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선물을 선택할 때 무엇보다 먼저 고려하는 사항은 선물의 수령자가 희망하는 물품의 제공이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선물의 수령자가 희망하는 물품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선물의 수령자가 희망하는 물품을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람마다 선호하는 제조사, 디자인, 기능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선물할 물품을 선택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물의 수령자가 직접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권을 선물하게 된다. 하지만 상품권은 사용장소가 특정되어 있고, 선물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품권을 받은 사람이 물품구매를 위해 상점을 방문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선물의 제공자가 책을 선물하고 싶은 경우와 같이 특정한 물품을 선물하고자할 때 상품권은 고려대상이 되지 않는다.
한편, 인터넷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을 통한 상품구매활동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몰은 전자화폐 또는 전자상품권을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타인에게 전자상품권 또는 전자화폐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의 상품권의 선물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전자상품권은 종래의 상품권이 갖는 단점인 상품권을 받은 사람이 상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전자상품권을 받은 사람이 쇼핑몰에 접속해 자신이 희망하는 상품을 검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물의 제공자가 특정한 물품을 선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상품권과 마찬가지로 전자상품권은 고려대상이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동단말기의 네트워크가 주로 이동통신망(2G, 3G 등) 위주였으나 무선 통신망의 기술발달 및 무선 데이터 활성화에 따라 Wi-Fi(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등 다양한 종류의 무선망이 구축 운영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활성화에 따른 무선 데이터 이용 증대에 따라 종래의 모바일 통신망(2G, 3G 등)으로는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담당하기가 어려워 이동 사업자들은 다양한 효율적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스마트폰 등 무선단말은 대부분 인터넷 접속 기능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요즈음,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의 급성장과 함께, 통신 기술 및 단말기의 발전과 더불어, 모바일 환경에서도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가 생겨났으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의 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가 작거나, 또는 데이터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거나 성능이 다소 약하다는 점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제공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모바일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쇼핑몰 시스템(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69078호)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43520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영시스템은 모바일 쇼핑몰 서버(10), 모바일 쇼핑몰상품 DB(20), 통신망(30), 스마트폰 단말기(40), 웹 쇼핑몰서버(50), 웹 쇼핑몰상품 DB(60) 및 결제시스템(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모바일 쇼핑몰 서버(10) 및 모바일 상품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이하, "DB"라 칭함)(20)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몰 시스템"과, 웹 쇼핑몰 서버(50) 및 웹 쇼핑몰 상품 DB(60)를 포함하는 "웹 쇼핑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쇼핑몰 서버(10) 및 모바일 쇼핑몰 상품DB(20)를 포함하는 모바일 쇼핑몰 시스템은, 웹 쇼핑몰 시스템과 연동한다.
즉, 전술한 모바일 쇼핑몰 서버(10)는, 웹 쇼핑몰 상품 DB(50)에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상품을 "모바일 상품"으로서 추출하여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20)에 저장시키고, 추출된 모바일 상품 중에서 미리 정해진 등록조건을 만족하는 모바일 상품을 선별하여 "모바일 판매 상품"으로서 등록하고, 등록된 모바일 판매 상품의 전체또는 일부에 대한 상품정보를 웹 페이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모바일 쇼핑몰에 전시하고, 이러한 웹 페이지를 스마트폰 단말기(40)로 송신함으로써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웹 쇼핑몰 상품 DB(50)에는 웹 쇼핑몰 서버(60)에 의해 운영되는 웹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상품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모바일 쇼핑몰 서버(10)는 상품 구매 결제를 위한 인증 시스템 및 결제 시스템(70)과 연동하여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쇼핑몰 서버(10)는 회원 가입 정보와, 상품 카테고리별로 모바일 상품, 모바일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20)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20)는 모바일 쇼핑몰 서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2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 또는 WML(Wireless MarkupLanguag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매자정보는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 및 결제정보가 된다. 수령자정보는 수령자의 성명, 이메일주소, 무선통신장치(예를 들면, 핸드폰, PDA 등)의 식별번호, 수령장소(예를 들면, 수령자의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령자정보중에서 수령자의 이메일주소 또는 무선통신장치(예를 들면, 핸드폰, PDA 등)의 식별번호는 구매자가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정보이다.
즉, 데이터베이스DB(10,50)는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정보가 저장된다. 상품정보는 상품명, 제조사, 모델명, 가격, 상품기능설명, 상품의 영상 등을 포함한다. 한편, 쇼핑몰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회원정보가 저장된다. 회원정보는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를 포함한다. 나아가 회원정보에는 수령자가 선택한 희망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수령거부사유의 통지수단, 결제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쇼핑몰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 회원등록을 마친 구매자는 자신의 회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쇼핑몰에 접속한 후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 및 수령자정보만을 입력하면 되므로 구매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결제시스템은(70)는 VAN사업자측에 구비되어 쇼핑몰 운영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신용카드번호, 가맹점번호, 결제금액 등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에 따라 구매자의 구매를 승인한다. 결제정보는 웹서버(120)가 구매자에게 수령자의 상품선택사실을 통지한 후 결제서버(70)로 전송된다. 이와 달리, 결제서버(70)는 전자화폐 를 통한 지불여부를 인증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상품대금의 결제수단이 구매자의 은행계좌로부터 쇼핑몰 운영자의 은행계좌로의 자동이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결제서버(70)는 은행측에 구비된 자동이체시스템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운영시스템에 구비되는 웹서버(13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쇼핑몰서버(50)는 통신부(51), 인증부(52), 웹문서생성부(53), 메일생성부(54), 단문메시지부(550), 결제 및 배송관리부(56), 및 운영부(57)를 갖는다.
통신부(51)는 인터넷 및 무선 통신망(30)에 연결되어 스마트폰 단말기(40)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한다. 인증부(52)는 쇼핑몰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은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구매자를 인증한다.
웹문서생성부(53)는 쇼핑몰에 접속한 구매자에게 제공할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웹페이지의 기본적인 형태(웹문서템플릿)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웹문서생성부(53)은 구매자 또는 수령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구매자 스마트폰 단말기(40)에 제공할 웹문서를 생성한다.
메일생성부(54)는 스마트폰 단말기(40) 사용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할 전자메일을 생성한다. 수령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할 전자메일에는 웹문서로 변환된 구매상품 및 구매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메일생성부(54)는 사용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할 전자메일을 생성한다. 사용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할 전자메일은 수령자로부터 선택한 희망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수령자가 상품의 수령을 거부한 경우에는 수령자가 입력한 수령거부사유가 포함될 수 있다.
단문메시지생성부(55)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구매상품 및 구매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한다. 또한 단문메시지생성부(55)는 사용자가 선택한 희망상품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수령거부이유를 단문메시지로 변환한다.
결제 및 배송관리부(5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제정보를 결제시스템(70)로 전송하여 구매승인을 요청한다. 결제정보는 사용자에게 수령자의 상품선택사실을 통지한 후 또는 수령자로부터 희망상품을 선택받은 후에 결제시스템(70)로 전송된다. 결제시스템(70)로부터 구매승인을 통지받으면 결제 및 배송관리부(56)는 수령자가 선택한 상품의 배송상황을 관리한다.
운영부(57)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운영부(57)에는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쇼핑몰 서버(1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모바일 [0034]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쇼핑몰 서버(10)는, 웹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웹 쇼핑몰 상품 DB(20)에 저장된 상품 중에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상품을 모바일 상품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모바일 상품의 상품정보를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에 저장시키는 모바일 상품 추출부(11); 및 추출된 모바일 상품 중에서 미리 정해진 등록 조건을 만족하는 모바일 상품을 선별하여 모바일 판매 상품으로서 등록하는 모바일 상품 등록부(1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쇼핑몰서버(10)는, 모바일 상품 전시 관리부(13)의 데이터량의 제어와 연동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판매상품의 상품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 개수 및 포맷 중 하나 이상을 변환하는 상품 이미지 변환부(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쇼핑몰 서버(10)는, 등록된 모바일 판매 상품에 대하여 모바일 쇼핑몰을 통한 판매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상품 판매 관리부(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상품 등록부(12)는, 모바일 상품 판매 관리부(14)에 의해 모니터링된 판매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모바일 판매 상품은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웹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에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상품을 모바일 상품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모바일 상품의 상품정보를 모바일 쇼핑몰 상품 DB에 저장시키는 모바일 상품 추출 단계(S10); 및 추출된 모바일 상품중에서 미리 정해진 등록 조건을 만족하는 모바일 상품을 선별하여 모바일 판매 상품으로서 등록하는 모바일 상품 등록 단계(S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모바일 상품 등록 단계(S20) 이후, 미리 정해진 전시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된 모바일 판매 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판매 상품의 상품정보를 접속한 단말기로 송신하고, 송신된 상품정보가 단말기(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상품 전시 관리 단계(S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상품 전시 관리 단계(S3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판매 상품의 상품정보에 대한 데이터량을 제어하여 단말기(4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쇼핑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모바일 상품 등록 단계(S20) 이후, 등록된 모바일 판매 상품에 대하여 모바일 쇼핑몰을 통한 판매량을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상품 판매 관리 단계(S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