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 운동을 하는 기구의 안장에 회음부가 아닌 양측 대퇴부 상단의 중심 부위가 안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대퇴부의 운동에 따라 안장이 왕복 원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지며, 안장의 회전축이 대퇴부 회전축인 고관절과 일치되도록 하여 다리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of a hip joint, more specifically, a bicycle or a saddle of a person sitting and exerci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joint saddle of a hip joint-matching type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saddle is coincided with the hip joint, which is the rotational axis of the thigh,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eg is smooth.
기존 자전거의 안장 또는 운동기구의 안장의 구조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리기에 편리하도록 앞부분은 좁게 하고, 뒷부분은 엉덩이 부분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넓게 형성되어 있다.The existing saddle of the bicycle or the saddle structure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made narrow so that the front part is narrowed for the purpose of moving the two legs and the pedal is turned, and the rear part is form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hip part.
이러한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의 안장은 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적고, 앞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되어 있는 것이다.The saddle of such bicycle or exercise equipment supports the body weight of the fighter. Since it is smaller in area than the ordinary chair and has to turn the pedal by moving the front legs, the front side of the saddle is narrow and the back side is a human body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body.
이러한 안장들은 구조상 하중이 회음부와 항문으로 집중되게 된다.In these saddles, the structural load is concentrated on the perineum and anus.
따라서, 회음부(항문과 생식기)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에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부하되기 때문에, 주행중 회음부와 안장이 밀착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시마다 회음부와 안장과의 압착상태에서 유동되는 현상에 의해 통증을 느끼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forc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occupant is heavily loaded on the portion of the human body sensitive organs such as the perineal part (anus and genitals), the perineal area and saddl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ain is felt by the phenomenon of flowing in the pressed state.
따라서, 현재 다양한 안장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체에 통증을 주지 않는 안장이 설계되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saddles are being developed at present, and a saddle which does not give pain to the human body is being designed.
<참고문헌><References>
출원번호 10-2012-0062208 자전거용 안장
Application No. 10-2012-0062208 Saddle for bicycl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하는 기구의 안장에 회음부가 아닌 양측 대퇴부 상단의 중심 부위가 안착되어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a bicycle or a center part of both upper and lower thighs, rather than a perineum, in a saddle of a bicycle or a person sitting and exercising.
또한, 안장이 왕복 원운동을 통한 회전 그네운동이 가능하여 대퇴부 회전축인 고관절과 일치되도록 하여 다리의 페달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ddle can be rotated and swung through the reciprocating motion, so that the saddle can coincide with the hip joint,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thigh, so that the legs can be smoothly moved.
또한, 사용자에 따라 안장의 폭과 높낮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운동상황에 따라 안장의 전후 각도조절이 이루어져 다양한 운동방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addle are controlled by the one-touch method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 angle of the saddle is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exercise situation so that various exercises can be performed.
또한, 사용자의 고관절 운동시 전후 회전 뿐만아니라 안장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여 대퇴부의 무리를 주지 않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addle itself as well as to rotate the saddle around the user's hip joint mo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saddle for a long time without giving a load to the thig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외축형 안장(10)으로, 상기 외축형 안장은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축형 안장의 회전 축과 고관절의 축과 일치되어 그네운동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외축형 안장(10)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봉(110)과 상기 거치봉(110) 상부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T형 조절대(120); 및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구비되는 조절프레임(130); 상기 조절프레임(130)에 결합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고, 안장부(20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안장부 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100);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150)를 통해 결합되는 안장 회전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지는 안장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sheath type saddle (10) which is installed on a bicycle or a fitness device and on which a femoral region of a person is seated, wherein the outer sheath type saddle is formed on both sides, The outer
또한, 상기 거치봉(110) 상부의 요입부 양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111); 및 상기 거치봉(110) 요입홈에 T형 조절대(120) 하부에 형성되는 요철부가 삽입되며, 상기 T형 조절대(120) 요철부 양측으로 상기 각도 조절홈(111)에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각도 조절버튼(121); 상기 각도 조절버튼(121)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져, 누름상태에서 각도에 맞는 각도 조절홈(111)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또한, 상기 조절 프레임(130) 일측 상부에 외축형 안장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원터치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폭 조절 버튼(131); 및 상기 폭 조절 버튼(131)이 고정되도록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에 폭 조절 버튼(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 구비되는 폭 조절 홈(141);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 상단부에 안장부(200)가 힌지(150)를 통해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고정대(142);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과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 사이에 원활한 회전 또는 마찰력을 감소시켜주기 위해 구비되는 축 고정링(1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dth adjusting
또한,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의 하단 일측으로 구비되는 부재 고정축(231); 상기 부재 고정축(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안장 고정부재(220); 및 상기 안장 고정부재(220) 상면에 사람의 대퇴부가 안착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장(21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의 상단부에 안장부 프레임(140)과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높이 조절대(240); 및 상기 높이 조절대(240)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홈(250)이 구비되어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과 힌지 결합시 높낮이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하는 기구의 안장에 엉덩이가 아닌 대퇴부 상단부위가 안착되어 회음부(전립선) 및 외음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perineal part (prostate) and the vulva by placing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ather than the hip on the saddle of a bicycle or a person sitting and exercising.
둘째, 안장이 원운동을 통한 회전이 가능하여 대퇴부 회전축인 고관절과 일치되도록 하여 페달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since the saddle can be rotated through the circular motion, the saddle can be coincided with the hip joint, which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thigh,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mooth pedaling.
셋째, 사용자에 따라 안장의 폭과 높낮이, 운동상황에 따라 안장의 전후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운동방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ird, according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saddle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width, height and motion of the saddle, thereby providing various exercise modes.
넷째, 사용자의 페달 운동시 인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Fourth, the pedal movement of the us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uman body,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enabling long-time use.
도 1은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joint saddle of a hip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hip joint-fit type outer joint sad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joint sad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outer joint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of FIG.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관절 외축형 안장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어 전후로 운동이 이루어지는 외축형 안장(210)으로, 상기 외축형 안장(210)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봉(110)에 T형 조절대(120)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saddle of a hip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상기 거치봉(110)과 T형 조절대(120)의 결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angle of the
또한,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조절프레임(130)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프레임(130)에 사용자의 대퇴부 폭 조절이 가능하고, 안장부(200)가 회전가능하도록 안장부 프레임(14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을 중심으로 힌지(150)를 통해 결합되어 안장 회전프레임(230)이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안장부(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여기서, 상기 외축형 안장(10)은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축형 안장의 회전 축과 고관절의 축과 일치되어 그네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outer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봉(110) 상부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봉(110) 요입홈에 T형 조절대(120) 하부에 형성되는 요철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요철부 양측으로 상기 각도 조절홈(111)에 결속되어 원터치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각도 조절버튼(121)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따라서, 각도 조절버튼(121)은 원터치 방식으로 누름 상태에서 각도에 맞는 각도 조절홈(111)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angle adjusting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 프레임(130) 일측 상부에 외축형 안장(1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원터치로 탈부착 가능한 폭 조절 버튼(131)이 구비되며, 상기 폭 조절 버튼(131)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에 폭 조절 버튼(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폭 조절 홈(141)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a
따라서, 각도 조절하는 방식과 같이 폭 조절 버튼(131)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폭 조절 홈(141)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width adjusting
또한,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 상단부에 안장부(200)가 힌지(150)를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프레임 고정대(142)가 구비되며,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과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 사이에 원활한 회전 또는 마찰력을 감소시켜주기 위해 축 고정링(1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 frame fixing table 14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여기서, 축 고정링(160)은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회전하는데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또한,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의 하단 일측으로 부재 고정축(231)이 구비되며, 상기 부재 고정축(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장 고정부재(220)가 결합되며, 상기 안장 고정부재(220) 상면에 사람의 대퇴부가 안착 될 수 있는 안장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
또한, 상기 안장 회전프레임(230)의 상단부에 안장부 프레임(140)과 결합가능하도록 높이 조절대(24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 조절대(240)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 홈(250)이 구비되어, 상기 안장부 프레임(140)과 힌지(150) 결합시 안장(2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은 그림(A)에서 보는 것처럼, 각도 조절 버튼(121)에 의해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그림(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장(210)이 힌지(150)를 통해 안장 회전프레임(230)이 안장부 프레임(140)을 중심으로 전후 회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angle adjusting
본 발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의 엉덩이가 아닌 대퇴부가 안착되는 것으로, 회음부(전립선) 및 외음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oral portion, not the hip of a person, is seated,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perineal region (prostate) and the vulva.
또한, 본 발명의 안장 하측은으로 스프링 장치가 내장되어 완충효과를 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ring device to provide a buffering effect.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외측형 안장
100 : 프레임 부110 : 거치봉
111 : 각도 조절홈120 : T형 조절대
121 : 각도 조절버튼130 : 조절프레임
131 : 폭 조절버튼
140 : 안장부 프레임141 : 폭 조절홈
142 : 프레임 고정대
150 : 힌지160 : 축 고정링
200 : 안장부210 : 안장
220 : 안장 고정부재230 : 안장 회전프레임
231 : 부재 고정축240 : 높이 조절대
250 : 높이 조절홈10: External saddle
100: frame part 110:
111: Angle adjusting groove 120: T-shaped adjusting groove
121: angle adjustment button 130: adjustment frame
131: Width adjustment button
140: notched frame 141: width adjusting groove
142: frame fixture
150: Hinge 160: Shaft retaining ring
200: not stored 210: saddle
220: Saddle holding member 230: Saddle rotating frame
231: Member fixing shaft 240: Height adjuster
250: height adjustment groov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7445AKR20160056739A (en) | 2014-11-12 | 2014-11-12 | Hip outer shaft type saddl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7445AKR20160056739A (en) | 2014-11-12 | 2014-11-12 | Hip outer shaft type sadd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56739Atrue KR20160056739A (en) | 2016-05-2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57445AAbandonedKR20160056739A (en) | 2014-11-12 | 2014-11-12 | Hip outer shaft type saddl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056739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FR3055253A1 (en)* | 2016-08-30 | 2018-03-02 | Phy Ky Psy Concept | SEAT ADAPTS NOTABLY TO A BICYCLE. |
| EP3552942A1 (en)* | 2018-04-09 | 2019-10-16 | Axel Kraaz | Muscle power drive and device comprising a muscle power driv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FR3055253A1 (en)* | 2016-08-30 | 2018-03-02 | Phy Ky Psy Concept | SEAT ADAPTS NOTABLY TO A BICYCLE. |
| WO2018041619A1 (en)* | 2016-08-30 | 2018-03-08 | Phy Ky Psy Concept | Seat fitted in particular to a bicycle |
| EP3552942A1 (en)* | 2018-04-09 | 2019-10-16 | Axel Kraaz | Muscle power drive and device comprising a muscle power driv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562496B2 (en) | Thigh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 |
| US6135930A (en) | Exercise device for recuperation | |
| US9364700B2 (en) | Waist twisting station | |
| KR101572153B1 (en) | pedal exercising machine | |
| JP2015036115A (en) | Massage chair | |
| US20200171347A1 (en) | Stationary bike | |
| TW201341014A (en) | A support frame for exercise apparatus | |
| KR20160056739A (en) | Hip outer shaft type saddle | |
| GB2482136A (en) | A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a rotatable lever or leg support | |
| KR101499823B1 (en) | Chamber pot of bicycle for health and standingtype | |
| KR101160587B1 (en) | Saddle for bike having seat at type of exercise function | |
| JP2007029193A (en) | Exercise apparatus | |
| KR101564677B1 (en) | Combine exercise ball exercise bike | |
| KR101611385B1 (en) | Inversion table | |
| KR101733892B1 (en) | Leg portion training device | |
| JP2016096993A (en) | Chair device | |
| KR101483948B1 (en) | Virtual axial hip slide saddle | |
| CN114404905B (en) |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 |
| KR101514386B1 (en) | Chair with waist exercise device | |
| JP3112304U (en) | Foot-operated sewing machine type leg power training device | |
| WO2015062202A1 (en) | Fitness device with pedals | |
| CN205198847U (en) | handstand chair | |
| CN201171881Y (en) | weight training equipment | |
| TWM465941U (en) | Limbs rehabilitation device | |
| KR101435599B1 (en) | Apparatus exercise for upside down hangi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11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5111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6021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