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대상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무선충전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a charging target device wirelessly, only a target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and consequently improving the lifespa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최근, 휴대를 기본으로 하는 휴대장치는 통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다이어리 기능, 영상 및 사진 촬영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를 내장/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ecently, portable devices based on portable devices provide a wide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 communication function,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a diary function, an image and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battery is generally built / used for portability.
한편, 최근에는 무선을 통해 비 접촉식으로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은, 디자인의 용이함 및 품질 측면에서 이로운 점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여러 장치에 적용될 전망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device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wireless has emerged. This wireless charging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more devices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ease of design and quality.
헌데, 현재의 무선 충전 방식은, 버튼을 이용하여 무선충전장치를 동작 시키거나 또는 휴대장치가 무선충전장치에 접근하는 것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면 무선 충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인증되지 않은 휴대장치에 대해 충전을 제공하거나 또는 부적절한 물체 즉 무선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장치에 대해서도 무조건 충전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기존의 무선 충전 방식은,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가 우려되며, 더 나아가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효율을 저하와 이로 인한 수명 단축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However, the current wireless charging method uses a button to operat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starts wireless charging when the portable device detect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ess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 will provide charging or unconditional charging even for improper objects, that is, devices that are not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Thus,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and further may cause a problem of reduc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reby shorten the lif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시, 인접한 충전대상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충전대상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대상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무선충전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target in which a charging target device is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charging target device when a predefined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occur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ly charge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wirelessly charging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en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a target device, wireless charging is provided only to a target that is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ereby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and consequently extending the life of the wireless charger. To impr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충전대상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방법은,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시, 인접한 상기 충전대상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충전대상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Wireless charging method for the charg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djacent charging target device when a predefined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occurs An authentic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s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And a charging step of wirelessly charging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en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not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witch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power saving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선택이벤트 및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at least one of a selection event of selecting a specific execu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and a detection event for detecting that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adjacent distance. It may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대상장치로부터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power saving mode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한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장치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충전대상장치; 및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시, 인접한 상기 충전대상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대상장치로부터의 상기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충전대상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harging target device for providing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djacent charging target device when a predefined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occur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wirelessly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en the charging target is authentic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실행이벤트감지부와, 인접한 상기 충전대상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대상장치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인증수행부와,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충전대상장치를 무선 충전하고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닌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무선충전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ecution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predefined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and the adjacent charging target device request and reply there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perform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based on the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ly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when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And when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not an authorized charging target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execution unit for switching to a power saving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행이벤트감지부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선택이벤트 및 상기 충전대상장치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ecution event detec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lection event for selecting a specific execu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 detection event for detecting that the charging target device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ccurrence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can be det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대상장치는, 상기 무선충전장치로부터의 무선통신을 통한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장치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무선인증부와, 상기 무선충전장치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e wireless authentication unit for providing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by using a wireless charging signal.
이에, 본 발명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충전대상장치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가 인지되면 무선 충전을 종료/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효율을 개선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wirelessly, only the charging target device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roviding wireless charging and recognizing the completion of charg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harging is switched to end / sleep mode, thereby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and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and lif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 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대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harg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한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장치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충전대상장치(100)와,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시,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의 상기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장치(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무선충전장치(200) 및 충전대상장치(100) 간의 무선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무선충전장치(200)는,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시,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의 상기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한다.The
충전대상장치(100)는, 무선충전장치(200)에 접근하여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 충전을 통해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로서, 리모콘장치 또는 노트북컴퓨터장치 또는 휴대전화장치 또는 스마트폰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대상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부(130)와,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통신을 통한 인증요청에 대응하여 장치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무선인증부(110)와,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부(120)를 포함한다.Hereinafter, the
배터리부(130)는, 충전대상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각 기능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130)는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무선인증부(110)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 인증이 요청되면, 내부에 저장된 장치인증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여기서, 장치인증정보는, 충전대상장치(100)의 무선충전 가능 여부정보 및 장치식별정보 및 스펙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ireless charging availability inform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무선충전부(120)는,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한다.The
예를 들면, 무선충전부(120)는 충전코일(미도시) 및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충전코일(미도시)은,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 무선충전신호가 제공되면 즉 무선충전장치(20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충전코일(미도시)은, 유도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When the charging coil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signal from the
충전부(미도시)는, 충전코일(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부(미도시)는 충전회로, 과전류 또는 과전압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not shown) may charge the
이처럼, 무선충전부(120)는,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하게 된다.As such, the
그리고, 무선인증부(110)는, 무선충전부(120)에 의한 배터리부(130)의 충전이 완료되면,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 충전완료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charging of the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무선충전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충전장치(200)는,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실행이벤트감지부(210)와,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인증수행부(220)와,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하고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닌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무선충전수행부(230)를 포함한다.Hereinafter, the
실행이벤트감지부(210)는,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The execution
예를 들면, 실행이벤트감지부(210)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선택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이벤트감지부(210)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execution
또는, 실행이벤트감지부(21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이벤트감지부(21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execution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실행이벤트감지부(210)에 의해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이 인지된 경우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wireless
구체적으로는,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실행이벤트감지부(210)에 의해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이 인지된 경우, 즉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거나 또는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로의 무선통신을 시도하고 충전대상장치(100)로 인증을 요청한다.Specifically, the wireless
이에, 인증요청에 대응하는 장치인증정보가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회신되면,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는, 충전대상장치(100)의 무선충전 가능 여부정보 및 장치식별정보 및 스펙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is returned from the charging
즉,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정당한 충전대상으로서 기 설정되는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를 포함하는 인증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무선인증수행부(220)는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의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 내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또는, 무선인증수행부(220)는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의 무선충전 가능 여부정보를 토대로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무선충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reless
무선충전수행부(23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하고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닌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한다.When the charging
즉, 무선충전수행부(230)는, 무선인증수행부(2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무선충전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한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예를 들어, 무선충전수행부(230)는, 충전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충전코일(미도시)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수행부(230)는,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하고 이처럼 발생되는 자기장이 충전대상장치(100)로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에 대응된다 하겠다.The wireless
무선충전수행부(23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대상장치(100)의 무선충전부(120)에 자기장을 유도하고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할 것이다.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한편, 무선충전수행부(230)는, 무선인증수행부(2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한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더 나아가,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신호가 수신되면,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wireless
즉, 무선충전수행부(230)가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하는 중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신호가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무선인증수행부(220)는 충전대상장치(100)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무선충전수행부(230)의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수행부(230)는, 수행 중이던 무선충전 기능을 종료하고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충전대상장치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가 인지되면 무선 충전을 종료/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효율을 개선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wirelessly, the charging target device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roviding wireless charging only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the completion of charging is recogniz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harging is switched to shutdown / sleep mode, thereby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mproving the lifespan. hav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면, 무선충전장치(200)는 기 정의된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Referr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예를 들면,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는 선택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또는, 무선충전장치(20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기 정의된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이에, S10단계를 통해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us, when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execution event occurs in step S10, the
구체적으로는,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 실행 이벤트 발생이 인지된 경우, 즉 무선충전 기능 실행에 대응되는 특정 실행버튼이 선택되거나 또는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접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인접한 충전대상장치(100)로의 무선통신을 시도하고 충전대상장치(100)로 인증을 요청한다(S20).Specifically, the
이처럼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 인증이 요청되면, 충전대상장치(100)는 내부에 저장된 장치인증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30). 여기서, 장치인증정보는, 충전대상장치(100)의 무선충전 가능 여부정보 및 장치식별정보 및 스펙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when authentication is requested from the
이에, 인증요청에 대응하는 장치인증정보가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회신되면, 무선충전장치(200)는 장치인증정보를 토대로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When the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is returned from the charging
즉, 무선충전장치(200)는 정당한 충전대상으로서 기 설정되는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를 포함하는 인증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무선충전장치(200)는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의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관련정보 내 장치식별정보 및/또는 스펙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또는, 무선충전장치(200)는 회신되는 장치인증정보의 무선충전 가능 여부정보를 토대로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무선충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40단계의 판단 결과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9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charging
한편, S40단계의 판단 결과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인 경우,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charging
즉, 무선충전장치(200)는 충전대상장치(100)가 인증된 충전대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S50) 무선충전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한다(S60).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예를 들어, 무선충전장치(200)는 충전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코일(미도시)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200)는 전원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하고 이처럼 발생되는 자기장이 충전대상장치(100)로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에 대응된다 하겠다.For example, the
이에 충전대상장치(100)는,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한다(S70).In this case, the charging
예를 들면, 충전대상장치(100)는 충전코일(미도시) 및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코일(미도시)은,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 무선충전신호가 제공되면 즉 무선충전장치(20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충전코일(미도시)은, 유도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충전부(미도시)는, 충전코일(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이처럼, 충전대상장치(100)는 무선충전장치(200)로부터의 무선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30)를 충전하게 된다.As such, the charging
그리고 충전대상장치(100)는 배터리부(130)의 충전이 완료되면,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장치(200)로 충전완료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S80).When charging of the
이에,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신호가 수신되면,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90).Thus,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즉, 무선충전장치(200)는,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충전대상장치(100)를 무선 충전하는 중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신호가 충전대상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충전대상장치(100)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수행 중이던 무선충전 기능을 종료하고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은,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충전대상장치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가 인지되면 무선 충전을 종료/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효율을 개선하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wirelessly, the charging target device authentic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By providing wireless charging only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the completion of charging is recogniz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harging is switched to shutdown / sleep mode, thereby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charging,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improving the lifespan. hav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무선충전장치가 무선으로 충전대상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된 충전대상장치에 대해서만 무선 충전을 제공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완료가 인지되면 무선 충전을 종료/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무선 충전의 안정성 및 효율, 장치 수명 연장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대상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the charging target device wirelessly, i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s wireless charging only for the authorized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and the charging comple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applying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the wireless charging to the shutdown / sleep mo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and the applie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can be greatly improved. Not only is there a good chance that the service solution will be commercially available or marketable, but it can also be implemented realistically.
100 : 충전대상장치
200 : 무선충전장치100: charging target device
200: wireless charging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30243AKR20120068566A (en) | 2010-12-17 | 2010-12-17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30243AKR20120068566A (en) | 2010-12-17 | 2010-12-17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8566Atrue KR20120068566A (en) | 2012-06-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30243ACeasedKR20120068566A (en) | 2010-12-17 | 2010-12-17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2006856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104813A1 (en)* | 2012-12-31 | 2014-07-03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sam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using same |
| KR20150116734A (en) | 2014-04-08 | 2015-10-16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 KR20150146316A (en) | 2014-06-23 | 2015-12-3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 KR101665247B1 (en)* | 2015-04-16 | 2016-10-24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Cup holder for vehicle having function of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100369A (en)* | 2017-04-07 | 2019-08-0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Wireless charging system, device and method |
| KR20200059167A (en)* | 2018-11-20 | 2020-05-28 | 하인크코리아(주) | Mobile device accessory |
| KR20200082840A (en)* | 2018-12-31 | 2020-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system |
| CN112448708A (en)* | 2020-11-16 | 2021-03-05 |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Touch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touch equipment and touch equipment |
| KR20210063869A (en)* | 2019-11-25 | 2021-06-02 | (주)에프씨언와이어드 | A method of reducing stand-by current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104813A1 (en)* | 2012-12-31 | 2014-07-03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sam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using same |
| CN104937811A (en)* | 2012-12-31 | 2015-09-23 | 翰林Postech株式会社 |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sam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using same |
| KR20150116734A (en) | 2014-04-08 | 2015-10-16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 KR20150146316A (en) | 2014-06-23 | 2015-12-3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 KR101665247B1 (en)* | 2015-04-16 | 2016-10-24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Cup holder for vehicle having function of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100369A (en)* | 2017-04-07 | 2019-08-0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Wireless charging system, device and method |
| CN110100369B (en)* | 2017-04-07 | 2023-11-1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Wireless charging system, device and method |
| KR20200059167A (en)* | 2018-11-20 | 2020-05-28 | 하인크코리아(주) | Mobile device accessory |
| KR20200082840A (en)* | 2018-12-31 | 2020-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system |
| KR20210063869A (en)* | 2019-11-25 | 2021-06-02 | (주)에프씨언와이어드 | A method of reducing stand-by current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
| CN112448708A (en)* | 2020-11-16 | 2021-03-05 |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Touch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touch equipment and touch equipmen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20068566A (en)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e | |
| KR102126713B1 (en) |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wireless charging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
| KR102584438B1 (en) | Device for adjusting path of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2128751B1 (en) | Wireless charging operating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 |
| CN110829616B (en)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9727714B2 (en) |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US9041346B2 (en) |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pparatus | |
| US9671468B2 (en) | Battery with computing, sens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 |
| US11258307B2 (en) | Wireless power system with foreign object detection | |
| US20100156347A1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 KR20140086000A (en) | Terminal which can use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for charging thereof | |
| JP201103040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CN112513790B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al visibility of battery charging of external device through display | |
| KR2014008999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ireless charging pad in electronic device | |
| KR2011005083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actless charging in battery charging systems | |
| KR20160106641A (en) | System and method for host-augmented touch processing | |
| KR102700029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e coil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10116355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EP3046207A1 (en) | Wireless charger | |
| KR102433881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 JP5560605B2 (en) | Auxilia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 JP2019022307A (en) | Power reception device, power reception method, power reception program,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non-contact power supply method | |
| US20140375254A1 (en) |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 |
| JP665277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KR20070014804A (en) | Devices with non-contact induction power supply and devices using the induction pow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121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01217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6070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70222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60704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