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기기에서 서버(server)로 광고(advertisement)를 요청(request)하고 요청된 광고를 처리하는 방법, 그를 위한 디지털 기기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system, a digital device, and a service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questing an advertisement from a digital device to a server and processing a requested advertisement, Device and service system.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이 종래 아날로그 방송(analog broadcasting)에 비해 외부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고 에러정정(error correction)에도 유리하며, 해상도(resolution)도 높아 더욱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양방향 서비스(bi-directional service)도 제공할 수 있다.Digital broadcasting is more resistant to external noise than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so data loss is small, error correction is advantageous, and resolution is high, so that a clearer picture can be provided. Digital broadcasting can also provide a bi-directional service.
한편,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terrestrial), 위성(satellite), 케이블(cable)과 같은 매체(media)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 연결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실시간 방송(real-time broadcasting), CoD(Contents on Demand) 등의 IPTV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digital broadcasting is a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 for digital contents through not only media such as terrestrial, satellite, and cable but also IP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and CoD (Contents on Demand).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기기에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들)에 대한 광고 등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nd provide advertisement information on an external device (s) connectable to a digit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형적인 광고를 단순하게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관심있는 기기 등에 대한 광고를 수신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receive a typical advertisement manually, but to actively receive an advertisement for a device of interest and thereby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단순 광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품 만족도도 높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provide a simple advertisement but als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actually helpful to a user in cooperation with a related service, thereby enhancing the advertisement effect as well as enhancing the product satisfaction of the digital device providing the service, To increase the desire to purchase.
상기 과제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 예는, 디지털 기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제공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제1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전달된 제1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제2 데이터를 리턴받는 단계; 리턴받은 제2 데이터를 제2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로부터 리턴된 제2 데이터에 대한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제3 데이터를 리턴받는 단계; 리턴받은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제3 데이터가 선택되면, 관련 기능을 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xample of a service data processing method in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informing that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 digital device, Generating a first data by capturing a current screen being provided; Transferring the generated first data to a first server and returning second data for a stored location of the transferred first data from the first server; Transferring the returned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Receiving third data including advertisement data for second data returned from the second server; Decoding the returned third data, generating OSD data and outputting the OSD data on the screen; And when the output third data is selected, calling and providing a related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일 예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제공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기기;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제1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1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제2 데이터를 리턴하는 제1 서버와, 수신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리턴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리턴받아 상기 리턴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서버로 전달하고, 리턴되는 상기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며, 출력된 제3 데이터가 선택되면, 관련 기능을 호출하여 제공한다.One example of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for notifying that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providing a digital data for generating a first data by capturing a current screen being provided by the provided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device; A first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first data from the digital device and returning second data for a stored location of the stored first data, and a third server for generating third data including advertisement data for the second data received Wherein the digital device returns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server, transfers the returned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and returns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Generates OSD data by decoding the third data, and outputs the OSD data on the screen. When the output third data is selected, the OSD data is called and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기기에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들)에 대한 광고 등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for an external device (s) connectable to the digital device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can be received and provided.
둘째, 전형적인 광고를 단순하게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관심있는 기기 등에 대한 광고를 수신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rather than simply receiving a typical advertisement manually,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ceive an advertisement for a device of interest, thereby increasing the advertisement effect.
셋째, 단순 광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품 만족도도 높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Third, it not only provides simple advertisement, but it also enhances the advertisement effect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actually helpful to the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related service. In addition, it enhances the product satisfaction of the digital device providing the service, have.
도 1은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디지털 기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디지털 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 또는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디지털 기기 제어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과 7은 서비스 시스템 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 외부 기기 및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13은 제1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와 관련된 화면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서비스 서버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는 데이터 테이블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과 18은 제3 데이터와 관련된 화면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rvice system including a digital devic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digital devic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gital device,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or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device control means,
Figures 6 and 7 illustrate at least one digital device, external device and server in the service system,
8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irst data and the third data,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vice server configura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oud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 table structure in FIG.
17 and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een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third data, and
FIG.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 part ", and the like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both may be used as nee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In addition, 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artisan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ifferent. However,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related description sec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is to be interpreted based not only on its name but on its practical meaning as well as on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과 그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Various embodiments (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reon. In this cas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 or drawings are not to be construed as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라 함은 예컨대, 방송수신 기능, 컴퓨터 기능 내지 지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external input)을 지원하는 지능형 기기를 말한다. 상기 디지털 기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게임(gam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기기는,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공간 리모콘 등 적어도 하나의 입력 또는 제어수단(이하 제어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digital device " refers to an intelligent device that supports, for example,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 computer function or support, and at least one external input. The digital device can support e-mail, web browsing, banking, game, application, etc.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digital device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input or control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ol means) such as a handwriting input device, a touch screen, and a space remote control.
디지털 기기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는 범용의 OS 커널(kernel)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을 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device can us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a digital device can add, delete, amend, update, etc. various applications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A user-friendly environment can be constituted and provided.
이러한 디지털 기기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PC(Personal Computer) 등 고정형 기기(Stand device)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도 포함한다.Such a digital device may be a stand device such as a network TV, a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HBBTV), a Smart TV, a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Smart phones, tablet PCs, notebooks, and other mobile devices or handheld devices.
한편, “외부 입력”이라 함은, 외부 입력 기기 즉, 하나의 디지털 기기를 기준으로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그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모든 입력 수단 내지 디지털 기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입력은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플레이 스테이션(play station)이나 X-Box와 같은 게임 기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프린터기, 스마트 TV와 같은 디지털 기기들을 모두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 " external input " includes all input means or digital devices that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is, one digit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and processed . Here, the external input may include, for example, a digital device such as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game device such as a play station or an X-Box,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rinter, do.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기기는 스마트 TV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되, 상기 디지털 기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으로는 HDMI 또는/및 게임 기기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gital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mart TV, wherein at least one external input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includes HDMI and /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ervice system including a digital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즉, 디지털 기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 일 수 있다.1, a service system including a digital device includes a content provider (CP) 10, a service provider (SP) 20, a network provider (NP) 30 and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40 (Customer). Here, the HNED 40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an IPTV,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s the
컨텐트 제공자(10)는, 각종 컨텐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트 제공자(10)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 (System Operator) 또는 MSO (Multiple SO),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개인 컨텐트 제공자들(Private CP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컨텐트 제공자(10)는, 방송 컨텐트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트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한편,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로 한꺼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컨텐트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는 동일한 개체(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제공자(10)가 컨텐트를 제작하고 이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Also, the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버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The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한편, 서비스 시스템 내 서버 측에서는 전송되는 컨텐트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트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100) 측에서는 상기 서버 측의 제한 수신이나 컨텐트 보호에 대응하여 그 처리를 위해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AS)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On the server side in the service system, a conditional access or a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to protect the transmitted content. In this case, on the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히려 클라이언트(100)가 컨텐트 제공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기존 서비스 제공자(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2는 디지털 기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일 수 있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device. Here, FIG. 2 may correspond to the client of FIG. 1, for example, and may be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디지털 기기(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디멀티플렉서(Demux)(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 & 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IP) packets)을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20)로부터 서비스, 컨텐트 등을 수신한다.The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기기(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기기(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The TCP /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2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The
디멀티플렉서(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The
SI 디코더(2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 DVB-SI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The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예를 들어,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EPG 서비스나 채널 브라우저 서비스 등에 관한 SI 정보 역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디멀티플렉서(205)에서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e audio /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기기(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nager can be configured, for example, including the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기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The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The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된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 한다.In addition, the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The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The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I &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 &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gateway)이다.Meanwhile, the
도 3은 디지털 기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device.
디지털 기기(300)의 다른 예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저장부(3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 제어부(370), 디스플레이부(380), 오디오 출력부(385), 전원공급부(3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3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The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또한, 튜너(3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복조부(320)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3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3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복조부(3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header)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복조부(3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지털 수신기는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를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디지털 수신기(300)에 다양한 외부장치가 인터페이싱되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기(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이미지 포함) 신호를 디지털 기기의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제어부(370)는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기기(3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3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다양한 셋톱-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인접하는 외부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370) 또는 저장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디지털 기기(3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3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기기에, 디지털 기기(3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또한,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또한, 저장부(3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저장부(3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300)는, 저장부(3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도 3은 저장부(340)가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제어부(370)는, 튜너(310),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3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제어부(370)는, 디지털 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기기(3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로, 제어부(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제어부(3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제어부(3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기기(3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한편, 제어부(3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3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 item, the
제어부(3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디스플레이부(380)는,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디스플레이부(3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부(3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오디오 출력부(3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3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voice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수신기(3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제어부(370)로 전달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70)에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제어부(3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390)는, 디지털 기기(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The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상술한 디지털 수신기(3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The
한편, 도 2와 3에 도시된 디지털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기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2 and 3 ar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a digital devic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is omitted in some of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 2 and 3, the digital device may not receive the tuner and the demodulator, and may receive and reproduce th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한편, 디지털 기기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80)와 오디오 출력부(385)가 제외된 셋톱-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gital device may be a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an image stored in the device or an input image. Other examples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 a set-top box,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game machine, a computer,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excluding the
도 4는 도 2 또는 3에 도시된 제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제어부(37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or 3. FIG. The
제어부(370)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410), 영상 처리부(420), OSD(On-Screen Display) 생성부(440), 믹서(mixer)(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455), 및 포맷터(formatter)(4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37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 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4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310) 또는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The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3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The
영상 디코더(4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4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한편, 영상 처리부(4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기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OSD 생성부(4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믹서(450)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포맷터(4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4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A frame rate conversion unit (FRC) 455 converts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포맷터(4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4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4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80)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The
한편, 제어부(3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3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3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370)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도시된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5는 디지털 기기 제어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s) of the digital apparatus control means.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들)(551 내지 55N, 여기서 N은 양의 정수)과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외부 입력(들)(551 내지 55N)이 연결된 디지털 기기(5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기기(500)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수단이 이용된다.A front panel (not shown) or a control means provided on the
한편,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기기(5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510), 키보드(530), 포인팅 기기(5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기기(5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기기(5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기기(5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 등도 제어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기기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제어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기기와 통신 가능하다.The control means may be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U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t least one of which can be communicated to the digital device.
리모컨(510)은, 디지털 기기(5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제어수단을 말한다.The
포인팅 기기(5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기기(5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기기(500)에 소정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기기(5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키보드(530)는, 디지털 기기(5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기기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5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The
한편, 리모컨(510), 포인팅 기기(520), 키보드(5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ans such as the
디지털 기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과 연결된 경우, 외부 입력을 통한 컨텐트 제공을 위해 모드(이하 '외부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입력 모드의 디지털 기기(500)는, 외부입력 전용의 제어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나, 모드 전환에 따른 제어수단 변경보다는 기 이용중인 제어수단을 통해 외부입력 모드의 디지털 기기(500)를 계속하여 제어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 이용중인 제어수단 역시 디지털 기기(500)의 외부입력 모드 전환에 대응하여 해당 모드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을 위한 모드 전환이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일반적으로 동일한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 시청 중에 외부입력 모드로 전환한 당시에는 모드 전환 및 현재 모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다른 것에 신경을 쓰고 나면 이를 쉽게 망각하여 현재 모드가 외부입력 모드였는지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외부 입력이 디지털 기기에 연결되었다면, 어떤 외부입력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인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다른 사용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전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함에 있어 외부입력 모드를 이용하였는지 아니면 그 외의 일반시청 모드를 이용하였는지 인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의 상태 예를 들어, 스탠-바이(stand-by) 상태나 전원이 온 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same user switches to the external input mode while viewing the digital device, the mode switching and the current mode can be easily recognized. However, if the user temporarily leaves the room or worries about something else, It may not be recognized. Further, if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s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it may not be easy to know which external input mode is activated. This is true for other users. That i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whether the previous user uses the external input mode or the other general viewing mode in using the digital device, and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digital device, for example, a stand- A similar problem may arise even when it is turned on.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디지털 기기의 모드 타입 내지 종류를 쉽고 빠르며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다면, 디지털 기기를 모드를 정확히 인식하여 한 번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함에 있어서 여러 번의 오류를 경험하거나 모드 설정이나 변환을 위해 여러 뎁쓰(depth)를 거쳐야 하는 등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user can not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the mode type or type of the digital device at present, he / she can recognize the mode accurately and control the digital device in a desired direction at a time, It can lead to complaints such as having to go through various depths.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상황에서도 제어수단을 통해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상태(모드)를 인식하여 불필요한 과정 등의 소요 없이 더욱 빠르고 편하게 오류 없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is specification, a user who wants to control the digital device through the control means recognizes the state (mode) of the digital device through the control means in the above descriptio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device more quickly and easily without error without taking an unnecessary process .
도 6과 7은 서비스 시스템 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 외부 기기 및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t least one digital device, external device and server in the servic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일 예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제공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기기, 상기 디지털 기기로부터 제1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1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제2 데이터를 리턴하는 제1 서버와, 수신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리턴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리턴 받아 상기 리턴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서버로 전달하고, 리턴되는 상기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며, 출력된 제3 데이터가 선택되면, 관련 기능을 호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for notifying that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providing a digital data for generating a first data by capturing a current screen being provided by the provided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A first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first data from the digital device and for returning second data for a stored location of the stored first data, a third server for storing advertisement data for the received second data, And returning the second data from the first server to the second server, returning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returning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and returning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And outputs the generated OSD data to the screen. When the output third data is selected, It can be provided by calling.
상기에서, 디지털 기기는,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URL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버는 서비스 서버 및 광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서버가 서비스 서버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리턴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 다시 리턴하고, 상기 제2 서버가 광고 서버인 경우, 상기 광고 서버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 리턴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digital device provides a list of connectable external devices and can search device data for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a cloud server, the second data may be URL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the first data is stored, and the second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rvice server and an advertisement server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server is a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transfers the received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returns the third data return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to the digital device, The advertisement server downloads and analyzes the first data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data, and returns the thir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 the digital device.
한편, 상기에서, 제1 데이터는, 상기 검색된 기기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전달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 또는 캡쳐된 화면상의 소정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생성된 광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데이터는, 전달된 제1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광고 데이터로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및 URL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data may include the searched device data, and the thir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included in the transferred first data, And the thir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audio, video, and URL address as advertisement data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transferred first data It is possible.
그 밖에, 상기에서, 디지털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제1 데이터의 생성, 제2 데이터의 리턴 및 전달 그리고 제3 데이터의 리턴받고,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달된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OSD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digital device may generate the first data for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return and transfer the second data, return the third data, And configure and output the OSD screen based on third data transmitted from the other digital device.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기기, 외부 기기 및 서버를 포함하여 하나의 서비스 시스템(600)이 구성되며, 상기 각 디지털 기기, 외부 기기 및 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기기(6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이를 화면상에 제공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방송국도 서비스 시스템(6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One
도 6을 참조하면, 각 구성요소는 서로 연결 가능한 모든 방식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주로 이용되는 방식은 상기 방식 중 일부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all the components are shown as being connectable to each other, but a method mainly us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 of the above metho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is sec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로, 도 6에서는 서버(650)의 일 예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도 7은 외부 기기(620)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였다.In one embodiment, FIG. 6 illustrates one example of a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서버(652)는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를, 제2 서버(654)는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를, 그리고 제3 서버(656)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의미할 수 있다. 비록 도 6에서는 제1 서버(652), 제2 서버(654) 및 제3 서버(656)가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되거나 생략되어 서버(650)를 구성할 수도 있다.6, the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기기(610)는 외부 기기(620)가 연결되면, 서버(65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상기 외부 기기(620)가 직접 서버(650) 내 적어도 하나의 구성과 통신할 수도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620)로 DVD 플레이어(DVD Player)(622), 홈 씨어터(Home Theatre)(624), 스마트 폰/태블릿 PC(626), 냉장고(628), 세탁기(630) 등이 일실시예로 도시되었다.Referring to FIG. 7, a
여기서, DVD 플레이어(DVD Player)(622), 홈 씨어터(Home Theatre)(624) 등의 외부 기기는 유선으로 디지털 기기(6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 폰/태블릿 PC(626), 냉장고(628), 세탁기(630) 등의 외부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디지털 기기(6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각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또는 그 속성상 디지털 기기(610)와 직접 연결이 힘든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디지털 기기(610)와 연결될 수도 있다.External devices such as a
도 6과 7에 도시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은 각각 서버와 외부 기기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도면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6과 7이 통합된 서비스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도 6과 7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 내 서비스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서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s of the service systems shown in FIGS. 6 and 7 are shown and described in different drawings from the viewpoints of servers and external devices, respectively. However, FIG. 6 and FIG. 6 and 7, a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in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이하에서는, 도 6과 7을 참조하여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연결 이후에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ion process of a service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a service process in a service system after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디지털 기기(610)는 외부 기기(620)가 연결되면,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When the
여기서, 디지털 기기(610)는 식별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기(610)는 상기 외부 기기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한다.Here, in provi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re is an external device connectable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he
한편, 디지털 기기(610)는 외부 기기(6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면 또는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외부 기기(620)에 대한 기기 데이터(device data)를 검색(detecting)한다.The
여기서,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데이터라 함은, 해당 외부 기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하는데 예컨대, 식별 정보, 제품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외부 기기 식별 정보라 함은, 웹 페이지 다운로드, 사용자가 촬영 또는 저장한 이미지 데이터 등 디지털 기기가 접근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부터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하여 추출된 상기 기기 식별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품 정보는 해당 기기에 제조업체, 제조연도, 제품 이름, 제품 버전 정보, 제품 소프트웨어 정보, 제품 하드웨어 정보, 제품 펌-웨어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기기 데이터, 식별정보, 제품정보는,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device data for the external device mean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mage data for device identification extrac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from various methods accessible to the digital device such as downloading of a web page and image data captured or stored by a user And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anufacturer, manufacture year, product name, product version information, product software information, product hardware information, and product firmwar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evi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may have a data format such as text, audio, and video.
디지털 기기(610)는 검색된 외부 기기(620)의 기기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연결 과정에 이용하거나 저장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610)는 기 저장된 기기 데이터와 비교하여 중복되면 이를 저장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610)는 수집된 기기 데이터와 저장된 기기 데이터가 일부만 중복되면, 중복된 데이터만을 무시하고 나머지 기기 데이터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는 외부 기기가 연결된 이후에도 소정 주기 또는 비주기로 검색되는 기기 데이터에 대해 상술한 비교 과정을 통해 필요한 기기 데이터를 계속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렇게 기기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면, 후술하는 본 발명과 같이, 단지 기기 데이터가 연결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기기 데이터 업데이트 시에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서버(650)와 통신하여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해당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UI(외부기기 연결 알림 UI)를 팝-업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외부기기 연결 알림 UI가 제공된 현재 화면에 대한 스크린 샷을 백 채널(back channel)을 통해 촬영한다. 이때, 상기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이름, 식별자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 및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 digital device, a UI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for notifying tha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in a pop-up form,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is provided and a screen shot of the current screen is shot through a back channel.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ame and an identifier of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image data for a connected external device.
이후 디지털 기기(610)는 스크린 샷 데이터(제1 데이터)를 서버(65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650)로부터 상기 전송된 제1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Then, the
여기서, 제1 데이터는, 디지털 기기(610)에서 백 채널을 통해 촬영한 외부 기기 연결 시 알림 UI가 포함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 샷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하나, 상술한 해당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ata refers to screen shot image data for a screen including a notification UI when an external device is photographed through a back channel i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기기와 서버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between the digital device and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방식First Method
일실시예로, 도 6과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사용 시나리오(제1 시나리오)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8 내지 13은 제1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와 관련된 화면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the basic usage scenario (first scenario)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8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irst data and the third data.
디지털 기기(6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상에 컨텐트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외부 기기가 상기 디지털 기기에 연결되면, 디지털 기기(610)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기기 데이터를 검색한다.The
디지털 기기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기기 데이터가 검색되면, 검색된 기기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OSD 데이터 즉,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820)를 생성한다. 디지털 기기는 도 8과 같이, 상기 생성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820)를 현재 제공중인 화면(810)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 도 8에서는 예를 들어, 외부 기기 즉, 컨트롤 기기로 트롬 세탁기가 연결되었음을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8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When the device data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retrieved, the digital device generates OSD data for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hat is, an external device
디지털 기기는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820)가 출력되면, 상기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820)가 출력되고 있는 현재 화면을 백 채널로 스크린 샷을 찍어 제1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되는 제1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만을 포함하나, 전술한 제1 데이터 구성 방식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n the external device
디지털 기기(610)는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제3 서버(656) 즉,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upload) 하고,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3 서버(656)로부터 업로드 된 스크린 샷이 저장된 위치 정보(제2 데이터)를 디지털 기기(610)로 리턴(return) 한다.The
디지털 기기(610)는 리턴된 제2 데이터를 제1 서버(652) 즉, 광고 서버로 전달하고, 광고 서버는 전달된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 제1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분석한다. 이때, 디지털 기기는 상기 리턴된 제2 데이터를 네트워크 또는 광고 서버에 따라 필요하면 적절히 변환할 수도 있다.The
광고 서버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광고 데이터(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지털 기기(610)로 리턴 한다.The advertisement server generates advertisement data (thir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gital devi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returns the generated advertisement data to the
디지털 기기는 리턴된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를 위한 OSD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 데이터(920)를 화면(910)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The digital device decodes the returned third data, generates OSD data for the generated third data, and outputs the generated
여기서, 제2 데이터는, 디지털 기기(610)에서 업로드한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에 대한 주소 데이터가 포함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데이터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는, 스크린 샷 이미지 데이터 등이 포함한 제1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직접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data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ddress data of the address where the first data uploaded by the
한편, 제3 데이터는, 디지털 기기(610)로부터 전달받은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받은 제1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data is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downloaded based on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한편, 전술한 도 8에서는 제1 데이터로 트롬 세탁기를 예시하고, 도 9에서는 제3 데이터 즉, 트롬 세탁기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 밖에, 도 10에서는 제1 데이터로 2006년식 디오스 냉장고가 연결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1020)를 화면(1010)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고, 도 11에서는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3 데이터에 기반한 UI(1120)을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전술한 도 8 내지 11과 같이, 외부 기기로 USB 광마우스가 연결되고 그를 위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1220)를 화면(1210)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나, 도 13에서는 도 8 내지 11과 달리 연결된 외부 기기가 아닌 제1 데이터 내 화면상에 포함된 다른 정보 예컨대, 상기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아닌 다른 정보 즉,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트에 속한 정보인 은행 정보를 광고 서버로부터 리턴 받고 이를 화면(1310)상에 해당 UI(씨티은행)(1320)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3 데이터는 반드시 제1 데이터에 속한 외부 기기에 대한 데이터만이 아니라, 상기 제1 데이터에 속한 모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리턴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G. 8, the first data is exemplified as the chrome washing machine, and in FIG. 9, the third data, that is, the advertising data for the chromium washing machine, is output. In addition, in FIG. 10, an external device
제2 방식Second way
제2 방식은 전술한 제1 방식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서비스 서버(1410)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410)는 예를 들어, 도 14 또는 1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를 구현함에 있어 기본 구성은 도 14와 같이 구성되나, 제1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와 서비스 서버 사이에 제1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의 송수신이 도 15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의 경우에도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의 기능을 상기 제1 방식과 같이, 하나의 디지털 기기 또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결되는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서비스 서버로서 다수의 디지털 기기를 커버(cover)하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In the second scheme, the
제2 방식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610)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이를 도 14 또는 15와 같이 구현된 서비스 서버(14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410)는 클라우드 서버와 같이, 상기 제1 데이터를 소정 위치에 저장하고, 그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서비스 서버(1410)는 생성된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1490)로 전송하고, 광고 서버(1490)는 전송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광고 서버(1490)는 제3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410)로 리턴하고, 서비스 서버(1410)는 리턴된 제3 데이터를 다시 해당 디지털 기기(610)로 리턴한다.The
그리고 디지털 기기(610)는 리턴된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Then, the
도 14와 15를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14 and 15, the servic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4는 서비스 서버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server configuration,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oud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디지털 기기(610), 서비스 서버(1410) 및 광고 서버(14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410)는 예를 들어, 디지털 수신기(610)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largely includes a
이하에서는 서비스 서버(1410)에서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in the
여기서, 서비스 서버(1410)는, 제어부(1420), 크롤러 모듈(1430), 서치 모듈(1440), 처리부(1450), 각종 데이터베이스(1460,1470), 서치 엔진(14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서비스 서버(141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만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제어부(1420)는 디지털 기기(610)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크롤러 모듈(1430)로 전달하고, 크롤러 모듈(1430)은 처리부(1450)를 거쳐 제1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1460,1470)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처리부(14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60,1470)로부터 전달된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데이터를 포함한 위치 정보 즉, 제2 데이터를 리턴 받는다.The
처리부(1450)는 리턴받은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1490)로 전달한다. 광고 서버(1490)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부(1450)로 리턴한다.The
처리부(1450)는 광고 서버(1490)로부터 제3 데이터가 리턴되면, 이를 제어부(1420), 크롤러 모듈(1430), 및 서치 모듈(1440) 중 적어도 하나(다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어부에서 보고받은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에 제3 데이터가 리턴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처리부(1450)는 상기 제3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60,1470)에 일시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third data is returned from the
제어부(1420)는 처리부(1450)의 보고에 따라 일시 저장된 제3 데이터를 다시 디지털 기기(610)로 리턴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 서버의 일 기능이 종료될 수 있다.The
다만, 상술한 바와 달리, 서비스 서버(1410)는 단지 하나의 디지털 기기(1405)와만 연결된 것이 아니라 복수의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과정을 각 디지털 기기에 대해 반복 수행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above, the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420)는 광고 서버(1490)로부터 미리 작성된 제3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60,1470)에 저장하고, 하나의 디지털 기기(1405)로부터 제1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처리부(145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460,1470)에 일시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420)는 서치 모듈(1440)을 제어하여 수신된 제1 데이터에 관련된 제3 데이터를 분석하고 서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서치 모듈(440)은 현재 수신된 제1 데이터가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1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성 여부를 검토한다. 검토 결과 만약 동일 또는 유사성이 많으면, 다른 디지털 기기에 대해 리턴한 제3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그대로 해당 디지털 기기로 리턴하면 된다. 또는 검토 결과 만약 양 데이터의 동일 또는 유사성이 소정 기준 이하라면, 광고 서버(149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제3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 리턴할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해당 디지털 기기로 리턴 한다.In this regard, the
한편, 도 14 및 15에서, 서비스 서버(1410)가 복수의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었다면, 제1 데이터 및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많은 로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디지털 기기와 서비스 서버 간에는 소정 주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은 로드 밸런싱 서버(1500)를 이용할 수 있다.14 and 15, if the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 시스템의 일 예는, 디지털 기기단(1510 내지 n, n은 양의 정수), 로드 밸런서단(1500) 및 이미지 호스트 노드단(1550 내지 m, m은 양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 밸런서단(1500)과 이미지 호스트 노드단(1550 내지 m)은 서버로 볼 수 있으며, 디지털 수신기단(1510 내지 n)은 클라이언트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제1 방식의 클라우드 서버도 이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방식에서의 클라우드 서버와는 다른 서버로 설명한다.15, an example of a service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5의 클라우드 시스템의 서버는, 기본적으로 각 디지털 기기단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로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10초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10초당 적어도 소정 횟수 이상의 업로드를 수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횟수라 함은 예를 들어, 최소 30,000번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rver of the cloud system of FIG. 15 basically receives and uploads the first dat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rom each digital device en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or example, 10 seconds. In addition, the server can be controlled to accept uploads at leas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 10 seconds. Her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mean, for example, at least 30,000 times or more.
또한, 서버는 디지털 기기단(1510 내지 n)으로 가장 최신의 제1 데이터만을 업로드/다운로드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upload / download only the latest first data to the digital device stages 1510 to n.
그 밖에 서버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구적인 저장 매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뿐 메모리 용량(각 제1 데이터의 크기는 50 내지 100KB), 비용 등을 고려할 때, 계속하여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이전 제1 데이터는 바로 삭제하면 되므로, 영구 저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버에 영구적인 저장 매체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새로운 제1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전 제1 데이터는 더 이상 필요가 없으므로 삭제한다.In addition, the server need not have a permanent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first data. For example, the server temporarily stores the first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 device, but continuously updates in consideration of the memory capacity (the size of each first data is 50 to 100 KB) and the cost. So there is no need to store it permanently. Therefore, the server does not need to have a permanent storage medium. That is, when new first data is received, the previous first data is deleted because it is no longer needed.
또한, 서버는 특정 디지털 기기로부터 제1 데이터가 업로드 되면, 상술한 소정 시간 이전에 수신된 제1 데이터가 존재하면, 먼저 그와 동일한 제1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업로드 요청을 거절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상기 특정 디지털 기기가 아닌 다른 디지털 기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접수만 하고 실제 제1 데이터는 받지 않고 향후 제3 데이터를 리턴하기만 하기 때문이다.When the first data is uploaded from a specific digital device, if the first data received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xists, the server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ata is the same first data, and may reject the upload request . This can be similarly handled, for example, for digital devices other than the specific digital device. That is, it only accepts and does not actually receive the first data but returns the third data in the future.
한편, 서버는 해당 디지털 기기로 거절에 따른 다음 업로드 요청 시간을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업로드 요청 시간은 예컨대, 원래 업로드 요청 시간이 10초였다면, 매 거절시마다 1초씩 증가할 수 있다. 다만, 계속되는 거절로 인해 요청 시간이 최대 300초(5분)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계속하여 증가한 요청 시간은 특정 순간에 해당 요청이 허용된 경우 자동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즉, 다음 업로드 요청 시간이 10초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next upload request time in response to the rejection to the digital device. Here, the next upload request time may be increased by 1 second for each rejection, for example, if the original upload request time was 10 seconds. However, if the request time is more than 300 seconds (5 minutes) due to subsequent refusal, it will not be increased anymore. Also, the continuously increased request time can be automatically initialized if the request is allowed at a particular instant. That is, the next upload request time may be 10 seconds.
또한, 서버는 각 디지털 기기를 위치, 접속 주소, 사용자 등을 기준으로 일종의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예컨대,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original network identifier), 전송 스트림 식별자(transport stream identifier),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entifier), 서비스 네임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can group each digital device based on location, connection address, and user. For example, the server may group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for example, an original network identifier, a transport stream identifier, a service identifier, a service name, and the like.
따라서, 서버는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서 제1 데이터를 요청하면, 제3 데이터를 해당 그룹 전체로 리턴할 수도 있다. 적어도 1/3 이상의 디지털 기기가 요청한 경우에만 그룹 전체로 리턴하고 그 이전에는 해당 기기로만 리턴할 수도 있다. 다만, 서버는 제1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그룹 또는 타 그룹으로부터 기 수신된 제1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별도의 광고 서버(1490) 또는 그로부터 수신된 광고 데이터 등과 비교 분석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빠르게 대응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rver requests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one digital device in the group, the server may return the third data to the entire group. It may return to the entire group only if at least 1/3 of the digital devices request it, and may return to the device before that. However, when the first data is received, the server may compare the received first data with the first data received from the group or another group and use it for analysis. Accordingly, the server may respond quickly to the
또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역시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다.Uploads or downloads can also be controlled on a group basis.
또한,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 내 디지털 기기단과 이미지 호스트 노드단이 일대일 대응이 안 될 수도 있으므로, 상호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제어 운용하지 않으면, 과도한 부하로 인하여 서버 오류, 데이터의 오류, 사용자의 불만, 시스템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버단에는 예를 들어, 각 노드에 대해 그룹 단위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을 수행하는 로드 밸런서(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gital device in the cloud server system may not correspond to the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image host node and the image host node, i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not properly controlled, Problems such as user complaints, system errors, and the like occur. To this end, the serv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이에 따라, 도 16과 같은 테이블 및 데이터는 모두 노드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3-id 및 서비스 네임에 대해 특정 방식이 적용된다.Accordingly, both the table and the data as shown in FIG. 16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node, and a specific scheme is applied to the 3-id and the service name.
기본적으로, 로드 밸런서(1500)는 서버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서버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으로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리스트 커넥션(least connection), 응답 시간(response time), 해시(hash), 미니멈 미시즈(Minimum Missies) 및 밴드위쓰 베이스드 로드 밸런싱(bandwidth based loadbalancing)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시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Basically, the
해시 방식은 예를 들어, 알테온 자체에서 제공하는 해싱 알고리즘(hash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로드 밸런싱하는 기법으로, 소스 IP가 리얼 서버 그룹(Real Server Group) 내의 서버에 대한 인덱스(Index)를 생성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동일한 사용자에 서비스 요청은 동일한 서버로 연결되나, 만일 해당 서버에 서비스 오류(service error)가 발생하거나, 어떤 리얼 서버가 서버 그룹(Server Group)에서 제외되거나 추가된 경우 재할당(reassign)될 수 있다. 다만, 해시 방식에서는 웨이트(Weight) 옵션을 사용할 수 없으나, 최대 연결(Max Connection)은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사용자 수가 많을 경우 로드 밸런싱이 공평하게 이루어진다.The hash scheme is a technique of load balancing using, for example, a hashing algorithm provided by Alteon itself. The source IP is an element for generating an index for a server in a Real Server Group . Service requests to the same user may be directed to the same server but may be reassigned if a service error occurs in the server or if some real servers are excluded or added to the server group . However, we can not use the weight option in the hash method, but it can support the maximum connection (Max Connection). Thus, load balancing is fair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connected users.
해시 알고리즘에서는 새로운 연결(TCP/UDP)시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 해싱키(hashing key)를 가지고 경로(path)를 지정한다. 여기서, 해싱 키는 클라이언트의 IP + port 혹은 IP 주소만으로 결정된다. 클라이언트들과 서버 간에 한 번 성립된 세션(session)을 계속해서 유지해 주는 방식으로 특정 클라이언트는 특정 서버로만 접속하게 된다. 이 방식은 클라이언트들 소스 IP 어드레스(32 bit) 값을 리얼 서버의 대수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연결할 서버를 결정한다.The hash algorithm specifies a path with a hashing key for each client in a new connection (TCP / UDP). Here, the hashing key is determined based only on the client's IP + port or IP address. Certain clients will only connect to a specific server in a way that keeps a session established between the clients and the server. This method determines which server will connect clients with the remainder value of the source IP address (32 bit) divided by the number of real servers.
소스 IP와 목적지 IP를 조합한다. 예를 들어, ‘192.168.1.1’이라는 소스 IP와 ’10.10.10.254’라는 목적지 IP가 있다고 할 경우 그리고 소스가 사용자이고 목적지가 vip라고 하자. 그러면 이 두 IP를 조합하여 어떤 수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만약 끝자리 IP 1과 254를 조합하여 255라는 수를 만들어 낸다. 이 수를 설정된 리얼 서버의 수로 나눔을 하면, 만약 서버가 3대라면 나머지는 0이 됨(255/3=85 나머지 0). 그러면 리얼 서버 1번으로 접속하게 된다. 만약 조합이 124이다. 그러면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이 되고, (124/3=41 나머지1) 그러면 2번 리얼 서버로 할당하는 방식이다.Combine the source IP with the destination IP.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source IP of '192.168.1.1' and a destination IP of '10.10.254 ', and the source is user and the destination is vip. We then combine these two IPs to generate a number. So if you combine the ending
그러면 다음에 접속을 하더라도 vip와 client ip가 동일하므로 나머지 값은 항상 동일하게 된다. 그러면 항상 같은 서버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Then, even if you connect next time, vip and client ip are the same, so the remaining values are always the same. Then you always connect to the same server.
이런 경우는 보통 세션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이트(인증, 보안 등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IP를 해시 테이블(hash table)을 생성해서 나온 값으로 서버를 선정함. 따라서 클라이언트 쪽에서 한번 선택된 리얼 서버는 계속 한쪽 서버로 서비스하게 된다. 이러한 해시 방식에 따르면, 경로가 보장되고,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고 요구 절차가 간단하다는 것이 장점이다.This is usually the case for sites that need to maintain sessions (authentication, security, etc.). Create a hash table for IP and select the server from the value. Therefore, once selected on the client side, the real server continues to serve to one server. According to this hash sche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ath is guaranteed, the memory is used less, and the request procedure is simple.
도 15에서는 예컨대, 업로드 IP 어드레스는, ‘http://A2.com/lg_epg_thumbnail/post?id=dvb://233a.2f.1 & service_name=BBC1’이고, 다운로드 IP 어드레스는, ‘http://A3.com/lg_epg_thumbnail/get?id=dvb://233a.2f.1 & service_name=BBC1’일 수 있다.In Fig. 15, for example, the upload IP address is 'http://A2.com/lg_epg_thumbnail/post?id=dvb://233a.2f.1 & service_name = BBC1' /A3.com/lg_epg_thumbnail/get?id=dvb://233a.2f.1 & service_name = BBC1 '.
따라서, 로드 밸런서(1500)는, 업로드/다운로드 과정에서 각각 상술한 IP 어드레스를 통한 디지털 기기의 접속시 3-id 및 서비스 네임 조합에 대해 해시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 호스트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도 15를 참조할 때, 서비스 서버는 서버단의 각 이미지 호스트 노드들은, 업로드 되는 제1 데이터 수를 카운트(count)하면, 부가적으로 시청률 정보를 쉽게 집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때, 특정 이미지 호스트 노드 또는 별도의 집계 서버를 구비하고, 각 노드와 통신하여 특정 채널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시청률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service server can easily aggregate and provide the audience rating information by counting the number of first data to be uploaded, for each image host node at the server end. However, at this time, a specific image host node or a separate aggregation server may be provided, and audience rat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hannel or service may be collected and stored by communicating with each node.
도 16은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에서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able stored in the cloud server system.
도 16에서, 로드 밸런서(1500)는 해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어진 그룹 예를 들어, 3-id 및 서비스 네임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도 16과 같은 테이블을 새롭게 생성하여야 한다.In FIG. 16, the
도 16을 참조하면, 테이블에는 3-id(지역/MUX/Service)는 ‘dvb://233a.2f.1’, 서비스 네임은 ‘BBC1’, 최종 수신 시간은 예를 들어, 2011-05-11 오전 9시 25분 20초(GMT), NUTCR(Next Upload Time if Connection is Refused)는 ‘10초’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는 JPG 파일 데이터(메모리)라는 정보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타입 내지 포맷은 예컨대, 상술한 JPG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gif, bmp 등 현재 및 미래에 이미지 데이터의 타입 내지 포맷으로 이용 가능한 모든 포맷이 포함될 수 있다.16, the table includes 3-id (region / MUX / Service) as 'dvb: //233a.2f.1', service name as 'BBC1' 11, 9:25:20 (GMT), NUTCR (Next Upload Time if Connection is Refused) is 10 seconds, and the image data includes JPG file data (memory). Here, the type and format of the image data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JPG, and may include all formats available in the type and format of the image data, such as gif, bmp, and the like.
기본적으로, 서버는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며 NUTCR을 10초로 리셋한다. 다만, 도 16에서 최종 수신 시간인 2011년 05월 11일 오전 9시 25분 20초 이전에 업로드 요청이 올 경우에는 연결을 거절하며, 그 경우 상기 NUTCR을 1초씩 증가시킨다. 이러한 NUTCR은 서버에서 해당 디지털 기기로 전송이 되고, 연결 거절 응답을 받은 디지털 기기는 NUTCR 이후에 다음 이미지 업로드를 시도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NUTCR 값이 리셋(reset)될 수 있다.By default, the server stores the image when it is received and resets NUTCR to 10 seconds. However, in FIG. 16, if the upload request comes before 9:25:20 AM on May 11, 2011, which is the final reception time, the connection is refused and the NUTCR is incremented by 1 second. The NUTCR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and the digital device receiving the connection rejection response tries to upload the next image after NUTCR. In this case, however, the NUTCR value may be reset when the channel is changed.
제2 방식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데이터를 광고 서버(1490)가 아닌 서비스 서버(1410)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cheme, the third data may be generated by the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410)는 디지털 기기(6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데이터로부터 제2 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비스 서버(1410)는 생성된 제2 데이터를 미리 광고 서버(1490)로부터 받은 제4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제5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 분석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제3 데이터는 서비스 서버(1410)에서 바로 디지털 기기(610)로 전송이 된다.For example, the
상기에서, 제4 데이터는 제2 데이터와 관련하여 미리 분석된 패턴에 대한 관련 광고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한 후에 서비스 서버(1410)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제5 데이터는 서비스 서버(1410)에서 광고 서버(1490)로부터 받은 제4 데이터와 상기 제4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른 디지털 기기들로 전송한 제3 데이터들을 저장해 놓은 데이터의 조합을 말한다.The fourth data refers to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따라서, 서비스 서버(1410)는 디지털 기기(610)로부터 제1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바로 소정 위치에 저장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서버(1410)에서 다른 기기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처리한 적이 있는지 등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저장 및 광고 서버(1490)와의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A라는 디지털 기기가 B라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었고 C라는 채널의 컨텐트를 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에서 최종 D라는 제3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소정 시간 내에서 B라는 디지털 기기가 동일한 내용의 제1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 서비스 서버는 A라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처리시와 동일한 루트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기보다 상기 A라는 디지털 기기와 동일한 D라는 제3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시스템 효율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 속도 등의 면에서도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제3 방식Third way
제3 방식은 전술한 제1 방식과 제2 방식을 조합한 것이다.The third scheme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scheme and the second scheme described above.
예컨대, 디지털 기기에서 제1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2 데이터를 리턴 받는다.For example, the digital device uploads the first data to the cloud server and receives the second data from the cloud server.
디지털 기기는 리턴 받은 제2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는 이를 다시 광고 서버로 전달한다.The digital device transmits the returned second data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again.
광고 서버는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리턴하고, 서비스 서버는 리턴된 제3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기기로 리턴 한다.The advertisement server analyzes the second data to generate third data, and returns the third data to the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returns the returned third data to the digital device.
또는, 서비스 서버는 전송된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제4 데이터와 서비스 서버 내 기 처리되어 저장된 제5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 리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analyzes the transmitted second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th data transmitt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and the fifth data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and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generates the third dat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You can also return to the digital device.
제4 방식The fourth way
제4 방식은 제1 방식과 유사하다. 다만,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아니라 복수의 디지털 기기가 이용되는 것이 상이하다.The fourth scheme is similar to the first scheme. However,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are used instead of one digital device.
예를 들어, 제4 방식에서는 제1 방식과 달리, 제1 디지털 기기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2 디지털 기기로 전달한다.For example, in the fourth scheme, unlike the first scheme, the first digital device generates first data for the external device and deliver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digital device.
제2 디지털 기기는 전달된 제1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하고 제2 데이터를 리턴 받는다.The second digital device uploads the transferred first data to the cloud server and returns the second data.
제2 디지털 기기는 리턴받은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달하고, 제3 데이터를 리턴 받는다.The second digital device delivers the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third data.
제2 디지털 기기는 광고 서버로부터 리턴받은 제3 데이터를 제1 디지털 기기로 전달한다. 제1 디지털 기기는 제2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The second digital device transmits the third data return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to the first digital device. The first digital device generates OSD data based on the third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igital device and outputs the OSD data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또는, 제1 디지털 기기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 기기 연결 사실을 제2 디지털 기기로 보고한다. 이후 제2 디지털 기기에서 제1 데이터를 생성한다.Alternatively,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first digital device reports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digital device. Thereafter, the second digital device generates the first data.
이후 과정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제3 데이터는 제1 디지털 기기와 제2 디지털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third data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digital device and the second digital device.
제5 방식Fifth way
제5 방식은 전술한 제1 내지 4 방식과 유사하다. 다만, 제5 방식에서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이를 서비스 서버가 기능 대체한다.The fifth scheme is similar to the first to fourth scheme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fifth method, the service server replaces the fun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cloud server.
제4 방식에서와 같이,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에서 생성된 제1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를 대신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다.As in the fourth scheme, the first data generated by 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on behalf of the cloud server.
서비스 서버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광고 서버로 전송한다.The service server generates second data based on the first data and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광고 서버는 전송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한 후 서비스 서버로 생성된 제3 데이터를 리턴한다. 서비스 서버는 리턴된 제3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기기로 다시 리턴한다.The advertisement server analyzes the transmitted second data to generate the third data, and then returns the third data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returns the returned third data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또는, 서비스 서버는 제1 데이터를 전술한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4 데이터와 서비스 서버 내 기 저장된 제5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뿐만 아니라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generates third data as well as storing the first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th data receiv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and the fifth server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Can be transmitted to a digital device.
제6 방식The sixth way
제6 방식은 제5 방식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포함된 경우로,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에서 제1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하여 제2 데이터를 리턴받는다.The sixth scheme is a case where a cloud server is included in the fifth scheme, and 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uploads the first data to the cloud server and receives the second data.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는, 리턴받은 제2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송한다.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delivers the returned second data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광고 서버는 전송된 제2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리턴한다.The advertisement server analyzes the transmitted second data, generates third data based on the result, and returns it to the service server.
서비스 서버는 리턴된 제3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And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returned third data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한편, 제1 내지 제6 방식에서, 광고 서버는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리턴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광고 서버는 서비스 서버나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가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업로드 된 제3 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6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지털 기기 또는 제2 디지털 기기는, 상기 제6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3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에 기초하여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to sixth schemes, the advertisement server may transmit the generated third data to 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instead of returning the generated third data to the service server. Alternatively, the advertisement server may upload the data to the cloud server instead of the service server, 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and may transmit the sixth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ploaded third data. In this case, the first digital device or the second digital device may download the third data from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sixth data, and provide the third data on the screen based thereon.
또한, 서비스 시스템 내 각 구성요소는, 제1 내지 제6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포맷 변환 등을 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한 구성요소를 더 거치거나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the service system may perform format conversion or the like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es of the first to sixth data, or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for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to sixth data.
한편, 서비스 서버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디지털 기기들을 그룹화하고, 그룹 내 소정 디지털 기기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가 전달되면, 그에 대한 제3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 기기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기기가 속한 그룹으로도 일괄 리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 그룹은 디지털 기기들의 위치 정보, 성향, 채널, 컨텐트 등에 기초하여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에서 해당 디지털 기기와 그룹으로의 리턴은, 제3 데이터의 타입, 속성 등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룹은 상술한 바와 달리, 제3 데이터의 타입, 속성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rvice server, a plurality of digit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re grouped, and when the first data or the second data is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digital device in the group, In addition, the group can also be returned to the group to which the digital device belongs.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group may be temporarily or permanently group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inclination, the channel, the content, etc. of the digital devices. On the other hand, the return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and group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and attributes of the third data. Alternatively, the gro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attribute, etc. of the third data, unlike the above.
제1 서버(652)는, 전달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로부터 스크린 샷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다. 제1 서버(652)는 다운로드 받은 스크린 샷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다. 제1 서버(652)는 스크린 샷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받은 스크린 샷에 대응되는 광고 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직접 디지털 기기(610) 또는 제2 서버(654)를 거쳐 상기 디지털 기기(610)로 전송한다.The
한편, 스마트 폰/태블릿 PC(626)는 외부 기기에 속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기기(610)와 연결되어 세트(SET)로 서버(650) 측과 데이터 송수신에 직접 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610)는 외부 기기(들)(620)이 연결되면 스크린 샷을 찍어 제3 서버(656)로 업로드하면, 스마트 폰/태블릿 PC(626)에서 이를 다운로드 받아 디지털 기기(610)를 대신하여 서버(652,654)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지털 기기(610)는 스크린 샷을 제3 서버(656)로 직접 업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폰/태블릿 PC(626)로 전달하고, 스마트 폰/태블릿 PC(626)에서 상기 제3 서버(656)를 업로드 하거나 또는 서버(652,654)로 전달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martphone /
또는, 상술한 예에서, 디지털 기기(610)가 직접 외부 기기(620)와 연결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 폰/태블릿 PC(626)이 외부 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디지털 기기(610)의 스크린 샷이 아니라 스마트 폰/태블릿 PC(626)의 스크린 샷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디지털 기기(610)가 스마트 폰/태블릿 PC(626)으로부터 외부 기기(620)가 연결되었음을 보고받고, 그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면서 스크린 샷을 찍어 데이터 처리를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even though the
한편, 디지털 기기는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통해 제1 데이터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는 하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이전 연결된 외부 기기까지 포함하여 복수 개의 제1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gital device can transmit one or a plurality of first data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singl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digital device may transmit a plurality of first data at a time including a previously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디지털 기기는 서버 측으로부터 제3 데이터를 하나가 아니라 복수 개를 리턴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evice may receive a plurality of third data from the server side instead of one.
상기와 같은 경우에 디지털 기기는, 제3 데이터가 한 개만 수신된 경우와 복수 개 수신된 경우에 이를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digital device can process the third data in a case where only one third data is received an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rd data are received.
먼저, 제3 데이터가 한 개만 수신되었다면, 디지털 기기는 그를 디코딩하여, 도 9, 11 및 13과 같은 방식으로 현재 제공 중인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 이 경우 디코딩된 제3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내지 비디오 데이터라면 그에 따라 적절히 처리하면 된다.First, if only one piece of third data is received, the digital device decodes it and outputs the decoded data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currently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9, 11, and 13. In this case, if the decoded third data is audio data or video data as well as image data, it may be appropriately processed accordingly.
다만, 제3 데이터가 복수 개 수신된 경우에는, 그 처리 방식이 다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기기는 수신된 복수 개의 제3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기 저장된 제3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제3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디지털 기기는 사용자에게 수신된 복수 개의 제3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미리 선택되거나 선택되지 않은 제3 데이터는 디코딩조차 하지 않고 버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를 통해, 그 제공 순서도 선택받을 수 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third data are receive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may vary. Basically, the digital device temporarily stores a plurality of received third data, and compares the received third data with previously stored third data, thereby ignoring unnecessary or redundant third data.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digital device may provide the list of the reception of the plurality of third data received by the user, and may discard the third data that has been selected or not selected. Also, through the list, the providing order can be selected.
디지털 기기는 처리된 제3 데이터를 도 17과 같이, 동시에 화면 전체에 리스트 형태(예를 들어, 채널 브라우저나 EPG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도 18과 같이 현재 제공 중인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하거나 순차로 출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The digital device may provide the processed third data in the form of a list (for example, a channel browser or EPG form) on the entire screen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7 or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Or may be provided to be output sequentially.
디지털 기기는 도 18과 같이, 처리된 제3 데이터를 화면 하단에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경우에만 화면 전체 또는 소정 영역에 확대 제공하고, 그 이전에는 소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리스트 형태로 제공만 할 수도 있다.The digital device outputs the processed third data in the form of a list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18, enlarges the data to the entire screen or a predetermined area on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data, It may only be provided.
이 경우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기기는 제1 데이터 전송시에 캡쳐(capture) 되는 화면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청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3 데이터와 함께 또는 별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device receives the audience ra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screen captured at the time of the first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es the audience rat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hird data or separately, As shown in FIG.
그 밖에 디지털 기기는, 복수의 제3 데이터가 복수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이를 각각 서버 단위로 처리하여 개별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버라 함은 서비스 서버, 서로 다른 광고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hird data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rvers, the digital apparatus may process the third data separately for each server and process it separately. Here, a plurality of servers may refer to service servers and different advertisement servers.
한편, 디지털 기기는 전송된 제3 데이터의 속성 내지 타입 예를 들어, 제3 데이터가 현재 제품에 대한 정보냐 아니면 추천 제품에 대한 정보냐 또는 화면 내 소정 컨텐트에 대한 정보냐에 따라 이를 구분 처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device can classify the attribute or type of the transmitted third data, for example, according to whether the third data is information on the current product, information on a recommended product, or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content in the screen have.
다음으로, 디지털 기기에서 수신 제공되는 제3 데이터에 대한 활용 내지 그와 관련된 추가 서비스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Next, utilization of the third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 device, or an additional service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3 데이터는 예컨대, 단지 추천하는 광고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구매 정보 등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정보라 함은 해당 광고를 제공하는 회사의 홈페이지, 연락처, 현재 디지털 기기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한 주변 판매처에 대한 위치정보, 판매처의 연락처 등 사용자의 구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이를 위해 웹 브라우저 등이 별도로 실행될 수도 있다.The third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not only image data for recommended advertisement data but also purchase information for maximizing the advertisement effect when selected by the user. Here, the purchas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to purchase,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a nearby sales place based on the homepage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advertisement, conta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digital device and the like,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selling place. For this purpose, a web browser or the like may be separately executed.
또한, 사용자가 출력된 제3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디지털 기기는 사용자의 의도를 물어, 해당 광고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정기 또는 비정기적인 광고 데이터 등에 대한 업데이트 수락 여부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서버 등에서는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변경 등에 이용하고, 피드백한 사용자에게 또는 해당 디지털 기기로 구매 정보, 할인 정보 등 기타 이벤트 정보를 제3 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e output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may ask for the intention of the user, provide recommendation or non-recommendation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advertisement, and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pdate is acceptable for regular or occasional advertisement data, Information may be received. In this case, the advertisement server may use an advertisement change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 other information such as purchase information, dis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feedback user or the digital device together with the third data.
또한, 디지털 기기는 사용자가 출력된 제3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SNS 연동하여 추천/비추천 피드백을 제공 가능하도록 하거나 SNS나 웹(web) 상의 해당 광고 제품 관련 카페, 웹페이지 등을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에 따른 구매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e output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can provide recommendation / non-recommendation feedback in cooperation with the SNS, or provide a cafe or web page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product on the SNS or the web, And the like.
또는 디지털 기기는 사용자가 출력된 제3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광고 홈 페이지 등을 제공하여, 기 구매하였거나 구매를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펌웨어 등을 다운로드 하고, 필요 시 수리 요청 접수, 제품 고장이나 사용법 등 다양한 사용자 요청 처리가 별도의 동작 없이도 바로 처리 가능하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output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provides an advertisement homepage or the like to download software or firmware necessary for purchase or purchase, and if necessary, receives a request for a repai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request processing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reques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한편, 디지털 기기는 제3 데이터에 관련 컨텐트가 포함되었거나 제공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기 제3 데이터 액세스에 따라 해당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lated content is included or can be provided to the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hird data access of the user, and provide the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한, 디지털 기기는 제3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기 구매한 기기 등에 대한 오류 등에 대해 자동 점검이나 오류 해결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When the digital device accesses the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utomatic checking and error-solving information on an error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previously purchased device or the like.
한편, 디지털 기기는 외부 기기 연결에 따라 제3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지털 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거나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이 해제(released)된 경우에 상기 제공 중인 제3 데이터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일시 저장하였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미확인 제3 데이터가 있음을 디지털 기기의 전원 온이나 해당 외부 기기가 재연결된 경우에만 팝-업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하거나 저장하지 않고 바로 삭제 처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gital device provides the thir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device is turned off or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released, Or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at the temporary storage is performed. In the latter case, the unacknowledged third data may be provided in a pop-up form only when the power of the digital device is turned on or the external device is reconnected, and may be immediately deleted without providing or stor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service processing method in the service system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IG.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는, 디지털 기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제공 중인 현재 화면을 캡쳐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제1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전달된 제1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제2 데이터를 리턴 받으며, 리턴받은 제2 데이터를 제2 서버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버로부터 리턴된 제2 데이터에 대한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제3 데이터를 리턴 받아, 리턴 받은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출력된 제3 데이터가 선택되면, 관련 기능을 호출하여 제공한다.One example of the servic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that notifi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and capture the current screen being provided by the provided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data to the first server, receives the second data for the stored location of the first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rver, returns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server . Then, the third data including the advertisement data for the second data returned from the second server is returned, the third data is decoded, and the OSD data is generated and outputted on the screen. Then, when the output third data is selected, the related function is called and provided.
여기서, 상기 과정에서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1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URL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2 서버는 서비스 서버 및 광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서버가 서비스 서버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를 광고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리턴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 다시 리턴하고, 상기 제2 서버가 광고 서버인 경우, 상기 광고 서버는 전달받은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기기로 리턴할 수 있다.Here, the list of connectable external devices may be provided and the device data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may be searched.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a cloud server, the second data may be URL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the first data is stored, and the second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rvice server and an advertisement server If the second server is a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transfers the received second data to the advertisement server, returns the third data returned from the advertisement server to the digital device, In the case of an advertisement server, the advertisement server may download the first data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data, analyze the first data, and return the thir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 the digital device.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검색된 기기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전달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디지털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 또는 캡쳐된 화면상의 소정 오브젝트(object)를 기준으로 생성된 광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 데이터는, 전달된 제1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광고 데이터로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및 URL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data may include the searched device data and the third data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igital device included in the transferred first data or a predetermined object on a captured screen, The third data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image, audio, video, and URL address as advertisement data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of the first data. have.
그 밖에, 상기 디지털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제1 데이터의 생성, 제2 데이터의 리턴 및 전달 그리고 제3 데이터의 리턴 받고,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전달된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OSD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digital device may generate first data for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return and transfer the second data, and return the third data from another connectable digital device, The OSD screen may be configured and output based on the third data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device.
도 19를 참조하면, 디지털 기기는 연결 가능한 주변 외부 기기 리스트를 출력(S110)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변 외부 기기와 연결한다(S120). 디지털 기기는 S120 단계와 동시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데이터를 검색한다(S130).Referring to FIG. 19, the digital device outputs a list of connectable peripheral external devices (S110), and connects at least one peripheral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120). The digital device searches for device data for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at the same time as step S120 (S130).
디지털 기기는 상기 S120 단계에서 연결된 외부 기기를 위해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를 구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외부 기기 연결 알림 UI가 출력되고 있는 현재 화면을 스크린 캡쳐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S130 단계에서 검색된 기기 데이터가 제1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는 생성된 제1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2 데이터를 리턴받는다(S140).In step S120, the digital device configures and output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for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generates the first data by screen capturing the current screen on which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notification UI is output. At this time, the device data retrieved in step S13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data. The digital device stores the generated first data in the cloud server and returns the second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d location in step S140.
디지털 기기는 리턴 받은 제2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 또는 광고 서버로 전달(S150)하고, 서비스 서버 또는 광고 서버의 분석 이후에 광고 데이터를 포함한 제3 데이터를 수신(S160)한다.The digital device transmits the returned second data to the service server or the advertisement server (S150), and receives the third data including the advertisement data after the analysis of the service server or the advertisement server (S160).
디지털 기기는 이렇게 수신된 제3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출력을 위한 OSD 데이터 화면을 구성(S170)한 후, 화면상에 제3 데이터를 출력한다(S180).The digital device decodes the received third data, constructs an OSD data screen for output (S170), and outputs the third data on the screen (S180).
디지털 기기는 출력된 제3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 또는 액세스하면, 관련 기능, 정보, 화면 내지 페이지를 호출하여 제공한다(S190).When the user selects or accesses the output third data, the digital device calls and provides the related function, information, screen or page (S190).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기기에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들)에 대한 광고 등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고, 전형적인 광고를 단순하게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관심있는 기기 등에 대한 광고를 수신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할 수 있으며, 단순 광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품 만족도도 높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provide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an external device (s) that can be connected to a digit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not to passively receive a typical advertisement, And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o providing not only a simple advertisement but also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service, Product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gital device and the servic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수신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gital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digital receiver.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wave.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the right. Further, such modific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204: SI 디코더
205: 디멀티플렉서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214: UI 매니저201: network interface unit 202: TCP / IP manager
203: service delivery manager 204: SI decoder
205: Demultiplexer 206: Audio decoder
207: Video decoder 208:
209: Service Control Manager 210: Service Discovery Manager
211: SI & Metadata Database 212: Metadata Manager
213: service manager 214: UI manag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2450AKR20140065201A (en) | 2012-11-21 | 2012-11-21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2450AKR20140065201A (en) | 2012-11-21 | 2012-11-21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5201Atrue KR20140065201A (en) | 2014-05-2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32450AWithdrawnKR20140065201A (en) | 2012-11-21 | 2012-11-21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65201A (e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745668B2 (en) |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in digital receiver thereof | |
| KR101850719B1 (en) |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in a digital receiver thereof | |
| KR101271996B1 (en) | A Method for providing a external device lis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 KR101763593B1 (en) |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user device enabling of the method | |
| KR102063075B1 (en)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 KR20120073510A (en) | Method for sharing a message i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 KR20150127415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 KR20170025672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50128010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content thereof | |
| KR101835325B1 (en) | Digit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 |
| KR102040608B1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 |
| KR101715945B1 (en) | A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sound of an audio device | |
| KR20160023419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vod service thereof | |
| KR20120125939A (en) |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in a digital receiver thereof | |
| KR20140098597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thereof | |
| KR102459935B1 (en) | Image device, control method tehreof, program, recording medium,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of | |
| KR101880458B1 (en) | A digital device and a method of processing contents thereof | |
| KR101923687B1 (en) | Method for managing memory and display device therefor | |
| KR20140065201A (en)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 KR20150128009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content thereof | |
| KR20130127022A (en) | Digital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thereof | |
| KR20120043569A (en) |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s lis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 KR102017694B1 (en) |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 KR101760943B1 (en) |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 KR20150061328A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2112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