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직병렬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ial-parallel converter.
최근 반도체시스템의 동작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도체시스템에 포함된 반도체칩들 사이에 고속(high spped)의 데이터 전송률(transfer rate)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반도체칩들 사이에서 직렬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 또는 데이터 고대역폭(high-bandwidth)을 만족시키기 위해 프리페치(prefetch)가 적용된다. 프리페치란 직렬로 들어온 데이터를 각각 래치하여 병렬화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병렬화하기 위해서는 위상이 서로 다른 클럭, 즉, 다중위상(multi-phase)클럭이 반도체칩 내부에서 생성되어 데이터 입출력에 이용된다.
Recently, as the operation speed of a semiconductor system increases, a high spending data rate is required between semiconductor chips included in a semiconductor system. A prefetch is applied to the data input / output serially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to satisfy a high data rate or a high-bandwidth data. The prefetch means latches and parallelizes data received in series, and in order to parallelize the data, a clock having a different phase, i.e., a multi-phase clock, i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chip and used for data input / output.
본 발명은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분주하여 다중위상클럭을 생성하고, 다중위상클럭을 이용하여 직렬로 들어온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정렬하는 직병렬변환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ial-to-parallel converter that generates a multiphase clock by dividing a data strobe signal, and parallelizes and arranges serial data that is input using a multiphase clock.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라이트커맨드 및 라이트레이턴시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위상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 중 하나의 클럭의 위상을 감지하여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의 반전 여부를 결정하여 제1 내지 제4 변환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위상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변환클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정렬하여 정렬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정렬부를 포함하는 직병렬변환기를 제공한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by sensing a phase of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clocks in response to a phase detection signal including a pulse generated in response to a write command and a write latency signal, part; A clock phas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clocks are inver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nd generating first to fourth converted clocks; And a data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to fourth conversion clocks to generate alignment data.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스트로브신호 및 반전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분주하여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라이트커맨드 및 라이트레이턴시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위상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신호생성부; 상기 위상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 중 하나의 클럭의 위상을 감지하여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의 반전 여부를 결정하여 제1 내지 제4 변환클럭을 생성하는 클럭위상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변환클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정렬하여 정렬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정렬부를 포함하는 직병렬변환기를 포함하는 직병렬변환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clock generator comprising: an internal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first to fourth internal clocks by dividing a data strobe signal and an inverted data strobe signal; A phase sens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sense signal including a pulse generated in response to a write command and a write latency signal; A selec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by sensing a phase of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clocks in response to the phase detection signal; A clock phas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clocks are inver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nd generating first to fourth converted clocks; And a data arranging unit for sorting the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to fourth converted clocks to generate sorting data.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상이 반전된 다중위상클럭이 생성되더라도 오류 없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multi-phase clock having a phase inverted is generated, data can be received and arranged without err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병렬변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병렬변환기에 포함된 데이터정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직병렬변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ial-to-paralle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arrangement unit included in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shown in FIG.
3 and 4 are timing 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shown in FIG.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병렬변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ial-to-parallel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직병렬변환기는 내부클럭생성부(1), 클럭위상제어부(2), 위상감지신호생성부(3), 선택신호생성부(4) 및 데이터정렬부(5)를 포함한다.1,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내부클럭생성부(1)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 및 반전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B)를 분주하여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을 생성한다. 데이터정렬부(2)는 주파수 분주기로 구현되고,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의 주기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 및 반전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B)의 주기보다 2배 크게 생성된다. 제2 내부클럭(QDQS)은 제1 내부클럭(IDQS)보다 90°만큼 위상이 늦고, 제3 내부클럭(IDQSB)은 제2 내부클럭(QDQS)보다 90°만큼 위상이 늦으며, 제4 내부클럭(QDQSB)은 제3 내부클럭(IDQSB)보다 90°만큼 위상이 늦다.The internal
클럭위상제어부(2)는 선택신호(SEL)의 레벨에 응답하여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의 위상 반전 여부를 결정하여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을 생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클럭위상제어부(2)는 선택신호(SEL)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을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으로 출력한다. 또한, 클럭위상제어부(2)는 선택신호(SEL)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의 위상을 반전시켜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으로 출력한다.The clock
위상감지신호생성부(3)는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고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후 클럭(CLK)의 정수배만큼의 주기가 경과된 후 발생하는 위상감지신호(IWT_PD)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상감지신호(IWT_PD)는 제2 내부클럭(QDQS)의 위상을 감지하기 위해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고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후 클럭(CLK)의 한주기 구간(1tCK) 경과 후 발생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상감지신호(IWT_PD)는 제1 내부클럭(I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 중 하나를 감지하도록 발생될 수 있다.The phase detection
선택신호생성부(4)는 위상감지신호(IWT_PD)에 응답하여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 중 하나의 클럭을 감지하여 선택신호(SEL)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신호(SEL)는 위상감지신호(IWT_PD)가 발생된 시점에서 제2 내부클럭(QDQS)의 위상에 따라 논리레벨이 결정된다. 즉, 위상감지신호(IWT_PD)의 라이징 에지에서 제2 내부클럭(QDQS)이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경우 선택신호(SEL)는 로직하이레벨을 갖고, 위상감지신호(IWT_PD)의 라이징 에지에서 제2 내부클럭(QDQS)이 로직로우레벨을 갖는 경우 선택신호(SEL)는 로직로우레벨을 갖는다.The
데이터정렬부(5)는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에 응답하여 데이터(DIN)를 정렬하여 제1 내지 제8 정렬데이터(ALIGN<1:8>)를 생성한다. 데이터정렬부(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The
도 2는 데이터정렬부(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정렬부(5)는 클럭버퍼부(51) 및 정렬부(52) 로 구성된다. 클럭버퍼부(51)는 제1 내지 제4 버퍼(511~514)로 구성된다. 정렬부(52)는 제1 내지 제8 래치(521~52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제1 버퍼(511)는 제1 변환클럭(IDQS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DIN)를 버퍼링하여 제1 버퍼데이터(BD<1>)로 출력한다. 제2 버퍼(512)는 제2 변환클럭(QDQS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DIN)를 버퍼링하여 제2 버퍼데이터(BD<2>)로 출력한다. 제3 버퍼(513)는 제3 변환클럭(I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DIN)를 버퍼링하여 제3 버퍼데이터(BD<3>)로 출력한다. 제4 버퍼(514)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DIN)를 버퍼링하여 제4 버퍼데이터(BD<4>)로 출력한다. 제1 내지 제4 버퍼(511~514)는 플립플롭으로 구현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버퍼링하여 출력한다.The first buffer 511 buffers the data DI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converted clock IDQST and outputs the data as the first buffer data BD <1>. The second buffer 512 buffers the data DI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second converted clock signal QDQST and outputs the buffered data as the second buffer data BD <2>. The third buffer 513 buffers the data DI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onverted clock IDQSBT and outputs it as the third buffer data BD <3>. The fourth buffer 514 buffers the data DI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ted clock signal QDQSBT and outputs the fourth buffered data BD <4>. The first to fourth buffers 511 to 514 are implemented as flip-flops to latch input data, buffer the data, and output the buffered data.
제1 래치(521)는 제2 변환클럭(QDQS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1 버퍼데이터(BD<1>)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2 래치(522)는 제3 변환클럭(I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2 버퍼데이터(BD<2>)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3 래치(523)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3 버퍼데이터(BD<3>)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4 래치(524)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2 래치(522)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5 래치(525)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1 래치(521)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6 래치(526)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4 래치(524)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7 래치(527)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3 래치(523)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제8 래치(528)는 제4 변환클럭(QDQSBT)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제4 버퍼데이터(BD<4>)를 래치하여 출력한다.The first latch 521 latches and outputs the first buffer data BD <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second converted clock signal QDQST. The second latch 522 latches and outputs the second buffer data BD < 2 >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converted clock IDQSBT. The third latch 523 latches and outputs the third buffer data BD <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ted clock signal QDQSBT. The fourth latch 524 latches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atch 522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ted clock signal QDQSBT. The fifth latch 525 latches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latch 52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sion clock signal QDQSBT. The sixth latch 526 latches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h latch 524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sion clock signal QDQSBT. The seventh latch 527 latches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third latch 52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sion clock signal QDQSBT. The eighth latch 528 latches and outputs the fourth buffer data BD <4>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converted clock signal QDQSBT.
데이터정렬부(5)는 데이터(DIN)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에 응답하여 데이터(DIN)를 버퍼링한 후 정렬부(52)를 통해 제1 버퍼데이터(BD<1>), 제2 버퍼데이터(BD<2>), 제3 버퍼데이터(BD<3>) 및 제4 버퍼데이터(BD<4>)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정렬하여 제1 내지 제8 정렬데이터(ALIGN<1:8>)를 생성한다.The
이상 살펴본 직병렬변환기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되, 데이터가 입력될 때 내부클럭들의 위상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레이턴시(WL)는 2로 설정되고, 프리앰블구간(tWPRE)이 4tCK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고,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시점부터 데이터(DIN)가 입력되는 시점까지의 구간은 프리앰블구간(tWPRE)으로 정의하며, 본 실시예에서 프리앰블구간(tWPRE)은 4tCK로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클럭(CLK)의 정수배의 주기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phase of the internal clocks normally when data is input and the case of abnormally generating the internal clocks are as follows. In this embodiment, the write latency WL is set to 2 and the preamble period tWPRE is set to 4 tCK. A section from the time when the write command WT is input to the time when the write latency WL elapses to the time when the data DIN is input is defined as a preamble section tWPRE. In this embodiment, the preamble section tWPRE is 4TCK, but it may be set to an integer multiple of the clock (CL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여 직병렬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11 시점에서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면 t16 시점에서 데이터(DIN)가 입력되고, 위상감지신호(IWT_PD)는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t12 시점부터 1tCK 구간이 경과된 t14 시점에서 발생한다.The data DIN is input at time t16 when the write command WT is input at time t11 and the phase detection signal IWT_PD is generated at time t14 when 1 tCK section has elapsed from time t12 when the write latency WL has elapsed .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은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t12 시점부터 정상적으로 발생한다. 제1 내부클럭(IDQS)은 t12 시점에서부터 주기신호로 발생한다. 제2 내부클럭(QDQS)은 t12 시점에서 90°만큼 지연된 t13 시점에서부터 주기신호로 발생한다. 제3 내부클럭(IDQSB)은 t13 시점에서 90°만큼 지연된 t14 시점에서부터 주기신호로 발생한다. 제4 내부클럭(QDQSB)은 t14 시점에서 90°만큼 지연된 t15 시점에서부터 주기신호로 발생한다.The first internal clock IDQS, the second internal clock QDQS, the third internal clock IDQSB and the fourth internal clock QDQSB normally occur from the time t12 when the write latency WL has elapsed. The first internal clock IDQS is generated as a periodic signal from the time t12.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QDQS is generated as a periodic signal from the time t13 delayed by 90 degrees at the time t12. The third internal clock IDQSB is generated as a periodic signal from the time t14 delayed by 90 degrees at time t13. The fourth internal clock signal QDQSB is generated as a periodic signal from a time point t15 delayed by 90 degrees at time t14.
위상감지신호(IWT_PD)의 라이징에지인 t14 시점에서 제2 내부클럭(QDQS)의 위상은 로직하이레벨이므로, 선택신호(SEL)는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다. 따라서, 클럭위상제어부(2)는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을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으로 출력한다.At the time t14, which is the rising edge of the phase detection signal IWT_PD, the phase of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QDQS is at a logic high level, so that the selection signal SEL is generated at a logic high level. Accordingly, the
데이터정렬부(5)는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에 응답하여 데이터(DIN)를 정렬하여 제1 내지 제8 정렬데이터(ALIGN<1:8>)를 생성한다.The
도 4를 참고하여 직병렬변환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31 시점에서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면 t37 시점에서 데이터(DIN)가 입력되고, 위상감지신호(IWT_PD)는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t32 시점부터 1tCK 구간이 경과된 t33 시점에서 발생한다.the data DIN is input at time t37 when the write command WT is input at time t31 and the phase detection signal IWT_PD is generated at time t33 when 1 tCK section has elapsed from time t32 when the write latency WL has elapsed .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은 라이트레이턴시(WL)가 경과된 t32 시점부터 반전되어 비정상적으로 발생한다.The first internal clock IDQS, the second internal clock QDQS, the third internal clock IDQSB and the fourth internal clock QDQSB are inverted from the time point t32 when the write latency WL has elapsed and occur abnormally.
위상감지신호(IWT_PD)의 라이징에지인 t33 시점에서 제2 내부클럭(QDQS)의 위상은 로직로우레벨이므로, 선택신호(SEL)는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다. 따라서, 클럭위상제어부(2)는 제1 내부클럭(IDQS), 제2 내부클럭(QDQS), 제3 내부클럭(IDQSB) 및 제4 내부클럭(QDQSB)의 위상을 반전하여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으로 출력한다.Since the phase of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QDQS at the time t33, which is the rising edge of the phase detection signal IWT_PD, is at a logic low level, the selection signal SEL is generated at a logic low level. Therefore, the clock
데이터정렬부(5)는 제1 변환클럭(IDQST), 제2 변환클럭(QDQST), 제3 변환클럭(IDQSBT) 및 제4 변환클럭(QDQSBT)에 응답하여 데이터(DIN)를 정렬하여 제1 내지 제8 정렬데이터(ALIGN<1:8>)를 생성한다.Th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직병렬변환기는 멀티위상을 갖는 내부클럭들이 반전되어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경우 내부클럭의 위상을 반전시켜 변환클럭을 생성하고, 변환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렬시키므로, 내부클럭의 위상이 반전된 경우에도 오류 없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verts the phases of the internal clocks when the internal clocks having multi-phases are inverted and generated, and generates the converted clocks and aligns the data using the converted clocks , Even when the phase of the internal clock is inverted, data can be received and aligned without error.
1: 내부클럭생성부2: 클럭위상제어부
3: 위상감지신호생성부4: 선택신호생성부
5: 데이터정렬부51: 클럭버퍼부
52: 정렬부511~514: 제1 내지 제4 버퍼
521~528: 제1 내지 제8 래치1: internal clock generator 2: clock phase controller
3: phase det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4: sel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5: data sorting unit 51: clock buffer unit
52: alignment units 511 to 514: first to fourth buffers
521 to 528: First to eighth latche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8498AKR20140052417A (en) | 2012-10-24 | 2012-10-24 | Deserializer |
| US13/846,906US8823426B2 (en) | 2012-10-24 | 2013-03-18 | Deserializers |
| CN201310302936.5ACN103780265B (en) | 2012-10-24 | 2013-07-18 | Deserializer and method of deserialization |
| US14/446,574US8928370B2 (en) | 2012-10-24 | 2014-07-30 | Deserializers |
| US14/446,603US8928371B2 (en) | 2012-10-24 | 2014-07-30 | Deserializer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8498AKR20140052417A (en) | 2012-10-24 | 2012-10-24 | Deserializ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2417Atrue KR20140052417A (en) | 2014-05-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18498AWithdrawnKR20140052417A (en) | 2012-10-24 | 2012-10-24 | Deserializ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40052417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52416A (en)* | 2012-10-24 | 2014-05-07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Deserializer |
| US10403334B2 (en) | 2017-05-16 | 2019-09-03 | SK Hynix Inc. | Semiconductor devices |
| US11031056B2 (en) | 2018-12-31 | 2021-06-08 | SK Hynix Inc. | Clock generation circuitry for memory device to generate multi-phase clocks and output data clocks to sort and serialize output dat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52416A (en)* | 2012-10-24 | 2014-05-07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Deserializer |
| US10403334B2 (en) | 2017-05-16 | 2019-09-03 | SK Hynix Inc. | Semiconductor devices |
| US10535382B2 (en) | 2017-05-16 | 2020-01-14 | SK Hynix Inc. | Semiconductor devices |
| US11031056B2 (en) | 2018-12-31 | 2021-06-08 | SK Hynix Inc. | Clock generation circuitry for memory device to generate multi-phase clocks and output data clocks to sort and serialize output data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75162B2 (en) | Apparatus for aligning input data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2143654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US7499370B2 (en)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2167598B1 (en) | Semiconductor device | |
| US10725950B2 (en) | Peripheral interface circuit for serial memory | |
| KR100950483B1 (en) | Setup / hold time measuring device | |
| US8928371B2 (en) | Deserializers | |
| KR100988809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method | |
| KR20190020390A (en) | Semiconductor device | |
| KR20150080060A (en) | Receiver circuit for correcting skew,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KR100907016B1 (en) | Dat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905894B1 (en) |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system | |
| KR20150007522A (en) | Clock delay det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 |
| KR20150005366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 |
| KR20150142851A (en) | Semiconductor apparatus with improving operation timing margin | |
| JP5005928B2 (en) | Interface circuit and storag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interface circuit | |
| KR20140052417A (en) | Deserializer | |
| KR20130055078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 US20120269016A1 (en) | Latency control circuit, latency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2099406B1 (en) | Semiconductor apparatus | |
| KR101912905B1 (en) | Cas latency set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US8258838B2 (en) | Delay locked loop for expanding a delay range | |
| KR20150014611A (en) | Data output circuit | |
| KR101914297B1 (en) | Deserializer | |
| KR101886671B1 (en) | Deserializ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210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