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은 인증 서버(10),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라벨이 표시된 물품(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증 서버(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등의 네트워크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증 서버(10)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서버(10)는 유기농 야채에 부착된 유기농 야채를 인증하는 라벨을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진 이미지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되는 라벨 영역은 선 또는, 점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QR 코드와 같은 1차원 이상의 바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은 특수 인쇄된 라벨을 의미할 수 있다.
인증 서버(10)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하고,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10)는 라벨 영역에 삽입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정보를 분석하고, 라벨 영역에 그려진 선, 점 또는, 도형의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인증 서버(10)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의 패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물품(30)을 인증 또는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서버(10)는 QR 코드를 분석한 결과,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올바른 암호 체계인지 여부 등에 따라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하여, 라인의 수, 라인의 간격, 점의 패턴 및 도형의 모양에 따라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는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는 라벨 이미지의 인증 횟수 또는 라벨 이미지가 진위 여부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라벨 이미지를 통하여 정품 인증이 제공되며, 정품 인증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가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품 인증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서버(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통해 촬영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10)는 통신부(11), 라벨 영역 추출부(12), 코드 분석부(13), 도형 패턴 분석부(14), 인증부(15), 라벨 정보 관리부(16) 및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통해 촬영된 소정 라벨 영역을 포함하는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라벨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는 도 3a에 도시된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b에 도시된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팔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c에 도시된 테두리의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도 3d에 도시된 점(Dot)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또는, 도 3e에 도시된 일부 영역에 점 패턴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라벨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라벨 이미지가 앞서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한다. 이 때,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사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라벨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라벨 영역을 라벨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마커 디텍션 알고리즘(Marker Detection Algorithm)을 통하여 라벨 이미지 상의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의 원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이미지를 바이너리(Binary) 이미지로 변경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바이너리로 변경된 라벨 이미지를 보간 또는, 보정하여 윤곽 및 외곽선을 표시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라벨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꼭지점 4개 또는, 8개를 갖는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인식한다.
도 4f를 참조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인식된 라벨 영역의 원근감을 조절(Warp Perspective)하여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라벨 영역 추출부(12)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라벨 영역의 원근감을 조절하여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라벨 영역 추출부(12)를 통해 추출되는 라벨 영역은 앞서 예시된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 분석부(13)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한다. 코드는 1차원 코드인 바코드, 2차원 코드인 QR코드(Quick Response Code), 3차원 코드인 컬러코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드 분석부(13)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QR 코드를 분석하여, QR 코드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분석부(13)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로부터 코드의 정보, 코드에 대응하는 물품(30)의 정보 및 코드의 암호화 체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코드 분석부(13)의 QR코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획득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도형의 패턴의 유형, 종류 및 도형 패턴의 설정 등의 정보를 통해 라벨 영역에 포함된 도형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라인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라인 패턴은 라벨 영역에 복수의 라인으로 구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복수의 라인들의 모양, 형태, 라인의 폭, 길이 및 라인과 라인간의 간격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분석 결과는 라벨 또는 물품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라인의 폭이 정해진 규격보다 크거나, 라인과 라인간의 간격이 정해진 규격보다 큰 경우 라벨은 위조 또는 복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의 라인(Line)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라벨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라벨 영역을 나타낸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영역을 바이너리 변환하여 라벨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을 명확하게 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바이너리 변환된 라벨 영역에 다일레이트 필터(Dilate Fillter) 및, 이로드 필터(Erode Fillter)를 적용한다. 이 경우, 다일레이트 필터는 라벨 영역의 어두운 부분을 강조하고, 이로드 필터는 밝은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다일레이트 필터 및 이로드 필터가 적용된 라벨 영역에 가우시안 블러(Guassian Blur)를 통해 라벨 영역의 배경을 흐리게 처리하고,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통해 라벨 영역의 전 영역에 걸쳐 라인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패턴을 다른색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허프 변환은 소정 조건 공간에서 직선, 원 등 조건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곡선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허프 변환은 영상 전 영역에 걸쳐 산재해있는 패턴, 구멍이 있는 패턴, 잡음이 있는 패턴 등을 포함하는 영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닷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닷 패턴은 라벨 영역에 복수의 닷(또는 점)으로 구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복수의 닷들의 모양, 형태, 닷의 지름, 넓이 및 닷과 닷간의 간격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분석 결과는 라벨 또는 물품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닷의 지름이 정해진 규격보다 작거나, 닷과 닷간의 간격이 정해진 규격보다 큰 경우 라벨은 위조 또는 복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닷(Dot)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닷 패턴을 포함하는 라벨 영역을 나타낸다. 닷 패턴은 10 X 8의 행렬 내에서 점으로 구분하며, 라벨 인쇄시에는 아주 작은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색을 회색조로 변경하고, 회색조로 변경된 라벨 영역을 바이너리 변환하여 라벨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점을 명확하게 한다. 도 6b의 오른편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라벨 영역 내부의 닷 패턴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바이너리 변환된 라벨 영역으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한다. 외곽선의 검출에는 외곽선 검출(FindCountours)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하나의 닷 패턴은 10 X 8 크기의 행렬 내에서 점으로 이루어진 소정 패턴이다.
도 6d의 오른편 도면을 참조하면 닷 패턴의 최상측, 최좌측 및 최우측에 위치한 복수의 점은 불변 위치의 점으로 패턴의 인식, 방향 및 기울기 등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닷 패턴의 가용위치인 나머지 8 X 7 행렬 내부의 점의 위치에 따라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아스키(ASCII) 3 바이트(Byte) 그리고, 4 바이트(Byte, 약 4억)의 숫자를 인식 범위로 가질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의 외곽선이 검출된 점 닷 패턴으로부터 패턴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점을 찾는다. 도 6f를 참조하면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군집 패턴 알고리즘(Crowd Pattern Algorithm)을 통해 닷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 후 좌 우측의 불변 위치의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닷 패턴 각각을 인식하고, 인식된 각각의 닷 패턴 중 불변 위치의 점 들을 제외하여 닷 패턴을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을 회색조로 변경하고, 바이너리 변환하여 소정 도형(Figure) 또는, 패턴(Pattern)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형 패턴 분석부(14)는 라벨 영역에 작은 크기로 특수 인쇄된 도형,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을 인증한다. 다시 말하면, 인증부(15)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코드의 기준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의 기준 이미지와 코드 분석부(13)로부터 수신된 코드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5)는 제품 정보, 선, 점, 도형 패턴 등의 라벨 영역에서 인식해야 할 도형의 종류, 패턴의 설정 값 등을 포함하는 코드의 기준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수신하고, 코드 분석부(13)로부터 수신된 QR코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해당 QR코드가 등록된 코드 인지 여부, QR 코드의 암호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QR코드가 정상적으로 유통된 정보인지 여부를 통해 1차적으로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도형 패턴 분석부(14)를 통해 분석된 도형의 수, 도형의 간격, 각도, 방향 및 패턴의 일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치하는 경우, 라벨 또는 라벨에 대응하는 물품(30)이 복사 또는 위조되지 않은 정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부(15)는 도형 패턴 분석부(14)를 통해 분석된 라벨 영역의 라인 패턴 중 라인의 최소 개수, 각도 및 라인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증부(15)는 닷 패턴의 일치 여부, 라벨 영역 내의 기준이 되는 도형의 이미지와 동일한 도형이 몇 개인지 여부, 정확도는 어느 정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물품(30),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가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인 경우, 통신부(11)는 인증부(15)의 인증 결과 해당 라벨 또는 물품(30)이 진품이 경우 라벨 이미지를 전송한 모바일 디바이스(20)에 해당 물품(30) 또는 라벨이 진품임을 알리는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확인을 위한 패스워드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생성되어 통신부(11)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명, 모델명,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 및 패스워드는 라벨과 함께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부(15)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라벨과 매칭된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다바이스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5)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라벨에 매칭된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패스워드가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라벨 또는 물품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된 횟수에 기초하여, 잘못된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라벨이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5)는 라벨에 기초하여 물품 정보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라벨이 진품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의 위조를 방지하고, 위조된 라벨이 모조품에 표시되어 사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15)는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라벨 또는 물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라벨 또는 물품이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5)가 특정 라벨에 대하여 진위 여부 확인 횟수를 3회로 제한 하였고,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0)를 이용하여 라벨의 진위 여부를 4회째 확인하는 경우, 라벨이 위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15)는 라벨의 진위 여부가 제한된 횟수만큼 확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에 패스워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라벨의 진위 여부 제한 횟수를 갱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의 진위 여부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의 진위 여부 및 라벨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횟수를 데이터베이스(17)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가 잘못된 경우에 잘못된 패스워드의 수신 횟수에 기초하여 라벨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데이터베이스(17)를 변경할 수 있다.
라벨 정보 관리부(16)는 라벨 별로 진위 여부의 확인 횟수가 제한되는 경우, 라벨의 진위 여부 확인 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 횟수를 초과하면 라벨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되도록 데이터베이스(17)를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는 물품(30)의 정보, 도형 패턴의 종류, 도형 패턴의 설정 값,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17)는 물품(30)의 종류, 검출되는 도형의 종류, 라벨 영역 내의 도형 패턴의 종류, 선의 개수, 최소 길이, 간격, 각도, 닷 패턴 정보, 도형 모양 등의 진위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정보, 패스워드 및 물품(30)의 진위 제한 횟수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7)의 일 예에는 인증 서버(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물품(30)에 부착된 라벨의 이미지를 촬영(S701)하고, 인증 서버(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촬영된 라벨 이미지를 수신(S702)한다. 인증 서버(10)는 수신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S703)하고,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S704)한다. 인증 서버(10)는 코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에 전송하고, 인증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정품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 정보를 수신(S705)한다. 인증 서버(10)는 수신된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 (S706)하고, 인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전송(S707)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수신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S708)한다.
다만,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7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들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도 8의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인증 서버(10)에 대해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의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부(21), 라벨 영역 추출부(22), 코드 인식부(23), 통신부(24), 도형 패턴 분석부(25) 및 인증부(26)를 포함한다.
촬영부(21)는 촬영 장치를 통해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부(2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통해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라벨 영역 추출부(22)는 촬영된 라벨의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라벨 영역 추출부(22)는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사각형 또는 팔각형의 라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23)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인식부(23)는 사각형 형태의 라벨 영역에 포함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통신부(24)는 인식된 코드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24)는 서버로부터 도형의 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기 수신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형 패턴 분석부(25)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라인 또는, 닷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인증부(26)는 수신된 분석 데이터 및 도형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라벨의 진위 여부, 물품의 진위 여부, 물품의 생산 이력, 물품에 연관된 경품 정보 및 물품에 연관된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26)는 도형 패턴 분석부(25)로부터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라인의 수, 간격 및 각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되는 라벨 또는 물품(30)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물품(30)에 부착된 라벨을 촬영(S901)하고, 촬영된 라벨 이미지로부터 라벨 영역을 추출(S902)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라벨 영역에 포함된 바코드 등의 코드를 분석(S903)하고, 분석된 코드 정보를 서버로 전송(S904)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S905)하고, 수신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벨을 인증(S906)하여, 디스플레이에 인증 결과를 표시(S907)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인증 서버(10)에 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10)는 물품(30)에 표시된 라벨을 촬영한 라벨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S1001)하고, 수신된 라벨 이미지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에 포함된 라벨 영역을 추출(S1002)한다. 인증 서버(10)는 추출된 라벨 영역에 포함된 일차원 이상의 코드를 분석(S1003)하고, 추출된 라벨 영역의 도형 패턴을 분석(S1004)한다. 그리고, 인증 서버(10)는 코드의 분석 결과 및 도형의 패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라벨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S1005)한다.
도 10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엑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