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가변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ork table.
고소 작업이나 중량물 운반 작업 등의 경우 발판이 설치된 작업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의 안전성이나 효율성 면에서는 발판을 비롯한 작업대의 규격이 클수록 유리할 수 있다.It is common to use workbenches equipped with footrests for high-altitude work and heavy-goods transportation work. Such a workbench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work, as the size of the workbench including the footbath is larger.
그러나, 발판을 비롯한 작업대의 규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 작업 위치에서 주변 시설 내지 장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작업대의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대의 규격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workbench including the footbath is excessively large, interference with peripheral facilities or devices may occur at the working position, and movement or storage of the workbench may not be easy, so that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size of the workbench.
특히, 작업 위치에는 작업대 설치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나, 작업 위치까지의 이동 통로가 협소하여 작업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Particularly, although a sufficient space for installing the workbench is secured in the work pos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bench can not be used because the travel path to the work position is narrow.
따라서, 작업 시에는 규격을 최대화하면서도,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대에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ork bench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when moving or storing while maximizing the size of the work.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황에 따라 규격을 변화시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work table capable of satisfying both work efficiency and ease of movement and storage by changing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크레인부, 크레인부를 지지하도록 크레인부에 결합되는 제1 발판부, 지면에 대하여 제1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발판부 및 지면에 대하여 제2 발판부를 지지하고 제2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2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ne comprising: a crane capable of lifting a heavy object; a first scaffold portion coupled to the crane portion to support the crane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caffold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scaffold portion against the grou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second footres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footrest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footstool portion, the second footstep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first footstep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ootstep portion A variable workbench is provided.
여기서, 크레인부는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발판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발판부는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면이 개폐 가능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crane portion is hinged to the first footrest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ootrest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footstep portion where the crane portion is folded can be opened and closed.
가변형 작업대는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드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workbench may further include a handrail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rim of the first footrest part and the second footrest part.
제1 지지부는 제1 발판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지면에 대하여 롤링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first pedestal portion and a roll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rollable with respect to the paper.
제2 발판부는 제1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그레이팅, 제1 발판부로부터 그레이팅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레이팅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연결 빗장 및 그레이팅과 제1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ootrest portion includes a grating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rst footrest portion, a coupling bolt projecting from the first footrest portion in a grating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footrest portion so as to be connectable to the grating, Spring.
그리고, 제2 지지부는 제2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지대와 제2 발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which is hinged at one end to the second foot portion, and a fixing catch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cond foot portion to restrict rotation of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발판부가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대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footrest portion is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ootrest portion, the size of the workbenc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and ease of movement and storage can be satis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발판부 및 제2 지지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지지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work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ootres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folded and folded in the variable work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portion is folded and folded in a mov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ore detailed view of a second support in a vari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ariable typ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발판부 및 제2 지지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지지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work 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second footrest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re folded and folded in the variable work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ne portion is folded and folded in a vari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support portion in a variable work 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크레인부(100), 제1 발판부(200), 제1 지지부(300), 제2 발판부(400) 및 제2 지지부(500)를 포함하고, 핸드 레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6, a
크레인부(100)는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부분으로, 제1 발판부(200)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레인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및 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붐은 마스트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크레인부(100)는 체인블록 또는 로프 등을 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고, 크레인부(100)가 제1 발판부(200)에 축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를 지지하도록 크레인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일부분에 크레인부(100)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 작업자 또는 중량물이 탑재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1 발판부(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크레인부(1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중을 최소화하도록 경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제1 지지부(300)는 지면에 대하여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크레인부(100)의 중량물 인양 시 중량물의 하중 및 크레인부(100)와 제1 발판부(200)의 자중을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1 지지부(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종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조일 수 있고, 제1 발판부(200)와 복수의 포인트에서 결합되어 제1 발판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제2 발판부(400)는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의 접철 여부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는 제1 발판부(20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를 사용한 작업 시에는 제2 발판부(400)를 제1 발판부(200)와 나란하게 펼쳐 작업대(1000)의 규격을 최대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 및 보관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제1 발판부(200) 방향으로 접어 작업대(1000)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3, when the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의 일측면에만 결합되거나 네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1 to 5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
제2 지지부(500)는 지면에 대하여 제2 발판부(400)를 지지하고 제2 발판부(4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2 발판부(4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발판부(4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다.The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접기 전에 제2 지지부(500)를 제2 발판부(400) 방향으로 접어 제2 발판부(400)의 접철 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대(1000)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Since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크레인부(100)는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발판부(200)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가 접철되는 면이 개폐 가능할 수 있다.In the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부(100)를 접기 전에 제1 발판부(200)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의 개방된 부분 방향으로 크레인부(100)를 회전시켜 크레인부(100)를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한 후 제1 발판부(200)의 개방된 부분을 다시 닫을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횡방향의 폭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높이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 내지 보관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크레인부(100)가 필요하지 않은 단순 발판 용도로 작업대(1000)를 사용하는 경우, 크레인부(100)를 접어 보다 넓은 발판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핸드 레일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40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를 사용한 작업 시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400)로부터 작업자 또는 탑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he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 내지 보관 시에는 핸드 레일부(600)를 분리하여 작업대(1000)의 규격을 더울 줄일 수 있다.2 to 5, when the movable work tab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ved or sto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work table 1000 by separating the
한편, 도 1에서는 핸드 레일부(600)가 복수의 파이프 및 이에 결합되는 로프로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인 구조 또는 난간 구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1,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1 지지부(300)는 지지 프레임(310) 및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지지 프레임(310)은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롤러(320)는 지면에 대하여 롤링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320)는 지지 프레임(310)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2 발판부(400)는 그레이팅(410), 연결 빗장(420) 및 스프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그레이팅(410)은 제1 발판부(20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모양으로 공극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발판부(400)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grating 410 is hinged at one end to the
연결 빗장(420)은 제1 발판부(200)로부터 그레이팅(410)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레이팅(410)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를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펼친 상태에서 연결 빗장(420)을 그레이팅(410) 방향으로 돌출시켜 연결함으로써,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접을 경우 연결 빗장(420)을 그레이팅(410) 반대 방향으로 밀어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2 발판부(400)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to 5, when the
스프링(430)은 그레이팅(410)과 제1 지지부(3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2 발판부(400)를 접고 펴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발판부(400)를 펴는 경우 스프링(4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2 발판부(400)가 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제2 발판부(400)를 펴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제2 발판부(400)가 접히는 경우에도 스프링(4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자중 등에 의해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스프링(430)이 가스 스프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통해 제2 발판부(400)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1 to 5 illustrat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2 지지부(500)는 지지대(510) 및 고정 걸쇠(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지지대(510)는 제2 발판부(40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510)는 경사면 또는 단차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고정 걸쇠(520)는 지지대(5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지대(510)와 제2 발판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10)의 일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xed
이로 인해, 제2 발판부(400)를 펼친 경우, 지지대(510)에 고정 걸쇠(520)를 체결하여 지지대(510)가 의도치 않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지지대(510)를 접기 위해서는 고정 걸쇠(52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지지대(510)를 접도록 할 수 있다.Thus,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크레인부200: 제1 발판부
300: 제1 지지부310: 지지 프레임
320: 롤러400: 제2 발판부
410: 그레이팅420: 연결 빗장
430: 스프링500: 제2 지지부
510: 지지대520: 고정 걸쇠
600: 핸드 레일부1000: 가변형 작업대100: crane unit 200: first scaffold portion
300: first support part 310: support frame
320: roller 400: second scaffold portion
410: Grating 420: Connecting bolt
430: spring 500: second support portion
510: support 520: retention latch
600: Hand rail part 1000: Variable work tabl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6012AKR20140135551A (en) | 2013-05-16 | 2013-05-16 | Variable platform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6012AKR20140135551A (en) | 2013-05-16 | 2013-05-16 | Variable platfor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35551Atrue KR20140135551A (en) | 2014-11-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6012ACeasedKR20140135551A (en) | 2013-05-16 | 2013-05-16 | Variable platform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135551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78165A (en)* | 2014-12-24 | 2016-07-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antry Tower Crane for Cargo Inspection |
| NL2021265B1 (en)* | 2018-07-06 | 2020-01-16 | Joseph Huijsman Marinus | Work table with a lifting device |
| CN110775900A (en)* | 2019-11-26 | 2020-02-11 |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 Operation platform for subway rail flat car |
| KR102232395B1 (en)* | 2020-08-18 | 2021-03-25 | 신왕현 | Foldable working platfor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78165A (en)* | 2014-12-24 | 2016-07-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Gantry Tower Crane for Cargo Inspection |
| CN107108183A (en)* | 2014-12-24 | 2017-08-29 |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 Hatch survey gantry crane |
| NL2021265B1 (en)* | 2018-07-06 | 2020-01-16 | Joseph Huijsman Marinus | Work table with a lifting device |
| CN110775900A (en)* | 2019-11-26 | 2020-02-11 |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 Operation platform for subway rail flat car |
| KR102232395B1 (en)* | 2020-08-18 | 2021-03-25 | 신왕현 | Foldable working platfor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276849A1 (en) | Adjustable Platform Rail Systems and Methods | |
| KR102348846B1 (en) | Foldable gantry-crane | |
| JP2009516104A (en) | Folding workbench | |
| KR20140135551A (en) | Variable platform | |
| US10507572B2 (en) | Workbench | |
| JP6271608B2 (en) | Folding gantry | |
| KR20090088156A (en) | Leg member folding device of work bench | |
| KR102266031B1 (en) | Ladder with tool box | |
| KR20150085879A (en) | Safety Ladders | |
| KR102050843B1 (en) | Movable scaffold frame | |
| JP4027208B2 (en) | Lifting type moving scaffold | |
| CN201385308Y (en) | Foldable feed/discharge table | |
| KR102027845B1 (en) | Foldable scaffold frame | |
| KR101552245B1 (en) | High-place worktable | |
| JP3213460U (en) | Workbench | |
| JP5360645B2 (en) | Folding work gondola | |
| KR20130004550U (en) | The safety worktable which the hand carried is easy | |
| JP2005273304A (en) | Portable work bench | |
| KR102319936B1 (en) | Temporary scaffolding device | |
| JP2023006448A (en) | Safe workbench, and workbench installing method | |
| KR20200075370A (en) | 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 |
| JP6689141B2 (en) | Mobile scaffolding | |
| KR20220043608A (en) | Moving worktable | |
| KR102349796B1 (en) | Folding table with fastening structure | |
| KR20200035725A (en) | Foldable ladder assembl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305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8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501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4082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