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칫솔헤드가 좌우 비대칭을 이루어 좁고 구석진 어금니 뒤쪽까지 칫솔질이 용이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toothbrush head having a left-right asymmetrical shape and being easy to brush up to the rear corner of the molar.
사람의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 칫솔을 이용하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헤드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헤드는 헤드의 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칫솔모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목 부분에 영구적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연결된다. 탈착식 손잡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교체식 헤드를 가진 칫솔용으로 적합한 것이다.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형상이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당한 치수로 이루어진 인체공학적이고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는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폴리머,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칫솔 손잡이용으로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1개 이상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 길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t has long been known to use toothbrushes to clean human teeth. Generally, a toothbrush includes a head and a handle gripped by a user. The head includes a plurality of bristles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head. The handle is permanently or removably connected to the neck. The removable handle is suitable, for example, for a toothbrush with a user replaceable head. The handle is generally elongated in shape and may be ergonomically and aesthetically beautiful in shape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 to grasp. The handle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suitable material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for a toothbrush handl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olymer, rubber,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combinations thereof. Thus, the handle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lengths, and various structures.
종래의 칫솔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7495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oothbrush, thos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57495 are known.
도 6 및 도 7과 같이, 칫솔 헤드(102)는 브러싱 앞면(104), 반대편 뒷면(105), 2개의 반대 측면(106, 107), 말단부(108), 및 손잡이에 최근접한 기부근접 단부(proximal end)(109)를 포함한다. 주(primary) 구강관리영역(110)은 측면(106, 107)사이의 브러싱 앞면(104), 말단부(108), 및 기부근접 단부(109)로 한정된다. 뒷면(105)은 보조(secondary) 구강관리영역(111)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구강관리영역은 복수개의 너브 및/또는 다른 부수적인 치아 또는 연성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엘라스토머제 혀 클리너(180)를 지지한다. 칫솔 헤드(102)는 가늘고 긴 타원형 또는 계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목 부분(101)은 손잡이쪽으로 완만한 과도부(transition)로 경사지며 헤드(102)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6 and 7, the
칫솔 헤드(102)는 종축(LA) 및 종축(LA)에 대해 직교하는 횡축(TA)을 갖는다. 이것은 구강관리영역(110)을 손잡이에 최근접한 기부근접 처리 절반부(proximal treatment half)와 칫솔 헤드(102)의 말단부(108)에 최근접한 말단부 처리 절반부(distal treatment half)로 분할한다.The
구강관리영역(110)에서의 칫솔 헤드(102)의 앞면(104)은 칫솔 헤드(102)에 부착된 복수개의 다양한 치아세척요소(120)를 지지한다. 치아세척요소(120)는 다양한 칫솔모 및/또는 엘라스토머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공칭 기준 브러싱 면(BP)은 치아세척요소(120)의 상부/자유 단부(tops/free ends)에 의해 대략적으로 한정되며, 상기 상부/자유 단부는 칫솔 헤드(102)(요소가 치아에 대해 가압될 때 세척요소(120)의 높이 변화 및 변형을 할 수 있게 하는 변화를 가짐)의 종축(LA) 및 브러싱 앞면(104)으로부터 오프셋 되며 대체로 평행하다. 브러싱 면(BP)에 근접한 치아세척요소(120)의 상부부분은 실제 브러싱 영역을 한정하며, 칫솔질을 하는 동안 세척요소(120)와 치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접촉이 이곳에서 일어난다.The
치아세척요소(120)는 가요성 및 탄성적인(resiliently) 구조의 치아 세척-광택 유닛(150)을 포함한다. 세척-광택 유닛(150)은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130) 및 연관된 칫솔모 요소(140)와 같은 탄성/가요성 돌출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칫솔모 요소(140)의 칫솔모 다발은 기부근접 단부(109) 및 말단부(108)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를 증가시켜, 특히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첨단부(cusp) 사이 및/또는 치아 사이의 치간공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칫솔모와 브러싱 효과가 미치는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bristle tufts of the
그러나 종래의 칫솔 헤드(102)는 타원형 또는 계란형 형상으로, 종축(LA)에 대해 2개의 반대 측면(106,107)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강 깊숙히 위치하여 닿기 힘든 어금니 뒤쪽의 좁고 구석진 부분을 칫솔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칫솔헤드가 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칫솔헤드의 상단 변곡점에 대해 아래로 연장된 일측면이 아래로 연장된 타측면보다 변곡점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구강 깊숙히 위치한 어금니의 뒤쪽까지 칫솔질이 용이한 칫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head which is slope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an inflection 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which is gently formed and is easy to brush up to the rear side of molar teeth located deeply in the mout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칫솔은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된 칫솔모를 가진 칫솔헤드; 를 포함하되,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칫솔헤드의 상단에 형성된 변곡점에 대해서 아래로 연장되는 일측면이 아래로 연장되는 타측면보다 상기 변곡점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해 기울기가 완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comprising: a handle; A toothbrush head having bristles formed on the top of said handle; Wherein one side exten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an inflection poin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toothbrush head as viewed in a plane is slante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inflection point than the other side extending downward.
측면상에서 볼 때, 상기 칫솔모는 높이가 균일하게 분포한 메인 칫솔모와, 상기 메인 칫솔모의 상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제1경사칫솔모와, 상기 제1경사칫솔모의 상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제2경사칫솔모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경사칫솔모의 끝면 기울기는 상기 제1경사칫솔모의 끝면 기울기보다 더 크다.The bristles having a main bristle uniformly distributed in height, a first inclined bristle having a greater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ristle,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bristles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bristles.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칫솔모는 상기 칫솔헤드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사변형 내에 다수열로 분포되어 있고, 상기 다수열 중 상중하 열의 칫솔모는 그 사이에 있는 열의 칫솔모보다 굵다.In a plan view, the bristles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parallelogram parallel to one side of the toothbrush head, and the bristles of the lower row among the plurality of rows are thicker than the bristles of the row therebetween.
상기 손잡이에는 등고선 형상의 그립부가 형성된다.
A contour shaped grip portion is formed on the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칫솔헤드의 상단 변곡점에 대해 아래로 연장된 일측면이 아래로 연장된 타측면보다 변곡점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좌우 비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구강 깊숙히 위치하여 닿기 힘든 어금니 뒤쪽의 좁고 구석진 부분까지 용이하게 칫솔질이 가능하다. 그래서 어금니 뒤쪽의 닿기 힘든 부분에 위치한 프라그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One side exten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inflection point of the toothbrush head is formed to have a sloping gradient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inflection point, so that it is asymmetric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rush easily up to the part. So you can remove the plaque in the hard part of the back of the molar.
또한, 높이가 균일한 메인 칫솔모, 메인 칫솔모의 상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제1경사칫솔모 및 제2경사칫솔모가 치아의 배열에 따른 굴곡을 고려하여 형성되어, 치아 표면 및 치아 사이의 좁은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칫솔질하여 치아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The first bristle bristles and the second bristle bristles whose heights become lar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ristles and the second bristle bristles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bending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tooth cleanly by effectively brushing to the narrow part.
또한, 칫솔모가 칫솔헤드의 일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사변형 내에 다수열 분포되고, 굵은모와 가는모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어 부드러우면서 탄탄한 칫솔질이 가능하여 편리하다.In addition, the bristles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parallelogram parallel to one side of the toothbrush head, and coarse hair and fine hair are arranged alternately up and down, so that smooth and strong brushing is possible.
또한, 사용자의 지문과 유사한 등고선 형상의 그립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한다. 그래서 칫솔질의 효율이 증가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In addition, a contour shaped grip portion similar to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formed to provide a comfortable grip to the user. So, the efficiency of brushing increases and it is convenient to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칫솔헤드의 정면도.
도 3은 칫솔헤드의 배면도.
도 4는 칫솔헤드의 측면도.
도 5는 그립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칫솔 헤드의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칫솔 헤드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head;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head.
4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head.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p portion;
6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head.
7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toothbrush he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칫솔헤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칫솔헤드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칫솔헤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그립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hea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hea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head,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400);와, 손잡이(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칫솔모(300)를 가진 칫솔헤드(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5, a
칫솔(1)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포함하여 종래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칫솔헤드(200)는 손잡이(400)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때, 칫솔헤드(2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viewed in plan, the
그리고 칫솔헤드(200)의 정면에는 칫솔모(30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칫솔헤드(200)의 최상단에는 변곡점(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변곡점(210)에 대해서 좌측 아래로 연장된 일측면(220), 즉 제1헤드좌측면(220)이 형성되고, 우측 아래로 연장된 타측면(230), 즉 헤드우측면(230)이 형성된다. 또한, 제1헤드좌측면(220) 하부에는 우측 아래로 연장된 제2헤드좌측면(225)이 형성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이하에는 일측면(220)을 제1헤드좌측면(220)으로 지칭하고, 타측면(230)을 헤드우측면(230)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즉, 평면상에서 볼 때, 칫솔헤드(200)의 외측 형상은 상단의 꼭짓점을 이루는 변곡점(210)과, 변곡점(210)에 대해서 좌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헤드좌측면(220)과, 제1헤드좌측면(220) 하부에서 우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헤드좌측면(225)과, 변곡점(210)에 대해서 우측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하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헤드우측면(230)으로 이루어진다.The outer shape of the
변곡점(210)은 Z축과 일치하는 중심축(L)에 대해 우측으로 거리d 만큼 치우쳐 형성된다.The
그리고 제1헤드좌측면(220)은 헤드우측면(230)보다 변곡점(210)을 지나는 수평선(H)에 대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즉, 수평선(H)에 대한 제1헤드좌측면(220)의 기울기(θ1)는 헤드우측면(230)의 기울기(θ2)보다 작다(θ1<θ2).The first head
제1헤드좌측면(220)은 변곡점(210)에 대해 좌측 하향으로 경사져 완만한 곡선면을 이룬다. 그래서 칫솔헤드(200)의 좌측면 상부를 이룬다.The first head
제1헤드좌측면(220)의 하부는 칫솔헤드(200)의 좌측 중앙에 위치하여 제2헤드좌측면(225)의 상부와 연결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ead left
제2헤드좌측면(225)은 제1헤드좌측면(220)의 하부, 즉 칫솔헤드(200)의 좌측 중앙에서부터 우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칫솔헤드(200)의 좌측면 하부를 이룬다.The second head left
그래서 제1헤드좌측면(220)과 제2헤드좌측면(225)이 이루는 각(θ3)은 둔각을 이룬다.Thus, the angle [theta] 3 formed by the first head left
제1헤드좌측면(220)과 제2헤드좌측면(225)으로 이루어진 칫솔헤드(200)의 좌측면은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볼록한 곡선면으로 이루어진다.The left side of the
헤드우측면(230)은 변곡점(210)에 대해 우측 하향으로 형성되어 칫솔헤드(200)의 우측면을 이룬다.The head
헤드우측면(230)은 변곡점(210)에서 우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하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head
도 2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헤드우측면(230)은 직선에 가깝게 형성된다.2, the head
그래서 헤드우측면(230)은 전체적으로 거의 평면에 가까운 곡선면을 이룬다.So that the head
제1헤드좌측면(220)과 헤드우측면(230)이 이루는 각(θ4)은 예각이다.The angle? 4 formed by the first head left
제2헤드좌측면(225)의 하부는 목부(410)의 좌측에, 헤드우측면(230)의 하부는 목부(410)의 우측에 연결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ead left
이와 같이, 칫솔헤드(200)가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강 깊숙히 위치하여 닿기 힘든 어금니 뒤쪽의 좁고 구석진 부분까지 용이하게 칫솔질이 가능하다. 그래서 어금니 뒤쪽의 닿기 힘든 부분에 위치한 프라그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칫솔헤드(200)의 정면에는 칫솔모(30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상에서 볼 때, 칫솔모(300)는 높이(Y축 방향), 즉 전후 길이(Y축 방향)가 균일하게 분포한 메인 칫솔모(310)와, 메인 칫솔모(310)의 상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제1경사칫솔모(320)와, 제1경사칫솔모(320)의 상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제2경사칫솔모(330)로 이루어진다.4, the
치아가 닿는 면인 제2경사칫솔모(330)의 끝면 기울기는 제1경사칫솔모(320)의 끝면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2경사칫솔모(330)의 끝면인 제2경사면(331)의 기울기는 제1경사칫솔모(320)의 끝면인 제1경사면a(321)의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inclination of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메인 칫솔모(310)는 칫솔모(3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칫솔헤드(20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메인 칫솔모(310)의 높이(Y축 방향)는 균일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메인 칫솔모(310)의 끝면인 메인끝면(31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에 닿게 된다.The height (Y-axis direction) of the
메인끝면(311)의 기울기는 Z축에 대해 0도이다.The slope of the
제1경사칫솔모(320)는 메인 칫솔모(31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칫솔헤드(200)의 전방에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제1경사칫솔모(320)의 높이(Y축 방향)는 커진다. 그래서 제1경사칫솔모(320)의 끝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에 닿게 된다.The height of the firs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상에서 볼 때, 제1경사칫솔모(320)의 끝면은 메인끝면(311)의 상하측에서 전방 상측방향 및 전방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a(321)와, 제1경사면a(321)의 상하측에서 후방 상측방향 및 후방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b(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제1경사면a(321)의 기울기는 Z축에 대해 3.5도를 이룬다.The slope of the first inclined plane a 321 is 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Z axis.
제2경사칫솔모(330)는 제1경사칫솔모(32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칫솔헤드(200)의 전방에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갈수록 제2경사칫솔모(330)의 높이(Y축 방향)는 커진다. 그래서 제2경사칫솔모(330)의 끝면인 제2경사면(33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에 닿게 된다.The height of the secon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상에서 볼 때, 제2경사면(331)은 제1경사면b(322)의 상하측에서 전방 상측방향 및 전방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제2경사면(331)의 기울기는 Z축에 대해 7도를 이루어 제1경사면a(321)의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이상과 같이 칫솔모(300)의 끝면인 메인끝면(311), 제1경사면a(321), 제2경사면(331)이 각각 Z축에 대해 0도, 3.5도, 7도의 기울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칫솔모(300)의 끝면 각도는 치아의 배열에 따른 굴곡을 고려한 최적의 각도이다. 그래서 치아 표면 및 치아 사이의 좁은 부분까지 칫솔질하여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고, 깨끗한 치아 관리에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 2에는 칫솔모(300)를 평면상에서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평면상에서 볼 때, 칫솔모(300)는 칫솔헤드(200)의 일측면(220), 즉 제1헤드좌측면(220)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사변형 내에 다수열로 분포되어 된다.The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평면상에서 볼 때, 1열(341)의 상부는 변곡점(210) 아래에 위치하고, 4개의 모 다발이 좌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헤드좌측면(220)과 평행을 이룬다.More specifically, as viewed in plan,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1열(341)에 대해 2열(342), 3열(343), 4열(344), 5열(345), 6열(346), 7열(347)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총 일곱 개의 열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배치된다.The
또한, 일곱 개의 열 중에서 상부 열인 1열(341)과, 중부 열인 4열(344)과, 하부 열인 7열(347)은 굵은모로 형성된다.Of the seven columns, the
그리고 1열(341), 4열(344), 7열(347) 사이에 배치된 2열(342), 3열(343), 5열(345), 6열(346)은 가는모로 형성된다.The two
1열(341), 4열(344), 7열(347)의 굵기는 7밀스로 형성되고, 2열(342), 3열(343), 5열(345), 6열(346)의 굵기는 6밀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es of the
이상과 같은 칫솔모(300)가 제1헤드좌측면(2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굵은모와 가는모가 상하 교대로 배치되어 부드러우면서 탄탄한 칫솔질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The
칫솔헤드(200)의 하부에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400)가 형성된다.A rod-shaped
손잡이(400)는 칫솔헤드(200) 하부에 형성되어 굵기가 칫솔헤드(200)의 좌우 폭보다 좁은 목부(410)를 포함한다.The
손잡이(400)는 유선형의 인체공학적인 바디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함을 가지면서 칫솔(1)의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또한, 손잡이(400)의 중앙부와 하부에는 그립부(420)가 형성된다. 그립부(420)는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쥘 때 파지하는 부분인 중앙부 좌우 측면, 하부 좌우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된다.A
그립부(42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립부(420)는 사용자의 지문과 유사한 등고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한다. 그래서 칫솔질의 효율이 증가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칫솔 200: 칫솔헤드
210: 변곡점 220: 일측면, 제1헤드좌측면
225: 제2헤드좌측면 230: 타측면, 헤드우측면
300: 칫솔모 310: 메인 칫솔모
311: 메인끝면 320: 제1경사칫솔모
321: 제1경사면a 322: 제1경사면b
330: 제2경사칫솔모 331: 제2경사면
341: 1열 342: 2열
343: 3열 344: 4열
345: 5열 346: 6열
347: 7열 400: 손잡이
410: 목부 420: 그립부1: toothbrush 200: toothbrush head
210: inflection point 220: one side, first head left side
225: second head left side 230: other side, head right side
300: bristles 310: main bristles
311: Main end surface 320: First tapered bristle
321: first inclined plane a 322: first inclined plane b
330: second inclined bristles 331: second inclined surface
341: 1 column 342: 2 column
343: 3 column 344: 4 column
345: 5 column 346: 6 column
347: 7 column 400: handle
410: neck 420: grip por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33085AKR101591299B1 (en) | 2014-03-21 | 2014-03-21 | Toothbrush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33085AKR101591299B1 (en) | 2014-03-21 | 2014-03-21 | Toothbrush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09785Atrue KR20150109785A (en) | 2015-10-02 |
| KR101591299B1 KR101591299B1 (en) | 2016-02-0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33085AActiveKR101591299B1 (en) | 2014-03-21 | 2014-03-21 | Toothbrush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9129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3501335B1 (en) | 2017-12-20 | 2020-06-17 | The Gillette Company LLC | Oral care implement |
| EP3501333B1 (en) | 2017-12-20 | 2020-06-24 | The Gillette Company LLC | Oral care implement |
| EP3501336B1 (en) | 2017-12-20 | 2024-09-18 | The Gillette Company LLC | Oral care implement |
| EP3501334B1 (en) | 2017-12-20 | 2020-06-24 | The Gillette Company LLC | Oral care implement |
| EP3524092B1 (en) | 2018-02-09 | 2025-10-01 | The Gillette Company LLC |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
| US11400627B2 (en) | 2018-02-09 | 2022-08-02 | The Gillette Company Llc |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
| EP3524093A1 (en) | 2018-02-09 | 2019-08-14 | The Gillette Company LLC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
| US11388985B2 (en) | 2018-02-09 | 2022-07-19 | The Gillette Company Llc | Connector for a manual oral care implement |
| EP3524091B1 (en) | 2018-02-09 | 2025-04-09 | The Gillette Company LLC | Manual oral care implement |
| EP3616561B1 (en) | 2018-09-03 | 2022-09-28 | The Gillette Company LLC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
| US11659922B2 (en) | 2018-09-03 | 2023-05-30 | The Gillette Company, LLC. |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
| EP3714732B1 (en) | 2019-03-29 | 2024-11-20 | The Gillette Company LLC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
| EP3818904B1 (en) | 2019-11-06 | 2024-12-18 | The Gillette Company LLC |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
| EP3995282B1 (en) | 2020-11-06 | 2025-08-20 | The Gillette Company LLC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dle for a personal care implement |
| EP3995041A1 (en) | 2020-11-06 | 2022-05-11 | The Gillette Company LLC | Polymeric handle material and use thereof |
| EP3854346B1 (en) | 2020-01-22 | 2022-09-21 | The Gillette Company LLC | Method for making a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
| PL3995042T3 (en) | 2020-11-06 | 2025-07-21 | The Gillette Company Llc | Handle for a person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care implement |
| ES2967286T3 (en) | 2020-11-06 | 2024-04-29 | Gillette Co Llc | Handle for a personal care utensil and personal care utensil |
| PL3995037T3 (en) | 2020-11-06 | 2025-06-02 | The Gillette Company Llc | Handle for a person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care imple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55249A (en)* | 1996-04-24 | 1997-08-12 | Li; Jian-Ren | Toothbrush with concave brushing surface |
| US20020004964A1 (en)* | 1999-12-15 | 2002-01-17 | Luchino Thomas Patrick |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
| JP2006230982A (en)* | 2005-02-22 | 2006-09-07 | Shunji Miyazawa | Toothbrush |
| CN201515801U (en)* | 2009-10-28 | 2010-06-30 | 李学本 | Tooth brush |
| KR20130057495A (en) | 2010-09-30 | 2013-05-31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imple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55249A (en)* | 1996-04-24 | 1997-08-12 | Li; Jian-Ren | Toothbrush with concave brushing surface |
| US20020004964A1 (en)* | 1999-12-15 | 2002-01-17 | Luchino Thomas Patrick |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
| JP2006230982A (en)* | 2005-02-22 | 2006-09-07 | Shunji Miyazawa | Toothbrush |
| CN201515801U (en)* | 2009-10-28 | 2010-06-30 | 李学本 | Tooth brush |
| KR20130057495A (en) | 2010-09-30 | 2013-05-31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implem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91299B1 (en) | 2016-02-03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91299B1 (en) | Toothbrush | |
| US10455929B2 (en) | Toothbrush with angled bristles | |
| JP6509902B2 (en) | Head for oral care equipment | |
| RU2166272C2 (en) | Toothbrush | |
| CA2591209C (en) | Toothbrush head with tapered multilobal gum cushions | |
| CA2436839C (en) |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bristle reinforcement | |
| US6230355B1 (en) | Lingual toothbrush | |
| AU2001283456A1 (en) |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bristle reinforcement | |
| TW201328632A (en) | toothbrush | |
| US8590095B2 (en) | Toothbrush with movable head portion | |
| JP7557938B2 (en) | toothbrush | |
| US20100263150A1 (en) | Toothbrush | |
| US20150289639A1 (en) | Toothbrush with curved neck | |
| US10959510B2 (en) | Toothbrush structure | |
| JP2020198963A (en) | toothbrush | |
| MXPA97007199A (en) | Toothbrush with better effectiveness | |
| JP2008289562A (en) | toothbrush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1212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1204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