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50134861A -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61A
KR20150134861AKR1020140062228AKR20140062228AKR20150134861AKR 20150134861 AKR20150134861 AKR 20150134861AKR 1020140062228 AKR1020140062228 AKR 1020140062228AKR 20140062228 AKR20140062228 AKR 20140062228AKR 20150134861 AKR20150134861 AKR 2015013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parameter
request signal
display device
recei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동
이대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228ApriorityCriticalpatent/KR20150134861A/ko
Priority to EP15162950.8Aprioritypatent/EP2947843B1/en
Priority to US14/717,338prioritypatent/US20150341403A1/en
Publication of KR2015013486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50134861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 장치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ERVER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OR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전자 장치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서버 장치와 관련하여, 여러 사업자들의 경쟁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랩탑 PC, Smart TV 등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도 TV가 여러 대가 구비되고, 구성원마다 휴대폰, 태블릿 PC 등 가족 구성원 각자가 각기 다른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의 발달에 따라 동영상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하드웨어적으로도 고용량의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높은 해상도를 갖추어 고화질의 동영상을 재생하여도 선명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사업자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생산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영상이 선명하게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서버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하게 구비되더라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영상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서버 장치의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성능이 매우 다양하다. 특히,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의 경우는 소형 경량화를 위해 성능을 낮추어 개발되는 경우도 있으며, 랩탑 PC나 Smart TV의 경우라도 고용량의 동영상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면, Buffering 소요시간, 파라미터 파싱(parsing) 소요시간, 파라미터 Setting 소요시간, Process 소요시간 등의 지연시간이 있었다. 특히 파라미터 파싱 소요시간은 동영상이 고용량이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이 낮을수록 그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었고, 사용자의 불편이 있어 그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여 제공하는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고, 파싱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으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고,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채널 변경 이벤트 및 VOD 컨텐츠 재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싱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고, 파싱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으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고,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채널 변경 이벤트 및 VOD 컨텐츠 재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신호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서버 장치(2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포함한다.
서버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 특히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서버 장치(200)는 가정에 구비되는 셋탑 박스의 임베디드된(embedded)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구축한 외부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서버 장치(200)를 구축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동영상 등을 서버 장치(200) 즉,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스트리밍 받아 재생할 수 있고, 서버 장치(200)가 가정에 구비된 셋탑 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셋탑 박스와 연결되어 동영상 등을 스트리밍 받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는 서버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이 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가정에 구비된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직접 연결되거나 가정에 구비된 셋탑박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랩탑 PC, Smart TV 등이 될 수 있다. 랩탑 PC, Smart TV는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동영상을 수신하거나, 유선으로 가정에 구비된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동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동시에 각각의 동영상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 장치(200)는 동시에 여러 개의 고용량의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도록 고성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서버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 동영상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 동영상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동영상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제공되는 동영상을 미리 받아둘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요청받은 즉시 서비스 제공자에 동영상을 요청하여 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서버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파싱할 수도 있고, 서버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저장해두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220)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제외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동영상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동영상 스트림은 서버 장치(200)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기간의 동영상 스트림을 미리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해 두었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추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는 파싱된 파라미터를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시키지 않고 동영상 스트림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3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도 3a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200)와 연결되어, 서버 장치(200)와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 동영상 스트림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200)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 동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은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이벤트 등의 입력을 받아 동영상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파싱된 파라미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해두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때, 파싱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서 파싱된 파라미터를 추출해낼 수 있다.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제어부(120)는 동영상 요청 신호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동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서버 장치(200)로부터 동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파싱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에도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된 메타 정보 응답 신호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 서버 장치(200)로 동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다시 보낼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된 메타 정보 응답 신호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서버 장치(200)로부터 동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직접 파싱하여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추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웹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 설정 정보, 파싱 알고리즘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200)와 통신하거나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리모콘 수신부, 버튼부, 터치 패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을 채널 변경 명령 및 VOD 컨텐츠 재생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서버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RUI Server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RUI Client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 UI를 제공해 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채널 변경 또는 녹화 방송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S401).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리모콘 수신부, 버튼부, 터치 패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 HEAD Request를 전송한다(S402). HEAD Request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로도 불리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버 장치(200)로 요청하려는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EAD Request를 전송시(S402) 추가적으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S403).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S403) 서버 장치(200)는 파라미터를 수집한다(S404). 서버 장치(200)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파싱할 수도 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가 없더라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스트림을 파싱하여 파라미터를 저장해둘 수 있다.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가 없는 경우 서버 장치(200)는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기 저장해둔 파라미터에서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HEAD Request가 있는 경우(S402), 서버 장치(200)는 HEAD Response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405). HEAD Response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로도 불리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버 장치(200)로 요청하려는 동영상에 대한 정보의 응답일 수 있다. HEAD Response에는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파라미터 전송 요청이 없는 경우 서버 장치(200)는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거나 기 파싱해둔 파라미터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HEAD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S405).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HEAD Response를 수신하면(S405), 파라미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부에 저장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해둘 수 있다(S406). 다만, 서버 장치(200)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했음에도 파라미터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파라미터를 설정해두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S406). 서버 장치(200)로 GET Request를 전송한다(S407). 이는 동영상 스트림 요청 신호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GET Response를 전송하고(S408), 이는 동영상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파싱된 파라미터를 HEAD Response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S405), GET Response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S408).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한 경우, 파싱된 파라미터를 캐시 메모리 등에 설정해두어 그에 기초하여 GET Response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고(S409),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GET Response와 함께 수신한 경우(S408), 파싱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S409). 또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GET Response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을 직접 파싱하여 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도 있다(S409).
동영상 스트림을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재생을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방송 재생을 위한 작업은 Buffering 소요시간, 파라미터 세팅 소요시간, Process 소요시간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라미터를 파싱하는 시간이 감소하여 채널 Zapping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채널 Zapping 시간은 사용자의 채널 변경 또는 녹화 방송 요청부터 방송 재생 시작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직접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고 서버 장치(200)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므로 채널 Zapping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10회의 시도에 따라 평균적으로 1011ms의 채널 Zapping 시간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다른 동영상 스트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신호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방송수신장치(Multi-Tuner)(601), 역다중화기(DEMUX)(602), HEAD Request 처리부(603), Network Data 수신부(604), 채널정보 파라미터 수집부(605),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06), Network Data 송신부(607), 채널정보 Database(608), GET request 처리부(609), DTCP Module(Encryption)(61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Network Data 송신부(611),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12), Network Data 수신부(613), HEAD Request 요청부(614), HEAD Response 처리부(615), GET Request 요청부(616), GET Response 처리부(617), DTCP Module(Decryption)(618), 채널정보 파라미터 설정부(619), Media Player(620)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 서버 장치(200)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는 채널정보 파라미터 수집부(605),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06)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12), 채널정보 파라미터 설정부(619)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종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EAD Request 요청부(614)로부터 Network Data 송신부(611)를 통해 서버 장치(200)의 Network Data 수신부(604)로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200)는 Network Data 수신부(60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HEAD Request 처리부(603)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 후 다시 Network Data 송신부(607)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Network Data 수신부(604)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HEAD Response 처리부(615)에 의해 처리한 후 GET Request 요청부(616)에 의해 동영상 스트림 요청 신호를 Network Data 송신부(611)를 통해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200)는 Network Data 수신부(604)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GET request 처리부(609)와 역다중화기(DEMUX)(602)를 통해 처리하고 방송수신장치(Multi-Tuner)(601)로부터 동영상 스트림을 수신한다. 수신된 동영상은 다시 역다중화기(DEMUX)(602)와 GET request 처리부(609)를 통해 DTCP Module(Encryption)(610)로 전송되고 Network Data 송신부(607)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Network Data 수신부(613)를 통해 수신한 동영상 스트림을 GET Response 처리부(617)와 DTCP Module(Decryption)(618)을 통해 Media Player(620)로 재생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서버 장치(200)로 HEAD Request를 요청할 때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12)에 의해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에서 수신된 HEAD Request는 HEAD Request 처리부(603)에 의해 채널정보 파라미터 수집부(605)로 전송되고 채널정보 Database(608)로부터 관련 파라미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다시 채널정보 파라미터 전송 요청부(606)를 통해 종래 시스템과 유사한 경로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라미터가 포함된 HEAD Response 신호를 HEAD Response 처리부(615)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HEAD Response 처리부(615)는 채널정보 파라미터 설정부(619)를 통해 Media Player(62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710),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720).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730),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740).
또한, 파싱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S720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고, 파싱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S810),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한다(S820).
이어서, 서버 장치로부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830).
이 후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840). 이어서, 서저 장치로부터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S850),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S860).
여기서,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는, 메타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는, 메타 정보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S860 단계는,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으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파싱하지 않고,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채널 변경 이벤트 및 VOD 컨텐츠 재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동영상 식별 정보, 동영상 스트림 타입, PCR 정보, 동영상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120: 제어부
150: 통신부200: 서버 장치
210: 통신부220: 제어부

Claims (20)

  1.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 스트림으로부터 파싱(parsing)된 파라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동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영상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파싱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된 동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것인, 시스템.
KR1020140062228A2014-05-232014-05-23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CeasedKR20150134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62228AKR20150134861A (ko)2014-05-232014-05-23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15162950.8AEP2947843B1 (en)2014-05-232015-04-09Server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14/717,338US20150341403A1 (en)2014-05-232015-05-20Server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62228AKR20150134861A (ko)2014-05-232014-05-23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50134861Atrue KR20150134861A (ko)2015-12-02

Family

ID=5294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062228ACeasedKR20150134861A (ko)2014-05-232014-05-23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Link
US (1)US20150341403A1 (ko)
EP (1)EP2947843B1 (ko)
KR (1)KR201501348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4286150B (zh)*2020-11-122024-10-22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画质共享的方法
CN113746619B (zh)*2021-09-062023-05-26济南大学预定义时间同步控制的图像加密方法、解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993591B1 (en)*1998-09-302006-01-31Lucent Technologies Inc.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internet resources based on estimated round trip time
EP1855478A1 (en)*2006-05-092007-11-14Alcatel LucentMethod for fast zapping between tv channels
KR20110138276A (ko)*2009-04-092011-12-26노키아 코포레이션미디어 파일 스트리밍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WO2012096372A1 (ja)*2011-01-142012-07-19シャープ株式会社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構造
IT1404062B1 (it)*2011-02-152013-11-08Sisvel Technology SrlMetodo per l'acquisizione, la memorizzazione e la fruizione di dati relativi ad un flusso video tridimensionale e relativo apparato di elaborazione video
KR20130139675A (ko)*2012-06-132013-12-23삼성전자주식회사서버 기반의 프로파일 생성 방법,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EP2947843A1 (en)2015-11-25
US20150341403A1 (en)2015-11-26
EP2947843B1 (en)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EP2720470B1 (en)Aggregated control and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US9164672B2 (en)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10063905B2 (en)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723123B2 (en)Multi-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ndow applications
JP2022019726A (ja)コンテンツ提示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109487A1 (zh)音频数据流输出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10203927B2 (en)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9232169B2 (en)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11601144B (zh)流媒体文件播放方法及显示设备
KR20160019693A (ko)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6168A (ko)에이치디엠아이 신호로 방송 수신기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2807460B1 (ko)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1577A (ko)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검색방법
US20140160305A1 (en)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utput apparatus, output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380673B1 (ko)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88087A1 (en)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US20130135357A1 (en)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EP2947843B1 (en)Server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CN115119022A (zh)一种跳过视频广告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KR20220014005A (ko)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480372B1 (ko)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22141B2 (en)Safe playback method for streaming media file, and display device
CN115270030A (zh)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JP2020500349A (ja)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992963A (zh)一种显示设备及投屏方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0523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90508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40523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51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00924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0051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