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120120618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618A
KR20120120618AKR1020110038314AKR20110038314AKR20120120618AKR 20120120618 AKR20120120618 AKR 20120120618AKR 1020110038314 AKR1020110038314 AKR 1020110038314AKR 20110038314 AKR20110038314 AKR 20110038314AKR 20120120618 AKR20120120618 AKR 2012012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ational speed
input
air volum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진성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filedCritical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314ApriorityCriticalpatent/KR20120120618A/en
Publication of KR2012012061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20120618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풍량조절장치 및 풍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장치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상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rate adjusting device and a flow rate adjust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o adjust the air flow rate, specifically, the air flow rate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flow as a mechanical input A receiving unit; A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using the input signal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the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풍량 조절장치 및 풍량 조절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Airflow control device and airflow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본 발명은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풍량조절 장치 및 풍량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rate adjusting device and a flow rate adjust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o adjust the air volume.

공기 청정기 등에 구비된 송풍장치는 상기 공기 청정기 등이 흡입하였던 실내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 등의 본체 내부에 흡입되었던 실내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터가 사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토출되는 풍량이 조절된다.The blower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or the like serves to discharge the indoor air sucked by the air cleaner or the lik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motor is used to provide a blowing force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of the air cleaner, etc.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상기 토출되는 풍량과 관련하여, 종래의 풍량조절장치는 모터의 회전속도가 이미 정해져 있는 1단, 2단 등의 버튼을 선택하여 토출되는 풍량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모터에 대한 제어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에 대한 세밀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즉, 사용자는 이미 결정된 풍량이외의 다른 풍량을 선택할 수 없어 다양한 풍량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lation to the discharged air volume, the conventional airflow control device selects the airflow volume to be discharged by selecting buttons such as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and the lik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already determined. In this case, the control of the motor can be easily implemented, but it does not provide detailed control of the air volume desired by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not select the other air volume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air volume has a problem that can not meet the user's desire for a variety of air volume.

본 발명의 풍량조절 장치 및 풍량조절 방법은 사용자가 풍량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풍량조절 장치 및 풍량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rate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freely control the flow r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장치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상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ir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flow as a mechanical input; A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using the input signal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the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include a rotation dial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using a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dial.

여기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상기 입력신호로 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converter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and the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used as the input signal.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using a table in which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t.

여기서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입력신호 변환부 및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input signal converter and the controller.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와 현재 모터의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르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가 더 느리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urrent motor, and if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faster,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if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slower, the motor. It can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장치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Air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flow as a mechanical input;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by us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A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 switch unit provided between the motor and the ground unit to control driving of the motor.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include a rotation dial, and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dial.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의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모터의 양단 전압을 상기 제어신호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a mechanical input of the input unit, and the voltage of both ends of the motor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used as the control signal. .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드레인은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어, 게이트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transistor, a source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motor, a drain is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and driving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gate part.

본 발명의 풍량조절 장치 및 풍량조절 방법은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풍량을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풍량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air volume adjusting device and the air volume adjus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desired air volume by using a variable resistor, the user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by providing a desired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는 입력부(110), 신호 변환부(120), 컨트롤러(140) 및 모터(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신호 변환부(120) 및 상기 컨트롤러(140) 사이에 노이즈제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input unit 110, asignal converter 120, acontroller 140 and amotor 150, in addition, the signal conversion Anoise removing unit 130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unit 120 and thecontroller 140.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it will be described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110)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풍량조절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Theinput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Theinput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ry dial, and ma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to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상기 다이얼의 회전 가능 범위와 출력되는 풍량의 범위를 대응시켜 상기 다이얼의 회전 정도에 따라 출력 풍량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풍량조절장치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최대 풍량을 100, 최소 풍량을 0으로 두었을 때, 상기 다이얼이 오른쪽으로 최대한 회전 할 수 있는 위치에서 100의 풍량을 제공하고, 상기 다이얼을 왼쪽으로 최대한 회전 할 수 있는 위치에서 0의 풍량을 제공하며, 다이얼이 나머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최대 다이얼의 위치에 대한 현재 다이얼의 위치의 비율에 의하여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The output air volum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al by matching the rotatable range of the dial with the range of the output air volume.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air volume that can be provided by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is 100 and the minimum air volume is 0, the air volume of 10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dial can rotate to the right as far as possible, and the dial The air volume of 0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can be rotated to the left as far as possible, and when the dial is at the remaining position, the air volume may be determined by a ratio of the position of the current dial to the position of the maximum dial.

상기 회전다이얼은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이얼의 회전이라는 기계적 입력으로 구현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다이얼이외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풍량조절장치에 기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The rotary dial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is implemented as a mechanical input called rotation of the di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using a lever that is movable up, down, left and right within a preset range other than the rotary dial. Can be mechanically input to the airflow control device.

상기 입력되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는 결국 상기 풍량조절장치가 출력해야 하는 풍량, 즉 목표풍량으로 볼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input output air volume can be viewed as the air volume that is to be output by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that is, the target air volume.

신호 변환부(120)는,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환부(120)는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상기 입력신호로 할 수 있다.Thesignal converter 120 may convert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signal converter 120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and may use the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as the input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변환부(120)는 직렬로 연결된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렬 연결된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의 양단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크기를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등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변화시키면, 상기 가변저항 양단의 전압 또한 상기 가변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된다.In detail, thesignal converter 120 may include a fixed resistor and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hen a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eries-connected fixed resistor and the variable resistor, and the magnitud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by mechanical input such as rotation of the rotary dial, the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also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즉,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30)에서 회전다이얼의 회전 등 기계적 입력을 통하여 입력한 목표풍량이 상기 가변저항 양단의 전압으로 변환된 것이므로 상기 가변저항 양단의 전압을 상기 풍향조절장치의 입력신호로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target air volume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mechanical input such as rotation of the rotary dial by theinput unit 130 is converted into the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the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used as the input signal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Can be.

컨트롤러(140)는,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controller 140 may determine a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using an input signal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motor 15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The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by using a table in which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t.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와 현재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면 상기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더 느리면 상기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40 compares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current motor 150, and if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is fast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is greater.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is increased and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is slower,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may be controlled.

상기 목표풍량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는 전기적 입력신호만으로는 얼마나 모터(150)를 회전하여야 상기 목표 풍량을 얻을 수 있는 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4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목표풍량을 얻기 위한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 to achieve the target air volume by rotating themotor 150 only by the electrical input signal containing the information on the target air volume. Therefore,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for obtaining the target air volum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controller 140.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목표풍량을 얻기 위한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 즉,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상기 신호 변환부(120)로부터 입력받으면,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된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과 대응되는 상기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찾아서, 상기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모터(150)의 목표회전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controller 140 may use a tabl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t to determine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to obtain the target air volume. When the input signal, that is, the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is received from thesignal converter 120,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across the input variable resistor is found in the table, and themotor 150 is located. ) May be determined as a target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더라도,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얻기 위하여는 모터(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4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모터(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Even if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is determined using the tabl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motor 150 is required to obtain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Therefor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motor 150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controller 140.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와 현재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면 상기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결정된 모터(150)의 회전속도가 더 느리면 상기 모터(1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by comparing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and the current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determined motor 150 is faster control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50 A signal may be generated, and if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is slower,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may be generated.

상기 모터(150)가 직류 모터인 경우, 상기 모터(150) 속도의 제어는 모터(150) 양단의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모터(150) 양단의 전압의 크기가 커지면 모터(150)의 속도는 빨라지고, 모터(150) 양단의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면 모터(150)의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40)는 증폭기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일정한 비율로 증폭시켜 이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모터(150)의 양단에 전압으로 공급할 수 있다.When themotor 150 is a DC motor, control of the speed of themotor 150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motor 150.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motor 150 increases, the speed of themotor 150 increases, and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motor 150 decreases, the speed of themotor 150 decreases. Therefore, thecontroller 140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and amplify the input signal at a constant ratio and supply the voltage to both ends of themotor 150 as a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모터(150)가 교류 모터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50)에 제공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교류 모터의 경우 입력되는 전압의 주파수에 따라서 모터의 회전속도가 변화되므로, 상기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15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motor 150 is an AC motor, thecontroller 14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provided to themotor 15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 the case of the AC motor,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chang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voltage, the speed of themotor 150 may be controlled by using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AC voltage.

모터(15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150)는 공기청정기 등 송풍장치가 토출하는 풍량을 모터(150)의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150)는 상기 공기청정기 등 송풍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50)의 회전축에 팬(fan)을 구비할 수 있다.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15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motor 150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by a blower such as an air cleaner u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150. Themotor 150 may include a fan on a rotation shaft of themotor 150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blower, such as the air cleaner, to the outside.

추가적으로,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신호 변환부(120) 및 상기 컨트롤러(140) 사이에 노이즈제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volume adju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oise removing unit 130 between thesignal converter 120 and thecontroller 140.

상기 노이즈제거부(130)는 상기 신호 변환부(120)에서 상기 컨트롤러(140)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존재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제거를 위하여 상기 노이즈제거부(130)는 저역통과필터(LPF:Low Pass Filter)일 수 있다.Thenoise remover 130 may remove noise that may exist with respect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signal converter 120 to thecontroller 140, and thenoise remover 130 may remove the noise. May be a low pass filter (LPF).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신호 변환부(120)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모터(150)의 구동을 위한 모터(150) 양단 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에 존재하는 노이즈에 의하여 모터(150)의 양단에 지나치게 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모터(150) 양단에 지나치게 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50)가 손상되거나 오작동을 일으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140)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하도록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Thecontroller 140 may amplify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signal converter 120 and provide it as a voltage across themotor 150 for driving themotor 150. In this case, an excessively large voltage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motor 150 by the noise present in the input signal. If an excessively large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motor 150, themotor 150 may be damaged or malfunction, resulting in an acciden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risk, the noise may be removed by passing the low pass filter to the input signal input to thecontroller 140.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은 출력 풍량 입력 단계(S201), 전기적 입력신호 변환 단계(S202), 목표 풍량 설정 단계(S203), 목표풍량과 현재풍량 비교단계(S204) 및 모터속도 제어단계(S205, S2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airflow input step (S201), the electrical input signal conversion step (S202), the target airflow setting step (S203), the target airflow and the current airflow comparison step (S204) and the motor speed control step (S205, S206).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it will be described the air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출력 풍량 입력 단계(S201)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입력은 회전다이얼의 회전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output air volume input step S201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The mechanical input may be a rotation of a rotary dial, and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전기적 입력신호 변환 단계(S202)는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등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상기 가변저항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상기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 또한 상기 가변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The electrical input signal conversion step S202 may convert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a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the fixed resistor and the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magnitud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by a mechanical input such as the rotation of the rotary dial,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variable resistor is also changed. It changes as the size changes.

즉, 사용자가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등 기계적 입력을 통하여 입력한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가변저항 양단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output air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a mechanical input such as rotation of the rotary dial may be converted into a voltage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목표 풍량 설정 단계(S203)는 상기 변환된 전기적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목표 풍량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target air flow setting step (S203),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input signal, and the target air flow may be set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 motor.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풍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함으로써 목표 풍량을 설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may be determined using a tabl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t, and the amount of air output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refore, the target air volume can be set by determ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목표풍량과 현재풍량 비교단계(S204)는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토출되는 풍량과 현재의 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토출되는 풍량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풍량의 비교는 실제 토출되는 풍량을 비교할 수 있지만, 모터의 회전속도를 통하여 비교할 수도 있다.
The target air volume and the current air volume comparing step (S204) may compare the air volume discharged by the determined rotation speed of the motor and the air volume discharged by the current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he air volume comparison may compare the actual air volume, but may also be compared throug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모터속도 제어단계(S205, S206)는 상기 목표풍량과 현재풍량 비교단계(S204)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모터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tor speed control steps S205 and S206 may control the motor speed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target air volume with the current air volume comparison step S204.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풍량이 현재풍량보다 크면, 모터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 토출되는 풍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목표풍량이 현재풍량보다 작으면, 모터의 회전속도를 하강시켜 토출되는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target air volume is greater than the current air flow 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ischarged air volume. If the target air flow rate is smaller than the current air flow rate, the air flow rate is decreased by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hav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는, 입력부(310), 제어신호 생성부(320), 모터(330) 및 스위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ir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input unit 310, acontrol signal generator 320, amotor 330, and aswitch unit 340.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it will be described the air flow rate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310)은,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10)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풍량조절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입력부(110)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input unit 3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Theinput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ry dial, and ma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to the air volume adjusting device by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theinput unit 110 described above.

제어신호 생성부(320)는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이용하여 모터(3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20)는 상기 입력부(310)의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모터(330)의 양단 전압을 상기 제어신호로 할 수 있다.Thecontrol signal generator 3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330 by us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Thecontrol signal generator 320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a mechanical input of theinput unit 310, and voltages at both ends of themotor 330 varying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the control signal.

상기 가변저항과 모터(330)는 도3에 도시된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모터(330)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분배의 원칙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모터(33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는 커지며,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모터(33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는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모터(33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 variable resistor and themotor 3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FIG. 3, in which case the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motor 3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voltage distribution. That is, the smaller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the larger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motor 330 is, and the larger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smaller than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motor 330 is smaller. Lose. Accordingly, as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motor 330 may vary.

상기 모터(33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330)의 회전속도가 변화되므로, 상기 모터(330)의 회전속도를 상기 모터(3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할 수 있다.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33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motor 330,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330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motor 330. have.

모터(33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330)는 공기청정기 등 송풍장치가 토출하는 풍량을 상기 모터(330)의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330)는 상기 공기청정기 등 송풍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330)의 회전축에 팬(fan)을 구비할 수 있다.
Themotor 330 may be controlled to a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motor 330 may adjust the air volume discharged by a blower such as an air cleaner by u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motor 330. Themotor 330 may include a fan on a rotation shaft of themotor 330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blower, such as the air cleaner, to the outside.

스위치부(340)는 상기 모터(330)와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30)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340)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부는 상기 모터(330)와 연결되고, 드레인부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어, 게이트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모터(330)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switch unit 3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motor 330 and the ground unit to control whether themotor 330 is driven. In addition, theswitch unit 340 may be formed of a transistor, the source portion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motor 330, the drai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portion of the motor ( 330 may be driven.

상기 스위치부(340)는 상기 모터(330)와 접지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연결할 수도 있고, 끊을 수도 있다. 상기 모터(330)와 접지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모터(330)는 구동될 수 없으므로,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모터(330)의 구동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switch unit 340 may connect or disconnec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motor 330 and the ground unit.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motor 330 and the ground is cut off, themotor 330 cannot be driven. Therefore, whether themotor 330 is driven may be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340)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면,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부는 상기 모터(330)와 연결되고, 드레인부는 접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부에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이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소스부와 드레인부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상기 게이트부에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이 인가되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330)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switch unit 340 is composed of a transistor, the source portion of the transistor may be connected to themotor 330, the drai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In this case, since a current may flow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portions only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is applied to the gate portion, themotor 330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is applied to the gate por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drive.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은 모터구동단계(S401), 출력 풍량 입력 단계(S402), 제어신호 생성 단계(S403), 및 모터속도 제어단계(S404, S405, S406)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air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driving step (S401), the output airflow input step (S402),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S403), and the motor speed control steps (S404, S405) , S406).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it will be described in the air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터구동단계(S401)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모터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신호는 모터와 접지부 사이에 존재하는 스위치부에 대한 개폐를 결정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신호는 게이트 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구동단계(S401)에서는 상기 게이트에 기 설정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The motor driving step S401 may determine whether to drive the motor according to whether a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is input. The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may be a signal for determ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unit existing between the motor and the ground unit. Specifically, the switch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istor. In this case, the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may be a gate voltage. Therefore, in the motor driving step (S401), it is determined whether a voltag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s applied to the gate, and the motor may be driven only when the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출력 풍량 입력 단계(S402)는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입력은 회전다이얼의 회전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output air volume input step S402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The mechanical input may be a rotation of a rotary dial, and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air volum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제어신호 생성단계(S403)는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모터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가변저항의 크기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모터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양단전압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가 결정되므로, 상기 모터의 양단전압을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신호 생성단계(S403)는 상기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S40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by us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Specifically, in the mo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variable resistor, the magnitud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by the mechanical input, there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motor.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motor,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motor may be viewed a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hat is,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S40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by using a variable resistor changed by the mechanical input.

모터속도 제어단계(S404, S405, S406)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 모터의 양단 전압에 비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된 모터의 양단 전압이 상승하였다면, 상기 모터속도를 상승시켜 토출하는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모터의 양단 전압에 비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된 모터의 양단 전압이 하강하였다면, 상기 모터속도를 하강시켜 토출하는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Motor speed control steps (S404, S405, S406)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f the voltage across the motor applied by the control signal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voltage between the current and the both ends of the motor,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by increasing the motor speed may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if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motor applied by the control signal is lower than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current motor,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by lowering the motor speed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10: 입력부120: 신호 변환부
130: 노이즈제거부140: 컨트롤러
150: 모터
S201: 출력 풍량 입력 단계S202: 전기적 입력신호 변환 단계
S203: 목표 풍량 설정 단계S204: 목표풍량과 현재풍량 비교단계
S205, S206: 모터속도 제어단계
310: 입력부320: 제어신호생성부
330: 모터340: 스위치부
S401: 모터구동단계 S402: 출력 풍량 입력 단계
S403: 제어신호 생성 단계S404, S405, S406: 모터속도 제어단계
110: input unit 120: signal conversion unit
130: noise removing unit 140: controller
150: motor
S201: output air volume input step S202: electrical input signal conversion step
S203: target air volume setting step S204: target air volume and current air volume comparing step
S205, S206: motor speed control step
310: input unit 320: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30: motor 340: switch unit
S401: Motor driving step S402: Output air flow input step
S403: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S404, S405, S406: Motor speed control step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상기 모터를 포함하는 풍량조절장치.
An input unit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A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using the input signal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Air flow rat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motor is controlled to the rotational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unit includes a rotation dial,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양단 전압을 상기 입력신호로 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ignal converter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and uses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variable resistor as the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nd a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determined by using a table in which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노이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noise remov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signal converter and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와 현재 모터의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르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결정된 모터의 회전 속도가 더 느리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By comparing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urrent motor, if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fast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increased, and if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slow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decreased. Airflow control device to let.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기계적 입력으로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기계적 입력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접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풍량조절장치.
An input unit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as a mechanical input;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by using the received mechanical input;
A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nd a switch unit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ground unit to control driving of the mo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풍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rotation dial, the air volum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utput air volume us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d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의 기계적 입력에 의하여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모터의 양단 전압을 상기 제어신호로 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is changed by a mechanical input of the input unit, and the airflow control device using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motor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as the control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드레인은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어, 게이트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가 제어되는 풍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witch unit includes a transistor,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motor, the drain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rtion, the air flow control device is controlled whether the motor is driven by a voltage applied to the gate portion.
KR1020110038314A2011-04-252011-04-25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WithdrawnKR201201206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10038314AKR20120120618A (en)2011-04-252011-04-25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10038314AKR20120120618A (en)2011-04-252011-04-25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20120618Atrue KR20120120618A (en)2012-11-02

Family

ID=4750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10038314AWithdrawnKR20120120618A (en)2011-04-252011-04-25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1201206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8054018B2 (en)Multi-level programming of motor for a ventilation system
TWI400874B (en)Bi-power motor controlling system and motor controlling apparatus thereof
JP2014059116A (en)Air cleaner
US20120274252A1 (en)Fan motor control device
CN109706874B (en)Multi-pneumatic system of road sweeping equipment and driv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876674B2 (en) Rotational speed control device
CN102741619B (en) Ventilator
JP6255576B2 (en) Ventilation equipment
TWI472147B (en)Fan speed control circuit
KR20120120618A (en)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volume
JP6865361B1 (en) Ventilation device
KR101103018B1 (en) Constant air flow control of the ventilation system
JP6130152B2 (en) Range food
US20130015792A1 (en)Motor driving circuit and motor device
JP6285000B2 (en) Range food
JP6290362B2 (en) Range food
JP6221057B2 (en) Ventilation equipment
WO2004010061A3 (en)Energy store circuit for controlling rotor rotation
JP2017122575A (en)Range hood
CN207198538U (en)A kind of adaptive cooling control circuit of projector's height above sea level
JP5267284B2 (en) Control device for fan filter unit
JP2015047000A (en)Ventilation device
US20230243361A1 (en)Bl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ower
US20090108790A1 (en)Control structure of an electric fan
JP2014166048A (en)Power use comparis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0425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