000082882A (en)* | 1998-09-04 | 2000-03-21 | Toko Inc | Case for electronic components |
| KR20110122149A (en) | 2009-01-30 | 2011-11-09 |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Electrical connector for helmet-mounted night vision system |
| JP2012188089A (en)* | 2011-03-14 | 2012-10-04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Mounting structure for par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67621A (en)* | 1996-01-31 | 1997-10-14 | Denso Corp | Structure for part mounting |
| JP2000082882A (en)* | 1998-09-04 | 2000-03-21 | Toko Inc | Case for electronic components |
| KR20110122149A (en) | 2009-01-30 | 2011-11-09 |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Electrical connector for helmet-mounted night vision system |
| JP2012188089A (en)* | 2011-03-14 | 2012-10-04 | Japan Climate Systems Corp | Mounting structure for par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75239B1 (en) | 2022-03-1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8019409B (en) | Pin and grommet fasteners accommodating offset in two directions and related methods | |
| CN110878787B (en) | Seal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offset in two directions | |
| JP5090432B2 (en) | Fitting guide part for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 |
| JP2008034250A (en) | Connector device | |
| JP3044619B2 (en) | Floating panel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 |
| US10122103B2 (en) | Board connector | |
| KR20190026011A (en) | connector | |
| KR20130106860A (en) | Contact element for plug-in connector socket | |
| US9859651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 WO2015145281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US11404819B2 (en) | Contact device, contact system having such a contac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tact system | |
| KR101783661B1 (en) | Fixing plate for unit assembling | |
| CA3004605C (en) | Wall plate connector system | |
| KR20160136603A (en) | Parts mounting apparatus | |
| US20140193996A1 (en) |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key to avoid contact damage | |
| JP2013125624A (en) | Connector | |
| US11692570B2 (en) |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 |
| US10276964B2 (en) | Contact carrier | |
| CN113196578B (en) | Plug-in connector part for making contact in several spatial directions | |
| KR20120014709A (en) | Connector assembly | |
| JP5885283B2 (en) |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 |
| JP7281440B2 (en) | Luminaire with plug contact, use of such luminaire and plug connector for such luminaire | |
| JP6397239B2 (en) | Electronic components | |
| EP4509844A1 (en) | Rotation mechanism for measuring device | |
| CN109616360B (en) | Controll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5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00420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5052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61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1223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308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31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2031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1223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