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SNS를 통해 알리고 SNS 지인들에 의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확인되는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curit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device and a security method for providing a home security service that notifies a user of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SNS and confirms a user's risk situation by SNS acquaintances.
기존의 홈 보안 서비스는 관찰과 감시를 주목적으로 사건/사고가 발생한 이후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기존에는 댁내 모니터링 장비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사고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였다.Existing home security services evolved to take action after the occurrence of an incident / accident primarily for observation and surveillance.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was to extract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in real time through home monitoring devices and to detect and process the accident.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첫째, 고정식 모니터링 장치로 사용자의 패턴을 검사함으로 음영 지역 또는 사각 지대에서 발생되는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움직임 패턴에 의한 다수의 사람을 인식하는 기능은 가족의 경우 비슷한 생활 습관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식별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숙사와 같은 경우에도 비슷한 연령대의 사용자들이 유사한 움직임 패턴을 보일 경우, 정확한 사용자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셋째, 상기 언급된 두 가지의 문제점으로 인해 허위 신고, 신고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신고의 목적은 위험을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위험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위한 것이나 시스템에 의한 반복적이고 잦은 신고 오류는 즉각적인 조치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The problem with the prior art is that, first, by inspecting a pattern of a user with a fixed monitor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in a shadow area or a blind spot can not be recognized. Second, the function of recognizing a large number of people by the movement pattern often involves sharing a similar lifestyle in the case of a family member, thereby causing an error in identifying a user of the family member. Also, in the case of a dormitory, if similar age group users show similar movement patterns, accurate user recognition may be difficult. Third, problems such as false reporting and reporting errors may occur due to the above-mentioned two problems. The purpose of reporting is to prevent risk or to expeditiously deal with the risks that have occurred, but repetitive and frequent reporting errors by the system are an impediment to immediate action.
상기의 시스템 신고의 오류와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허위 신고 및 신고 오류 또한 보안 서비스의 방해 요소이다.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갑작스럽게 놀라서 신고를 못하여 피해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자 스스로가 음주, 우울증 등에 의해 위험 상태에 처한 경우, 스스로 신고를 외면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o the system reporting errors described above, false reporting and reporting errors by users are also an obstacle to security services. In some cases, the user may not be aware of the danger, or the damage may increase because of sudden surprise. In addition, when the user himself or herself is in a dangerous state due to drinking, depression, or the like, he / she may be turned off by himself / herself.
따라서, 위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위험의 신속한 대응 처리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신고가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우려될 경우, 사용자의 주변 지인이나 이웃들이 나서서 사용자의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신고를 한다면 보안성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port accurately and promptly in order to prevent a risk in advance or to deal with the risk quickly. If the risk of the user is concerned, the security will be greatly improved if the user's neighbor or neighbors go out to check and report the situ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알리고, 위험 상황이 지속되면 신고를 발생하는 홈 보안 서비스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urity device and a security method of a home security service that informs a user's SNS acquaintances of a dangerous situation of a user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if a dangerous situation continu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이 감지된 사용자의 상황을 이웃들에게 알리고, 이웃이 보안 장치의 통제권을 가지고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neighbors of the situation of a user who is detected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to monitor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with the control of the security device of the neighb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urity device for providing a home security service using an SNS,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storage unit (SNS) for storing SNS accoun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user;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for analyz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risk situation occurs; And a security operation unit for informing the user of a dangerous situation message using the user's SNS account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단말 및 웨어러블(wearable) 단말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smart terminal and a wear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별로 홈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pattern) 및 홈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의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과 불일치할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may collect at least one of a first pattern until arriving at a home and a second pattern after arriving at a home for each user, If there is an inconsistency with the stored pattern, it is judg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여기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상기 제 1패턴으로 수집한다.Here, the risk-situation determination unit collects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a movement path and a movement time that arrive at the user's home in the first pattern.
또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상기 제 2패턴으로 수집한다.In addition,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collects user opera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lighting linked by the home security service in the second pattern.
나아가,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Further, the risk-situa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allowing a mismatch error with respect to the pattern collec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schedul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대안적으로, 상기 보안 장치는 사용자의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상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하는 지역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위험 상황이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Alternatively, the securit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c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real-time occurrence of crime in the user's area and warning the user terminal of a dangerous situation,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us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danger.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SNS 계정 정보에 등록된 지인들 중에서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Preferably, the security operation unit determines the priority of message transmission using at least one item among the recent distances, the response speed, and the risk correspondence reliability among the acquaintances registered in the SNS account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안 장치는,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과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홈 그룹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동작부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최초로 응답한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device further includes a home group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d store security groups and security devices of at least one or more neighboring hom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me, , Transmits a message of a dangerous situation to a neighbor of the security group, and grants control to the security device of the security group to the first neighboring neighbor.
여기서, 상기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감시 정보를 그룹 설정된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하는 그룹 백업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security device further includes a group backup unit for backing up monitoring information monitored for a hom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a security device of a grouped neighboring hom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안 동작부는, 상기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SNS account of an acquaintance to which the message is delivered, the security operation unit transmits the message to another SNS account, .
나아가, 상기 보안 장치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more, the security device further includes a risk status reporting unit that sets a risk status of the user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d automatically reports the risk status that is se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the us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방법은, 보안 장치가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인에 대한 SNS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 단계; (b)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 단계; 및 (c)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리는 보안 동작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urity method for providing a home security service using a S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n SNS acquiring step of storing SNS account information; (b)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step of analyz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risk situation occurs; And (c) a security operation step of informing a message of a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user's SNS account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상 패턴을 비교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 상황을 SNS 지인들 또는 이웃 사용자들에게 알려서 신고가 발생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are a daily pattern of a user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and inform the SNS acquaintances or neighboring users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so that a notific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은 보안 장치에 의해 판단된 후, SNS 지인 및 이웃 사용자들의 확인을 거쳐서 신고되기에 조속한 신고가 가능하고 신고의 허위나 오류의 가능성이 배제된다.In addition, since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security device, it is reported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SNS acquaintance and the neighboring user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ort it immediately and the possibility of false or error of the report is exclud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가 사용자의 SNS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e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and 2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of a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home security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home security server of FIG. 3 in determining a risk of a user.
FIGS. 7 to 11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home security server of FIG. 3 using a user's SNS to inform a dangerous situation.
12 is a schematic flow diagram of a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of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여 SNS 지인(예 : 가족, 친구 등)들에게 알리는 홈 보안 서버(2) 및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홈 보안 서버(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보안 장치로서,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홈(home)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 보안 서버(2)는 실내 설치되어 홈 자동화 기능, 홈 감시 기능, 보안 기능 등을 제어하는 보안 장치이다.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 및 실내외 감시 장비 및 센서 장비로부터 사용자 상황 및 실내외 상황의 정보(예 : 동영상) 수집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설명의 편의상 가정이라 가정되며, 사무실이나 기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보안 장치로서 기능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상기 사용자 단말(3)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소형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주변 정보 등을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한다.The
예를 들면,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wearable PC 등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3)로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여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smart phones, smart clocks, smart glasses, wearable PCs, and the like collect user behavior patterns as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일정 정보, 위치 정보, 주변 정보(예 :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정보와 감시 장비 및 센서 장비로부터 수집된 감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Then, the
도 2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집 앞에 도착하기까지의 실외 패턴 정보(201)와 실내 감시 장비로부터 실내 패턴 정보(202)를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2)은 미리 설정된 영역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하여 홈 보안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2, the
여기서, 실외 패턴 정보(201) 및 실내 패턴 정보(202)는 홈 보안 서버(2)가 수집한 날씨, 일정, 교통 상황 등의 외부 변수 정보(203)에 따라 소정의 오차를 허용한다.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치 지역에서 발생되는 범죄 정보(204)를 수집하고, 수집된 범죄 정보에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지 등을 판단한다.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실외 패턴 정보(201), 실내 패턴 정보(202), 외부 변수 정보(203) 및 주변의 범죄 정보(204)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정보(205)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SNS 지인들의 계정으로 알린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3 is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SNS 지인 정보를 저장하는 SNS 지인 저장부(21),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24),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알리는 보안 동작부(25) 및 위험 상황이 지속될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신고하는 위험 상황 신고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SNS 지인 저장부(21)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지인들에 대한 계정 정보(예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SMS 등)를 등록받고 저장한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위험 상황의 발생 메시지가 등록된 SNS 계정으로 전송된다.The storage unit 21 stores the account information (e.g., Twitter, Facebook, KakaoTalk, SMS, etc.) for at least one of the SNS acquaintances of the user. When a user's risk situation occurs, a message of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SNS account.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 analyz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바람직하게,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상기 실외 패턴 정보(201)에 해당되는 제 1패턴 정보 및 상기 실내 패턴 정보(202)에 해당되는 제 2패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되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 preferably collects at least one of firs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여기서, 제 1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홈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 2패턴 정보는 홈 보안 서비스에 의해 연동되는 전자 기기 및 조명의 사용자 조작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물론, 패턴 정보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습관, 일상 루틴에 해당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Here,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a movement path and a movement time at which the user arrives at the groove. In addition,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use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illumination linked by the home security service. Of course, the type of pattern information may vary, and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the user's habits and routine routines.
또한,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상기 외부 변수 정보 (203)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패턴과 기 저장된 패턴에 대해 불일치 오차를 허용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In addition, the risk-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 may determine a discrepancy error for the pattern and the pre-stored pattern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schedul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역 정보 수집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NS 지역 정보 수집부(23)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역에서 범죄가 실시간 발생되는 정보를 SNS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범죄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경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환경 설정한 정보에 따라서, 위험 상황이 사용자 단말(3)로 경고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위험 상황 판단부(24)는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상기 보안 동작부(25)는,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기 등록된 상기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린다.If the
그러면, 지인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3)을 통해 SNS 메시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연락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와 연락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확인한 경우, 지인들은 본인의 판단으로 경찰, 보안 업체, 병원 등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신고한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판단되는 1차 판단을 거치고, 위험 상황을 통보받은 SNS 지인에 의해 위험 상황이 판단되는 2차 판단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신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신고가 허위나 오류일 가능성은 크게 줄어든다.Then, the acquaintances can check the SNS message through their
바람직하게, 보안 동작부(25)는, SNS 계정 정보로서 등록된 지인들에 대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우선 전달받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또한, 상기 보안 동작부(25)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가 전달된 지인의 SNS 계정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위험 상황의 해제 없이 기준치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등에서, 사용자의 SNS 기록에서 인용 전달 횟수(예 : 트위터의 retweet)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다른 SNS 계정은 사회 유명인으로서 SNS 파급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의심되는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SNS account of the place where the messa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is delivered, or when the risk operation continues beyond the reference value time without releasing the dangerous situation, the
상기 위험 상황 신고부(26)는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SNS 지인들의 각각의 계정으로 전송하고, 소정 시간 내에 설정된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경찰, 보안 업체 등으로 자동 신고한다. 위험 상황의 신고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사용자 본인은 물론이며 SNS 지인 또는 홈 그룹의 이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The risk status reporting unit 26 transmits a message of a dangerous situation to each account of the SNS acquaintances. If the risk situation se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not released, the risk status of the user is automatically reported to the police, the security company, etc. . The notific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can be released by the user himself as well as the neighbors of the SNS or home group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홈 그룹 설정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그룹 설정부(22)는 사용자의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을 등록받아 보안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그러면, 보안 동작부(25) 사용자에게 발생된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상기 보안 그룹의 이웃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최초로 응답한 이웃 사용자에게 보안 그룹의 보안 장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한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는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홈 주변 또는 실내에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여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가 통보될 때 또는 SNS 지인들에게 상기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위험 상황이 해제없이 지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이웃에 대한 위험 상황의 통보가 개시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더 나아가, 홈 보안 서버(2)는 그룹 백업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인이 사용자의 홈에 강제로 침입할 경우 댁내 보안 장치를 파손시킬 수 있다. 때문에, 그룹 백업부(27)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홈에 대해 감시되는 실외 또는 실내의 감시 정보를 그룹 설정된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한다. 물론, 상기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의 댁내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영상 정보, 침입 정보 등을 백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웃 사용자는 부여된 통제권에 기반하여 백업된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2)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개략적 예시도이다.FIGS. 4 to 6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 도착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도착 인식 기능(401), 댁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는 댁내 패턴 수집 기능(402), 수집된 사용자 행동의 패턴을 기반으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판단 기능(403) 및 판단된 위험 상황을 SNS 지인들의 계정으로 통보하는 SNS 보안 기능(404)을 처리한다.4, the
홈 보안 서버(2)가 실내 출입 사용자를 식별하면, 사용자가 실내에서 행동하는 정보를 패턴 정보로 수집한다. 수집된 패턴 정보를 현재까지 누적된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되고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SNS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 메시지가 통보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주변 이웃들에게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 메시지가 통보될 수 있다. 주변 이웃은 본인의 사용자 단말 또는 댁내 설치된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시지 조회가 가능하다.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홈 보안 서버(2)는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의 댁내 패턴 수집 기능(402)을 상세히 예시한다. 사용자가 홈에 도착하면 습관적으로 홈 보안 서버(2)와 연동 및 제어되는 각종 전자 기기(501)를 켠다. 상기 전자 기기(501)의 예를 들면, TV, 냉장고, 스마트 폰, 조명 기기 등이 있다. 홈 보안 서버(2)는 패턴 검사 기능(502)을 수행하여 전자 기기(501)의 동작 정보를 식별된 사용자의 패턴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외부 변수 정보(203)의 수집을 위해 캘린더 연동 기능(503) 및 날씨 정보 연동 기능(504)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캘린더의 일정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캘린더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은 수집된 패턴 정보에 오차를 허용한다. 홈 보안 서버(2)는 스마트 홈 허브 기능(505)에 의해 수집된 패턴 정보를 수집된 외부 변수 정보(203)에 기반하여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한다. 스마트 홈 서버(2)는 실시간 패턴 정보와 표준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허용치 이상으로 불일치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house
도 6을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기반의 범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NS 수집 기능(601)을 통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반하는 범죄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3)로 통보한다. SNS 보안 기능(602)을 통해 범죄 정보를 통보받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SNS 보안 기능(603)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SNS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통보한다. 그러면, SNS 지인이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 지인이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확인하여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 6, the
도 7 내지 도 11은 도 3의 홈 보안 서버(2)가 사용자의 SNS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는 개략적 예시도이다.Figs. 7 to 1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도 7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을 판단한 홈 보안 서버(2)는 친구 검색 기능(702) 및 친구 추천 기능(703)을 처리하여 메시지를 우선 수신하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한다. 사용자는 순위 결정의 처리를 위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등의 기준 항목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상기 응답 속도는 지인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을 하는 지인들의 순위 정보에 대응한다. 상기 위험 대응 신뢰도는 지인들 중에서 사용자가 위험 상황의 사고 처리에 믿을 수 있는 지인들의 순위 정보에 대응한다. 우선 순위가 결정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위험 상황 판단 기능(701) 및 메시지 발송 기능(704)을 처리하여 SNS 지인들에게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발신한다. 이후, 홈 보안 서버(2)는 응답 대기 기능(704)에 의해 사용자 또는 SNS 지인들의 응답을 대기한다. 위험 상황 판단 기능(701)에 의해 위험 상황이 판단된 이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응답없이 위험 상황이 지속되면 메시지 발송 기능(704)에 의해 홈 보안 서버(2)는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7, the
도 8을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의 통보 처리와 병행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이웃 통보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보완적으로 진행될 경우는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 지인을 주변 이웃보다 더 가까운 관계로 여긴다. 사용자의 홈 보안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이웃의 홈 보안 장치와 그룹 설정되어 저장된다. 사용자가 홈에 도착한 이후로, 상기 1차 패턴 및 제 2차 패턴이 기존의 표준 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801), 주변에 범죄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경우(802), 보안 장비 및 전력 설비 등의 파손이 감지된 경우(803) 등에서 홈 보안 서버(2)는 그룹 설정된 이웃들의 사용자 단말(3) 또는 보안 장치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린다.Referring to FIG. 8, the
도 9를 참조하면, 홈 보안 서버(2)는 위험 상황 감지 기능(901) 및 위험 상황 처리 기능(902)을 실행하여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백업 처리를 요청한다. 여기서,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들 중에서 최초로 응답한 이웃이 위험 상황의 통제권을 부여받는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은 감시된 영상 정보의 조회 및 주변 감시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웃은 실시간 감시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급 상황이 확인되면 신고 및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홈에 설치된 보안 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주변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로 감시 정보가 백업되기 때문에 백업된 감시 정보는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9, the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SNS 지인들을 통해서 메시지가 통보된 이후에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리트윗한 상대방 SNS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f the user's risk situation is not released even after a message is notified through the SNS acquaintances of the user, the user can propagate the message to the other SNS user that the user has retouched.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가까운 SNS 지인을 통해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이웃을 통해 사용자의 실내외 상황이 감시된다. 동시에, 사용자의 SNS에서 메시지의 인용 전달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의 사용자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과 SNS 관계를 맺고 있는 유명인의 경우, 긴급 혈액, 미아 찾기 등의 긴급 구호 상황을 알려서 좋은 결과를 남긴 사례가 많이 있기에 이를 응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에 적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Referring to FIG. 11, if the user's dangerous situation is not released through the nearby SNS acquaintance, the indoor / outdoor situation of the user is monitored through the neighbor. At the same time,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another SNS account whose number of times the message is transmitted in the user's SNS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fact, in case of celebrities who have an SNS relationship with many peopl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emergency relief such as urgent blood, finding a child is reported, and it is effective to apply it to a user's risk situ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12 is a schematic flow diagram of a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 지인들에 대한 계정 정보를 등록받고 저장한다(S21).The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웃 홈의 보안 장치들을 등록받아 보안 그룹으로 설정한다(S22).In addition, the
여기서, SNS 지인의 정보 및 이웃 사용자의 정보가 등록된 이후로, 홈에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등록된 SNS 지인 및 이웃의 정보가 참조되어 위험 상황의 발생 메시지가 각각 통보된다.Here, after the information of the SNS acquaintances and th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users are registered, when the user's risk situation occurs in the home,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SNS acquaintances and neighbors is referred to, and the occurrence messa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is respectively notified.
이후로,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 단말(3)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의 지역에서 실시간 발생되는 범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S23).Thereafter, the
그러면,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고,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S24).Then, the
여기서, 위험 상황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먼저,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기까지의 제 1패턴 정보 및 사용자가 집에 도착한 후의 제 2패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표준 패턴 정보와 비교되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일정 정보,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을 변수 정보로 수집하여 상기 패턴 비교의 불일치 오차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이 있는 경우 데이터 불일치는 상기 일정에 의해 일치로 판단되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Here, the criter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setting of the user. First, the
다음으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단계(S23)에서 지역의 범죄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전송하여 경고한 이후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단계(S21)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SNS 지인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알린다(S25). 그러면, 메시지를 확인한 SNS 지인은 사용자의 집을 방문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해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 지인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라 판단되면, 직접 신고 또는 구조 요청 등을 할 수 있다.If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rmined, the
여기서, 홈 보안 서버(2)는 등록된 지인들에 대해 최근 거리, 응답 속도, 위험 대응 신뢰도 등의 항목에 따라서 메시지를 우선 전달받는 지인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바람직하게,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에 대해 메시지를 통보한 이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22)에서 등록된 홈 그룹의 이웃들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물론, SNS 지인과 동시에 이웃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면, 이웃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 또는 홈 보안 장치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Preferably, if the risk of the user is not releas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notification of the message to the SNS acquaintance, the
이때,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들 중에서 최초로 메시지에 응답한 이웃은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 보안 장치에 대해 통제권을 갖는다.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는 보안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홈 주변 또는 실내에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외 및 실내의 홈 그룹으로 설정된 각각의 보안 장치의 제어를 직접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rst neighbors that have received the message and have responded to the message have control over the home security device of the user who has generated the dangerous situation. The neighboring user who is given the control right can view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s home or indoors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the security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the respective security devices set as outdoor groups and indoor groupings.
한편, 홈 보안 서버(2)는 사용자의 홈에서 보안 장치들을 통해 감시된 감시 정보를 홈 그룹에 소속된 이웃의 보안 장치로 백업을 처리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판단되면, 주변 이웃의 보안 장치 또한 사용자의 홈 주위를 감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권을 부여받은 이웃 사용자의 댁내 보안 장치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사용자의 홈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영상 정보, 침입 정보 등을 백업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러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은 홈 보안 서버(2)에 의해 1차로 판단되고, 사용자와 가까운 SNS 지인들을 통해 2차로 확인되고, 2차 또는 3차로서 주변 이웃들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Then, the user's risk situation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이후, 홈 보안 서버(2)가 위험 상황의 메시지를 SNS 지인들의 각각의 계정으로 전송하였지만, 기준치 시간을 경과하여 설정된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경찰, 보안 업체 등으로 자동 신고한다(S26).Thereafter, when the
여기서, 위험 상황의 해제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사용자 본인은 물론이며 SNS 지인 또는 홈 그룹의 이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위험 상황이 기준 시간 내에 해제되지 않는 경우 홈 보안 서버(2)는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 신고를 발생한다.Here, the cancell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can be released by the user himself as well as by the neighborhood of the SNS acquaintance or the home group according to the user's environment setting. However, if the risk situation is not released within the reference time, the
또한, 홈 보안 서버(2)는, 상기 기준치 시간 내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서, 사용자의 SNS 기록 중에서 인용 전달 횟수(예 : 트위터의 retweet)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SNS 계정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다른 SNS 계정은 사회 유명인으로서 SNS 파급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의심되는 위험 상황이 지속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은 사고 예방 또는 후속 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Also, in a case where the risk situation of the user is not released within the reference value time, the
상기에서, 홈 보안 서버(2)는 SNS 지인들에게 메시지 통보를 기본적으로 처리하고, 사용자가 환경 설정한 보안 정책에 따라 주변 이웃의 통보 처리, 자동 신고 처리 및 리트윗 통보 처리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보안 정책을 조회한 홈 보안 서버(2)가 SNS 통보 처리한 후 30분 후에 이웃 통보 처리를 수행하고, 30분이 더 경과한 후에도 위험 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자동 신고 및 리트윗 통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등 기타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는 홈 보안 서버(2)에 의해 위험 상황이 감지됨과 동시에 바로 신고가 발생한다.In the above, the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홈 보안 서버(2)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rm "part" is not used to denote the hardware division of the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scope.
1 : 홈 보안 시스템 2 : 홈 보안 서버
3 : 사용자 단말1: Home security system 2: Home security server
3: User termina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60202AKR102136882B1 (en) | 2013-12-20 | 2013-12-20 | Security apparatus providing home security service using SNS and method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60202AKR102136882B1 (en) | 2013-12-20 | 2013-12-20 | Security apparatus providing home security service using SNS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73247Atrue KR20150073247A (en) | 2015-07-01 |
| KR102136882B1 KR102136882B1 (en) | 2020-07-2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60202AActiveKR102136882B1 (en) | 2013-12-20 | 2013-12-20 | Security apparatus providing home security service using SNS and method thereof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3688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32050A (en) | 2015-11-04 | 2015-11-25 | 최옥재 | Smart phones access control and smart phones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 US10694363B1 (en) | 2018-12-04 | 2020-06-23 | At&T Mobility Ii Llc | Facilitation of community notification for emergency event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26714A (en)* | 2006-02-27 | 2007-09-06 | Sky Kk | Portable device and abnormal state notification system |
| KR20070108645A (en)* | 2006-05-08 | 2007-1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door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hild Safety Accident |
| KR20110064257A (en)* | 2009-12-07 | 2011-06-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Find friend's friend SSM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respons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SSM service request |
| KR20110130033A (en)* | 2010-05-27 | 2011-12-05 | 박용헌 | Active Video Surveillance System using Behavior Pattern Database and Its Method |
| US20120052637A1 (en) | 2010-08-25 | 2012-03-01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ethod for forming microcrystalline semiconducto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202252B1 (en)* | 2011-09-26 | 2012-11-16 | (주)인지도 | Self-protection system using ear set connecting cellular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26714A (en)* | 2006-02-27 | 2007-09-06 | Sky Kk | Portable device and abnormal state notification system |
| KR20070108645A (en)* | 2006-05-08 | 2007-1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door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hild Safety Accident |
| KR20110064257A (en)* | 2009-12-07 | 2011-06-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Find friend's friend SSM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respons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SSM service request |
| KR20110130033A (en)* | 2010-05-27 | 2011-12-05 | 박용헌 | Active Video Surveillance System using Behavior Pattern Database and Its Method |
| US20120052637A1 (en) | 2010-08-25 | 2012-03-01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ethod for forming microcrystalline semiconducto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202252B1 (en)* | 2011-09-26 | 2012-11-16 | (주)인지도 | Self-protection system using ear set connecting cellular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32050A (en) | 2015-11-04 | 2015-11-25 | 최옥재 | Smart phones access control and smart phones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 US10694363B1 (en) | 2018-12-04 | 2020-06-23 | At&T Mobility Ii Llc | Facilitation of community notification for emergency even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36882B1 (en) | 2020-07-2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02707B1 (en) |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 |
| US9424737B2 (en) | User management of a response to a system alarm event | |
| CN104954733B (en) | Safety nursing system capable of actively detecting position of terminal device | |
| US9460591B2 (en) | Event notification | |
| US9942414B2 (en) | Digital smart security network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EP293070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larm system problems | |
| KR101292304B1 (en) | Intelligent Fire Alarm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Fire Location Information | |
| US11715161B1 (en) | Safety notification service | |
| KR101302653B1 (en) | A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ing home gateway alliance | |
| US9280889B2 (en) | Alert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pagating alerts | |
| CN106663363B (en) | An intelligent alarm system | |
| US2015009855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s | |
| JP2023089165A (en) | Notification processing device, notific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 EP2858385A1 (en) | Communication to a friend in a social network triggered by an alarm | |
| KR20180066688A (en) | Digital Social Shield System using Deep Active Semi-Supervised Learning | |
| KR20150073247A (en) | Security apparatus providing home security service using SNS and method thereof | |
| JP2017076201A (en) | Surveillance camera for crime prevention for outdoor installation and crime prevention system provided with surveillance camera for crime prevention | |
| KR100343045B1 (en) | A burglar alarm and method thereof by internet | |
| JP2020161061A (en) | Security system | |
| KR102407150B1 (en) |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ident in House | |
| US8977514B2 (en) | Thermal activity detection and response | |
| KR10236056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AND PUBLIC SECURITY NETWORK SERVICE BASE ON IoT | |
| KR20150077525A (en) | Danger Elimin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 |
| TW201610937A (en) | Report operation system and report method | |
| JP2017041863A (en) | Telephone apparatus detecting and reporting situ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312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80703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3122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912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004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0716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0071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62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625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625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