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전성패드의 크기나 면적에 상관없이 전기자극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인가할 수 있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apable of stably and smoothly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irrespective of the size or area of the conductive pad.
일반적으로, 저주파자극기는 저주파가 발생되는 장치로서 피부조직이나 피하조직에 자극을 인가하게 될 경우 혈행을 촉진하게 되므로 의료용이나 미용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a low-frequency stimulator is a device generating low-frequency waves. When a stimulus is applied to a skin tissue or a subcutaneous tissue, blood circulation is promoted, and thus it is widely used as a medical or cosmetic tool.
예컨대, 저주파자극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0), 이 전원공급부(10)의 마이너스(-)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부재(20), 전원공급부(10)의 플러스(+) 전극과 연결되는 제2 전극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1, the low frequency stimulator includes a
제1 및 제2 전극부재(20,20')는 전극케이스(21), 이 전극케이스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의 마이너스(-) 전극 및 플러스(+) 전극과 연결된 케이블(30)과 접속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전극편(미도시), 및 전극편의 전면에 부착되어 피부와의 접촉을 접착패드(22)를 구비한다.The first and
상기한 저주파자극기는 전원공급부(10)의 작동으로 자극이 인가되면 피부 및 피하조직의 혈행을 촉진함으로써 치료효과나 미용효과는 발휘할 수 있지만, 패치식 접착패드(22)는 넓은 면적에 저주파 전류를 인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When the stimulation is a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598호에는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To solve these drawback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3598 has proposed a sheet hav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53598호에 따른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유연 소재인 도전성 전극판부재(22)에 절연피복층(26) 및 결합부재(30)가 구비된 것으로, 절연피복층(26)은 비도전성 소재로 형성되어 전극판부재의 일면 상의 주변영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0)는 전극판부재(22)에 접촉하여 단자링(34)이 고정되도록 결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 자극용 전류를 전극판부재(22)의 유효영역(24)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eet hav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53598 includes an
등록실용신안 제20-0353598호에 따른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는 어느 정도 넓은 면적에 저주파를 인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sheet having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53598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apply a low frequency to a large area, bu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전극판부재(22)에 전류를 인가하는 부재인 결합부재(30)가 리벳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밀착성이 떨어져 전기 자극을 원활하게 인가할 수 없고, 금속이 피부와 접촉되므로 피부 트러블과 불쾌감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First, since the
그리고, 전극판부재(22)에 홀을 천공하고 결합부재(30) 및 단자링(34)를 설치하고 절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제조작업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work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excessively long, such as the necessity of inserting the
특히, 전극판부재(22)에 전류를 인가하는 부재인 결합부재(30)가 리벳 형태로 형성되어 한쪽 가장자리 부분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극판부재(22)의 면적이 일정 크기 이상일 경우 여전히 전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극판부재(22)의 크기나 면적이 클 경우 고르게 전류를 공급할 수 없어서 저주파 자극 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전성패드의 크기나 면적에 상관없이 전기자극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that can stably and smoothly apply an electric stimulus regardless of the size or area of the conductive p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착성이 향상되어 전기 자극을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고, 제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which can improve the adhesion and stably apply electric stimulation, improve manufacturing and productivity,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도전성패드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and is disposed along a path partitioning and occupying the conductive pad at the same ratio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도전성패드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and is disposed along a path dividing and occupying the area of the conductive pad at an equal ratio, And the best end por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is a free en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도전성패드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성패드에 연장되는 연결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연결밴드로부터 상기 도전성패드를 향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and is disposed along a path dividing and occupying the area of the conductive pad at an equal ratio, The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free end and a connection band extending to the conductive pad. The power supply line may be disposed from the connection band toward the conductive pad.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연결밴드에 배치되는 메인전원공급선과, 상기 메인전원공급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공급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main power supply line disposed in the connection band, and a plurality of branch power supply lines branch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line and disposed in the conductive pad.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선은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되되, 상기 연결밴드 부분에서 파형의 진폭이 작은 소 진폭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패드 부분에서는 상기 소 진폭구조에 비해 파형의 진폭이 크게 형성된 대 진폭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lines are arranged in a zigzag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pad portion is arranged in a small amplitude structure having a small amplitude of the waveform, and the conductive pad portion has a large amplitude structure As shown in FI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도전성패드로 배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성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밴드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도전성패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테두리부와 이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전성패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as the conductive pad, the best end por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is configured as a free end, Wherein the connection band comprises a rim portion arranged to surround the conductive pad and an extens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rim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of the conductive pad, the power supply line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to the rim, Is arranged along a part of the su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도전성패드로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패드에 결합되는 전원선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전원선밴드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along the path partitioned and occupied by the conductive pad at an equal ratio of the area of the conductive pad,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in the power line band. The power line ba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d, and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in the power line band.
여기서, 상기 전원선밴드는 상기 도전선패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선밴드와, 상기 분기전원선밴드가 연결되는 메인전원선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메인전원선밴드에 배치되는 메인전원공급선과, 상기 메인전원공급선과 연결되고 상기 분기전원선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공급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line b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ower line bands disposed on the conductive line pads, and a main power line band to which the branch power line bands are connected, wherein the power source line is disposed in the main power line band A main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branch power supply lin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line and disposed in the branch power line band.
그리고, 상기 전원선밴드는 중공부를 갖는 구조로 직조되는 밴드몸체와, 상기 도전성패드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밴드몸체에 연장,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중공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밴드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ower line band includes a band body woven in a structure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 binding portion extending and formed in the band body for binding the conductive pad, Lt; RTI ID = 0.0 > part < / RTI > of the band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패드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중공면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중공부 내부 또는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conductive pad is formed of a hollow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or on the conductive pad, The conductive pads are arranged along a path dividing and occupying the same area of the conductive pad, and the best end por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is a free e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 및 상기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패드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패드부,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기 상패드부와 대응되게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는 하패드부, 및 상기 상패드부와 하패드부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상패드부 또는 하패드부에 배치되되, 상기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의 최선단 부분은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mprising: a conductive pad having a conductive plane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conductive pad, wherein the conductive pad is woven by weft and weft, weft and warp, and corresponding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d,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a connection yarn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d portion and the lower pad portion,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on the upper pad portion or the lower pad portion, And the pad is arranged along a path occupying and dividing the area at the same rate, and the best end por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is a free end.
전술한 상기 도전성패드는 요입홈, 돌출부 및 통풍공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ncave grooves, protrusions, and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nductive pad.
그리고, 상기 도전성패드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되, 상기 위사 및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신축성고분자사가 공급되어 제직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d is woven as a fabric by a fiber yarn supplied as a weft yarn and a warp yarn, and a stretchable polymer yarn is supplied as a part or all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s to be woven.
또한, 상기 도전성패드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되,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직물지에 자수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conductive pad is woven as a fabric by a fiber yarn fed as a weft yarn and a warp yarn, and the power supply yarn is supplied as a part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 and is integrally weaved or arranged on the fabric in an embroidery manner.
아울러, 상기 도전성패드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되, 상기 위사 및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가 공급되어 제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pad may be woven as a fabric by a fiber yarn supplied as a weft yarn and a warp yarn, and a fiber yarn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supplied to be a part or all of the weft yarn and the warp yarn to output an electric stimulus.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성패드는 기저층에 도전성폴리머층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선 중에서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도전성폴리머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절연층을 갖지 않는 도전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ductive pad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ductive polymer layer is formed on a base layer, and a por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no insulating lay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lymer layer. .
한편, 상기 도전성패드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되, 상기 직물지는 망사형 직물지로 직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pad is woven as a fabric by a fiber yarn supplied as a weft yarn and a warp yarn, and the fabric yarn may be woven into a mesh fabric.
그리고, 상기 도전성패드는 복수의 통풍공을 갖는 면상체 또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d may be formed of a planar body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or a nonwoven fabric.
상기 전원공급선은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접속되는 양극전원공급선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음극 단자와 접속되는 음극전원공급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패드는 상기 양극전원공급선이 배치되는 양극영역과, 상기 음극전원공급선이 배치되는 음극영역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부가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positive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negative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may be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ad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anode region where the anod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and the cathode region where the anod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어 통전되는 전원의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ensing part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and sensing a level of a power source to be energized.
상기 전원공급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 및 상기 중심사에 감김 또는 엮임되는 도전사를 포함하는 도전선; 또는 도전성을 갖는 도전사가 중심사에 감김 또는 엮임 된 후 상기 중심사가 제거되어 내부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된 도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center core disposed at a center, and a conductive wire wound or engaged with the center core; Or a conductive wire having conductive yarn wound or joined to the core yarn and then removing the core yarn and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t the inner center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인체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는 생체정보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so as to sens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감지수단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성선재로 형성된 제1 센서선 및 제2 센서선이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된 온도감지부; 심박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심박감지모듈; 및 혈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혈압감지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having a first sensor line and a second sensor line formed of conductive wire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resistances and having contact points; A heartbeat detection module including a heartbeat detec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heartbeat; A blood pressure detecting module including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blood pressure;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는 온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heating means disposed on the conductive pad to provide heat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의하면, 도전성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선이 배치되되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그 최선단 부분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전성패드의 어느 지점에서도 공급 전류값이 등분포되므로 도전성패드의 크기나 면적에 상관없이 전기자극용 전원을 고르고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line is disposed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ductive pad, but the conductive pad is disposed along a path for dividing the area of the conductive pad at the same ratio, The supply current value is uniformly distributed at any point of the conductive pad, so that the electric power for electric stimulation can be uniformly and stably applied irrespective of the size or area of the conductive pa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의하면, 직물지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에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전원공급선이 직조방식이나 자수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체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전기자극을 원활하게 인가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line formed of the fiber-based conductive wire is disposed in the conductive pad having the flexible flat surface structure like the fabric, by the weaving method or the embroidery method, The electric stimulation can be applied smoothly and the skin trouble is not ca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직물지로 형성된 도전성패드에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전원공급선이 직조방식이나 자수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므로 제조공정이 간결,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line formed of the fiber-based conductive wire to the conductive pad formed of the fabric is disposed in a woven or embroidery manner,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saved.
도1 및 도2는 종래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4b는 도4a의 C부 확대단면도,
도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적용되는 전원공급선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S.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4A,
4C is an enlarged princip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supply line applied to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princip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3 내지 도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3 내지 도12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FIG. 3 to FI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shape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4b는 도4a의 C부 확대단면도이고, 도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적용되는 전원공급선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FIG. 4A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 of FIG. 4A,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supply line applied to the conductive pad; Fig.
도3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도전성패드(1)와, 이 도전성패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4C,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특히,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1)의 어느 지점에서도 동일, 유사한 전기자극이 인체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전류값의 등분포를 위해 도전성패드(1)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전원공급선(2)은 그 최선단 부분 자유단(e)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Particularly, the
상기 도전성패드(1)는 전원공급선(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자극을 인체에 인가할 수 있도록 도전성을 갖는 면상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제1 실시예에서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층(11)에 도전성폴리머층(12)가 적층된 구조를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상기 전원공급선(2)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과 연결된 직류전원공급장치를 의미함)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도전성패드(1)에 공급할 수 있는 도전성선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선 중에서 도전성패드(1)에 배치되는 부분은 도전성폴리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절연층을 갖지 않는 도전사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기저층(11)은 직물지, 부직포, 천연 및 인조가죽 등과 같은 면상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저층(11)으로서 섬유사를 제직기나 편직기에 위사(a) 및 경사(b)로 공급하여 제직한 제직물이나 편직물로 구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직조는 제직 및 편직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직조물 또는 직물지는 제직물과 편직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그리고, 기저층(11)의 직조에 이용되는 위사 및 경사는 대표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섬유사를 적용하되, 기저층(11)을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를 통상 스판사나 폴리우레탄사 등으로 호칭되는 신축성고분자사를 공급하여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ft yarns and the warp yarns used for weaving the
아울러, 기저층(11)은 위사 및 경사의 배치밀도 또는 직조패튼이 조밀하여 도전성폴리머층(12)이 고르게 적층 또는 프린팅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저층이 조밀하게 직조되면 평평도가 향상되어 도전성폴리머가 고르게 적층되어 도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기저층(11)은 직조물로 구성되므로 서로 엮여지는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표면에 수많은 요철이 형성되므로 기저층(11)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압착롤러(미도시)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표면을 평활화하는 카렌더링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카렌터링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위사 및 경사는 서로 눌려져 평탄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전원공급선이 납작하게 변형되면서 평탄도가 향상되고 위사 및 경사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한편, 도전성폴리머층(12)을 형성하는 도전성폴리머는 도전성 고분자, 탄소, 은, 금, 백금, 티타늄, 팔라듐, 구리, 알루미늄, 주석, 철, 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도전성 물질이나, 이 도전성 물질과 바인더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인더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olymer forming the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폴리머층(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 기저층(11)에 배치되는 도전선(2a)으로 이루어진다.The
전원공급선(2)은 대표적으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심사(21), 도전사(22) 및 외피사(23)로 이루어진 도전선(2a)이 적용되는 것으로, 도전성패드(1) 부분에는 도전사(22)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전성폴리머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외피사(23)를 제거하고 도전사(22)에 형성된 절연피막층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전성패드(1) 부분에 위치하는 도전선(2a)의 외피사(23) 및 도전사(22)의 절연피막층의 제거방법은 첫째, 도전선(2a)을 기저층(11)에 배치하기 전에 도전성패드(1)에 위치할 도전선 부분의 위치를 계산하여 미리 일정 구간만큼 사전에 제거하거나, 도전선(2a)을 기저층(11)에 배치한 후 가열방식 등의 후처리 방식으로 시행할 수 있다.The
이하, 도4c를 참조하여 전원공급선(2)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전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C, the conductive wires applicable to the
도전선(2a)은 복수 가닥의 섬유사 및 도전사(22)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되어 섬유 고유의 가요성과 촉감을 갖도록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한 것을 적용하되, 대표적으로 직물지의 직조시에 섬유사와 함께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서 직기(미도시)에 공급되어 직조되거나, 자수기(미도시)의 자수사 공급부에 자수사로 공급되어 기저층(11)에 엮여져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4c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사(21)와, 이 중심사(21)의 외면에 배치되고 절연피막층이 형성된 도전사(22), 및 도전사(22)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피사(23)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적용한다.The
중심사(21)는 가요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섬유사로 구성하되 섬도(굵기)가 5 내지 2000 데니어(denier) 범위인 것을 적용한다. 여기서 중심사(21)의 섬도가 5 데니어 이하일 경우 굵기가 지나치게 가늘어서 도전사(22)를 권취하기가 어렵고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없으며, 중심사(21)의 섬도가 2000 데니어 이상일 경우 굵기가 지나치게 커서 도전선(2a)의 전체적인 굵기 증가를 초래하고 가요성이 저하되어 직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1 데니어는 섬유재료 1그램이 9000미터로 뽑아 졌을 때의 굵기를 의미한다.The
도전사(22)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이 중심사(21)의 외면에 엮여지거나 권취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사, 탄소사,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섬유사,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은(Ag), 동(Cu) 등으로 형성되고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사(22)로서 상기한 직경 범위의 도전성 금속사를 적용하는 이유는 도전성 금속사가 적어도 한 가닥 이상 포함되어 도전선(4a)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전체 직경이 10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어야 직기에 원활하게 공급하여 직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least one strand of the
도전사(22)는 그 직경이 5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경우 직조에 어려움이 있고,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도전성 금속사는 현재의 생산기술로는 대량 생산이 곤란하여 실질적인 검증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및 내구성이 품질이 검증된 2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동선을 적용한다.When the diameter of the
외피사(23)는 도전사(22)의 외부에 덧씌워지도록 배치되는 선사로서 도전사(22)의 외면에 엮여지는 형태로도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사(22)에 권취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한편, 전원공급선(2)은 도4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사(22)가 중심사(21)에 감김 또는 엮임 된 후 중심사(21)가 제거되어 내부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된 도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4C, the
도4c의 (C)에 도시된 전원공급선(2)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심사(21)에 도전사(22)를 코일 형태로 감고 중심사를 제거하게 되면 외경이 작은 코일형 도전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사(21)는 물리적, 화학적 및 광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선사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중심사(21)는 도전사(22)보다 저온에서 용융되는 저융점 선사, 광의 조사시에 분해되는 광분해성 선사, 유기용제와 접촉시에 분해되는 유기용제분해성 선사, 수분과 접촉시에 분해되는 수분분해성 선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예컨대, 광분해성 선사는 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광촉매 물질을 함유한 광분해성 PP수지 또는 PE 수지를 이용하여 뽑아낸 선사 등과 같이 광의 조사시에 분해되는 선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분해성 선사가 중심사로 적용된 전원공급선(2)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를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면 코일 형태로 배치된 도전사만 잔류하게 된다.For example, the photodegradable preform can be constructed by applying a preform that is decomposed upon irradiation with light, such as a photodegradable PP resin containing a photocatalyst material such as titanium oxide (TiO2) or a preheater extracted using a PE resin. If the photolytic preheater is rem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amp that irradiates the light is brought close to the
또한, 중심사(21)를 유기용제와 접촉시에 분해되는 유기용제분해성 선사를 적용할 경우, 아세톤에 분해되는 폴리염화비닐사나, 신나, 에틸렌 등에 분해되는 폴리스틸렌사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용제분해성 선사를 중심사로 적용한 경우 이와 화학반응하는 해당 용매를 중심사에 분무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When an organic solvent-decomposable precursor which is decomposed when the
그 외에도, 중심사(21)는 펄프 등과 같이 수분과의 접촉시에 분해되는 수분분해성 소재를 이용하여 뽑아낸 원사를 적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PVA섬유(Poly Vinyl Alcohol, 포발액에서 방사한 후 가공하지 않은 그대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PVA섬유는 포발(poval)을 녹여 방사 원액을 만들고 레이온과 유사한 방사법으로 방사하여 제조하는 필라멘트사 형태의 원사로서 방사한 상태의 것은 물에 쉽게 녹지만 통상 물에 강하도록 후처리하여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하기 전의 PVA섬유를 적용한다.In addition, the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면상구조로 형성된 도전성패드(1)와, 이 도전성패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전성패드(1)는 통풍성을 고려하여 통풍공(13)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도전성패드(1)는 통풍공 외에도 인체와 같은 피설치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요입홈(미도시)이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도전성패드(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풍공(13)을 갖는 면상구조 외에도 비교적 통풍성이 우수한 부직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한편,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1)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기저층(11)에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파단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굴곡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는 대략 사인파 형상의 파형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단일의 도전성패드(1)를 인체에 설치 또는 부착하더라도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양극 패드 부분과 음극 패드 부분이 단일의 도전성패드(1)에 구성되어 있다.(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양극 및 음극 도전성패드가 필요함)5B,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ven when a single
이를 위해 전원공급선(2)은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양극 단자(+)와 접속되는 양극전원공급선(2b)과,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음극 단자(-)와 접속되는 음극전원공급선(2c)으로 구성되어 단일의 도전성패드에 배치되어 있다.To this end, the
그리고, 도전성패드(1)는 양극전원공급선(2b)이 배치되는 양극영역(1a)과, 음극전원공급선(2c)이 배치되는 음극영역(1b)과, 양극영역(1a) 및 음극영역(1b)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부(1c)로 구성되어 있다.The
예컨대, 절연부(1c)는 기저층(11)에 도전성폴리머층(12)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양극영역(1a) 및 음극영역(1b)에만 도전성폴리머층(12)을 형성하고 절연부(1c) 부분에는 도전성폴리머층의 형성을 생략할 경우 양극영역(1a)와 음극영역(1b)이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된다. 아울러, 절연부(1c)에 절연특성을 갖는 절연재를 도포할 경우 절연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에 의하면, 인체에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해서 양극 도전성패드와 음극 도전성패드를 각각 설치하지 않더라도 서로 이격 배치된 양극영역(1a) 및 음극영역(1b)을 통해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node conductive pad and the cathode conductive pad are not provided for applying the electric stimulus to the human body, the anode region 1a, And the
도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C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배치되어 통전되는 전원의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3)가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C, in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전원감지부(3)는 전원공급선(2)의 배치경로에 접하여 도전성선재로 형성된 양극 전원감지선(31)과 음극 전원감지선(32)이 배치되고, 이 양극 및 음극 전원감지선(31,32)의 단부는 도전성패드(1)의 도전성폴리머층(1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The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양극 및 음극 전원감지선(31,32)에 의해 도전성패드(1)의 전기저항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전성패드로 흐르는 전류값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땀이나 수분 등이 스며들어 과전류가 인체에 작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전성패드와 연결된 전기자극기(저주파자극기 등)의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적절한 전류값으로 조절하고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ds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can sense the electric resistance of the
도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D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인체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전성패드에 배치되는 생체정보감지수단(4)이 더 구성되어 있다.5D,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4 disposed on a conductive pad so as to sens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have.
생체정보감지수단(4)은 온도, 맥박, 혈압, 습도 등 인체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5d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4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온도감지부(41)는 온도검출소자를 구비한 통상의 온도센서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도전성패드(1)를 직물지로 직조하는 과정에서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성선재로 형성된 제1 센서선(411) 및 제2 센서선(412)을 동시에 공급, 배치하거나, 기 제작된 도전성패드(1)에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성선재로 형성된 제1 센서선(411) 및 제2 센서선(412)을 자수방식으로 배치한 후 제1 센서선(411) 및 제2 센서선(412)을 접촉점(p)을 갖도록 접합하여 구성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4 can be configured to select various sensing means capable of sensing various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of a human body such as temperature, pulse, blood pressure, and humidity. FIG. 5D shows a temperature sensing (41). Her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411,412)은 직조방식 또는 자수방식에 의해 직물지에 배치되되, 인장력 또는 충격력의 인가시에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그리고, 제1 센서선(411)과 제2 센서선(412)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로 구성된다. 이때, 제2 센서선(412)을 구성하는 도전사는 제1 센서선(411)을 구성하는 도전사와 비교하여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를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금속사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센서선(411,412)을 접속하고 임의의 한 접점에 온도변화를 줄 때 제베크 효과에 의해 열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생체정보감지수단(4)은 전술한 온도감지부 외에도 다양한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몇 가지만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혈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혈압감지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4 may include sensing means for sensing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besides the temperature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 blood pressure sensing module including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blood pressure, Can be installed.
그리고, 생체정보감지수단은 심박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심박감지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심박감지센서는 도전성 폴리에틸렌 등으로 형성된 감지편을 도전성패드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heart rate sensing module (not shown) including a heart rat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heart rate. Here, the heartbeat detection sensor can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 sensing piece formed of conductive polyethylene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conductive pad.
아울러, 전술한 혈압감지모듈, 심박감지모듈과 같은 생체정보감지수단(4)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기(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mitt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4 such as the blood pressure sensing module and the heartbeat sensing module described above,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wirelessly. For example, the transmitter 12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wirelessl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한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인체에 온열을 제공할 수 잇는 온열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heating means (not shown) capable of providing heat to the human body.
온열수단(미도시)은 열전소자를 구비한 열전모듈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착용감을 고려하여 도전선선재로 형성된 발열선을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means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but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heating wire formed of the conductive wire wire in a zigzag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wearing comfo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second to seven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will be omitted, Explained mainly. In the following second to seventh embodiments, any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modifications thereof and the like can be selectively applied, and detailed explanations and drawings can be omitted.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6 is a plan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nlarged portion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dicated portion.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연장되는 연결밴드(5)가 더 형성되고,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1)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그 최선단 부분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되 연결밴드(5)로부터 도전성패드(1)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6,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전원공급선(2)은 자수사로 공급되어 고정사(6)에 의해 고정되는 자수방식으로 배치된다. 즉 자수작업을 수행하는 직기인 자수기에 직물지로 형성된 도전성패드(1)를 배치한 후 전원공급선(2)을 자수사로 공급하면서 고정사(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The
그리고,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1)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기저층(11)에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파단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되되, 연결밴드(5) 부분에서 파형의 진폭이 작은 소 진폭구조로 배치되고, 도전성패드(1) 부분에서는 소 진폭구조에 비해 진폭이 큰 대 진폭구조로 배치되어 있다.The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전원공급선(2)은 중심사(21)에 복수의 도전사(22)가 감김된 도전선(2a)을 적용하되, 도전사(22)의 외부에 복수의 섬유사가 편조방식으로 엮여지는 외피층(23a)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이때, 도전성패드(1) 부분에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은 외피층(23a)을 제거한 상태로 배치한다.In the
그리고, 도전성패드(1)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되, 상기 직물지는 통풍성이 향상되도록 망사형 직물지(미도시)로도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연결밴드(5)가 구비되고 이 연결밴드에 전원공급선(2)의 인입 부분이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전원공급선의 손상이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전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패드에 연결밴드가 구비되면 연결밴드를 의복 등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도전성패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급, 보관 및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 7 is a plan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larged portion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dicated portion.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연장되는 연결밴드(5)가 더 형성되고,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그 최선단 부분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되, 전원공급선(2)은 연결밴드(5)에 배치되는 메인전원공급선(2d)과, 이 메인전원공급선(2d)으로부터 분기되어 도전성패드(1)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공급선(2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메인전원공급선(2d)은 분기전원공급선(2e)의 수량과 대응하는 수량의 도전성선재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패드(1) 부분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분기전원공급선(2e)으로 배치된다.7,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전성패드(1)는 직물지로 형성된 기저층(11)에 도전성폴리머층(12)을 형성하지 않고 직물지의 제직을 위한 위사 및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를 공급하여 제직한다.The
이때,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는 전원공급선에 비해서는 전기저항값이 커서 도전성이 낮지만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다양한 섬유사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는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섬유사,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ber yarn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selected and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iber yarns having a higher electrical resistance value than the power supply line so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 but the current can be conducted. For example, a fiber yarn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fiber yarn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conductive metal nano-particles, metal oxide particles, graphene, etc.), a fiber yarn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r the like.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연결되는 연결밴드(7)가 더 형성되고, 전원공급선(2)은 도전성패드(1)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한편 그 최선단 부분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밴드(7)는 도전성패드(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테두리부(71)와 이 테두리부(71)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전성패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72)로 구성되고, 전원공급선(2)은 연장부(72)로부터 테두리부(71)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8,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연결밴드(7)는 위사 및 경사를 공급하여 띠 형상의 직물지로 직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선(2)을 공급하여 함께 직조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이를 기 제작된 도전성패드(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하여 봉재하는 방식으로 설치한다.The connecting
그리고 연결밴드(7)는 도8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 자 형상으로 접혀진 직물지띠의 일면에 전원공급선(2)이 배치된 구조로 형성되는 바람직하다.And connecting band (7) it is preferably formed from a substantially a"b" shape with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연결밴드(7)를 직조방식으로 대량으로 제작한 후 도전성패드(1)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고 봉재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제조와 조립이 간편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도전성패드(1)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ductive pa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mass-producing the connecting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면상구조로 형성된 도전성패드(1)와, 이 도전성패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원공급선(2)이 배치되어 도전성패드(1)에 결합되는 전원선밴드(8)가 더 구성되어 있다.9,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전원선밴드(8)는 띠 형상의 직물지로 직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선(2)을 공급하여 함께 직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The
그리고, 상기 전원선밴드(8)는 도전선패드(1)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선밴드(8b)와, 분기전원선밴드(8b)가 하나로 모아져 연결되는 메인전원선밴드(8a)로 구성되고, 전원공급선(2)은 메인전원선밴드(8a)에 배치되는 메인전원공급선(2d)과, 메인전원공급선과 연결되고 분기전원선밴드(8b)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전원공급선(2e)으로 구성된다.The
상기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 또한 제4 실시예에 나타난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와 마찬가지로 전원선밴드(8)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도전성패드(1)의 크기에 맞추어 간편하게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뛰어나고 제조와 조립이 간편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ductive pads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ductive pads for electric stimulation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It can be easily cut and installed so that it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so that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로서, 전원선밴드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패드(1)에 띠 형태의 전원선밴드(8)가 배치되되, 전원선밴드(8)는 쿠션 기능이 부여되어 전원공급선(2)을 보호할 수 있도록 중공부(811)를 갖는 구조로 직조된 밴드몸체(81)로 구성되고, 이 밴드몸체(81)에는 도전성패드(1)와의 결속시 봉재용 고정사(미도시)가 꿰어지는 결속부(82)가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10,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nd-shaped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선(2)은 밴드몸체(81)의 중공부(811) 내부에 배치되되 도전성패드(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밴드몸체(81)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The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된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1)와, 도전성패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을 구비하되, 도전성패드(1)는 내부에 중공부(1d)를 갖는 중공면상체로 구성되어 있다.11, 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도전성패드(1)의 중공부(1d)에는 충진물이 삽입되어 있다. 충진물(9)은 지압효과를 발휘하는 세라믹 알갱이, 보온작용을 수행하는 단열재, 토르말린(전기석), 숯알갱이와 같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물질 등이 채워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폼 등과 같이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완충재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The filler is inserted into the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중공면상체로 형성된 도전성패드(1)의 중공부(1d)에 내장된 충진물(9)에 의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보온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충진물(9)로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수행하는 기능성물질이 내장된 경우에는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bsorbs shock applied to a human body by a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nlarged portion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implified sectional structure of the indicated portion. FIG.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된 면상구조의 도전성패드(1)와, 도전성패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원공급선(2)을 구비하되, 도전성패드(1)는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직조되는 상패드부(14),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직조되고 상패드부(14)와 대응되게 이격공간(17)을 갖도록 배치되는 하패드부(15), 및 상패드부(14)와 하패드부(15)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c)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16)로 이루어진다.12, a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전원공급선(2)은 상패드부(또는 하패드부)에 배치되되, 도전성패드의 면적을 동일한 비율로 구획, 점유하는 경로를 따라 그 최선단 부분이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The
전술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상패드부(14) 및 하패드부(15)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16)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패드부(14) 및 하패드부(15)에 형성되는 도전성폴리머층이나 전원공급선(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연결사(c;파일사라고 호칭됨)는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패드부(14) 및 하패드부(15)를 형성하는 선사(위사 및 경사)에 비해 탄성력이 큰 선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사(c)를 탄성력이 큰 선사로 적용할 경우 상패드부(14)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사(c)는 모노필라멘트사와 같은 합성섬유사 계열의 섬유사가 적용되거나, 위사 및 경사에 비해 데니어(굵기)가 큰 섬유사가 공급되어 직조된다.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buffering action by the
한편,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는 이격공간(17)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제6 실시예와 같이 충진물(미도시)을 설치하거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생체정보감지수단을 보다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편직기나 제직기 등 다양한 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할 수 있으므로 세부 구조나 제직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ductive p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1:도전성패드 1a:양극영역
1b:음극영역 1c:절연부
11:기저층 12:도전성폴리머층
13:통풍공 14:상패드부
15:하패드부 16:연결부
2:전원공급선 2a:도전선
2b:양극전원공급선 2c:음극전원공급선
21:중심사 22:도전사
23:외피사 23a:외피층
3:전원감지부 31:양극 전원감지선
32:음극 전원감지선 4:생체정보감지수단
41:온도감지부 5,7:연결밴드
6:고정사 71:테두리부
72:연장부 8:전원선밴드
81:밴드몸체 82:결속부
9:충진물1: conductive pad 1a: anode region
1b:
11: base layer 12: conductive polymer layer
13: ventilation hole 14: upper pad portion
15: lower pad portion 16: connection portion
2:
2b: positive
21: Central company 22:
23:
3: Power sensing part 31: Positive power sensing wire
32: Negative electrode power sensing line 4: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eans
41:
6: Fixing yarn 71:
72: Extension part 8: Power line band
81: band body 82:
9: Fillings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805AKR20160131429A (en) | 2015-05-06 | 2015-05-06 | Electric conduction pad for electrostimula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805AKR20160131429A (en) | 2015-05-06 | 2015-05-06 | Electric conduction pad for electrostimulation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1429Atrue KR20160131429A (en) | 2016-11-16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3805AWithdrawnKR20160131429A (en) | 2015-05-06 | 2015-05-06 | Electric conduction pad for electrostimulation |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31429A (e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647A1 (en)* | 2017-08-16 | 2019-02-21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KR20190019033A (en)* | 2018-09-14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system comprising a current generator for outputting a microamperage current whose frequency and waveform changes in a conductive mask pack |
KR20190018997A (en)* | 2017-08-16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KR20210071516A (en) | 2019-12-06 | 2021-06-16 | 박준호 | Affected area adaptive pad and stimul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reof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598Y1 (en) | 2004-03-12 | 2004-06-22 | 이상홍 | Sheet with electric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
KR200377009Y1 (en) | 2004-08-09 | 2005-03-11 | (주)스트라텍 | A complex medical pad apparatus which have ultrasonic transducers, electric stimulative carbon pads, and laser exciters with laser diodes. |
KR200413138Y1 (en) | 2005-11-18 | 2006-04-05 | 이상홍 | Conductive Pa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598Y1 (en) | 2004-03-12 | 2004-06-22 | 이상홍 | Sheet with electric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
KR200377009Y1 (en) | 2004-08-09 | 2005-03-11 | (주)스트라텍 | A complex medical pad apparatus which have ultrasonic transducers, electric stimulative carbon pads, and laser exciters with laser diodes. |
KR200413138Y1 (en) | 2005-11-18 | 2006-04-05 | 이상홍 | Conductive Pa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5647A1 (en)* | 2017-08-16 | 2019-02-21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KR20190018997A (en)* | 2017-08-16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using micro-current |
KR20190019033A (en)* | 2018-09-14 | 2019-02-26 | 주식회사 이엘에프 | Mask pack system comprising a current generator for outputting a microamperage current whose frequency and waveform changes in a conductive mask pack |
KR20210071516A (en) | 2019-12-06 | 2021-06-16 | 박준호 | Affected area adaptive pad and stimul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reof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56724B2 (en) | Bioelectrodes and wearable electrodes | |
EP2416840B1 (en) | Stitched components of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 |
EP3169219B1 (en) | Sensor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electrical signals | |
KR101681819B1 (en) | Fabric heater | |
CN108370645A (en) | Biological sensing clothes | |
KR20160131429A (en) | Electric conduction pad for electrostimulation | |
WO2009145536A2 (en) | Electrically conductive pad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 |
US10499502B2 (en) | Flexible device module for fabric laye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tion | |
JP6271959B2 (en) | Fabric with fiber electrode, method for producing fabric with fiber electrode, and belt for 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 |
CN107708541B (en) | Wearable electrode | |
CN204207743U (en) | A kind of flexible wireless biopotential electrode system | |
WO2012104826A1 (en) | Electrodes based on textile substrates | |
CN202665528U (en) | Conductive fabric electrode | |
EP3267814A1 (en) | Garment, in particular for electrostimul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garment | |
KR101619515B1 (en) | Electric conduction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665219B1 (en) | Fibrous electrode and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using the same | |
KR20170052865A (en) | Conductive pad | |
KR101667142B1 (en) | Plate he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70093657A (en) | Multi-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member | |
KR100689044B1 (en) | Fiber reinforced carbon heating element and mattress with the heating element | |
KR200375247Y1 (en) | Fiber reinforced heating unit and mattress with thereof | |
KR20130032214A (en) | Linear type stimulation member for low frequency device | |
JP2019129938A (en) | Sensor sheet, and clothing with sensor | |
KR20170029139A (en) | Electric cab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stimulation member using it | |
KR20170048104A (en) | Electric cab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stimulation member using it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50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16081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