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40087084A -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84A
KR20140087084AKR1020120152435AKR20120152435AKR20140087084AKR 20140087084 AKR20140087084 AKR 20140087084AKR 1020120152435 AKR1020120152435 AKR 1020120152435AKR 20120152435 AKR20120152435 AKR 20120152435AKR 20140087084 AKR20140087084 AKR 2014008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ode
pattern
articl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석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손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석filedCritical손용석
Priority to KR1020120152435ApriorityCriticalpatent/KR20140087084A/ko
Priority to PCT/KR2013/012061prioritypatent/WO2014104694A1/ko
Publication of KR2014008708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40087084A/ko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인증 서버는 물품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라벨 영역 추출부,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하는 코드 분석부,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도형 패턴 분석부 및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AUTHENTICATION SERVER AND METHOD BY USING LABEL AND, MOBILE DEVICE}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정품 선호 사상이 확산되면서 물품의 구매 시에 매장의 물품이 정품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졌다. 특히, 고급품을 선호하는 소비층에게는 정품 확인에 대한 욕구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고가로 구입한 정품에 대한 값싼 모조품이나 위조품들이 유통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종래에는 위조품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에 파괴성 씰(Breakable Seal)을 부착하거나 로고, 또는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등 일차적인 수단을 사용하는데 머물러 있었으며, 상품의 판매처에는 정품임을 확인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나 절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설령 제조사나 유통사에서 제품의 유통을 추적하는 서버를 운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전용 단말이나 판매 관리자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5852호는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킹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품의 정품 여부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인증번호를 인식하고, 자신의 단말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치를 요구한다.
소비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만으로 간단하게 인증이 가능하면서도, 강력한 보안 성능을 보장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물품에 표시된 라벨에 다중의 보안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라벨에 대한 위조 또는 복제 방지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품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라벨 영역 추출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하는 코드 분석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도형 패턴 분석부 및 상기 코드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물품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코드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촬영 장치를 통해 물품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라벨의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라벨 영역 추출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코드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도형 패턴 분석부 및 상기 수신된 분석 데이터 및 상기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비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만으로 간단하게 인증이 가능하면서도, 강력한 보안 성능을 보장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차원 이상의 바코드와 도형의 패턴을 활용한 보안 기법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라벨에 대한 위조 또는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인증 서버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간의 연동 시나리오를 통해 소비자에게 간단한 인증 절차를 학습시킴으로써, 정품 인증 분야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라벨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f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의 라인(Line)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닷(Dot)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은 인증 서버(10),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라벨이 표시된 물품(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증 서버(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등의 네트워크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증 서버(10)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서버(10)는 유기농 야채에 부착된 유기농 야채를 인증하는 라벨을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진 이미지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되는 라벨 영역은 선 또는, 점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QR 코드와 같은 1차원 이상의 바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특수 인쇄된 라벨을 의미할 수 있다.
인증 서버(10)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하고,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10)는 라벨 영역에 삽입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정보를 분석하고, 라벨 영역에 그려진 선, 점 또는, 도형의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인증 서버(10)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의 패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물품(30)을 인증 또는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서버(10)는 QR 코드를 분석한 결과,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올바른 암호 체계인지 여부 등에 따라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여, 라인의 수, 라인의 간격, 점의 패턴 및 도형의 모양에 따라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는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는 라벨 이미지의 인증 횟수 또는 라벨 이미지가 진위 여부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라벨 이미지를 통하여 정품 인증이 제공되며, 정품 인증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가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품 인증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서버(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통해 촬영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10)는 통신부(11), 라벨 영역 추출부(12), 코드 분석부(13), 도형 패턴 분석부(14), 인증부(15), 라벨 정보 관리부(16) 및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통해 촬영된 소정 라벨 영역을 포함하는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라벨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는 도 3a에 도시된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b에 도시된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팔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c에 도시된 테두리의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d에 도시된 점(Dot)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또는, 도 3e에 도시된 일부 영역에 점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가 앞서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한다. 이 때,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사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라벨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라벨 영역을 라벨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마커 디텍션 알고리즘(Marker Detection Algorithm)을 통하여 라벨 이미지 상의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의 원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이미지를 바이너리(Binary) 이미지로 변경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바이너리로 변경된 라벨 이미지를 보간 또는, 보정하여 윤곽 및 외곽선을 표시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라벨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꼭지점 4개 또는, 8개를 갖는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인식한다.
도 4f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인식된 라벨 영역의 원근감을 조절(Warp Perspective)하여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라벨 영역의 원근감을 조절하여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라벨 영역 추출부(12)를 통해 추출되는 라벨 영역은 앞서 예시된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 분석부(13)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한다. 코드는 1차원 코드인 바코드, 2차원 코드인 QR코드(Quick Response Code), 3차원 코드인 컬러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드 분석부(13)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QR 코드를 분석하여, QR 코드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분석부(13)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로부터 코드의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물품(30)의 정보 및 코드의 암호화 체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코드 분석부(13)의 QR코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획득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도형의 패턴의 유형, 종류 및 도형 패턴의 설정 등의 정보를 통해 라벨 영역에 포함된 도형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라인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라인 패턴은 라벨 영역에 복수의 라인으로 구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복수의 라인들의 모양, 형태, 라인의 폭, 길이 및 라인과 라인간의 간격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분석 결과는 라벨 또는 물품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라인의 폭이 정해진 규격보다 크거나, 라인과 라인간의 간격이 정해진 규격보다 큰 경우 라벨은 위조 또는 복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의 라인(Line)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라벨 영역을 나타낸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영역을 바이너리 변환하여 라벨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을 명확하게 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바이너리 변환된 라벨 영역에 다일레이트 필터(Dilate Fillter) 및, 이로드 필터(Erode Fillter)를 적용한다. 이 경우, 다일레이트 필터는 라벨 영역의 어두운 부분을 강조하고, 이로드 필터는 밝은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다일레이트 필터 및 이로드 필터가 적용된 라벨 영역에 가우시안 블러(Guassian Blur)를 통해 라벨 영역의 배경을 흐리게 처리하고,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통해 라벨 영역의 전 영역에 걸쳐 라인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패턴을 다른색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허프 변환은 소정 조건 공간에서 직선, 원 등 조건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곡선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허프 변환은 영상 전 영역에 걸쳐 산재해있는 패턴, 구멍이 있는 패턴, 잡음이 있는 패턴 등을 포함하는 영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닷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닷 패턴은 라벨 영역에 복수의 닷(또는 점)으로 구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복수의 닷들의 모양, 형태, 닷의 지름, 넓이 및 닷과 닷간의 간격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분석 결과는 라벨 또는 물품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닷의 지름이 정해진 규격보다 작거나, 닷과 닷간의 간격이 정해진 규격보다 큰 경우 라벨은 위조 또는 복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닷(Dot)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닷 패턴을 포함하는 라벨 영역을 나타낸다. 닷 패턴은 10 X 8의 행렬 내에서 점으로 구분하며, 라벨 인쇄시에는 아주 작은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하고,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영역을 바이너리 변환하여 라벨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점을 명확하게 한다. 도 6b의 오른편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라벨 영역 내부의 닷 패턴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바이너리 변환된 라벨 영역으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한다. 외곽선의 검출에는 외곽선 검출(FindCountours)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하나의 닷 패턴은 10 X 8 크기의 행렬 내에서 점으로 이루어진 소정 패턴이다.
도 6d의 오른편 도면을 참조하면 닷 패턴의 최상측, 최좌측 및 최우측에 위치한 복수의 점은 불변 위치의 점으로 패턴의 인식, 방향 및 기울기 등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닷 패턴의 가용위치인 나머지 8 X 7 행렬 내부의 점의 위치에 따라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아스키(ASCII) 3 바이트(Byte) 그리고, 4 바이트(Byte, 약 4억)의 숫자를 인식 범위로 가질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외곽선이 검출된 점 닷 패턴으로부터 패턴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점을 찾는다. 도 6f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군집 패턴 알고리즘(Crowd Pattern Algorithm)을 통해 닷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 후 좌 우측의 불변 위치의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닷 패턴 각각을 인식하고, 인식된 각각의 닷 패턴 중 불변 위치의 점 들을 제외하여 닷 패턴을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을 회색조로 변경하고, 바이너리 변환하여 소정 도형(Figure) 또는, 패턴(Pattern)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에 작은 크기로 특수 인쇄된 도형,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을 인증한다. 다시 말하면, 인증부(15)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코드의 기준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의 기준 이미지와 코드 분석부(13)로부터 수신된 코드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5)는 제품 정보, 선, 점, 도형 패턴 등의 라벨 영역에서 인식해야 할 도형의 종류, 패턴의 설정 값 등을 포함하는 코드의 기준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수신하고, 코드 분석부(13)로부터 수신된 QR코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해당 QR코드가 등록된 코드 인지 여부, QR 코드의 암호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QR코드가 정상적으로 유통된 정보인지 여부를 통해 1차적으로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도형 패턴 분석부(14)를 통해 분석된 도형의 수, 도형의 간격, 각도, 방향 및 패턴의 일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치하는 경우, 라벨 또는 라벨에 대응하는 물품(30)이 복사 또는 위조되지 않은 정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부(15)는 도형 패턴 분석부(14)를 통해 분석된 라벨 영역의 라인 패턴 중 라인의 최소 개수, 각도 및 라인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증부(15)는 닷 패턴의 일치 여부, 라벨 영역 내의 기준이 되는 도형의 이미지와 동일한 도형이 몇 개인지 여부, 정확도는 어느 정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물품(30),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가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인 경우, 통신부(11)는 인증부(15)의 인증 결과 해당 라벨 또는 물품(30)이 진품이 경우 라벨 이미지를 전송한 모바일 디바이스(20)에 해당 물품(30) 또는 라벨이 진품임을 알리는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생성되어 통신부(11)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명, 모델명,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는 라벨과 함께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부(15)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라벨과 매칭된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다바이스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5)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라벨에 매칭된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스워드가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라벨 또는 물품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횟수에 기초하여, 잘못된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라벨이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라벨에 기초하여 물품 정보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라벨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의 위조를 방지하고, 위조된 라벨이 모조품에 표시되어 사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15)는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라벨 또는 물품이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5)가 특정 라벨에 대하여 진위 여부 확인 횟수를 3회로 제한 하였고,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0)를 이용하여 라벨의 진위 여부를 4회째 확인하는 경우, 라벨이 위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라벨의 진위 여부가 제한된 횟수만큼 확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에 패스워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라벨의 진위 여부 제한 횟수를 갱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의 진위 여부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의 진위 여부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데이터베이스(17)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가 잘못된 경우에 잘못된 패스워드의 수신 횟수에 기초하여 라벨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데이터베이스(17)를 변경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 별로 진위 여부의 확인 횟수가 제한되는 경우, 라벨의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 횟수를 초과하면 라벨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데이터베이스(17)를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는 물품(30)의 정보, 도형 패턴의 종류, 도형 패턴의 설정 값,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17)는 물품(30)의 종류, 검출되는 도형의 종류, 라벨 영역 내의 도형 패턴의 종류, 선의 개수, 최소 길이, 간격, 각도, 닷 패턴 정보, 도형 모양 등의 진위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정보, 패스워드 및 물품(30)의 진위 제한 횟수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7)의 일 예에는 인증 서버(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물품(30)에 부착된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S701)하고, 인증 서버(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촬영된 라벨 이미지를 수신(S702)한다. 인증 서버(10)는 수신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S703)하고,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S704)한다. 인증 서버(10)는 코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에 전송하고, 인증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정품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 정보를 수신(S705)한다. 인증 서버(10)는 수신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 (S706)하고,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전송(S707)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S708)한다.
다만,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7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들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도 8의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인증 서버(10)에 대해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의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부(21), 라벨 영역 추출부(22), 코드 인식부(23), 통신부(24), 도형 패턴 분석부(25) 및 인증부(26)를 포함한다.
촬영부(21)는 촬영 장치를 통해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부(2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통해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라벨 영역 추출부(22)는 촬영된 라벨의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라벨 영역 추출부(22)는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23)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인식부(23)는 사각형 형태의 라벨 영역에 포함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통신부(24)는 인식된 코드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24)는 서버로부터 도형의 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기 수신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라인 또는, 닷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인증부(26)는 수신된 분석 데이터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26)는 도형 패턴 분석부(25)로부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라인의 수, 간격 및 각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물품(30)에 부착된 라벨을 촬영(S901)하고, 촬영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S902)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바코드 등의 코드를 분석(S903)하고, 분석된 코드 정보를 서버로 전송(S904)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S905)하고, 수신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벨을 인증(S906)하여, 디스플레이에 인증 결과를 표시(S907)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인증 서버(10)에 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10)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S1001)하고,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S1002)한다. 인증 서버(10)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S1003)하고,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S1004)한다. 그리고, 인증 서버(10)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의 패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S1005)한다.
도 10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엑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인증 서버
2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8)

  1.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촬영 장치를 통해 물품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라벨의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라벨 영역 추출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코드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코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도형 패턴 분석부; 및
    상기 수신된 분석 데이터 및 상기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20152435A2012-12-242012-12-24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CeasedKR20140087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152435AKR20140087084A (ko)2012-12-242012-12-24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PCT/KR2013/012061WO2014104694A1 (ko)2012-12-242013-12-24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152435AKR20140087084A (ko)2012-12-242012-12-24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087084Atrue KR20140087084A (ko)2014-07-09

Family

ID=5102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20152435ACeasedKR20140087084A (ko)2012-12-242012-12-24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140087084A (ko)
WO (1)WO201410469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18244A1 (en)*2014-07-292016-02-04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Transmit an authentication mark
WO2017003060A1 (ko)*2015-06-302017-01-05주식회사 디지워크아이피 추적 모듈이 삽입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이미지,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진위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68246B1 (ko)*2019-01-252020-02-11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라벨의 전자정보 입력 및 전자태그 부착장치
CN113159792A (zh)*2020-01-222021-07-23未来技术研究所株式会社正品验证方法、正品验证系统以及数字全息图标签生成器
KR20220093441A (ko)*2020-12-282022-07-05조형래라벨 이미지 등록 및 인증 서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08351978B (zh)*2015-11-132020-07-07皇家飞利浦有限公司使用组合的条形码图像来确定与装置相关联的动作
CN105488686A (zh)*2016-01-082016-04-13张高祥数码防伪装置及其方法
JP7667082B2 (ja)*2018-10-192025-04-22ダイアグノスティク・インスツ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バルク試料容器のバーコードスキャン
US11941478B2 (en)2018-10-192024-03-26Diagnostics Instruments, Inc.Barcode scanning of bulk sample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404869B1 (ko)*2001-05-042003-11-07이광희상품의 진위여부 확인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50022695A (ko)*2003-08-292005-03-08김용욱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진품 보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92689A (ja)*2003-09-192005-04-07Oki Electric Ind Co Ltd食品流通管理システム
KR20100070115A (ko)*2008-12-172010-06-25(주)디노밴정품 인증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0914B1 (ko)*2011-08-292012-08-07박삼식정품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단말,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18244A1 (en)*2014-07-292016-02-04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Transmit an authentication mark
CN106575333A (zh)*2014-07-292017-04-19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发送认证标记
US10068237B2 (en)2014-07-292018-09-04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Transmit an authentication mark
WO2017003060A1 (ko)*2015-06-302017-01-05주식회사 디지워크아이피 추적 모듈이 삽입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이미지,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진위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68246B1 (ko)*2019-01-252020-02-11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라벨의 전자정보 입력 및 전자태그 부착장치
CN113159792A (zh)*2020-01-222021-07-23未来技术研究所株式会社正品验证方法、正品验证系统以及数字全息图标签生成器
KR20220093441A (ko)*2020-12-282022-07-05조형래라벨 이미지 등록 및 인증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14104694A1 (ko)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140087084A (ko)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US11620658B2 (en)Authenticated barcode pattern
US10970615B2 (en)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ecure tags
US9171347B2 (en)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nd authentication of covert security information using a smart device
US11935223B2 (en)Mobile multi-feature product authentication
US20150089615A1 (en)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US20160210621A1 (en)Verifiable credentials and methods thereof
US9697298B2 (en)ID tag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170758A1 (en)Low cost unique identification generation using combination of patterns and unique code images
WO2018011536A1 (en)Document authentication system
CN106529976A (zh)商品确认唯一性的查验系统和查验方法
CN109472337B (zh)一种基于随机特征的标签防伪方法和装置
EP4274156B1 (en)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authentication
JP2017532696A (ja)ランダムセキュリティ機能を登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認証システム
CN104036399A (zh)一种基于条码扫描与动态密码的真伪鉴别方法
WO2017207524A1 (en)An authentication method for product packaging
US20170317830A1 (en)Access Medium
KR101595766B1 (ko)정품 인증용 라벨 및 그 라벨을 이용한 인증방법
CN104636931A (zh)一种用于烟草行业的二维码生产方法
KR102242678B1 (ko)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KR20210001155A (ko)분산원장을 rfid 키 저장소로 사용하는 문서 위변조 방지를 위한 인증 키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JP7101258B2 (ja)2次元バーコードの生成方法、認証方法、サーバ、及び2次元バーコード
KR102511635B1 (ko)Qr 코드를 이용한 시계 정품 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380391B1 (en)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al identification
KR20220050010A (ko)지능형 마킹시스템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21224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50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4071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4050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