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일측면에 클릭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버튼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화면의 앞뒤 전환 또는 상하 스크롤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combined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button for detecting a click action and a drag action on one side of the smart phone, and to switch back and forth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action. Or it relates to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combined buttons to enable vertical scrolling.
초기의 바(Bar) 타입이나 폴더 타입의 핸드폰은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누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Early bar type or folder type cell phones were equipped with keypads, which used keypads to enter phone numbers or text messages.
최근에는 풀터치(full touch) 방식의 핸드폰이 많이 등장하면서 키패드를 전혀 쓰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누르거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를 쓸면서(drag) 화면의 이동과 전환을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full-touch mobile phones have appeared, without using a keypad at all, and moving or switching the screen by pressing a virtual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in software or dragging the display with a finger. Doing
그리고 인터넷 접속과 웹브라우징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면서 이러한 터치스크린 기술이 더욱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And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with internet access and web browsing, this touch screen technology is used more and mo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스크롤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crolling the screen in the smartphone of FIG.
최근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100)은 전면부에 디스플레이(102)가 있고, 전면부 하단에는 홈버튼(104)이 구비된다.Recently, a
디스플레이(102)는 LCD 또는 OLED 패널을 주로 사용하며,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02) 화면에 직접 특정 동작을 입력한다.The
인터넷 접속 등을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초기화면버튼(102a), 뒤로가기버튼(102b), 앞으로가기버튼(102c) 등이 표시된다.In the case of an internet connection or the like, an
초기화면버튼(102a)을 누르면 웹브라우저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미리 지정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뒤로가기버튼(102b)을 누르면 직전에 열였던 웹페이지가 열리고, 앞으로가기버튼(102c)을 누르면 현재 페이지보다 나중에 열렸던 웹페이지가 열린다.Pressing the
초기화면버튼(102a), 뒤로가기버튼(102b), 앞으로가기버튼(102c) 등의 구성과 기능은 일반적인 웹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넷스케이프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접속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그리고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102)에 비해 더 커서 한 번에 모든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바(102d)가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스크롤바(102d)를 아래위로 내리면 표시되는 페이지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When the web page is larger than the
그런데, 손가락(10)으로 디스플레이(102) 위를 드래그하면서 화면의 중심을 이동하는 방법은 편리하기는 하지만, 손가락(10)이 화면 위를 일정부분 가리게 되어서 불편을 초래한다.By the way, the method of moving the center of the screen while dragging th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일측면에 터치센서 겸용 버튼을 구비하고, 손가락으로 버튼을 아래위로 쓸면 화면이 아래위로 스크롤되고, 버튼이 아래 또는 위를 누르면 앞이나 뒤로 웹페이지가 이동하도록 하는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combined button on one side of the smartphone, the screen scrolls up and down when you write the button up and down with your finger, the web page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button is pressed down or up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combined button to mov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터치센서 버튼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combined touch sensor button to set the operation content of the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으로서,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표면에서의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 방향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버튼(206);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센서버튼(206)이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터치센서버튼(206)이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동작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smart phone that can move or switc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상기 터치센서버튼(206)은 상부영역(206a)과 하부영역(206b)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영역(206a, 206b)의 아래쪽에는 압력에 의한 클릭 동작을 감지하는 수단이 설치되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영역(206a)을 클릭하면, 이전 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하며, 사용자가 상기 하부영역(206b)을 클릭하면, 다음 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터치센서버튼(206)의 동작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위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가리지 않고도 화면의 이동이나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인터넷 서핑이나 문자입력 등을 할 때,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or switch the screen without covering the screen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screen being obscured when surfing the Internet or inputting tex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스크롤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터치센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tructur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crolling a screen in the smartphone of FIG. 1.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or butt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이하, '스마트폰'이라 함)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combined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터치센서 버튼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ensor button.
본 발명의 스마트폰(200)은 통상적인 LCD 또는 OLED 패널로 된 디스플레이(202)와 정면의 홈버튼(204)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와 홈버튼(204)은 종래 스마트폰(100)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그리고 스마트폰(200) 몸체의 일측에는 터치센서버튼(206)이 설치된다.And one side of the body of the
터치센서버튼(206)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표면에서의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버튼이면서 내부에는 압력에 의한 클릭 동작을 감지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노트북에 자판과 같이 설치된 터치패드의 동작과 동일하며, 기타 기존에 공개되어 있는 기술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터치센서버튼(206)을 손가락(10)으로 드래그하면 압력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어느 방향으로 손가락(10)이 움직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손가락(10)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2) 상에 특정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가락(10)으로 터치센서버튼(206)을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하면, 스마트폰(200)의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위에서 아래로 손가락(10)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화면내리기(scroll down) 명령으로 인식한다. 손가락(10)의 움직임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되던 화면이 아래로 내려간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the
반대로 손가락(10)을 아래에서 위로 드래그하면, 이를 화면올리기(scroll up) 명령으로 인식하고, 화면은 디스플레이(202) 상에서 위로 올라간다.Conversely, dragging the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터치센서버튼(206)은 상부영역(206a)과 하부영역(206b)으로 나뉘어지는데, 각각의 영역(206a, 206b)의 아래쪽에는 클릭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사용자가 두 개의 영역(206a, 206b) 중에서 어느 하나를 누르면 아래쪽의 센서는 클릭 동작으로 인식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터치센서버튼(206)에 클릭 동작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of the two
즉, 상부영역(206a)을 클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뒤로가기' 동작을 입력한 것으로 보아 직전에 열람했던 웹페이지(이전 화면)로 화면을 전환한다. 반대로 하부영역(206b)을 클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앞으로가기' 동작을 입력한 것으로 보아 다음 웹페이지(다음 화면)로 화면을 전환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의 제어판 또는 설정메뉴 등을 통해서 터치센서버튼(206)의 동작 내용을 정할 수 있다. 즉, 터치센서버튼(206)의 드래그 동작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면, 사용자가 손가락(10)으로 터치센서버튼(206)을 아래위로 쓸어도 아무런 화면의 변화가 없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may determine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또한 클릭 동작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ck operation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가 메뉴판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환경을 변경함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터치폰에 구비되어 있는 잠금버튼(hold button)을 누를 때마다 터치센서버튼(206)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Such a setting may be set by the user actively changing the use environment on the menu board, or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스마트폰102, 202 : 디스플레이
104, 204 : 홈버튼206 : 터치센서버튼100, 200:
104, 204: home button 206: touch sensor butt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50396AKR20120131906A (en) | 2011-05-27 | 2011-05-27 | Smartphone with touch-sensor butt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50396AKR20120131906A (en) | 2011-05-27 | 2011-05-27 | Smartphone with touch-sensor butt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31906Atrue KR20120131906A (en) | 2012-12-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50396ACeasedKR20120131906A (en) | 2011-05-27 | 2011-05-27 | Smartphone with touch-sensor butt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2013190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7084B1 (en)* | 2012-07-02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US9607157B2 (en) | 2013-03-27 | 2017-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
| US9632578B2 (en) | 2013-03-27 | 2017-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
| US9639252B2 (en) | 2013-03-27 | 2017-05-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
| US9715339B2 (en) | 2013-03-27 | 2017-07-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
| US9927953B2 (en) | 2013-03-27 | 2018-03-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
| US9996246B2 (en) | 2013-03-27 | 2018-06-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
| US10229258B2 (en) | 2013-03-27 | 2019-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
| US10739958B2 (en) | 2013-03-27 | 2020-08-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854073B2 (en) | 2012-07-02 | 2017-12-2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578155B2 (en) | 2012-07-02 | 2017-02-2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10523797B2 (en) | 2012-07-02 | 2019-12-3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10097675B2 (en) | 2012-07-02 | 2018-10-09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KR101397084B1 (en)* | 2012-07-02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US10021225B2 (en) | 2012-07-02 | 2018-07-1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US9639252B2 (en) | 2013-03-27 | 2017-05-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
| US9927953B2 (en) | 2013-03-27 | 2018-03-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
| US9952681B2 (en) | 2013-03-27 | 2018-04-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
| US9971911B2 (en) | 2013-03-27 | 2018-05-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
| US9996246B2 (en) | 2013-03-27 | 2018-06-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
| US9715339B2 (en) | 2013-03-27 | 2017-07-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
| US9632578B2 (en) | 2013-03-27 | 2017-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
| US10229258B2 (en) | 2013-03-27 | 2019-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
| US9607157B2 (en) | 2013-03-27 | 2017-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
| US10739958B2 (en) | 2013-03-27 | 2020-08-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
| US10824707B2 (en) | 2013-03-27 | 2020-1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20131906A (en) | Smartphone with touch-sensor button | |
| CN101315593B (en) | Touch control type mobile operation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applied to same | |
| KR100831721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
| EP3025218B1 (en) | Multi-region touchpad | |
| KR101467513B1 (en) |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 |
| CN102722334B (en) | The control method of touch screen and device | |
| KR101361214B1 (en) |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scope of control area of touch screen | |
| KR101062594B1 (en) | Touch screen with pointer display | |
| KR100748469B1 (en) | User Interface Method by Touching Keypad and Its Mobile Terminal | |
| JP2017120673A (en) |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 in the edge region of the touch surface | |
| CN105593784A (en) | keyboard and touchpad area | |
| KR20130090138A (en) | Operation method for plural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KR20150069420A (en) | Control method of computer device using keyboard equipped with touch screen | |
| CN103218044B (en) | A kind of touching device of physically based deformation feedback and processing method of touch thereof | |
| JP58461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01493747A (en) | Operation method of software keyboard | |
| US20140359541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ouch operation in the same | |
| JP2016126363A (en) | Touch screen input metho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 TWM416137U (en) | Wireless touch screen multi-media interactive device | |
| KR101678213B1 (en) | A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y detecting increase or decrease of touch area and method thereof | |
| KR101598671B1 (en) | Keyboard hav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60000534U (en) | Smartphone having touch pad | |
| KR20150098366A (en) |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
| KR101692848B1 (en) |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 using hovering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
| CN202904495U (en) | Mous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05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053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211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2053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