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60034748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748A
KR20160034748AKR1020140126128AKR20140126128AKR20160034748AKR 20160034748 AKR20160034748 AKR 20160034748AKR 1020140126128 AKR1020140126128 AKR 1020140126128AKR 20140126128 AKR20140126128 AKR 20140126128AKR 20160034748 AKR20160034748 AKR 2016003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hotographing unit
unit
pair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128ApriorityCriticalpatent/KR20160034748A/en
Priority to PCT/KR2014/009063prioritypatent/WO2016047832A1/en
Publication of KR2016003474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034748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유닛, 디스플레이 본체 및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디스플레이 본체 및 촬영유닛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하며,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 센서는, 제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ain body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user and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And a magnet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the magnet sensor being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magnet and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the display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body at the first posi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body at the second position.

Figure P1020140126128
Figure P1020140126128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user.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게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촬영유닛이 구비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촬영유닛은 최근 들어 웹캠(Webcam) 기능을 갖는 제품 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추세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products having 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user so as to be able to sense a user's operation have appeared in a display device. Such a photographing unit has recently been installed in a display device as a product having a webcam function.

종래 촬영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1429호에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촬영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단부가 촬영유닛으로 인해 항상 노출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된 촬영유닛은 사용자에게 감시받는 듯한 불편한 느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photographing un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71429. Generally, in a display device such as the one disclosed in the Gazette, the photographing unit is fixedly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device. In such a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always exposed due to the photographing unit, thereby detracting the beauty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otographing unit mounted to maintain the exposed state may cause the user to feel uncomfortable as being monito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촬영유닛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a user's uncomfortable feeling by a shooting unit without harming the beauty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촬영유닛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body for displaying an image;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user, the photographing unit being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display body at the time of non-photographing and protruding outside the display body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 magnet disposed on one of the display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magnet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isplay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wherein the magnet and the magnet sensor are arrang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front-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at the second position.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촬영유닛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때 상기 촬영유닛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ntrol board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magnet sensor. The control board controls the magnet and the magnet sensor in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body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turned off when the magnets and the magnet sensor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마그네트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작으면 웹캠(Webcam)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마그네트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크면 상기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킬 수 있다.The control board may execute a webcam program i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magnet sensor is smaller than a preset magnetic field and may terminate the webcam program i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magnet sens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촬영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and the magnet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유닛은, 직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sliding along a straight line trajectory.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촬영유닛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ain body includes a guide casing having a pair of sliding gu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t least a pair of sliding guide rails And a photographing unit casing having a pair of sliding guide projections.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는 두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sliding guide protrusions may include a pair of first sliding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a pair of second sliding guide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sliding guide protrus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jecting from both sides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respectively.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gnet may be mounted on the guide casing, and the magnet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은,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slides upward along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can be slid downward along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유닛을 상기 가이드 케이싱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photograph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guide casing.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 장착되는 래치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래치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촬영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래치유닛과 후킹 결합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래치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unit comprises: a latch unit mounted on the guide casing; And a lock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locking the photographing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latch unit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Hooking engagement with the latch unit upon movement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detachable from the latch unit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래치유닛과 상기 로킹 돌기가 분리될 때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urges the imaging unit casing upward when the latch unit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separated.

상기 가이드 케이싱은, 상기 래치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의 하단 중앙에 구비되는 래치유닛 장착홈; 및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래치유닛 장착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casing comprises: a latch unit mounting groove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casing, to which the latch unit is mounted; And an elastic member mounting protrusion mounted between the latch unit mounting groove and one of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mounte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amping member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adapted to adjust a sliding speed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상기 댐핑부재는 기어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은, 상기 댐핑부재와 맞물리는 댐퍼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유닛 장착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댐핑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amping member is provided as a gear damper and the guide casing has a damper rail engaged with the damping member and is provided between the latch unit mounting groove and another sliding guide rail of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And a damping guide rail.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ca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stopper guid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stopper guide grooves, which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pair of stopper guide grooves, A stopper protrusion of the stopper may be provided.

상기 스토퍼 돌기는 두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두 쌍의 스토퍼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are provided in two pairs, the two pairs of stopper protrusions include a pair of first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imaging unit casing; And a pair of second stopper projections spaced from the pair of first stopper project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jecting from one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respectively.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시,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선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접촉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ne contact rib which is in line contact with the guide casing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slid.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은, 상기 마그네트 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가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includes a first casing housing the magnet sensor and the at least one pair of sliding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casing; And a second casing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casing and incorporating the camera module.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을 연결하는 로테이션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rotation hinge mounted in the first casing and the second casing, the rotation hinge connecting the first casing and the second casing.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1 케이싱 내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어 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내부 중공을 갖는 제1 힌지;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내부 중공을 갖는 제2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1 힌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hinge may include: a first hing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n inner hollow that penetrates a cable connec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control board; And a second hinge coupled to the second casing, the second hinge having an inner hollow to penetrate the cable, wherein the second hing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상기 제1 힌지에는 상기 제1 힌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에는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hinge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nd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hinge in the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A latching protrusion can be formed.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1 힌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의 회동시 상기 제2 힌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hinge may include a spr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first hing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hinge when the second hinge rotates.

상기 걸림홈은 네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걸림홈은 서로 9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our latching groove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latching groove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90 [deg.] From each other.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2 케이싱의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hinge may include a pair of anti-rotation stoppers provided on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such that the rotation hinge intermeshes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second casing rotates.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촬영유닛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the user by the photographing unit without harming the beauty of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유닛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비촬영시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시 제2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유닛의 다양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촬영유닛의 로테이션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로테이션 힌지의 제2 힌지의 저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4의 촬영유닛의 다양한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FIG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lid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in non-photographing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in photographing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2 and 13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various control methods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hi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Fig.
16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hinge of the rotation hinge of Fig.
Figs. 17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rotation operations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Fig. 14. Fig.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for purposes of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so, for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 append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모니터,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전자 수첩(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리더기, 전자 액자 및 키오스크(KIOSK) 등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by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ncludes a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 monitor, a laptop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electronic book reader, ),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display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limited to being a moni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본체(10), 촬영유닛(200), 마그네트(300), 마그네트 센서(350) 및 제어 보드(500)를 포함한다.1 and 2, thedisplay device 1 includes adisplay body 10, a photographingunit 200, amagnet 300, amagnet sensor 350, and acontrol board 500. [

디스플레이 본체(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데코 캐비닛(30), 미들 캐비닛(40), 백커버(50), 보드 커버(60), 버튼 모듈(70), 스피커 모듈(80), 스탠드 브라켓(90) 및 가이드 케이싱(100)을 포함한다.The displaymain body 10 includes adisplay module 20, adecor cabinet 30, amiddle cabinet 40, aback cover 50, aboard cover 60, abutton module 70, aspeaker module 80, Includes a bracket (90) and a guide casing (100).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모듈,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모듈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평판 디스플레이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display module 20 displays images, and may include various display modules for displaying images. Thedisplay module 20 is a flat panel display, and may be any one of a plasma display panel module,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 For example, when thedisplay module 2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hedisplay module 1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n addition, thedisplay module 20 may be provided as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instead of a flat display. In addition, thedisplay module 20 may be a touch-type display.

데코 캐비닛(30)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방 하부에 장착된다. 데코 캐비닛(30)은 사용자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하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데코 캐비닛(3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원, 채널 및 음향 등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decor cabinet 30 is mount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display module 20. Thedecor cabinet 30 form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display device 1 exposed to the user. Thedecor cabinet 30 may be provided with a user opera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 user operation on the power source, the channel, and the sound of thedisplay device 1.

미들 캐비닛(40)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방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싼다. 미들 캐비닛(40)은 설계에 따라 후술하는 백커버(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middle cabinet 40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display module 20 and surrounds the side edges of thedisplay module 20. Themiddle cabinet 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back cover 50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esign.

백커버(50)는 미들 캐비닛(40)의 후방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백커버(50)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로 나누어진 두 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back cover 5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middle cabinet 40 and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display device 1 therein. Theback cover 50 may be formed of a single member or may be provided with two members divided into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보드 커버(60)는 백커버(50)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백커버(50)에 장착된다. 보드 커버(60)에는 후술하는 제어 보드(500)가 장착된다.The board cover (60) is mounted on the back cover (50) so as to be received in the back cover (50). Theboard cover 60 is mounted with acontrol board 500 to be described later.

버튼 모듈(70)은 미들 캐비닛(40)의 후방 하부(42)에 장착되며, 제어 보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 모듈(7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원의 온(on)/오프(off), 채널 변경 및 음향 변경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사용자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원의 온(on)/오프(off), 채널이나 음향 등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 정보는 제어 보드(500)나 후술하는 저장부(480, 도 11 참조)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버튼 모듈(70)은 단순히 사용자 조작부와 제어 보드(500)나 저장부(4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Thebutton module 70 is mounted on the rearlower portion 42 of themiddle cabinet 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control board 500. Thebutton module 70 stores control information on power on / off of thedisplay device 1, channel change, sound change, and the like,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power of thedisplay device 1 on / off, channel, sound, etc. through the user operation unit. 11), and thebutton module 70 may be simply connected to the user's operating unit, thecontrol board 500, or the storage unit 480 (see FIG. 11)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스피커 모듈(80)은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들 캐비닛(40)의 후방 하부(42)에 장착된다. 스피커 모듈(80)은 제어 보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스피커 모듈(80)이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스피커 모듈(80)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speaker module 80 is for emitting sound and is mounted to the rearlower portion 42 of themiddle cabinet 40. [ Thespeaker module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control board 50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Hereinafter, only a pair ofspeaker modules 80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speaker module 80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스탠드 브라켓(90)은 디스플레이 본체(10)에 스탠드(15)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드 커버(60)의 후방에 장착된다. 스탠드 브라켓(90)을 통해 스탠드(15)는 백커버(5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Thestand bracket 90 is for mounting thestand 15 on the displaymain body 10 and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board cover 60. Thestand 15 can be mounted to the back of theback cover 50 via thestand bracket 90. [

가이드 케이싱(100)은 백커버(50) 내에 구비되며, 백커버(50)의 전방에서 후술하는 촬영유닛(200)을 백커버(50)에 고정시킨다. 이하, 가이드 케이싱(100)에 대해서는 하기의 관련 도면들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guide casing 100 is provided in theback cover 50 and fixes theimag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back cover 50 in front of theback cover 50. Hereinafter, theguide casing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related drawings.

촬영유닛(200)은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210)을 포함하며, 사용자 조작,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백커버(50) 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촬영유닛(200)은 백커버(50)을 관통하여 사용자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직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백커버(50) 내에 장착된다.The photographingunit 200 includes acamera module 210 capable of photographing a user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specifically, a downward (-Z- (50).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mounted in theback cover 50 such that the photographingunit 200 slides through theback cover 50 and follows the linear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pressure of the user (-Z axis direction).

이러한 촬영유닛(200)은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위치(이하,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돌출되는 위치(이하,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따른 촬영유닛(200)의 배치는 전술한 직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촬영유닛(200)은 직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또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촬영유닛(200)에 대해서는 하기의 관련 도면들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photographingunit 200 is disposed at a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displaymain body 10 at the time of non-photographing and at a position protruding out of the displaymain body 10 do. The arrangement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can be achieved by sliding along the above-described straight line trajectory. That is,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sliding along the straight line trajectory. Hereinafter, theshoo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related drawings.

마그네트(300)는 가이드 케이싱(100)에 장착된다. 즉, 마그네트(300)는 디스플레이 본체(10)에 구비된다. 마그네트 센서(350)는 마그네트(300)의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유닛(200) 내에 구비된다. 이러한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는 제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나란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가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앞뒤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는 제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Themagnet 300 is mounted on theguide casing 100. That is, themagnet 300 is provided in the displaymain body 10. Themagnet sensor 350 is for sensing the magnetic field of themagnet 300 and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magnets 300 and themagnet sensors 35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main body 10 at the first position. Here, being disposed side by side means that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main body 10.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arranged back and forth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main body 10.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main body 10 at the second position.

한편,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의 배치 위치는 전술한 배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마그네트가 촬영유닛(200)에 구비되고, 마그네트 센서가 가이드 케이싱(100), 즉, 디스플레이 본체(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 센서의 배치 위치는 전술한 제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면 기타 다른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position.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a magnet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200, and a magnet sensor is provided in theguide casing 100, i.e., thedisplay body 10. [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magnets and the magnet senso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main body 10 at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as long as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마그네트 센서(350)는 앞선 제1 위치에서 마그네트(300)와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마그네트(300)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트 센서(350)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므로 마그네트(300)의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Themagnet sensor 350 can detect the magnetic field of themagnet 300 because themagnet sensor 35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magnet 3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xis direction) of thedisplay body 10 at the first position. Since themagnet sensors 3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display body 10, the magnetic field of themagnet 300 can not be sensed.

제어 보드(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앞선 보드 커버(60)에 장착되어 백커버(50)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제어 보드(500)는 버튼 모듈(70), 스피커 모듈(80), 촬영유닛(200) 및 마그네트 센서(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술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제어 보드(500)에 대해서는 하기의 관련 도면들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control board 5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and is mounted on thefront board cover 60 and accommodated in theback cover 50. Thecontrol board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button module 70, thespeaker module 80, the photographingunit 200, and themagnet sensor 3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Hereinafter, thecontrol board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유닛(200)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요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in part of thedisplay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focus on the photographing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FIG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는, 전술한 가이드 케이싱(100), 촬영유닛(200),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 이외에도 로킹유닛(600), 탄성부재(700) 및 댐핑부재(800)를 더 포함한다.3 and 4, the display device 1 (see FIG. 1) includes alocking unit 600 in addition to theguide casing 100,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described above. Anelastic member 700, and a dampingmember 800. As shown in Fig.

가이드 케이싱(100)은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 래치유닛 장착홈(130), 탄성부재 장착돌기(140), 댐핑 가이드 레일(150) 및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을 포함한다.Theguide casing 100 includes a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a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an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a dampingguide rail 150, and a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170).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은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각각,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양측면(104) 내측에 각각 구비된다.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guide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when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respectively. Specifically, a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are provided inside the opposite side surfaces 104 of theguide casing 100, respectively.

래치유닛 장착홈(130)에는 후술하는 로킹유닛(600)의 래치유닛(620)이 장착된다. 이러한 래치유닛 장착홈(13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의 하단 중앙에 구비된다.In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alatch unit 620 of alocking unit 600 described later is mounted.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of therear sur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탄성부재 장착돌기(140)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에 구비되며,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측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20)과 래치유닛 장착홈(130)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 장착돌기(140)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 장착돌기(140)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700)가 끼워진다.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is provided on theback sur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slidingguide rail 120 and thelatch unit 120 are viewed from theback surface 102 side of theguide casing 100, (Not shown).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Theelastic member 70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described later.

댐핑 가이드 레일(15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측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과 래치유닛 장착홈(130) 사이에 구비된다. 즉, 댐핑 가이드 레일(150)과 탄성부재 장착돌기(140)는 래치유닛 장착홈(130)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dampingguide rail 15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and includes a slidingguide rail 110 and a latch unit mountedGrooves 130 are formed. That is, the dampingguide rail 150 and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can be seen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rear sur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with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배치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유닛 장착홈(13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탄성부재 장착돌기(140)와 댐핑 가이드 레일(150)이 배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탄성부재(700)와 댐핑부재(800)가 가이드 케이싱(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므로,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좌우측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되는 동작 힘(Operating Force)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s 140 and the dampingguide rails 15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respectively, so that theelastic member 700 and the dampingguide rail 150, Since themembers 8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guide casing 100 on both sides of theguide casing 100, the left and right balances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re effectively controlled during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 operating force can be uniformly controlled.

그리고, 댐핑 가이드 레일(150)에는 댐퍼 레일(152)이 구비된다. 댐퍼 레일(152)은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일측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댐핑부재(800)와 맞물려 댐핑부재(8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The dampingguide rail 150 is provided with adamper rail 152. Thedamper rail 1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and guides the sliding of the dampingmember 800 by being engaged with a dampingmember 800 to be described later.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은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이러한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바향(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측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은 좌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과 댐핑 가이드 레일(150) 사이에 구비되며,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 중 다른 하나의 스토퍼 가이드 홈(170)은 우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20)과 탄성부재 장착돌기(140) 사이에 구비된다.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restricts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rrangement of the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is as follows. Any one of thestopper guide grooves 160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is positioned at the left side of the slidingguide rail 110 and the dampingguide groove 160 of theguide casing 100, The otherstopper guide groove 170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is provided between the slidingguide rail 120 and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trusion 14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rail 150. [ Respectively.

촬영유닛(200)은 카메라 모듈(210) 및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포함한다.The photographingunit 200 includes acamera module 210 and a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카메라 모듈(210)은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빛을 모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렌즈를 움직여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10)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camera module 210 includes at least one lens for collecting light,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the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 actuator for adjusting the focus by moving the lens. Since thecamera module 210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촬영유닛 케이싱(220)은 카메라 모듈(210)을 수용하며, 앞선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케이싱(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촬영유닛 케이싱(220)은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상방(+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촬영유닛(200)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이동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하방(-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케이싱(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촬영유닛 케이싱(220) 내에는 마그네트 센서(350)가 장착된다.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receives thecamera module 210 and is mounted on theguide casing 100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slides upward (+ Z-axis direction) along a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Z-axis direction) along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magnet sensor 350 is mount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이러한 촬영유닛 케이싱(220)은,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 선접촉 리브(246), 장착돌기 수용부(248) 및 댐퍼 장착홈(249)를 포함한다.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at least one pair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aline contact rib 246, A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and adamper mounting groove 249. [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는 복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At least one pair of the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linearly slide along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The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232, 233, and 234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Hereinafter, only two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232, 233 and 234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및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로 이루어진다.The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are composed of a pair of first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and 232 and a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jections 233 and 234.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양측면(222) 하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and 232 protrude from the lower ends of the side surfaces 222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respectively.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and 232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along the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guide casing 1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중 우측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좌측에 마련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중 좌측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2)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우측에 마련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한다.Specifically,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 231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and 232 when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inserted into theguide casing 100 The slidingguide rail 110 slides along the slidingguide rail 11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rear surface 102 of the floor.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 23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and 232 when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guide casing 100 And slides along the slidingguide rail 12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guide rail 102.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는, 각각,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와 마찬가지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양측면(22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The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jections 233 and 234 protrude from both side surfaces 222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like the pair of first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and 232.

이러한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는, 각각,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측 방향(+Z축 방향)으로 각각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 중 우측에 구비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는 우측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로부터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측 방향(+Z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 중 좌측에 구비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4)는 좌측에 구비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2)로부터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측 방향(+Z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jections 233 and 234 are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first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and 2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 Z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Respectively. Specifically, when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 second slidingguide projections 23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jections 233 and 234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220 from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 231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 231, The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 2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 232 provided on the left side in the upward direction (+ Z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그리고, 각각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 또한 각각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와 같이 가이드 케이싱(100)의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가이드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s 233 and 234 is also guided along the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guide casing 100 like the respectiv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and 232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 중 우측에 구비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좌측에 마련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 중 좌측에 구비된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4)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우측에 마련된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 23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s 233 and 234 as seen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inserted into theguide casing 100 The slidingguide rails 110 can be slid along the slidingguide rails 11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rear surface 102 of the vehicle. The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 234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s 233 and 234 as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guide casing 100 Can slide along the slidingguide rail 12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door 102.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 즉,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및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3, 234)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좌우측 방향(Y축 방향)에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을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들이 안정적인 사각 형상의 배치를 이루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 first slidingguide protrusions 231 and 232 and the second slidingguide protrusions 233 and 234 slide along the pair ofguide rails 110 and 120 so that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sli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are arranged in a stable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들을 통해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좌우측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balances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during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through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ave.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촬영유닛(20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는 복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at least one pair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protrude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and ar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170. The stopper protrusions 241, 242, 243, and 244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Hereinafter, only twostopper protrusions 241, 242, 243 and 244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 및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로 이루어진다.The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are composed of a pair offirst stopper projections 241 and 242 and a pair ofsecond stopper projections 243 and 244.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좌우측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protrude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Respectively.

이러한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 중 우측에 구비된 제1 스토퍼 돌기(241)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좌측에 마련된 스토퍼 가이드 홈(16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 중 좌측에 구비된 제1 스토퍼 돌기(242)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우측에 마련된 스토퍼 가이드 홈(17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are inserted into a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slidable along a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 The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as seen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re protruded from the guide casing 100 (Z-axis direction) into thestopper guide groove 16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back surface 102. [ Thefirst stopper protrusion 24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as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protrudes from therear surface 102 of the guide casing 100 (Z-axis direction) to thestopper guide groove 17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stopper guide groove 170.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200)에 대한 사용자 하방 가압시, 가이드 케이싱(100)의 각각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을 따라 하방(-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하단(162, 172)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의 하방(-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 및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에 의해 촬영유닛(200)의 하방(-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한편, 이후,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 로킹유닛(600) 및 탄성부재(700) 등의 구성들과 하기 관련 도면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guide casing 100 along the respective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when the user pushes down the photographingunit 200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s 162 and 172 of the respective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 Thus, the sli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no longer performed. That is, the pair offirst stopper projections 241 and 242 and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limit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downward direction (-Z axis direction). Hereinafter,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related drawings and the structures of thefollowing locking unit 600 and theelastic member 700 and the like.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와 각각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측 방향(+Z축 바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pair ofsecond stopper projections 243 and 244 ar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first stopper projections 241 and 2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respectively.

그리고,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와 마찬가지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좌우측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protrude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like 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Y-axis direction) of thelight guide plate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 중 우측에 구비된 제2 스토퍼 돌기(243)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좌측에 마련된 스토퍼 가이드 홈(16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 중 좌측에 구비된 제2 스토퍼 돌기(244)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 우측에 마련된 스토퍼 가이드 홈(17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are slidable along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in the same manner as the pair offirst stopper protrusions 241 and 242 And is inserted into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170. The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as seen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re protruded from the guide casing 100 (Z-axis direction) into thestopper guide groove 16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back surface 102. [ Thesecond stopper protrusions 244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as seen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protrude from theback surface 102 of the guide casing 100 (Z-axis direction) to thestopper guide groove 17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stopper guide groove 170.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는 촬영유닛(200)의 제2 위치로의 슬라이딩시, 가이드 케이싱(100)의 각각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을 따라 상방(+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각각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상단(164, 174)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의 상방(+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 및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에 의해 촬영유닛(200)의 상방(+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제2 위치로의 슬라이딩시, 제2 위치에서 위치를 유지한 채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are disposed upwardly along the respective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slid to the second position And are engaged with the upper ends 164 and 174 of the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respectively. Thus, the sliding in the upward direction (+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no longer performed. That is, the pair ofsecond stopper projections 243 and 244 and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limit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upward direction (+ Z-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shooting unit 200 can be placed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at the second position when sliding to the second position.

아울러, 이러한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 또한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와 마찬가지로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좌우측 방향(Y축 방향)에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 또한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들이 안정적인 사각 형상의 배치를 이루기 때문이다.The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are also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t the time of sliding the photographingunit 200 like the two pairs of theslide 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The shake in the direction (Y-axis direction) can be minimized. This is because these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also have a stable rectangular arrangement of the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들을 통해서도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200)의 좌우측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balances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during the slid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선접촉 리브(246)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선접촉 리브(246)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선접촉 리브(246)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좌우측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Theline contact ribs 246 protrude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 plurality of suchline contact ribs 246 may be provided. Theline contact ribs 246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복수 개의 선접촉 리브(246)들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에 선접촉된다. 촬영유닛(200)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슬라이딩시, 이러한 선접촉에 따라,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과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과의 직접적인 접촉, 즉, 면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되는 동작 힘(Operating Force)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line contact ribs 246 are in line contact with theback sur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when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front 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nd theback 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in accordance with such line contact whe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slid, , It is possible to reduce an operating force (sliding force) generated by sliding compared to the case of surface contact.

장착돌기 수용부(248)는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의 슬라이딩시, 가이드 케이싱(100)의 탄성부재 장착돌기(14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 마련된다. 이러한 장착돌기 수용부(248)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후술하는 로킹유닛(600)의 로킹 돌기(660)의 좌측에 마련된다. 아울러, 장착돌기 수용부(248)는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의 슬라이딩시, 후술하는 탄성부재(700)를 하방(-Z축 방향)으로 가압한다.The mounting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is for receiving the elasticmember mounting projection 140 of theguide casing 100 when sliding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224). The mounting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lockingprojection 660 of thelocking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In addition, the mounting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presses the elastic member 700 (described la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slid to the first position.

댐퍼 장착홈(249)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 구비된다. 이러한 댐퍼 장착홈(249)에는 후술하는 댐핑부재(800)가 장착된다. 댐퍼 장착홈(249)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면(224)에서 보았을 때, 후술하는 로킹유닛(600)의 로킹 돌기(660)의 우측에 마련된다.Thedamper mounting groove 249 is provided on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damper mounting groove 249 is provided with a dampingmember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damper mounting groove 249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ckingprojection 660 of thelocking unit 600 described later when viewed from thefront surface 224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마그네트(300)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배면(102)에 장착된다. 마그네트(300)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한 바 있고, 이하, 관련 도면들의 설명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Themagnet 300 is mounted on theback surface 102 of theguide casing 100. Themagnet 30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ated drawings.

마그네트 센서(350)는 촬영유닛 케이싱(220) 내에 장착된다. 마그네트 센서(350)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고, 이하, 관련 도면들의 설명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Themagnet sensor 350 is mount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magnet sensor 35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ated drawings.

로킹유닛(600)은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200)을 가이드 케이싱(100)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로킹유닛(600)은 래치유닛(620) 및 로킹 돌기(660)를 포함한다.Thelocking unit 600 is a component for locking the photographingunit 200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in theguide casing 100. Thislocking unit 600 includes alatch unit 620 and a lockingprojection 660. [

래치유닛(62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래치유닛 장착홈(130)에 장착된다. 래치유닛(620)은 후술하는 로킹 돌기(660)와 결합되고 로킹 돌기(660)와 분리됨으로써, 촬영유닛(200)의 로킹 및 언로킹을 수행한다.Thelatch unit 620 is mounted in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of theguide casing 100. Thelatch unit 620 is engaged with a lockingprojection 660 to be described later and detached from the lockingprojection 660, thereby performing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

이러한 래치유닛(620)은 래치 하우징(622) 및 후크 부재(624)를 포함한다.Thelatch unit 620 includes alatch housing 622 and ahook member 624.

래치 하우징(622)은 래치유닛 장착홈(130)에 장착된다. 래치 하우징(622)에는 로킹 해제시 후크 부재(624)를 래치 하우징(622) 밖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된다. 후크 부재(624)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래치 하우징(622)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와 래칭 하우징(622)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래치 하우징(622)에 장착된다.Thelatch housing 622 is mounted in the latchunit mounting groove 130. Thelatch housing 622 has a spring (not shown) that pushes thehook member 624 out of thelatch housing 622 when unlocked. Thehook members 624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movably mounted to thelatch housing 622 between an exposed position exposed out of thelatch housing 622 and a partially inserted position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atchinghousing 622.

로킹 돌기(660)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에 구비되며,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하방(-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로킹 돌기(660)는 촬영유닛(200)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이동시 래치유닛(620)의 후크 부재(624)와 후킹 결합하고,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 래치유닛(620)의 후크 부재(624)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로킹 돌기(660)는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의 배치시 촬영유닛(200)을 로킹시키고, 촬영유닛(200)의 제2 위치로의 배치시 촬영유닛(200)을 언로킹시킬 수 있다.The lockingprojection 660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nd protrudes downward (-Z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 lockingprojection 660 hooks and engages with thehook member 624 of thelatch unit 620 when mov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hook member 624 of thelatch unit 620 is released. The lockingprojection 660 locks the photographingunit 200 at the time of positioning the photographingunit 200 to the first position and controls the photographingunit 200 at the time of placing the photographingunit 200 at the second position Unlocking can be done.

탄성부재(700)는 로킹유닛(600)의 래치유닛(620)과 로킹 돌기(660)의 분리시,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케이싱(100)의 탄성부재 장착돌기(149)에 장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elastic member 700 urges theimaging unit casing 220 upward when thelatch unit 620 of thelocking unit 600 and the lockingprojection 6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Not shown). Theelastic member 700 may be a coil spring.

댐핑부재(800)는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댐퍼 장착홈(249)에 장착된다.The dampingmember 800 is for adjusting the sliding speed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slid and is mounted in thedamper mounting groove 249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이러한 댐핑부재(800)는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댐퍼 레일(152)에 맞물리게 장착되는 기어 댐퍼(Gear Damper)로 구비된다. 댐핑부재(800)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슬라이딩시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댐퍼 레일(152)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dampingmember 800 is provided as a gear damper which is mounted to be engaged with thedamper rail 152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The dampingmember 800 is rotated along thedamper rail 152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when sliding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촬영유닛(2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of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유닛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lid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촬영유닛(200)은 사용자를 촬영하지 않을 때, 즉,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5, in thedisplay device 1,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provided with a housing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displaymain body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main body 10 when the user is not photographed, 1 position.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촬영유닛(200)을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촬영유닛(200)의 상측에서 촬영유닛(200)을 하방(-Z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촬영유닛(200)으로 하방(-Z축 방향)으로 푸시한다. 이후, 촬영유닛(200)으로의 사용자의 하방(-Z축 방향) 가압을 해제하면, 촬영유닛(200)은 디스플레이 본체(10) 상방(+Z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배치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는 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돌출된 촬영유닛(200)을 통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unit 200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when photographing the user through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display device 1. [ In other words, the user pushes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to the photographingunit 200. When the user depresses downward (-Z-axis direction) pressurization to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 photographingunit 200 linearly slides upward (+ Z-axis direction) And is projected outwardly. Thereafter, thedisplay device 1 can photograph a user through the photographingunit 200 protruding out of the displaymain body 10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도 6을 참조하면,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촬영유닛(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촬영유닛(200)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촬영유닛(200)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6,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not used in thedisplay device 1, the user can move the photographingunit 200 from the displaymain body 10 to the displaymain body 10 such that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main body 10. [ (10). ≪ / RTI >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돌출된 촬영유닛(200)을 다시 하방(-Z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사용자의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하방(-Z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비촬영시 촬영유닛(200)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부에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0)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unit 200 protruding out of the displaymain body 10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agai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linearly sli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and accommodated in the displaymain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Z-axis direction) pressing of the user. Accordingly, thedisplay apparatus 1 may not receive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non-photographing state inside thedisplay body 10 and expose it to the outside of thedisplay body 10.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비촬영시 촬영 유닛(20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tore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non-photographing state so as not to be seen from the front of thedisplay apparatus 1.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돌출된 촬영유닛(200)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olve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the user by theshooting unit 200 protruding without harming the beauty of the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전술한 촬영유닛(200)의 직선 슬라이딩 동작시의 구체적인 매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mechanism of the above-described linear sliding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촬영유닛(200)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부에 수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non-photographing display apparatus 1 can accommodate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display body 10 and can be kept invisible from the front of thedisplay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비촬영시 제1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in non-photographing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비촬영시 제1 위치에 촬영유닛(200)을 배치시킬 때, 촬영유닛 케이싱(20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의 로킹 돌기(660)는 가이드 케이싱(22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의 래치유닛(6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로킹 돌기(660)는 래치유닛(620)의 후크 부재(624)에 후킹 결합된다. 이때, 후크 부재(624)는 래치 하우징(622) 내로 부분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에 배치된다.7 and 8,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non-photographing, the lockingprojection 660 of thelocking unit 600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00 is guided by theguide casing 220 Thelatch unit 620 of thelocking unit 600 is provided. Specifically, the lockingprotrusion 660 is hooked to thehook member 624 of thelatch unit 620. At this time, thehook member 624 is disposed at the partially inserted position into which thelatch housing 622 is partially inserted.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3)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하측에 삽입 배치된다.The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are disposed below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guide casing 100, and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and 243 And 243 are inserted and disposed below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로 앞뒤로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센서(350)는 제1 위치에서 마그네트(300)를 감지할 수 있다.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magnet sensor 350 can sense themagnet 300 at the first position.

탄성부재(700)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장착돌기 수용부(248)에 의해 눌려져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700)에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방(+Z축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탄성 가압력이 발생한다. 한편, 이때, 댐핑부재(800)는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하측에서 댐퍼 레일(152)에 맞물려 배치된다.Theelastic member 700 is disposed in an elastically compressed state so as to be pressed by the mounting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o press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upward. In other words, an elastic pressing force is generated in theelastic member 700 so as to be pushed upward (in the +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At this time, the dampingmember 800 is engaged with thedamper rail 152 at the lower side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이러한 제1 위치에 따른 배치 상태에서 도 5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방(-Z축 방향) 가압이 발생되면, 가이드 케이싱(100)과 촬영유닛(200)에는 하기와 같은 매커니즘이 수행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resses downward (in the -Z axis direction), the following mechanism is performed in theguide casing 100 and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사용자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가이드 케이싱(100)의 하방(-Z축 방향)으로 더 슬라이딩된다. 이후,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하단(162, 172)에 각각, 각각의 제1 스토퍼 돌기(241, 242)가 걸림되면 촬영유닛(200)의 하방(-Z축 방향) 슬라이딩이 제한된다.The photographingunit 200 further slides downward (-Z 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pressure of the user (-Z axis direction). When thefirst stopper projections 241 and 242 are engaged with the lower ends 162 and 172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Sliding is limited.

이후, 사용자가 촬영유닛(200)에 대한 하방(-Z축 방향) 가압을 해제하면, 래치유닛(620) 내부의 스프링으로 인해 후크 부재(624)를 상방(+Z축 방향)으로 밀어올리면서 촬영유닛 케이싱(220)에 마련된 로킹 돌기(660)가 후크 부재(624)로부터 분리되어 로킹이 해제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eleases the downward (-Z-axis direction) pressing on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hook member 624 is pushed upward (+ Z-axis direction) due to the spring inside thelatch unit 620 The lockingprojection 660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s separated from thehook member 624 to release the locking.

로킹유닛(600)의 로킹 해제에 따라, 이후, 탄성부재(700)는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상방(+Z축 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탄성부재(700)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상방(+Z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된다. 이때, 댐핑부재(800)는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댐퍼 레일(152)을 따라 맞물려 회전 슬라이딩되면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unlocking of thelocking unit 600, theelastic member 700 then pushes up theimaging unit casing 220 upward (+ Z-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linearly slid upward (+ Z-axis direction) along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from theelastic member 700. At this time, the dampingmember 800 is engaged with thedamper rail 152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to slide and adjust the sliding speed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시 제2 위치에 배치된 촬영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in photographing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시 제2 위치에 촬영유닛(200)을 배치시킬 때, 촬영유닛(20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는 로킹 돌기(660)는 가이드 케이싱(22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의 래치유닛(620)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로킹 돌기(660)는 래치유닛(620)의 후크 부재(624)로부터 분리되어 후크 부재(624)와 촬영유닛(20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후크 부재(624)는 래치 하우징(622)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에 배치된다.9 and 10,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during photographing, thelocking unit 600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ckingprotrusion 660 is attached to theguide casing 220 And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latch unit 620 of the providedlocking unit 600. Specifically, the lockingprotrusion 660 is separated from thehook member 624 of thelatch unit 620 and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hook member 6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t this time, thehook member 624 is disposed at an exposure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latch housing 622.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3)는 가이드 케이싱(100)의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상측에 삽입 배치된다.The two pairs of theslide 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are disposed on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guide casing 100 and the pair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and 243 And 243 are inserted and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of theguide casing 100.

여기서,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는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상단(164, 174)에 각각 배치되어 촬영유닛(200)의 상방(+Z축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즉, 앞선 촬영유닛(20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슬라이딩은 한 쌍의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160, 170)의 상단(164, 174)에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243, 244)의 걸림시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ir ofsecond stopper protrusions 243 and 244 are disposed on the upper ends 164 and 174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and 170 and are disposed above the photographingunit 200 Limit the sliding. That is, the slid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preceding photographingunit 200 is performed by sliding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170 on the upper ends 164, 174 of the pair ofstopper guide grooves 160, 243, and 244, respectively.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로 상하 방향(Z축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센서(350)는 제2 위치에서 마그네트(30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magnet sensor 350 can not detect themagnet 300 at the second position.

이러한 제2 위치에 따른 배치 상태에서 도 6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방(-Z축 방향) 가압이 발생되면, 가이드 케이싱(100)과 촬영유닛(200)에는 하기와 같은 매커니즘이 수행된다.6, theguide casing 100 and the photographingunit 200 perform the following mechanism when the downward (-Z-axis direction) pressurization of the user occurs as shown in FIG. 6 in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사용자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110, 120)을 따라 가이드 케이싱(100)의 하방(-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후, 촬영유닛(20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의 로킹 돌기(660)는 가이드 케이싱(100)에 마련된 로킹유닛(600)의 래치유닛(6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때, 래치유닛(620)의 후크 부재(624)는 하방(-Z축 방향)으로 밀려 래치 하우징(622)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부분 삽입 위치로 이동되면서 로킹 돌기(660)와 후킹 결합된다. 이에 따라, 로킹유닛(600)은 촬영유닛(200)을 로킹시켜, 촬영유닛(200)을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킨다.The photographingunit 200 slides downward (-Z-axis direction) of theguide casing 100 along the pair of slidingguide rails 110 and 120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pressure of the user (-Z axis direction). The lockingprotrusion 660 of thelocking unit 600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engaged with thelatch unit 620 of thelocking unit 600 provided in theguide casing 100. [ Thehook member 624 of thelatch unit 620 is pushed downward (in the -Z-axis direction) to the partial insertion position where thelatch member 62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latch housing 622, do. Thus, thelocking unit 600 locks the photographingunit 200 and fixes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first position.

또한, 사용자 하방(-Z축 방향) 가압에 따라, 탄성부재(700)는 촬영유닛 케이싱(200)의 하방(-Z축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장착돌기 수용부(248)에 의해 다시 눌려져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상방(+Z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Theelastic member 700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Z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00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user (-Z axis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so as to press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upward (+ Z-axis direction).

그리고, 댐핑부재(800)는 전술한 촬영유닛(200)의 하방(-Z축 방향) 슬라이딩시, 댐핑 가이드 레일(150)의 댐퍼 레일(152)을 따라 맞물려 회전 슬라이딩되면서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dampingmember 800 rotates while sliding along thedamper rail 152 of the dampingguide rail 150 while sliding downward (in the -Z 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described above, Thereby controlling the sliding speed of the sliding door.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앞선 디스플레이 모듈(20), 버튼 모듈(70), 스피커 모듈(80), 촬영유닛(200), 마그네트 센서(350) 및 제어 보드(500) 이외에도 통신부(410), GPS 수신부(420), DMB 수신부(430), 버퍼부(440), 오디오 처리부(450), 비디오 처리부(460), 마이크(470) 및 저장부(480)를 더 포함한다.11, thedisplay device 1 includes, in addition to thedisplay module 20, thebutton module 70, thespeaker module 80, the photographingunit 200, themagnet sensor 350, and thecontrol board 500 And further includes acommunication unit 410, aGPS receiving unit 420, aDMB receiving unit 430, abuffer unit 440, anaudio processing unit 450, avideo processing unit 460, amicrophone 470 and astorage unit 480.

디스플레이 모듈(20), 버튼 모듈(70) 및 스피커 모듈(80)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display module 20, thebutton module 70, and thespeaker module 80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촬영유닛(200)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 등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촬영유닛(200)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500)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분석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형태,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unit 200 photographs an image for judging the existence of a user and the position of a user as described above.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analyzed by thecontrol unit 500. [ Thecontrol unit 500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user, the presence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analyzed shot image.

마그네트 센서(350)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마그네트(300, 도 2 참조)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제어부(500)는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 정보에 따라 촬영유닛(200)의 구동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magnet sensor 350 sense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300 (see FIG. 2) as described above. Thecontrol unit 500 can control driv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magnetic field information sensed by themagnet sensor 350.

통신부(4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410)는, 와이파이 칩(411), 블루투스 칩(412), NFC 칩(413) 및 무선 통신 칩(414)을 포함할 수 있다.Thecommunication unit 410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communication unit 410 may include a Wi-Fi chip 411, aBluetooth chip 412, anNFC chip 413, and awireless communication chip 414.

와이파이 칩(411), 블루투스 칩(412) 및 NFC 칩(41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및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41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통신부(410)는 전술한 다양한 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그 밖의 통신 규격에 따른 칩을 구비하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나 기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10)를 통해 제어 보드(500)는 웹 서버에 액세스하여 웹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촬영유닛(350)과 함께 웹캠(Webcam)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TheWiFi chip 411, theBluetooth chip 412 and theNFC chip 41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NFC method, respectively. Thewireless communication chip 414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LTE (Long Term Evolution). Thecommunication unit 410 includes a chip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chips or other communication standards, and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devices using the chip. Thecontrol board 500 may access the web server through thecommunication unit 410 to display a web screen or implement a webcam mode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ngunit 350. [

GPS 수신부(420)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 보드(5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GPS 수신부(420)에 의해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GPS receiving unit 42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the GPS signal from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d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display device 1. [ When the navigation program is executed, thecontrol board 500 may perform a navigation operation based on the position sensed by theGPS receiver 420.

DMB 수신부(430)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 보드(500)는 DMB 수신부(430)를 통해 DMB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DMB receiving unit 43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hecontrol board 500 can display the DMB program on the screen through theDMB receiver 430. [

버퍼부(440)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버퍼부(44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buffer unit 440 is a component for storing screen data to be displayed on thedisplay module 20. To this end, thebuffer unit 440 may store various screen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display module 20. [

오디오 처리부(45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4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450)를 통해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스피커 모듈(8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Theaudio processing unit 45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the audio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In theaudio processing unit 450,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nd amplification of audio data,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The audio data generated through theaudio processing unit 450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display device 1 through thespeaker module 80 described above.

비디오 처리부(460)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46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처리부(460)를 통해 생성한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Thevideo processing unit 46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the video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Thevideo processing unit 460 can perform various image processing such as decod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resolution conversion, and the like on the video data. The video data generated through thevideo processor 460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display device 1 through thedisplay module 20 described above.

마이크(470)는 사용자 음성 또는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변환은 제어 보드(5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 보드(500)는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480)에 저장할 수 있다.Themicrophone 47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user voice or other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udio data. This conversion can be done via thecontrol board 500. In addition, thecontrol board 500 may store the converted audio data in thestorage unit 480.

저장부(480)는 기 설정된 제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펌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기 설정된 제어 정보는,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 정보에 따라 촬영유닛(200)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또는 웹캠(Webcam)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예로써,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자기장이 감지되면 촬영유닛(200)을 오프(off)시키고,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촬영유닛(200)을 온(on)시키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자기장이 감지되면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자기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웹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웹캠 프로그램은 촬영유닛과 웹 정보를 활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storage unit 480 is a component for storing variou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preset control information, an operating system (O / S) for driving thedisplay device 1, firmware, and an application. The preset control information is control information for turning on / off the photographingunit 200 or executing or ending a webcam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magnetic field information sensed by themagnet sensor 350 . For example, when themagnetic sensor 350 senses a magnetic field,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turned off. When themagnetic sensor 350 detects no magnetic field,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turned on. .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control information for terminating the webcam program when a magnetic field is detected from themagnet sensor 350 and for executing the webcam program if a magnetic field is not detected from themagnet sensor 350. Here, the webcam program may be a program such as a shooting unit and various applications utilizing web information.

제어 보드(500)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 보드(5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제어시, 저장부(48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Thecontrol board 50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control board 500 can use the program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when the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is controlled.

제어 보드(500)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제어에 대해 촬영유닛(200)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제어 보드(500)에서는 앞선 제1 위치, 즉, 마그네트(300, 도 2 참조) 및 마그네트 센서(350)가 디스플레이 본체(10, 도 1 참조)의 전후 방향(X축 방향, 도 1 참조)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때, 촬영유닛(2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보드(500)에서는 앞선 제2 위치, 즉, 마그네트(300) 및 마그네트 센서(350)가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 도 1 참조)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때, 촬영유닛(20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즉, 제어 보드(500)는 촬영유닛(2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촬영유닛(20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of thecontrol board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control board 5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see Fig. 1) of the display main body 10 (see Fig. 1),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turned off have. In thecontrol board 500,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second position, that is, themagnet 300 and themagnet sensor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see FIG. 1)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turned on. That is, thecontrol board 50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또한, 제어 보드(500)는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 보드(500)에서는,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작으면 웹캠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보드(500)에서는 마그네트 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크면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자기장에 대한 제어 정보는 제어 보드에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저장부(48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 보드(500)는 마그네트 센서(350)의 자기장 감지시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마그네트 센서(350)의 자기장 비감지시 웹캠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control board 5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magnet sensor 350. Specifically, in thecontrol board 500, i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magnet sensor 35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the webcam program can be executed. In thecontrol board 500, i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magnet sensor 350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the webcam program can be terminated. Here, th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may be set in the control board or may be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As another example, thecontrol board 500 may terminate the webcam program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of themagnet sensor 350 and may execute the magnetic-field-rejecting indication webcam program of themagnet sensor 350. [

이처럼, 제어 보드(500)는 촬영유닛(3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촬영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웹캠 프로그램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control board 50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photographingunit 300 or can execute an application such as a webcam program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300. [

한편, 제어 보드(500)는, RAM(510), ROM(520), 메인 CPU(530), GPU(Graphic Processing Unit)(540) 및 버스(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M(510), ROM(520), 메인 CPU(530), GPU(540) 등은 버스(5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밖에, 각종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Thecontrol board 500 may include aRAM 510, aROM 520, amain CPU 530,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540, abus 550, and the like. TheRAM 510, theROM 520, themain CPU 530, theGPU 540,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bus 550. In addition, various interfaces may be further included,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인 CPU(530)는 저장부(48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48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ROM(5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530)는 ROM(5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480)에 저장된 O/S를 RAM(5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530)는 저장부(4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510)에 복사하고, RAM(5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Themain CPU 530 accesses thestorage unit 48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 TheROM 520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When the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main CPU 530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to theRAM 510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ROM 520, To boot the system. When the booting is completed, themain CPU 530 copies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to theRAM 510, executes the program copied to theRAM 510,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GPU(540)는 메인 CPU(530)의 제어에 따라 바탕화면이나 아이콘 표시 화면, 락 화면 및 기타 트랜지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540)는 저장부(480)에 저장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면 내의 객체들의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GPU(540)는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상술한 다양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화면 데이터는 버퍼부(440)에 저장된다. 버퍼부(440)에 저장된 화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GPU 540 can generate a desktop or icon display screen, a lock screen, and other transition screens under the control of themain CPU 530. TheGPU 540 calculat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 color, and the like of objects in each screen based on the screen data stored in thestorage unit 480. TheGPU 540 can generate the above-described various screens based on the computed attribute values. The generated screen data is stored in thebuffer unit 440. The screen data stored in thebuffer unit 440 may be displayed by thedisplay module 20.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유닛의 다양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2 and 13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various control methods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그네트 센서는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S10).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 감지시,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유닛을 오프(off)시킨다(S12). 촬영유닛을 오프(off)시킨다는 것은 촬영유닛의 전원을 오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 비감지시,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유닛을 온(on)시킨다(S14). 촬영유닛을 온(on)시킨다는 것은 촬영유닛의 전원을 온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magnet sensor of the display device can sense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S10). Upon sens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sensor, the display device turns off the photographing unit (S12). Turning off the photographing unit means turning off the photographing unit. If the magnetic field non-compliance instruction of the magnet sensor, the display device turns on the photographing unit (S14). Turning the photographing unit on implies turning on the photographing unit.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 감지를 통해 촬영유닛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can automatically control on / off of the photographing unit through the magnetic field sensing of the magnet sensor.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그네트 센서는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S20).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S22). 반대로,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을 비감지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웹캠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24). 여기서, 웹캠 프로그램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촬영유닛과 웹 정보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말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magnet sensor of the display device can sense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S20). At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sensor, the display device terminates the webcam program (S22). On the contrar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sensor is designated as non-sensitive, and the display device executes the web cam program (S24). Here, the webcam program refers to an application that utilizes a photographing unit and web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그네트 센서의 자기장 감지를 통해 촬영유닛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웹캠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종료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us, the display device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execution or termination of a webcam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as a photographing unit through magnetic field sensing of the magnet sensor.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촬영유닛(200)의 회전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of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촬영유닛의 로테이션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로테이션 힌지의 제2 힌지의 저면도이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hi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FIG. 14, and FIG. 16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hinge of the rotation hinge of FIG.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촬영유닛(200)은, 앞선 카메라 모듈(210) 및 촬영유닛 케이싱(220)을 포함한 구성들 이외에 로테이션 힌지(260)를 더 포함한다.14 to 16, the photographingunit 200 further includes arotation hinge 26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precedingcamera module 210 and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카메라 모듈(210)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빛을 모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212),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렌즈를 움직여 포커스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camera module 210 includes at least onelens 212 for collecting light, an image senso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actuato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focus by moving the lens, And the like.

촬영유닛 케이싱(220)은, 제1 케이싱(251) 및 제2 케이싱(256)을 포함한다.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includes afirst casing 251 and asecond casing 256.

제1 케이싱(251)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하부를 이룬다. 이러한 제1 케이싱(251)은 제1 전면 케이싱(252) 및 제1 후면 케이싱(253)을 포함한다.Thefirst casing 251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first casing 251 includes a firstfront casing 252 and a firstrear casing 253.

제1 전면 케이싱(252)은 촬영유닛 케이싱(200)의 전방 하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전면 케이싱(252)에는 앞선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231, 232, 233, 234), 두 쌍의 스토퍼 돌기(241, 242, 243, 244), 복수 개의 선접촉 리브(246), 탄성돌기 수용부(248), 댐퍼 장착홈(249), 로킹 돌기(660)가 마련된다.The firstfront casing 252 form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00. The firstfront casing 252 is provided with two pairs of slidingguide projections 231, 232, 233 and 234, two pairs ofstopper projections 241, 242, 243 and 244, a plurality oflinear contact ribs 246, An elasticprojection receiving portion 248, adamper mounting groove 249, and a lockingprojection 660 are provided.

제1 후면 케이싱(253)은 촬영유닛 케이싱(200)의 후방 하부를 형성하며, 제1 전면 케이싱(252)과 결합되어 마그네트 센서(350) 및 후술하는 로테이션 힌지(260)의 일부분을 수용한다.The firstrear casing 253 forms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imaging unit casing 200 and is coupled with the firstfront casing 252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magnet sensor 350 and therotation hinge 260 described below.

제2 케이싱(256)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상부를 이룬다. 이러한 제2 케이싱(256)은 제2 전면 케이싱(257) 및 제2 후면 케이싱(259)을 포함한다.Thesecond casing 256 constitutes the upper part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second casing 256 includes a secondfront casing 257 and a secondrear casing 259.

제2 전면 케이싱(257)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전방 상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 전면 케이싱(257)에는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212)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창(258)이 마련된다.The second front casing 257 forms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 secondfront casing 257 is provided with atransmission window 258 through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by thelens 212 of thecamera module 210.

제2 후면 케이싱(259)은 촬영유닛 케이싱(220)의 후방 상부를 형성하며, 제2 전면 케이싱(257)과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210) 및 후술하는 로테이션 힌지(260)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한다.The secondrear casing 259 forms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imaging unit casing 220 and is coupled with the secondfront casing 257 to receive thecamera module 210 and the remainder of therotation hinge 260 .

로테이션 힌지(260)는 제2 케이싱(256)을 제1 케이싱(251)에 대해 회전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유닛 케이싱(220)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로테이션 힌지(260)는 제1 케이싱(251) 및 제2 케이싱(256) 내에 각각 장착되며, 제1 케이싱(251)과 제2 케이싱(256)을 연결한다.Therotation hinge 260 is for rotating thesecond casing 256 with respect to thefirst casing 251 and is mounted in the photographingunit casing 220. Therotation hinge 260 is mounted in thefirst casing 251 and thesecond casing 256, respectively, and connects thefirst casing 251 and thesecond casing 256.

이러한 로테이션 힌지(260)는 제1 힌지(270), 제2 힌지(280), 스프링부재(290), 힌지 베이스(292) 및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를 포함한다.Therotation hinge 260 includes afirst hinge 270, asecond hinge 280, aspring member 290, ahinge base 292 and a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제1 힌지(270)는 제1 케이싱(251)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힌지(270)는 고정 원통부(271) 및 제1 케이싱 결합부(278)를 포함한다.Thefirst hinge 270 is mounted in thefirst casing 251. Thefirst hinge 270 includes a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and a firstcasing engaging portion 278.

고정 원통부(271)는 카메라 모듈(210)과 제어 보드(500, 도 2 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을 관통시키기 위한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중공(272)를 갖는다. 한편, 마그네트 센서(350) 또한 제어 보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제어 보드(5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갖는다.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has an approximately hollow cylindricalinner cavity 272 for passing a cable C electrically connecting thecamera module 210 and the control board 500 (see FIG. 2). Themagnet sensor 350 also has a cable connected to thecontrol board 50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control board 500.

고정 원통부(271)에는 후술하는 제2 힌지(280)의 회전 원통부(281)의 회전시, 회전 원통부(281)의 한 쌍의 걸림 돌기(285, 286)에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273, 274, 275, 276)들이 구비된다.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recesses 282 engaging with a pair of engagingprojections 285 and 286 of the rotarycylindrical portion 281 when therotary cylinder portion 281 of the second hinge 280 (273, 274, 275, 276).

복수 개의 걸림홈(273, 274, 275, 276)들은 네 개로 구비된다. 네 개의 걸림홈(273, 274, 275, 276)들은 제1 걸림홈(273), 제2 걸림홈(274), 제3 걸림홈(275) 및 제4 걸림홈(276)으로 이루어진다.The plurality of latchinggrooves 273, 274, 275, and 276 are provided in four. The fourengaging grooves 273, 274, 275 and 276 comprise a firstengaging groove 273, a secondengaging groove 274, a thirdengaging groove 275 and a fourthengaging groove 276.

제1 내지 제4 걸림홈(273, 274, 275, 276)들은 고정 원통부(271)의 둘레 방향을 따라 90°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홈(273)은 제2 걸림홈(274)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3 걸림홈(275)은 제4 걸림홈(276)과 마주보게 배치된다.The first to fourth latchinggrooves 273, 274, 275, and 27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Specifically, the firstengaging groove 273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engaging groove 274, and the thirdengaging groove 275 is disposed to face the fourthengaging groove 276.

제1 케이싱 결합부(278)는 제1 힌지(270)를 제1 케이싱(251)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제1 케이싱(251)과 결합된다. 이때, 제1 케이싱 결합부(278)는 제1 케이싱(251)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housing coupling portion 278 is engaged with thefirst housing 251 so as to fix thefirst hinge 270 in thefirst housing 251. At this time, the firsthousing coupling portion 278 may be coupled to thefirst housing 251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제2 힌지(280)는 제2 케이싱(256) 내에 장착되며, 제1 힌지(27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제1 힌지(270)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힌지(280)는 회전 원통부(281) 및 제2 케이싱 결합부(288)를 포함한다.Thesecond hinge 280 is mounted in thesecond casing 256 and is coupled to thefirst hinge 27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first hinge 270. Thesecond hinge 280 includes a rotationcylindrical portion 281 and a secondcasing engagement portion 288.

회전 원통부(281)는 제1 힌지(270)의 고정 원통부(28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 원통부(281)에는 고정 원통부(281)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과 제어 보드(500, 도 2 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C)을 관통시키기 위한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중공(282)를 갖는다.Therotary cylinder portion 281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81 of thefirst hinge 270. The rotatingcylindrical portion 281 is provided with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inside portion for passing a cable C electrically connecting thecamera module 210 and the control board 500 (see FIG. 2) like 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81 And has a hollow 282.

회전 원통부(281)에는 제2 힌지(280)의 회동에 따라 제1 내지 제4 걸림홈(273, 274, 275, 276)들 중 두 개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285, 286)가 구비된다.A pair of latchingprotrusions 285 and 286 which are engaged with two of the first to fourth latchinggrooves 273, 274, 275 and 276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second hinge 280 are formed in therotary cylinder portion 281, .

이러한 한 쌍의 걸림 돌기(285, 286)는 제1 걸림 돌기(285) 및 제2 걸림 돌기(286)를 포함한다. 제1 걸림 돌기(285) 및 제2 걸림 돌기(286)은 제2 힌지(280)에 따라 회전되면서 제1 내지 제4 걸림홈(273, 274, 275, 276)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림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 돌기(285) 및 제2 걸림 돌기(286)의 걸림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회전에 따라 특정 각도에서 멈출 때, 이른 바, 딸각거리는 느낌의 힌지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air of latchingprotrusions 285 and 286 includes afirst latching protrusion 285 and asecond latching protrusion 286.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protrusions 285 and 286 are engaged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latchinggrooves 273, 274, 275 and 276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second hinge 280 . When the photographingunit 200 stops at a certain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gagement of thefirst latching protrusion 285 and thesecond latching protrusion 286,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hinging sense of clicking feeling .

제2 케이싱 결합부(288)는 제2 힌지(280)를 제1 케이싱(251)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제2 케이싱(256)과 결합된다. 이때, 제2 케이싱 결합부(288) 또한 제1 케이싱 결합부(278)과 같이 제2 케이싱(256)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따라, 제2 케이싱(256)은 제2 힌지(280)의 회동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secondcasing coupling portion 288 is engaged with thesecond casing 256 so as to fix thesecond hinge 280 in thefirst casing 251. At this time, the secondcasing coupling portion 288 may be coupled to thesecond casing 256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like the firstcasing coupling portion 278. With this coupling, thesecond housing 256 is rotated together with thesecond hinge 280 rotating.

스프링부재(290)는 제1 힌지(270)의 고정 원통부(271)의 하측에 장착되며, 제2 힌지(280)의 회동시 제2 힌지(28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힌지 베이스(292)는 스프링부재(290)의 하측에 장착되며, 스프링부재(290)를 지지한다.Thespring member 29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of thefirst hinge 27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second hinge 280 when thesecond hinge 280 rotates. Thehinge base 292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spring member 290 and supports thespring member 290.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는 제2 힌지(280)의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서로 맞물려 제2 힌지(28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 힌지(280)에는 카메라 모듈(210)의 케이블(C)이 관통되므로, 제2 힌지(280)가 360°로 회전된다면 케이블(C)의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힌지(280)의 360°회전 방지를 위해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가 마련된다.The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interlock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second hinge 280 rotates, there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second hinge 280. The cable C of thecamera module 210 is inserted into thesecond hinge 280. If thesecond hinge 280 is rotated by 360 degrees, a problem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cable C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this, a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o prevent rotation of thesecond hinge 280 by 360 degrees.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는 제1 힌지(270) 및 제2 힌지(280)에 각각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270)의 고정 원통부(271)에는 상방(+Z축 방향)으로 회전방지 스토퍼(295)가 돌출 형성되며, 제2 힌지(280)의 회전 원통부(281)에는 하방(-Z축 방향)으로 회전방지 스토퍼(296)가 돌출 형성된다.A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are provided on thefirst hinge 270 and thesecond hinge 280, respectively. Specifically, arotation preventing stopper 295 is protruded upward (+ Z-axis direction) on the fixedcylindrical portion 271 of thefirst hinge 270, and arotation preventing stopper 295 is formed on the rotarycylindrical portion 281 of the second hinge 280 Arotation preventing stopper 296 is protruded downward (-Z axis direction).

이러한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은, 촬영유닛(200)의 제1 힌지(270)와 제2 힌지(280)가 0°의 회전 각도를 갖게 배치, 즉, 제1 케이싱(251)과 제2 케이싱(256)이 0°의 회전 각도를 갖게 배치(도 17 및 도 20 참조)될 때, 반시계 방향에서 서로 90°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된다.The pair of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are arranged such that thefirst hinge 270 and thesecond hinge 280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re arranged at a rotation angle of 0 °, And thesecond casing 256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rotation angle of 0 ° (see FIGS. 17 and 20), they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4의 촬영유닛의 다양한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7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rotation operations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Fig. 14. Fig.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된 촬영유닛(200)의 전방(+Z축 방향)을 향한 배치시, 제1 케이싱(251)과 제2 케이싱(256)은 서로 0°의 회전 각도를 갖게 배치된다.17, when thedisplay unit 1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 Z-axis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protruding from the displaymain body 10, thefirst housing 251 and thesecond housing 256 Are disposed so as to have a rotation angle of 0 DEG with respect to each other.

이때, 제2 힌지(280, 도 15 및 도 16 참조)의 제1 걸림 돌기(285, 도 15 및 도 16 참조)는 제1 힌지(270, 도 15 및 도 16 참조)의 제1 걸림홈(273, 도 15 및 도 16 참조)에 걸림되고, 제2 힌지(280)의 제2 걸림 돌기(286, 도 15 및 도 16 참조)는 제1 힌지(270)의 제2 걸림홈(274, 도 15 및 도 16 참조)에 걸림되게 배치된다.15 and 16) of the second hinge 280 (see Figs. 15 and 16) is engaged with the first hinge groove 270 (see Figs. 15 and 16) 15 and 16) of thesecond hinge 280 are engaged with thesecond engagement grooves 274 of the first hinge 270 (see Figs. 15 and 16) 15 and Fig. 16).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통해 수평 방향(Y축 방향)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촬영유닛(200)을 적절히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촬영유닛(200)의 다양한 회전 동작을 살펴 본다.The user can appropriately rotate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desired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rough user operation as needed. Hereinafter, various rotation operations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according to such user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시계 방향으로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제1 케이싱(251)에 대해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rotate thesecond ca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second hou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first housing 251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otating operation.

사용자의 시계 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시계 방향을 따라 90°회전되면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1 걸림 돌기(285)는 제3 걸림홈(275)에 걸림되며, 제2 걸림 돌기(286)은 제4 걸림홈(276)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싱(256)의 시계 방향으로 90°회전 완료시, 촬영유닛(200)은 사용자에게 힌지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우측 방향(-Y축 방향)을 향하게 된다.18, thesecond ca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rotated 90 degrees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and stopp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first latching protrusion 285 is hooked on thethird latching groove 275, and thesecond latching protrusion 286 is hooked on thefourth latching groove 276. Thus, upon completion of the rotation of thesecond housing 256 by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photographingunit 200 provides the user with a sense of hinge click.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unit 200 faces the right direction (-Y axis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X axis direction) of thedisplay device 1. [

다시 사용자의 시계 방향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시계 방향을 따라 다시 90°회전되면서 멈추게 된다. 즉,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최초 0°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게 된다. 이때, 제1 걸림 돌기(285)는 제2 걸림홈(274)에 걸림되며, 제2 걸림 돌기(286)은 제1 걸림홈(273)에 걸림된다. 이때에도, 역시, 촬영유닛(200)은 사용자에게 힌지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X축 방향)을 향하게 된다.19, thesecond hou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rotated 90 degrees agai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stopped. That is, thesecond ca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rotated 180 degrees clockwise at the initial 0 ° position. At this time, thefirst latching protrusion 285 is hooked on thesecond latching groove 274, and thesecond latching protrusion 286 is hooked on thefirst latching groove 273. At this time, too, theshooting unit 2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sense of hinge click. Thus, the photographingunit 200 faces the back (-X-axis direction) of thedisplay device 1. [

아울러, 이때,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제2 케이싱(256)의 최초 0°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를 초과하는 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케이싱(256)의 회전에 따른 케이블(C)의 단선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are arrang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user does not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no rotation exceeding 18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e first 0 ° position of thesecond casing 256 occu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of the cable C due to the rotation of thesecond housing 256, and the like.

도 20을 참조하면, 도 17과 같이 제1 케이싱(251)과 제2 케이싱(256)이 서로 0°의 회전 각도를 갖게 배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한편, 사용자는 앞선 도 17 내지 도 19와 반대인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케이싱(256)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0, a state in which thefirst casing 251 and thesecond casing 256 are arranged to have a rotation angle of 0 degrees with each other i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rotate thesecond casing 256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egoing Figs. 17 to 19.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면,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90°회전되면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1 걸림 돌기(285)는 제4 걸림홈(276)에 걸림되며, 제2 걸림 돌기(286)은 제3 걸림홈(275)에 걸림된다. 이때에도, 역시, 촬영유닛(200)은 사용자에게 힌지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유닛(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방향(+Y축 방향)을 향하게 된다.21, when the user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second ca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rotated 90 degrees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stopped. At this time, thefirst latching protrusion 285 is hooked on thefourth latching groove 276, and thesecond latching protrusion 286 is hooked on thethird latching groove 275. At this time, too, theshooting unit 200 will provide the user with a sense of hinge click. Thus, the photographingunit 200 faces the left direction (+ Y-axis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X-axis direction) of thedisplay device 1. [

이때,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295, 296)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촬영유닛(200)의 제2 케이싱(256)은 반시계 방향으로 90°를 초과하여 회전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air ofanti-rotation stoppers 295 and 296 are arrang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reby,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user is no longer performe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second housing 256 of the photographingunit 200 is not rotated by more than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유닛(200)은 케이블(C, 도 14 참조)의 단선을 방지하면서 Y축 방향에서 전후좌우 모든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ing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isposed in all direction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in the Y axis direction while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cable C (see FIG. 14).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촬영시에만 촬영유닛(200)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노출된 촬영유닛(200)을 원하는 각도로 적절히 회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pose the photographingunit 200 to the outside of thedisplay body 10 only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can appropriately rotate the exposed photographingunit 200 at a desired angle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미관을 개선하면서 다양한 촬영유닛(200)의 촬영 각도를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thedisplay device 1 capable of securing the photographing angles of the various photographingunits 200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display device 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디스플레이 장치10: 디스플레이 본체
20: 디스플레이 모듈30: 데코 캐비닛
40: 미들 캐비닛50: 백커버
60: 보드 커버70: 버튼 모듈
80: 스피커 모듈90: 스탠드 브라켓
100: 가이드 케이싱200: 촬영유닛
300: 마그네트350: 마그네트 센서
500: 제어 보드600: 로킹 유닛
700: 탄성부재800: 댐핑부재
1: display device 10: display body
20: Display module 30: Deco cabinet
40: Middle cabinet 50: Back cover
60: Board cover 70: Button module
80: Speaker module 90: Stand bracket
100: guide casing 200: photographing unit
300: Magnet 350: Magnet sensor
500: Control board 600: Locking unit
700: elastic member 800: damping member

Claims (25)

Translated fromKorean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촬영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촬영유닛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body for displaying an image;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user, the photographing unit being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display body at the time of non-photographing and protruding outside the display body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 magnet disposed on one of the display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And
And a magnet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isplay body and the photographing unit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Wherein the magnet and the magnet sensor comprise:
Wherei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isplay body at the first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body at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촬영유닛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때 상기 촬영유닛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board provided in the display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magnet sensor,
The control board includes:
When the magnet and the magnet sensor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body,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turned off, and the magnet and the magnet sens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urns on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 unit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dispo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마그네트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작으면 웹캠(Webcam)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마그네트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자기장보다 크면 상기 웹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board includes:
A webcam program is executed i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magnet sensor is smaller than a preset magnetic field, and the webcam program is terminated when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magnet sens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촬영유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is provided in the display body,
Wherein the magnet sensor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직선 궤적을 따르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hotographing unit,
And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sliding along a straight line trajector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촬영유닛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play body includes:
And a guide casing having a pair of sliding gu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casing having at least a pair of sliding guide protrusions for receiving the camera module and sliding along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는 두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두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iding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in two pairs,
Wherein the two pairs of sliding guide projections are formed in a pair,
A pair of first sliding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And a pair of second sliding guide projections spaced from the pair of first sliding guide project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ject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 센서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guide casing,
Wherein the magnet sensor is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은,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includes:
Wherein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photographing unit slides upward along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and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slides downward along the ra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촬영유닛을 상기 가이드 케이싱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photograph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guide ca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 장착되는 래치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래치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촬영유닛을 로킹시키는 로킹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 상기 래치유닛과 후킹 결합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상기 래치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king unit includes:
A latch unit mounted to the guide casing; And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imaging unit casing and coupled with the latch unit when the imaging unit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o lock the imaging unit,
The locking proj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s hooked to the latch unit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latch unit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과 상기 로킹 돌기가 분리될 때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n elastic member for urging the imaging unit casing upward when the latch unit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은,
상기 래치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의 하단 중앙에 구비되는 래치유닛 장착홈; 및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래치유닛 장착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guide casing,
A latch unit mounting groov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guide casing, to which the latch unit is mounted; And
And an elastic member mounting protrusion mounted between the latch unit mounting groove and one of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o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moun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 장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damping member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for adjusting a sliding speed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기어 댐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싱은,
상기 댐핑부재와 맞물리는 댐퍼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유닛 장착홈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댐핑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amp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ear damper,
In the guide casing,
And a damping guide rail disposed between the latch unit mounting groove an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liding guide rails, the damper guide having a damper rail engaged with the damp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케이싱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가이드 홈에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guide casing,
A pair of stopper guid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at least one pair of stopper protrusions inserted in the pair of stopper guide grooves so as to be slidable in a straight line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는 두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두 쌍의 스토퍼 돌기는,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스토퍼 돌기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opper protrusions are provided in two pairs,
The two pairs of stopper projections
A pair of first stopper projections projecting from one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And
And a pair of second stopper projections spaced from the pair of first stopper project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jecting from one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에는,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시, 상기 가이드 케이싱과 선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접촉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Wherein at least one line contact rib that is in line contact with the guide casing is protruded when the photographing unit is sli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 케이싱은,
상기 마그네트 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가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hotographing unit casing includes:
A first casing housing the magnet sensor and having at least one pair of sliding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And a second casing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casing and incorporating the camera modu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을 연결하는 로테이션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rotation hinge mounted in the first casing and the second casing, the rotation hinge connecting the first casing and the second casing.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1 케이싱 내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어 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내부 중공을 갖는 제1 힌지;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내부 중공을 갖는 제2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1 힌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otation hinge,
A first hing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n inner hollow through which a cable connec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control board passes; And
And a second hinge coupled to the second casing, the second hinge having an inner hollow to penetrate the cable,
And the second hing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에는 상기 제1 힌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에는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hinge, the latching groov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nd at least one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cond hinge to engage with the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1 힌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의 회동시 상기 제2 힌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rotation hinge,
And a spr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first hing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hinge when the second hinge rotat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네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걸림홈은 서로 90°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our latching groove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latching grooves is dispos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힌지는,
상기 제2 케이싱의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방지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rotation hinge,
And a pair of anti-rotation stoppers provided on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second casing rotates.
KR1020140126128A2014-09-222014-09-22Display apparatusWithdrawnKR2016003474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26128AKR20160034748A (en)2014-09-222014-09-22Display apparatus
PCT/KR2014/009063WO2016047832A1 (en)2014-09-222014-09-26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26128AKR20160034748A (en)2014-09-222014-09-22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034748Atrue KR20160034748A (en)2016-03-30

Family

ID=5558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126128AWithdrawnKR20160034748A (en)2014-09-222014-09-22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160034748A (en)
WO (1)WO2016047832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12592A (en)*2018-07-272020-02-05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Slim type large area display device
WO2020091110A1 (en)*2018-11-012020-05-07엘지전자 주식회사Display device
KR102340156B1 (en)*2020-11-242021-12-17박화영Kiosk system for senior safety learning
JP2023066357A (en)*2021-10-282023-05-15緯創資通股▲ふん▼有限公司Electronic device and retract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9990000117U (en)*1997-06-031999-01-15윤종용 Portable computer with slide camera
KR20000028295A (en)*1998-10-302000-05-25전주범Device for withdrawing lighting and buttons on tv
KR100716152B1 (en)*2005-06-302007-05-10주식회사 팬택 Two-way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219948A (en)*2008-06-132008-09-18Kyocera Corp Mobile device
KR20090097836A (en)*2009-08-212009-09-16(주)엘티엠에이피 Mobile Phone Camera Door Open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12592A (en)*2018-07-272020-02-05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Slim type large area display device
WO2020091110A1 (en)*2018-11-012020-05-07엘지전자 주식회사Display device
KR20210003262A (en)*2018-11-012021-01-11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11402878B2 (en)2018-11-012022-08-02Lg Electronics Inc.Display device
KR102340156B1 (en)*2020-11-242021-12-17박화영Kiosk system for senior safety learning
JP2023066357A (en)*2021-10-282023-05-15緯創資通股▲ふん▼有限公司Electronic device and retractable assembly
US11868183B2 (en)2021-10-282024-01-09Wistron Corp.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tractab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16047832A1 (en)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EP3998598B1 (en)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0920927B2 (en)Gimbal device
CN105915817B (en)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pturing images
AU2014221568B2 (en)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JP2021060590A (en)Pass-through display of captured imagery
EP2768219B1 (en)Display apparatus
CN216414377U (en) Image capture device and door assembly for image capture device
KR20160034748A (en)Display apparatus
CN217470540U (en) Image capture device and door assembly for image capture device
KR20120058454A (en)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n apparatus
US20180267685A1 (en)Electronic device,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2683253B1 (en) Imaging methods, devices, electronics and readable storage media
US10481633B1 (en)Electronic apparatus
KR20130021496A (en)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2208898B1 (en)No glasses 3D display mobile device, method for setting the sam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16522437A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089624B1 (en)Method for object composing a imag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RU2018130716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NNECTING YOUR SMARTPHONE, KEYBOARD AND TABLET, COMPLETED WITH THE POSSIBILITY OF PICTURE IMAGING
JP2015005823A (en)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mirror system
US20150363044A1 (en)Gesture identification system in tablet projector and gesture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US20220078334A1 (en)Waterproof shot and zoom button
KR20190079263A (en)Head mounted display
US20110285821A1 (en)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content playback method
JP53496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95055A (en)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092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