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60048452A -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Sound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452A
KR20160048452AKR1020140145092AKR20140145092AKR20160048452AKR 20160048452 AKR20160048452 AKR 20160048452AKR 1020140145092 AKR1020140145092 AKR 1020140145092AKR 20140145092 AKR20140145092 AKR 20140145092AKR 20160048452 AKR20160048452 AKR 2016004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ing
button
receiver
acou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호
이슬빛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092ApriorityCriticalpatent/KR20160048452A/en
Publication of KR2016004845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048452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된 리시버 홀더; 상기 리시버 홀더에 착탈가능한 리시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타단부는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회전축; 외측 둘레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권취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휠;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휠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돌기; 일측은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수납버튼; 및 상기 수납버튼의 둘레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A receiver hold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cable hol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A receiver detachable from the receiver holder; A pivoting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an acoustical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votal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able hole, the pivotal member including: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housing; A cylindrical wheel i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A spiral spring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wheel,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heel,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heel; A storage butt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wheel cylinder and the other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linearly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button and abutting against the locking protrusio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음향기기{Sound EQUIPMENT}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리시버를 하우징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apparatus capable of pulling out a receiver into a housing.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A sound device refers to a sound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system has been used in which a terminal is connected to a ear jack of a terminal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However, in recent years, dem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increased in terms of mobility and ease of use.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Development of a sound device having a design considering portability such as a headphone type in which a head is put in a head shape to be carried on the body of the user, a type to be put on the ear, and a type to put on the ear is being developed.

최근에는 리시버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한 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목에 걸고 있어 외관 디자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얼굴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쉽게 조작 가능한 조작성의 편의성 및 휴대의 편의성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In recent years, even when the receiver is not mounted on the e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n acoustic apparatus having a band that can be placed on the neck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easily. The exterior design is important because it hangs on the neck even when not in use, and because it is located below the face, there is a need for ease of operability and ease of portability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looking at the eyes.

음향기기는 양쪽 귀에 삽입하는 한 쌍의 리시버를 구비하며 상기 리시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음향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케이블은 휴대시에 엉키거나 가방속의 다른 물건에 걸려 파손우려가 있으며, 몸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음향기기의 경우에도 선이 지저분하게 엉키는 문제가 있다.The acoustic device may include a pair of receivers for inserting into both ears and may include acoustic cables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receivers. The acoustic cable tends to be tangled during carrying or may be caught by other objects in the bag and may be damaged. Even in the case of an acoustic device carried by the wear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ne tangles dirty.

본 발명은 리시버를 하우징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리시버 인입출 구조를 단순화하여 하우징 내부에 공간활용도를 높인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apparatus capable of pulling out a receiver into a housing,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n acoustic apparatus in which space utilization in a housing is enhanced by simplifying a receiver in / out structure.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된 리시버 홀더; 상기 리시버 홀더에 착탈가능한 리시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타단부는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회전축; 외측 둘레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권취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휠;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휠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돌기; 일측은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수납버튼; 및 상기 수납버튼의 둘레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A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A receiver hold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cable hol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A receiver detachable from the receiver holder; A pivoting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an acoustical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votal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able hole, the pivotal member including: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housing; A cylindrical wheel i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A spiral spring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wheel,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heel,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heel; A storage butt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wheel cylinder and the other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linearly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button and abutting against the locking protrusion.

상기 휠은 상기 리시버를 당기면 상기 음향케이블이 풀리면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receiver is pulled, the wheel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while the acoustic cable is released, and the spiral spring can apply an elastic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걸림돌기의 제2 방향 측면은 수직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휠이 제2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수직면에 맞닿아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cludes a vertical surface, and the stopper abuts against the vertical surface when the wheel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limiting rotation of the wheel.

상기 걸림돌기는 제1 방향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제3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first direction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press the stopper in a third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wheel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수납버튼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button and the rotation shaft,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수납버튼을 사용자가 제3 방향으로 누르면 반대 방향인 제 4 방향으로 복원하는 힘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il spring may apply a force to restore the storage button in the fourth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storage button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수납버튼에서 돌출되어 상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버튼홀의 내측 단부 또는 상기 버튼홀에서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버튼돌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 button hole formed in the rotary shaft; And a butt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button and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The coil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an inner end of the button hole or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button hole and the button protrusion.

상기 수납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는 탑버튼;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탑버튼의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orage button is a top button which is inserted into and unloaded through an opening of the housing; And a wing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tobette.

상기 수납버튼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The storage button and the stopper may not overlap with the spiral spr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piral spring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o engage with the rotation shaft.

상기 휠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수납버튼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원형전극을 갖는 음향기판; 및 상기 음향케이블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원형전극과 접촉하는 단자 브러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이 회전시 상기 단자 브러시는 상기 원형전극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n acoustic substrate having a circular electrode loc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storage butt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 the wheel; And a terminal brush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contacting the circular electrode, wherein the terminal brush can move along the circular electrode when the wheel is rotated.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회동모듈 하나에 인입 및 인출시 회동모듈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까지 구비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rotating module can be provided with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odule at the time of pulling-out and pulling out,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회동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회동부재의 휠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회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회동부재의 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케이블이 휠에서 풀릴 때 회동부재의 스토퍼와 걸림돌기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음향케이블이 휠에 감길 때 회동부재의 스토퍼와 걸림돌기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회동부재의 수납버튼이 눌린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coust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sou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voting member of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heel case of a tilting member of an acoust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voting member of an acoust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axis of a tilting member of an audio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opper and a locking projection portion of a tilting member when an acoustic cable of an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a wheel.
11 is a view showing a stopper and a locking projection portion of a tilting member when an acoustic cable of an audio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on a wheel.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receiving button of a pivoting member of an audio equip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음향기기(200)는 제어부(250), 무선통신부(255), 리시버(240), 스피커(243), 마이크(248) 및 전원공급부(257)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ound device 200 includes acontroller 250,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areceiver 240, aspeaker 243, Amicrophone 248, and apower supply unit 257.

무선통신부(255)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음향기기(200)를 통해 입력된 소리 또는 신호를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무선통신부(255)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를 들 수 있다.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is a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or transmits a sound or a signal input through thesound device 200 to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in a wireless manner. A typical example of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is Bluetooth.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대표적인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이다. 주로 10~2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이며,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Bluetooth is a near-field wireless technology standard that exchanges information by connecting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s, earphones, and headphones to each other. Bluetooth is used in the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frequency band from 2400 to 2483.5 MHz, which is typically used when a low power wireless connection is needed in very short distances of around 10 to 20 meters.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other systems that use the upper and lower frequencies, we use a total of 79 channels, ranging from 2400MHz to 2MHz and 2483.5MHz to 3.5MHz, except 2402 ~ 2480MHz. ISM is a frequency band allocated for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use, and is often used for personal wireless devices that emit low-power radio waves without the need for permission to use radio waves. Amateur radio, WLAN and Bluetooth use this ISM band.

리시버(240)와 스피커(243)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리시버(240)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시에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고, 스피커(243)는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리시버(24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는 스피커(243)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다.Thereceiver 240 and thespeaker 243 are devices for outputting sound. Thereceiver 24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when the user is adjacent to the ear, and thespeaker 243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to the user Device.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receiver 240 is smaller than the sound output from thespeaker 243.

마이크(24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248)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microphone 248 processes the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Themicrophone 248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센싱부(260)는 음향기기(2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자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리시버가 리시버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리시버 스위치(2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sensing unit 260 is a device that prints the state of theacoustic device 200 itself and surrounding conditions. Thesensing unit 260 includes a touch sensor that senses ambient light,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input, A receiver switch 266 for sensing whether the receiver is located in the receiver holder, and the like.

조작부(270)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음향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또는 음량조절 등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222, 223) 또는 리시버를 리시버 수납부로 인입하기 위한 수납버튼(234) 등이 포함된다.Theoperation unit 270 is an input unit for the user to intentionally control theaudio equipment 200 and includes auser input unit 222 or 223 for a call or volume control or astorage button 234 for entering a receiver into the receiver storage unit. And the lik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음향기기(200)는 밴드(210), 하우징(220), 음향 케이블(245), 리시버(240), 무선통신부(255)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Theacoustic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band 210, ahousing 220, anacoustic cable 245, areceiver 240,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and acontrol unit 250.

밴드(210)는 U자 형상으로 굽어진 부재로서 뒤쪽에서 끼워서 목에 걸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210)가 전부 강성소재로 이루어지면 목에 착용시에 불편하고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 시 부러질 위험이 있어 연성 소재를 이용하나 반대로 연성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면 밴드(210)가 휘면서 목에서 이탈하거나, 후술할 음향케이블(245) 인출시 밴드(210)가 고정되지 않아 무선음향기기(200)가 함께 움직이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밴드(210)는 휨변형의 정도를 구간별로 다르게 할 수 있다.Theband 210 is a U-shaped bent member that can be hooked to the neck from behind. It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bent for convenience of use. If theband 21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it is inconvenient when worn on the neck,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broken when carrying it by putting it in a bag or the like. When the flexible material is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wireless sound device 200 moves together with theband 210 not being fixed when thesound cable 245 is taken out. Therefore, theband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degree of bending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tion.

사용시 가장 변형이 큰 가운데 부분(제1 구간(a))과, 양 단부(제2 구간(b))는 크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시켜 하우징(220)에 부착된 버튼을 조작하거나 음향케이블(230)을 인출할 때 밴드(21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such that the middle portion (the first section (a)) and the both ends (the second section (b)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band 210 when theaudio cable 230 is drawn out.

밴드(210)의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부(257), 무선통신부(225), 신호의 전달을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등이 위치할 수 있다.A wire-shapedpower supply unit 257,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the like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band 210.

밴드(210)는 단면이 일측방향으로 긴 형태의 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곡면을 포함하며 곡면의 방향이 꼬일 수 있다. 중앙부분은 목에 걸었을 때 목의 뒤쪽에 접하도록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고, 단부는 어께에 안착되도록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의 ?향이 다르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band 210 may have a tape-like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long in one direction. That is, it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may be twisted. The central part faces the front and back of the neck when touched to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edge of the curved surface faces up and down so that the end is seated on the shoulder. At this time, the curved surfaces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이러한 꼬인 테이프 형상의 밴드(210)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꼬여있는 바, 착용시 편하고 신체와 접촉부가 넓어 마찰력에 의해 목에서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uch a twisted tape-like band 210 is twis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ody so that it is easy to wear when worn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detached from the neck due to frictional force by widening contact with the body.

하우징(220)은 밴드(210) 양 단부에 위치하며 밴드(210)가 이루는 곡면과 상기 하우징(220)이 이루는 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housing 220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band 210 and forms a continuous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band 210 and the surface formed by thehousing 220.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이 결합하여 형성한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50), 진동모터(미도시), 무선통신부(25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일측의 하우징(220)에 전원공급부(257)가 위치하고, 타측의 하우징(220)에 마이크(248), 스피커(243), 무선통신부(255) 등 다른 부품을 배치하여 하우징(2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쪽 무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분산시킬 수 있다.A printedcircuit board 250, a vibration motor (not shown),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housing 221 and thelower housing 222. [ Apower supply unit 25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housing 220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amicrophone 248, aspeaker 243, and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ar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housing 220 to be mounted on thehousing 220 Parts can be dispersed to balance both weights.

하우징(220)의 전면에는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제1 버튼(223)이, 측면에는 음향을 조절하거나 재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위한 제2 버튼(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223, 224)은 돌리는 조그 버튼, 밀어서 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버튼 또는 돔스위치를 구비한 돔스위치 버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220)에 상기 제1 버튼(223)과 제2 버튼(224)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223, 224)은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Asecond button 22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housing 220 for afirst button 223 for playback or communication and asecond button 224 for adjusting the sound on the side or changing the order of files to be reproduced . Thebuttons 223 and 224 may be a jog button to be turned, a slide button to input a push signal or a dome switch button having a dome switch. At this time, thefirst button 223 and the second button An opening for thesecond button 224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buttons 223 and 224 may input signals by touching the user using a touch sensor.

상기 한 쌍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버튼(223, 224)은 각각 다른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은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타측은 음악과 관련된 기능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통화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음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Thebuttons 223 and 224 located in the pair ofhousings 220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one side can set a call related function and the other side can set a button related to a music related function. That is, thefirst button 223 located at one side of thehousing 220 is a call button, and thesecond button 224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sound.

타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음악의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음향 케이블(245)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리시버(240)와 연결된다. 하우징(220)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받고 음향 케이블(245)을 통해 리시버(240)로 음향신호가 전송된다.Thefirst button 223 located in thehousing 220 of the other side is a button for playing or stopping music, and thesecond button 224 may be used as a button for changing the playback order. One end of theacoustic cable 245 is connected to thehousing 2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receiver 240. A sou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mounted on thehousing 220 and an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receiver 240 through thesound cable 245.

리시버(240)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240)는 하우징(220) 의 밴드(210)와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하여 휴대시 음향 케이블(245)이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리시버 홀더는 음향이 출력되는 리시버(240)를 휴대하기 위한 리시버(240)의 안착부이며, 리시버(240) 및 리시버 홀더(225)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기력을 이용해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리시버 홀더(225)는 하우징(220)의 단부에 별도의 사출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리시버 홀더(225)에는 음향케이블(245)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receiver 240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fixed to the ear. 3, thereceiver 240 is coupled to thereceiver holder 225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housing 220 connected to theband 210,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entangling theacoustic cable 245 have. Thereceiver 240 is a mounting portion of areceiver 240 for carrying areceiver 240 for outputting sound and includes a magnet in areceiver 240 and areceiver holder 225 to magnetically couple thereceiver 240 to a receiver holder 225). Thereceiver holder 22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olded article at the end of thehousing 220 and a hole through which theacoustic cable 245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receiver holder 225

리시버 홀더(225)는 리시버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리시버 홀더(22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스위치의 일 예로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돌출된 푸시 버튼 리시버 스위치를 들 수 있다.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되면 상기 푸시 버튼이 눌러지면서 리시버 스위치가 오프가 되고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분리되면 푸시 버튼이 돌출되면서 리시버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Thereceiver holder 225 is provided with a receiver switch (not shown)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ceiver holder 225 is mounted. As an example of the receiver switch, a push button receiver switch protruded from thereceiver holder 225 may be used. When thereceiver 240 is coupled to thereceiver holder 225, the push button is pressed and the receiver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receiver 240 is separated from thereceiver holder 225, the push button is protruded, It can be turned on.

온/오프 상태는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스위치는 자기센서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ON / OFF state may be set to be reversed. Also, the receiver switch may determine whether thereceiver 240 is coupled to thereceiver holder 225 using a magnetic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리시버(240)는 이어폰 모드에서는 저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 모드에서는 고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스피커로 겸용할 수도 있다.Thereceiver 240 outputs sounds with a low output in the earphone mode and sounds with a high output in the speaker mode so that thereceiver 240 can also be used as a speaker.

하우징(220)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22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음향기기(2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스위치(229)가 하우징(220)에 구비될 수 있다.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may be located in thehousing 220, and a cap 228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charging termina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lso, a power switch 229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wireless audio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thehousing 220.

인디케이터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충전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무선통신부(255)이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며, 색상 및 깜빡이는 속도 등으로 무선음향기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22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버튼(223)의 둘레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indicator indicates whether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is connected or not, and may display the status of thewireless audio device 200 with a color and a blinking speed to indicate whether an event occurs or not. And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housing 220 or on the periphery of thefirst button 22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케이블(245)이 하우징(220)으로 인입되면서 리시버(240)가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된다. 음향 케이블(245)은 하우징(220) 내부에 있는 회동부재(230)에 감기면서 하우징(220)으로 인입된다.Theheadse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receiver 240 is attached to thereceiver holder 225 while theacoustic cable 245 is drawn into thehousing 220 as shown in FIG. Theacoustic cable 245 is inserted into thehousing 220 while being wound around thetiltable member 230 inside thehousing 2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음향케이블(245)을 하우징(220)으로 인입출하는 회동부재(230)가 도시되어 있다. 회동부재(230)는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245)을 감아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 장착시킨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4 shows a pivotingmember 230 for pulling theacoustic cable 245 into and out of thehousing 220. Thetiltable member 230 rotates about arotation axis 232 fixed to thehousing 220 and winds theacoustic cable 245 to mount thereceiver 240 to thereceiver holder 225.

반대로 사용자가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서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회동부재(23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245)이 회동부재(230)로부터 풀려서 리시버(240)가 하우징(220)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parates and pulls thereceiver 240 from thereceiver holder 225, the pivotingmember 2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sound cable 245 is released from the pivotingmember 230 so that thereceiver 240 can be rotated by the housing 220 ). ≪ / RTI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장착하기 위해 한 쌍의 리시버(240)를 구비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30)는 각 리시버(240)당 하나씩 구비하여 밴드의 양 측에 한 쌍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pair ofreceivers 240 are provided for mounting on both ears of the user, onepivot member 230 is provided for eachreceiver 24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회동부재(230)의 분해사시도로서, 회동부재(230)는 회전축(232)을 구비한 휠케이스(231), 상기 휠케이스(23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232)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휠(234), 휠(234)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는 스파이럴 스프링(235), 음향케이블과 음향기판(236)의 접속을 유지하는 음향 브러시(247) 및 상기 음향케이블(245)을 하우징(220) 내부로 수납시 사용자가 누르는 수납버튼(233)을 포함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ingmember 230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ingmember 230 includes awheel case 231 having arotation shaft 232, Aspiral spring 235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wheel 234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acoustic cable and theacoustic substrate 236. Thespiral spring 235 is disposed inside thecylinder 234 and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rotation shaft 232 passes, And astorage button 233 for the user to press theaudio cable 245 into thehousing 220. [

음향기판(236)은 음향신호를 음향케이블(24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휠(234)의 회전에 관계없이 음향기판(236)과 음향케이블(245)가 접속되도록 음향케이블(234)과 음향기판(236) 사이에 음향 브러시(247)을 구비할 수 있다.Theacoustic board 236 serves to transmit an acoustic signal to theacoustic cable 245 and is connected to theacoustic cable 234 and theacoustic cable 234 so that theacoustic board 236 and theacoustic cable 2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wheel 234 And anacoustic brush 247 may be provided between theacoustic substrates 236.

음향기판(236)은 신호종류(예를 들면 좌측/우측 음향신호)에 반경이 다른 원형의 접속단자(236', 236")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브러시(247)는 음향기판(236)의 원형의 접속단자(236', 236")의 위를 움직이며 음향케이블(245)과 음향기판(236) 사이의 접속을 유지한다. 또는 음향케이블(245)이 회전하지 않는 회전축 중심을 통해 음향기판(236)과 연결되는 경우 음향 브러시(247)를 생략할 수 있다.Theacoustic board 236 has circular connection terminals 236 'and 236' having different radii to signal types (for example, left / right acoustic signals) and theacoustic brush 247 has acircular shape 236 "of theaudio cable 245 and maintains the connection between theacoustic cable 245 and theacoustic board 236. [ Theacoustic brush 247 may be omitted if theacoustic cable 245 is connected to theacoustic substrate 236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where theacoustic cable 245 does not rotate.

휠케이스(231)는 내부에 회동부재(230)의 각 부재가 위치하며, 휠케이스(231)가 상기 하우징(220)에 결합하여 회동부재(230)가 고정된다. 휠케이스(231)의 중간에 돌출된 회전축(232)은 회동부재(230)의 회전의 중심이 되며, 상기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휠(234)이 회전한다.Thewheel case 231 is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members of the pivotingmember 230 and thewheel case 231 is coupled to thehousing 220 to fix the pivotingmember 230. Therotation shaft 232 protruding in the middle of thewheel case 231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rotation member 230 and thewheel 234 rotates about therotation axis 232.

휠케이스(23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구비한 원판 형상일 수 있고, 휠(234)이 상기 회전축(23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음향케이블(245)이 다른 부재들과 엉키지 않도록 인입출 될 수 있다면 휠케이스(231)를 생략하고 하우징(220)에 직접 회전축(232)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wheel case 231 may be in the shape of a disc having an inner space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wheel 234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rotation shaft 232, Thewheel case 231 may be omitted and therotation shaft 232 may be formed directly in thehousing 22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회동부재(230)의 휠케이스(231)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휠(234)은 휠케이스(231)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축(232)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의 부재로, 가운데 회전축(232)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wheel case 231 of the pivotingmember 230 of theacoustical instrumen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thewheel 234 is disposed inside thewheel case 231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middle rotation shaft 232 passes is formed as a cylindrical member that surrounds therotation shaft 232.

휠(234)의 외측에는 음향케이블(245)이 감기며, 음향케이블(245)이 제1 방향으로 감겨져 있을 때, 음향케이블(245)이 풀릴 때 휠(234)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음향케이블(245)을 휠(234)의 외측에 감기 위해서 휠(234)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When theacoustic cable 245 is unwound and theacoustic cable 245 is wound in the first direction, thewheel 23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wheel 234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o wind thecable 245 to the outside of thewheel 234.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케이블(245)은 반시계방향(제1 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리시버(240)가 인출되면 음향케이블(245)이 휠(234)을 반시계방향(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휠(234)이 시계방향(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휠(234)의 외측에 음향케이블(245)이 권취되어 음향케이블(245)이 하우징(220) 내부로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반시계방향이고 제2 방향은 시계방향이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6, theacoustic cable 245 is wou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irst direction). When thereceiver 240 is drawn out, theacoustic cable 245 rotates thewheel 234 counterclockwise 1) direction and thewheel 234 is rotated clockwise (second direction), theacoustic cable 245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wheel 234 and theacoustic cable 245 is housed in thehousing 22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may be counterclockwis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clockwise or vice versa.

휠(234)의 원통의 내측에 스파이럴 스프링(235)과 수납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회동부재(230)의 단면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버튼(233)과 스파이럴 스프링(235)은 회전축(232)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다.Aspiral spring 235 and a storage button may be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wheel 234. [ 7, thestorage button 233 and thespiral spring 235 ar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rotation axis 232,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7.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rotation member 230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스파이럴 스프링(235)은 나선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감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원래 감긴 형태로 복원하기 위해 감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파이럴 스프링(235)은 중앙부터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감겨져 있어 반시계방향의 힘에 대해 시계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한다.When thespiral spring 235 applies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winding by the helical spring,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winding direction for restoring the original spiral shape. Referring to FIG. 6, thespiral spring 235 of this embodiment is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apply a clockwise elastic force to a counterclockwise force.

사용자가 리시버(240)를 당겨 음향케이블(245)을 인출시 휠(234)이 반시계방향으로 돌면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감긴 회수가 줄어들면서 시계방향으로 휠(234)을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휠(234)의 외측에 음향케이블(245)을 감는다.When the user pulls thereceiver 240 and pulls out theacoustic cable 245, when thewheel 23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number of times thespiral spring 235 is wound is reduced so that the elastic force to rotate thewheel 234 clockwise And winds theacoustic cable 245 to the outside of thewheel 234.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회동부재(230)의 회전축(232)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회전축(232)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35)이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타단이 상기 홈에 끼워져 타단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232)에 고정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rotation shaft 232 of therotation member 230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otation shaft 232 is formed with a groove for fixing thespiral spring 235 . The other end of thespiral spring 235 is fitted in the groove and the other end can be fixed to therotation shaft 232 without rotating.

수납버튼(233)은 휠(234)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외측에 돌출된 스토퍼(237)를 구비한다. 스토퍼(237)는 휠(234)의 내측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38)와 맞닿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휠(234)의 회전방향에 따라 걸림돌기(238)와 맞닿아 휠(234)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걸림돌기(238)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휠(234)의 회전을 허용한다.Thestorage button 233 has astopper 237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wheel 234 and protruding outward. Thestopper 237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wheel 234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protrusion 238 and abuts the lockingprotrusion 238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wheel 234 to rotate thewheel 234 Restricts or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lockingprojection 238 and allows the rotation of thewheel 234.

수납버튼(233)은 휠(234)의 원통 내측에 위치하나 휠(234)과 직접 결합하지 않고 회전축(232)과 결합하여 회전축(232) 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한다. 수납버튼(233)은 도 7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납버튼(233)을 누르면 상기 수납버튼(233)은 제3 방향으로 이동한다.Thestorage button 233 i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wheel 234 but does not directly engage with thewheel 234 but engages with therotation shaft 232 to perform vertical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rotation axis 232. Thestorage button 233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housing 220 as shown in FIGS. 7 and 4. When the user presses thestorage button 233, thestorage button 233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회전축(232)에는 버튼홀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수납버튼(233)의 하단에서 돌출된 버튼돌기(2333)가 삽입되어 버튼홀(232a)을 따라 상기 버튼돌기(2333)가 인입출되며 회전축(232) 방향으로 수납버튼(233)이 이동할 수 있다.A button hole is formed in therotation shaft 232 and abutton projection 2333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storage button 23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so that thebutton projection 2333 is inserted and removed along thebutton hole 232a, Thestorage button 233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arrow 232 in FIG.

사용자가 하우징(220) 외측에 돌출된 탑버튼(2331)을 제3 방향으로 누르면 수납버튼(233)은 하우징(220) 내측으로 인입되며,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수납버튼(233)을 하우징(220)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4 제공하는 방향의 힘을 코일스프링(233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면 상으로 제3 방향은 하측방향이고 제4 방향은 상측방향이다.When the user pushes thetobertone 2331 protruding outside thehousing 220 in the third direction, thestorage button 233 is retracted to the inside of thehousing 220.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233 to the outside of thehousing 220. Thecoil spring 2334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direction force. 7, the third direction is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an upward direction.

코일스프링(2334)의 일단은 버튼홀의 내측단부 또는 버튼홀이 내측에 돌출된 지지부에 닿고 타단은 수납버튼(233)에 결합하여 수납버튼(233)의 탑버튼이 하우징(220)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제 4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One end of thecoil spring 2334 contacts the inner end of the buttonhole or the support portion where the buttonhole protrudes inwar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storage button 233 so that the top end of thestorage button 233 protrudes outward from thehousing 220 Apply force in 4 directions.

이때 수납버튼(233)이 하우징(220)에 형성된 기구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우징(220)의 개구부의 내측에서 탑버튼 둘레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휠(234)은 걸림돌기(238)를 제외하고 상기 날개부 및 스토퍼(237)와 닿지 않도록 원통 가운데의 개구부의 상부는 넓게 형성한다. 하부는 스파이럴 스프링(235)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보다 더 좁게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storage button 233 may further include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opening of thehousing 220 to the periphery of the tobutto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mechanism portion formed in thehousing 220.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center of the cylinder is formed to be wide so that thewheel 234 does not contact the wing portion and thestopper 237 except for the lockingprojection 238. [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spiral spring 235.

이하에서는 휠(2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토퍼(237)가 휠(234)의 회전을 어떻게 제어하는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how thestopper 237 controls the rotation of thewheel 23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wheel 23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음향케이블(245)이 휠(234)에서 풀릴 때 회동부재(230)의 스토퍼(237)와 걸림돌기(238)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회전축(232)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회전축(232)에서 걸림돌기(238) 방향을 바라본 도면이다.9 and 10 show a state in which thestopper 237 of the pivotingmember 230 and thestopper 238 of the pivotingmember 238 when theacoustic cable 245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thewheel 234 FIG. 9 is a plan view of therotation shaft 232, and FIG. 10 is a view of therotation shaft 232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projection 238.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케이블(245)이 제1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있고, 스파이럴 스프링(235)도 제1 방향으로 감긴 나선형상이다. 걸림돌기(238)는 중심에서 제1 방향(반시계방향)의 측면(2381)과 제2 방향(시계방향)의 측면(2382)을 갖으며, 제1 방향의 측면(2381)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2 방향의 측면(2382)은 수직면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acoustic cable 245 is wound in the first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figure), and thespiral spring 235 is also spirally wound in the first direction. The lockingprotrusion 238 has aside surface 2381 in the first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side surface 2382 in the second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at the center, and theside surface 2381 in the first direction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And theside surface 2382 in the second direction includes a vertical surface.

제1 방향의 경사면(2381)은 결합돌기의 회전축(232) 방향 두께가 제1 방향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며, 경사면(2381)은 하우징(220)의 내측면을 향하는 면과 반대편인 제3 방향(도 10에서 하측)에 형성된다.Theinclined surface 2381 of the first direction is thinner in the direction of therotation axis 232 toward the first direction end and theinclined surface 2381 is inclined in the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20 (Lower side in Fig. 10).

음향케이블(245)이 풀릴 때에 휠(234)이 제1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7)는 걸림돌기(238)의 제1 방향 측면(2381)과 맞닿게 된다. 걸림돌기(238)의 제1 방향은 경사면을 포함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7)는 걸림돌기(238)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축(232)과 나란한 제3 방향으로 이동한다.9, since thewheel 23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acoustic cable 245 is released, thestopper 237 is moved in thefirst direction side 2381 of the lockingprojection 238 Respectively. Thestopper 237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parallel to therotation axis 232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engagement protrusion 238 as shown in FIG. 10 because the first direction of theengagement protrusion 238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도 10의 (b)와 같이 휠(234)이 회전시 걸림돌기(238)의 경사면이 스토퍼(237)를 제3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공하고 수납버튼(233)과 스토퍼(237)는 제3 방향으로 코일스프링(2334)을 압축시키며 이동한다. 걸림돌기(238)가 스토퍼(237)와 중첩되는 구간이 지나가면 도 10의 (d)와 같이 스토퍼(237)는 제4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한다.10 (b), when thewheel 234 rotat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projection 238 provides a force for pressing thestopper 237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storage button 233 and thestopper 237 provide a force for pressing the third Thecoil spring 2334 is compressed and moved. Thestopper 237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and restore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10 (d) when a section in which thestopper 238 overlaps with thestopper 237 passe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음향케이블(245)이 휠(234)에 감길 때 회동부재(230)의 스토퍼(237)와 걸림돌기(238)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당기던 것을 중단하면,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 휠(234)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시계방향)으로 휠(234)이 도는 경우 스토퍼(237)와 걸림돌기(238)의 제2 방향의 측면(2382)과 맞닿게 된다.11 shows a portion of thestopper 237 and theengagement protrusion 238 of the pivotingmember 230 when theacoustic cable 245 of the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thewheel 234 FIG. When the user stops pulling theacoustic cable 245, the elastic force of thespiral spring 235 causes thewheel 234 to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stopper 237 and theside surface 2382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engagingprojection 238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wheel 234 turns in the second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38)의 제2 방향의 측면(2382)은 수직면을 포함하므로 스토퍼(237)가 제1 방향의 측면(2381)과 맞닿은 경우와 달리 수납버튼(233)이 제3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방향의 측면(2382)과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휠(234)의 회전을 제한한다.Theside surface 2382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lockingprojection 238 includes a vertical surface as shown in FIG. 11 (b), unlike the case where thestopper 237 abuts against theside surface 2381 in the first direction, (233) does not move in the third direction but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2382) in the second direction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wheel (234).

따라서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당겨서 음향케이블(245)을 하우징(220)에서 인출한 이후에 음향케이블(245)을 놓더라도 다시 하우징(220)으로 인입되지 않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pulls theaudio cable 245 and pulls theaudio cable 245 out of thehousing 220, the user can not pull theaudio cable 245 back into thehousing 220,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200)의 회동부재(230)의 수납버튼(233)이 눌린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하우징(220) 내부로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스토퍼(237)와 걸림돌기(238)의 제2 방향의 측면(2382)이 맞닿은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바, 강제로 수납버튼(233)을 제3 방향으로 사용자가 누르면 걸림돌기(238)와 스토퍼(237)가 회전축(232) 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므로 걸림돌기(238)가 스토퍼(237)의 방해를 받지 않고 휠(234)이 회전할 수 있다.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receiving button 233 of the pivotingmember 230 of theaudio equipmen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When the user intends to store theacoustic cable 245 into thehousing 220, the state in which thestopper 237 and theside surface 2382 of the lockingprojection 238 in the second dire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ust be canceled. When the user pushes thebutton 233 in the third direction, the lockingprotrusion 238 and thestopper 237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direction of therotation axis 232, so that the lockingprotrusion 238 is not disturbed by thestopper 237, (234) can be rotated.

휠(234)은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탄성에 따라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245)을 휠(234)의 외측에 감아 음향케이블(245)이 하우징(22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Thewheel 234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spiral spring 235 and theacoustic cable 245 can be wound outside thewheel 234 to accommodate theacoustic cable 245 inside thehousing 220 .

이상에서 살펴본 음향기기(200)는 사용자에 목에 걸어 사용하는 밴드를 구비한 무선음향기기(2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징은 하우징(220)에서 연장되어 리시버(240)에 연결된 음향케이블(245)을 상기 하우징(220)에 수납하는 구조에 있는 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밴드(210)를 포함하는 음향기기(200) 이외에 다양한 휴대용 음향기기(200)에 적용 가능하고 무선통신부(255)가 없는 음향기기(200)에도 적용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wirelessacoustic apparatus 200 having a band for hanging on a user's neck, theacoustic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acoustic device 200 extending from thehousing 22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ortableaudio devices 200 in addition to theacoustic device 200 including theband 210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It is also applicable to theacoustic apparatus 200 without thespeaker 25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회동모듈 하나에 인입 및 인출시 회동모듈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까지 구비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rotating module can be provided with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odule at the time of pulling-in and pulling out,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음향기기210: 밴드
220: 하우징250: 인쇄회로기판
223: 제1 버튼224: 제2 버튼
225: 리시버 홀더226: 스위치
230: 회동부재231: 휠케이스
232: 회전축233: 수납버튼
2331: 탑버튼2332: 날개부
2333: 버튼돌기2334: 코일스프링
234: 휠235: 스파이럴 스프링
236: 음향기판237: 스토퍼
238: 걸림돌기2381: 제1 방향 측면
2382: 제2 방향 측면240: 리시버
245: 음향케이블257: 전원공급부
250: 제어부255: 무선통신부
200: sound device 210: band
220: housing 250: printed circuit board
223: first button 224: second button
225: receiver holder 226: switch
230: tiltable member 231: wheel case
232: rotation shaft 233: storage button
2331: Tobbert 2332:
2333: Button projection 2334: Coil spring
234: Wheel 235: Spiral spring
236: Acoustic Substrate 237: Stopper
238: locking protrusion 2381: first direction side surface
2382: second direction side 240: receiver
245: acoustic cable 257: power supply
250: control unit 255: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된 리시버 홀더;
상기 리시버 홀더에 착탈가능한 리시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타단부는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회전축;
외측 둘레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권취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휠;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휠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돌기;
일측은 상기 휠의 원통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수납버튼; 및
상기 수납버튼의 둘레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A housing including an inner space;
A receiver hold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cable hol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A receiver detachable from the receiver holder;
A pivoting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nd
And an acoustic cab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ilt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Wherein the tiltable member comprises: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housing so as not to move;
A cylindrical wheel i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A spiral spring locat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wheel,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heel,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heel;
A storage butt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wheel cylinder and the other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linearly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And a stopper project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button and abutting against the locking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리시버를 당기면 상기 음향케이블이 풀리면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eceiver pulls the wheel, the wheel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acoustic cable is released,
Wherein the spiral spring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제2 방향 측면은 수직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휠이 제2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수직면에 맞닿아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cludes a vertical surface,
Wherein the stopper abuts the vertical surface when the wheel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restricting rotation of the wh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제1 방향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제3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first direction end portion,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presses the stopper in a third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wheel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버튼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수납버튼을 사용자가 제3 방향으로 누르면 반대 방향인 제 4 방향으로 복원하는 힘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button and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coil spring applies a force to restore the storage button in a fourth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storage button in the third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수납버튼에서 돌출되어 상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버튼홀의 내측 단부 또는 상기 버튼홀에서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버튼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button hole formed in the rotary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button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receiving button and being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Wherein the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an inner end of the buttonhole or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buttonhole and the button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는 탑버튼;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탑버튼의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button
A top button which is pulled out through an opening of the housing; And
And a wing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an outer side of the tobet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버튼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button and the stopper are not overlapped with the spiral spr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spira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수납버튼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원형전극을 갖는 음향기판; 및
상기 음향케이블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원형전극과 접촉하는 단자 브러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이 회전시 상기 단자 브러시는 상기 원형전극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coustic substrate having a circular electrode loc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storage butt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 the wheel; And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brush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contacting the circular electrode,
Wherein the terminal brush moves along the circular electrode when the wheel rotates.
KR1020140145092A2014-10-242014-10-24Sound EQUIPMENTWithdrawnKR201600484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45092AKR20160048452A (en)2014-10-242014-10-24Sou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45092AKR20160048452A (en)2014-10-242014-10-24Sound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048452Atrue KR20160048452A (en)2016-05-04

Family

ID=5602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145092AWithdrawnKR20160048452A (en)2014-10-242014-10-24Sound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6004845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09121036A (en)*2018-10-202019-01-01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A kind of adjustable type has the multimedia earphone of safeguard structure
US10244305B2 (en)2017-08-032019-03-26Lg Electronics Inc.Portable sound device
US10306351B2 (en)2017-08-032019-05-28Lg Electronics Inc.Portable sound device
WO2019117496A1 (en)*2017-12-122019-06-20엘지전자 주식회사Portable acoustic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0244305B2 (en)2017-08-032019-03-26Lg Electronics Inc.Portable sound device
US10306351B2 (en)2017-08-032019-05-28Lg Electronics Inc.Portable sound device
WO2019117496A1 (en)*2017-12-122019-06-20엘지전자 주식회사Portable acoustic device
CN109121036A (en)*2018-10-202019-01-01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A kind of adjustable type has the multimedia earphone of safeguard structure
CN109121036B (en)*2018-10-202024-12-20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 Adjustable multimedia earphone with protectiv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507869B1 (en)Wireless sound equipment
US9913016B2 (en)Wireless sound equipment
US8295770B2 (en)Electrical accessory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10306351B2 (en)Portable sound device
US10491983B2 (en)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60029524A (en)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it
KR20160048452A (en)Sound EQUIPMENT
KR20170011320A (en)Electronic Device
KR101943329B1 (en)Portable sound equipment
WO2020155695A1 (en)Wire control box for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arphone
KR102104897B1 (en)Wireless sound equipment
US8059854B2 (en)Earphone
KR101637369B1 (en)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615240B1 (en)Wireless sound equipment
EP3439321B1 (en)Portable sound device
KR20190019546A (en)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69755A (en)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70013572A (en)Electronic Device
CN209981651U (en)Wire control box for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arphone
KR101570298B1 (en)Headset
KR20150007584A (en)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KR20190014978A (en)Rotation module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22138A (en)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80080669A (en)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80A (en)Portable sou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1024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