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50132311A -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 - Google Patents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311A
KR20150132311AKR1020157028639AKR20157028639AKR20150132311AKR 20150132311 AKR20150132311 AKR 20150132311AKR 1020157028639 AKR1020157028639 AKR 1020157028639AKR 20157028639 AKR20157028639 AKR 20157028639AKR 20150132311 AKR20150132311 AKR 20150132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ole structure
region
foam member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레드릭 제이 도잔
매튜 제이 홀름스
트로이 씨 린드너
벤자민 네통콤
돌로레스 에스 톰슨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838,051external-prioritypatent/US950428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835,715external-prioritypatent/US9301566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837,967external-prioritypatent/US9510635B2/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filedCritical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3231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50132311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및 이 갑피와 결합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며,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에 근접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고, 파형부 구조체는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하고,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은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의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Footwear article, upper; And a sole structure coupled to the upper, wherein the sole structure comprises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sole region of the wearer's foot, and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comprises a first And a corrugated sub-structure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inner mid- or forefoot region of the polymer foam member to the outer flank or forefoot region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the corrugated sub-structure comprising four corrugated sub- And the four corrugated areas are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corrugated lateral ridges of the five corrugated lateral ridges.

Figure P1020157028639
Figure P1020157028639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corrugated structure,

관련 출원 데이터Related Application Data

본 출원은, (a) 2013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보호 요소를 갖는 경량의 중창 부재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835,715호; (b) 2013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보호 요소를 갖는 경량의 중창 부재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838,051호; 및 (c) 2013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보호 요소를 갖는 경량의 중창 부재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837,96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우선권 출원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A) a sole structure and footwear article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having a protective element, filed on March 15, 2013 and having the name < RTI ID = 0.0 > U.S. Patent Application No. 13 / 835,715; (b)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was filed on March 15, 2013 and is entitled "Sole Structures and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Patent Application No. 13 / 838,051; And (c) a sole structure and footwear article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having a protective element, filed on March 15, 2013, entitled " Sole Structures and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 U.S. Patent Application No. 13 / 837,967. Each of these priority application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신발류(footwear)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태양은 보호 구성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비교적 연질 및/또는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foam midsole component)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 및/또는 신발류(예를 들면, 운동화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footwear. More particularly,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ole structure comprising a relatively soft and / or lightweight foam midsole component partially covered by a protective component and / For example, running shoes).

통상의 운동화류 물품은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upper)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에 대해 발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배치하는 발을 위한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통기를 제공하는 구성을 가지고, 이에 의해 발을 냉각시키고 땀을 제거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일반적으로 발과 임의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된다. 지면 반력을 감쇠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에 부가하여, 밑창 구조체는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고, 과회내(overpronation)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 및 밑창 구조체의 일반적인 특징 및 구성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A typical running shoes article includes two main elements, an upper and a sole structure. The upper provides a cover for the foot that stably receives and places the foot against the sole structure. In addition, the upper has a configuration that protects the foot and provides ventilation, thereby cooling the foot and removing sweat. The sole structure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is generally disposed between the foot and any contact surface. In addition to attenuating ground reaction forces and absorbing energy, the sole structure provides traction and can control potentially harmful foot movements such as overpronation. The general features and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sole structure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갑피는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void)을 신발류의 내부에 형성한다. 공동은 대체로 발의 형상을 가지며, 공동에의 접근은 발목 개구부(ankle opening)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발가락 영역 위로, 발의 안쪽 및 바깥쪽 측부를 따라, 발의 힐(heel)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 끈 시스템(lacing system)은 흔히 갑피에 합체되어 발목 개구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고 착용자가 갑피의 특정 치수, 특히 거스(girth)를 변경하게 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발을 수용하도록 한다. 또한, 갑피는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예를 들면, 끈에 의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끈 시스템 아래에서 연장되는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또한 힐의 이동을 제한 또는 제어하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upper forms a void inside the footwear for receiving the feet. The cavity generally has a foot shape, and access to the cavity is provided at the ankle opening. Thus, the upper extends along the foot and the toe area of the foot, along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foot, and around the heel area of the foot. The lacing system is often incorporated into the upper so that the size of the ankle opening is selectively changed and the wearer is allowed to vary the specific dimensions of the upper, especially the girth, to accommodate the feet of various sizes. The upper may also include a tongue extending under the strap system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footwear (e.g., to adjus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by the strap), and the upper may also include a tongue And a heel counter for limiting or controlling movement.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체는, 전통적으로 "안창(insole)", "중창(midsole)" 및 "바닥창(outsole)"으로 불리는 다중층을 포함한다. 안창(또한 깔창(sock liner)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수분을 빨아들여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갑피 내에서 발바닥(하측)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얇은 부재이다. 전통적으로 갑피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갑피에 부착되는 중창은 밑창 구조체의 중간층을 형성하고, 발 운동 제어 및 충격력 감쇠를 포함하는 다양한 목적에 도움을 준다. 바닥창은 신발류의 지면-접촉 요소를 형성하고, 통상 트랙션을 향상시키는 텍스처링(texturing) 및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재료로 만들어진다.Generally, the sole structure includes multiple layers traditionally referred to as "insole", "midsole" and "outsole". An insole (which may also comprise a sock line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ole (lower) surface within the upper to enhance the comfort of the footwear, e.g., to provide a soft, It is a thin member. Traditionally, the midsole attached to the upper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upper part forms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sole structure and serves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foot motion control and impact damping. The floor window is made of a durable and wear resistant material that includes texturing and other features that form the ground-contacting elements of the footwear and which normally enhance traction.

통상의 중창의 주 요소는 신발류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thylvinylacetate; "EVA")와 같은 탄성의 폴리머 폼 재료이다. 중창에서의 폴리머 폼 재료의 특성은, 주로 중창의 치수 구성과, 폴리머 폼 재료의 밀도 및/또는 경도를 포함하여, 폴리머 폼에 대해 선택된 재료의 특정 특성을 포함하는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중창 전체에 걸쳐서 이들 요인을 변경함으로써, 상대 강성, 지면 반력 감쇠의 정도 및 에너지 흡수 특성은 신발류가 사용되도록 의도된 활동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The main element of a typical midsole is an elastic polymer foam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foam or ethylvinylacetate ("EVA"), which extends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ootwear.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foam material in the midsole will depend primarily on the dimensional configuration of the midsole and the factors including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material selected for the polymer foam, including the density and / or hardness of the polymer foam material. By varying these factors throughout the midsole, the relative stiffness, the degree of ground reaction force attenuation, and the energy absorbing characteristics can be altered to meet the specific needs of the activities for which footwear is intended to be used.

많은 이용가능 신발류 모델 및 특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신발류 모델 및 구조는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 반가운 진보가 된다.Despite the many available footwear models and characteristics, new footwear models and structures continue to develop and are a welcome advance in the art.

본 요약은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본 발명에 관한 일부의 일반적인 개념을 도입하도록 제공된다. 본 요약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This summary is provided to introduce some general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a simplified form that are further described below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summary is not intended to identify key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임의의 원하는 타입 또는 스타일의 신발에 잠재적으로 유용하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농구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cross-training shoes), 미끄럼방지 신발(cleated shoes), 테니스화, 골프화 등을 포함하는 운동화류 물품에 사용되는 밑창 구조체에 특별한 흥미가 있을 수 있다.While potentially useful in any desired type or style of footwea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shoes such as basketball shoes, running shoes, cross-training shoes, cleated shoes, tennis shoes, There may be special interest in the sole structure used for articles.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태양은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midfoot)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적어도 일부 예에서,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forefoot) 영역으로부터, 후방 힐 영역 주위로 그리고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billows structur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위빙형 파형부(interwoven billow), 지지 리브(support rib) 등을 포함하는 다른 파형부 구조체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파형부 구조체는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billow outer redge) 사이에 위치된 파형부 개재 영역(billow interstitial area)에 의해 연결된 2개 내지 8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A more specific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sole structure for footwear articles comprising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a heel and midfoot region of a wearer's foot. The exposed outer edge of such a first polymer foam member may, at least in some instances, extend from the inner forefoot region or forefoot region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to around the rear heel region a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a billows structure extending continuously to the forefoot or forefoot. For example, other corrugated sub-structures including interwoven billow, support ribs, etc. may be provided in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rrugator structures may include two to eight corrugated lateral ridges connected by a billow interstitial area locat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outer billings.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폼 부재(선택적으로, 0.2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와 같은 경량의 저밀도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foam member (optionally, a lightweight low density polymer foam material such as a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 < 3 >)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 . The exposed outer edge of such a polymer foam member,

(a) 제1 외측 파형부 리지,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제1 및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1 개재 영역, 및 제2 및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2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파형부 구조체, 및(a) a first outer-corrugated bulge, a second outer-corrugated bulge, a third outer-corrugated bulge, a first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corrugated bulges, and a second and third outer- A first wave-portion-side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ve-

(b) 제4 외측 파형부 리지,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및 제4 및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3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b) a third corrugated structure including a fourth outer corrugated bulge, a fifth outer corrugated bulge, and a third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outer corrugated bulges,

제4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1 개재 영역에서 시작되고, 제5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2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다른 파형부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러한 파형부 구조체의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3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하나의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다른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측부 중족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바닥창 구성요소는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The fourth outer corrugated bulge starts in the first intervening area and the fifth outer corrugated bulge starts in the second intervening area.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polymeric foam member may further comprise other corrugated sub-structures, for example the outer corrugated sub-ridges of such corrugated sub-structures start in the third interposed region. One corrugated subassembly may extend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while another corrugated side structure may be located in the side flank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The bottom window component may engage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ymer foam member.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는, (a) 바깥쪽 측벽, (b) 안쪽 측벽, (c) 안쪽 측벽 및 바깥쪽 측벽을 연결하는 후방 힐 벽, (d) 안쪽 측벽, 바깥쪽 측벽 및 후방 힐 벽을 연결하는 바닥 벽, 및 (e) 후방 힐 벽에 대향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외측 쉘(outer shell)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 제2 폴리머 폼 부재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외측 쉘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힐 부분을 구비하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전족부 단부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개방 단부를 지나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폴리머 폼 부재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의 일부분은 신발류 물품의 바닥 전족부 영역에서 노출된다.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보호 요소가 바닥 전족부 영역에서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Another outsole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a heel region of a wearer's foot,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comprising: (a) an outer sidewall, (b) (c) a rear heel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 wall and the outer side wall, (d) a bottom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 wall, the outer side wall and the rear heel wall, and (e) Constitutes an outer shell, and this first polymer foam member extends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having a heel portion at least partially received in a space defined by the outer shell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the forefoot end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extending beyond the open end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do. This second polymer foam member has a density less than the density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is exposed in the bottom forefoot region of the footwear article. If desired, one or more protective elements can be combi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in the bottom forefoot region.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또 다른 밑창 구조체는, (a) 착용자 발의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폼 부재로서, 0.2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폼 부재, 및 (b) 이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80%를 덮도록 폴리머 폼 부재와 결합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며, 보호 부재는 웨브 베이스면(web base surface)을 구성하고, 복수의 트랙션 요소가 웨브 베이스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트랙션 요소들 사이의 위치에서의 대부분의 웨브 베이스면의 두께는 2㎜ 미만의 두께이다.Another shoe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n entire sole surface of a wearer's foot, the polymer foam member comprising a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 < 3 & (b) at least 80% of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ymer foam member, wherein the protective member comprises a web base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traction elements Extends downwardly from the web base surface and the thickness of most web base surfaces at posit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traction elements is less than 2 mm thick.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갑피와 결합되는 전술한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전술한(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태양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of the various types described above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upper.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king various types of sole structures and / or footwear article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More specif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의 상기 요약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부호가 나타나는 다양한 도면 모두에서 유사한 참조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할 때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특징부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폼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힐 영역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농구화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런닝화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트레이닝화를 도시하고;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분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특징부를 도시하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도면을 제공하며;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도면을 제공한다.
The foregoing summary of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various figures in which the reference numerals are represented.
Figures 1A-1F illustrate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F show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illustrate features of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4 illustrates a heel region of a portion of a foam component that may be included in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 basketball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running sho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llustrates a trac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F show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of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illustrate features of 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11c provide various views of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C provide various views of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 구조체 및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의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태양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 및 환경을 예시로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다른 구조 및 환경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구조 및 기능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footwear structures and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a part hereof and which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various exemplary structures and environments in which aspec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structures and environments may be utilized and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ifications may be made from structures and functions which are specifically describ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Ⅰ. 본 발명의 태양의 일반적인 설명Ⅰ. General description of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부 태양은 적어도 하나의 보다 강성 및/또는 조밀성 케이지(보호) 구성요소(들) 및/또는 다른 보호 구성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는 비교적 연질 및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예를 들면, 운동화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 및 태양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Som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relatively soft and lightweight foam midsole component that is partially covered by at least one more rigid and / or dense cage (protection) component (s) and / or other protective component Sole structure and / or footwear (e.g., athletic shoes) article. More specific feature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특징A. Characteristics of the sole structure and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본 발명의 일부 태양은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및 이러한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운동화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후방 힐 영역 주위로 그리고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형부 구조체는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 사이에 위치된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 2개 내지 8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Some aspec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 sole structure for a footwear article, and a footwear article (or other foot-receiving device) comprising such a sole structure. The sole structure for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sole region of the wearer's foot. The exposed outer edge of this first polymer foam member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inner mid- or forefoot region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to around the rear heel region and to the outer mid- or forefoot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includes a corrugated sub-structure. Such corrugated sub-structures may include two to eight corrugated lateral ridges connected by corrugated sub-annular areas locat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outer ridges.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폼 보호 구성요소 및/또는 폼 중창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의 바닥면(들) 상에(예를 들면, 노출된 공간들 중 하나 내에) 바닥창 구성요소(예를 들면, 고무, 파일론(phylon), 파일라이트(phylit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닥창 구성요소(들)는 예를 들어 경도, 강도, 내마모성 및 (예를 들면, 밑창 구조체의 바닥면 상에 텍스처(texture), 클리트(cleat), 또는 다른 트랙션-향상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트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구조체에서, 몇몇의 독립적인 바닥창 구성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바닥부 주위에서 별개의 다양한 위치에 제공된다. 바닥창 구성요소는 또한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를 위한 "보호" 구성요소로 고려될 수도 있다.A sol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ttom window component (e.g., a bottom window component) on one or more bottom surfaces (s) of a foam protection component and / Such as, for example, rubber, phylon, phylite,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the like. The bottom window component (s) may include, for example, hardness,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traction (e.g., by providing a texture, cleat, or other traction-enhancement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structure) Can be provided. In some exemplary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independent floor window components are provided at various different locations around the bottom of the sole structure. The bottom window component may also be considered a "protection" component for a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원한다면,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르면, 보다 경량이고 및/또는 덜 조밀한 폼 중창 재료 구성요소 및/또는 보다 조밀한 보호 구성요소(선택적으로, 보다 무겁거나 보다 조밀한 폴리머 폼 재료로 제조됨) 중 하나 이상의 외측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파형 구조체(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한다면, 폼 중창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호 구성요소의 파형 구조체(이들이 파형인 경우)에 인접하여 파형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개수의 개별 파형 구조체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구성요소 상에 가능하지만, 일부 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개별 밑창 구조체는 2개 내지 8개의 파형부를 포함하고, 일부 예에서는 3개 내지 6개의 파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If desired,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er and / or less dense foam core material component and / or a denser protective component (optionally made of a heavier or denser polymer foam material) May include a corrugated structu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f desir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may comprise a corrugated structure adjacent to, for example, the corrugated structures of the one or more protective components (if they are corrugated). Although any number of individual corrugated structures are possible on the various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 some instanc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individual sole structure includes two to eight corrugations, And may include six wave portions.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폼 부재(선택적으로, 0.2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와 같은 경량의 저밀도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A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foam member (optionally, a lightweight low density polymer foam material such as a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 < 3 >)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 . The exposed outer edge of such a polymer foam member,

제1 외측 파형부 리지,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제1 및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1 개재 영역, 및 제2 및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2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파형부 구조체, 및A first outer-corrugated bulge, a second outer-corrugated bulge, a third outer-corrugated bulge, a first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rrugated bulges, and a second intervening regio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outer- A first wave-form portion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interleaved region located in the first wave-

제4 외측 파형부 리지,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및 제4 및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3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And a third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outer-wave-shaped bulge, the fourth outer-wave bulge, the fifth outer-wave bulge, and the fourth and fifth outer-wave bulge,

제4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1 개재 영역에서 시작되고, 제5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2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다른 파형부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러한 파형부 구조체의 외측 파형부 리지는 제3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하나의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다른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측부 중족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바닥창 구성요소는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The fourth outer corrugated bulge starts in the first intervening area and the fifth outer corrugated bulge starts in the second intervening area.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polymeric foam member may further comprise other corrugated sub-structures, for example the outer corrugated sub-ridges of such corrugated sub-structures start in the third interposed region. One corrugated subassembly may extend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while another corrugated side structure may be located in the side flank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The bottom window component may engage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ymer foam member.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는, (a) 바깥쪽 측벽, (b) 안쪽 측벽, (c) 안쪽 측벽 및 바깥쪽 측벽을 연결하는 후방 힐 벽, (d) 안쪽 측벽, 바깥쪽 측벽 및 후방 힐 벽을 연결하는 바닥 벽, 및 (e) 후방 힐 벽에 대향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외측 쉘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 제2 폴리머 폼 부재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외측 쉘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힐 부분을 구비하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전족부 단부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개방 단부를 지나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폴리머 폼 부재는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의 일부분은 신발류 물품의 바닥 전족부 영역에서 노출된다. 원한다면, 보호 요소가 바닥 전족부 영역에서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Another exemplary sole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a heel region of a wearer's foot,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comprising: (a) an outer sidewall, (b) (C) a rear heel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 wall and the outer side wall, (d) a bottom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 wall, the outer side wall and the rear heel wall, and (e) And this first polymer foam member extends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having a heel portion at least partially received in a space defined by the outer shell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the forefoot end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extending beyond the open end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do. This second polymer foam member has a density less than the density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is exposed in the bottom forefoot region of the footwear article. If desired, the protective element can be combi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in the bottom forefoot region.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또 다른 밑창 구조체는, (a) 착용자 발의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폼 부재로서, 0.2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폼 부재, 및 (b) 이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80%를 덮도록 폴리머 폼 부재와 결합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며, 보호 부재는 웨브 베이스면을 구성하고, 복수의 트랙션 요소가 웨브 베이스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트랙션 요소들 사이의 위치에서의 대부분의 웨브 베이스면의 두께는 2㎜ 미만의 두께이다.Another shoe structur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n entire sole surface of a wearer's foot, the polymer foam member comprising a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 < 3 & (b) at least 80% of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ymeric foam member, wherein the protective member comprises a web base surface, and wherein a plurality of traction elements extend from the web base surface And the thickness of most web base surfaces at posit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traction elements is less than 2 mm thick.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에서 설명된(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다양한 타입의 밑창 구조체와 결합되는 갑피(예를 들면, 통상의 디자인, 구성 또는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디자인, 구성 또는 구조를 가짐)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Another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 that is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sole structure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e.g., any desired design including a conventional design, , Configuration, or structure).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신발류 물품 또는 그것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태양은 전술한 다양한 타입 및 구성의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부품이 본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지고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방법 태양의 예는 전술한 다양한 구조체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 및/또는 신발류 부품들을 조합하고 그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twear article or its various components. One more specif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king the sole structure for footwear articles of the various types and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While the various components and components of the sole structure and footwear article 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manner commonly known and used in the art, an example of a metho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produce the various structures described above To combining the sole structure and / or footwear parts and bonding them togeth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 태양, 구조 및 배열의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었다고 한다면,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 신발류 물품 및 방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이어진다.In the foregoing, a general description of features, aspects, structures and arrang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llowed by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certain exemplary sole structures, footwear article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Ⅱ.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의 상세한 설명Ⅱ. Detailed description of an exemplary sole structure and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및 하기의 논의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밑창 구조체, 신발류 물품 및 그 특징부가 개시된다. 도시되고 논의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는 운동화이며, 이러한 신발류의 다양한 태양에 대해 개시된 개념은, 워킹화, 테니스화, 축구화, 미식축구화, 농구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 미끄럼방지 신발, 골프화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광범위한 운동화류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개념 및 태양은 워크 부츠(work boots), 샌들(sandal), 로퍼(loafer), 드레스화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비운동화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신발류에 적용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iscussion below, various sole structures, footwear articles and their features are dis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structures and footwear shown and discussed are footwear and the concepts disclosed for the various aspects of such footwear include walking, tennis shoes, soccer shoes, soccer shoes, basketball shoes, running shoes, cross-training sho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thletic shoe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ncept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non-sneakers, including work boots, sandals, loafers, dressing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but generally applies to footwear.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태양 및 특징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의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개시내용을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의 부분(및 그것의 다양한 구성요소 부품)은 신발류가 적절한 크기의 발에 착용되는 경우에 신발류 물품의 그러한 부분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된 발의 영역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 및/또는 밑창 구조체는 발의 전방에 "전족부 영역", 발의 중간 또는 아치형 영역에 "중족부" 영역, 및 발의 후방에 "힐 영역"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신발류 및/또는 밑창 구조체는 "바깥쪽 측부(lateral side)"(발의 "외측" 또는 "새끼발가락측") 및 "안쪽 측부(medial side)"(발의 "내측" 또는 "엄지발가락측")를 또한 포함한다. 전족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중족골(metatarsal)과 지골(phalangeal)을 연결하는 관절 및 발가락에 대응하는 신발류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형 영역에 대응하는 신발류의 부분을 포함한다. 힐 영역은 일반적으로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신발류의 바깥쪽 및 안쪽 측부는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힐 영역을 통해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신발류의 대향 측부에 대응한다(그리고, 길이방향 중심축에 의해 분리된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음). 이들 영역(도 1a에서 분할선에 의해 분리되어 있지만) 및 측부는 신발류의 정확한 영역을 구획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용어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힐 영역", "바깥쪽 측부" 및 "안쪽 측부"는 이어지는 설명을 돕기 위해 신발류 물품 및 그것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대략적인 영역을 표현하도록 의도된다.FIGS. 1A-1F illustrate various views of an exemplarysole structure 100 for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t least some asp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disclosure, as shown in FIG. 1A, a portion of a footwear article (and its various component parts) is located at or near such portion of the footwear article when the footwear is worn on an appropriately sized foot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area of the foot that has been cre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A, a footwear article and / or sole structure may include a "forefoot region" at the front of the foot, a "midfoot" region at the middle or arched region of the foot, and a "heel region" . ≪ / RTI > The footwear and / or sole structure may include a "lateral side" ("outside" or "small toe side") and a "medial side" ("inward" or "big toe side" Also included. The forefoot region generally includes joints connecting the metatarsal and phalangeal and portions of the footwear corresponding to the toes. The midfoot region generally includes a portion of the footwear corresponding to the arcuate region of the foot. The heel region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foot, including the calcaneus bone.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footwear extend through the forefoot region, midsole region and heel region and generally correspond to opposite sides of the footwear (and may also be considered as separated by a longitudinal center axis). These regions (separated by a dividing line in FIG. 1A) and the sides are not intended to delimit the exact area of the footwear. Rather, the terms "forefoot region", "midfoot region", "heel region", "outer side", and "inner side" are used to express the approximate area of the various items of the footwear article, It is intended.

도 1a는 밑창 구조체(1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바깥쪽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c는 안쪽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d는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1e는 힐 또는 후방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f는 발가락 또는 전방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는 착용자 발의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기 위해, 즉 밑창(100)의 후방 힐 영역으로부터 밑창(100)의 전방 발가락 영역까지 그리고 밑창(100)의 바깥쪽 측부 에지로부터 안쪽 측부 에지까지, 이러한 특정 구조체(100)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중창 구성요소(102)를 포함한다. 다른 중창 구성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르면, 중창 구성요소(102)는 폼 재료(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폼, 폴리우레탄 폼, 파일론 폼 등)를 구성할 수 있다. 중창 구성요소(102)의 상단면(102a)은 예를 들어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을 편안하게 지지하고 및/또는 그 위치설정을 돕기 위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1B shows an outline side view, FIG. 1C shows an inner side view, FIG. 1D shows a bottom view, FIG. 1E shows a heel or rear side view And Fig. 1F shows a toe or front side view. 1A-1F, the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ntire sole surface of the wearer's foot, i.e., from the rear heel region of the sole 100 to the front toe region of the sole 100, Includes a single midsole component (102) that extends continuously from this particular structure (100), from the outer side edge to the inner side edge of the sole (100). Other midsole configurations are possible, but according to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be constructed of a foam material (e.g.,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foam, a polyurethane foam, a pylon foam, . Thetop surface 102a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have contours, for example, to comfortably support and / or assist in positioning the sole surface of the wearer's foot.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중창 구성요소(102)는 0.25g/㎤ 미만의 밀도(일부 예에서는, 0.2g/㎤ 미만, 0.075 내지 0.2g/㎤의 범위 내, 및 심지어 0.1 내지 0.18g/㎤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다. 원한다면, 중창 구성요소(102)의 폼 재료는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그것과 함께 유체-충전식 블래더(bladder), 기계적 충격 흡수 부재 등과 같은 다른 충격력 감쇠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전체 중창 구성요소(102)는 이러한 경량 폼 재료(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밀도 특징을 가짐)를 구성하고, 착용자의 전체 발(예를 들면,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된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구조체(100)에서, 폼 중창 구성요소(102)는 결합선(junction line)(106)(이러한 결합선(106)은 이들 도면에서 재료들(102/104) 사이의 위치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 보조선으로서 제공됨)에 의해 보호 구성요소(104)(예를 들면, 보다 조밀하거나 보다 경질인 다른 중창 재료(예컨대, 폴리머 폼 재료); 바닥창 재료; "케이지" 또는 "캐리어 부재" 등 중 하나 이상)와 별개의 부품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시된 예에서, 중창 구성요소(102)는 대체로 보호 구성요소(104) 위에 놓인다(그리고, 보호 구성요소(1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도 있음). 다른 선택으로서, 중창 구성요소(102)는 원한다면 다중 구성요소 중창(예를 들면, 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는 다중 보호 구성요소 부품(104)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have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3 (in some instances less than 0.2 g / cm3, in the range of 0.075 to 0.2 g / cm3, and even 0.1 to 0.18 g / ) ≪ / RTI > of the foam material). If desired, the foam material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include one or more openings formed therein and / or include other impact damping components such as a fluid-filled bladder, mechanical shock-absorbing member, You may. In a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entire midsole component 102 constitutes such a lightweight foam material (e. G., Having the density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on the entire foot of the wearer . In anexemplary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S. 1A-1F, thefoam midsole element 102 includes a junction line 106 (such abond line 106 is referred to as amaterial 102/104 (E. G., A polymeric foam material) that is denser or more rigid (e.g., a polymeric foam material), a bottom window material ; "Cage" or "carrier member" or the lik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midsole component 102 is generally over the protective component 104 (and may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by the protective component 104). As another option,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be manufactured as a multiple component midsole (e.g., foam) component if desired, and / or thesole structure 100 includes multipleprotective component parts 104 It is possible.

일부의 훨씬 더 특정된 예로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는 미국 특허 제7,941,9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폼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에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모든 부분, 실질적으로 모든 부분, 또는 적어도 일부 부분은 약 10 내지 약 100 백분율(part per hundred)의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코폴리머, 0 내지 약 40 백분율의 개질된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0 내지 약 90 백분율의 알파 올레핀 코폴리머의 반응 생성물과, 폼 재료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폼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폼 재료는 경량의 스폰지 느낌을 가질 수 있다. 폼 재료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0.25g/㎤ 미만, 0.20g/㎤ 미만, 18g/㎤ 미만, 0.15g/㎤ 미만, 0.12g/㎤ 미만, 및 일부 예에서는 0.10g/㎤ 미만일 수 있다. 예시적인 범위로서, 경량의 폼 밀도는 예를 들어 0.05 내지 0.25g/㎤의 범위 또는 상기에 언급된 다양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of some, at least some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be made of a foam material, such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7,941,938,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n at least some exemplary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ll, substantially all, or at least a port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comprise from about 10 to about 100 parts hydrogenation or From about 0 to about 40 percent modified hydrogenated 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 and from 0 to about 90 percent alpha olefin copolymer, and an amount of a suitable amount of a < RTI ID = 0.0 > And may include a foam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ve. Such a foam material may have a light sponge feel. The density of the foam material may generally be less than 0.25 g / cm3, less than 0.20 g / cm3, less than 18 g / cm3, less than 0.15 g / cm3, less than 0.12 g / cm3, and in some cases less than 0.10 g / cm3. As an exemplary range, lightweight foam densities can range, for example, from 0.05 to 0.25 g / cm 3 or within the various ranges mention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르면, 중창 구성요소(102)를 위한 폼 재료의 탄성은 40% 초과, 45% 초과, 적어도 50%, 및 일 태양에서는 50 내지 70%일 수 있다. 영구 압축률(compression set)은 60% 이하, 50% 이하, 45% 이하, 및 일부 예에서는 20 내지 6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중창 구성요소(102)를 위한 폼 재료의 경도(Durometer Asker C)는 예를 들어 신발류의 유형에 따라, 예컨대 25 내지 50, 25 내지 45, 25 내지 35, 또는 35 내지 45일 수 있다. 폼 재료(102)의 인장 강도는 적어도 15kg/㎠, 및 전형적으로 15 내지 40kg/㎠일 수 있다. 연신율 %는 150 내지 500, 전형적으로 250 초과이다. 인열 강도(tear strength)는 6 내지 15kg/㎝, 전형적으로 7kg/㎝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폼 재료는 낮은 에너지 손실을 가질 수 있고, 전통적인 EVA 폼보다 경량일 수도 있다. 에너지 손실은 30% 미만, 선택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3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원한다면, 중창 구성요소(102)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미국 오레곤주 비버턴 소재의 나이키 인크(NIKE,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신발류 제품의 LUNAR 패밀리에 사용되는 폼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ity of the foam material for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be greater than 40%, greater than 45%, at least 50%, and in some embodiments 50 to 70%. The compression set may be in the range of 60% or less, 50% or less, 45% or less, and in some cases, 20 to 60%. The Durometer Asker C for theexemplary midsole component 102 may be, for example, 25 to 50, 25 to 45, 25 to 35, or 35 to 45, depending on the type of footwear, for example . The tensile strength of thefoam material 102 may be at least 15 kg / cm2, and typically 15 to 40 kg / cm2. Elongation% is between 150 and 500, typically over 250. The tear strength is from 6 to 15 kg / cm, typically above 7 kg / cm. In at least some exemplary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aterial of at least some port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have low energy loss and may be lighter than a conventional EVA foam. The energy loss may be in the range of less than 30%, alternatively from about 20% to about 30%. As a further example, if desired, at least a port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be made of a foam material used in the LUNAR family of footwear products available from NIKE, Inc., Beaverton, Oregon .

상기 단락들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중창 구성요소(102)를 위한 폼 재료의 잠재적인 특성 및 특징이 설명되고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는 중창 구성요소(102)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원하는 특성, 특징 및/또는 특징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량 및/또는 저밀도 폼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보호 구성요소(104) 때문에,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102)는 사용 시에 지면에 직접 접촉하기에 충분한 경도, 내구성 및/또는 내마모성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충격이 보다 큰 일부의 지면 접촉 위치에는 적어도 아님).While the above paragraphs describe the potenti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am material for themidsole component 102 in accordance with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midsole component 102 may deviat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have other desired characteristics, features, and / or combinations of featur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Other lightweight and / or low density foams may also be used. Becaus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102 need not necessarily have sufficient hardness, durability, and / or abrasion resistance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t use At least not in some of the larger ground contact locations).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에서의 보호 구성요소(104)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구성요소(104)는 고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과 같은 통상의 바닥창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보호 구성요소(104)는 상기에서 언급된 미국 특허 제7,941,93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폴리머 폼 케이지 또는 캐리어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다른 폴리머 폼 재료가 또한 보호 구성요소(104)에 사용될 수도 있다.Theprotective component 104 in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00 may be made of any desired material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made of conventional bottom window materials such as rubb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at least partially fabricated from a polymer foam cage or carrier material such as that disclosed in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No. 7,941,938. Other conventional polymeric foam materials may also be used in theprotective component 104.

폼 중창 구성요소(102) 및 보호 구성요소(104)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도시된 예에서, 보호 구성요소(104)는 폴리머 폼 구성요소(102)의 바닥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recess) 내에 끼워진다. 리세스(들)는, 존재한다면, 경량의 폼 구성요소(102)가 형성되는 몰딩 공정(또는 다른 성형 공정)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세스는 경량의 폼 구성요소(102)가 형성된 후에, 예를 들어 절삭 또는 연삭(grinding) 동작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보호 구성요소(104)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트랙션 요소를 포함하는, 헤링본(herringbone) 구조, 융기형 리브 또는 리지, 리세스형 홈 등과 같은, 사용 시에 지면 또는 다른 접촉면과 결합하기 위한 트랙션 요소 또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보호 구성요소(104)의 바닥면은 제거가능한 클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제 클리트 요소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foam midsole component 102 and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joined together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onventional manner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protective component 104 is sandwiched within one or more recesses formed in the bottom and / or sides of thepolymer foam component 102. The recess (s), if present, can be form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or other molding process) in which thelightweight foam component 102 is formed. Alternatively, the recess may be fabricated by, for example, a cutting or grinding operation after thelightweight foam component 102 is formed. Theprotective component 104 can be a ground or other material, such as a herringbone structure, raised rib or ridge, recessed groove, or the like, in use, including conventional traction elements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And traction elements or other features for engaging the contact surface. As a furthe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formed to include a receptacle for receiving a removable cleat, and / or include an actual cleat element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omponent .

또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104)의 바닥면은 중창 구성요소(102)의 바닥면을 완전히 덮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보호 구성요소(104)에는, 경량의 폼 재료(102)의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일부의 공간 또는 구멍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몇 개의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구성요소(104)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밑창 구조체(100)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104)에는, 틈새(break) 또는 갭이 보호 구성요소(104)의 원하는 굽힘 라인(예를 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부 영역에서의 기다란 슬롯 또는 갭)을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체 밑창 구조체(100)의 전반적인 가요성(및 선택적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가요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의 힐 영역에 있어서의 보호 구성요소(104)의 큰 개구부는 힐에 대한 비교적 크고 연질인 "크래쉬 패드(crash pad)"를 제공하여, 예를 들어 착용자 힐이 지면과 부딪칠 때, 예컨대 걸음을 내딛거나 점프를 착지할 때에 보다 양호한 편안함 및 느낌을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 개시내용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보호 구성요소(104)의 개구부가 선택적이고, 존재한다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크기, 형상 및/또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밑창 구조체(100)의 바닥면 상의 고마모 영역은 중창 구성요소(102)의 구조적 건전성(structural integrity)을 보호하는 것을 돕기 위해 경량의(그리고 보다 취약한) 폴리머 중창 구성요소(102) 위에 놓이는 보호 구성요소(104)의 일부 층을 포함한다.1D, the bottom surfac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need not completely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midsole component 102. As shown in FIG. Rather,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provided with some space or holes that expose the bottom surface of thelightweight foam material 102. This feature can provide several potential benefits. For example, by removing a port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the weight of thesole structure 100 can be reduc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d,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be provided with aprotective element 104 that provides a desired bending line (e. G., A forefoot region, (E.g., elongated slots or gaps in the sole structure 100), thereby helping to maintain overall flexibility (and optionally more natural flexibility) of the overallsole structure 100. The large opening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in the heel region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00 provides a relatively large and soft "crash pad" for the heel such that, for example, And provides better comfort and feel when hitting, for example, walking or landing the jump.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openings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are optional and may be provided in any desired size, shape, and / or numb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f any, It can be done. Preferably, however, the high wear are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sole structure 100 is less than the weight of the lightweight (and more fragile)polymeric midsole component 102 to help protect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midsole component 102 102) of the protective component (104).

도 1c 및 도 1d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는 밑창 구조체의 중앙 또는 중족부 영역에 제공된 다른 요소, 즉 지지 플레이트(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08)는 이러한 밑창 구조체(100)의 아치형 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도 1c 및 도 1d에서, 지지 플레이트(108)는 결합선(110)에 의해 중창 구성요소(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104)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선(110)은 이들 도면에서 지지 플레이트(108)와 재료들(102/104) 사이의 위치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 보조선으로서 제공된다. 본 도시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8)는 적어도 밑창 구조체(100)의 아치형 영역에서 중창 구성요소(102)와 보호 구성요소(10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샌드위치되거나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8)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cement)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거나 사용되는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식에 의해 중창 구성요소(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104)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8)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아치형 지지 재료 및/또는 부품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피스 또는 부품, 및/또는 임의의 원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재료의 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나일론계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PEBAX), 탄소 섬유 보강 폴리머 재료, 유리 섬유 보강 폴리머 재료, 다른 복합 재료 등을 포함한다.As best shown in FIGS. 1C and 1D, the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ncludes other elements, such as asupport plate 108, provided in the center or midsole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Thissupport plate 108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arcuate region of thissole structure 100. 1C and 1D, thesupport plate 108 is shown separated from themidsole component 102 and / or theprotective component 104 by acoupling line 110. Thiscoupling line 110 is provided as an auxiliary line in the figure to highlight the change in position between thesupport plate 108 and thematerials 102/104 in these figur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support plate 108 may be at least partially sandwiched or laminated at least between themidsole component 102 and theprotective component 104 in the arcuate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00. Thesupport plate 108 may be secured to themidsole component 102 by an adhesive or cement, by a mechanical connector, and / or by any other desired manner, including conventional manner known and used in the art. And / or theprotective component 104. Theprotective element 104 may be a < / RTI > Thesupport plate 108 may comprise any desired number of pieces or parts, and / or any desired number of par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cluding conventional arcuate support materials and / or components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Can be made of the desired material. Examples of some more specific materials include thermoplastic polyurethanes, nylon based polymer materials (e.g., PEBAX),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materials,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materials, other composites, and the like.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특징부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폼 구성요소(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104)의 외측 에지 또는 측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파형 구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파형부 구조체(billowed structure)" 또는 "파형부 구조체(billows structure)"는 요소의 외부면 형상이 파형부, 예를 들어 일련의 웨이브 피크(최외측 부분 또는 리지) 및 웨이브 피크들 사이의 밸리을 갖는 웨이브형 구조체의 외부면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밑창 구조체에서, "파형 구조체"는 통상의 파형부의 동일한 방식으로 팽창 및 압축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그러한 용어는 구조체의 외부면의 형상과 보다 일반적으로 관련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에서, 경량의 중창 폼 구성요소(102)는 일련의 4½ 파형부(122)(예를 들면, 후방 힐 영역 주위에 4개의 적층된 디스크처럼 보임)를 가지며, 보호 구성요소(104)는 ½ 파형부(124)(이러한 밑창 구조체(100)에서 최하부측 파형부를 완성하기 위해 중창 폼 구성요소(102)의 바닥의 ½ 파형부(122)와 결합함)를 포함한다. 파형 구조체(120)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102)가 (적어도 힐 영역에서) 착용자 발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중창 구성요소(102)의 상단면(102a)으로부터 위로 융기된 중창 구성요소(102)(및 그 파형 구조체(120))의 측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에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외측 쉘(파형부 구조체(120)가 형성되어 있음)은 바깥쪽 측벽(130), 안쪽 측벽(132), 안쪽 측벽(132) 및 바깥쪽 측벽(130)을 연결하는 후방 힐 벽(134), 및 안쪽 측벽(132), 바깥쪽 측벽(130) 및 후방 힐 벽(134)을 연결하는 상단 발바닥 지지면(10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발바닥 지지면(102a)은 상단면(102a)으로부터, 예를 들어 중앙 힐 영역에서 약 10 내지 20㎜만큼 및/또는 전족부 영역(예를 들면, 중족골 헤드 지지 영역)에서 약 8 내지 16㎜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폴리머 폼의 층(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식 블래더(bladder)가 포함됨)을 구성할 수 있다. 벽(130, 132, 134)은 상단면(102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테이퍼지거나 다양한 높이, 예를 들어 중족부 영역에서 0 내지 5㎜로부터 후방 힐 영역에서 25 내지 50㎜(또는 심지어 그 이상)를 가질 수 있다. 파형부 구조체(120)의 4½ 파형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바깥쪽 측벽(130), 후방 힐 벽(134) 및 안쪽 측벽(132)의 외부면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1A-1F illustrate other featur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sole structure 100 in accordance with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midsole foam component 102 and /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edge or sides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may comprise a "corrugated structure" As used herein, the term " billowed structure "or" billows structure "means that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element is a corrugation, for example a series of wave peaks Ridge ") and a wave-like structure having a valley between the wave peaks. In the sole structure, the "corrugated structure" need not be expanded and com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corrugated portion, rather such term is more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e. In the illustrated exemplarysole structure 100, the lightweightmidsole foam component 102 has a series of 4/2-shaped portions 122 (e. G., Visible as four stacked discs around the rear heel region) Theprotective component 104 includes a ½ wave portion 124 (which engages the ½wave portion 122 of the bottom of themidsole form 102 to complete the bottom side corrugation in this sole structure 100) do. At least a portion of thecorrugated structure 120 may extend from thetop surface 102a of themidsole component 102 such that, for example, themidsole component 102 at least partially surrounds the wearer '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s of raised up midsole component 102 (andcorrugated structure 120 thereof).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the outer shell of the midsole component 102 (in which thewavy structure 120 is formed) has anouter sidewall 130, aninner sidewall 132, aninner sidewall 132, Arear heel wall 134 connecting theside walls 130 and anupper solesupport surface 102a connecting theinner side wall 132, theouter side wall 130 and therear heel wall 134 . Theupper solesupport surface 102a may extend from thetop surface 102a by, for example, about 10 to 20 mm in the center heel region and / or about 8 to 16 mm in the forefoot region (e.g., the metatarsal head support region) A layer of polymer foam extending downward (optionally including one or more fluid-filled bladder therein). The walls 130,132, 134 may extend upwardly from thetop surface 102a and may be tapered or may be tapered to a variety of heights, for example, from 0 to 5 mm in the midfoot region, from 25 to 50 mm Or more). At least a portion of the 4½-shaped portion of thecorrugated structure 120 may extend continuously around theouter side wall 130, therear heel wall 134,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inner side wall 132.

파형 구조체(120)의 크기, 개수, 형상 및/또는 다른 특징은 신발류 물품의 느낌을 제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파형부가 깊을수록(즉, 웨이브 피크에서부터 인접한 밸리의 바닥까지의 치수가 클수록) 보다 큰 반응감(예를 들면, 원래 형상으로의 보다 빠른 복귀)을 제공한다. 중창 구성요소(들)(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들)(104)의 크기, 밀도 및/또는 경도는 또한 착용자 발에 대한 밑창 구조체(100)의 느낌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의 파형부 구조체(120)는 중창 구성요소(102)의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도 1c 참조)으로부터 중창 구성요소(102)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도 1d 참조)까지 연속적으로 그리고 중단없이 연장된다. 본 특정의 전체 파형부 구조체(120)는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는 이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 중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 사이에 위치된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다.The size, number, shape, and / or other features of thecorrugated structure 120 may be selected to control the feel of the footwear article. Typically, the deeper the corrugations (i. E., The greater the dimension from the wave peak to the bottom of the adjacent valley), the greater the sense of reactivity (e.g., a faster return to the original geometry). The size, density and / or hardness of the midsole component (s) 1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s) 104 can also be controlled to provide control over the feel of thesole structure 100 relative to the wearer's foot . Thewavy structure 120 of the illustrated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iddle or front part of themidsole component 102 from the inner mid or forefoot area of themidsole component 102 Lt; / RTI > region (see FIG. 1d). This particular overallwavy structure 120 includes five corrugated outer ridges, and the five corrugated outer ridges include four corrugated outer corrugated portions of four corrugated outer corrugated portions, Are connected by an intervening region.

파형부 구조체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 도 1c, 도 1e 및 도 1f는 개별 파형부의 벽이 "단차" 구성을 갖고 각각의 개별 파형부의 최외측 리지가 비교적 뾰족한 코너부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추가적인 예로서, 원한다면, 파형부 측벽은 매끄럽고, 직선형이고 및/또는 곡선형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파형부의 최외측 에지 또는 리지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덜 뾰족한 코너부로서 이루어지고, 매끄럽게 만곡되고, 칸막이되는 등등일 수 있다. 또한, 파형부 구조체가 벽(130, 132, 134)의 대향하는 내부측에서 유사하게 보일 수 있지만(중공형인 파형부 피크를 가짐; 도 9 참조), 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벽(130, 132, 134)의 내부면은 매끄럽다(예를 들면, 이들 파형부는 중실형이고 중공형이 아님).The corrugated sub-structure may take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igures 1B, 1C, 1E and 1F illustrate that the walls of the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s have a "stepped" configuration and the outermost ridges of each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 constitute relatively sharp corners. This is not a prerequisite. As a further example, if desired, the corrugated side wall may be smooth, straight and / or curved. Additionally, the outermost edges or ridges of each corrugated portion may be formed as less sharp corner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curved, partitioned, and the like. Also, although the corrugated structure can be seen similarly on the opposite interior side of thewalls 130, 132 and 134 (see Figure 9 having hollow corrugated portion peaks; see Figure 9), thewalls 130, 132, 134 are smooth (e.g., these corrugations are solid and not hollow).

또한, 본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에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후방 힐 영역에서, 가장 높은 파형부 외측 리지(최상단 파형부 리지)는 밑창 구조체(100)가 수평면 상에 배향되는 경우에 적어도 1.5인치의 수직 거리만큼 (바닥에서) 최하측 파형부 외측 리지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중창 구성요소(102)의 후방 힐 영역에서, 중앙 파형부 외측 리지(본 예에서는 제3 파형부)는 밑창 구조체(100)가 수평면 상에 배향되는 경우에 가장 긴 거리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들 특징은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xemplarysole structure 100 shown,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2, the highest corrugated lateral ridge (top corrugated flange) is oriented such that thesole structure 100 is oriented on a horizontal plane (At the bottom) by a vertical distance of at least 1.5 inches from the lowermost corrugated lateral ridge. In addition, or alternatively, in thesole structure 100,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2, the central ridge lateral ridge (third wavy region in this example) And extends rearward at the longest distance in the case of being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se features are best seen, for example, in FIGS. 1B and 1C.

또한, 도 1b, 도 1c 및 도 1f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의 보호 구성요소(104)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밑창 구조체(100)의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140)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파형부 구조체(140)는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는 이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 중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 사이에 위치된 2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의 보호 구성요소(104)의 파형부 구조체(140)는 중창 구성요소(102)의 파형부 구조체(120)와 연속하지 않는다. 오히려, 보호 구성요소(104)의 파형부 구조체(140)는 밑창 구조체(100)의 바깥쪽 전족부 영역 및 안쪽 전족부 영역에 각각 제공된 전이 영역(142, 144)에 의해 중창 구성요소(102)의 파형부 구조체(120)로부터 분리된다. 전이 영역(142 및/또는 144)은 중창 구성요소(102), 보호 구성요소(104) 및/또는 다른 밑창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이 영역(142, 144)은 다른 파형부 구조체, 하나 이상의 융기형 리브 또는 다른 지지 구성요소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구조체를 가질 수도 있다.1B, 1C, and 1F,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s positioned around the front toe area of thesole structure 100 And includes an elongatedcorrugated sub-structure 140. The exemplarycorrugated structure 140 includes three corrugated outer ridges, the three corrugated outer ridges having two corrugated portions locat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lateral ridges of the three corrugated outer ridges Area. As shown, thewavy structure 140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00 is not continuous with thewavy structure 120 of themidsole component 102. Rather thecorrugated side structure 140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is formed by thetransitional regions 142 and 144 provided in the outer forefoot region and the inner forefoo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00, respectively,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structure (120).Transition regions 142 and / or 144 may be comprised ofmidsole component 102,protective component 104 and / or other sole components. In addition,transition regions 142 and 144 may have any desired structure, including other corrugated sub-structures, one or more raised ribs, or other supporting components, and the like.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100)는 개별 파형부(122, 124)의 적어도 일부가 중창 구성요소(들)(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들)(104) 주위로 그들의 바깥쪽 측단부로부터 그들의 안쪽 측단부까지 연속적으로 그리고 중단없이 연장되는 파형부 구성체(120)를 갖는다.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오히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a 내지 도 1f의 밑창 구조체(100)와 유사한 부품 및 구조를 갖지만 상이한 파형부 구성체를 갖는 유사한 밑창 구조체(200)를 도시한다.Thesole structure 100 shown in Figures IA-IF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individual corrugations 122 and 124 around their midsole component (s) 1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s) (120)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outer lateral end to their inner lateral ends and without interruption. This is not a prerequisite. Rather, Figs. 2A-2F illustrate a similarsole structure 200 having similar parts and structure to thesole structure 100 of Figs. 1A-1F, but with different corrugated structures.

간략화를 위해, 도 1a 내지 도 1f와 도 2a 내지 도 2f 사이의 유사한 부품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것과 비교해서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구조 사이의 차이점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f에 대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부품은 도 1a 내지 도 1f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그러한 유사한 부품 및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및/또는 옵션을 가질 수 있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similar components between Figs. 1A-1F and Figs. 2A-2F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 Rather, in the following discussion, the focus will be on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2A-2F as compared to those shown in Figs. 1A-1F.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arts not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2A-2F are similar or similar to those similar parts and structure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IA- And / or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and / or options.

개별 파형부(122, 124)의 적어도 일부가 중창 구성요소(들)(1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들)(104) 주위로 그들의 바깥쪽 측단부로부터 그들의 안쪽 측단부까지 연속적으로 그리고 중단없이 연장되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파형부 구성체(120)와 달리, 도 2a 내지 도 2f의 파형부 구성체(220)는 혼합형 또는 인터위빙형 파형부를 포함한다. 도 2b, 도 2c 및 도 2e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밑창 구조체(200)의 후방 힐 영역에서의 파형부 구성체(220a)는 도 1a 내지 도 1f의 밑창 구조체(100)의 후방 힐 영역에서의 파형부 구성체(120)의 후방 힐 영역에서와 유사한 파형부 구성을 갖는다(예를 들면, 5개의 파형부 외측 에지 및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을 가짐). 그러나, 또한 도 2b, 도 2c 및 도 2e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200)에서의 파형부 구성체(220)는 바깥쪽 힐 영역 및 안쪽 힐 영역을 따라 그리고 이들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는 후방 파형부 구성체(220a)의 상단 3개의 파형부 사이에 제공된 개재 영역(250) 내의 힐 영역에서 시작된다. 도 2b에서는,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의 새로운 파형부의 시작점이 개재 영역(250) 내의 지점(252)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시작 지점(252)으로부터, 3개의 개재 파형부가 보다 큰 폭 및 높이로 테이퍼져서 그 최외측 지점(254)의 양 측부에 최외측 파형부 리지를 형성한다. 또한,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의 개재 파형부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220a)를 완전히 덮치기에 충분히 큰 크기로 테이퍼진다(예를 들면, 후방 힐 파형부(220a)가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의 개재 영역 내의 위치에 시작 지점(220f)을 갖는 것에 주목하자). 추가적으로,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도 2b에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200)에서,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의 외측 리지(254)는 그 피크 영역으로부터 단부 지점(256)까지 이동함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파형부 시리즈 구성을 포함하는 다른 지지 구조체는 새로운 파형부 구성체(220b) 사이의 개재 영역으로부터 및/또는 새로운 파형부 구성체(220b)의 외측으로부터(예를 들면, 지점(258)으로부터) 시작하고 그리고 밑창 구조체(2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적어도 바깥쪽 힐 측부 상에서,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b)는 (시작 지점(220f)으로부터) 힐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파형부 구성체 및 (시작 지점(258)으로부터) 중족부 영역으로 연장되는 전방 파형부 구성체를 갖는 중앙 파형부 구성체를 구성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individualcorrugated portions 122 and 124 are continuously and intermittently from their outer lateral ends to their inner lateral ends about midsole component (s) 102 and / or protective component (s) 104 Unlike thewavy structure 120 shown in Figs. 1A to 1F, which extend without thewavy structure 220, thewavy structure 220 of Figs. 2A to 2F includes a mixed or interwoven wave form. As best seen in Figures 2b, 2c and 2e, thecorrugated structure 220a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200 is formed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00 of Figures IA- (For example, it has five corrugated outer edges and four corrugated subregions) in the rear heel area of thecorrugated part structure 120 of the corrugated part structure. However, as best seen in FIGS. 2B, 2C, and 2E, thewavy component 220 in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200 is positioned along the outer heel region and the inner heel region,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B, the newwave portion series 220b starts in the heel region in theinterposition region 250 provided between the upper three wave portions of the rearwave portion structure 220a. In Fig. 2B, the starting point of the new corrugated portion of the newcorrugated part series 220b is shown atpoint 252 in theintervening area 250. In Fig. From these startingpoints 252, the three intervening corrugations are tapered to a greater width and height to form outermost corrugated bulges on both sides of theoutermost point 254 thereof. In addition, the intervening corrugated part of the newcorrugated part series 220b is tapered to a size large enough to completely cover the rear heel corrugatedpart series 220a (for example, the rear heel corrugatedpart 220a is tapered to a newcorrugated part series 220b ) Has astarting point 220f at a position within the intervening region of the substrate. Additionally, although not required, in the exemplarysole structure 200 shown in FIG. 2B, theouter ridge 254 of thenew wedge series 220b is sized (as it moves from its peak area to the end point 256) Tapering in the decreasing direction. Other support structures, including other corrugated sub-series configurations as shown in FIG. 2B, may be fabricated from an intervening region between newcorrugated sub-assemblies 220b and / or from outside of the newcorrugated sub-assemblies 220b (e.g., (E. G., 258) and forward of thesole structure 200. < / RTI > Thus, on at least the outer heel side portion shown in FIG. 2B, the newcorrugated part series 220b includes a rear corrugated component extending from thestarting point 220f (from thestarting point 220f)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central corrugated part construction body having a front corrugated part construction extending to a region.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밑창 구조체(200)의 안쪽 측부에서,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c)는 후방 파형부 구성체(220a)의 상단 3개의 파형부 사이에 제공된 개재 영역(250) 내의 힐 영역에서 시작된다. 도 2c에서는,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c)의 새로운 파형부의 시작점이 개재 영역(250) 내의 지점(260)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시작 지점(260)으로부터, 3개의 개재 파형부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220a)를 완전히 덮치도록 큰 폭 및 높이로 테이퍼진다(예를 들면, 후방 힐 파형부(220a)가 새로운 파형부 시리즈(220c)의 개재 영역 내의 위치에 시작 지점(220f)을 갖는 것에 주목하자).2C, on the inner side of thesole structure 200, a newwave portion series 220c is formed on a heel (not shown) in theinterposition region 250 provided between the upper three wave portions of the rearwave portion structure 220a, Area. In Fig. 2C, the starting point of the new corrugated portion of the newcorrugated part series 220c is shown atpoint 260 in theintervening area 250. Fig. From these startingpoints 260, the three intervening corrugations are tapered to a large width and height to completely cover the rear heel corrugated sub-series 220a (e.g., the rear heel corrugatedportion 220a is tapered to a new corrugated sub- 220c) at the position within the intervening area of the first andsecond electrodes 220a, 220b, 220c).

도 2a 내지 도 2f의 예시적인 파형부 구성체는 안쪽 측부 대 바깥쪽 측부 상에 상이한 개재 파형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오히려, 원한다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도 2b와 같은 파형부 구성체가 안쪽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및/또는 도 2c와 같은 파형 구성체가 바깥쪽 측부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exemplary corrugated part construction of Figs. 2A to 2F shows different intervening corrugated part configurations on the inside side to outside side. This is not a prerequisite. Rather, if desired, the corrugated component construct as in Fig. 2b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 or the corrugated component as in Fig. 2c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또한, 도 2d는 본 밑창 구조체(200)가 밑창 구조체(100)의 보호 구성요소(104)의 바닥면(도 1d에 도시됨)과 비교하여 보호 구성요소(204) 상에 다소 상이하게 구성된 바닥면을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밑창 구조체(200)의 바닥면에서 상이한 패턴의 노출된 중창 재료(102)를 초래한다. 보호 구성요소(204)와 경량의 중창 재료(202) 사이의 결합 영역은 도 2a 내지 도 2f에서 라인(206)으로 강조되어 있다. 또한, 중족부 지지 요소(208)(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1f의 지지 요소(108)와 유사함)와 경량의 중창 재료(2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204) 사이의 결합 영역은 도 2a 내지 도 2f에서 라인(210)으로 강조되어 있다. 보호 구성요소(204)의 바닥면은 또한 트랙션 요소 등뿐만 아니라, 도 10a 및 도 10b에 대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일부 특징부를 포함한다.Figure 2d also shows that thesole structure 200 is a floor that is somewhat differently configured on theprotective component 204 as compared to the bottom surface (shown in Figure 1d) of theprotective component 104 of thesole structure 100. [ Plane. ≪ / RTI > This results in an exposedmattress material 102 of a different pattern at the bottom surface of thesole structure 200.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protective component 204 and thelightweight midsole material 202 is highlighted inline 206 in FIGS. 2A-2F.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thecoupling region 208 between the midsole support element 208 (e.g., similar to thesupport element 108 of FIGS. 1A-1F) and thelightweight midsole material 202 and / Are highlighted inline 210 in Figures 2A-2F. The bottom surface of theprotective component 204 also includes some features such as traction elements, etc.,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ures 10a and 10b.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대안 밑창 구조체(300)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된 다른 밑창 구조체(100, 200)와 마찬가지로, 밑창 구조체(300)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보호 구성요소(304)와 결합되는 경량의 폼 중창 재료(302)를 포함한다. 보다 조밀하거나 내구성이 있는 폴리머 폼 및/또는 바닥창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보호 구성요소(304)는 밑창 구조체(300)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의 밑창 구조체(300)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200)와 구조 및 기능이 대체로 유사하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구조 및 기능이 가능하다. 간략화를 위해, 도 2a 내지 도 2f와 도 3a 및 도 3b 사이의 유사한 부품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것과 비교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 사이의 차이점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대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부품은 도 1a 내지 도 2f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그러한 유사한 부품 및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및/또는 옵션을 가질 수 있다.Another exemplary alternativesole structure 300 in accordance with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3A and 3B. As with the othersole structures 100, 200 described above, thesole structure 300 includes a lightweightfoam core material 302 that is coupled to theprotective component 304, for example, by an adhesive or cement. Theprotective component 304, which may be made of more dense or durable polymer foam and / or bottom window material, provi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sole structure 300. Thesole structure 300 of FIGS. 3A and 3B is substantially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thesole structure 200 shown in FIGS. 2A to 2F, but other structures and func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simplicity, similar parts between Figs. 2A-2F and Figs. 3A and 3B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 Rather, in the following discussion, the focus will be on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3A and 3B as compared to those shown in Figs. 2A-2F.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arts not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ures 3A and 3B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similar parts and structure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ures 1A- And / or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and / or options.

상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00, 200)에서, 파형부 구조체는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2, 202)의 전체 힐 영역 주위로 중단없이 연장되었다.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오히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302)의 후방 힐 영역은 그 상단 측부에서 절개 또는 절결 영역(3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결 영역(310)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중창 구성요소(302)에서 임의의 원하는 수직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구조체(300)에서, 절결 영역(310)은 개별 파형부 구조체 중 적어도 2개(및 선택적으로는 그 이상의) 파형부 구조체를 통해 아래로 연장되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절결 영역(310)은 또한 이 절결 영역(310)에 바로 인접한 밑창 구조체(300)(및/또는 중창 구성요소(302))의 전체 수직 높이(H)의 25% 내지 65%만큼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중창 구성요소(302)에서만 절결 영역(310)을 도시하고 있지만, 절결 영역(310)은 또한, 특히 보호 구성요소(304)가 절결 영역(310)의 위치에서 수직 치수가 보다 크게 존재하는 밑창 구조체를 위한 보호 구성요소(304)에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exemplarysole structure 100, 200 described above, the corrugated sub-structure has been uninterruptedly extended around the entire heel area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02, 202. This is not a prerequisite. Rather,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rear heel region of this exemplary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302 includes a cut or cutregion 310 at its upper end side. Thiscutout region 310 may extend at any desired vertical distance from themidsole component 302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3B, in thisexemplary structure 300, thecutout region 310 extends down through at least two (and optionally more) of the corrugated sub-structures of the individual corrugated sub-structures,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Thecutout region 310 also extends downward by 25% to 65% of the overall vertical height H of the sole structure 300 (and / or the midsole component 302) immediately adjacent to thecutout region 310 It is possible. 3A and 3B illustrate acutout region 310 only in themidsole component 302, thecutout region 310 also includes acutout region 310 that is also vertically offset from thecutout region 310, Or may be provided to theprotective component 304 for a sole structure having a larger dimension.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300)의 절결 영역(310)은 다소 V자형이어서 중창 구성요소(302)의 후방 에지에 개방 V자형 영역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U자형 형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 원형 형상, 별 형상, 로고 형상, 및/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과 같은 절결 영역(310)에 대한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본 예시적인 절결 영역(310)은 바깥쪽 측부-안쪽 측부 방향으로 전체 밑창 구조체(300), 및 특히 중창 구성요소(302)에 가요성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걷기, 또는 달리기, 점프 착지 등과 같은 다른 활동을 할 때, 보다 자연스러운 운동 또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대안적인 절결 영역이 밑창 구조체(300) 주위의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즉, 후방 힐 영역에 한정되지 않음). 예를 들면, (예컨대, 중족부 영역에서) 밑창 구조체(300)의 바깥쪽 및/또는 안쪽 측부를 따르는 절결 영역(310)은 (선택적으로는 밑창 구조체(300)의 가요성을 향상시켜서 자연스러운 발 구부림 경향에 보다 밀접하게 대응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를 위한 굽힘 라인을 제공 및 확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enotch region 310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300 is somewhat V-shaped to provide an open V-shaped region at the rear edge of themidsole component 302. Other shapes for thenotch region 310, such as a U shape,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a star shape, a logo shape, and / or any other desired shap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Thisexemplary notch region 310 helps to provide flexibility to the entiresole structure 300, and in particular themidsole component 302, in the outward side-inward side direction. Thereby, when the user performs other activities such as walking or running, jump landing, etc., it can provide a more natural movement or feeling. Additional or other alternative cut regions of this type may be provided at other locations around the sole structure 300 (i.e., not limited to the rear heel region). For example, acutout area 310 along the outside and / or inboard side of the sole structure 300 (e. G., In the midfoot region) (optionally, by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sole structure 300, To better support and establish a bend line for the sole structure to more closely correspond to or support the bending tendency.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300)의 절결 영역(310)에서, 폼 중창 재료(302)의 노출된 영역은 에지 요소(312), 예를 들어 몰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재, 다른 플라스틱 부재 등에 의해 덮인다. 힐 클립(heel clip)으로서 형성된 이러한 에지 요소(312)는 폼 중창 재료(302)의 노출된 에지를 보호하는 것을 돕고, 관심있는 심미적 또는 디자인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타입의 에지 요소(312)는 또한, 원한다면, 절결 영역(31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에지 요소(312)는, 존재한다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폼 중창 구성요소(302)에, 및/또는 전체 밑창 구조체(300) 및/또는 신발류 구조체의 다른 부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로서, 이들 구성요소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 기계적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에지 요소(312)는 또한 밑창 구조체(300)의 굽힘 또는 강성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cutout region 310 of the exemplarysole structure 300, the exposed region of thefoam core material 302 is covered by anedge element 312, such as a mol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member, another plastic member, or the like . Thisedge element 312, formed as a heel clip, helps protect the exposed edges of thefoam core material 302 and assists in providing an aesthetic or design opportunity of interest. This type ofedge element 312 also allows the shape of thecutout region 310 to be changed, if desired. Theedge element 312 may be secured to thefoam midsole component 302 and / or to the entiresole structure 300 and / or other portions of the footwear structure, if desired, in any desired manner, .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these components may be bonded together using adhesives or cements, mechanical connectors, or the like. Theedge element 312 may also be used to affect the bending or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thesole structure 300.

도 3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체(300)의 폼 중창 구성요소(302)의 다양한 파형부 영역의 일부는 절결 영역(310)의 에지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된 시작 지점(360)을 갖는다. 본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300)에서, 절결 영역(310)에 의해 중단된 개별 파형부는 절결 영역(310)의 에지에 그 시작 지점(360)을 가질 수 있지만, 절결 영역(310) 아래에 위치된 추가적인 파형부 영역은 또한 후방 힐 영역에 위치된 그 시작 지점(360)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원한다면, 하측 파형부 영역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선택적으로는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중단없이 후방 휠 영역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절결 영역(310) 위 및/또는 아래의 다른 파형부 구성체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3B, a portion of the various corrugated subregions of thefoam midrange component 302 of thepresent structure 300 includes astarting point 360 located at or near the edge of thecutout region 310 . In the exemplary exemplarysole structure 300 shown, the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 interrupted by thecutout region 310 may have itsstarting point 360 at the edge of thecutout region 310, but below thecutout region 310, The positioned additional corrugated subregion also has itsstarting point 360 located in the rear heel region. Alternatively, if desired, the lower corrugated subregion may extend continuously around the rear wheel region without interru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optionally with varying size). Other corrugated structures above and / or below thecutout region 310 may also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상기에서 "절개(cut out)" 또는 "절결(cut away)" 영역(312)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영역(312)은 밑창 구조체(300)의 임의의 부품에 절단 동작에 의해 제공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영역(312)은 절단 동작의 사용을 통한 방식, 예를 들어 레이저, 나이프, 블레이드, 다이(die) 또는 다른 절단 시스템에 의한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300)의 원하는 구성요소(들)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영역(312)은 예를 들어 폼 중창 구성요소(3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304)의 구조체 내로 직접 몰딩됨으로써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구성요소(302 및/또는 304))에 그 제조 공정 동안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문맥에 및/또는 이러한 타입의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를 위해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절결 영역"은 이러한 영역이 구성요소에 제공되는 방법과 무관하게 구조체의 이러한 타입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Quot; cut out "or" cut away "region 312, thisregion 312 need not be provided by any cutting operation on any part of thesole structure 300 . Rather, theregion 312 may be fabricated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y way of use of a cutting operation, such as by way of a laser, knife, blade, die, May be provided to the desired component (s) of thesole structure 300. Alternatively, theregion 312 may be molded directly into the structure of, for example, thefoam midsole component 302 and / or theprotective component 304 to form the sole structure component (s) (e.g., thecomponent 302 And / or 304) may be formed directl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us, the term "cutout area" as used herein in this context and / or for this type of component or structure encompasses this type of area of the structure regardless of how such area is provided to the component. .

도 3a 및 도 3b는, 본 예시적인 구조체(300)에서 절결 영역(310)에 인접한 후방 힐 영역에서의 파형부들 사이의 영역의 일부가 중창 구성요소(302)의 측벽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윈도우(362)를 갖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300)에서, 윈도우(362)는 (파형부가 그 시작 지점(360)으로 테이퍼질 때) 그 위 및 아래에 위치된 파형부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윈도우(362)에 대한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윈도우(362)는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300)의 후방 힐 영역에서 중창 구성요소(302)의 가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밑창 구조체(300)에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절결 영역(310)의 양 측에에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윈도우(362)을 비롯하여(그 일측 또는 양측에 윈도우(362)가 없는 것도 포함)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윈도우(362)가 제공될 수도 있다.3A and 3B illustrate that a portion of the region between the corrugations in the rear heel region adjacent to thenotch region 310 in thisexemplary structure 300 extends through the window of the full- Lt; RTI ID = 0.0 > 362 < / RTI > In the illustrated example 300, thewindow 362 extends along the edges of the corrugated portion located above and below it (when the corrugated portion tapers to its starting point 360), but without extend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362 may be used. Thewindow 362 may affect the flexibility of themidsole component 302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 exemplarysole structure 300. Thesole structure 300 may include more orfewer windows 362 on either side of thecutout region 310 without any departure from the present invention More orfewer windows 362 may be provided.

윈도우(362)는, 절단 동작의 사용을 통한 방식(예를 들면, 레이저, 나이프, 블레이드, 다이 또는 다른 절단 시스템에 의한 방식),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구성요소(302 및/또는 304))에 그 제조 공정 동안에 직접적으로 윈도우(362)를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한 방식(예를 들면, 폼 중창 구성요소(3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304)의 구조체 내로 직접적으로 윈도우(362)를 몰딩하는 것에 의한 방식)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300)의 원하는 구성요소(들)에 제공될 수 있다.Thewindow 362 may be formed from any of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such as by way of use (e.g., by laser, knife, blade, die or other cutting system) (E. G., Into the structur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3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304) by integrally forming awindow 362 directly in the top surface (S) of thesole structure 300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cluding, for example, by molding the window 362).

도 1a 내지 도 3b의 밑창 구조체(100, 200, 300) 모두는 비교적 균일한 형상을 갖는 3개 내지 5개의 개별 파형부 구조체를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갖는 파형부 구조체를 나타내지만,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 4는 파형부 구조체(402)가 수직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향된 3개의 파형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성요소(400)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4의 도면은 본 예시적인 파형부 구조체(402)의 바깥쪽 측면도를 도시하지만, 유사한 구조체가 예를 들어 밑창 구성요소(400)의 안쪽 측부 상에 및/또는 밑창 구성요소(400)의 후방 힐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파형부 구조체(4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 중창 구성요소(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요소(102, 202, 302)와 유사함)에 제공될 수 있거나, 도 1a 내지 도 3b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요소(104, 204, 304)와 유사한 폴리머 폼 보호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들과 같은 보호 구성요소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는 밑창 구성요소(400)의 힐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 개시내용의 이점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착용자 발(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의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밑창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all of thesole structures 100, 200, and 300 of Figs. 1A to 3B show a wavy structure having three to five individual wavy structure structures having a relatively uniform shape over various areas, this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 As another example, FIG. 4 shows a portion of another exemplarysole component 400 that includes three corrugated portions whosecorrugated sub-structures 402 are oriented vertically or vertically. 4 illustrates the outer side view of this exemplarycorrugated sub-structure 402, but similar structure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for example, thesole component 400 and / or the rear of thesole component 400 May be provided in the heel region. The exemplarycorrugated sub-structure 402 may be provided to a foam midsole component (e.g., similar to thecomponents 102, 202, 302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Such as polymer foam protection components and / or components, similar to thecomponents 104, 204, 304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a to 3b. Also, while only the heel region of thesole component 400 is shown in FIG. 4,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Lt; RTI ID = 0.0 > a < / RTI >

도 4의 파형부 구조체(402)는 파형부의 형상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3b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다른 파형부 구조체의 일부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파형부 구조체(402)의 중앙 파형부(402b)는 상방 및 하방 방향 모두로 오목하다(또는 외측으로 팽창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파형부(402b)와 상단 파형부(402a) 사이의 개재 영역(404a)의 바닥 골은 오목한 상방 방향으로 만곡되고, 그에 따라 그 만곡부의 높은 지점이 중앙측 힐 영역에 있다. 유사하게, 중앙 파형부(402b)와 바닥 파형부(402c) 사이의 개재 영역(404b)의 바닥 골은 오목한 하방 방향으로 만곡되고, 그에 따라 그 만곡부의 하측 지점이 중앙측 힐 영역에 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상단 파형부(402a)는 상방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부의 상측 최고 지점이 도 4에 도시된 배열에서 상단 파형부(402a)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바닥 파형부(402c)는 하방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부의 하측 최저 지점이 도 4에 도시된 배열에서 바닥 파형부(402c)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이것은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파형부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와 비교하여 다소간의 보다 구상인(bulbous) 형상을 전체 파형부 구조체(402)에 제공한다.Thecorrugated structure 402 in Fig. 4 differs from the corrugated portion in the shape of another corrugated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A to 3B.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centralcorrugated portion 402b of the exemplarycorrugated structure 402 is concave (or outwardly expanded) in both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4, the floor bottom of theintervening area 404a between the centralcorrugated part 402b and the uppercorrugated part 402a is curved in the concav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high point of the curved part is curved in the concave upward direction, Area. Similarly, the floor bottom of theintervening area 404b between the centralcorrugated part 402b and the bottomcorrugated part 402c is concavely curv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side point of the curved part is in the center side heel area. Because of this configuration, theupper wave portion 402a is formed to be curved upward, and the uppermost point of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upper wave portion 402a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Similarly, thebottom wave portion 402c is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and the lower minimum point of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bottom wave portion 402c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This provides a somewhat more bulbous shape to the entirecorrugated structure 402 as compar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rugated structure shown in Figures 1A-3B.

특히, 파형부 구성(402)은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파형부 구조체에서의 보다 단차형인 측벽과 비교하여 보다 매끄러운 측벽(도 2a 내지 도 3b의 파형부 구조체도 마찬가지임)을 갖는다. 또한, 도 2a 내지 도 4의 파형부 구성은 뾰족한 코너부로서 형성된 개별 파형부의 외측 리지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들 측벽 및/또는 코너부에 대한 다른 구조적 옵션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corrugated portion configuration 402 has smoother sidewalls (as well as the corrugated structure of Figs. 2A-3B) as compared to the more stepped sidewalls in the corrugated structure shown in Figs. 1A-1F. In addition, the corrugated portion configuration of Figs. 2A to 4 has an outer ridge of the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 formed as a sharp corners. However, other structural options for these side walls and / or corner por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500, 600, 700)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550, 650, 750)의 다양한 다른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농구화(650)를 도시하고, 도 6은 런닝화(650)를 도시하고, 도 7은 크로스 트레이닝화(750)를 도시한다. 밑창 구조체(500, 600, 700)는 각각 갑피(552, 652, 752)와 결합되어 전체 신발류 구조체(550, 650, 750)를 제공한다. 갑피(552, 652, 752)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각자의 밑창 구조체(500, 600, 7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로서, 갑피(552, 652, 752) 및 밑창 구조체(500, 600, 700)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스티칭(stitching) 또는 재봉에 의해, 및/또는 다른 연결 기술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5, 6, and 7 show side views of various other examples offootwear articles 550, 650, 750 that includesole structures 500, 600, 700 in accordance with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basketball formation 650, FIG. 6 illustrates runningshoe 650, and FIG. 7 illustratescross shoe 750. Thesole structures 500, 600 and 700 are coupled withuppers 552, 652 and 752, respectively, to provide theentire footwear structure 550, 650 and 750. The upper 552, 652, and 752 may be coupled with their respectivesole structures 500, 600, 700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cluding the conventional manner known and used in the art. .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upper 552, 652, and 752 andsole structures 500, 600, 700 may be attached by adhesive or cement, by mechanical connectors, by stitching or sewing, and /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other connection techniques.

도 5 내지 도 7의 신발류 구조체(500, 600, 700)를 추가로 설명할 때, 예시적인 갑피의 다양한 특징(갑피(552, 652, 752)의 잠재적인 특징을 포함함)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도 1a 내지 도 4의 밑창 구조체(100, 200, 300, 400)와 결합될 수 있는 갑피의 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따른 신발류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갑피의 특징의 예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의 밑창 구조체(500, 600, 700)는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들 밑창 구조체(500, 600, 700)의 일부 차이점이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 후에, 도 5 내지 도 7의 밑창 구조체(500, 600, 700)의 부품 및 구성의 보다 상세한 특징은 도 8a 내지 도 8f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When further describing thefootwear structures 500, 600, 700 of FIGS. 5-7, various features of the exemplary upper (including the potential features of the upper 552, 652, 752) will be described. This description may include features of the upper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ootwear structure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examples of upper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sole structures 100, 200, 300, 400 of FIGS. . ≪ / RTI > Since thesole structures 500, 600, 700 of FIGS. 5-7 generally have a similar structure, some differences of thesesole structures 500, 600, 7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7. Thereafter, more detailed features of the components and construction of thesole structures 500, 600, 700 of Figs. 5-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Figs. 8A-8F.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 구조체(550, 650, 750)의 물품을 위한 갑피(552, 652, 752)는, 시멘트 또는 접착제의 사용을 통한 방식, 기계적 커넥터의 사용을 통한 방식, 및/또는 융착(fusing) 기술(예를 들면, 핫 멜트 재료 등의 용융 또는 융착 접합)을 통한 방식을 포함하여, 신발류 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성요소 부품 구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의 제작 기술의 비제한적인 예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Uppers 552, 652 and 752 for the articles of thefootwear structures 550, 650 and 7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hrough the use of cements or adhesives, through the use of mechanical connectors, and / Including any conventional manner known and used in the footwear field, including, for example,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e. G., Melt or fusion bonding of hot melt materials or the like) Or constitute a plurality of component parts constituents. A non-limiting example of some fabrication techniqu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갑피(552, 652, 752)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재료 및/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갑피(552, 652, 752)는 다층 구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층이 전체 갑피 영역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 부분을 덮는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에서, 갑피(552, 652, 752)는 (예를 들면, 발과의 편안한 접촉을 위한) 내부 직물(fabric) 또는 섬유층 및 외부 "외피(skin)"층(예를 들면, 특정 영역에서 보다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영역에서 내마모성 또는 내마멸성을 제공하기 위해, 원하는 미관성을 제공하기 위해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제조됨)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덮이고 및/또는 샌드위치되는 중간 메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직물 또는 섬유층, 메시층, 및/또는 외피층의 어떠한 것도 갑피(552, 652, 752)의 전체 표면을 덮도록 연장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다양한 층의 위치(들)는 예를 들어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이한 심미적 외관(아래에 놓인 메시 재료로부터 "로고(LOGO)" 또는 다른 디자인 특징부를 생성하기 위해 외피층에 있는 개구부 등)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영역에서 외피층을 생략함으로써, 갑피(552, 652, 752)의 특성을 제어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갑피(552, 652, 752)는 발목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발목 개구부 주위로, 원한다면, 편안함-향상 폼 또는 직물 링이 제공될 수도 있다. 갑피(552, 652, 752)의 바닥면은 갑피 재료의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를 연결하는 내부 스트로벨(strobel) 부재(예를 들면, 스트로벨 부재는 갑피의 안쪽 및 바깥쪽 측부 에지에 재봉될 수도 있음)를 포함하여 갑피(552, 652, 752)를 폐쇄시킬 수 있다. 밑창 구조체(500, 600, 700)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 스티칭 또는 재봉, 기계적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스트로벨 및 그 바닥 에지에서 갑피(552, 652, 752)와 결합될 수 있다.Uppers 552, 652 and 752 may be made of any desired material and / or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For example, upper 552, 652, and 752 may comprise a multi-layer construction, wherein the various layers cover all or a portion of the entire upper region.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the upper 552, 652, and 752 may include an inner fabric or a fibrous layer and an outer "skin" layer (e.g., (Made of a thermoplastic polyethylene film to provide desired aesthetics to provide abrasion resistance or abrasion resistance in a particular region, to provide better support in a particular region), and / or to be sandwiched and / Mesh layer.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inner fabric or the fibrous layer, the mesh layer, and / or the sheath layer exten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552, 652, 752. Rather, the location (s) of the various layers may be used to create a " LOGO "or other design feature from the underlying mesh material with a different aesthetic appearance (for example to improve breathability, 652, and 752 by omitting the sheath layer in a particular region to provide theupper portion 552, 652, Also, as is known in the art, upper 552, 652, and 752 may form an ankle opening, and a comfort-improving foam or fabric ring may be provided around such ankle opening, if desire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552, 652, and 752 may include an inner strobel member (e.g., a strobel member that connects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material to be sewn to the inner and outer side edges of the upper The upper 552, 652, and 752 may be closed. Thesole structures 500, 600, 700 may be joined to the upper 552, 652, 752 at the strobel and its bottom edge using, for example, cement or adhesive, stitching or sewing, mechanical connectors,

다층 갑피 구성물은 신발류 분야에 공지되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한다면, 외피층은 통상의 방식으로 접착제 또는 핫 멜트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열 및/또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아래에 놓인 메시층(또는 다른 층)에 접착될 수도 있는 "비-재봉" 타입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원한다면, 외피층은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및/또는 재봉 시임(sewn seam)에 의해 아래에 놓인 메시층(또는 다른 층)과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추가적인 예로서, 원한다면, 갑피(552, 652, 752)(또는 그것의 부분들)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08828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0882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융착 기술을 사용하여 재료의 다양한 층을 접합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The multi-layered top construction may be manufactured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onventional manner as is known and used in the footwear field. For example, if desired, the outer skin layer may be adhered to the underlying mesh layer (or other layer), for example by application of heat and / or pressure, using an adhesive or hot melt material in a conventional manner. Non-sewn "type material. As a further example, if desired, the shell layer may be bonded to the underlying mesh layer (or other layer) by cement or adhesive and / or by sewn seam. As another further example, if desired, the upper 552, 652, 752 (or portions thereof)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552, , Or by joining the various layers of material using fusing techniques, each of these patent document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갑피(552, 652, 752)는 원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외부 외피층과 아래에 놓인 메시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다른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힐 카운터가 힐 영역에 제공되어 착용자의 힐에 대한 보다 많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힐 카운터는, 존재한다면, PEBAX, TPU 또는 다른 폴리머 재료와 같은 강성의 얇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요성, 통기성, 지지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타 등등을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필요하거나 원한다면, 제5 중족골 헤드 등의 부근의 바깥쪽 측부 영역에서, (보호 및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타 등등을 위해) 전족부 또는 발가락 영역과 같은 신발(550, 650, 750)의 다른 영역에 추가적인 지지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The upper 552, 652, and 752 may include other support elements that are sandwiched at desired locations, for example, between the outer sheath layer and the underlying mesh layer. For example, a heel counter may be provided in the heel area to provide more support for the heel of the wearer. The heel counter, if present, can be made of a thin, rigid plastic material such as PEBAX, TPU, or other polymer material (e.g., to control flexibility, breathability, support properties; Or the like). ≪ / RTI > (550, 650, 750), such as a forefoot or toe area (for providing protection and abrasion resistance, etc.), in the outer lateral region of the vicinity of the fifth metatarsal head or the like Additional suppor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갑피(552, 652, 752)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재료는 합성 가죽, 천연 가죽, 섬유, 이들 재료의 임의의 조합, 및/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른 재료 중 임의의 재료와 이들 재료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른 잠재적인 특징으로서, 원한다면, 갑피(552, 652, 752)의 적어도 일부 부분은 편물(knitting) 과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는, 갑피(552, 652, 752)의 적어도 대부분(또는 심지어 모두)이 편물 과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편물 섬유 구성요소는 경량이고 통기성이며 편안한 갑피 구성물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Other potential materials that may be used foruppers 552, 652, and 752 in accordance with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ynthetic leather, natural leather, fibers, any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and /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ny material and any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As another potential feature, at least some portions of the upper 552, 652, and 752, if desired, may be formed by a knitting process. Alternatively, in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most (or even all) of theuppers 552, 652, and 752 may be formed using a knitting process. The knitted fiber component may be used to provide a lightweight, breathable, and comfortable top component.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신발류 구조체(550)의 추가적인 상세내용이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신발류 구조체(550)는 농구화이다. 갑피(552)는 가죽, 다층 융착-접합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구성물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성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 농구화의 것과 같은 구성물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500)는, 예를 들어 후방 힐 영역 주위의 전족부 바깥쪽 측부 영역으로부터 밑창 구조체(500)의 전족부 안쪽 측부 영역으로 밑창 구조체(500)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5개의 적층된 파형부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f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100)와 유사한 대체적인 외관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500)의 5개의 파형부 구성은 현재의 농구화에 공통인 바와 같이 다소 높은 힐 구조를 생성하기 때문에 농구화에 아주 적합하다.Referring now to FIG. 5, additional details of thisexemplary footwear structure 550 will be described. Theexemplary footwear structure 550 is basketball shoes.Upper 552 may have a construction such as that of leather, a multi-layer fused-joint material, or any other construction made of other materials and / or components such as those known and used in the art. Thesole structure 500 of the present example comprises a series of five stacks of continuously extending, for example, around thesole structure 500 from the forefoot lateral side region around the rear heel region to the forefoot inward side region of thesole structure 500 And has an alternative appearance similar to thesole structure 100 shown in Figs. 1A and 1F,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cluding a wavy segment. The five wave configuration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500 is well suited for basketball as it creates a somewhat higher heel structure as is common to current basketball shoes.

파형부 외관이 유사하지만, 도 5의 밑창 구조체(500)는 도 1a 내지 도 1f의 밑창 구조체(100)와 구성적으로 상당히 상이하다. 본 밑창 구조체(500)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의 도 8a 내지 도 8f의 논의를 위해 보류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밑창 구조체(500)의 노출된 후방 부분(504)이 중창 구성요소(502)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및 수용하는 보호 요소를 구성한다라는 것이 적절하다. 후방 보호 구성요소(504)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보호 구성요소(104, 204, 304)와 같은 재료(예를 들면, 그 외측벽 에지 상에 하나 이상의 파형부 구조체가 형성된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함)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의 밑창 구조체(500)의 전방 부분(5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여)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2, 202, 302)와 유사할 수 있는 경량의 폼 중창 재료(502)의 노출된 부분을 구성한다. 중창 구성요소(502)가 여전히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지만, 본 도시된 예에서는,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502)의 적어도 일부 및 선택적으로 대부분이 보호 구성요소(50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발류 구조체(550)의 후방에서, 보호 구성요소(504)는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502)를 위한 케이지 또는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502)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504)의 전방 (개방) 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된다.The outline of the corrugated portion is similar, but thesole structure 500 of FIG. 5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figuration from thesole structure 100 of FIGS. 1A-1F. At this point in time, the exposedrear portion 504 of thesole structure 500 has been removed from the midsole component 502 (Fig. 8A),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sole structure 500 is reserved for discussion of Figs. 8A- ) Constituting a protective element which at least partly retains and receives a part of the protective element. Theback protection component 504 includes a material such as the variousprotective components 104, 204, 304 described above (including, for example, a polymer foam material having one or more corrugated structures formed on its outer wall edge) . ≪ / RTI > Thefront portion 502 of thesole structure 500 in this example is a lightweight portion of thesole structure 500 that may be similar to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02, 202, 302 (including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nd forms the exposed portion of thefoam core material 502. Although themidsole component 502 may still be extended to support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sole foot surface of the wearer's foot, in the illustrated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502 and,Element 504 is received. In this way, behind thefootwear structure 550, theprotective component 504 acts as a cage or carrier for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502. Thefoam midsole component 502 extends outwardly of the front (open) end of theprotective component 504,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신발류 구조체(650)의 추가적인 상세내용이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신발류 구조체(650)는 런닝화이다. 갑피(652)는 다층 융착-접합 재료, 섬유, 메시, 편물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구성물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성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 런닝화의 것과 같은 구성물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600)는, 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600)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적층된 파형부(610), 및 밑창 구조체(600)의 중족부 및 전족부 영역을 향해 힐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엇갈림식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를 포함하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도 2a 및 도 2f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200)와 유사한 대체적인 외관을 갖는다.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610)의 파형부들 사이의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의 상단 파형부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610)의 상단 파형부 위에서 시작된다.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610)는 힐-중족부간 영역에서, 예를 들어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의 개별 파형부 사이 또는 개별 파형부를 따르는 개재 영역에서 종단된다. 도 6이 바깥쪽 측면도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밑창 구조체(650)의 안쪽 측면도가 유사한 개재 파형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now to FIG. 6, additional details of thisexemplary footwear structure 650 will be described. Theexemplary footwear structure 650 is a running shoe.Upper 652 may be constructed from a composition such as a multi-layer fused-joint material, a fabric, a mesh, a knitted material, or any other conventional material, including compositions made of other materials and / or compositions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Lt; / RTI > Thesole structure 600 of the present example includes a first series of stackedcorrugated portions 610 extending, for example,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600, Having an alternative appearance similar to thesole structure 200 shown in Figures 2A and 2F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cluding a staggered forwardweb portion series 612 extending forward from the heel region towards the heel region. The frontcorrugated part series 612 starts in the intervening area between the corrugated parts of the rear heel corrugatedpart series 610. The upper corrugated portion of the frontcorrugated part series 612 starts above the upper corrugated part of the rear heel corrugatedpart series 610. The rear heelwedge portion series 610 is terminated in the heel-midgut region, for example, between the individual wedge portions of thefront wedge subseries 612 or the interleaving region along the individual wedge portions. Although FIG. 6 shows only the outer side view, the inner side view of the presentsole structure 650 may have a similar interposed wave configuration.

본 예시적인 런닝화(650)를 위한 밑창 구조체(600)는 도 2a 내지 도 2f의 밑창 구조체(200) 및 도 5의 밑창 구조체(500)보다 다소 짧고 프로파일이 낮다. 특히, 밑창 구조체(600)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5개의 파형부 대신에) 후방 힐 영역에 3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파형부(610), 및 힐 파형부(610)와 엇갈려 있는 3개의 수직으로 적층된 전방 파형부(612)를 포함한다. 요구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파형부의 개수 감소는 밑창 구조체(600)의 힐 영역에서 다소 작은 수직 높이를 제공한다.Thesole structure 600 for thisexemplary running shoe 650 is somewhat shorter and has a lower profile than thesole structure 200 of FIGS. 2A-2F and thesole structure 500 of FIG. In particular, thesole structure 600 includes three vertically stackedcorrugations 610 in the rear heel region (instead of the five corrugations shown in Figs. 2A-2F), and staggeredheel corrugations 610 And includes three vertically stackedfront wave portions 612. Although not requir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uch corrugations provides a somewhat smaller vertical height in the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600.

또한, 도 5의 밑창 구조체(500)와 마찬가지로, 밑창 구조체(600)의 노출된 후방 부분(604)은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602)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및 수용하는 보호 요소를 구성한다. 후방 보호 구성요소(504)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보호 구성요소(104, 204, 304)와 같은 재료(예를 들면, 그 외측벽 에지 상에 하나 이상의 파형부 구조체가 형성된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함)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의 밑창 구조체(600)의 전방 부분(6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여)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2, 202, 302)와 유사할 수 있는 경량의 폼 중창 재료(602)의 노출된 부분을 구성한다. 중창 구성요소(602)가 여전히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구조체(600)에서는,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602)의 적어도 일부 및 선택적으로 대부분이 보호 구성요소(60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발류 구조체(650)의 후방에서, 보호 구성요소(604)는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602)를 위한 케이지 또는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602)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604)의 전방 (개방) 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된다.5, the exposedrear portion 604 of thesole structure 600 comprises a protective element that at least partially retains and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602 do. Theback protection component 504 includes a material such as the variousprotective components 104, 204, 304 described above (including, for example, a polymer foam material having one or more corrugated structures formed on its outer wall edge) . ≪ / RTI > Thefront portion 602 of thesole structure 600 in this example is a lightweight portion of thesole structure 600 that may be similar to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02, 202, 302 (including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nd forms an exposed portion of thefoam core material 602.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exemplary structure 600, at least a portion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602 and, optionally, most of themidsole component 602, Is received within protection component (604). In this manner, behind thefootwear structure 650, theprotective component 604 acts as a cage or carrier for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602. Thefoam midsole component 602 extends outwardly of the front (open) end of theprotective component 604,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6(예를 들면, 런닝화(650)가 수평 접촉면 상에 배향되어 있음)에 도시된 수직 방향에 대해서, 힐 및/또는 중족부 영역은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610) 및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로부터의 인터위빙형 파형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밑창 구조체(600)의 힐 및/또는 중족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예를 들면, 라인(614)으로 도시됨)에 따라,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610)의 개별 파형부의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전방 파형부 시리즈(612)의 개별 파형부의 표면들과 만난다. 이러한 적층형 및/또는 인터위빙형 일련의 파형부는 이러한 힐/중족부 영역에 추가 지지를 제공하고 런닝화 밑창에 대한 양호한 지지를 제공한다.For the vertical direction shown in Figure 6 (e.g., the runningshoe 650 is oriented on a horizontal contact surface), the heel and / or midfoot region extends through the rear heelwedge portion series 610 and the front wedge sub- 612). ≪ / RTI > In other words, as the heel and / or the foo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600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t least in part of the region (shown asline 614, for example) With the surfaces of the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s of the frontcorrugated sub-series 612 locat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individual corrugated portions of the front corrugated sub-series. This stacked and / or interweaving series of corrugations provides additional support to such heel / midsole regions and provides good support for the running sole.

도 7은 트레이닝화(750)를 도시한다. 갑피(752)는 융착-접합 재료, 섬유, 메시, 편물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구성물 및/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성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 트레이닝화의 것과 같은 구성물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밑창 구조체(700)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재 파형부를 가지는 구성을 갖는다. 도 5의 밑창 구조체(500)와 마찬가지로, 밑창 구조체(700)의 노출된 후방 부분(704)은 중창 구성요소(702)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및 수용하는 보호 요소를 구성한다. 후방 보호 구성요소(704)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보호 구성요소(104, 204, 304)와 같은 재료(예를 들면, 그 외측벽 에지 상에 파형부 구조체들이 형성된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함)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의 밑창 구조체(700)의 전방 부분(7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여)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2, 202, 302)와 유사할 수 있는 경량의 폼 중창 재료(702)의 노출된 부분을 구성한다. 중창 구성요소(702)가 여전히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구조체(700)에서는,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702)의 적어도 일부 및 선택적으로 대부분이 보호 구성요소(70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발류 구조체(750)의 후방에서, 보호 구성요소(704)는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702)를 위한 케이지 또는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702)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704)의 전방 (개방) 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된다.FIG. 7 showstraining 750. The upper 752 may have a construction, such as that of any conventional traction, including components made of fusion-bonded materials, fibers, meshes, knitted materials or other materials and / or components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 Thesole structure 700 of the present example has a configuration having an intervening wave portion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Like thesole structure 500 of FIG. 5, the exposedrear portion 704 of thesole structure 700 constitutes a protective element that at least partially retains and receives a portion of themidsole component 702. Theback protection component 704 may be fabricated from a material such as the various protective components 104,204 and 304 described above (including, for example, a polymer foam material having corrugated structures formed on its outer wall edge) . Thefront portion 702 of thesole structure 700 in this example is a lightweight portion of thesole structure 700 that may be similar to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s 102, 202, 302 (including the same or similar materials) And forms the exposed portion of thefoam core material 702.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exemplary structure 700, at least a portion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702 and, optionally, a majority of the majority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702, Is received withinprotection component 704. In this way, behind thefootwear structure 750, theprotective component 704 acts as a cage or carrier for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702. Thefoam midsole component 702 extends outwardly of the front (open) end of theprotective component 704,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700)에서, 보호 구성요소(704)의 후방 힐 영역 및 중창 폼 구성요소(702)의 전방 발가락 영역 모두는 수직으로 적층된 3개의 파형부 구조체(힐 파형부가 전족부 파형부보다 다소 깊음)를 포함한다. 그러나, 적어도 트레이닝화(750)의 바깥쪽 측부를 따르는 중족부-전족부간 영역에는, 다양한 다른 타입의 지지 특징부가 제공된다(그렇지만, 원한다면, 유사한 구조체가 안쪽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음). 도 7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가 (본 예에서는, 폼 중창 구성요소(702)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700)의 바깥쪽 측부의 바닥을 따라 제공된다.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는 밑창 구조체(700)의 제5 중족골 지지 영역에 근접하여 그로부터 수직 하방에 위치된다.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가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로부터 다소 후방 및 상방에 제공된다.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는 본 예시적인 구조체(700)에서 폼 중창 구성요소(702)와 보호 구성요소(704) 사이의 결합부를 브리징(bridging)하고, 밑창 구조체(700)의 중족부 또는 아치형 영역에서 더 뾰족해진다.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는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보다 대체로 긴 단부간 길이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가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로부터 다소 전방 및 상방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의 적어도 대부분(및 잠재적으로 모두)은 폼 중창 구성요소(702)에 형성된다.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는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와 수직으로 중첩하고, 밑창 구조체(700)의 제5 중족골 헤드 지지 영역에 근접하여 그로부터 수직 하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는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보다 짧은 (단부간) 길이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4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6)는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로부터 다소 후방 및 상방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4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6)는 또한 중창 구성요소(702)와 보호 구성요소(704) 사이의 결합부를 브리징하지만, 그 대부분이 중창 구성요소(702)에서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의 전방에 위치된다. 제5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8)가 제4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6)로부터 다소 전방 및 상방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5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8)의 적어도 대부분(및 잠재적으로 모두)은 폼 중창 구성요소(702)에 형성된다. 제5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8)는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및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와 수직으로 중첩하고, 밑창 구조체(700)의 제5 중족골 헤드 지지 영역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5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8)는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및/또는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보다 짧은 길이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700, both the rear heel reg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704 and the front toe region of themidsole foam component 702 comprise three vertically stacked corrugator structures (the heel- Somewhat deeper). However, at least in the mid-forefoot region along the outer side of thetraining shim 750, various other types of support features are provided (although similar structure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if desired). 7, a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is provided along the bottom of the outboard side of the sole structure 700 (in this example, in the foam midsole component 702) .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is loc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and proximate to the fifth metatarsal suppor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700. [ A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2 is provided somewhat rearward and upward from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The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2 bridges the coupling between thefoam midsole component 702 and theprotective component 704 in theexemplary structure 700 and provides themidsole portion 700 of thesole structure 700, Or in the arcuate region. The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2 may have a generally longitudinal length dimens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and the generally longer end. A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is provided somewhat forward and upward from the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2. At least most (and potentially all) of these third support ribs orelements 714 are formed in thefoam midsole component 702. A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overlies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vertically and is loc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and proximate to the fifth metatarsal head suppor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700. This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may have a shorter (end to end) longitudinal dimension than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A fourth support rib orelement 716 is provided somewhat rearward and upward from the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 This fourth support rib orelement 716 also bridges the coupling between themidsole component 702 and theprotection component 704 but most of it bridges themidsole component 702 to the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2 As shown in Fig. A fifth support rib orelement 718 is provided somewhat forward and upward from the fourth support rib orelement 716. [ At least most (and potentially all) of these fifth support ribs orelements 718 are formed in thefoam midsole component 702. The fifth support rib orelement 718 overlaps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and the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vertically and is adjacent to the fifth metatarsophal head suppor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700 . The fifth support rib orelement 718 may have a shorter length dimension than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and / or the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따라서, 제1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제2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 제3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4), 제4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6), 및 제5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8)는 후방 힐 보호 구성요소(704) 및 전방 폼 중창 구성요소(702)에서의 파형부 구조체들 사이의 파형부 구조체의 불연속부를 생성한다. 이들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2, 714, 716 및/또는 718)는, 예를 들어 착용자 발의 제5 중족골 헤드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본 밑창 구조체(700)의 바깥쪽 중족부 및/또는 전족부 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이것은, 발의 외측을 밀 때, 예를 들어 급격한 터닝(turning) 또는 커팅(cutting) 동작을 할 때와 같은 트레이닝 활동 동안에 착용자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Thus, the first support rib orelement 710, the second support rib orelement 714, the third support rib orelement 714, the fourth support rib orelement 716, and the fifth support rib orelement 718 create discontinuities in the corrugation structure between the corrugation structures in the rearheel protection component 704 and the frontfoam midsole component 702. These supporting ribs orelements 710, 712, 714, 716 and / or 718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fifth metatarsophalangeal head of the wearer's foot by an outer midline portion of thesole structure 700 and /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area. This provides additional support to the wearer during training activities, such as when performing a sharp turning or cutting operation, for example, when pushing the outside of the foot.

다른 특정 구조가 가능하지만, 본 도시된 예에서,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2, 714, 716, 718)는 밑창 구조체(7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융기형 피라미드식 구조로서 형성된다.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2, 714, 716, 718)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다른 도면에 도시된 인터위빙형 파형부 구조체와 다소 유하게 배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 및 716)는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4 및 718)들 사이의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2, 714, 716, 718)는 또한 지지 리브 또는 요소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위치된 파형부들 사이의 개재 영역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특히,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2, 716 및 718)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크는 상단 전방-바닥 후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한다. 또한, 지지 리브 또는 요소(710, 714 및 718)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크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한다.Support ribs orelements 710, 712, 714, 716, 718 are formed as raised pyramidal structures that extend outwardly from the sides of thesole structure 700, although other specific structures are possible. The supporting ribs orelements 710, 712, 714, 716, 718 may be oriented somewhat better than the interweaving type waveguide structures shown in the various other figure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support ribs orelements 712 and 716 begin in an intervening region between the support ribs orelements 710, 714 and 718. The supporting ribs orelements 710, 712, 714, 716, 718 may also start in an intervening region between corrugations positioned forward and / or rearward of the supporting rib or element. In particular, the peaks extending outwardly of the supporting ribs orelements 712, 716 and 718 substantially align in the upper front-bottom 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peaks extending outwardly of the support ribs orelements 710, 714 and 718 substantially align vertically from top to bottom.

도 7의 지지 리브 또는 요소 구조체는 단지 바깥쪽 및/또는 안쪽 측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및/또는 트레이닝화(700)의 지지 특징을 변경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구조체의 예를 구성한다. 서로에 대해서 상이한 개수의 리브, 상이한 배열의 리브, 상이한 형상의 리브, 및/또는 상이한 상대 배향의 리브를 포함하는 다른 지지 변경 구성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원한다면, 인접한 파형부 구조체 사이에 단순 갭이 제공되어, 예를 들어 갭에서 지지 또는 느낌을 변경할 수 있다. "갭"은 파형부 구조체들 사이의 폼 재료 또는 매끄러운 폼 재료 내의 실제 간격(actual spacing)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rib or element structure of Figure 7 constitutes an example of a structure to provide only outer and / or inner side support (and / or to modify or control the support features of the training 700). Other support changing configuration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cluding a different number of ribs, ribs of different arrays, ribs of different shapes, and / or ribs of different relative orienta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lso, if desired, a simple gap may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sub-structures to change the support or feel in the gap, for example. The "gap" may include the actual spacing in the foam material or the smooth foam material between the corrugated structures.

도 5 내지 도 7의 밑창 구조체(500, 600, 700)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 도 8a 내지 도 8f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a는 후방 보호 구성요소(804), 및 이 보호 구성요소(802)의 전방으로 그리고 그 자유 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800)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보호 구성요소(804) 및 폼 중창 구성요소(802)가 서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도시하지만,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되기 전을 도시한다. 도 8b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이들 2개의 부품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8c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이들 2개의 부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802)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후방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지 또는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802)는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기 위한 상측 지지면(802a)을 갖는다(그렇지만, 원한다면, 보호 구성요소(804)가 또한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 부분을 직접 지지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음). 보호 구성요소(804)의 전방 자유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에 부가하여, 폼 중창 구성요소(802)는 보호 구성요소(804)의 바닥면에 형성된 힐 개구부(806)를 통해 노출된다. 이러한 바닥 개구부(806)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 밑창 구조체(800)의 가요성 특성을 제어 및 변경할 수 있게 한다.One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sole structures 500, 600, 700 of Figs. 5-7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Figs. 8A-8F. 8A shows a rear side view of the exemplarysole structure 800 including a rearside protection component 804 and afoam midsole component 802 extending outwardly of the free end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2, FIG. 8A shows theprotective component 804 and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being fitted together but before they are secured to each other, for example, using an adhesive or cement. Fig. 8B shows a bottom view of these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8C shows a plan view of these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can be seen from these figures, theprotective component 802 acts as a cage or carrier that accommodates the rear portion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has anupper bearing surface 802a for supporting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soles foot surface of the wearer's foot (although, if desired, theguard component 804 also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es foot surface of the wearer's foot To provide a surface for directly supporting the portion). In addition to extending outside the front free end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is exposed through aheel opening 806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By providing thisbottom opening 806, it is possible to lighten the weight and at the same time to control and change the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sole structure 800.

본 예시적인 구조체(800)에서, 폼 중창 구성요소(802)는 구성요소(102, 202, 302)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타입의 경량의 폼 재료를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폼 재료(또는 폼 재료의 조합)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한다면, 폼 중창 구성요소(802)에는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식 블래더, 기계적 충격 흡수 구조체, 및/또는 충격력 감쇠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조체가 매립 또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도시된 예에서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는 폼 재료의 단일의 중실 피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설명된 경량이고 및/또는 덜 조밀한 폼 재료 중 하나를 구성한다.In thisexemplary structure 800,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includes a lightweight foam material of the typ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components 102, 202, 302, Of a desired foam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foam materials). Optionally, if desired,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may be embedded or otherwise included with one or more fluid-filled bladders, mechanical impact absorbing structures, and / or other structures to provide impact damping. Howev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comprises a single solid piece of foam material, preferably one of the lightweight and / or less dense foam materials described above.

본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800)의 보호 구성요소(804)는 또한 신발류 분야에서 중창 재료로서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폴리머 폼 재료를 포함하는 폴리머 폼 재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로서, 보호 구성요소(804)는 폴리우레탄 폼,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폼, 파일론, 또는 다른 알려진 중창 폼 또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구조체에서, 보호 구성요소(804)에 사용되는 폴리머 폼 재료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에 사용되는 폼 재료보다 무겁고, 조밀하며 및/또는 내구성있는 폼 재료(예를 들면, 내마모성, 내마멸성 등)이다.Theprotective component 804 of the illustrated exemplarysole structure 800 may also constitute a polymer foam material including conventional polymer foam materials as known and used as mouthfeel material in the footwear field. As some more specific examples,protective component 804 may be made of polyurethane foam, ethyl vinyl acetate ("EVA") foam, pylon, or other known midsole foam or material. In some exemplary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c foam material used for theprotective component 804 is heavier, denser and / or durable than the foam material used for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Abras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etc.).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804)의 폴리머 폼 재료는 적어도 그 주변 에지의 부분(들) 주위에 형성된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내지 도 8c는 보호 구성요소(804)(도 5 내지 도 7의 보호 구성요소와 같음)가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측 쉘을 구성할 수 있으며, 외측 쉘은 바깥쪽 측벽(804a); 안쪽 측벽(804b); 안쪽 측벽(804b) 및 바깥쪽 측벽(804a)을 연결하는 후방 힐 벽(804c); 및 안쪽 측벽(804b), 바깥쪽 측벽(804a) 및 후방 힐 벽(804c)을 연결하는 바닥 벽(804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보호 구성요소(804)의 폴리머 폼 재료의 파형부 구조체는 바깥쪽 측벽(804a)의 적어도 일부분, 후방 힐 벽(804c), 및 안쪽 측벽(804b)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부면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보호 구성요소(804)의 폴리머 폼 재료의 파형부 구조체는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인터위빙형 파형부, 지지 리브 또는 요소, 수직 리브, 갭, 및/또는 임의의 다른 파형부 구조체, 특징부 및/또는 옵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8A-8C, the polymeric foam material ofprotective element 804 may comprise a corrugator structure formed around at least the portion (s) of its peripheral edge. 8A-8C illustrate that the protective component 804 (which is the same as the protective component of FIGS. 5-7) may constitute an outer shell comprising a corrugated structure,Side walls 804a; Aninner sidewall 804b; Arear heel wall 804c connecting theinner sidewall 804b and theouter sidewall 804a; And abottom wall 804d connecting theinner side wall 804b, theouter side wall 804a and therear heel wall 804c. In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 polymeric foam material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outer sidewall 804a, arear heel wall 804c,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inner sidewall 804b And extends continuously around the outer surface.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 polymeric foam material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may also include any of the interwoven corrugated portions, support ribs or elements, vertical ribs, gaps, and / or any other corrugated structures, features and / Or an option.

도 8a 내지 도 8c는 적어도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힐 부분이 보호 구성요소(804)의 바깥쪽 측벽(804a), 안쪽 측벽(804b), 후방 힐 벽(804c) 및 바닥 벽(804d)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또한 도시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전족부 단부는 본 예시적인 구조체(800)에서 바깥쪽 측벽(804a)의 전방 단부 및 안쪽 측벽(804b)의 전방 단부를 지나서 연장된다.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이러한 중족부 단부는 최종 밑창 구조체(800)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8A-8C illustrate that at least the heel portion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is positioned on theouter sidewall 804a, theinner sidewall 804b, therear heel wall 804c and thebottom wall 804d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As shown in Fig. The forefoot end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extends past the forward end of theouter sidewall 804a and the forward end of theinner sidewall 804b in theexemplary structure 800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is midpoint end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may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in the finalsole structure 800.

적어도 도 7에 대해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804)의 외부측 에지면 및 폼 중창 구성요소의 외부측 에지면 모두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구성요소(804)의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후방 힐-안쪽 측부 주위로 (연속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인터위빙형 파형부, 다른 지지부, 및/또는 다른 특징부로 인해) 불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폼 중창 구성요소(802)는 밑창 구조체(800)의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특정의 도시된 예에서,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파형부 구조체는 2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7 at least, bo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can include a corrugated sub-structure. For example,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side-rear heel-inner side of the sole structure (either continuously or (E.g., due to other feature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may include a corrugated sub-structure extending around the front toe region of thesole structure 800. [ In this particular illustrated example,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includes three corrugated lateral ridges connected by two corrugated areas.

구성요소(802 및 804) 모두가 파형부 구조체를 갖는 경우,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파형부 구조체는 보호 구성요소(804)의 파형부 구조체와 연속하여 연장될 수 있거나 연장될 수 없다. 이들 파형부 구조체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예를 들어 지지 리브 또는 다른 요소에 의해, 개재 파형부에 의해, 밑창 구조체 내의 갭에 의해, 매끄러운 폼 재료에 의해, 외부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 지지부에 의해, 전이 영역에 의해, 또는 기타 등등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파형부 구조체에서의 이러한 "중단부(interruption)"는, (예를 들면, 보다 자연스러운 운동 굽힘성을 지지하는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전족부 영역 및 밑창 구조체의 안쪽 전족부 영역, (예를 들면, 커팅 또는 터닝 동작에 대한 추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전족부 영역, 및/또는 (예를 들면, 자연스러운 운동 가요성 특성을 포함하는 원하는 지지 및/또는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원하는 위치와 같은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If bothcomponents 802 and 804 have a waveguide structure, the waveguide structure offoam midrange component 802 may not extend or extend continuously with the waveguide structure ofprotective component 804. These corrugated sub-structures may be provided by an outer plastic or composite support, for example by a supporting rib or other element, by an intervening corrugation, by a gap in the sole structure, by a smooth foam material, , By a transition region, or the like. Such "interruption " in the corrugated subassembly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the outer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and the inner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e.g., to provide a position that supports more natural motion bending properties) (E.g.,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cutting or turning operations), and / or to provide an outer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and / or to provide desired support and / or flexibility including natural motion flexib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at a desired location.

폼 중창 구성요소(802) 및/또는 보호 구성요소(80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바닥면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 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구조체(800)의 적어도 일부 부분에 대해, 내마모성 및 내구성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마멸성 또는 내마모성 재료가 이들 구성요소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d는 보호 구성요소(804)의 바닥면에, 선택적으로는 보호 구성요소(804)의 힐 영역에 형성(예를 들어, 몰딩 또는 절단)된 리셉터클(822) 내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바닥창 구성요소(820)를 도시한다. 도 8e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바닥면에, 선택적으로는 폼 중창 구성요소(802)의 전족부 영역(영역(826))에 형성(예를 들면, 몰딩 또는 절단)된 리셉터클 또는 다른 영역 내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바닥창 구성요소(824)를 도시한다. 도 8f는 이들 부품, 및 이러한 부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들 바닥창 구성요소(820, 824)는 고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바닥창 재료(또는 바닥창 재료의 조합)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바닥창 구성요소(820, 824) 중 하나 이상은 탈착가능한 클리트 구조체를 수용하기 위한 클리트 구조체 또는 리셉터클을 구성할 수도 있다.Additional component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y or all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and / or theprotective component 804. [ For example,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sole structure 800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use, a wear resistant or abrasion resistant material may be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se components to improve wear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 8D illustrates anexemplary floor window 804 that may be applied within thereceptacle 822 that is formed (e.g., molded or cut) in the heel reg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804, 820 < / RTI > 8E illustrates a receptacle or other region (not shown) formed (e.g., molded or cut) in the bottom surfac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optionally in the forefoot region (region 826)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802 0.0 > 824 < / RTI > Figure 8f shows these parts, and how these parts fit together. Thesefloor window components 820, 824 can be made of any desired floor window material (or combination of floor window material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rubb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the lik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one or more of thebottom window components 820, 824 may constitute a cleat structure or receptacle for receiving a removable cleat structure.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900)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밑창 구조체(900)에서,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타입의)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902)는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902a)을 포함한다. 폼 보호 구성요소(904)(선택적으로는 임의의 원하는 타입의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함)는 적어도 중창 구성요소(902)의 측부 주위로 연장되고, (본 예에서는, 후방 힐 영역 주위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까지) 중창 구성요소(902)의 그러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지 또는 캐리어로서 작용한다. 복수의 바닥창 보호 구성요소(906a, 906b, 906c, 906d)가 폼 중창 구성요소(902)의 바닥(및/또는, 보호 구성요소(904)가 밑창 구조체(900)의 외부 바닥면에 노출되는 경우, 보호 구성요소(904)의 바닥)의 다양한 영역을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본 도시된 예에서, 바닥창 구성요소(906a)는 폼 중창 구성요소(902)(및/또는 보호 구성요소(904))의 한쪽 힐 측부를 보호하고, 바닥창 구성요소(906b)는 폼 중창 구성요소(902)(및/또는 보호 구성요소(904))의 후방 힐 영역을 보호하며, 바닥창 구성요소(906c)는 폼 중창 구성요소(902)(및/또는 보호 구성요소(904))의 다른쪽 힐 측부를 보호한다. 전족부 영역에 있는 비교적 큰 바닥창 보호 구성요소(906d)는 폼 중창 구성요소(902)(및/또는 보호 구성요소(904))의 바닥의 전족부 영역의 모두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을 덮는다. 이들 다양한 구성요소는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부품에 대해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고 상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개별 구성요소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하나 이상의 별개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Figure 9 provide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exemplarysole structure 900 in accordance with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sole structure 900, the lightweight foam midsole component 902 (e.g.,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ncludes a support surface 902a for supporting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sole surface of the wearer's foot do. The foam protection component 904 (optionally including any desired type of corrugator structure) extends at least around the side of themidsole component 902, and in this example, And serves as a cage or carrier for receiving such portions of themidsole component 902, from the midfoot or forefoot region to the inner midfoot or forefoot region. A plurality of bottomwindow protection components 906a, 906b, 906c and 906d may b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902 (and / or theprotective component 904 is exposed to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ole structure 900)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omponent 904).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bottom window component 906a protects one heel side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9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904), and thebottom window component 906b protects the one- (And / or protective component 904), while thebottom window component 906c protects the foam midsole component 9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904) To protect the other side of the heel. The relatively large floorwindow protection component 906d in the forefoot area covers most, if not all, of the forefoot area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902 (and / or the protective component 904). These various components can be joined together in any desired manner, for example, by cement or adhesive, by mechanical connectors, or in any other manner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These components may be made of any of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for the corresponding parts. Further, any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FIG. 9 and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one or more separate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는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가 힐 및/또는 중족부 영역에서 보호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또한,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영역에서 노출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밑창 구조체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한다면,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 및 보호 구성요소의 노출된 부분은 본질적으로 도 5 내지 도 9의 구조체에서 단부를 "플립-플롭(flip-flop)"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는 전족부 및/또는 중족부 영역에서 보호 구성요소에 의해 덮인다(또한,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서 노출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됨).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와 보호 구성요소 사이의 크기, 형상 및/또는 결합 영역에 대한 변경은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폭넓게 변화될 수도 있다.5 to 9 show a sole structure in which a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is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a protective component in the heel and / or midsole region (and which extends outward to be exposed in the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However,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desired, the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protective component can essentially form an end "flip-flop" in the structure of Figures 5 to 9, The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is covered by a protective component in the forefoot and / or midfoot region (and also extends outward to be exposed in the heel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Modifications to the size, shape and / or engagement area between the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and the protective component may also vary wide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10a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02)의 바닥면(1002a)을 도시한다. 본 예시적인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002)의 바닥면(1002a)은 중창 구성요소(1002)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의 확장 또는 "구상(bulbous)"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상 영역(1004a)은 중창 구성요소(1002)의 후방 힐 영역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착용자가 걸음을 내딛거나 점프를 착지할 때에 대해, 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및/또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구상 영역이 밑창 구조체(1000)의 전족부 영역에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상 영역(1004b)이 예를 들어 중창 구성요소(1002)의 바깥쪽 측부 상의 제5 중족골 헤드 영역 아래에 제공된다. 제3 구상 영역(1004c)은 구상 영역(1004b)의 중심에 대해 다소 전방 및 안쪽으로 중심설정되어(예를 들면, 밑창의 제5 중족골 헤드 지지 영역 아래(즉, 엄지발가락의 중족골 헤드 영역 아래)에 위치된 바깥쪽 측부에) 위치된다. 제4 구상 영역(1004d)은 제3 구상 영역(1004c)의 전방에(예를 들면, 엄지발가락 및/또는 인접한 발가락 아래에 위치된 바깥쪽 측부에) 위치된다.10A and 10B illustrate additional featur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shows thebottom surface 1002a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002,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bottom surface 1002a of this exemplary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002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ded or "bulbous" areas at various locations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 Onebulbous region 1004a is provided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and provides additional impact damping and / or a comfortable and soft feel, for example when the wearer takes a step or landing jump do. Additional contemplated regions are provided in the forefoo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000. More specifically, aspherical region 1004b is provided below the fifth metatarsal head region, for example, on the outer side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The thirdspherical region 1004c is centered somewhat forward and inward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spherical region 1004b (e.g., below the fifth metatarsal head bearing region of the sole (i.e., below the metatarsal head region of the big toe) As shown in Fig. The fourthspherical region 1004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thirdspherical region 1004c (e.g., on the outer side positioned under the big toe and / or the adjacent toe).

본 예시적인 구조체(1002)에서의 구상 영역(1004a 내지 1004d)은, 달리기(또는 걷기), 걸음 내딛기 또는 점프 착지, 점프 개시 등과 같은 특정 활동 동안에 착용자 발 아래에서의 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및/또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전형적인 걸음 사이클(step cycle) 동안, 런너(runner)는 발의 바깥쪽 힐 측부를 향해 걸음을 내딛는다. 구상 영역(1004a)은 본 중창 구성요소(1002)의 후방 힐 영역에 제공되어 이러한 힐의 부딪침 시에 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및/또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걸음을 계속함에 따라, 발이 전방으로 롤링(rolling)하고 밑창의 바깥쪽 측부 에지가 지면과 접촉한다. 구상 영역(1004b)은 본 중창 구성요소(1002)의 바깥쪽 측부 영역(새끼발가락 아래)에 제공되어 걸음 사이클에서의 이러한 때에 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및/또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발이 전방으로 롤링을 계속함에 따라, 발은 또한 안쪽 측부를 향해 내측으로 롤링하기 시작하고, 결국 런너는 제1 중족골 헤드 영역 및/또는 엄지발가락(및 아마도 인접한 발가락)을 사용하여 지면을 밀게 된다. 구상 영역(1004c, 1004d)은 본 중창 구성요소(1002)의 안쪽 전족부 측부 영역(발의 공형상부(ball) 및/또는 엄지발가락 영역 아래)에 제공되어 걸음 사이클에서의 이러한 때에 추가적인 충격력 감쇠 및/또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Thespherical regions 1004a through 1004d in theexemplary structure 1002 provide additional impact damping and / or comfort under the wearer's foot during certain activities, such as running (or walking), walking or jump landing, And are arranged to provide a soft feel. During a typical step cycle, the runner steps toward the outer heel side of the foot.Condensed area 1004a is provided in the rear heel area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to provide additional impact damping and / or a comfortable and soft feel at the time of such heel mating. As the foot continues to roll, the foot rolls forward and the outboard side edge of the so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bulbous region 1004b is provided in the outer lateral region (under the young toe)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to provide additional impact damping and / or a comfortable and soft feel at this time in the walking cycle. As the foot continues rolling forward, the foot also begins to roll inward toward the inner side and eventually the runner pushes the ground using the first metatarsal head area and / or the big toe (and possibly the adjacent toe). Thebulbous regions 1004c and 1004d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front side region of the midsole component 1002 (below the ball and / or the big toe region of the foot) to provide additional impulse attenuation and / Provides a comfortable and soft feel.

도 10b는 도 10a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타입의 중창 구성요소(1002)가 그 내에 포함되는 밑창 구조체(1000)의 바닥면(1000a)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000)의 바닥은 구상 영역(1004a 내지 1004d) 아래에 놓이는 트랙션 요소 및/또는 다른 특징부(예를 들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얇은 웨브형 보호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형성됨)를 포함한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밑창 구조체(1000) 및 그러한 위치 위의 폼 재료의 구상 특성은 구상 영역(1004a 내지 1004d)에서 양호한 충격력 감쇠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창 구성요소(1002)의 폼 재료가 충분히 민감하게 반응한다면, 이들 구상 영역(1004a 내지 1004d)의 적어도 일부는 발에 대해 복원 에너지(return energy)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면, 충격력이 줄어들고(발이 다음 걸음을 위해 들어올려질 때) 폼 중창 구성요소(1002)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할 때 착용자의 발바닥 표면에 발 부상력(lifting force)을 가함).Figure 10B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bottom surface 1000a of thesole structure 1000 in which themidsole component 1002 of the typ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ure 10A is included. As shown in the figures, the bottom of thesole structure 1000 may include a traction element and / or other features (e.g., a thin web-like Formed as part of the protective component). Thesole structure 1000 and the spherical character of the foam material on such location at various locations help to provide good impact damping inspherical regions 1004a through 1004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f the foam material of themidsole component 1002 responds sufficiently sensitively, at least some of thesespherical regions 1004a through 1004d may provide return energy to the feet For example, when the impact force is reduced (when the foot is lifted for the next step), themidsole component 1002 applies a lifting force to the soles surface of the wearer's foot as i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4개의 별도 구상 영역이 설명되고 도 10a에 대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이격되어 있지만, 이것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오히려,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구상 영역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패턴의 구상 영역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중창 구성요소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구상 영역을 갖지 않거나,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구상 영역(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됨)을 포함하는 임의의 개수의 구상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상 영역(들)은, 선택적으로 신발의 의도된 사용에 따라서,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충격력 감쇠, 부드러운 느낌 및/또는 복원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구상 영역은 또한 도 2b 내지 도 2f, 도 3a, 도 3b 및 도 7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의 바닥에서 볼 수 있고, 임의의 원하는 밑창 구조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Although four separate contour regions are described and spaced apart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ure 10A, this is not a requirement. Rather, any desired pattern of spherical regions, including more or fewer spherical regions, may be provided to the midsole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The so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number of spherical regions that do not have spherical regions or contain one, two or more spherical regions (arranged in any manner). The bulging region (s) may be arranged to provide impact damping, soft feel and / or restoration energy at any desired location, optionally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shoe. This type of spherical area is also visible at the bottom of the sole structure shown in Figs. 2B-2F, 3A, 3B and 7, and may be included in any desired sole structure.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1100)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농구화(1150)를 도시한다. 도 11a는 농구화(1150)의 바깥쪽 측면도이고, 도 11b는 농구화(1150)의 안쪽 측면도이며, 도 11c는 농구화(1150)의 후방 힐 도면이다. 이러한 농구화(1150)는 다층의 융착 접합 타입의 갑피 구성을 갖는 갑피(1152)를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갑피(115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특징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1100)와 결합된다. 갑피(1152)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상의 방식으로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1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로서, 갑피(1152) 및 밑창 구조체(1100)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스티칭 또는 재봉에 의해, 또는 기타 등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11A-11C illustrate anotherexemplary basketball 1150 that includes asole structure 1100 in accordance with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n outside side view of thebasketball formation 1150, Fig. 11B is an inside side view of thebasketball formation 1150, and Fig. 11C is a rear heel drawing of thebasketball formation 1150. Fig. Such abasketball hoop 1150 includes an upper 1152 having a multi-layer fusion splicing type upper configuration, bu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Upper 1152 is associated with asole structure 1100 comprising features according to at least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Upper 1152 can be coupled withsole structure 1100 in any desired mann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in a conventional manner as known and used in the art.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the upper 1152 andsole structure 1100 can be joined together, for example, by cement or adhesive, by mechanical connectors, by stitching or sewing, or the like have.

본 도시된 예의 밑창 구조체(1100)는 3개의 주요 구성요소 부품을 포함한다. 제1 부품은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타입의 경량(및 저밀도) 중창 구성요소(1102)를 구성한다. 이러한 폼 중창 구성요소(1102)는 착용자 발의 발바닥 표면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중창 구성요소(1102)의 일부분은, 본 도시된 예에 있어서, (a) 적어도 중족부 영역에서 바깥쪽 측부 에지를 따르는 위치(도 11a 참조); (b) (선택적으로, 적어도 바깥쪽 측부에서) 전방 발가락 영역(도 11a 참조); (c) 안쪽 측부 에지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를 따르는 위치(도 11b 참조); (d) 안쪽 측부 상의 상측 후방 힐 영역의 일부분(도 11c 참조)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에서 신발류 구조체(1150)의 외측면에 노출된다. 이러한 폼 중창 구성요소(1102)는, 다른 경량의 폼 중창 구조체에 대해 상기에서 대체로 설명된 바와 같이, 착용자 발에 대해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Thesole structure 1100 of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three major component parts. The first part constitutes, for example, the various types of lightweight (and low density)midsole components 1102 described above.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may extend to support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sole surface of the wearer's foot. A portion of themidsole component 1102 includ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a position along the outer side edge at least in the midfoot region (see FIG. 11A); (b) (optionally, at least on the outer side) a front toe region (see Fig. 11A); (c) a position along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inner side edges (see Figure 11b); (FIG. 11C) of the upper rear heel region on the inner side (FIG. 11D) and the upper rear heel region (FIG. 11C) on the inner side of thefoot structure 1150.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provides a soft, comfortable feel to the wearer's foot, as generally described above for other lightweight foam midsole structures.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100)의 제1 부품은 폼 중창 구성요소(11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보호 구성요소(1104)이다. 본 도시된 예의 보호 구성요소(1104)는 경량의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폼 재료보다 조밀하거나 무거운 폼 구성을 가질 수 있는 폴리머 폼 타입의 보호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본 도시된 예에서, 보호 구성요소(1104)의 하나의 부분은 밑창 구조체(1100)의 바깥쪽 중족부 및/또는 힐 영역으로부터, 밑창 구조체(1100)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그리고 밑창 구조체(1100)의 안쪽 힐 영역으로 넘어가서 연장된다. 도 11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폼 중창 구성요소(1102)는 보호 구성요소(1104) 뒤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밑창 구조체(1100)의 후방 힐 영역에서 농구화(1150)의 외부면에 노출된다. 보호 구성요소(1104)의 다른 부분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화(1150)의 바깥쪽 전족부 영역에 제공된다. 보호 구성요소(1104)의 이러한 바깥쪽 전족부 부분은 단일의 일체형 구성으로서 후방 힐 영역의 보호 구성요소 부품(11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개 부품일 수도 있다. 본 예의 보호 구성요소(1104)의 다른 부분은 밑창 구조체(1100)의 전방 발가락 말단 영역에 제공되고, 안쪽 측부로부터 바깥쪽 측부까지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 보호 구성요소(1104)의 이러한 전방 발가락 부분은 (단일의 일체형 구성으로서) 전술한 다른 보호 구성요소 부품(1104) 중 하나 이상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개 부품일 수도 있다.The first component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100 is aprotective component 1104 that at least partially receives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of the illustrated example constitutes a protective component of a polymer foam type that may have a foam structure that is heavier or heavier than the foam material of the lightweightfoam midsole component 1102.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e port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extends from the outer midpoint and / o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100, around the rea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100, 1100). ≪ / RTI > 11C, thefoam midsole element 1102 extends outward from the rear of theprotective element 1104 and extends outwardly from the back surface of thesole structure 1100 to the outer surface of thebasketball shoe 1150 Exposed. Other portions of theprotection component 1104 are provided in the outer forefoot region of thebasketball hood 1150 as shown in FIG. 11A. This outer foreleg port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protective component part 1104 of the rear heel region as a single integral configuration, or it may be a separate component. Another portion of theprotective element 1104 of the present example is provided in the front toe end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100 and extends around the front toe region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These front toe portions ofprotective element 110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or more of the other protective component parts 1104 (as a single integral configuration), or may be separate components.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100)의 제3 부품은 중창 폼 구성요소(1102) 및/또는 폴리머 폼 보호 구성요소(1104) 중 하나 이상의 바닥측과 결합되는 보호 구성요소로서 기능을 할 수도 있는 바닥창 요소(1106)이다.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100)의 바닥창 요소(1106)는 농구화(1150)의 바닥면의 주요 부분을 덮는다. 이러한 바닥창 요소(1106)는 홈, 리지, 너브(nub), 헤링본, 및/또는 다른 트랙션 향상 구성요소와 같은 트랙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너브(1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바닥창 너브는 밑창 구조체(1100)의 부드러운 접촉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바닥면의 구상 영역(도 10a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구상 영역과 유사함)을 덮고 그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바닥창 요소(1106)에는 중창 부재(1102)의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third part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100 may include a bottom window that may serve as a protective component coupled with the bottom side of at least one of the half-shell form component 1102 and / or the polymer foamprotective component 1104Element 1106. < / RTI > 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100 covers a majo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basketball hood 1150. 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may include traction elements such as grooves, ridges, nubs, herringbone, and / or other traction enhancement components. One or more bottom window nubs, such asnubs 1108,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spheric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foam midsole element 1102 to provide a smooth contact area of the sole structure 1100 (the spherical regio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And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it. 11B, an opening for expo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midsole member 1102 is formed through the exemplarybottom window element 1106. As shown in Fig.

바닥창 요소(1106)는, 3㎜ 미만의 베이스면 두께(즉, 너브, 융기형 리브, 트랙션 요소 등을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베이스 시트 또는 웨브면의 두께), 및 일부 예에서는, 2㎜ 미만, 1.5㎜ 미만 또는 심지어 1㎜ 미만의 베이스면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큰 가요성의 얇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얇은 가요성 바닥창 요소(1106)는 신발류 바닥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고무 화합물과 유사한 경도 및 다른 특성을 갖는 합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얇은 바닥창 웨브 구조는 바닥창 요소(1106)가 인접한 러그들(1108) 및/또는 다른 구조적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크게 구부러지게 한다. 일부 밑창 구조체에서, 바닥창 요소(1106)의 일부분은 바닥창 요소(1106)의 다른 부분보다 경질이고 내구성있는 고무 화합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높은 내구성의 고무는 예를 들어 힐 영역 내에 위치된 크래시 패드(crash pad) 내에 및/또는 전형적으로 보다 빨리 마모되는 특정의 다른 고압 영역에 위치된 러그의 바닥 상에 사용될 수 있다.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has a base surface thickness of less than 3 mm (i.e., the thickness of the base sheet or web surface at a location that does not pass through nubs, raised ribs, traction elements, etc.), and in some instances, , Less than 1.5 mm, or even less than 1 mm. ≪ / RTI > This thin flexiblebottom window element 1106 may be formed of synthetic rubber having similar hardness and other properties to synthetic rubber compounds commonly used in footwear floor windows. This thin bottom window web structure allows 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to be significantly bent betweenadjacent lugs 1108 and / or other structural components. In some of the sole structures, a portion of 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may be formed of a harder and durable rubber compound than other portions of thebottom window element 1106. Higher durability rubbers may be used, for example, in crash pads located within the heel region and / or on the floor of lugs typically located in certain other high pressure areas that wear out more quickly.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100)의 보호 구성요소(1104)는 도 4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파형부 구조체와 적어도 어느 측면에서 유사하게 보이는 파형부 구조체(3개의 외측 파형부 리지를 가짐)를 갖는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보호 구성요소(1104)의 중앙 파형부는 바깥쪽 중족부 영역에서 폼 중창 구성요소(1102)에 제공된 2개의 파형부 구조체의 파형부 리지들 사이에서(종단 지점(1110)에서) 종단된다. 바깥쪽 전족부 보호 구성요소(1104)에 대한 다른 전방 파형부 구조체의 일부분은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2개의 파형부 리지들 사이의 개재 영역에 있어서 지점(1112)에서 시작된다.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파형부 구조체는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그러한 파형부 구조체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보호 구성요소(1104)의 파형부들 사이의 개재 영역에서 시작된다(지점(1114) 참조).11A,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of the present exemplarysole structure 1100 includes a corrugated sub-structure (similar to the corrugated sub-structure shown in Fig. And an outer corrugated bulge). 11A, the central corrugated portion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extending around the heel reg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corrugated webs of the two corrugated web structures provided in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in the outer midrange region (At termination point 1110). A portion of the other front waveguide structure relative to the outerforefoot protection component 1104 begins atpoint 1112 in the intervening area between the two wave flanges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begins at an intervening area between the corrugations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positioned forward and rearward of such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1114).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구성요소(1104)의 바깥쪽 측부에서의 3개의 파형부 구조체는 보호 구성요소(1104)의 바닥 안쪽 힐 측부에서 2개의 파형부 구조체로 감소한다. 폼 중창 구성요소(1102)가 후방 힐 영역에서 보호 구성요소(1104) 아래로부터 나올 때, 폼 중창 구성요소(1102)는 밑창 구조체(1100)의 바깥쪽 측부에서 보호 구성요소(1104)의 2개의 파형부 구조체 위에 놓이는 2개의 파형부 구조체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100)에서, 힐 주위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는 일 측부 상에서 3개의 파형부 구조체로부터 다른 측부 상에서 4개의 파형부 구조체로 변화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100)의 바깥쪽 측부에서, 보호 구성요소(1104)의 파형부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1100)의 하측 안쪽 힐 영역에서 종단된다.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파형부 구조체는 더 전방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파형부 구조체의 상단 외측 리지는 다소 웨이브형 또는 곡선형 방식으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이고 보다 얕은 파형부 구조체는 보호 구성요소(1104) 및/또는 노출된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측부 에지를 따라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11C, the three corrugated structures at the outer sid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are reduced to two corrugated structures at the bottom inner heel sid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sole structure 1100 in the rear heel area from below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Thereby forming two corrugated sub-structures to be placed on the corrugated sub-structure. Therefore, in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100, the corrugated sub-structure extending around the heel changes from three corrugated sub-structures on one side to four corrugated sub-structures on the other side. 11B, on the outer side of thesole structure 1100, the corrugated side structure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is terminated in the lower inne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100. As shown in Fig.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further extends forward and the upper outer ridge of this corrugated sub-structure extends forward in a somewhat wavy or curved manner.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independent, shallower corrugated structure extends around the front toe region along the side edges of theprotective component 1104 and / or the exposedfoam core component 1102.

상기에서 설명된 몇몇의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는 (a) 예를 들어 경량의 폼 재료로 제조되는 폼 중창 구성요소, 및 (b) 선택적으로는 보다 무겁고 조밀한 폴리머 폼 재료로 제조된 보호 요소로서 다른 폼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밑창 구조체가 2개의 상이한 폴리머 폼 재료를 갖는 것이 필수 조건은 아니다. 오히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f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한다면, 바닥창 구성요소의 형태의 보호 구성요소는 밑창 구조체 내의 다른 폴리머 폼 보호 구성요소에 대한 필요없이 경량이고 덜 조밀한 폼 중창 구성요소의 바닥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른 예시적인 밑창 구성요소(1200)를 도시하며, 여기서 (예를 들면, 전술한 타입의) 경량이고 덜 조밀한 폼 중창 구성요소(1202)는, 밑창 구조체(1200)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다른 폴리머 폼 보호 재료를 포함하지 않고서, 바닥창 구성요소(1206)에 의해 적어도 그 바닥면의 부분에 걸쳐서 보호된다.Some exemplary sole structures described above include (a) a foam midsole component made, for example, of a lightweight foam material, and (b) optionally a protective element made of a heavier and denser polymer foam material, Foam polymer material, it is not a requirement that the so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wo different polymer foam materials. Rather,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or example, Figures 1A-2F, if desired, the protective component in the form of a bottom window component can be lightweight and less dense without the need for other polymer foam protective components in the sole structure O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foam midsole component. 12A-12C illustrate another exemplarysole component 1200 wherein a lightweight, less dense foam midsole component 1202 (e.g.,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s protect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its bottom surface by thebottom window component 1206, without including any other polymer foam protective material at any other location.

도 12a는 바깥쪽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b는 안쪽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2c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200) 및 신발류 물품(125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시적인 신발류 물품(1250)은 런닝화이고,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갑피(1252)를 포함한다. 일부의 보다 특정된 예로서, 갑피(1252)는 메시 재료, 편물 재료 등과 같은 섬유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갑피(1252)는 임의의 통상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를 사용하여 밑창 구조체(1200)와 결합될 수 있다.FIG. 12A shows an outline side view, FIG. 12B shows an inner side view, and FIG. 12C shows a bottom view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200 andfootwear article 125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exemplary footwear article 1250 is a running shoe and includes an upper 1252 constructed, for example, of any of the various materials described above. In some more specific examples, the upper 1252 may be made at least in part with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mesh material, a knitted material, or the like. The upper 1252 may be joined to thesole structure 1200 in any conventional manner, for example, using an adhesive or cement.

임의의 파형부 구조체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본 예시적인 구조체(1200)의 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202)의 측면(1202a)은 다양한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며, 그렇지만 이러한 밑창(1200)의 전체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다른 파형부 구조체와 일부 측면에서 상이하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중창 구성요소(1202)의 힐 영역은 신발(1250)의 후방 힐 영역으로부터 바깥쪽 측부로 연장되는 3층의 파형부 구조체(1210)를 포함한다. 2층의 파형부 구조체(1212)가 이러한 중창 구성요소(1202)의 중족부 영역에 제공되고, 2층의 파형부 구조체(1212)는 매끄러운 폴리머 폼 재료의 세그먼트(1214)(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202)의 일부분)에 의해 후방 힐의 3층 파형부 구조체(1210)와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밑창(1200)의 바깥쪽 측부 상의 파형부 구조체에 갭을 제공한다. 중족부의 2층 파형부 시리즈(1212)는 밑창 구조체(1200)의 중족부/전족부 영역에서 종단된다. 폴리머 재료의 다른 매끄러운 세그먼트(1216)(경량의 중창 구성요소(1202)의 일부분)는 중족부의 2층 파형부 시리즈(1212)와, 신발(1250)의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단일 파형부(1218)(또는 융기형 리브 구조체) 사이에 갭을 생성한다.Theside 1202a of the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202 of the presentexemplary structure 1200 includes a variety of wavy structure structures,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ny wavy structure, The subsidiary structure differs in some respects from the various other corrugated sub-structures described above. 12A, the heel region of the presentexemplary midsole component 1202 includes a three-layer wavy structure 1210 extending from the rear heel region of theshoe 1250 to the outer side. A two-layer wavy structure 1212 is provided in the mid-region of themidsole component 1202 and a two-layer wavy structure 1212 is formed of asegment 1214 of smooth polymer foam material Layeredcorrugated structure 1210 of the rear heel by a portion of thecorrugated web 1202, thereby providing a gap in the corrugated structure on the outside side of the sole 1200. The mid-foot two-layercorrugated part series 1212 is terminated in the middle / forefoot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200. Anothersmooth segment 1216 of the polymeric material (a portion of the lightweight midsole component 1202) includes a middle layer two-layercorrugated part series 1212 and a singlecorrugated part 1218 extending around the toe area of the shoe 1250 ) (Or raised rib structure).

본 예시적인 구조체의 단일의 전족부 융기형 리브(1218)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250)의 바깥쪽 측부로부터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그리고 안쪽 측부까지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파형부(1218)는 안쪽 전족부 영역에서 종단된다. 파형부를 갖지 않는 다른 짧은 갭(1220)(여기에는, 이러한 중창 구성요소(1202)의 매끄러운 폴리머 폼 세그먼트(1220)가 제공됨) 다음에, 2층 파형부 시리즈(1222)가 시작되어 전족부 영역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2층 파형부 시리즈(1222)의 하측 파형부는 중족부 영역에서 종단되고, 여기에서 중창 재료(1202)의 다른 매끄러운 세그먼트(1224)가 제공된다. 그러나, 2층 파형부 시리즈(1222)의 상단 파형부는 중창 구성요소(1202)와 갑피(1252) 사이의 결합부에서 중창 구성요소(1202)의 상측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매끄러운 세그먼트(1224) 다음에, 힐 파형부 영역(1210)이 밑창 구조체(1200)의 안쪽 측부 상에서 시작된다. 특히, 전족부 파형부 시리즈(1222)의 상측 파형부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1210)의 상측 파형부를 형성한다.Thesingle forefoot ribs 1218 of the present exemplary structure extend from the outer side of theshoe 1250 around the front toe region and to the inner sid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As exemplified herein, a single wavedportion 1218 is terminated in the inner forefoot region. Anothershort gap 1220 without a corrugated portion (here provided with a smoothpolymer foam segment 1220 of such a midsole component 1202), a two-layercorrugated part series 1222 is initiated and passed through the forefoot region And extends rearward. The lower corrugated portion of the two-layercorrugated portion series 1222 terminates in the midrange region, where anothersmooth segment 1224 of thecorrugated material 1202 is provided. The upper corrugated portion of the two-layercorrugated portion series 1222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upper edge of themidsole component 1202 at the junction between themidsole component 1202 and theupper portion 1252. After thesmooth segment 1224, aheel wedge subregion 1210 begins on the inner side of thesole structure 1200. [ Particularly, the upper corrugated part of the forefoot corrugatedpart series 1222 forms the upper corrugated part of the rear heel corrugatedpart series 1210.

중창 구성요소(1202)의 매끄러운 폴리머 폼 재료의 세그먼트, 예를 들어 세그먼트(1214, 1216, 1220, 1224)는 다양한 파형부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과 비교하여 수직 방향으로 다소 강성인 영역을 제공한다. 본 예시적인 구조체(1200)에서, 특히 하나의 매끄러운 갭 세그먼트(1214)가 밑창 구조체(1200)의 바깥쪽 힐 영역에 제공된다. 이러한 세그먼트(1214)는 달리기 걸음 사이클 동안 걸음을 내딛을 때 런너 발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또한 밑창 구조체(1200)의 바깥쪽 측부 상의 매끄러운 갭 세그먼트(1216)는 밑창 구조체(1200)의 제5 중족골 헤드 영역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다소 강성인 매끄러운 세그먼트(1216)는 이러한 걸음 사이클을 계속하는 동안 발이 전방으로 롤링함에 따라 제5 중족골 헤드 영역 아래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매끄러운 갭 세그먼트(1220)는 밑창 구조체(1200)의 안쪽 전족부 또는 발가락 영역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걸음 사이클의 미는 단계(pushoff phase) 동안에,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매끄러운 갭 세그먼트(1224)는 신발(1250)의 아치형 영역에 제공되고, 착용자에 대한 추가적인 아치형 지지를 제공한다.Segments 1214, 1216, 1220, and 1224 of the smooth polymer foam material of themidsole component 1202 provide a somewhat more rigid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areas supported by the various corrugated structures. In thisexemplary structure 1200, particularly onesmooth gap segment 1214 is provided in the outer heel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200. Thissegment 1214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runner foot when taking steps during a running walk cycle. Also, asmooth gap segment 1216 on the outer side of thesole structure 1200 is located at or near the fifth metatarsal head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200. In this position, the somewhat rigid,smooth segment 1216 provides additional support beneath the fifth metatarsal head region as the foot rolls forward during this gait cycle. Thesmooth gap segment 1220 is located in the inner forefoot or toe region of thesole structure 1200 and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wearer ' s toe region, e.g. during the pushoff phase of the walking cycle. Asmooth gap segment 1224 is provided in the arcuate region of theshoe 1250 and provides additional arcuate support for the wearer.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200)의 힐 파형부 구조체(1210)는 일련의 비스듬하게 배향된 지지 리브(1230)에 의해 안쪽 힐 측부 영역에서 중단된다. 본 도시된 예에서, 지지 리브(1230)는 상단 후방-바닥 전방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러나, 리브(1230)는 밑창(1200)이 수평면 상에 놓인 경우 수직 각도(수평으로부터 90°)를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리브(1230)는 수평 방향(밑창(1200)이 수평면 상에 놓인 경우)에 대하여 25° 내지 90°의 범위 내의 각도로 배향될 수도 있다. 리브(1230)는, 수직이 아니게 경사진 경우, 도 12b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즉 후방 바닥-전방 상단 방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리브가 존재하는 시리즈에 있어서의 모든 리브가 다른 리브와 동일한 각도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그렇지만, 원한다면 모든 리브가 평행할 수도 있음).Theheel wedge structure 1210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200 is interrupted at the inner heel side area by a series of obliquely orientedsupport ribs 123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support ribs 1230 are inclined in the upper rear-floor forward direction. However,rib 1230 may be oriented at any desired ang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art, including vertical angle (90 degrees from horizontal) when sole 1200 is on a horizontal plane. As a further example, therib 1230 may be oriented at an angle in the range of 25 to 90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ole 1200 is on a horizontal plane). Therib 1230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12B, i.e., in a rear bottom-front upper direction, when it is inclined not perpendicularly.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ribs in series with two or more ribs extend at the same angle as the other ribs (but all ribs may be parallel if desired).

이들 리브(1230)는 걸음 사이클 동안에 발의 안쪽 측부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여, 예를 들어 걸음 사이클 동안의 과회내(overpronation)를 방지한다. 다른 배열이 가능하지만, 본 도시된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200)에서, 리브(1230)는 후방 힐 파형부 시리즈(1210)의 상단 파형부 요소로부터 바닥 파형부 요소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브(123)는 상단 및 바닥 파형부 리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리브(1230)는 3층 파형부 시리즈(1210)의 중앙 파형부를 중단시킨다. 또한, 도 12b에는 3개의 지지 리브 요소(123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타입의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리브 요소(1230)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타입의 안쪽 힐 지지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seribs 1230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the inner side of the foot during the walking cycle, for example, to prevent overpronation during a walking cycle. Although other arrangements are possible, in the exemplary exemplarysole structure 1200 shown, therib 1230 extends from the top corrugated sub-element of the rear heel corrugated sub-series 1210 to the bottom corrugated sub-element. In this manner, the ribs 123 extend integrally from the top and bottom corrugated fascias, and theribs 1230 stop the central corrugation of the three-layercorrugated part series 1210. Also, although threesupport rib elements 1230 are shown in Fig. 12B, one, two ormore rib elements 1230 of this type may be provided as inner heel supports of this ty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

또한, 개별 신발(1250) 상의 일련의 리브(1230)는 삼각형 단면 형상, 원형 단면 형상, 평면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리브가 밑창 구조체(1200) 상에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일련의 다양한 리브(1230)는 동일한 형상 및/또는 심지어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오히려, 리브 요소(1230)의 형상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심지어 개별 신발(1250)에서 폭넓게 변화될 수 있다.Also, the series ofribs 1230 on theindividual shoes 1250 may have any desired sha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ncluding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s,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s, planar or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s, and the like. When two or more ribs are present on thesole structure 1200 in series, such a series ofvarious ribs 1230 need not have the same shape and / or even approximately the same shape. Rather, the shape of therib element 1230 can be varied widely even in theindividual shoes 1250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도 12c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신발류 물품(1250)의 바닥창 구조체(1206)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바닥창 요소(1206)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중창 폼 구성요소(1202)의 바닥측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200)의 바닥창 요소(1206)는 신발(1250)의 바닥면의 주요 부분을 덮는다. 바닥창 요소는 임의의 원하는 타입의 트랙션 요소 및/또는 트랙션 요소 구성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도시된 예에서는, 트랙션 요소는 밑창 구조체(1200)의 바닥 주위에 대체적인 매트릭스 패턴으로 이격된 융기형 너브(또는 러그)(1240)를 주로 구성한다.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바닥창 너브(1240)는 밑창 구조체(1200)의 부드러운 접촉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폼 중창 구성요소(1102)의 바닥면의 구상 영역(도 10a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구상 영역과 유사함)을 덮고 그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 12C, thebottom window structure 1206 of the presentexemplary footwear article 1250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may be joined to the bottom side of themiddle foam component 1202 using, for example, cement or an adhesive. 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of this exemplarysole structure 1200 covers a majo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shoe 1250. The bottom window element may comprise any desired type of traction element and / or traction element construct, howev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raction element is a ridge type structure spaced apart in an alternate matrix pattern around the bottom of thesole structure 1200 And a nub (or lug) 1240. One or morebottom window nubs 1240 may be disposed on the bulbous region of the bottom side of thefoam midsole component 1102 to provide a smooth contact area of thesole structure 1200, Similar to the above) and may be in direct contact therewith.

바닥창 요소(1206)는, 3㎜ 미만의 베이스면 두께(즉, 너브(1240) 사이의 위치(1242)에서의 베이스 시트 또는 웨브면의 두께), 및 일부 예에서는, 2㎜ 미만, 1.5㎜ 미만 또는 심지어 1㎜ 미만의 베이스 시트 또는 웨브면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큰 가요성의 얇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2c는 대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서 실질적으로 행 또는 열로(매트릭스로) 배열된 너브를 도시하고 있지만, 임의의 원하는 너브 형상(들) 및/또는 너브 배열(들) 및/또는 간격(들)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밑창 구조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밑창 구조체(1202)의 바닥창 요소(1206)는 또한 2012년 12월 4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693,596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얇은 밑창 구성요소의 임의의 구조, 특징 또는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특허문헌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has a base surface thickness of less than 3 mm (i.e., the thickness of the base sheet or web surface at alocation 1242 between the nubs 1240), and in some instances less than 2 mm, 1.5 mm Less than or even less than < RTI ID = 0.0 > 1 mm, < / RTI > Figure 12c shows a nub that is substantially square or rectangular and is arranged substantially in rows or columns (as a matrix), but any desired nub shape (s) and / or nub arrangement (s) and / But may be provided on the sole struct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of the present exemplarysole structure 1202 may also be a thinner window similar to that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13 / 693,596, filed December 4, 2012 and entitled " Article of Footwear &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ole components,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이러한 얇은 가요성 바닥창 요소(1206)는 시트형 재료, 예를 들어 신발류 바닥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고무 화합물과 유사한 경도 및 다른 특성을 갖는 합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얇은 바닥창 웨브 구조는 바닥창 요소(1206)가 매우 경량이 되게 하고 인접한 너브들(1242) 사이에서 크게 구부러지게 한다. 일부 밑창 구조체에서, 바닥창 요소(1206)의 일부분은 바닥창 요소(2106)의 다른 부분보다 경질이고 내구성있는 고무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바닥창 구성요소 웨브 영역(1242)은 일부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다소 두껍게 제조될 수도 있다. 보다 높은 내구성 및 보다 두꺼운 두께의 고무는 예를 들어 힐 영역 내에 위치된 크래시 패드 영역(1244) 내에 및/또는 바닥창(1206)의 바깥쪽 에지를 따라 전형적으로 보다 빨리 마모되는 특정의 다른 고압 영역에 위치된 러그의 바닥 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c는 본 예시적인 얇은 웨브형 바닥창 구조체(1206)가 일부 위치(예를 들면, 본 예에서는, 전족부 및 중족부 영역)에서 천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너브 크기(예를 들면, 높이, 단면 치수, 단면 형상 등)는 밑창 구조체(1206)의 상이한 영역에 걸쳐서 변화될 수 있다.Such a thin flexiblefloor window element 1206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ubber having similar hardness and other properties to that of a synthetic rubber compound commonly used in sheet-like materials, such as footwear flooring. This thin bottom window web structure allows 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to be very lightweight and to bend significantly betweenadjacent nubs 1242. In some of the sole structures, a portion of thebottom window element 1206 may be formed of a rigid, durable rubber compound that is hard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bottom window element 2106, or the bottom windowcomponent web region 1242 may be formed Region. ≪ / RTI > The higher durability and thickness of the rubber can be achieved, for example, in certain other high pressure regions (not shown) that are typically worn faster along the outer edge of thebottom window 1206 and / or within thecrash pad region 1244 located, for example, Lt; RTI ID = 0.0 > lug < / RTI > Figure 12C also shows that this exemplary thin webbedbottom window structure 1206 is perforated at some location (e.g., in this example, the forefoot and midfoot regions). Also, as shown, the nub size (e.g., height, cross-sectional dimension, cross-sectional shape, etc.) can be varied over different areas of thesole structure 1206.

얇은 웨브 바닥창 부재(1206)는 중창 구성요소(1202)의 바닥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60%,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이러한 표면적의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심지어 적어도 95%를 덮도록 폴리머 폼 부재와 결합된다. 웨브 베이스면의 적어도 대부분(트랙션 요소 사이의 표면 영역의 대부분)은 2㎜ 미만의 두께,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1.5㎜ 미만 또는 심지어 1㎜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원한다면, 웨브 베이스면(트랙션 요소 사이의 표면 영역)의 적어도 75%, 적어도 85%, 적어도 90%, 또는 심지어 적어도 95%가 전술한 두께 특성을 가질 것이다.The thin webbottom window member 1206 is configured to cover at least 60% of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midsole component 1202 and, in some instances, at least 80%, at least 90%, or even at least 95% And is combined with the foam member. At least a majority of the web base surface (most of the surface area between traction elements) has a thickness of less than 2 mm, and in some instances less than 1.5 mm or even less than 1 mm. If desired, at least 75%, at least 85%, at least 90%, or even at least 95% of the web base surface (surface area between traction elements) will have the thickness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Ⅲ. 결론Ⅲ. conclusion

본 발명은 다양한 예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그리고 첨부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된 목적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조체의 특징은 구조 및/또는 특징의 특정 조합이 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구조체의 일부에 제공, 사용 및/또는 호환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많은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구조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various examples. However, the object provided by this disclosure is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rather to provide examples of various features and concepts related to the invention. The features of one exemplary structure may be provided, used and / or compatible with some of the other structures, even though no particular combination of structure and / or features is disclos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Translated fromKorean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갑피; 및
상기 갑피와 결합된 밑창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안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깥쪽 중족부 또는 전족부 영역에 근접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부 구조체는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은 상기 5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의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In footwear articles,
Upper; And
The sole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upper
Wherein the sole structure comprises a first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foot region of the wearer's foot and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comprises an inner edg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And a corrugated sub-structure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mid- or forefoot region proximate to an outer mid- or forefoot region of the first polymeric foam member, wherein the corrugated sub-structure comprises five corrugated sub- Wherein the four corrugated intervening areas are locat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lateral ridges of the five corrugated outer rid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후방 힐 영역에서, 최상측 파형부 외측 리지는 상기 밑창 구조체가 수평면 상에 배향되는 경우에 적어도 1.5인치의 수직 거리만큼 최하측 파형부 외측 리지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the uppermost corrugated outer ridge is vertically separated from the lower corrugated lateral ridge by a vertical distance of at least 1.5 inches when the sole structure is oriented on a horizontal plane Footwear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후방 힐 영역에서, 중앙 파형부 외측 리지는 상기 밑창 구조체가 수평면 상에 배향되는 경우에 가장 긴 거리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rear heel region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the central corrugated lateral ridge extends rearward at the longest distance when the sole structure is oriented on a horizontal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전체 발바닥 표면을 지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e structure supports the entire sole surface of the wearer's fo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는 상기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외측 쉘을 구성하고, 상기 외측 쉘은,
바깥쪽 측벽,
안쪽 측벽,
상기 안쪽 측벽 및 바깥쪽 측벽을 연결하는 후방 힐 벽, 및
상기 안쪽 측벽, 바깥쪽 측벽 및 후방 힐 벽을 연결하는 바닥 벽
을 포함하며,
상기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 안쪽 측벽, 후방 힐 벽 및 바깥쪽 측벽의 외부면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constitutes an outer shell comprising the corrugated sub-structure, and the outer shell comprises:
Outer sidewalls,
Inner side wall,
A rear heel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wall and the outer sidewall, and
A bottom wall connecting the inner side wall, the outer side wall and the rear heel wall
/ RTI >
Wherein the corrugated subassemblies extend continuously a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idewall, the rear heel wall and the outer side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깥쪽 측벽, 안쪽 측벽, 후방 힐 벽 및 바닥 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힐 부분을 갖는 제2 폴리머 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전족부 단부는 상기 바깥쪽 측벽의 전방 단부 및 상기 안쪽 측벽의 전방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polymer foam member having a heel portion received in a space defined between an outer side wall, an inner side wall, a rear heel wall and a bottom wall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Wherein the forefoot end of the polymer foam member extends past the forward end of the outer sidewall and the forward end of the inner sidewa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발가락 영역 주위로 연장되는 파형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파형부 구조체는 2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에 의해 연결된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파형부 개재 영역은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3개의 파형부 외측 리지의 인접한 파형부 외측 리지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comprises a corrugator structure extending around a front toe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and the corrugator structur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comprises two corrugated area Wherein the first polymeric foam member comprises three connected corrugated outer ridges and the two corrugated intervening regions are located between adjacent corrugated lateral ridges of the three corrugated outer ridges of the second polymeric foam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파형부 구조체와 연속하지 않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 second polymeric foam member is not continuous with the corrugated sub-structure of the first polymeric foam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전족부 영역 및 상기 밑창 구조체의 안쪽 전족부 영역에서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파형부 구조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rrugated structure of the second polymeric foam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rrugated structure of the first polymeric foam member at the outer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and the inner forefoot region of the sole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은 적어도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바닥면의 전족부 부분에서 노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is exposed at least at the forefoo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struct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제1 바닥창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o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first bottom window member coupl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 foam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제2 바닥창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o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bottom window member coupl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외측 쉘의 바닥 벽에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wall of the outer shell of the first polymeric foam membe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olymeric foam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제1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바닥창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bottom window member coupl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olymer foam member.
신발류 물품에 있어서,
갑피; 및
상기 갑피와 결합된 밑창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구조체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힐 및 중족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제1 외측 파형부 리지,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상기 제1 및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1 개재 영역, 및 상기 제2 및 제3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2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파형부 구조체, 및
제4 외측 파형부 리지,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및 상기 제4 및 제5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에 위치된 제3 개재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파형부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외측 파형부 리지는 상기 제1 개재 영역에서 시작되고, 상기 제5 외측 파형부 리지는 상기 제2 개재 영역에서 시작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In footwear articles,
Upper; And
The sole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upper
Wherein the sole structure comprises a polymer foam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the heel and midsole regions of the wearer's foot,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rrugated ribs, the first outer corrugated rib, the second outer corrugated rib, the third outer corrugated rib, the first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rrugated ribs, A first wave-form portion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ridges, and
And a third intervening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outer wave-shaped bulges, the fourth outer-wave bulge, the fifth outer-wave bulge, and the fourth and fifth outer-
/ RTI >
Wherein the fourth outer wavy bulge starts in the first intervening zone and the fifth outer wavy bulge starts in the second intervening zo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후방 힐 영역 주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형부 구조체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측부 중족부 영역에 위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corrugated part structure extends around a rear heel area of the sole structure and the second corrugated structure part is located in a side lateral area of the sole structur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폴리머 폼 부재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바닥창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o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bottom window component coupl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olymer foam memb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폼 부재는 0.25g/㎤ 미만의 밀도를 갖는 폼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lymer foam member comprises a foam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0.25 g / cm < 3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측 파형부 리지 사이의 위치에서 윈도우 요소가 상기 폴리머 폼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 window element extends through the polymer foam member at a lo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rrugated bulg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폼 부재의 노출된 외측 에지는 제6 외측 파형부 리지를 갖는 제3 파형부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6 외측 파형부 리지는 상기 제3 개재 영역에서 시작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xposed outer edge of the polymeric foam member further comprises a third corrugated sub-structure having a sixth outer corrugated bulge, the sixth outer corrugated bulge starting in the third intervening region.
KR1020157028639A2013-03-152014-03-13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CeasedKR201501323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US13/837,9672013-03-15
US13/838,051US9504289B2 (en)2013-03-152013-03-15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US13/838,0512013-03-15
US13/835,7152013-03-15
US13/835,715US9301566B2 (en)2013-03-152013-03-15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US13/837,967US9510635B2 (en)2013-03-152013-03-15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PCT/US2014/025607WO2014151379A2 (en)2013-03-152014-03-13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50132311Atrue KR20150132311A (en)2015-11-25

Family

ID=5048355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57028639ACeasedKR20150132311A (en)2013-03-152014-03-13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
KR1020187004959ACeasedKR20180021241A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KR1020157028633AActiveKR101833033B1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KR1020157028629AActiveKR101889494B1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7004959ACeasedKR20180021241A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KR1020157028633AActiveKR101833033B1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KR1020157028629AActiveKR101889494B1 (en)2013-03-152014-03-14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Country Status (10)

CountryLink
EP (4)EP2967183B1 (en)
JP (3)JP6430480B2 (en)
KR (4)KR20150132311A (en)
CN (3)CN105101829B (en)
AU (3)AU2014235049B2 (en)
BR (2)BR112015022776B1 (en)
CA (3)CA2902810C (en)
MX (3)MX383133B (en)
WO (3)WO2014151379A2 (en)
ZA (3)ZA20150565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1669986A (en)*2018-01-312020-09-15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Sole structure for articles of footw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29615B1 (en)*2012-05-112013-11-15서우승Article of footwear
US9848673B2 (en)2015-01-162017-12-26Nike, Inc.Vacuum formed knit sol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JP6763863B2 (en)*2015-01-162020-09-30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Customizable knit component with cleat material
US10568383B2 (en)2015-01-162020-02-25Nike, Inc.Sol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one-piece knit outsole and a tensile element
EP3244763B1 (en)*2015-01-162025-03-05NIKE Innovate C.V.Knitted component with cleat member
US20170150778A1 (en)*2015-12-012017-06-01Nike, Inc.Articles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ITUB20160823A1 (en)*2016-02-172017-08-17Marco Calzolai STRUCTURE OF PERFECT SOLE FOR FOOTWEAR AND FOOTWEAR THAT ADOPTS THIS SOLE
US10588378B2 (en)*2016-06-012020-03-17Adidas AgArticles of footwear with stabilizing rails
CN115944143A (en)*2016-07-202023-04-11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Shoe plate
WO2018191142A1 (en)*2017-04-112018-10-18Nike Innovate C.V.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a multi-part sole structure
JP6473201B1 (en)*2017-08-102019-02-20美津濃株式会社 shoes
EP3795022B1 (en)*2018-05-182022-09-21ASICS CorporationMidsole and shoe
KR102136151B1 (en)*2018-06-052020-07-21신성Shoe sole with cushioning function
CN108851336A (en)*2018-06-292018-11-23广州华腾云谷科技有限公司Antiskid sole
US10966482B2 (en)*2018-10-122021-04-06Deckers Outdoor Corporation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US20200128913A1 (en)*2018-10-312020-04-30Wolverine Outdoors, Inc.Footwear with active gripping outsole
EP3975785A1 (en)*2019-05-302022-04-06NIKE Innovate C.V.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2251811A1 (en)*2021-05-222022-12-01Behnamian ShahriarGradient cushioning gain for footwear sole arrangement
US11712396B2 (en)2021-05-222023-08-01Shahriar BehnamianExercise equipment for transportation of article of footwear
JP2023090366A (en)*2021-12-172023-06-29アシックス商事株式会社 Soles and shoes with said soles
WO2025052795A1 (en)*2023-09-092025-03-13株式会社アシックスSole and shoe
WO2025106091A1 (en)*2023-11-192025-05-22Behnamian ShahriarGradient cushioning gain for footwear sol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985971A (en)*1960-08-241961-05-30Steven A MurawskiFlexible resilient footwear
JPS598572Y2 (en)*1977-09-271984-03-16日本ケ−・シ−・ア−ル株式会社 athletic shoes
FR2574636B1 (en)*1984-12-131988-04-15Mephisto Chaussures Sa ELASTIC HEEL SHOE
US4794707A (en)*1986-06-301989-01-03Converse Inc.Shoe with internal dynamic rocker element
JPH0610808Y2 (en)*1987-12-291994-03-23アキレス株式会社 Multi-layered sole
US5014449A (en)*1989-09-221991-05-14Avia Group International, Inc.Shoe sole construction
JPH0438702U (en)*1990-07-281992-04-02
US5143762A (en)*1991-01-171992-09-01Ho Jung HInnovated limb covering
DE29518225U1 (en)*1995-11-171996-01-11Uvex Winter Optik GmbH, 90766 Fürth Work safety shoe
HU219321B (en)*1998-11-302001-03-28Robert HagenFootwear having hard and/or stiff upper parts flexibl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foot in any direction and/or of the unevenness of the ground
DE10036100C1 (en)*2000-07-252002-02-14Adidas Int BvSports shoe has inner sole layer with openings, support layer with second openings that overlap first openings and outer sole layer with at least one opening that overlaps second openings
US6964120B2 (en)*2001-11-022005-11-15Nike, Inc.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FR2844970B1 (en)*2002-09-272005-03-25Bernard Favraud WEAR SOLE FOR FOOTWEAR AND FOOTWEAR ARTICLE RESULTING THEREON
JP5156618B2 (en)*2004-03-122013-03-06ミドリ安全株式会社 Anti-slip sole
US8474155B2 (en)*2004-06-042013-07-02Nike, Inc.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JP2008523882A (en)*2004-12-152008-07-10リー,ホ−ヒュン Midsole to be worn on the sports shoes
MY148521A (en)*2005-01-102013-04-30Arena Pharm IncSubstituted pyridinyl and pyrimidinyl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metabolism and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US7197840B2 (en)*2005-02-252007-04-03Wolverine World Wide, Inc.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7941938B2 (en)*2006-05-262011-05-17Nike, Inc.Article of footwear with lightweight sole assembly
US8225530B2 (en)*2006-11-102012-07-24Nike, Inc.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US7946058B2 (en)*2007-03-212011-05-24Nike, Inc.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n articulated midsole and outsole
DK200800278A (en)*2008-02-272009-08-28Ecco Sko As Shoe sole, especially for running shoes
WO2009106076A1 (en)*2008-02-272009-09-03Ecco Sko A/SSole for a shoe, in particular for a running shoe
CN102215710B (en)*2008-10-102014-01-22耐克国际有限公司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WO2010049983A1 (en)*2008-10-272010-05-06株式会社アシックスShoe sole suitable for suppressing pronation
US9044067B2 (en)*2008-11-142015-06-02Converse Inc.Article of footwear having shock-absorbing elements in the sole
US8490299B2 (en)*2008-12-182013-07-23Nike, Inc.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IT1395559B1 (en)*2009-03-052012-09-28Rampin INSOLE FOR HEEL-TO-HEEL INSERT FOR FOOTWEAR WITH REINFORCEMENT IN COMPOSITE MATERIAL.
US8321984B2 (en)2009-10-212012-12-04Nike, Inc.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29835B2 (en)2009-10-212013-04-30Nike, Inc.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16763B1 (en)*2010-09-302012-12-28장명계Shoes for health
US9038285B2 (en)*2010-12-102015-05-26Converse Inc.Footwear sole with midsole protrusions
DE102011005802A1 (en)*2011-03-182012-09-20Kaltenbach & Voigt Gmbh Electronic recording device for detecting jaw movements
USD643189S1 (en)*2011-04-022011-08-16Skechers U.S.A., Inc. IiPeriphery of an outsole
US9003678B2 (en)*2011-09-072015-04-14Nike, Inc.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members and connecting memb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1669986A (en)*2018-01-312020-09-15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Sole structure for articles of footwear
KR20200110444A (en)*2018-01-312020-09-23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Sole structure for articles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A2902845A1 (en)2014-09-25
JP2016512139A (en)2016-04-25
CA2902845C (en)2017-07-11
WO2014151379A3 (en)2014-11-13
EP3449746B1 (en)2021-08-11
BR112015022556A2 (en)2017-07-18
BR112015022556B1 (en)2021-06-15
CA2902810C (en)2017-06-27
CN105050441A (en)2015-11-11
CA2900541C (en)2017-06-27
CN105101829B (en)2017-11-10
ZA201506095B (en)2016-11-30
MX384999B (en)2025-03-14
EP2967185B1 (en)2018-07-25
CA2900541A1 (en)2014-09-18
JP6339657B2 (en)2018-06-06
KR20180021241A (en)2018-02-28
EP2967183A2 (en)2016-01-20
EP2967183B1 (en)2018-12-26
CN105050441B (en)2017-10-10
BR112015022776A8 (en)2019-11-26
KR20150130477A (en)2015-11-23
EP2967184A1 (en)2016-01-20
AU2014239966A1 (en)2015-09-10
KR101833033B1 (en)2018-02-27
ZA201505652B (en)2016-11-30
CN105050440B (en)2017-06-23
JP6430480B2 (en)2018-11-28
CN105050440A (en)2015-11-11
CN105101829A (en)2015-11-25
KR20150135351A (en)2015-12-02
EP2967184B1 (en)2018-12-26
MX2015012586A (en)2016-01-12
JP2016511130A (en)2016-04-14
AU2014229005A1 (en)2015-08-27
CA2902810A1 (en)2014-09-25
JP2016512160A (en)2016-04-25
KR101889494B1 (en)2018-08-20
MX2015012596A (en)2016-06-06
BR112015022776A2 (en)2017-07-18
ZA201506094B (en)2016-11-30
MX2015012592A (en)2016-06-06
BR112015022776B1 (en)2021-02-09
AU2014235049A1 (en)2015-10-15
HK1214481A1 (en)2016-07-29
MX383133B (en)2025-03-13
HK1214482A1 (en)2016-07-29
WO2014152333A1 (en)2014-09-25
WO2014151379A2 (en)2014-09-25
EP2967185A1 (en)2016-01-20
EP3449746A1 (en)2019-03-06
MX363286B (en)2019-03-19
AU2014235049B2 (en)2016-10-20
AU2014239966B2 (en)2016-11-03
HK1214097A1 (en)2016-07-22
WO2014144527A1 (en)2014-09-18
AU2014229005B2 (en)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833033B1 (en)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US9468255B2 (en)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US9504289B2 (en)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member with protective elements
HK1214097B (en)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HK1214482B (en)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
HK1214481B (en)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1012

Patent event code:PA01051R01D

Comment text: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60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7100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70601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