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60130643A - Insert for test handler - Google Patents

Insert for test hand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643A
KR20160130643AKR1020150062674AKR20150062674AKR20160130643AKR 20160130643 AKR20160130643 AKR 20160130643AKR 1020150062674 AKR1020150062674 AKR 1020150062674AKR 20150062674 AKR20150062674 AKR 20150062674AKR 20160130643 AKR20160130643 AKR 2016013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element
insert
guide grooves
specific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2638B1 (en
Inventor
나윤성
황정우
최범락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filedCritical(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50062674ApriorityCriticalpatent/KR102252638B1/en
Priority to JP2016088113Aprioritypatent/JP6111362B2/en
Priority to CN201610290830.1Aprioritypatent/CN106111552B/en
Publication of KR2016013064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130643A/en
Priority to KR1020210056744Aprioritypatent/KR102364598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638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252638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 구멍들 중 특정 개방 구멍의 반경은 일반 개방 구멍들의 반경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인서트의 이탈방지턱에 형성된 안내홈들 중 특정 안내홈의 곡률 반경은 일반 안내홈들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소자의 위치를 정교하게 설정하면서도 반도체소자의 인출 시에 반도체소자에 대한 끼임 유지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인출 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for a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the specific opening among the opening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of the insert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regular opening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pecific guide groove among th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of the insert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general guide groo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stability of the draw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jam reten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element at the time of withdraw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while fine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INSERT FOR TEST HANDLER}INSERT FOR TEST HANDLER}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에서 반도체소자를 적재시킬 수 있는 테스트트레이의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of a test tray capable of loading semiconductor elements in a test handler.

테스트핸들러는 소정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반도체소자들을 고객트레이(CUSTOMER TRAY)로부터 테스트트레이(TEST TRAY)로 이동시킨 후,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되어 있는 반도체소자들이 동시에 테스터(TESTER)에 의해 테스트(TEST)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반도체소자를 등급별로 분류하면서 테스트트레이에서 고객트레이로 이동시키는 기기로서 이미 다수의 공개문서들을 통해 공개되어 있다.The test handler moves semiconductor devices manufactured through a predetermined manufacturing process from a customer tray to a test tray and then tests the semiconductor devices loaded on the test tray by a tester at the same time TEST), and it is a device that moves test trays from the test tray to the customer tray by classify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and is already disclosed through a plurality of public documents.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089602호(발명의 명칭 : 테스핸들러용 인서트,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107985호(발명의 명칭 :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이하 '선행기술2'라 함) 등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테스트트레이에는 반도체소자가 안착될 수 있는 인서트가 구비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89602 (entitled "Tester Handler Inse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07985 (entitled "Test Handler Insert" Quot;Prior Art 2 ") and the like, the test tray is provided with an insert on which semiconductor elements can be placed.

먼저 선행기술1을 참조하면,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 구멍은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개방 구멍의 크기는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가지는 크기의 최대 공차와 반도체소자의 단자 간의 간격 공차 및 반도체소자의 단자와 해당 접촉하는 소켓 간의 공차를 더한 최대 크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크기가 지름 0.23mm ±0.05mm(공차 부분)라고 하면 그 최대 크기는 지름 0.28mm가 된다. 여기에 반도체소자의 단자 간의 간격 공차와 반도체소자의 단자와 해당 단자에 접촉하는 소켓 간의 공차가 ±0.04mm이라고 하면, 개방 구멍의 크기는 0.32mm의 지름을 가지게 된다. 즉, 모든 공차들을 고려하였을 때, 개방 구멍의 크기가 0.32mm의 지름을 가져야만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개방 구멍에 간섭 없이 출입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만일 모든 공차가 0.00mm인 최적의 조건에서는,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개방 구멍의 정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은 반도체소자를 인서트 하면에서 본 도면인데, 여기서 반도체소자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개방 구멍과의 식별을 위한 것이다.First, referring to Prior Art 1, the open hol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must have such a size that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Therefore, the size of the open hole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size of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size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plus the tolerance of the gap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tolerance between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socket in contact therewith.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0.23 mm ± 0.05 mm (tolerance portion), the maximum size is 0.28 mm in diameter. Assuming that the tolerance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s and the tolerance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socket contacting the terminals are 0.04 mm, the size of the open hole has a diameter of 0.32 mm. That is, when all the tolerances are taken into account,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n hole only if the size of the open hole is 0.32 mm in diamete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pen hole, as shown in Fig. 1,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at all the tolerances are 0.00 mm. For reference, FIG. 1 is a view when a semiconductor device is viewed from an insert bottom. Here, the dotted line represents a semiconductor device for identification with an open hole.

또한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선행기술2에서도 마찬가지로 안내홈의 곡률 반경이 0.32mm/2가 되어야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적절히 안내홈에 의해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Fig. 2, similarly to theprior art 2,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guide groove must be 0.32 mm / 2 so that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guided by the guide grooves as appropriate.

일반적으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 부분은 반도체소자와 테스터의 소켓 간의 전기적 접촉이다. 따라서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위치는 테스터의 소켓의 위치와 정교히 대응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은 기술 발달에 따라 반도체소자의 단자 크기가 갈수록 작아짐에 따라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Generally, the most important technical part in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is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ocket of the tester.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need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ocket of the tester, and this necessity is more urgently required as the size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becomes smaller as the technology is developed.

한편, 테스트핸들러에는 테스트트레이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하는 수직식 테스트핸들러(사이드 도킹식 테스트핸들러라고 명명되기도 함)와 테스트트레이가 수평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하는 수평식 테스트핸들러(언더헤드 도킹식 테스트핸들러라고 명명되기도 함)가 있다. 특히 수직식 테스트핸들러에서는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테스트트레이가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인서트와 인서트에 안착된 반도체소자가 세워진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된다. 이러한 경우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반도체소자는 자중에 의해 인서트의 안착 평면상에서 최대한 하측에 위치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직식 테스트핸들러에서는 테스터의 소켓에 접촉될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위치가 반도체소자의 하단을 기준으로 설정되게 인서트를 설계한다. 이 때, 수직으로 세워진 반도체소자의 하단은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에 접하기 때문에 반도체소자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st handler includes a vertical type test handler (also called a 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that allows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with the test tray standing vertically, and a semiconductor device test (Sometimes referred to as an underhead docked test handler). In particular, in the vertical type test handler, as shown in FIG. 3, as the test tray is vertically erected, the test is carried out with the semiconductor element seated on the insert and the insert standing uprigh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located at a maximum lower position on the seating plane of the insert due to its own weight. Therefore, in the vertical type test handler, the insert is design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of the tester is set with reference to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ly erected semiconductor elemen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tep that forms the seating plane,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aligned.

그런데, 단자에 대하여 안착 평면이 좌우 방향으로도 여유 간격이 있기 때문에 반도체소자가 안착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 중 일 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도4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치우침). 이러한 경우 단자의 좌우 방향 위치가 테스터의 소켓과 일치하지 않게 되어 단자와 소켓간의 접촉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4-0057700호(발명의 명칭 :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However, since the seating plane has a clearance even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offset to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seating plane (in FIG.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not match the socket of the tester, and th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ocket may become unstable.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57700 (entitled "Test Handler Inse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위와 같은 선행기술3에 의하여 반도체소자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는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에 의해 정렬되고, 반도체소자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는 특정 개방 구멍이나 특정 안내홈에 의해 정렬될 수 있어서 단자와 소켓 간의 전기적 접촉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3,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aligned by the lower step constituting the seating plane, and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aligned by a specific opening or a specific guide groove, And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ocket and the socket can be improved.

그러나, 여전히 반도체의 집적도는 높아지면서, 그에 비례하여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개수는 많아지고 그 크기는 작아지는 추세이며, 단자의 크기나 단자 간의 간격에 대한 공차는 줄어들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머지않아서 선행기술3에 의할 경우, 반도체소자의 하단이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에 접촉된 상태에서 단자가 특정 개방 구멍이나 안내홈에 강하게 끼이게 될 것이 예상된다. 만일 단자가 특정 개방 구멍이나 안내홈에 강하게 끼이고, 반도체소자의 하단까지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에 강하게 밀착되어서 끼이게 되면, 반도체소자를 인서트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 불량이 이루어질 것이 예상된다(참고로, 반도체소자의 끼임이 문제되는 경우는 반도체소자가 수평으로 누운 상태이다. 여기 본 문장에서 '하단'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반도체소자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진공 흡착에 의해 반도체소자를 인출할 때, 진공 흡착력이 반도체소자의 끼임 유지력에 미치지 못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semiconductors still increases,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s increases and the size thereof becomes smaller in proportion thereto, and the tolerance on the size of the terminal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is required to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3, the terminal will be strongly caught in the specific opening hole or the guide groove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jaw forming the seating plane. If the terminal is strongly stuck in a specific opening or a guide groove and tightly adhered to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surface, it is expected that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 For the sake of brevity, the semiconductor device is laid horizontally when there is a problem in the inser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is context, the 'bottom' i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miconductor device is vertically er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at is, when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pulled out by vacuum suction, the vacuum attraction force may not reach the holding for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인서트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끼임 유지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capable of minimizing the jam retention force of a semiconductor device mounted on an insert while having a function of guiding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in the most ideal posi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는,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몸체; 상기 삽입 구멍의 일 측에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반도체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삽입 구멍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테스터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는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테스터 측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 구멍들은 다수의 일반 개방 구멍과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은 상기 다수의 일반 개방 구멍보다 반경이 작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ert for a test handler,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nserte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body; And a latch device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 insertion hole; Wherein openings for opening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o the tester side ar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side, And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s, wherein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s are smaller in radius than the plurality of common openings.

상기 지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졌음을 가정할 때, 상기 특정 개방 구멍의 중심을 지나가는 수직선과 상기 특정 개방 구멍의 중심을 지나가면서 상기 수직선에 직교하는 수평선을 그으면,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과 만나는 상기한 개방 구멍들의 중심은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상에 위치한다.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cific opening hole and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cific opening hole and orthogonal to the vertical line are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pport member is vertically erected, The centers of the open holes are located on the vertical line or the horizontal line.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반도체소자의 테두리단은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The edg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which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 holes are inserted into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 holes are spaced apart from the square jaws forming the seating plan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s are seated.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는,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삽입 구멍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 구멍의 하면을 이루는 사각 개방면에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반도체소자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맞은편 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에 형성된 안내홈들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들은 다수의 일반 안내홈과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의 곡률 반경은 상기 다수의 일반 안내홈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ert for a test handler, including: a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nserted; And a latch device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 insertion hole; Wherein the body has guide grooves formed in a relea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to prevent downward devi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n a rectangular opening face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he grooves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l guide grooves and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lurality of general guide grooves.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졌음을 가정할 때, 상기 특정 안내홈의 곡률 중심을 지나가는 수평선을 그으면, 상기 수평선과 만나는 상기한 안내홈들의 곡률 중심들은 상기 수평선상에 위치한다.Assuming that the body is vertically erected, the curvature centers of the guide grooves that meet the horizontal line are located on the horizontal line when passing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specific guide groove.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반도체소자의 테두리단은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which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at least two guide grooves is spaced apart from the square jaw forming the seating plan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s are s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특정 개방 구멍이나 안내홈만으로 반도체소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accurately set only by a specific opening hole or guide groove.

둘째, 안착 평면상에 있는 반도체소자의 하단이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과 이격되어 있어서 반도체소자의 끼임 유지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반도체소자의 인출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econd, since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on the seating plan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lane, the retracting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stably performed because the clamping for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minimized.

도 1 내지 도 4는 배경기술의 설명에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9는 도 6에 따른 인서트에서 특정 개방 구멍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9에 따른 인서트에서 특정 안내홈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Figures 1 to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5 is a conceptual top view of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9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specific opening in the insert according to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a specific guide groove in the insert according to FI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미 주지되어 있는 기술이나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description or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핸들러(5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test handl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테스트핸들러(500)는 테스트트레이(510), 제1 핸드(520), 제1 로테이터(530), 테스트챔버(540), 제2 로테이터(550) 및 제2 핸드(560)를 포함한다.5, thetest handler 500 includes atest tray 510, afirst hand 520, afirst rotator 530, atest chamber 540, asecond rotator 550, and a second hand 560).

테스트트레이(510)에는 반도체소자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의 인서트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트레이(510)는 제1 위치(P1)에서 테스트위치(TP) 및 제2 위치(P2)를 거쳐 다시 제1 위치(P1)로 이어지는 폐쇄된 경로 C를 따라 순환한다. 여기서 인서트에 대해서는 별도의 목차로 나누어 후술한다.Thetest tray 510 has a plurality of inserts o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s can be seated. Thetest tray 510 will rotate in a first position closing the path C through the test position (TP) and a second position (P2) in the (P1) that leads back to the first position (P1). Here, the insert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in a separate table of contents.

제1 핸드(520)는 제1 위치(LP1)에 위치된 테스트트레이(510)로 반도체소자를 로딩(loading)한다.Thefirst hand 520 loads the semiconductor device into thetest tray 510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LP1 .

제1 로테이터(530)는 반도체소자의 로딩이 완료된 테스트트레이(510)를 수직 상태로 회전시킨다.Thefirst rotator 530 rotates thetest tray 510 in which the load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ompleted to a vertical state.

테스트챔버(540)는 테스트위치(TP)에 있는 수직 상태의 테스트트레이(510)에 적재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를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테스트챔버(540)의 내부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 온도 조건에 따른 환경 상태로 유지된다.Thetest chamber 540 is provided for the test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loaded in thevertical test tray 510 in the test position TP. To this end, the interior of thetest chamber 540 is maintained in an environment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제2 로테이터(550)는 테스트챔버(540)로부터 온 수직 상태의 테스트트레이(510)를 수평 상태로 회전시킨다.Thesecond rotator 550 horizontally rotates thetest tray 510 in a vertical state from thetest chamber 540.

제2 핸드(560)는 수평 상태로 제2 위치(P2)로 온 테스트트레이(510)로부터 반도체소자를 언로딩(unloading)시킨다.Thesecond hand 560 horizontally unloads the semiconductor element from the ontest tray 510 at the second position P2 .

참고로, 테스트 온도 조건에 따라서 테스트트레이(510)는 폐쇄된 경로 C의 역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에는 제1 핸드(520)와 제2 핸드의 역할과, 제1 로테이터(530)와 제2 로테이터(550)의 역할이 전환된다.
For reference, thetest tray 510 can circulate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losed path C in accordance with the test temperature condition. At this time, the roles of thefirst hand 520 and the second hand and the roles of the first andsecond rotators 530 and 550 are switched.

계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핸들러(500)에서 테스트트레이(510)에 구비되는 인서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an insert included in thetest tray 510 in thetest handler 500 will be described.

<인서트에 대한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of Insert>

도 6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S1)는 몸체(61), 지지부재(62) 및 래치장치(64)를 포함한다.6, the insert IS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body 61, asupport member 62, and alatch device 64. As shown in Fig.

몸체(61)에는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Thebody 61 is formed with aninsertion hole 61a into which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nserted.

지지부재(62)는 삽입 구멍(61a)의 하 측에서 삽입 구멍(61a)에 삽입된 반도체소자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62)에는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테스터의 소켓 측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방 구멍(H)들이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support member 62 supports the semiconductor element inserted into theinsertion hole 61a from the lower side of theinsertion hole 61a. In thissupport member 62, a plurality of open holes H for opening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the socket side of the tester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한편, 개방 구멍(H)들 중 사각 귀퉁이 각각에 있는 소수의 특정 개방 구멍(H1)의 반경(r1)은 나머지 다수의 일반 개방 구멍(H0)의 반경(r0)보다 작은 정공(正孔)이다. 그리고 특정 개방 구멍(H1)들의 개수는 일반 개방 구멍(H0)들의 개수보다 상당히 적어야 한다.The radius r1 of the small number of specific openings H1 in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open holes H is smaller than the radius r0 of the remaining large openings H0 Hole). And the number of specific opening holes H1 should b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general opening holes H0 .

특정 개방 구멍(H1)은 반도체소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특정 개방 구멍(H1)의 반경(r1)은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이상적인 반경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단자가 특정 개방 구멍(H1)에 끼이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음을 충분히 고려하였다. 이러한 특정 개방 구멍(H1)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정 개방 구멍(H1)들은 지지부재(62)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반도체소자의 양단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62)를 절반으로 나누는 직선(L)상에서 양 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cific opening H1 is configured for precise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r1 of the specific opening H1 has a siz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deal radius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hereby causing the phenomenon that the terminal is caught in the specific opening H1 .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pecific opening holes H1 may be formed. At least two or more specific openings H1 are formed on the straight line L dividing thesupport member 62 in half so that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the same when thesupport member 62 is vertically erected. Side.

일반 개방 구멍(H0)들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여러 제작 공차들을 감안하더라도 대응하는 단자가 넉넉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정공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일반 개방 구멍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general open holes H0 are formed into holes having a radius of a size enough to allow a corresponding terminal to be inserted even when considering various manufacturing tolerance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This can prevent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from being caught in the normal opening.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0.24mm의 직경을 가진다면, 지지부재(62)의 특정 개방구멍(H1)은 직경이 0.27mm로써 0.03mm 정도의 공차 수준을 가지게 형성한다. 만일 특정 개방구멍(H1)의 직경이 단자의 직경과 동일하다면, 단자가 특정 개방구멍(H1)에 끼임으로 인해 단자를 특정 개방구멍(H1)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개방구멍(H1)의 수가 현격히 제한 받게 된다. 따라서 0.03mm 정도의 공차 수준을 고려하여 특정 개방구멍(H1)의 직경을 결정하면, 지지부재(62)의 사각 귀퉁이에 5개씩의 특정 개방 구멍(H1)을 형성하는 것이 반도체소자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반도소자의 단자와 테스트소켓 간의 정확한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추후 지지부재(62)로부터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분리시킬 때도 단자의 손상 없이 분리가 가능함을 무수한 반복 실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 개방구멍(H0)의 경우에는 단자 크기의 공차 ±0.05mm와 단자의 변위 공차 ±0.03mm이므로, 일반 개방구멍(H0)의 직경을 0.32mm로 설계한다.7, i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has a diameter of 0.24 mm, the specific opening H1 of thesupport member 62 has a tolerance level of about 0.03 mm in diameter of 0.27 mm . Since ten thousand and one because the diameter of the particular opening hole (H1) as long as they hav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the terminals because of the randomly replace a specific introducing hole (H1) from a specific opening hole (H1), The number of the specific opening H1 is significantly restricted. Therefore, if the diameter of the specific opening H1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lerance level of about 0.03 mm, it is preferable to form five specific opening H1 in the square corners of thesupport member 62,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ak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test socket and to separate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from thesupport member 62 in the future without damaging the terminals. . In the case of the general open hole (H0 ), the tolerance of the terminal size is ± 0.05 mm and the displacement tolerance of the terminal is ± 0.03 mm.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general open hole (H0 ) is designed to be 0.32 mm.

한편, 도 8a에서와 같이 지지부재(62)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특정 개방 구멍(H1)의 중심(O1)을 지나가는 수직선(P)과 특정 개방 구멍(H1)의 중심(O1)을 지나가면서 수직선(P)에 직교하는 수평선(H)을 그으면, 수직선(P) 또는 수평선(H)과 만나는 개방 구멍(H)들(H1, H0) 각각의 중심(O1, O0)은 수직선(P) 또는 수평선(H)상에 위치함으로써 반도체소자에 구비된 단자들의 이상적인 중심이 개방 구멍(H)들의 중심과 일치될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support member 62 is erected vertically, as shown in 8a, the center (O of a particular open hole (H1) perpendicular line (P) with a specific opening hole (H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1) of1) the 1500s geueumyeon a horizontal line (H)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line (P), vertical line (P) or horizontal (the opening hole (H) meet and H), (H1, H0), the respective centers of the (O1, O0 should be positioned on the vertical line P or the horizontal line H so that the ideal center of the terminals provid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open holes H. [

래치장치(64)는 삽입 구멍(61a)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킨다.Thelatch device 64 holds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insertion hole 61a.

위와 같은 구성의 인서트(IS1)에서 반도체소자가 인서트(IS1)에 적재되면, 도 8b에서와 같이 지지부재(62)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반도체소자의 단자(T)가 특정 개방 구멍(H1)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T)의 하단이 특정 개방구멍(H1)의 하단에 접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위치가 설정되기 때문에 테스트트레이(510)의 흔들림이나 이동 중에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적어도 테스트 시에는 반도체소자의 위치가 정교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반도체소자의 단자(T)와 테스트소켓 간의 정교한 접촉이 담보된다. 그리고 이 때, 일반 개방구멍(H0)에 삽입된 단자는 접촉 부분이 없는 들뜬 상태로 있게 된다. 물론, 지지부재(6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단자(T)와 일반 개방구멍(H0)의 하단의 이격 거리(d1)는 단자(T)와 일반 개방구멍(H0)의 상단의 이격 거리(d2)보다 다소 작다. 따라서 특정 개방구멍(H1)의 직경은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직경보다는 크지만, 일반 개방구멍(H0)의 직경보다는 작으면서 인서트(IS1)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일반 개방구멍(H0)에 대응되는 단자(T)가 끼임 없이 들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loaded on the insert IS1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1, when thesupport member 62 is vertically erected as shown in Fig. 8B, the terminal T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fixed to the specific opening H1) 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a particular open hole (H1)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T) in the inserted state on even if an impact occurs during the vibrations and movement of thetest tray 510, since the semiconductor device positioning at least a test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precisely set. This ensures the precis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T)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test socket. At this time, the terminal inserted in the general opening H0 is in an excited state without the contact portion. Of course, since thesupport member 62 is vertically erecte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terminal T and the lower end of the general opening H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terminal T and the upper end of the general opening H0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2 ). Therefore, the general opening hole (H0), when a particular opening diameter of the hole (H1) is flew less tha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he diameter of the normal opening hole (H0) the insert (IS1) is erected in the vertical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is a size that can hold the terminal T without being pinched.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테스트트레이(510)가 수직 상태로 세워짐으로써 인서트(IS1) 및 반도체소자(D)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반도체소자(D)의 하단이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BJ)과 소정 간격(A) 이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인서트(IS1)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인서트(IS1)의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BJ)과 반도체소자(D)의 하단이 접촉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면, 특정 개방구멍(H1)에 대응되는 단자가 특정 개방구멍(H1)의 위치를 벗어나거나 또는 살짝 걸쳐진 상태에서 단자(T)와 테스트소켓 간의 접촉에 필요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자(T)나 지지부재(62)가 상호 파손되거나, 특정 개방구멍(H0)에 단자가 꽉 끼이게 되고, 반도체소자(D)의 하단마저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BJ)에 강하게 끼일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지지부재(62)로부터 단자를 분리하는 작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IS1) 및 반도체소자(D)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반도체소자(D)의 하단이 안착 평면을 이루는 하단 턱(BJ)과 소정 간격(A)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소자(D)의 하단이 하단 턱(BJ)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시킨다. 즉,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서는 반도체소자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반도체소자가 특정 개방구멍(H1)에 대응되는 단자들을 통해서 지지부재(62)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물론, 반도체소자(D)의 나머지 테두리단도 안착 평면을 이루는 나머지 턱들(LJ, TJ, RJ)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LJ, TJ, RJ, BJ)과 안착 평면에 놓인 반도체소자(D)의 테두리단은 모두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반도체소자(D)는 특정 개방 구멍(H1)들에 삽입되는 단자(T)들 외에는 인서트(IS1) 측과 끼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인서트(IS1)와의 끼임 간섭에 따른 반도체소자(D)의 끼임 유지력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제1 핸드(520) 또는 제2 핸드(560)에 의해 반도체소자(D)를 인서트(IS1)로부터 언로딩시킬 때 제1 핸드(520)나 제2 핸드(560)에 의한 반도체소자(D)의 흡착력이 반도체소자(D)의 끼임 유지력보다 클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한다. 이로 인해 제1 핸드(520)나 제2 핸드(560)에 의한 반도체소자(D)의 언로딩 작업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9, thetest tray 510 is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mo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jaw BJ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 This is because when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set by bringing the lower step BJ constituting the seating plane of the insert IS1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 IS1 is vertically erected, a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1 H) can be made, the pressure required for the contact between a particular opening hole (H1), move away or quickly draped condition at the terminal (T) and the position of the test socket. In this case, the terminal T and the supportingmember 62 may be mutually damaged, the terminal may be tightly fitted to the specific opening H0 , and the lower step BJ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A problem may arise i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terminal from thesupport member 62 in the future. The lower end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tep BJ forming the seating pla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in a state where the insert IS1 and the semiconductor element D are vertically erected,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end from being caught in the lower jaw (BJ). That is, 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vertically erected,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supported only by the supportingmember 62 through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pening H1 .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remaining edge section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are all spaced apart from the remaining jaws LJ, TJ, and RJ forming the seating plane.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square jaws LJ, TJ, RJ, and BJ forming the seating plane and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placed on the seating pla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causes the semiconductor device (D) are not the terminals (T) except the insert (IS1) side and the interference fit to be inserted into specific openings (H1) occurs. This is because the semiconductor device 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IS1 by thefirst hand 520 or thesecond hand 560 in order to minimize the holding for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due to the interference interference with the insert IS1. The holding for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by thefirst hand 520 or thesecond hand 560 can be greater than the holding for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when the semiconductor element D is unloaded from the semiconductor element D. Accordingly,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D by thefirst hand 520 or thesecond hand 560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인서트에 대한 제2 예>&Lt; Second Example of Insert >

도 10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IS2)는 몸체(91) 및 래치장치(94)를 포함한다.10, the insert IS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body 91 and alatch device 94. As shown in Fig.

몸체(91)에는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9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91)는 삽입 구멍(91a)의 하면을 이루는 사각 개방면에 삽입 구멍(91a)에 삽입된 반도체소자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 방향의 맞은편 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91b)을 가진다. 그리고 이탈방지턱(91b)에는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S)들이 형성되어 있다.Thebody 91 is formed with aninsertion hole 91a into which a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inserted. Thebody 91 is provided with aseparation preventing tongue 91b protruding horizontally to prevent the semiconductor device inserted into theinsertion hole 91a from being downwardly displaced in a square opening face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insertion hole 91a I have. And guide grooves S for guiding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re formed in theseparation preventing edge 91b.

안내홈(S)들 중 상대적으로 소수인 특정 안내홈(S1)들의 곡률 반경(r1)은 상대적으로 다수인 나머지 일반 안내홈(S0)들의 곡률 반경(r2)보다 작다. 특정 안내홈(S1)은 반도체소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특정 안내홈(S1)의 곡률 반경(r1)은 반도체소자의 단자의 이상적인 반경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단자가 특정 안내홈(S1)에 끼이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음을 충분히 고려하였다. 이러한 특정 안내홈(S1)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정 안내홈(S1)들은 몸체(91)를 절반으로 나누는 직선(L)상에서 양 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rvature radius r1 of the specific guide grooves S1 which ar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the guide grooves S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radius r2 of the remaining general guide grooves S0 which are relatively large. The specific guide groove S1 is configured for precise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specific guide groove S1 has a siz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deal radius of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nd consequently the phenomenon that the terminal is caught in the specific guide groove S1 It is possible that the This particular guide grooves (S1) can be formed of at least two.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S1 are arranged on both sides on a straight line L dividing thebody 91 into halves.

일반 안내홈(S0)들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여러 제작 공차들을 감안하더라도 대응하는 단자가 넉넉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곡률 반경(r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일반 안내홈(S0)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general guide grooves S0 are formed so as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r0 of such a size that a corresponding terminal can be inserted more even when considering various manufacturing tolerance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This can prevent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from being caught in the general guide groove S0 .

또한, 도 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몸체(91)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특정 안내홈(S1)의 곡률 중심(O1)을 지나가는 수평선(H)을 그으면, 수평선(H)과 만나는 안내홈(S)들의 곡률 중심(O1, O0)들은 수평선(H)상에 위치함으로써 반도체소자에 구비된 단자들의 이상적인 중심이 안내홈(S)들의 곡률 중심(O1, O0)과 일치될 수 있어야 한다.11, when thebody 91 is vertically erected, when the horizontal line H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curvature O1 of the specific guide groove S1 is drawn, center of curvature of the groove (S) (O1, O0) are the horizontal ideal center matches the center of curvature (O1, O0) of the groove (S) of the terminals provided on the semiconductor element with the location on the (H) Be able to.

래치장치(94)는 삽입 구멍(91a)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킨다.Thelatch device 94 holds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insertion hole 91a.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인서트(IS2)에 적재된 반도체소자(D)의 테두리단은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으로부터 모두 이격되도록 안내홈(S)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D mounted on the insert IS2 is formed with the guide grooves 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quare jaws forming the seating plane.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수직식 테스트핸들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수평식 테스트핸들러에서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Whil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llustrate vertical test handlers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number of horizontal test handl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S1, IS2 : 인서트
61, 91 : 몸체
61a, 91a : 삽입 구멍
91b : 이탈방지턱
S : 안내홈
S0 : 일반 안내홈
S1 : 특정 안내홈
62 : 지지부재
H : 개방 구멍
H0 : 일반 개방 구멍
H1 : 특정 개방 구멍
64, 94 : 래치장치
IS1, IS2: Insert
61, 91: Body
61a, 91a: insertion hole
91b:
S: guide home
S0 : General guide home
S1 : Specific guide home
62: Support member
H: opening hole
H0 : Normal open hole
H1 : Specific opening hole
64, 94: latch device

Claims (6)

Translated fromKorean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몸체;
상기 삽입 구멍의 일 측에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반도체소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삽입 구멍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테스터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는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테스터 측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 구멍들은 다수의 일반 개방 구멍과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은 상기 다수의 일반 개방 구멍보다 반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A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nserte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body; And
A latch device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 insertion hole; Lt; / RTI &gt;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open holes for opening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the tester side so that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side,
Wherein the open holes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l open holes and at least two specific open ho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 holes are smaller in radius than the plurality of general opening holes
Insert for test hand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졌음을 가정할 때, 상기 특정 개방 구멍의 중심을 지나가는 수직선과 상기 특정 개방 구멍의 중심을 지나가면서 상기 수직선에 직교하는 수평선을 그으면,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과 만나는 상기한 개방 구멍들의 중심은 상기 수직선 또는 상기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cific opening hole and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cific opening hole and orthogonal to the vertical line are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pport member is vertically erected, And the centers of the open holes are located on the vertical line or the horizontal line.
Insert for test hand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개방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반도체소자의 테두리단은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dg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which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 holes are inserted into the at least two specific opening holes are spaced apart from a square jaw forming a seating plan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s are seated
Insert for test handler.
반도체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삽입 구멍 내에 반도체소자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 구멍의 하면을 이루는 사각 개방면에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반도체소자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맞은편 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에 형성된 안내홈들을 가지며,
상기 안내홈들은 다수의 일반 안내홈과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의 곡률 반경은 상기 다수의 일반 안내홈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A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nserted; And
A latch device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the insertion hole; Lt; / RTI &gt;
Wherein the body has guide grooves formed in a separation protrusion protruded from opposite sides to prevent downward departur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n a square opening face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the guide grooves include a plurality of general guide grooves and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Wherei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is smaller tha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plurality of general guide grooves
Insert for test hand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졌음을 가정할 때, 상기 특정 안내홈의 곡률 중심을 지나가는 수평선을 그으면, 상기 수평선과 만나는 상기한 안내홈들의 곡률 중심들은 상기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guide grooves meeting the horizontal line is located on the horizontal line when the horizontal lin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specific guide groove assuming that the body is vertically erected.
Insert for test handl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특정 안내홈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반도체소자의 테두리단은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안착 평면을 이루는 사각 턱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in which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pecific guide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at least two guide grooves is spaced apart from a square jaw forming a seating plane o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s are seated,
Insert for test handler.
KR1020150062674A2015-05-042015-05-04Insert for test handlerActiveKR102252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62674AKR102252638B1 (en)2015-05-042015-05-04Insert for test handler
JP2016088113AJP6111362B2 (en)2015-05-042016-04-26 Insert for test handler
CN201610290830.1ACN106111552B (en)2015-05-042016-05-04Testing, sorting machine plug connector
KR1020210056744AKR102364598B1 (en)2015-05-042021-04-30Insert for test hand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62674AKR102252638B1 (en)2015-05-042015-05-04Insert for test handl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56744ADivisionKR102364598B1 (en)2015-05-042021-04-30Insert for test hand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30643Atrue KR20160130643A (en)2016-11-14
KR102252638B1 KR102252638B1 (en)2021-05-17

Family

ID=572698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50062674AActiveKR102252638B1 (en)2015-05-042015-05-04Insert for test handler
KR1020210056744AActiveKR102364598B1 (en)2015-05-042021-04-30Insert for test handl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56744AActiveKR102364598B1 (en)2015-05-042021-04-30Insert for test handler

Country Status (3)

CountryLink
JP (1)JP6111362B2 (en)
KR (2)KR102252638B1 (en)
CN (1)CN106111552B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90020298A (en)*2007-08-232009-02-26파워테크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Universal insert tool for securing BA packages during testing
JP2009204619A (en)*2004-07-282009-09-10Fujitsu LtdSubstrate unit and printed circuit board
KR20140057700A (en)*2012-10-262014-05-14(주)테크윙Insert for test handler
KR20150035347A (en)*2013-09-272015-04-06세메스 주식회사Insert assembly of test tra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TW369692B (en)*1997-12-261999-09-11Samsung Electronics Co LtdTest and burn-in apparatus, in-line system using the apparatus, and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0800312B1 (en)*2006-01-252008-02-04(주)테크윙 Test handler and loading method of test handler
KR100687676B1 (en)*2006-02-102007-02-27(주)테크윙 Test handler
KR200427177Y1 (en)2006-07-062006-09-20주식회사 오킨스전자 Semiconductor Chip Carrier
JP5022381B2 (en)*2006-12-212012-09-12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method
CN101758031B (en)*2010-03-022014-03-05王晓军Integrated circuit testing and sor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658078B1 (en)*2012-01-032016-09-21(주)테크윙Test handler
CN103302037B (en)*2012-03-162016-01-13泰克元有限公司 test sorter
KR101334765B1 (en)*2012-04-182013-11-29미래산업 주식회사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1706982B1 (en)*2012-08-162017-02-16(주)테크윙Insert for test handler
KR101715827B1 (en)*2012-09-272017-03-14(주)테크윙 Insert for test handler
KR102010916B1 (en)*2013-05-142019-08-14삼성전자주식회사Semiconductor package testing structure
KR101968985B1 (en)*2018-12-192019-08-26(주)테크윙Insert for test hand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9204619A (en)*2004-07-282009-09-10Fujitsu LtdSubstrate unit and printed circuit board
KR20090020298A (en)*2007-08-232009-02-26파워테크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Universal insert tool for securing BA packages during testing
KR20140057700A (en)*2012-10-262014-05-14(주)테크윙Insert for test handler
KR20150035347A (en)*2013-09-272015-04-06세메스 주식회사Insert assembly of test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N106111552B (en)2018-11-16
JP6111362B2 (en)2017-04-05
KR20210055646A (en)2021-05-17
CN106111552A (en)2016-11-16
JP2016212099A (en)2016-12-15
KR102364598B1 (en)2022-02-23
KR102252638B1 (en)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CN114731768B (en)Semiconductor test socket having latch and floating plate for holding semiconductor device
JP5456345B2 (en) Test tray insert opening unit and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38517A (en)Apparatus for fastening chip and testing method using them
TW201632889A (en)Test device
KR102637464B1 (en)Apparatus for opening latches of insert assemblies
KR101955194B1 (en)Insert for test handler
KR102490589B1 (en)Insert assembly for receiving electronic device, test tray including the insert assembly and apparatus for opening latch of the insert assembly
KR20160130643A (en)Insert for test handler
KR101715827B1 (en) Insert for test handler
KR102220334B1 (en)Insert assembly for receiving electronic device
KR102471835B1 (en)Insert for test handler
KR20190003431A (en)Insert for test handler
KR20190024925A (en)Insert for test handler
US11525859B2 (en)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replacing block member
TWI604207B (en)Insert for test handler
CN106994445B (en)Test sorting machine
KR101600272B1 (en)Pushing unit of match plate and match plate for test handler and test handler
KR100465372B1 (en)Carrier Module for Semiconductor Test Handler
TWI737967B (en)Chip carrier
TWI734002B (en) Carrier for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device
KR102470315B1 (en)Insert for test handler
KR20160136526A (en)Insert assembly for receiving electronic device, test tray including the insert assembly and apparatus for opening latch of the insert assembly
KR101652901B1 (en)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and push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
KR101494176B1 (en)Test system of semiconductor device
KR20180001922A (en)Method of sorting wafers stored in cassett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504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00114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50504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121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215

PA0107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10430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51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1051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4050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50415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