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설치되며,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를 통해 또는 사용자(거주자)의 제어를 통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 which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are incorporat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system provided with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connected in the setting area through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or through the control of the user (resident) in real time, efficient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 as well as stored mo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capable of facilitating the correspondence of lifelong structure according to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형광등, 백열등, 3파장 광원등 등과 같은 실내 조명 또는 전등(입실등)은 입실자가 출입문 근처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수동으로 점멸된다.Indoor lighting such as a fluorescent lamp, an incandescent lamp, a three-wavelength light source, or the like installed in a room is usually turned on manually by directly operating a power switch provided near a door.
이러한 전등이 실내의 중앙부위 천정에 설치되고, 이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전선이 연결되는데, 특정 실내를 기준으로 외부로부터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는 부위를 전원공급원이라 할 때, 상기 전원공급원과 상기 전등 사이에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상기 전등에 전원공급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설치된다.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om. When the firs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room as a power source, The electric p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upply source and the electric lamp, and the electric power switch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ic power source and the electric power source so that the electric power can be manually operated to control the blinking.
따라서, 실내에 입실한 사람이 어두운 실내의 조도를 높이려고 하면,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 근처의 상기 전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점등한다.
Therefore, when a person entering the room intends to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dark room, the power switch near the door for entering the room is directly operated to light up.
이러한 수동조작의 형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는 전등 자동점멸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아파트 및 빌라 계단, 공동화장실, 학교 등과 같이 특정 개인의 실내거주장소와는 달리 불특정 다수인의 출입이 잦으면서도, 수동조작을 통해 점등하는 스위치의 설치가 오히려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로 이어지는 곳에 설치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automatic flashing device has come out of the manual operation mode. However, unlike an apartment or a villa staircase, a common toilet, a school, etc., The installation of the switch that is lit frequently by manual operation is installed at a place which leads to unnecessary energy waste.
이러한 자동점멸장치는 일정한 동작 감지 센서 및 이에 결부되어 타이머 및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출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전등을 자동으로 점멸할 수 있다.The automatic flasher includes a constant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 driving circuit for supplying and disconnecting a timer and a power supply in response to the constant motion detection sensor.
허나, 이러한 자동점멸장치의 경우, 입실자가 계속적으로 입실상태를 유지하더라고 상기 점멸장치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한정된 시간동안만 점등되고 이 후 점멸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으며,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lasher, it is inconvenient that the user keeps on the entrance state continuously, but is lit up for a limited time by the timer built in the flasher and then flickers,
입실자가 계속적인 점등을 소망할 경우, 동작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포착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반경 이상 과장된 움직임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ust perform an exaggerated movement over a predetermined radius to capture and detect movem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동작 감지 센서인 PIR 센서 뿐 아니라, 카운트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정구역 내에 입실, 퇴실 움직임 신호와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nt sensor as well as a PIR sensor, which is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to detect a moving / leaving motion signal and a movement signal It is possible to easily or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connected in the setting area.
국내공개특허 10-2008-0064393호("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자동 점등하는 일괄제어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외출 전 상태의 점등상태로 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하도록 하는 일괄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64393 ("a batch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lights up the lighting lamps at home in a batch", here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lighting sensor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So as to illuminat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며,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를 통해 또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 hav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connected in the setting area through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or through the user's control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which can facilitate the response of lifespan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 (OUT count)을 감지하는카운트 센서(count sensor)(10)와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20)가 내장되어, 설정구역 내의 연계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하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에서 감지된 신호들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하는자동 버튼부(100),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때마다,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하는수동 버튼부(200),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상태가 전환되도록 강제 제어하는전환 버튼부(300) 및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의 동작 상태와,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강제 제어하는차단 버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switch a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buil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entrance movement (IN count) and departure movement from the setting zone of the set areacount sensor for sensing the (OUT count) (count sensor ) 10 and a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20 for sensing movement in a setting are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nk means in the setting area , The
이 때, 상기 자동 버튼부(1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한 후,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하며,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e
또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한 후,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거나,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forcibly controlled to the ON state, and then the
더불어, 상기 수동 버튼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한 후,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수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더 나아가, 상기 전환 버튼부(3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제어를 위한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상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환 버튼부(300)는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상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each time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e
이 때, 상기 차단 버튼부(4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무선통신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5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카운트 센서(10)에 의한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또는 퇴실 움직임 신호 정보, 상기 PIR 센서(20)에 의한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감지 정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 정보를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utomatic switch system hav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에 설치되며,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setting area and includes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 system for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a switch,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 또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ighting means and the electric means connected in the setting area in real time through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or by the user's control, effective saving and disaster prevention effects, Structure and the like can be facilitated.
설정구역 중 특별 관리를 위한 특정 공간(화장실 등)을 지정할 경우, 노약자나 아동들이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입실 움직임과 퇴실 움직임의 분석, 공간 내 움직임의 분석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When a specific space (toilet, etc.) for the special management is designated in the setting area, the elderly person or the child can quickly judge the occurrence of the safety accid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entrance and exit, There is an effect that prompt response is possible.
또는, 재난 발생시 설정구역의 입실 움직임 정보와 퇴실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각 장소 또는 각 공간에 남아있는 인원수를 정확히 카운터하여 효과적인 인명 구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aster occurs, the entrance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exi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preset area are analyzed,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each place or each space can be accurately counted to perform an effective lif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n automatic switch device to which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collection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regularly interact to perform the required function.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설정구역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count sensor)와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가 내장되어 설정구역에 설치된 자동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설정구역 내의 연계 수단의 동작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nt sensor for detecting an IN count and an OUT count of a set zone and a 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built in the automatic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 unit installed in the setting area, can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ing means within the setting area, and the automatic switch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과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 스위치 장치의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n automatic switch device to which an automatic switch system is applied.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ing a count sensor and a PI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버튼부(100), 수동 버튼부(200), 전환 버튼부(300) 및 차단 버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 때, 상기 자동 버튼부(100), 수동 버튼부(200), 전환 버튼부(300) 및 차단 버튼부(4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구역에 설치된 자동 스위치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자동 스위치 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스템의 구동에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3, the
이 때, 상기 카운트 센서(10)는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IN count)과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PIR 센서(20)는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센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소정 센서 수단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실/퇴실 움직임 정보와 공간 내 움직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자동 버튼부(10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하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에서 감지된 신호들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상기 자동 버튼부(1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온 상태로 강제 제어함과 동시에,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이 동작 또한 온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The
이 후,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에서 감지된 신호들에 따라 자동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perating states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al means within the setting area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s sensed by the
다시 말하자면, 외부,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 버튼부(10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자동 버튼부(100)가 설치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는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로부터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됨으로써, 사용자는 더 이상의 스위치 조작 없이 용이하게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효율적인 절전 및 방재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상기 자동 버튼부(100)는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 상태로 강제 제어한 후,The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여, 동체의 수가 0이 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으며,When the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forcibly controlled to be OFF when the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time can be changed by the setting of the user.
즉, 설정구역에서 모든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잠든 것으로 가정하여, 조명수단을 점멸하여 자동 절전 모드로, 전기수단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 방재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ll the users are leaving the setting area, the lighting means is flickered to enter the automatic power saving mode,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means is cut off and the automatic disaster prevention mode can be controlled. If the user is no longer moving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utomatic disaster prevention mode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means 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mode by blinking the illumination means, assuming that the user does not exist or the user is asleep.
이 때,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부터의 최종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a motion signal in the setting zone is sensed from the
이와 반대로,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설정구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잠든 것으로 가정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no motion signal is detected in the setting area from the
또한, 상기 자동 버튼부(100)는 상기 카운트 센서(10)로부터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된 후,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경우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으며,When the entrance movement signal to the setting area is sensed afte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IR 센서(20)로부터 설정구역 내의 움직임 신호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온(ON)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tion signal in the setting zone is continuously detected from the
즉, 설정구역에서 최초 사용자가 입실할 경우,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설정구역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조명수단을 점등하고 전기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user enters the setting area, the lighting means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by the electric means, so that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lighting means and supply electric power by the electric means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상기 수동 버튼부(20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때마다,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상기 수동 버튼부(2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오프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The
이 후, 사용자의 터치 동작, 즉,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을 수동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peration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can be manu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operation signal inputted from the outside.
이를 통해서, 자동 제어 시스템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등이 직관적으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an elderly person or the like who has difficulty in operating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can intuitively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상기 전환 버튼부(30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제어를 위한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상태가 전환되도록 강제 제어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전환 버튼부(3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상기 수동 버튼부(200) 중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은 동작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 버튼부(10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전환 버튼부(30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은 상기 자동 버튼부(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동 버튼부(200)로부터 동작 상태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이와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을 직관 제어하는 중간에, 상기 전환 버튼부(300)의 터치 동작을 통해 동작 신호를 입력한 경우,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은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통해 자동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이 때, 실수로 인한 상기 자동 버튼부(100)와 수동 버튼부(200)의 동작 상태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전환 버튼부(300)로 동작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operation state of the
이 때, 소정시간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초 이상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and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input at least three seconds.
상기 차단 버튼부(400)는 외부로부터 동작 신호(ON)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오프(OFF)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The
뿐만 아니라,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 또한 OFF 상태로 강제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ssociated lighting means and electric means in the setting area is also forcibly controlled to the OFF state.
상세하게는, 상기 차단 버튼부(4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를 오프 상태로 강제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the
이에 따라, 상기 차단 버튼부(400)를 조작한 후, 사용자가 설정구역에 입실하거나, 설정구역 내에서 활동을 하더라도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가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이 제어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상태를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즉,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가 신호를 감지에 의해 낮 시간에 불필요한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온 동작 상태를 예방하거나, 동물 등에 의해 상기 카운트 센서(10)와 PIR 센서(20)가 신호를 감지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강제 제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본 발명의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corporating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무선통신수단(500)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카운트 센서(1)에 의한 설정구역으로의 입실 또는 설정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움직임 신호 정보, 상기 PIR 센서(20)에 의한 설정구역 내의 현재 움직임 감지 정보, 설정구역 내의 연계된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5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automatic switch system in which the count sensor and the PIR sensor are installed via an external network, Moving motion signal information, current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setting area by the
이 때,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의 요청, 즉,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delivered according to a preset cycle or when an external request, that is, a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가 내장된 자동 스위치 시스템은, 상기 자동 버튼부(100)의 경우, 카운트 센서와 PIR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동 버튼부(200)의 경우, 사용자(거주자)의 제어에 따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구역 내의 연계되어 있는 조명수단 및 전기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전, 방재 효과와 더불어 저장된 움직임 정보에 따른 인명구조 등의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카운트 센서
20 : PIR 센서
100 : 자동 버튼부
200 : 수동 버튼부
300 : 전환 버튼부
400 : 차단 버튼부
500 : 무선통신수단10: Count sensor
20: PIR sensor
100: Automatic button section
200: manual button section
300:
400:
500: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9412AKR20160136490A (en) | 2015-05-19 | 2015-05-19 |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e PIR sensor and count senso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9412AKR20160136490A (en) | 2015-05-19 | 2015-05-19 |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e PIR sensor and count senso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6490Atrue KR20160136490A (en) | 2016-11-3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69412ACeasedKR20160136490A (en) | 2015-05-19 | 2015-05-19 |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e PIR sensor and count sensor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13649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72603A (en) | 2020-11-25 | 2022-06-02 | 김홍전 | Passing and counting sensor module |
| KR20230036234A (en)* | 2021-09-07 | 2023-03-14 | 주식회사 보탬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72603A (en) | 2020-11-25 | 2022-06-02 | 김홍전 | Passing and counting sensor module |
| KR20230036234A (en)* | 2021-09-07 | 2023-03-14 | 주식회사 보탬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122976B1 (en) |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 |
| KR101733469B1 (en) | Smart switch system | |
| US20090058193A1 (en) | Wall switch for lighting load management system for lighting systems having multiple power circuits | |
| EP2668825B1 (en) | Lighting system | |
| KR100975480B1 (en) | Heated wire transmitter and wireless receiver | |
| KR20160136490A (en) | Automatic switch system include PIR sensor and count sensor | |
| KR20070111437A (en) | Multifunctional room management system | |
| KR10163858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oor lighting apparatus | |
| KR20160141120A (en) | movement sensing type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radar sensor | |
| JP3224376U (en) | Lamp control circuit | |
| KR100778931B1 (en) | Automatic light switch for infants and the disabled | |
| JP2005071873A (en) | Illumination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 |
| KR101597664B1 (en) | Energy-saving inner lighting apparatus | |
| KR20140100233A (en) | Sensor lamp having and emergency lamp function | |
| KR101285304B1 (en) | Emergency led lighting device | |
| KR10150853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oilet lighting | |
| KR101161565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
| CN202406345U (en) | control switch | |
| JPH10125475A (en) | Lighting control device | |
| KR100728323B1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ye protection lamp and socket to which it is applied | |
| JP3080028U (en) | Emergency lighting | |
| KR200498619Y1 (en) | Power cut-off system through illuminance detection | |
| KR102540900B1 (en) | Lighting device with the ability to cut off current by themselves | |
| KR20020074798A (en) | Automatical Electric-Lamp On and off Device | |
| KR20140112993A (en) | Sensor lamp for controlling brightnes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5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6071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113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70707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113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2I Patent event date:20160715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