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사용자(multi user)에게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이하 'MIMO'라 칭하기로 함)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예컨대 스테이션(STA: Station, 이하 'STA'라 칭하기로 함)의 효율적인 절전(power saving)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함)의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 일 예로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하기로 함) 시스템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한정된 자원을 통해 고속 및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WLAN 시스템이 한정된 무선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In the current communication system, active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users with services of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having a high transmission spe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QoS'). As an example of such a communication system,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researches on methods for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ata at high speed and stability through limited resources Is actively underway. In particular, in a communication system, research on data transmission through a wireless channel has been conducted. Recently,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data normally using a limited wireless channel have recently been proposed.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을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전력 사용을 최소화, 특히 단말인 STA의 절전(power saving)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WLAN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시스템의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Meanwhile, in a communication system,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methods for minimizing power use, in particular, maximizing power saving efficiency of a mobile station STA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In particular,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rough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data in a WLAN system and to maximize power saving efficiency in order to minimize power usage of the system.
하지만, 현재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채널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시스템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아직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WLAN 시스템에서 MIMO 방식으로 다중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상기 WLAN 시스템, 특히 단말인 STA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고 처리량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아직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 WLAN system, as mentioned above, specific methods for improving throughput and maximizing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ystem have not been proposed yet. In particular, when providing a service to multiple users in a MIMO scheme in a WLAN system, a specifi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data normally has not yet been proposed by maximizing power saving efficiency and improving throughput of the WLAN system, in particular, a STA. have.
따라서,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한정된 자원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안정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처리율을 향상시키고 WLAN 시스템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Accordingly,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large amounts of data at high speed and stability through limited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 WLAN system,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improving throughput and maximizing power saving efficiency of a WLAN system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한정된 자원을 통해 처리율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안정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throughput and to maximiz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ystem through a limited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to multiple users in the MIMO scheme, and to transmit and receive large-capacity data at high speed and stable and In providing a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절전 방식을 통해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여 데이터를 고속 및 안정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ly and stab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maximizing power saving efficiency of STAs through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in a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service to multiple users in a MIMO scheme. .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다중 사용자(multi user)-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으로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들과의 다중 사용자-절전(power saving) 방식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단말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링부; 및 상기 생성된 패킷과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프레임을 상기 다중 사용자-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으로 상기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a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IMO) metho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A receiver for receiving an uplink frame;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packet including support information on a multi-user power saving scheme with the terminals; A buffering unit configured to buffer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downlink frame including the generated packet and the buffered data to the terminals in the multi-user-multi-input multi-output schem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업링크 프레임을, 다중 사용자(multi user)-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및 다중 사용자-절전(power saving) 방식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프레임을, 상기 다중 사용자-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다중 사용자-절전 방식에 따라 슬립 모드와 웨이크 업 모드 간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oth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a data receiving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an uplink frame requesting data buffered to an access point (AP), multi-user (multi-use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the access point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metho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ownlink frame including the buffered data and support information for a multiple user power saving scheme from the access point in the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chem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state transition between a sleep mode and a wake up mode according to the multi-user power saving schem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다중 사용자(multi user)-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으로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의 슬립 모드와 웨이크 업 모드 간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다중 사용자-자동 절전 전달(APS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방식에 대한 지원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상기 생성된 패킷과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가 포함된 다운링크 프레임을 상기 다중 사용자-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으로 상기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IMO) method) Receiving an uplink frame; Generating a packet including support information on an APS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scheme for controlling a state transition between a sleep mode and a wake-up mode of the terminals; And buffe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and the downlink frame including the buffered data to the terminals in the multi-user-multi-input multiple-output schem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절전 방식들을 통해 시스템의 절전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며, 아울러 한정된 자원을 통해 처리량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절전 방식들을 이용하여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여 데이터를 고속 및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ystem by controlling the power saving of the system through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improve the throughput through limited resources, thereby enabling the high speed and st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large amounts of data.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STAs of a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service to a multi-user by using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high speed and stability.
도 1 내지 도 5,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to 5, and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schematically illustrate a data packet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P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S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P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S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예컨대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하기로 함)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안은,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Her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WLAN system as an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chem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에게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이하 'MIMO'라 칭하기로 함)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예컨대 스테이션(STA: Station, 이하 'STA'라 칭하기로 함)의 효율적인 절전(power saving)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 예컨대 IEEE 802.11 WLAN 시스템을 일 예로 하여, 상기 WLAN 시스템이 MIMO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며, 또한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o a multi-user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Multi-In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MO)) scheme, For examp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providing efficient power saving of a station (S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 are prop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n IEEE 802.11 WLAN system, as an example, when the WLAN system provides services to multiple users through a MIMO scheme, maximizes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TAs, and further improves throughput ( Throughput is improved to transmit and receive large amount of data normally.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절전 방식들을 통해 시스템, 특히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에서 상기 다양한 절전 방식들로, PS(power saving)-폴 프레임(PS-Poll Frame)을 사용하는 레거시 절전(legacy power saving) 방식, 자동 절전 전달(APS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이하 'ASPD'라 칭하기로 함) 방식, 절전 다중 폴(PSMP: Power Save Multi Poll, 이하 'PSMP'라 칭하기로 함) 방식 등을 이용하여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ystem, in particular, the STA is maximized through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LAN system,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include a legacy power saving scheme and an automatic power saving transfer (APSD) using a power saving (PS) -polle frame. :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PD') method, power saving multi-pol (PSMP: Power Save Multi Po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SMP') method, etc. to maximize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STA.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레거시 절전 방식(legacy power saving)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LAN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하기로 함)가 슬립(sleep) 모드 상태인 STA로 송신할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상기 AP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매 비콘(beacon) 주기, 예컨대 100ms마다 상기 AP가 특정 STA에 대해 상기 AP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STA들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상기 STA들이 일정 주기로 웨이크 업(wake up) 모드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비콘을 리스닝(listening)한 후, 상기 AP에 버퍼링된 데이터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AP에 존재할 경우, PS-폴 프레임을 상기 AP로 송신하여 상기 AP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상기 레거시 절전 방식에서는, 상기 STA가 비콘 주기에 AP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확인함에 따라, 다운링크 딜레이(downlink delay)가 발생함으로, VoIP 등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함)에 민감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한계가 있다.In more detail, in the legacy power saving scheme, in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point (AP) is called a sleep. When the AP receive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STA in a mode state, the AP buffers the received data, and data is buffered in the AP for the specific STA by the AP every beacon period, for example, 100 ms. Inform STAs. Then, after the STAs transition to the wake up mode state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listening to the beacon, if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f from the data buffered in the AP exists in the AP, the PS-pol The frame is transmitted to the AP to receive corresponding data buffered at the AP. In the legacy power saving scheme, as the STA checks the corresponding data buffered in the AP in the beacon period, a downlink delay occurs, and thus, a Quality of Service (QoS) of VoIP or the like. There is a limit when providing a service sensitive to QoS).
또한, 상기 레거시 절전 방식(legacy power savin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APSD 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LAN 시스템은, STA들이 서비스 주기(service period) 동안에는 웨이크 업 모드 상태가 되며, 상기 비콘 주기보다 상기 STA들이 AP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보다 자주 수신 가능함으로, QoS에 민감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적합하다. 여기서, 상기 APS 방식은, 스케쥴(scheduled)-APSD(이하, 's-APSD'라 칭하기로 함) 방식과 비스케쥴(unscheduled)-APSD(이하, 'u-APSD'라 칭하기로 함) 방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LAN 시스템은, 스케쥴 기반의 절전 방식인 상기 PSMP 방식에서, 채널 이용 효율 및 절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PSD schem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legacy power saving scheme, the WLA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s are in a wake-up mode during a service period. Since the STAs can receive the corresponding data buffered in the AP more frequently than the beacon period, it is suitable for providing QoS-sensitive services. Herein, the APS scheme includes a scheduled-APS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PSD') scheme and an unscheduled-APSD (hereinafter, referred to as 'u-APSD') scheme. Include. In addition, the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channel utilization efficiency and power saving efficiency in the PSMP scheme, which is a schedule-based power saving schem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절전 방식들, 특히 u-APSD 방식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송수신 시에 처리량 및 절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u-APSD 방식을 통해 비디오 컨퍼런스(video conference) 등의 높은 처리량을 요구하는 대용량의 응용 및 트래픽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시스템의 절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u-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wer saving scheme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using the u-APSD scheme improves throughput and power saving efficiency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rge amounts of data.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and power saving efficiency of a system in a large capacity application and traffic communication environment requiring high throughput such as a video conference through a u-APSD scheme. Th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u-APSD schem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u-APSD 방식을 통한 STA의 절전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providing power saving of an STA through a u-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STA(150)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160)을 AP(1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AP(100)가 상기 STA(150)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160)을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주기로서 비스케쥴 서비스 주기(unscheduled service period)가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STA(150)의 각 AC는, 트리거/전달-인에이블(trigger/delivery-enabled)로 지정되며, 상기 STA(150)는,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트리거 프레임(160)으로, QoS 데이터 프레임 또는 QoS 널(null)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QoS 널 프레임은, 상기 STA(150)가 상기 AP(100)로 송신할 업링크(uplink)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도, 상기 AP(100)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AP(100)에 요청하기 위해 송신된다.Referring to FIG. 1, after the STA 150 transitions from a sleep mode state to a wake up mode state in the WLAN system, a
또한, 상기 트리거 프레임(160)을 수신한 AP(1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160)의 수신 확인으로 ACK(110)을 STA(15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AP(1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달-인에이블(delivery-enabled)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buffered frame)들(120,130)을 해당 STA(15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20,130)을 수신한 STA(150)는,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20,130)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170,180)을 AP(100)로 송신한다.In addition, the AP 100 receiving the
이때, 상기 AP(100)는,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Max SP(service period) Length field)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MAC(Medium Access Control) service data unit) 또는 A-MSDU(Aggregated 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20,130)로 상기 STA(15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20,130)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End of Service Period)가 포함되며, 상기 AP(1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AP 100 may include a medium access control (MAC) service data unit (MSDU) or an A-MSDU (MSDU) equal to or less than a number specified in a maximum service period length field (SP) in the service period. Aggregated MSDU) is transmitted to the STA 150 in the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160)을 송신한 이후부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130)을 수신하여 ACK(180)을 송신한 시점까지가 된다. 즉, 상기 STA(150)는,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130)을 수신하여 ACK(180)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STA(15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다중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즉 대용량의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의 u-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in the service period,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u-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2 illustrates a flow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providing power savings of STAs when a large amount of traffic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is present through a u-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rawin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STA들, 예컨대 STA1(250), STA2(260), 및 STA3(270)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을 AP(200)로 각각 송신한다. 이때, 상기 AP(200)가 상기 STA들(250,260,270)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을 각각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주기로서 비스케쥴 서비스 주기가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STA들(250,260,270)의 각 AC는, 트리거/전달-인에이블로 지정되며, 상기 STA들(250,260,270)은,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로, QoS 데이터 프레임 또는 QoS 널 프레임을 각각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QoS 널 프레임은, 상기 STA들(250,260,270)이 상기 AP(200)로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도, 상기 AP(200)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AP(200)에 요청하기 위해 송신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WLAN system,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for example,
또한,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을 수신한 AP(2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205,210,215)을 각 STA들(250,260,2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AP(2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달-인에이블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을 해당 STA들(250,260,2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을 수신한 STA들(250,260,270)은,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254,264,274)을 AP(200)로 순차적으로 각각 송신한다.In addition, the AP 200 that receives the trigger frames 252, 262, and 272 sequentially
이때, 상기 AP(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 또는 A-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로 상기 STA들(250,260,2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가 포함되며, 상기 AP(2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AP 200 sequentially transmits MSDUs or A-MSDUs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specified in the maximum service period length field in the service period to the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252,262,272)을 송신한 이후부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을 수신하여 ACK들(254,264,274)을 송신한 시점까지가 된다. 즉, 상기 STA들(250,260,270)은,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220,225,230)을 수신하여 ACK들(254,264,274)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STA들(250,260,27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ervice period, after transmitting the trigger frames (252, 262, 272) receives the buffer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IMO scheme by providing power savings of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n 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b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STA들, 예컨대 STA1(350), STA2(360), 및 STA3(370)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을 AP(300)로 각각 송신한다. 이때, 상기 STA들(350,360,370)과 상기 AP(300)는,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3, after the STAs corresponding to the multi-users in the WLAN system, 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AP(300)가 상기 STA들(350,360,370)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을 각각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주기로서 비스케쥴 서비스 주기가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STA들(350,360,370)의 각 AC는, 트리거/전달-인에이블로 지정되며, 상기 STA들(350,360,370)은,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로, QoS 데이터 프레임 또는 QoS 널 프레임을 각각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QoS 널 프레임은, 상기 STA들(350,360,370)이 상기 AP(300)로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도, 상기 AP(300)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를 AP(300)에 요청하기 위해 송신된다.In addition, as the
또한,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을 수신한 AP(3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305,310,315)을 각 STA들(350,360,3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아울러, 상기 AP(300)는, 사운딩 구간(320)에서 각 STA들(350,360,370)에 해당하는 채널을 정확하게 추정하며, 또한 다중 사용자들에 대한 MIMO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상기 STA들(350,360,370)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STA들(350,360,370)을 그룹핑한다. 즉, 상기 AP(300)와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기 STA들(350,360,370)을 그룹핑하며, 이렇게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상기 AP(300)와 상기 STA들(350,360,370)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되고, 아울러 상기 STA들(350,360,37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각 STA들(350,360,370)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보다 빨리 완료되어 상기 각 STA들(350,360,370)이 보다 빨리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되므로, 상기 STA들(350,360,37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AP(300)는, 상기 사운딩 구간(320)에서 상기 STA들(350,360,370)에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분배(distribution)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AP(3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달-인에이블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을 해당 STA들(350,360,3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을 수신한 STA들(350,360,370)은,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의 수신 확인으로 블럭 ACK(BA: Block Ack, 이하 'BA'라 칭하기로 함)들(354,364,374)을 AP(300)로 순차적으로 각각 송신한다.When the buffered data corresponds to the transfer-enabled AC, the
이때, 상기 AP(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 또는 A-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로 상기 STA들(350,360,3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가 포함되며, 상기 AP(3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352,362,372)을 송신한 이후부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을 수신하여 BA들(354,364,374)을 송신한 시점까지가 된다. 즉, 상기 STA들(350,360,370)은,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325,330,335)을 수신하여 BA들(354,364,374)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300)와 STA들(350,360,370)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STA들(350,360,37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즉 상기 다운링크에서 대용량의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의 u-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u-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운링크에서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ownlin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providing power savings of STAs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traffic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 u-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i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STA들, 예컨대 STA1(450), STA2(460), STA3(470), 및 STA4(4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들을 AP(400)로 각각 송신하며, 상기 AP(400)가 상기 STA들(450,460,470,480)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을 각각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주기로서 비스케쥴 서비스 주기가 시작되고, 상기 AP(4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을 각 STA들(450,460,470,4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AP(400)와 상기 STA들(450,460,470,480) 간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in the WLAN system,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AP(4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상기 STA들(450,460,470,480)의 전달-인에이블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들(405,410,415,420,425,430)을 해당 STA들(450,460,470,4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405,410,415,420,425,430)을 수신한 STA들(450,460,470,480)은,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405,410,415,420,425,430)의 수신 확인으로 BA들(452,454,462,464,472,482)을 AP(400)로 순차적으로 각각 송신한다.When the buffered data corresponds to the transfer-enabled AC of the
이때, 상기 AP(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 또는 A-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405,410,415,420,425,430)로 상기 STA들(450,460,470,4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405,410,415,420,425,430)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가 포함되며, 상기 AP(4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을 송신한 이후부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410,420,425,430)을 수신하여 BA들(454,464,472,482)을 송신한 시점까지가 된다. 즉, 상기 STA들(450,460,470,480)은,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410,420,425,430)을 수신하여 BA들(454,464,472,482)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STA들(450,460,470,48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 the service period is a time point after receiving the buffer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운링크에서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low in a downlin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IMO scheme by providing power savings of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n 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figure show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STA들, 예컨대 STA1(550), STA2(560), STA3(570), 및 STA4(5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들을 AP(500)로 각각 송신하며, 상기 AP(500)가 상기 STA들(550,560,570,580)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을 각각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주기로서 비스케쥴 서비스 주기가 시작되고, 상기 AP(5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의 수신 확인으로 ACK들을 각 STA들(550,560,570,5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 후, 사운딩 구간에서 채널 추정, STA들(550,560,570,580)의 그룹핑, 및 NAV를 분배한다. 이때, 상기 STA들(550,560,570,580)과 상기 AP(500)는,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5,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in the WLAN system, for example,
즉, 상기 AP(500)는, 상기 STA들(550,560,570,580)과,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그에 따라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되고, 아울러 상기 STA들(550,560,570,58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각 STA들(550,560,570,580)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보다 빨리 완료되어 상기 각 STA들(550,560,570,580)이 보다 빨리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되므로, 상기 STA들(550,560,570,58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AP(500)와 상기 STA들(550,560,570,580) 간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의 송수신 동작 및 사운드 구간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AP(5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달-인에이블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들(505,510,515,520,525,530)을 해당 STA들(550,560,570,5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505,510,515,520,525,530)을 수신한 STA들(550,560,570,580)은,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505,510,515,520,525,530)의 수신 확인으로 BA들(552,562,572,582,554,564)을 AP(500)로 순차적으로 각각 송신한다.When the buffered data corresponds to the transfer-enabled AC, the
이때, 상기 AP(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 또는 A-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505,510,515,520,525,530)로 상기 STA들(550,560,570,58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505,510,515,520,525,530)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가 포함되며, 상기 AP(5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을 송신한 이후부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515,520,525,530)을 수신하여 BA들(572,582,554,564)을 송신한 시점까지가 된다. 즉, 상기 STA들(550,560,570,580)은,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515,520,525,530)을 수신하여 BA들(572,582,554,564)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500)와 STA들(550,560,570,580)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STA들(550,560,570,58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SD 방식으로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와 STA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을 알리기 위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다운링크 프레임을 통해 STA들에게 알리기 위해 송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다운링크 프레임, 예컨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 할당 응답(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 등의 능력 정보 필드(Capability Information field)를 이용하여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을 알려줄 경우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다운링크 프레임의 HT(High Throughput) 능력 엘리먼트(HT Capability element)를 이용하여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을 알려줄 경우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schematically illustrate a data packet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provide power saving of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n 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and received to inform STAs through a downlink frame. In addition, FIG. 6 illustrates a multi-user of an AP using a capability information field such as a downlink frame such as a beacon frame, a probe response frame, an association response frame, and the like.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in the case of informing APSD support, and FIG. 7 shows support for multi-user and APSD support of an AP by using a High Throughput (HT Capability element) of a downlink frame. FIG.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ta packet structure in a cas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능력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AP가 다중 사용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TA들의 절전을 위해 APSD 방식을 지원함을 상기 STA들에게 알려준다. 즉,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능력 정보 필드의 서브필드(subfield)(602)에서 APSD 필드(626)를 사용하여 AP의 APSD 방식의 지원 여부를 STA들에게 알려주며, 특히 상기 APSD 필드(626)를 '1'로 설정하여 AP의 APSD 방식 지원을 알려주고, Reserved 필드(628)를 '1'로 설정하여 AP의 다중 사용자 지원을 알려준다. 즉, 상기 APSD 필드(626)와 상기 Reserved 필드(628)를 통해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 즉 AP가 복수의 STA들에 대한 APSD 방식을 통해 STA들의 절전을 지원함을 STA들에게 알려준다.Referring to FIG. 6, the data packet informs the STAs that the AP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multi-use and MIMO scheme and supports the APSD scheme for power saving of the STAs using the capability information field. That is, the data packet informs STAs whether the AP supports the APSD scheme by using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능력 정보 필드의 서브필드(602)로, 상기 APSD 필드(626) 및 상기 Reserved 필드(628) 뿐만 아니라, ESS 필드(604), IBSS 필드(606), CF-Pollable 필드(608), CF-Poll Request 필드(610), Privacy 필드(612), Short preamble 필드(614), PBCC 필드(616), Channel Agility 필드(618), Spectrum Management 필드(620), QoS 필드(622), Short Slot Time 필드(624), DSS-OFDM 필드(630), Delayed Block Ack 필드(632), 및 Immediate Block Ack 필드(634)를 포함한다.Here, the data packet is a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HT 능력 엘리먼트, 특히 상기 HT 능력 엘리먼트의 HT 확장 능력(HT Extended Capabilities)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AP가 다중 사용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TA들의 절전을 위해 APSD 방식을 지원함을 상기 STA들에게 알려준다. 즉,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subfield)(702)에서 Reserved 필드(716)를 '1'로 설정하여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 즉 AP가 복수의 STA들에 대한 APSD 방식을 통해 STA들의 절전을 지원함을 STA들에게 알려준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data packet uses an HT capability element, in particular, an HT Extended Capabilities element of the HT capability element, so that an AP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multi-use and MIMO scheme and performs STAs. Notifies the STAs that the APSD scheme is supported for power saving. That is, the data packe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이때,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subfield)(702)에서 Reserved 필드(716)를 이용하여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함을 알려주는 데이터 패킷은, 도 6에서 설명한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602)에서 APSD 필드(626)를 이용하여 APSD 지원함을 알려주는 데이터 패킷과 결합되어, 상기 STA들에게 방송될 수 있다. 즉,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602)에서 APSD 필드(626)를 '1'로 설정하고,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702)에서 Reserved 필드(716)를 '1'로 설정하여, 기존의 APSD 뿐만 아니라,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AP가 지원함을 STA들에게 알려준다.In this case, the data packet indicating that the AP supports the multi-user and the APSD by using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702)로, 상기 Reserved 필드(716) 뿐만 아니라, PCO 필드(704), PCO Transition Time 필드(706), Reserved 필드(708), MCS feedback 필드(710), +HTC Support 필드(712), 및 RD responder 필드(714)를 포함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SD 방식으로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와 STA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STA에서 AC의 트리거/전달-인에이블 설정을 위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data packet is a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각 STA들에서 AC의 다중 사용자 및 트리거/전달-인에이블을 설정을 다운링크 프레임을 통해 STA들에게 알리기 위해 송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다운링크 프레임의 HT 능력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STA에서 AC의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 설정을 STA들에게 알려줄 경우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ADDTS(add-traffic-stream) Request 프레임을 이용하여 STA에서 AC의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 설정을 STS들에게 알려줄 경우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WLAN system, provides power saving of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n APSD schem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multi-user and MIMO scheme. ,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and received to inform STAs of a multi-user and trigger / delivery-enable of AC in a downlink frame in each STA. In addition, FIG.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ata packet structure when a STA informs STAs of a multi-user-trigger-enable / multi-user-forward-enable configuration of an AC using the HT capability element of the downlink fram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when an STA informs STSs of a multi-user-trigger-enable / multi-user-delivery-enable configuration of an AC using an add-traffic-stream (ADDTS) request frame. It is a schematic drawing.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HT 능력 엘리먼트, 특히 상기 HT 능력 엘리먼트의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설정함을 알려준다. 즉,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HT 확장 능력 엘리먼트의 서브필드(802)에서 Reserved 필드(816)를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로 사용하여,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설정함을 STA들에게 알려준다.Referring to FIG. 8, the data packet uses a HT capability element, particularly the HT extension capability element of the HT capability element, to enable the STA to multi-user-trigger-enable / multi-user-delivery-enable for each AC. Tells it to set. That is, the data packet may include a flag indicating a
예를 들어, 상기 Reserved 필드(816)는, 각 AC 별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나타내는 플래그로서, AC_VO MU_APSD Flag 비트(818), AC_VI MU_APSD Flag 비트(820), AC_BK MU_APSD Flag 비트(822), 및 AC_BE MU_APSD Flag 비트(824)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AC_VO MU_APSD Flag 비트(818)가 '1'로 설정되면 STA의 AC_VO가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임을 나타낸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HT 확장 능력의 서브필드(802)로, 상기 Reserved 필드(816) 뿐만 아니라, PCO 필드(804), PCO Transition Time 필드(806), Reserved 필드(808), MCS feedback 필드(810), +HTC Support 필드(812), 및 RD responder 필드(814)를 포함한다.Here, the data packet is a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ADDTS Request 프레임, 특히 상기 ADDTS Request 프레임에서 TSPEC(traffic specification) 엘리먼트의 TS(traffic stream) Info 필드를 이용하여,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설정함을 알려준다. 즉,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TS Info 필드의 서브필드(902)에서 Reserved 필드(922)를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 여부와,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나타내도록 하여, STA에서 각 AC 별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 여부와,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설정함을 STA들에게 알려준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data packet is multi-user-triggered for each AC in the STA using a traffic stream (TS) Info field of a traffic specification (TSPEC) element in an ADDTS Request frame, particularly in the ADDTS Request frame. -Enable / multiple user-delivery-enable is enabled. That is, the data packet includes a
예를 들어, 상기 Reserved 필드(922)에서, 1 bit을 해당 AC에 대해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 여부를 나타내도록 사용하고, 이때 상기 1 bit이 '1'로 설정될 경우에는 STA의 해당 AC가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함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TSPEC 엘리먼트의 TS Info 필드의 서브필드(902)에서 APSD 필드(914)가 '1'로 설정되고, Schedule 필드(920)가 '0'으로 설정되고, Direction 필드(908)가 업링크로 설정되며, 상기 Reserved 필드(922)의 1 bit이 '1'로 설정될 경우, User Priority 필드(916)에 의해 정해진 AC가 다중 사용자 및 u-APSD를 지원하고, 또한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됨을 의미한다.For example, in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TS Info 필드의 서브필드(902)로, 상기 Direction 필드(908), 상기 APSD 필드(914), 상기 User Priority 필드(916), 상기 Schedule 필드(920), 및 상기 Reserved 필드(922) 뿐만 아니라, Traffic Type 필드(904), TSID 필드(906), Access Policy 필드(910), Aggregation 필드(912), 및 TSInfo Ack policy 필드(918)를 포함한다.Here, the data packet is a
또한, 상기 HT 능력 엘리먼트 및 상기 ADDTS Request 프레임 뿐만 아니라, QoS 능력 엘리먼트(QoS Capability element)를 이용하여, AC의 다중 사용자 및 전달-인에이블/트리거-인에이블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QoS 능력 엘리먼트의 4 bit을 AC의 다중 사용자 및 트리거-인에이블/전달-인에이블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사용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에게 MIMO 방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의 u-APSD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o the HT capability element and the ADDTS Request frame, a QoS Capability element may be used to indicate multi-user and forward-enable / trigger-enable of AC, wherei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u-APSD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STA들의 절전을 제공하여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10 is an uplink and downlin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IMO scheme by providing power savings of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through a u-APS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i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STA들, 예컨대 STA1(1050), STA2(1060), 및 STA3(1070)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천이한 후, 트리거 프레임들(1010,1015,1020)을 AP(1000)로 각각 송신하기 위해, 상기 STA들(1050,1060,1070)은, 사운딩 구간(1005)에서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를 기반으로 채널 접속한 후, 업링크로 자신의 프레임 송신을 위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할당,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 할당 등을 AP(1000)에게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사운딩 구간에(1005)에서 상기 AP(1000)는, 상기 STA들(1050,1060,1070)의 요청에 따라 TXOP 할당 및 공간 스트림 할당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STA들(1050,1060,1070)로 송신하며, 상기 STA들(1050,1060,1070)의 업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의 송신을 보호하기 위해 NAV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STA들(1050,1060,1070)과 상기 AP(1000)는, 업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뿐만 아니라 후술할 다운링크에서도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WLAN system, STAs corresponding to multiple users,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AP(1000)로부터 업링크에서의 송신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받은 상기 STA들(1050,1060,1070)은,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1010,1015,1020)을 상기 AP(1000)에게 동시에 송신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상기 AP(1000)와 상기 STA들(1050,1060,1070)들이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1010,1015,1020)을 송수신함에 따라,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되고, 아울러 송신 시간이 감소되어 상기 STA들(550,560,570,58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1010,1015,1020)을 수신한 AP(1000)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1010,1015,1020)의 수신 확인으로 BA들(1052,1062,1072)을 각 STA들(1050,1060,10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아울러, 상기 AP(1000)는, 사운딩 구간(1025)에서 각 STA들(1050,1060,1070)에 해당하는 채널을 정확하게 추정하며, 또한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상기 STA들(1050,1060,1070)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STA들(1050,1060,1070)을 그룹핑한다. 즉, 상기 AP(1000)와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기 STA들(1050,1060,1070)을 그룹핑하며, 이렇게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상기 AP(1000)와 상기 STA들(1050,1060,1070)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되고, 아울러 상기 STA들(1050,1060,107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업링크에서와 같이 다운링크에서도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각 STA들(1050,1060,1070)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보다 빨리 완료되어 상기 각 STA들(1050,1060,1070)이 보다 빨리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되므로, 상기 STA들(1050,1060,1070)의 절전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AP(1000)는, 상기 사운딩 구간(1025)에서 상기 STA들(1050,1060,1070)에 NAV를 분배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AP(1000)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달-인에이블된 AC에 해당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을 해당 STA들(1050,1060,10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을 수신한 STA들(1050,1060,1070)은,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의 수신 확인으로 BA들(1054,1064,1074)을 AP(1000)로 순차적으로 각각 송신한다.When the buffered data corresponds to the transfer-enabled AC, the
이때, 상기 AP(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주기에서 최대 서비스 주기 길이 필드에 지정된 숫자 이하의 MSDU 또는 A-MSDU를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로 상기 STA들(1050,1060,1070)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에는 상기 서비스 주기의 종료를 알리는 EOSP가 포함되며, 상기 AP(10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여 버퍼링된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송신할 경우, 즉 서비스 주기가 지속될 경우에는 EOSP가 '0'으로 설정되며, 서비스 주기가 종료될 경우에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버퍼링된 데이터 존재 유무를 알리는 More Data는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주기는,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을 수신하여 BA들(1054,1064,1074)을 송신한 이후에 종료된다. 즉, 상기 STA들(1050,1060,1070)은, 상기 EOSP가 '1'로 설정되고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된 버퍼링된 프레임들(1030,1035,1040)을 수신하여 BA들(1054,1064,1074)을 송신한 후,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1000)와 STA들(1050,1060,1070)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STA들(1050,1060,1070)의 절전 효율이 극대화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P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AP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업링크에서 STA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110), 상기 STA들에게 송신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1120), 상기 STA들에게 해당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링부(1130), 및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AP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수신부(1110) 및 송신부(1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STA들과 데이터를 송수신, 즉 업링크 프레임과 다운링크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또한 상기 생성부(1120)는, 상기 STA들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중 사용자 및 APSD 방식을 지원하도록 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AP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P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AP는, 1305단계에서, STA들의 절전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함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STA들에게 방송함으로써, AP의 다중 사용자 및 APSD 지원을 상기 STA들에게 알린다. 여기서, 상기 AP는, 데이터 패킷, 예컨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할당 응답(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 등을 STA들에게 방송하여, 자신이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함을 상기 STA들에게 알린다.Referring to FIG. 13, in
그리고, 1310단계에서,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하는 STA들로부터 트리거 프레임들을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수신, 즉 업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며, 1315단계에서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트리거-인에이블되었는 지를 확인한다.In
상기 131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트리거-인에이블될 경우, 1320단계에서 서비스 주기를 시작하고, 1325단계에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의 수신 확인으로 ACK 또는 BA를 STA들에게 송신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n
그런 다음, 1330단계에서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전달-인에이블되었는 지를 확인하며, 상기 1330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전달-인에이블될 경우, 사운딩 구간에서 STA들의 채널 추정, 그룹핑, 및 NAV를 분배한다.Then, in
다음으로, 1340단계에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해당 STA들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상기 STA들에게 송신, 즉 다운링크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AP가 다중 사용자-APSD 방식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며, 아울러 상기 STA의 AC에 대한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의 설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1345단계에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의 수신 확인으로 ACK 또는 BA를 상기 STA들로부터 수신한다.Next, in
그리고, 1350단계에서 상기 STA들로 송신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다시 말해 버퍼링된 프레임의 EOSP가 '1'로 설정되는 지를 확인하며, 상기 1350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STA들로 송신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1340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STA들로 송신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1355단계에서 상기 STA들의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 전달 요청을 처리, 즉 다운링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한다.In
한편, 상기 131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트리거-인에이블되지 않을 경우, 1360단계에서 레거시 IEEE. 802.11 시스템에서의 절전 방식을 통해 다운링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1330단계에서 확인 결과, AP 자신에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STS들의 각 AC가 전달-인에이블되지 않을 경우, 1365단계에서 IEEE. 802.11 시스템에서의 u-APSD 방식을 통해 다운링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러면 여기서,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S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ST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다운링크에서 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다운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1210), 업링크에서 상기 AP로 송신할 데이터, 예컨대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1230), 상기 AP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상응한 서비스 구간에 따라 STA의 절전을 위해 슬립 모드 및 웨이크 모드 간 상태 천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240), 및 상기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업링크에서 AP로 데이터를 송신, 업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1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STA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수신부(2110) 및 송신부(2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AP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1240)는, 상기 STA의 절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구간에 따라 슬립 모드 및 웨이크 모드 간 상태 천이를 제어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receiver 2110 and the transmitter 2150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AP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n a multi-user and MIMO sche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STA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S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STA는, 1405단계에서, 다중 사용자 및 APSD를 지원함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할당 요청(association request) 프레임 또는 ADDTS 프레임을 통해 자신의 AC의 다중 사용자-트리거-인에이블/다중 사용자-전달-인에이블을 지정한다.Referring to FIG. 14, in
그런 다음, 1410단계에서, 슬립 모드 상태에서 AP에 송신할 데이터, 예컨대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도 AP에 버퍼링된 STA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Then, in
그리고, 1415단계에서, 업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AP에게 데이터를 송신, 업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며, 이때 실제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QoS 데이터를 송신하고, 실제로 송신할 데이터 없이 AP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확인할 경우에는 트리거 프레임, 예컨대 QoS 널 프레임 또는 레거시 절전을 위한 PS-Poll 프레임을 송신한다.In
다음으로, 1420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 예컨대 QoS 데이터 또는 트리거 프레임 수신의 확인으로 ACK을 AP로부터 수신하며, 1425단계에서, 다중 사용자 및 MIMO 방식으로 데이터, 예컨대 다운링크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STA는,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으로, AP에 버퍼링된 STA 자신에게 해당하는 버퍼링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또는 AP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QoS 널 프레임을 수신한다.Next, in
그리고, 1430단계에서, 상기 AP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확인으로 BA를 상기 AP로 송신하며, 1435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 즉 다운링크 프레임이 QoS 널 프레임인 지를 확인하며, 상기 143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QoS 널 프레임일 경우에는 1450단계에서, 서비스 주기가 종료되어 웨이크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한다.In
또한, 상기 143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AP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 즉 버퍼링된 프레임일 경우에는 1440단계에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의 EOSP가 '1'로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1445단계에서, 상기 버퍼링된 프레임의 More Data가 '0'으로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1440단계 및 1445단계에서, 상기 AP에 버퍼링된 STS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 지, 즉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data is the corresponding data buffered in the AP, that is, the buffered frame, in
상기 1440단계 및 144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AP에 버퍼링된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1450단계에서, 서비스 주기가 종료되어 웨이크 모드 상태에서 슬립 모드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1440단계 및 144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웨이크 모드 상태에서, 1415 단계 및 1425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AP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3/336,859US9246562B2 (en) | 2010-12-23 | 2011-12-23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00133882 | 2010-12-23 | ||
| KR1020100133882 | 2010-12-23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72331Atrue KR20120072331A (en) | 2012-07-03 |
| KR101897119B1 KR101897119B1 (en) | 2018-09-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40073AActiveKR101897119B1 (en) | 2010-12-23 | 2011-12-22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9711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129979A1 (en)* | 2015-02-13 | 2016-08-18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US9532306B2 (en) | 2013-10-10 | 2016-12-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Internet protocol-based sleep mode control method |
| KR20170022993A (en)* | 2014-06-20 | 2017-03-02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210089800A (en)* | 2014-12-31 | 2021-07-16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by multiple user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112558A1 (en)* | 2019-12-02 | 2021-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chnique for performing multi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104162A1 (en)* | 2005-11-10 | 2007-05-10 | Kneckt Jarkko L S | Use of timing information for handling aggregated frames in a wireless network |
| KR20080063488A (en)* | 2005-09-30 | 2008-07-04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
| US20090093281A1 (en)* | 2007-10-07 | 2009-04-09 | Mustafa Demirhan |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100127871A (en)* | 2008-04-01 | 2010-12-06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Compensation for drifts that occur during sleep times at access terminal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63488A (en)* | 2005-09-30 | 2008-07-04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
| US20070104162A1 (en)* | 2005-11-10 | 2007-05-10 | Kneckt Jarkko L S | Use of timing information for handling aggregated frames in a wireless network |
| US20090093281A1 (en)* | 2007-10-07 | 2009-04-09 | Mustafa Demirhan |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100127871A (en)* | 2008-04-01 | 2010-12-06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Compensation for drifts that occur during sleep times at access terminal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532306B2 (en) | 2013-10-10 | 2016-12-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Internet protocol-based sleep mode control method |
| US11523335B2 (en) | 2014-06-20 | 2022-12-06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170022993A (en)* | 2014-06-20 | 2017-03-02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US12284607B2 (en) | 2014-06-20 | 2025-04-22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200041895A (en)* | 2014-06-20 | 2020-04-22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200043403A (en)* | 2014-06-20 | 2020-04-27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210031792A (en)* | 2014-06-20 | 2021-03-22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US11832176B2 (en) | 2014-06-20 | 2023-11-28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US11737079B2 (en) | 2014-12-31 | 2023-08-22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by multiple users |
| US11363613B2 (en) | 2014-12-31 | 2022-06-14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by multiple users |
| KR20220104306A (en)* | 2014-12-31 | 2022-07-26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by multiple users |
| KR20210089800A (en)* | 2014-12-31 | 2021-07-16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by multiple users |
| US11140718B2 (en) | 2015-02-13 | 2021-10-05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WO2016129979A1 (en)* | 2015-02-13 | 2016-08-18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US11818763B2 (en) | 2015-02-13 | 2023-11-14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US12177907B2 (en) | 2015-02-13 | 2024-12-24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US10477589B2 (en) | 2015-02-13 | 2019-11-12 |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97119B1 (en) | 2018-09-1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4656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 |
| US11943665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save in multi-link wireless systems | |
| US20230379999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lin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 US20250096953A1 (en) | Procedures for high efficiency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 |
| US10779233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wakeup radio | |
| JP6370343B2 (en) |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CN107113782B (en) |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digital communications | |
| US9084144B2 (en) | Power saving features in a communication device | |
| KR101466717B1 (en) | Sequential ack for multi-user transmissions | |
| CN114009094B (en) | Optional Adjustment of Group Duration | |
| JP6313460B2 (en) |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 |
| US1005074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ower-saving poll transmission | |
| US20190268850A1 (en) |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rough random access resource indicator | |
| KR10181887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 |
| KR20110102162A (en) |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and access point for power saving of multi-user | |
| KR101846266B1 (en) | Multi-user wireless network for power saving,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and access point in the multi-user wireless network | |
| KR10189711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 |
| CN108476476A (en) | Power indicates system and method | |
| US10993182B2 (en) | Power saving method through user-specific signali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1222 | |
| AMND | Amendment | ||
| AMND | Amendm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61024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1122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20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8050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80201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530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50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32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40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20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80717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180531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530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50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32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40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20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090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8090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825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825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823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823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